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093B1 - 증기 밥 조리기 - Google Patents

증기 밥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093B1
KR102607093B1 KR1020207023429A KR20207023429A KR102607093B1 KR 102607093 B1 KR102607093 B1 KR 102607093B1 KR 1020207023429 A KR1020207023429 A KR 1020207023429A KR 20207023429 A KR20207023429 A KR 20207023429A KR 102607093 B1 KR102607093 B1 KR 102607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vapor
outlet
inlet
machin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3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941A (ko
Inventor
저춘 주
얀롱 마
시옹지에 츄
링첸 위
롱 장
Original Assignee
조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079900.3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19277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376177.5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192799U/zh
Application filed by 조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조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0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증기 밥 조리기는 기계 본체(100) 및 포트(200)를 포함한다. 상기 기계 본체(100)에 증기 발생기가 제공되고 측면에 개방 공간(10)이 제공된다. 기계 헤드(1)는 상기 개방 공간(10)의 최상부에 제공된다. 상기 개방 공간(10)은 상기 포트(200)를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포트(200)는 포트 본체(3) 및 포트 뚜껑(2, 300)을 포함한다. 상기 포트 뚜껑(2, 300)에는 수용부가 제공되어 상기 기계 헤드(1)와 정렬하여 연결된다. 기계 헤드(1)에는 증기 출구(11)가 제공된다. 상기 증기 출구(11)는 상기 증기 발생기와 소통한다. 상기 수용부(4)에는 증기 입구(41, 310)가 제공된다. 상기 증기 출구(11)는 상기 증기 입구(41, 310)와 정렬하여 연결된다. 포트의 회수 및 배치는 개방 공간(10)에 의해 촉진된다. 증기는 기계 헤드(1)의 증기 출구(11)를 통하여 포트 본체(3) 내로 유입된다. 증기는 포트 본체(3) 및 포트 뚜껑(2, 300)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 공간으로 스며들어 상기 조리 공간 내의 무지향성 가열을 구현하고, 포트 본체 내에 균일한 가열을 가능하게 하며, 포트 본체를 가열함으로써 오직 바닥 또는 측면으로부터 야기되는 불균일한 가열의 문제점을 극복한다.

