KR102607981B1 -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981B1
KR102607981B1 KR1020210175303A KR20210175303A KR102607981B1 KR 102607981 B1 KR102607981 B1 KR 102607981B1 KR 1020210175303 A KR1020210175303 A KR 1020210175303A KR 20210175303 A KR20210175303 A KR 20210175303A KR 102607981 B1 KR102607981 B1 KR 102607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ed
main body
pinion gear
coupled
vertic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6894A (ko
Inventor
박진효
장성동
박수민
Original Assignee
박진효
장성동
박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효, 장성동, 박수민 filed Critical 박진효
Priority to KR102021017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9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8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구동부(30), 타단이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상기 본체(2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부(40), 타단이 상기 상하이동부(4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부(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착부(50) 및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본체(20)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20)는 내측이 비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21) 및 상기 지지부(2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부에 관통홀(22a)이 관통 형성된 덮개(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Movable Pole System with multiple function}
본 발명은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래크기어가 피니언기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카메라, 태양광 발전설비 등을 장착할 수 있는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배달 및 택배 문화가 확산함에 따라 박스, 스티로폼, 일회용 컵, 비닐 등 일회용품의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각종 생활 쓰레기가 대로변에까지 마구잡이로 버려지고 있어, 악취 발생 및 도시 미관을 해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사람의 발길이 뜸한 지역의 공터 또는 인도 등에 생활 쓰레기를 무단 투기하는 것은 어제, 오늘의 현상이 아니다. 심지어, 생활 쓰레기를 버리지 말라는 경고판이 버젓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 쓰레기를 무단투기하는 얌체족들도 적지 않은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고질적인 쓰레기 무단 투기를 해결하기 위해, 상습 투기 지역에 쓰레기 무단 투기를 단속하기 위한 감시 카메라가 지속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감시 카메라가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시야 확보, 화면 확대 및 선명도 조절 등을 위해 감시 카메라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감시 카메라가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감시 카메라를 상기 감시 카메라를 필요로 하는 다른 장소로 이동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감시 카메라를 고정장치에서 분리한 후, 다른 장소의 고정장치에 상기 감시 카메라를 설치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감시 카메라를 다른 장소로 이동 설치 시, 숙련된 전문기술자만 설치가 가능하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KR 10-1648916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래크기어가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카메라, 태양광 발전설비 등을 장착할 수 있는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래크기어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도르래 및 체인 시스템이 구비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으로 이동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지대를 지지하는 앵글부 제거 시, 앵커홀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부가 열십자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본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구동부(30), 타단이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상기 본체(2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부(40), 타단이 상기 상하이동부(4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부(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착부(50) 및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본체(20)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20)는 내측이 비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21) 및 상기 지지부(2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부에 관통홀(22a)이 관통 형성된 덮개(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지지부(2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부 일측에 제1 삽입홀(31a)이 관통 형성된 바디부(31), 상기 바디부(3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된 피니언기어(32) 및 상기 피니언기어(32)의 후방에 축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3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33)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부(40)는 하부가 상기 지지부(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부(41), 상기 가이드부(41)의 좌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32)에 기어 맞물림된 래크기어(42), 상기 가이드부(4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된 하부 고정부(43) 및 상기 하부 고정부(43)의 좌측면에 용접 결합된 상부 고정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바디부(31)의 상부 일측에 나사 결합되고, 중앙에 제1 육각너트(34a)가 용접 결합된 상부 고정축(34) 및 일단이 상기 제1 육각너트(34a)에 고정 결합된 체인(3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부(40)는 상기 상부 고정부(45)의 상부에 축결합되고, 외주면의 상부에 상기 체인(35)이 걸쳐진 도르래(4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50)는 상기 가이드부(4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4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부(51), 좌측면에 카메라(70)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홀(52a)이 관통 형성된 결합부(52) 및 상기 레일부(51)의 하부 일측에 나사 결합되고, 중앙에 제2 육각너트(53a)가 용접 결합된 하부 고정축(53)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35)은 타단이 상기 제2 육각너트(53a)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레일부(51)는 우측면에 상기 체인(35)이 삽입되는 삽입부(51a)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바디부(31)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결합축(36), 하부가 상기 결합축(36)에 용접 결합되고, 중앙에 제2 삽입홀(37b)이 관통 형성된 레버(37), 일단이 상기 제1 삽입홀(31a)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삽입홀(37b)에 