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218B1 - 불연 에폭시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 도장공법 - Google Patents

불연 에폭시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 도장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218B1
KR102607218B1 KR1020230080944A KR20230080944A KR102607218B1 KR 102607218 B1 KR102607218 B1 KR 102607218B1 KR 1020230080944 A KR1020230080944 A KR 1020230080944A KR 20230080944 A KR20230080944 A KR 20230080944A KR 102607218 B1 KR102607218 B1 KR 102607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layer
combustible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순
Original Assignee
삼창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창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삼창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3008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D163/04Epoxynovol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불연층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불연층, 상기 불연층의 어느 일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배치된 퍼티부를 포함하고 10 이하의 불연성 지수(NF Index)를 갖는 불연 적층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불연성 지수(NF Index)는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되고,
[식 1]
NF Index = (질량감소율 x 온도차) x 100
상기 식 1의 질량감소율 및 온도차는 불연성 시험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 불연성 시험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84호 제23조 제1호 및 제2호에 따라 측정되고, 상기 온도차는 불연성 시험에서 시편의 최고온도와 최종평형온도와의 온도차를 의미하고, 상기 질량감소율은 하기 식 2에 따라 계산되고,
[식 2]
질량감소율 = 초기 시편의 질량 - 불연성 시험 후 시편의 질량
상기 온도차는 하기 식 3에 따라 계산된다.
[식 3]
온도차 = 시편의 최고온도 - 시편의 최종평형온도

Description

불연 에폭시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 도장공법{PAINTING METHODE FOR PARKING LOT FLOOR USING NON-FLAMMABLE EPOXY RESIN}
본 발명은 건축물 바닥의 균열 및 부식의 발생을 억제하고, 불연 특성을 가져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보호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불연 적층체, 이를 이용한 불연 바닥재 구조 및 그 도장 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다양한 시설물 또는 건축물들에 사용되는 튼튼한 구조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콘크리트에 미세 균열, 크랙, 부식 등이 발생되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외관이 손상될 수 있다. 그래서,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페인트를 도장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산업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 페인트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특히, 최근 병원, 주차장 등과 같은 건축물 내부의 화재 발생으로 인한 2차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불연 및 난연 특성을 포함한 기능성 페인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우수한 불연 및 난연 특성을 가지며, 건축물 바닥에 가해지는 외부 자극에 대한 보호 또는 억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불연 적층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이러한 불연 적층체를 포함하는 불연 바닥재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이러한 불연 적층체를 형성하는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이러한 불연 적층체를 포함하는 불연 바닥재 도장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불연층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불연층, 상기 불연층의 어느 일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배치된 퍼티부를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불연층 조성물은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이 2:1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의 에폭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의 금속 산화물, 10 내지 20 중량%의 충진재, 1 내지 10 중량%의 희석제 및 20 내지 50 중량%의 제1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5 내지 70 중량%의 제2 용매, 30 내지 40 중량%의 아민계 화합물 및 1 내지 10 중량%의 경화 촉진제를 포함하고, 10 이하의 불연성 지수(NF Index)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불연성 지수(NF Index)는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되고,
[식 1]
NF Index = (질량감소율 x 온도차) x 100
상기 식 1의 질량감소율 및 온도차는 불연성 시험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 불연성 시험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84호 제23조 제1호 및 제2호에 따라 측정되고, 상기 질량감소율은 하기 식 2에 따라 계산되고,
[식 2]
질량감소율 = 초기 시편의 질량 - 불연성 시험 후 시편의 질량
상기 온도차는 하기 식 3에 따라 계산된다.
[식 3]
온도차 = 시편의 최고온도 - 시편의 최종평형온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폭시 수지는 옥시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계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지방산 아민계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 티타늄(TiO2) 및 산화 알루미늄(Al2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불연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에 배치된 난연층을 더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연층은 에폭시-노볼락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불연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에 배치된 요철층을 더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요철층은 비스페놀 A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제1 영역 및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퍼티부, 프라이머층 및 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퍼티부, 프라이머층, 난연층 및 불연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영역은 퍼티부, 프라이머층, 요철층 및 불연층을 포함하는, 불연 바닥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피도면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피도면의 상기 오목부를 퍼티부 조성물로 메꾸어 퍼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피도면 및 상기 퍼티부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불연층 조성물을 혼합하고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도포하여 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불연층 조성물은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이 2:1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의 에폭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의 금속 산화물, 10 내지 20 중량%의 충진제, 1 내지 10 중량%의 유화제 및 20 내지 50 중량%의 제1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5 내지 70 중량%의 제2 용매, 30 내지 40 중량%의 아민계 화합물 및 1 내지 10 중량%의 경화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난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난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 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요철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요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피도면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피도면의 상기 오목부를 퍼티부 조성물로 메꾸어 퍼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피도면 및 상기 퍼티부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의 일부에 난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난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의 일부에 상기 난연층과 이격되도록 요철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요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철층, 상기 난연층 및; 상기 요철층과 상기 난연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불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연 바닥재 구조 도장 공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불연층 조성물은 제1 조성물 및 상기 제2 조성물이 2:1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의 에폭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의 금속 산화물 10 내지 20 중량%의 충진제, 1 내지 10 중량%의 희석제 및 20 내지 50 중량%의 제1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5 내지 70 중량%의 제2 용매, 30 내지 40 중량%의 아민계 화합물 및 1 내지 10 중량%의 경화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의 혼합에 의해 우수한 강도와 내열성을 발현할 수 있으며, 제1 조성물에 포함된 금속 산화물 및 충진재에 의해 우수한 불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는 요철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특성에 더해, 우수한 마찰계수를 가져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는 난연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특성에 더해, 화재 발생에 대한 보호 및 억제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불연 적층체들을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의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의 표면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100)는 건축물에 도장(painting)되어 사용될 수 있다. 불연 적층체(100)는 예를 들어, 건축물 내부인 주차장 바닥, 병원 복도 등과 같이 화재 발생시 큰 2차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