고정 결합된 스프링(38)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37)는 상부에 상기 피니언기어(32)의 외측에 일시적으로 결합되는 홈부(37a)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1)는 상부 일측에 상기 피니언기어(32)를 상기 래크기어(42)에 기어 맞물림하기 위해, 상기 피니언기어(32)의 일측이 삽입되는 함몰부(21a)가 관통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41)의 하단과 면접촉하는 스토퍼(2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60)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21)의 하부에 용접 결합된 관절부(61), 일단이 상기 관절부(6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된 앵글부(62), 상기 관절부(61)의 타측에 삽입 결합된 고정핀(63) 및상기 앵글부(62)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 바퀴부(64)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61)는 상부 양측에 제1 슬로트홀(61a)이 함몰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제2 슬로트홀(61b)이 함몰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앵글부(62) 제거 시, 상기 관절부(61)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홀(61c)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앵글부(62)는 타단 양측에 상기 제2 슬로트홀(61b)에 대응하는 제3 슬로트홀(62a)이 각각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핀(63)은 상기 앵글부(62)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제3 슬로트홀(62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슬로트홀(61b)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앵글부(62)가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제3 슬로트홀(62a)로부터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슬로트홀(61a)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은 피니언기어의 회전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래크기어 및 상기 래크기어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도르레 및 체인을 통해 카메라 설치 구역의 환경에 맞게 카메라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를 제작 사양에 따라 일정한 높이까지 상승시킬 수 있어, 카메라 설치 구역의 주변을 효율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에 설치된 바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구역으로 카메라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에서는 베이스부가 열십자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본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에서는 열십자 형태의 다수의 앵글부를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절부의 저면에 형성된 앵커홀에 별도로 앵커 취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은 접이식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 10kg 이하의 경량으로 일반 승용차로도 상기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을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 상하이동부 및 장착부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호 A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구동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동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상하이동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하이동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앵글부가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접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상하이동부 및 장착부가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상하이동부 및 장착부가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10)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10)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10)은 본체(20), 구동부(30), 상하이동부(40), 장착부(50) 및 베이스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20)는 내측이 비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부(30)는 본체(2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하이동부(40)는 타단이 본체(20)의 내측에 구비되어, 구동부(30)에 의해 본체(2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하이동부(4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부(50)는 일단에 카메라(70)가 장착되고, 타단이 상하이동부(4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이동부(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장착부(5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부(60)는 본체(20)의 하부에 용접 결합되어, 본체(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베이스부(60)는 열십자의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20), 상하이동부(40) 및 장착부(50)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덮개(22)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호 A의 상세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20)는 지지부(21) 및 덮개(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부(21)는 내측이 비어 있고,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21)는 원형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22)는 지지부(2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되고, 덮개(22)의 상부에는 관통홀(22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덮개(22)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22)의 관통홀(22a)은 상하이동부(4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구동부(30)의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구동부(30)의 우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구동부(30)는 바디부(31), 피니언기어(32) 및 손잡이(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바디부(31)는 지지부(2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되고, 바디부(31)의 상부 일측에는 제1 삽입홀(31a)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바디부(31)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각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피니언기어(32)는 바디부(3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또한, 피니언기어(32)는 바디부(31)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때, 피니언기어(32)의 중심축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피니언기어(3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33)는 피니언기어(32)의 후방에 축결합되어, 피니언기어(3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상하이동부(40)의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하이동부(40)의 우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하이동부(40)는 가이드부(41), 래크기어(42), 하부 고정부(43) 및 상부 고정부(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가이드부(41)는 하부가 지지부(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이드부(41)는 사각 파이프의 형상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래크기어(42)는 가이드부(41)의 좌측면에 구비되어, 피니언기어(32)에 기어 맞물림된다. 