건축물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로 형성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100)가 형성되는 피도면은 콘크리트 표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연 적층체(100)를 콘크리트 도장막, 콘크리트 코팅막 또는 콘크리트 페인트 막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연 적층체(100)는 불연층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불연층(130), 불연층(130)의 어느 일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120) 및 프라이머층(120) 상에 배치된 퍼티부(110)를 포함한다. 불연층 조성물은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이 2:1 내지 4: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불연층 조성물이 프라이머층(120) 상에 도포되어 불연층 도장막을 형성하고, 불연층 도장막이 경화되면 불연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의 에폭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의 금속 산화물, 10 내지 20 중량%의 충진제, 1 내지 10 중량%의 희석제 및 20 내지 50 중량%의 제1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불연층 조성물을 에폭시계 조성물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계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폭시 수지는 옥시란과 비스페놀 A 모노머의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폭시 수지는 옥시란을 포함할 수 있다. 옥시란은 우수한 반응성을 가지며, 불연층 조성물에서 고분자 중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옥시란은 제2 조성물에 포함된 아민계 화합물 및 경화 촉진제와 반응하여, 불연층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불연층이 우수한 내구성 및 강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옥시란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Bisphenol A diglycidyl ether)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3069285784-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비스페놀 A 모노머는 불연층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는 불연층(130)이 피도면(10) 상에 적층될 때, 계면간 접착력이 우수하고, 체적 수축이 적어 불연층(130)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비스페놀 A 모노머는 옥시란과 중합 또는 가교되어 불연층(130)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다. 비스페놀 A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3069285784-pat00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스페놀계 폴리머가 에폭시 수지로 사용되는 경우, 불연층(130)의 강도 저하 없이, 불연층(130)에 크랙 또는 깨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폭시 수지는 상기 옥시란과 비스페놀 A 모노머가 중합되어 형성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비스페놀 A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3069285784-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n은 1 내지 5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폭시 수지는 Cas no. 25036-25-3인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불연층(13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100)는 우수한 내열성, 내마모성, 내수성 및 내유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불연층 도장막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미경화 에폭시 수지가 발생될 수 있어, 불연층(130)의 강도 및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에폭시 수지의 함량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내지 30 중량%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은 콘크리트와 불연층(130) 사이의 친화도를 증진시키며,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성분에 의해 불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산화 티타늄(TiO2) 및 산화 알루미늄(Al2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산화물은 불연층(130)에 색상을 부여할 수 있으며, 자외선 또는 수분을 흡수하여 불연층(130)의 내후성(weatherability) 및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금속 산화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불연층(130)과 피도면(10)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불연층(130)의 내후성 및 불연성이 부족해질 수 있다.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금속 산화물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량의 무기물로 인하여 불연층 도장막 형성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불연층(130)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 산화물의 함량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로 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속 산화물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2 내지 18 중량%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충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충진재는 예를 들어, 탄산 칼슘을 포함할 수 있다. 탄산 칼슘은 CaCO3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며, 암석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특히 석회암(Limestone)의 구성 성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말 상태의 탄산 칼슘이 사용된다.
탄산 칼슘은 피도면(10), 예를 들어, 콘크리트와의 적합성 및 호환성(compatibility)이 우수하여, 불연층(130)이 피도면(10)과 우수한 접착성을 가지도록 한다. 탄산 칼슘은 제1 조성물에 포함되어, 피도면(10)과 불연층(130)이 우수한 부착 안정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산 칼슘 분말은 차열 및 불연 특성을 지녀, 외부의 열을 차단하고 화재 발생시 불이 잘 붙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탄산 칼슘은 200㎛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산 칼슘은 1 내지 20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탄산 칼슘은 1 내지 10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 내지 5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고, 2 내지 1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고, 20 내지 50㎛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충진재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인 경우, 불연층(130)과 피도면(10) 사이의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불연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충진재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불연층 도장막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불연층 도장막의 경화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에 포함된 충진재의 함량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의 범위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의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희석제는 예를 들어, 도데실페놀을 포함할 수 있다. 희석제는 불연층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며, 불연층 조성물의 점도 조절에 의해 불연층 도장막 도장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데실페놀은 비 반응성 희석제로 에폭시 수지나 경화제와 상용성이 좋고 불연층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들과 반응을 하지 않는다.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희석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희석제를 첨가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희석제의 함량이 10 중량% 초과인 경우, 불연층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저하될 수 있고, 불연층 도장막 표면에 석출되어 불연 적층체(100)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의 제1 용매를 포함한다. 제1 용매에 의해 제1 조성물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들(이하 "제1 고형분"이라 한다)이 혼합 및 교반되어 제1 조성물이 만들어진다.
제1 용매는 예를 들어, 나프타(naphtha), 크실렌(Xylene), 탄산 다이메틸(Dimethyl Carbonate), 2-뷰톡시에탄올(2-Butoxyethanol), 2-메틸 이소부틸 케톤(2-Methyl Isobutyl Ketone) 및 에틸벤젠(Ethylbenzen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프타는 석유 정제시 140 내지 180℃에서 분리되어 나오는 고분자 탄소화합물이다.
일반적으로 나프타를 석유계 용매라고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조성물은 C7 내지 C12의 탄소 체인 길이를 갖는 석유계 용매를 포함한다고 할 수도 있다. 석유계 용매는 방향족 용매로도 볼 수 있다.
나프타는 용매로 사용되는 것 외에도, 제1 조성물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보호 또는 억제하는 소포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크실렌 또한 석유계 용매라고도 할 수 있다. 크실렌은 용매로 사용되어 에폭시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실렌은 제1 조성물에서 에틸벤젠과 함께 사용되어, 에틸벤젠에 대한 에폭시 수지의 경화시 분산성을 향상시킨다.
크실렌(xylene)으로, o- 크실렌, m- 크실렌 및 p-크실렌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 크실렌, m- 크실렌 및 p-크실렌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탄산 다이메틸은 비휘발성 용매로서, 방향족 용매의 일부를 대체하여 휘발성 방향족 용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탄산 다이메틸은 제1 조성물에서 경화시 에폭시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에틸벤젠은 방향족 용매로서, 에폭시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틸벤젠은 제1 조성물에서 크실렌과 함께 사용되어, 경화시 에폭시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뷰톡시에탄올 및 2-메틸 이소부틸 케톤은 비방향족 유기 용매로써, 방향족 용매와 함께 사용되어, 방향족 용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료의 희석제로도 많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용매들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각 용매들의 함량은 제1 조성물에 포함된 에폭시 수지의 분산성 및 제1 조성물의 점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1 내지 1 중량%의 나프타, 1 내지 10 중량%의 탄산 다이메틸, 6 내지 10 중량%의 크실렌, 1 내지 10 중량%의 2-뷰톡시에탄올, 1 내지 10 중량%의 2-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벤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제1 용매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 제1 고형분의 혼합 및 분산성이 저하되고 작업성이 저하된다.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제1 용매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유동성으로 인하여 불연층 도장막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제1 고형분의 저하로 불연층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건조에 장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용매 함량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로 조정된다.
제2 조성물은 제1 조성물과 별도로 제조되어 별도로 보관 및 유통된다. 피도면에 대한 도장이 이루어질 때,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이 혼합 및 교반되어 불연층 조성물이 제조되고, 이와 같이 제조된 불연층 조성물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100)의 불연층(130) 도장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5 내지 70 중량%의 제2 용매 30 내지 40 중량%의 아민계 화합물 및 1 내지 10 중량%의 경화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5 내지 70 중량%의 제2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용매는 크실렌, 이소부탄올(Isobutanol), 2-프로판올(2-propanol) 및 에틸벤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크실렌은 방향족 용매로서, 용매로 사용되어 에폭시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실렌은 제2 조성물에서 에틸벤젠과 함께 사용되어, 아민계 화합물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제1 조성물과 혼합될 경우, 에틸벤젠에 대한 에폭시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킨다.
크실렌(xylene)으로, o- 크실렌, m- 크실렌 및 p-크실렌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 크실렌, m- 크실렌 및 p-크실렌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소부탄올 및 2-프로판올은 비방향족 유기 용매로써, 방향족 용매와 함께 사용되어, 방향족 용매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료의 희석제로도 많이 사용된다.
에틸벤젠은 방향족 용매로서, 에폭시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틸벤젠은 제2 조성물에서 크실렌과 함께 사용되어, 아민계 화합물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킨다.
제2 용매는, 제2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이하 "제2 고형분"이라 한다.)이 서로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용매들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각 용매들의 함량은 제2 조성물에 포함된 아민계 화합물의 분산성 및 제2 조성물의 점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5 내지 30 중량%의 크실렌, 1 내지 10 중량%의 이소부탄올(Isobutanol), 1 내지 10 중량%의 2-프로판올(2-propanol) 및 10 내지 20 중량%의 에틸벤젠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제2 용매의 함량이 35 중량% 미만인 경우, 제2 고형분의 혼합 및 분산성이 저하되고 작업성이 저하된다.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제2 용매의 함량이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유동성으로 인하여 도장막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고, 제2 고형분의 저하로 도장막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건조에 장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용매의 함량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5 내지 70 중량%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의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아민계 화합물은 경화제 역할을 하며,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합할 경우, 제1 조성물의 에폭시 수지와 반응하여 불연층(130)이 형성되도록 한다.
아민계 화합물은, 지방산 아민계 폴리머(fatty amine 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방산 아민계 폴리머는 예를 들어, 불포화 지방산과 알코올이 반응하여 지방산 에스테르(fatty ester)를 형성한 뒤, 지방산 에스테르와 트리에틸렌테트라민(Triethylenetetramine, TETA)이 반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방산 아민계 폴리머는 지방산 아민 에스테르(fatty amine ester)로 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불포화 지방산으로 10 내지 20의 탄소수를 갖는 C10 내지 C20의 카르복실산이 사용된다. 불포화 지방산의 탄소수가 10 미만인 경우 지방산 아민 에스테르 형성의 효과가 저하되며, 탄소수가 20을 초과하는 경우 불연층 조성물의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트리에틸렌테르라민(TETA)은 지방산 에스테르와 반응하여 지방산 아민 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아민계 화합물은 에폭시계 조성물로 이루어진 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트리에틸렌테트라민(TETA)은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23069285784-pat00004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민계 화합물은 지방산 에스테르와 상기 화학식 4의 TETA가 반응하여 형성된 지방산 아민 에스테르는 Cas no. 68424-41-9인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민계 화합물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 불연층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불연층(130)의 경화가 지연될 수 있고, 불연층(130)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민계 화합물의 함량이 4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불연층(130)에 크랙 또는 깨짐의 발생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아민계 화합물의 함량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로 조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조성물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의 경화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경화제와 함께 사용되어, 불연층(130)의 경화를 촉진시키는 촉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로 예를 들어, 페놀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페놀 화합물은, 2,4,6-트리스[(N,N-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2,4,6-tris[(N,N-dimethylamino)methyl]phenol)을 포함할 수 있다.
페놀기를 갖는 2,4,6-트리스[(N,N-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TDMAMP)은 촉매로 작용하여 불연층(130)의 경화를 촉진시킨다. 또한, 2,4,6-트리스[(N,N-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은 불연층(130)의 안정성에 기여할 수도 있다.
경화 촉진제의 함량이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미만인 경우, 경화 반응의 촉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경화 촉진제의 함량이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불연층(130)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경화 촉진제의 함량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로 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화 촉진제는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7 중량%의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조성을 갖는 제2 조성물을 "경화제 성분"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이 상기와 같은 함량과 조성을 가지기 때문에, 불연층 조성물이 피도면(10) 또는 프라이머층(120) 상에 도장된 후 하부에서부터 경화가 이루어져, 불연층(130)의 안정성이 증가되고, 경화과정에서 불연층(130)에 크랙이나 깨짐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연층 조성물은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이 필요에 따라 불연층(130) 형성 전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이 2:1 내지 4: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 불연층 조성물에 의해 불연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화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은 2.5:1 내지 4:1의 비율로 혼합된 불연층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고, 2.5:1 내지 3.5:1의 비율로 혼합된 불연층 조성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100)는, 불연층(130)의 어느 일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120)은 불연층(130)과 피도면(1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라이머층(120) 형성 재료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공지의 프라이머 재료가 프라이머층(120) 형성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에스테르 변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등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재료가 프라이머층(120)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100)는, 프라이머층(120) 상에 배치된 퍼티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불연 적층체(100)가 형성되는 피도면(10)은 그 표면이 균일하지 않고, 표면에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오목부(11)는 콘크리트 형성과정 또는 노후화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피도면(10)의 오목부(11)를 메울 수 있도록 퍼티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퍼티부(110) 형성 재료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공지의 퍼티부 재료가 퍼티부(110) 형성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폴리아미도아민 및 다이페닐올 프로페인 다이글리시딜 에테르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에폭시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퍼티부 재료가 퍼티부(110)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퍼티부(110) 재료는 상기 에폭시계 수지, 탄산 칼슘 등을 포함함으로써, 콘크리트와 우수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연 적층체(100)는 10 이하의 불연성 지수(NF Index)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불연성 지수(NF Index)는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되고,
[식 1]
NF Index = (질량감소율 x 온도차) x 100
상기 식 1의 질량감소율 및 온도차는 불연성 시험에 의해 얻어진다. 불연성 지수 계산식에서 질량감소율 및 온도차는 단위를 생략하고 적용된다.