이때, 래크기어(42)의 외측에는 피니언기어(32)의 수나사에 기어 맞물림되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고정부(43)는 가이드부(4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된다. 이때, 하부 고정부(43)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사각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고정부(45)는 하부 고정부(43)의 좌측면에 용접 결합된다. 이때, 상부 고정부(45)는 좌측면, 우측면 및 하면이 개방되고,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각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구동부(30)는 상부 고정축(34) 및 체인(3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부 고정축(34)은 바디부(31)의 상부 일측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 고정축(34)의 중앙에는 제1 육각너트(34a)가 용접 결합된다. 이때, 상부 고정축(34)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체인(35)의 일단은 상부 고정축(34)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체인(35)의 일단은 상부 고정축(34)의 중앙에 용접 결합된 제1 육각너트(34a)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체인(35)의 길이는 일정하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인(35) 대신에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이동부(40)는 결합부(52)의 상부 일측에 축결합되고, 외주면의 상부에 체인(35)이 걸쳐진 도르래(4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르래(46)은 상기 도르래(46)의 외부면의 상부에 걸쳐진 체인(35)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도르래(46)는 깊은볼 홈베이렁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르래(46)의 회전축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부(50)는 레일부(51), 결합부(52) 및 하부 고정축(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레일부(51)는 가이드부(41)의 내측에 구비되어, 가이드부(4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레일부(51)는 사각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52)의 좌측면에는 카메라(70)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홀(52a)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52)는 레일부(5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는 사각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고정축(53)은 레일부(51)의 하부 일측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 고정축(53)의 중앙에는 제2 육각너트(53a)가 용접 결합된다. 이때, 하부 고정축(53)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체인(35)의 타단은 하부 고정축(53)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체인(35)의 타단은 하부 고정축(53)의 중앙에 용접 결합된 제2 육각너트(53a)에 고정 결합된다.
한편, 레일부(51)의 우측면에는 체인(35)이 삽입되는 삽입부(51a)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된다.
한편, 구동부(30)는 결합축(36), 레버(37) 및 스프링(3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결합축(36)은 바디부(31)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이때, 결합축(36)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레버(37)은 결합축(36)에 용접 결합되어, 피니언기어(32)의 회동을 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레버(37)의 하부는 결합축(36)의 중앙 하부에 용접 결합된다. 이때, 레버(37)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레버(37)의 중앙에는 제2 삽입홀(37b)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링(38)의 일단은 바디부(31)의 제1 삽입홀(31a)에 고정 결합되고, 스프링(38)의 타단은 레버(37)의 제2 삽입홀(37b)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스프링(38)의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레버(37)의 상부에는 피니언기어(32)의 외측에 일시적으로 결합되는 홈부(37a)가 함몰 형성된다. 이때, 홈부(37a)는 피니언기어(32)의 수나사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레버(37)가 시계방향으로 회동 시, 레버(37)의 홈부(37a)는 피니언기어(32)에 기어 맞물림되어, 피니언기어(32)의 회동을 중지시킨다. 이로 인해, 피니언기어(32)에 대한 래크기어(42)의 기어 맞물림은 해제된다.
한편, 지지부(21)의 상부 일측에는 피니언기어(32)를 래크기어(42)에 기어 맞물림하기 위해, 피니언기어(32)의 일측이 삽입되는 함몰부(21a)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함몰부(21a)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피니언기어(32)의 일측은 지지부(21)의 상부 일측에 관통 형성된 함몰부(21a)를 통과하여, 래크기어(42)에 기어 맞물림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1)의 내측 하부에는 가이드부(41)의 하단과 면접촉하는 스토퍼(21b)가 형성된다. 가이드부(41)의 하단이 스토퍼(21b)와 면접촉하는 경우, 가이드부(41)의 높이는 가장 낮게 형성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부(60)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앵글부가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접히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부(60)는 관절부(61), 앵글부(62) 및 바퀴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관절부(61)의 일단은 지지부(21)의 하부에 용접 결합된다. 이때, 관절부(61)는 상면이 개방되고,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각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앵글부(62)는 일단이 관절부(6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때, 앵글부(62)는 사각 파이프의 형상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핀(63)은 관절부(61)의 타측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고정핀(6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바퀴부(64)는 앵글부(62)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베이스부(60)는 바퀴부(64)에 의해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관절부(61)의 상부 양측에는 제1 슬로트홀(61a)이 함몰 형성되고, 관절부(61)의 하부 양측에는 제2 슬로트홀(61b)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제1 슬로트홀(61a) 및 제2 슬로트홀(61b)은 사각형의 일측에 반원이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슬로트홀(61a) 및 제2 슬로트홀(61b)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슬로트홀(61a)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슬로트홀(61b)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관절부(61)의 저면에는 앵글부(62) 제거 시, 관절부(61)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홀(61c)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앵글부(62)의 타단 양측에는 관절부(61)의 제2 슬로트홀(61b)에 대응하는 제3 슬로트홀(62a)이 각각 함몰 형성된다.