불연성 시험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84호 제23조 제1호 및 제2호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불연성 시험을 위한 시편은 예를 들어, 두께 1mm의 GI 강판 표면에 0.05mm 두께의 불연 적층체(100)를 형성하여 제작하였다.
식 1에서 질량감소율은 불연성 시험 결과에 따른 시편의 질량 변화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시료가 연소된 정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질량감소율이 낮을 수록 화재 발생시에도 불연 적층체(100)의 기능을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편의 질량감소율은 하기 식 2에 따라 계산된다.
[식 2]
질량감소율 = 초기 시편의 질량 - 불연성 시험 후 시편의 질량
식 1에서 온도차는 불연성 시험에서 시편의 최고온도와 최종평형온도와의 온도차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온도차가 작을 수록 화재 발생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시편의 온도차는 하기 식 3에 따라 계산된다.
[식 3]
온도차 = 시편의 최고온도 - 시편의 최종평형온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100)의 불연성 지수가 10 초과인 경우, 불연 적층체(100)의 화재 보호 또는 억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100)는 5 이하의 불연성 지수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조성에 의해 화재에 대한 불연 특성이 우수하고, 피도면과의 부착력,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불연 적층체(10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연 적층체(200)는 불연층(130) 및 프라이머층(120) 사이에 배치된 난연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연 적층체(200)가 불연층(130) 및 프라이머층(120) 사이에 배치된 난연층(140)을 더 포함함으로써, 불연 적층체(200)의 화재에 대한 저항성 및 보호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불연 적층체(200)가 불연층(130) 및 프라이머층(120) 사이에 배치된 난연층(140)을 더 포함하는 경우, 불연 적층체(200)의 난연성 및 불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불연 적층체(200)가 형성된 지역에 화재가 발생시, 화재의 추가적인 발생 또는 확산이 방지 또는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난연층(140)은 예를 들어, 에폭시-노볼락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난연층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난연제는 예를 들어 암모늄 폴리인산염(Amonium polyphosphate, AP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포함하는 난연층 조성물에 의해 난연층(140)이 형성되는 경우, 우수한 셀프레벨링 특성을 지녀 작업성이 우수하고, 우수한 난연성을 지녀 화재 발생시 화재의 확산을 지연시킬 수 있으며, 유독가스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연 적층체(300)는 불연층(130) 및 프라이머층(120) 사이에 배치된 요철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철층(150)은 요철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연 적층체(300)가 불연층(130) 및 프라이머층(120) 사이에 배치된 요철층(150)을 더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어, 요철층(150)의 요철 표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균일한 두께의 불연층(130)이 요철층(15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불연 적층체(300)가 불연층(130) 및 프라이머층(120) 사이에 배치된 요철층(150)을 더 포함하여, 불연 적층체(300)의 불연층(130)이 요철층(150)과 같은 요철 표면 구조을 가지는 경우, 불연층(130) 표면의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불연 적층체(300)가 형성된 피도면 상에 사람 또는 자동차가 지나갈 때, 사람 또는 자동차의 미끄러짐이 방지 또는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철층(150)은 예를 들어, 비스페놀 A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요철층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요철층(150)이 요철 표면 구조를 갖기 위해, 예를 들어, 특수한 형상을 가진 로라가 요철층(150) 형성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포함하는 요철층 조성물에 의해 요철층(150)이 형성되는 경우, 요철층(150) 상에 형성되는 불연층(130)의 주요 구성 요소인 에폭시 수지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소음 발생의 억제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400)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400)에 대한 각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도 4의 제1 영역(410, Ⅰ-Ⅰ')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b는 제2 영역(420, Ⅱ-Ⅱ')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5c는 제3 영역(430, Ⅲ-Ⅲ')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400)는, 제1 영역(410), 제2 영역(420) 및 제3 영역(4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에 따르면, 제1 영역(410)은 퍼티부(110), 프라이머층(120) 및 불연층(130)을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 따르면, 제2 영역(420)은 퍼티부(110), 프라이머층(120), 난연층(140) 및 불연층(130)을 포함는 불연 적층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c에 따르면, 제3 영역(430)은 퍼티부(110), 프라이머층(120), 요철층(150) 및 불연층(130)을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불연 바닥재 구조(400)는 건축물 바닥의 각 영역(410, 420, 430)에 요구되는 각각의 물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불연 적층체들(100, 200, 300)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410)의 경우, 예를 들어 제2 영역(420) 및 제3 영역(430) 이외의 영역에 배치되어, 건축물의 바닥이 외부 환경에 의해 노후화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2 영역(420)의 경우, 예를 들어, 전기차 주차구역 등과 같은 화재 발생에 취약한 곳에 배치되어, 화재의 추가적인 발생 또는 확산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제3 영역(430)의 경우, 예를 들어, 건축물의 차량출입구(401) 또는 지하출입구(402), 코너,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 등에 배치되어, 미끄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영역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400)는 예를 들어, 건축물의 주차장 바닥재 구조로 배치되어 화재 등으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차량 등의 재산 피해 발생을 억제 또는 저감할 수 있다.
이하,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 및 불연 바닥재 도장 공법과 함께 그 적층 도장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의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은, 오목부(11)를 포함하는 피도면(10)을 세척하는 단계, 피도면(10)의 오목부(11)를 퍼티부 조성물로 메꾸어 퍼티부(110)를 형성하는 단계, 피도면 및 퍼티부(110)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20)을 형성하는 단계 및 불연층 조성물을 혼합하고 프라이머층(120) 상에 도포하여 불연층(1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a는 피도면(10)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도면(10) 상에 불연 적층체(100)가 형성될 수 있다. 피도면(10)은 예를 들어,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피도면(10)은 콘크리트의 표면으로 볼 수도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피도면(10)은 그 표면이 균일하지 않고, 표면에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오목부(11)는 콘크리트 형성과정 또는 노후화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은 오목부(11)를 포함하는 피도면(10)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연 적층체(100) 도장을 위해, 먼저 피도면(10)을 세척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불연 적층체(100)가 피도면(10) 상에 형성될 때, 피도면(10)의 표면이 균일한 상태인 것보다, 불연 적층체(100)가 피도면(10)과 밀착될 수 있도록 표면적이 넓은 것이, 피도면(10)과 불연 적층체(100) 사이의 접착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도면(10) 상에 미세 요철이 많이 형성되어 있을수록, 피도면(10)에 대한 불연 적층체(100)의 접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불연 적층체(100)를 도장하기 위한 피도면(10)에 이물질이 많을 경우, 피도면(10) 상에 불연 적층체(100)가 도장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도면(10) 표면에 미세 요철을 형성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불연 적층체(100)와 피도면(1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의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오목부(11)를 포함하는 피도면(10)을 세척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목부(11)를 포함하는 피도면(10)을 세척하는 단계는 그라인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피도면(10)의 이물질은 일반적인 세척 방법으로 제거가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예를 들어, 피도면(10) 상의 기존 방수 도장 등을 제거하고 다시 불연 적층체(100)를 도장하는 재시공의 경우, 일반적인 세척 방법으로 기존 방수 도장을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피도면(10) 상에 형성되어 있는 기존의 도장막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그라인딩에 의해 피도면(10)을 세척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은, 피도면(10)의 오목부(11)를 퍼티부 조성물로 메꾸어 퍼티부(11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형성된 미세 요철의 경우, 도장막 형성으로 메꿀 수 있다. 그러나, 일정한 깊이 이상의 요철에 따라 형성된 오목부(11), 예를 들어, 도장막 두께의 반 이상의 깊이를 갖는 오목부(11)의 경우, 도장막 형성으로 메꾸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오목부(11)를 충분히 메꾸지 않고 그 위에 도장막을 형성하게 되면, 도장막 또한 오목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장막의 오목한 부분은 오염물에 의한 오염이 쉽게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장막의 열화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균일한 도장막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피도면(10)의 오목부(11)를 메울 수 있도록 퍼티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b는 피도면(10)의 오목부(11)에 퍼티부(110)가 배치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도면(10)의 오목부(11)가 퍼티부 조성물에 의해 메꿔진 뒤 경화되어 퍼티부(110)를 형성하면, 균일한 피도면(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퍼티부(110)는, 형성될 수 있는 퍼티부 형상의 한 예시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퍼티부(110)는 피도면(10)의 오목부(11) 형상에 따라 모양 및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퍼티부(110)의 재료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피도면(10)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를 메울 수 있는 재료라면, 제한 없이 도 6b에 도시된 퍼티부(110)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퍼티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및 탄산 칼슘 등을 포함하는 퍼티부 조성물이 퍼티부(110)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퍼티부 조성물이 폴리아미도아민 및 다이페닐올 프로페인 다이글리시딜 에테르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에폭시계 수지, 탄산 칼슘 등을 포함함으로써, 콘크리트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은, 피도면(10) 및 퍼티부(110)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c는 피도면(10) 및 퍼티부(110) 상에 프라이머층(120)이 형성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라이머층(120)은 피도면(10)과 불연층(130) 및 퍼티부(110)와 불연층(13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라이머층(120) 형성 재료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공지의 프라이머 재료가 도 6c에 도시된 프라이머층(120) 형성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스테르 변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등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프라이머층(120)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120)의 두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라이머층(120)은 예를 들어,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은, 불연층 조성물을 혼합하고 프라이머층(120) 상에 도포하여 불연층(1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d는 프라이머층(120) 상에 불연층(130)이 형성된 단면도이다. 도 6d를 참조하면, 프라이머층(120) 상에 불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불연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불연층(1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층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층 조성물을 구성하는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이 혼합되어 불연층 조성물이 제조되고, 불연층 조성물이 프라이머층(120)이 형성된 피도면(10) 상에 도포되어 불연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120) 상에 불연층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페인트 롤러, 페인트 붓, 또는 기계적 도장 장치에 의해 불연층 조성물이 프라이머층(120)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불연층 조성물은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이 2:1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제1 조성물은,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의 에폭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의 금속 산화물, 10 내지 20 중량%의 충진제, 1 내지 10 중량%의 유화제 및 10 내지 50 중량%의 용매를 포함하며, 제2 조성물은,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35 내지 70 중량%의 용매, 30 내지 40 중량%의 아민계 화합물 및 1 내지 10 중량%의 경화 촉진제를 포함한다.