이때, 제3 슬로트홀(62a)은 직사각형의 양측에 반원이 각각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슬로트홀(62a)의 폭은 제2 슬로트홀(61b)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3 슬로트홀(62a)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핀(63)은 관절부(61)의 제2 슬로트홀(61b)에 삽입 결합된다.
한편, 앵글부(62)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고정핀(63)은 앵글부(62)의 제3 슬로트홀(62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관절부(61)의 제2 슬로트홀(61b)에 삽입 결합된다.
그리고, 관절부(61)의 제2 슬로트홀(61b)에 삽입 결합된 고정핀(63)을 앵글부(62)의 제3 슬로트홀(62a)로 이동시킨 후, 앵글부(62)를 지지부(21)의 내측으로 90도 만큼 회동시키면, 앵글부(62)는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배치된다. 앵글부(62)가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고정핀(63)은 앵글부(62)의 제3 슬로트홀(62a)로부터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관절부(61)의 제1 슬로트홀(61a)에 삽입 결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10)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하이동부(40) 및 장착부(50)가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상하이동부(40) 및 장착부(50)가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레버(37)의 하부는 사용자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이후, 레버(37)의 상부는 결합축(3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이후, 스프링(38)의 압축력에 의해 피니언기어(32)에 대한 레버(37)의 홈부(37a)의 기어 맞물림은 해제된다.
그 이후, 피니언기어(32)는 우측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그 이후, 피니언기어(32)는 래크기어(42)에 기어 맞물림된다.
그 이후, 손잡이(33)는 사용자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이후, 피니언기어(32)는 상기 피니언기어(32)에 축결합된 손잡이(33)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이후, 래크기어(42)는 상기 래크기어(42)에 기어 맞물린 피니언기어(32)의 회전력에 의해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상하이동부(40) 및 장착부(50)는 래크기어(42)에 의해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체인(35)의 타단은 장착부(50)에 의해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이후, 체인(35)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도르래(46)를 따라 장착부(5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장착부(50)의 내측에 포함된 체인(35)의 길이는 점점 감소하고, 외측으로 노출된 체인(35)의 길이는 점점 증가한다.
다음으로, 상하이동부(40) 및 장착부(50)가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상하이동부(40) 및 장착부(50)가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레버(37)의 하부는 사용자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이후, 레버(37)의 상부는 결합축(36)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이후, 레버(37)의 홈부(37a)는 스프링(38)이 팽창력에 의해 피니언기어(32)에 기어 맞물림된다.
그 이후, 피니언기어(32)는 좌측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그 이후, 래크기어(42)에 대한 피니언기어(32)의 기어 맞물림은 해제된다.