불연층 조성물에 포함된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100) 설명에서 설명된 바,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은 불연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전, 프라이머층(120) 상에 난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난연층(14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20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에 따라 형성된 불연 적층체(200)는 난연층(140)을 더 포함함으로써, 불연 적층체(200)의 내열성 및 불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불연 적층체(200)의 내열성 및 불연성이 향상되면, 예를 들어, 불연 적층체(200)가 형성된 지역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화재의 추가적인 발생 또는 확산이 방지 또는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은 불연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전, 프라이머층(120) 상에 요철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요철층(150)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30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에 따라 형성된 불연 적층체(300)는 요철층(150)을 더 포함함으로써, 불연 적층체(300)의 불연층(130)이 요철층(150)과 같은 요철 표면 구조을 가질 수 있다. 불연층(130)이 요철층(150)과 같은 요철 표면 구조를 가지는 경우, 불연층(130) 표면의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다. 불연층(130) 표면의 마찰력이 증가된 경우, 예를 들어, 불연 적층체(300)가 형성된 피도면(10) 상에 사람 또는 자동차가 지나갈 때, 사람 또는 자동차의 미끄러짐이 방지 또는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도장 공법은 오목부(11)를 포함하는 피도면(10)을 세척하는 단계, 피도면(10)의 오목부(11)를 퍼티부 조성물로 메꾸어 퍼티부(110)를 형성하는 단계, 피도면(10) 및 퍼티부(110)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20)을 형성하는 단계, 프라이머층(120) 상의 일부에 난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난연층(140)을 형성하는 단계, 프라이머층(120) 상의 일부에 난연층(140)과 이격되도록 요철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요철층(150)을 형성하는 단계; 및 난연층(140), 요철층(150) 및 난연층(140)과 요철층(150)이 형성되지 않은 프라이머층(120) 상에, 불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불연층(1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도장 공법은 필요에 따라 건축물 내부의 다양한 부분에 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내부 또는 주차장 바닥 등에 도장되어 시공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도장 공법은 주차장 바닥에 시공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 도장 공법에 따라 불연 바닥재 구조(400)를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구조의 불연 바닥재 구조(40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4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적층체들(100, 200, 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피도면(10)은 그 표면이 균일하지 않고, 표면에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오목부(11)는 콘크리트 형성과정 또는 노후화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도장 공법은 오목부(11)를 포함하는 피도면(10)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연 바닥재 구조(400)를 도장하기 위해, 먼저 피도면(10)을 세척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불연 바닥재 구조(400)가 피도면(10) 상에 형성될 때, 피도면(10)의 표면이 균일한 상태인 것보다, 불연 바닥재 구조(400)가 피도면(10)과 밀착될 수 있도록 표면적이 넓은 것이, 피도면(10)과 불연 바닥재 구조(400) 사이의 접착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도면(10) 상에 미세 요철이 많이 형성되어 있을수록, 피도면(10)에 대한 불연 바닥재 구조(400)의 접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불연 바닥재 구조(400)를 도장하기 위한 피도면(10)에 이물질이 많을 경우, 피도면(10) 상에 불연 바닥재 구조(400)가 도장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도면(10) 표면에 미세 요철을 형성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불연 바닥재 구조(400)와 피도면(1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불연 바닥재 구조 도장 공법의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오목부(11)를 포함하는 피도면(10)을 세척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 도장 공법은 피도면(10)의 오목부(11)를 퍼티부 조성물로 메꾸어 퍼티부(11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표면에 형성된 미세 요철의 경우, 도장막 형성으로 메꿀 수 있다. 그러나, 일정한 깊이 이상의 요철에 따라 형성된 오목부(11), 예를 들어, 도장막 두께의 반 이상의 깊이를 갖는 오목부(11)의 경우, 도장막 형성으로 메꾸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오목부(11)를 충분히 메꾸지 않고 그 위에 도장막을 형성하게 되면, 도장막 또한 오목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도장막의 오목한 부분은 오염물에 의한 오염이 쉽게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장막의 열화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균일한 도장막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피도면(10)의 오목부(11)를 메울 수 있도록 퍼티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퍼티부(110)의 재료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피도면(10)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를 메울 수 있는 재료라면, 제한 없이 퍼티부(110)의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퍼티부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및 탄산 칼슘 등을 포함하는 퍼티부 조성물이 퍼티부(110)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퍼티부 조성물이 폴리아미도아민 및 다이페닐올 프로페인 다이글리시딜 에테르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에폭시계 수지, 탄산 칼슘 등을 포함함으로써, 콘크리트와의 우수한 접착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 도장 공법은 피도면(10) 및 피도면(10)의 오목부(11)에 배치된 퍼티부(110)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120)은 피도면(10)과 난연층(140), 퍼티부(110)와 난연층(140), 피도면(10)과 요철층(150), 퍼티부(110)와 요철층(150), 피도면(10)과 불연층(130) 및 퍼티부(110)와 불연층(130)과의 접착력을 각각 향상시킬 수 있다.
프라이머층(120) 형성 재료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공지의 프라이머 재료가 프라이머층(120) 형성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스테르 변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등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프라이머층(120)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프라이머층(120)의 두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라이머층(120)은 예를 들어, 10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바닥재 구조 도장 공법은 프라이머층(120) 상의 일부에 난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난연층(14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더 높은 불연 및 난연 특성을 가질 필요성이 있는 영역, 예를 들어, 화재 발생에 매우 취약한 주차장의 전기차 주차 영역 및 전기차 충전 영역에 배치되어, 화재의 추가적인 발생 또는 확산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난연층(140)의 두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난연층(140)은 예를 들어, 500 내지 2,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불연 바닥재 구조 도장 공법은 프라이머층(120) 상의 일부에 난연층(140)과 이격되도록 요철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요철층(1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 바닥 전체 중 더 높은 마찰력을 가질 필요성이 있는 영역, 예를 들어, 주차장의 코너,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 등의 영역에 요철층(150)이 더 배치되어, 차량의 미끄러짐을 보호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요철층(150)이 요철 표면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해, 특수한 형상을 가진 로라가 요철층(150) 형성시 사용될 수 있다. 특수한 형상을 가진 로라는 예를 들어, 엠보무늬 로라 또는 벌집무늬 로라가 사용될 수 있다.
요철층(150)의 두께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철층(150)은 예를 들어, 200 내지 1,0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장 바닥재 구조 도장 공법은 난연층(140), 요철층(150); 및 난연층(140)과 요철층(150)이 형성되지 않은 프라이머층(120) 상에, 불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불연층(13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불연층은 난연층(140), 요철층(150) 및 프라이머층(120)을 모두 덮도록 주차장 바닥재 구조 전체에 도포하여 형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불연 적층체(200)가 불연층(130) 및 프라이머층(120) 사이에 형성된 난연층(140)을 더 포함하는 경우, 불연 적층체(200)의 난연성 및 불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불연 적층체(200)의 난연성 및 불연성이 향상된 경우, 예를 들어, 불연 적층체(200)가 형성된 지역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화재의 추가적인 발생 또는 확산이 방지 또는 억제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불연층(130)이 요철층(150) 상에 형성되는 경우, 요철층(150)의 요철 표면 구조에 따라 요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불연층(130)이 요철층(150)과 같은 요철 표면 구조를 가지는 경우, 불연층(130) 표면의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다. 불연층(130) 표면의 마찰력이 증가된 경우, 예를 들어, 불연 적층체(300)가 형성된 피도면(10) 상에 사람 또는 자동차가 지나갈 때, 사람 또는 자동차의 미끄러짐이 방지 또는 억제될 수 있다.
난연층(140)과 요철층(150)이 형성되지 않은 프라이머층(120) 상에 불연층(130)이 형성되는 경우, 불연 특성과 함께 주차장이 외부 환경에 의해 노후화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불연층(130)의 두께는 영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층(120) 상에 난연층(140)이 형성된 제2 영역(420), 요철층(150)이 형성된 제3 영역(430)과 난연층(140) 또는 요철층(150)이 형성되지 않은 제1 영역(410)이 존재하므로, 불연층(130) 전체의 표면이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난연층(140)과 요철층(15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불연층(130)의 두께가 난연층(140)과 요철층(150)이 형성된 영역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 도장 공법을 통해, 순차적으로 적층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 바닥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불연 바닥재 구조(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불연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1의 조성에 따라,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을 각각 형성한 후, 표 1의 혼합비에 따라 제1 조성물과 제2 조성물을 혼합하였다. 표 1에 개시된 각 성분의 함량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


에폭시 수지 25 22 27 25 25 18
금속 산화물 15 18 20 15 15 18
충진재 17 17 7 17 17 17
희석제 3 3 3 3 3 3
용매 40 40 43 40 40 44

2


아민계 화합물 31 33 40 31 45 33
경화 촉진제 3 3 3 3 3 3
용매 66 64 57 66 52 64
혼합비(중량비)
제1조성물:제2조성물
2.5:1 3:1 3:1 5:1 3:1 3:1
에폭시 수지: Cas no. 25036-25-3
아민계 화합물: Cas no. 68424-41-9
<시험예>
상기 표 1에 따라 형성된 불연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불연성 적층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결과는 표 2에 개시되었다.
(1) 불연성 시험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84호 제23조 제1호 및 제2호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불연성 적층체의 불연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불연성 시험을 위한 시편은 두께 1mm의 GI 강판 표면에 0.05mm 두께의 불연 적층체(100)를 형성하여 제작하였다.
불연성 시험을 통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불연성 적층체의 질량감소율 및 온도차를 얻었다. 질량감소율 및 온도차는 하기 식 2 및 식 3에 따라 측정되었다.
[식 2]
질량감소율 = 초기 시편의 질량 - 불연성 시험 후 시편의 질량
[식 3]
온도차 = 시편의 최고온도 - 시편의 최종평형온도
불연성 시험을 위한 시편은 두께 1mm의 GI 강판 표면에 0.05mm 두께의 불연 적층체를 형성하여 제작하였다. (2) 불연성 지수(NF Index) 계산
상기 불연성 시험에 의해 측정된 질량감소율 및 온도차 값을 가지고, 하기 식 1에 따라, 불연성 지수를 계산하였다.
[식 1]
NF Index = (질량감소율 x 온도차) x 100
(3) 내충격 성능(강도)
KS F 4937 : 2019 방법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불연성 적층체의 내충격 성능을 측정하였다.
(4) 부착 성능(접착력)
KS F 4937 : 2019 방법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불연성 적층체의 부착 성능을 측정하였다.
질량감소율
(%)
온도차(℃) 불연성 지수
(NF Indix)
내충격 성능 부착 성능
(N/mm2)
실시예 1 0.01 2.0 2 이상없음 2.9
실시예 2 0.03 1.2 3.6 이상없음 2.7
비교예 1 0.08 2.3 18.4 이상없음 2.3
비교예 2 0.07 2.2 15.4 깨짐 발생 2.0
비교예 3 0.05 1.9 9.5 깨짐 발생 2.1
비교예 4 0.05 2.4 12.0 깨짐 발생 1.2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 1은 충진재가 부족하여 불연 특성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2는 과량의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여 경화가 충분히 발생되지 않았고, 비교예 4는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부족하여 불연 적층체를 구성하는 수지의 함량이 부족하여 불연 특성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 내지 4에 따른 불연층 적층체는 내충격 성능에서 깨짐이 발생하여 강도가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불연 적층체 110: 퍼티부
120: 프라이머층 130: 불연층
140: 난연층 150: 요철층
400: 불연 바닥재 구조

Claims (14)

  1. 불연층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불연층;
    상기 불연층의 어느 일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배치된 퍼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불연층 조성물은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이 2:1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의 에폭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의 금속 산화물;
    10 내지 20 중량%의 충진재;
    1 내지 10 중량%의 희석제; 및
    20 내지 50 중량%의 제1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66 중량%의 제2 용매;
    30 내지 40 중량%의 아민계 화합물; 및
    1 내지 10 중량%의 경화 촉진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매는,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의 나프타;
    1 내지 10 중량%의 탄산 다이메틸;
    6 내지 10 중량%의 크실렌;
    1 내지 10 중량%의 2-뷰톡시에탄올;
    1 내지 10 중량%의 2-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벤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매는,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0 중량%의 크실렌;
    1 내지 10 중량%의 이소부탄올(Isobutanol);
    1 내지 10 중량%의 2-프로판올(2-propanol); 및
    10 내지 20 중량%의 에틸벤젠;
    을 포함하며,
    10 이하의 불연성 지수(NF Index)를 갖는, 불연 적층체:
    여기서, 상기 불연성 지수(NF Index)는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되고,
    [식 1]
    NF Index = (질량감소율 x 온도차) x 100
    상기 식 1의 질량감소율 및 온도차는 불연성 시험에 의해 얻어지고,
    상기 불연성 시험는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2-84호 제23조 제1호 및 제2호에 따라 측정되고,
    상기 질량감소율은 하기 식 2에 따라 계산되고,
    [식 2]
    질량감소율 = 초기 시편의 질량 - 불연성 시험 후 시편의 질량
    상기 온도차는 하기 식 3에 따라 계산된다.