그 이후, 손잡이(33)는 사용자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이후, 피니언기어(32)에 기어 맞물림되지 않은 래크기어(42)는 자중에 의해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상하이동부(40) 및 장착부(50)는 래크기어(42)에 의해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체인(35)의 타단은 장착부(50)에 의해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이후, 체인(35)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도르래(46)를 따라 외측에서 장착부(50)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외측으로 노출된 체인(35)의 길이는 점점 감소하고, 장착부(50) 내측에 포함된 체인(35)의 길이는 점점 증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10)은 피니언기어(32)의 회전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래크기어(42) 및 상기 래크기어(42)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도르레 및 체인(35)을 통해 카메라 설치 구역의 환경에 맞게 카메라(70)의 높낮이를 2m 이상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를 3.2m까지 상승시킬 수 있어, 카메라 설치 구역의 주변을 효율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에 설치된 바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구역으로 카메라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에서는 베이스부가 열십자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본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에서는 열십자 형태의 다수의 앵글부를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절부의 저면에 형성된 앵커홀에 별도로 앵커 취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은 접이식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 10kg 이하의 경량으로 일반 승용차로도 상기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을 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10)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10: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20: 본체 21: 지지부
21a: 함몰부 21b: 스토퍼
22: 덮개 22a: 관통홀
30: 구동부 31: 바디부
31a: 제1 삽입홀 32: 피니언기어
33: 손잡이 34: 상부 고정축
34a: 제1 육각너트 35: 체인
36: 결합축 37: 레버
37a: 홈부 37b: 제2 삽입홀
38: 스프링 40: 상하이동부
41: 가이드부 42: 래크기어
43: 하부 고정부 45: 상부 고정부
46: 도르래 50: 장착부
51: 레일부 51a: 삽입부
52: 결합부 52a: 결합홀
53: 하부 고정축 53a: 제2 육각너트
60: 베이스부 61: 관절부
61a: 제1 슬로트홀 61b: 제2 슬로트홀
61c: 앵커홀 62: 앵글부
62a: 제3 슬로트홀 63: 고정핀
64: 바퀴부 70: 카메라

Claims (7)

  1.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본체(20);
    상기 본체(2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구동부(30);
    타단이 상기 본체(2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30)에 의해 상기 본체(2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부(40);
    타단이 상기 상하이동부(4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하이동부(4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장착부(50); 및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용접 결합되어, 상기 본체(20)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20)는
    내측이 비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21); 및
    상기 지지부(2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부에 관통홀(22a)이 관통 형성된 덮개(2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지지부(2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부 일측에 제1 삽입홀(31a)이 관통 형성된 바디부(31);
    상기 바디부(3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된 피니언기어(32); 및
    상기 피니언기어(32)의 후방에 축결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3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손잡이(33);를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부(40)는
    하부가 상기 지지부(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부(41);
    상기 가이드부(41)의 좌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32)에 기어 맞물림된 래크기어(42);
    상기 가이드부(41)의 상부에 용접 결합된 하부 고정부(43); 및
    상기 하부 고정부(43)의 좌측면에 용접 결합된 상부 고정부(45);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바디부(31)의 상부 일측에 나사 결합되고, 중앙에 제1 육각너트(34a)가 용접 결합된 상부 고정축(34); 및
    일단이 상기 제1 육각너트(34a)에 고정 결합된 체인(3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부(40)는
    상기 상부 고정부(45)의 상부에 축결합되고, 외주면의 상부에 상기 체인(35)이 걸쳐진 도르래(4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50)는
    상기 가이드부(4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41)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레일부(51);
    좌측면에 카메라(70)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홀(52a)이 관통 형성된 결합부(52); 및
    상기 레일부(51)의 하부 일측에 나사 결합되고, 중앙에 제2 육각너트(53a)가 용접 결합된 하부 고정축(53);을 포함하고,
    상기 체인(35)은
    타단이 상기 제2 육각너트(53a)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레일부(51)는
    우측면에 상기 체인(35)이 삽입되는 삽입부(51a)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바디부(31)의 하부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결합축(36);