    [식 3]
    온도차 = 시편의 최고온도 - 시편의 최종평형온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옥시란을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 모노머를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지방산 아민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 티타늄(TiO2) 및 산화 알루미늄(Al2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에 배치된 난연층을 더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층은 에폭시-노볼락 수지 및 난연제를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층 및 상기 프라이머층 사이에 배치된 요철층을 더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층은 비스페놀 A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10. 삭제
  11. 오목부를 포함하는 피도면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피도면의 상기 오목부를 퍼티부 조성물로 메꾸어 퍼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피도면 및 상기 퍼티부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불연층 조성물을 혼합하고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도포하여 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불연층 조성물은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이 2:1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의 에폭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의 금속 산화물;
    10 내지 20 중량%의 충진재;
    1 내지 10 중량%의 희석제; 및
    20 내지 50 중량%의 제1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66 중량%의 제2 용매;
    30 내지 40 중량%의 아민계 화합물; 및
    1 내지 10 중량%의 경화 촉진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매는,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의 나프타;
    1 내지 10 중량%의 탄산 다이메틸;
    6 내지 10 중량%의 크실렌;
    1 내지 10 중량%의 2-뷰톡시에탄올;
    1 내지 10 중량%의 2-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벤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매는,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0 중량%의 크실렌;
    1 내지 10 중량%의 이소부탄올(Isobutanol);
    1 내지 10 중량%의 2-프로판올(2-propanol); 및
    10 내지 20 중량%의 에틸벤젠;
    을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난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난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요철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요철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불연 적층체 도장 공법.
  14. 오목부를 포함하는 피도면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피도면의 상기 오목부를 퍼티부 조성물로 메꾸어 퍼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피도면 및 상기 퍼티부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의 일부에 난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난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의 일부에 상기 난연층과 이격되도록 요철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요철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난연층, 상기 요철층 및; 상기 난연층과 상기 요철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불연층 조성물을 도포하여 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불연층 조성물은 제1 조성물 및 제2 조성물이 2:1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의 에폭시 수지;
    10 내지 20 중량%의 금속 산화물;
    10 내지 20 중량%의 충진제;
    1 내지 10 중량%의 유화제; 및
    20 내지 50 중량%의 제1 용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성물은, 상기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66 중량%의 제2 용매;
    30 내지 40 중량%의 아민계 화합물; 및
    1 내지 10 중량%의 경화 촉진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매는, 제1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의 나프타;
    1 내지 10 중량%의 탄산 다이메틸;
    6 내지 10 중량%의 크실렌;
    1 내지 10 중량%의 2-뷰톡시에탄올;
    1 내지 10 중량%의 2-메틸 이소부틸 케톤; 및
    1 내지 10 중량%의 에틸벤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용매는, 제2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0 중량%의 크실렌;
    1 내지 10 중량%의 이소부탄올(Isobutanol);
    1 내지 10 중량%의 2-프로판올(2-propanol); 및
    10 내지 20 중량%의 에틸벤젠;
    을 포함하는,
    불연 바닥재 구조 도장 공법.

KR1020230080944A 2023-06-23 2023-06-23 불연 에폭시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 도장공법 KR102607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944A KR102607218B1 (ko) 2023-06-23 2023-06-23 불연 에폭시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 도장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0944A KR102607218B1 (ko) 2023-06-23 2023-06-23 불연 에폭시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 도장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218B1 true KR102607218B1 (ko) 2023-11-29

Family

ID=88969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0944A KR102607218B1 (ko) 2023-06-23 2023-06-23 불연 에폭시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 도장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2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708A (ko) * 2012-12-18 2015-08-26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단열층 형성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788102B1 (ko) * 2017-06-01 2017-10-19 박현우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 및 부식의 발생을 억제하며 우수한 신장율을 갖는 세라믹메탈계 도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 도장 공법
KR20200085419A (ko) * 2019-01-07 2020-07-15 최시행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및 이의 방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7708A (ko) * 2012-12-18 2015-08-26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단열층 형성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1788102B1 (ko) * 2017-06-01 2017-10-19 박현우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 및 부식의 발생을 억제하며 우수한 신장율을 갖는 세라믹메탈계 도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 도장 공법
KR20200085419A (ko) * 2019-01-07 2020-07-15 최시행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및 이의 방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2860B1 (en) Coating with primer and topcoat both containing polysulfide, epoxy resin and rubber toughener
CN102209762B (zh) 膨胀型组合物
KR101725288B1 (ko) 친환경 수용성 실리콘 아크릴 바닥 코팅제 및 마감재 조성물
JP5779663B2 (ja) 高熱耐性組成物
KR101788541B1 (ko) 방염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친환경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WO2009148656A2 (en) High-temperature non-skid coating composition
US20160168393A1 (en) Intumescent Coating
JPWO2020080148A1 (ja) 準不燃性フェノー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得られた準不燃材料
EP1055714B1 (en) Fire-resistant coating material
KR101115326B1 (ko)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도막의 형성방법 및 난연성을 갖는 에폭시 바닥마감재
RU2635630C2 (ru) Композиция, обладающая высокой теплостойкостью
KR102433567B1 (ko) 3액형 바닥용 초고강도 논슬립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KR101788102B1 (ko) 콘크리트 표면의 균열 및 부식의 발생을 억제하며 우수한 신장율을 갖는 세라믹메탈계 도장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 도장 공법
KR102607218B1 (ko) 불연 에폭시를 이용한 주차장 바닥 도장공법
WO2009013532A2 (en) Coating compositions
JP2008168615A (ja) 防火断熱体
KR102207899B1 (ko) 습윤면에 부착 가능한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랙보수 및 보수보강공법
KR101752385B1 (ko) 습윤면용 경화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
JP4577086B2 (ja) 難燃性床材
KR101753523B1 (ko) 소음 방지 효과가 우수한 바닥 마감재용 에폭시 도료 조성물
KR20190029827A (ko) 난연성 에폭시 바닥 방수재 조성물
US3258032A (en) Coating
KR102405009B1 (ko) 친환경 콘크리트 바닥 마감 공법
KR102215875B1 (ko) 에폭시 도료 조성물
KR101933487B1 (ko) 에폭시실란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변성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를 기재로 하는 2액형 불연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불연성 도막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