    하부가 상기 결합축(36)에 용접 결합되고, 중앙에 제2 삽입홀(37b)이 관통 형성된 레버(37); 및
    일단이 상기 제1 삽입홀(31a)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삽입홀(37b)에 고정 결합된 스프링(38);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37)는
    상부에 상기 피니언기어(32)의 외측에 일시적으로 결합되는 홈부(37a)가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1)는
    상부 일측에 상기 피니언기어(32)를 상기 래크기어(42)에 기어 맞물림하기 위해, 상기 피니언기어(32)의 일측이 삽입되는 함몰부(21a)가 관통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상기 가이드부(41)의 하단과 면접촉하는 스토퍼(2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60)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21)의 하부에 용접 결합된 관절부(61);
    일단이 상기 관절부(6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축결합된 앵글부(62);
    상기 관절부(61)의 타측에 삽입 결합된 고정핀(63); 및
    상기 앵글부(62)의 타단에 고정 결합된 바퀴부(64);를 포함하고,
    상기 관절부(61)는
    상부 양측에 제1 슬로트홀(61a)이 함몰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제2 슬로트홀(61b)이 함몰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앵글부(62) 제거 시, 상기 관절부(61)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커홀(61c)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앵글부(62)는
    타단 양측에 상기 제2 슬로트홀(61b)에 대응하는 제3 슬로트홀(62a)이 각각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63)은
    상기 앵글부(62)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제3 슬로트홀(62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슬로트홀(61b)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앵글부(62)가 중력의 반대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제3 슬로트홀(62a)로부터 중력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슬로트홀(61a)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KR1020210175303A 2021-12-09 2021-12-09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KR102607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303A KR102607981B1 (ko) 2021-12-09 2021-12-09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303A KR102607981B1 (ko) 2021-12-09 2021-12-09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894A KR20230086894A (ko) 2023-06-16
KR102607981B1 true KR102607981B1 (ko) 2023-11-30

Family

ID=86948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303A KR102607981B1 (ko) 2021-12-09 2021-12-09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9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767Y1 (ko) 2002-05-04 2002-08-05 김창원 휴대용 슬림스탠드
WO2009007284A1 (en) * 2007-07-09 2009-01-15 Lino Manfrotto + Co. S.P.A. Telescopic column stand, especially for supporting lighting or sound equipment
KR101701640B1 (ko) 2015-10-13 2017-0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높이 조절장치
CN112696578A (zh) * 2020-12-30 2021-04-23 大连四达高技术发展有限公司 激光跟踪仪支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16B1 (ko) 2015-03-04 2016-08-17 박종우 감시카메라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767Y1 (ko) 2002-05-04 2002-08-05 김창원 휴대용 슬림스탠드
WO2009007284A1 (en) * 2007-07-09 2009-01-15 Lino Manfrotto + Co. S.P.A. Telescopic column stand, especially for supporting lighting or sound equipment
KR101701640B1 (ko) 2015-10-13 2017-0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높이 조절장치
CN112696578A (zh) * 2020-12-30 2021-04-23 大连四达高技术发展有限公司 激光跟踪仪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894A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26483B (zh) 一种适于多种路面的角度可调式道路警示装置
KR102607981B1 (ko) 이동형 다기능 폴대 시스템
WO2021223340A1 (zh) 一种立杆安装装置
KR200475435Y1 (ko) 틸팅이 가능한 cctv 카메라용 지주
CN207538580U (zh) 一种用于岩土工程勘探的钻机围挡装置
KR20160050496A (ko) 주차방지 장치
CN206693708U (zh) 一种防坠落机构及立体停车装置
EP2314422A1 (fr) Structure roulante multifonctions pour travaux d'entretien et rénovation de parois et plafonds pour constructions
CN201092751Y (zh) 智能型车位锁的前锁板
CN215926993U (zh) 一种市政工程用围栏
WO2002064894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reglage de la hauteur d'un trou d'homme
CN201459648U (zh) 可快速拆装的桩柱及护栏
CN209395838U (zh) 一种厂房建造材料运输装置
CN102037186B (zh) 可折叠式防撞柱系统及其安装方法
KR200316591Y1 (ko) 맨홀뚜껑 개폐 장비
KR200191481Y1 (ko) 주차 제어장치
CN106703467B (zh) 一种存车装置及具有该存车装置的车库
CN220928958U (zh) 一种市政公路施工用警示装置
CN201352327Y (zh) 便携式多功能笔记本电脑支架
CN214292975U (zh) 一种建筑工程技术开发用操作台
CN205802124U (zh) 一种支撑式大型垃圾箱
CN220565862U (zh) 一种建筑施工用隔离栏
CN211948095U (zh) 市政道路施工用的改道指示装置
CN218176858U (zh) 一种城市道路交通工程用修路临时圈地围挡机构
CN213777339U (zh) 用于工程施工的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