Description

증기 밥 조리기
본 출원은 주방 기구들, 특히 증기 밥 조리기의 기술 분야와 관련된다.
본 출원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아래 두 중국 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1) 2018년 1월 18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증기 밥 조리기"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출원 제201820079900.3
2) 2018년 3월 20일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증기 밥 조리기"라는 명칭의 중국 특허출원 제201820376177.5
종래의 증기 밥 조리기들은 일반적으로 바닥 가열(방열판, 유도 가열) 또는 주변 가열(유도 가열)과 같이 바깥으로부터 내부의 요리 그릇을 가열함으로써 쌀과 죽을 요리하는 기능을 실현하고, 내부 요리 그릇은 열을 흡수하고 쌀이 완전히 요리될 때까지 열을 물과 쌀 내부에 전달한다. 위의 가열 방법에서, 가열된 부분은 내부 요리 그릇과 쌀의 접촉 위치에 집중되기 때문에, 내부 요리 그릇의 다른 영역들에 있는 쌀은 고르게 가열되지 않고, 바닥이 상부보다 더 잘 가열되고, 쌀의 맛에 최종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심보다 내부 요리 그릇의 주변이 더 잘 가열된다. 종래 기술에 증기를 증기 밥 조리기 내로 유입하는 구조들이 있다. 그러나, 증기 밥 조리기들의 전체 구조는 종래 밥 조리기로부터 이어져 내려오고, 이들 대부분은 오직 밥 조리기의 뚜껑 상에 증기 입구를 제공하는 것만 종래 밥 조리기들과 다르다. 내부 요리 그릇을 꺼내서 다시 넣는 것은 예를 들어 내부 요리 그릇을 꺼내기 전에 뚜껑이 열려야 하는 것처럼 여전히 불편하다.
본 출원의 목적은 증기 가열 플랫폼으로 기능하는 기계 본체와 조리용 포트를 구비한 증기 밥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계 본체와 포트 사이의 증기 소통이 용이하고, 밀봉 성능이 좋아, 조리실 내부의 전면 및 3차원 가열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출원에 따라 다음의 기술적 해법들이 제공된다.
증기 밥 조리기는 기계 본체 및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 본체에는 증기 발생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기계 본체에는 측면에 개방 공간이 제공되고, 기계 헤드가 상기 개방 공간의 최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포트는 상기 개방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포트는 포트 본체 및 포트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 뚜껑에는 상기 기계 헤드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수용부가 제공되고, 상기 기계 헤드에는 증기 출구가 제공되고, 상기 증기 출구는 상기 증기 발생 장치와 소통하며, 상기 수용부에는 증기 입구가 제공되고, 상기 증기 출구는 상기 증기 입구와 맞닿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포트는 편리하게 꺼내고 다시 넣을 수 있다. 상기 개방 공간의 최상부와 바닥 사이에서 기계 헤드에 상기 포트의 제한 공간이 형성되므로 포트는 기계 헤드와 바닥 사이에 꽉 압축될 수 있다. 증기가 기계 헤드의 증기 출구를 통해 포트 본체 내로 유입되고, 증기가 포트 본체와 포트 뚜껑에 의해 규정되는 조리실 내에 확산하고, 이는 조리실 내의 전면 및 3차원 가열을 구현하며, 포트 본체는 균일하게 가열되고,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바닥 또는 주변에서만 포트 본체를 가열함으로써 일어난 불균일한 가열의 단점을 극복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 헤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수축할 수 있고, 기계 헤드는 연장하여 증기 출구가 증기 입구에 맞닿도록 허용하고, 기계 헤드는 수축하여 증기 출구를 증기 입구로부터 분리한다. 기계 본체는 증기 가열 플랫폼 역할을 하고, 기계 본체와 포트 사이의 증기 소통은 포트 뚜껑의 수용부와 기계 헤드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를 통해 실현된다. 조리가 필요할 때, 포트는 기계 헤드 아래에 위치하고, 기계 헤드는 포트 내로 증기를 제공하기 위해 작업 위치로 연장하여 증기 출구와 증기 입구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를 완성한다. 조리가 끝나거나 불필요할 때, 기계 헤드는 원래 위치로 수축하고, 포트는 바로 꺼내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기계 본체로부터 분리된 포트는 포트 뚜껑을 가지기 때문에, 그것의 열적 절연 성능이 좋고, 따라서 음식이 가열되지 않고 있다 하더라도 음식의 온도가 빠르게 내려가지 않아 훌륭한 사용자 경험을 이끌어낼 것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밀봉 구조는 증기 출구와 증기 입구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밀봉 구조는 그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가 끝날 때 증기 출구와 증기 입구 사이의 갭을 밀봉한다. 증기 출구와 증기 입구 사이에 제1 밀봉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증기 출구와 증기 입구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가 끝난 후 증기가 새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사용의 안전성과 에너지 효율이 개선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증기 출구와 증기 입구 중 하나는 다른 하나 내에 삽입되어 맞닿는 조인트를 이룰 수 있다. 증기 출구가 증기 입구에 맞닿을 때, 증기 출구와 증기 입구 사이에 갭이 있고, 제1 밀봉 구조는 밀봉을 위해 상기 갭 내에 위치하거나 부분적으로 상기 갭 내로 연장한다. 증기 출구와 증기 입구 중 하나는 다른 하나 내로 삽입되어 맞닿는 조인트를 구현할 수 있고, 이 맞닿는 방식으로, 증기 출구와 증기 입구가 서로 맞닿는 위치는 조절 가능한 삽입 거리로 인해 일정 정도 조절 가능하고, 이는 조리 장치의 적용 가능성과 보편성을 증가시킨다. 게다가, 증기 출구가 증기 입구에 맞닿을 때 상기 갭은 그 두 개의 사이에 제공되고, 제1 밀봉 구조가 밀봉을 위해 상기 갭 내에 위치되거나 상기 갭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제1 밀봉 구조는 증기 출구와 증기 입구가 다른 위치들에서 서로에 맞닿을 때 항상 우수한 밀봉 성능을 보장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장착부가 증기 입구의 일 단부 또는 증기 출구의 일 단부에 제공되고, 제1 밀봉 구조는 상기 장착부에 장착된다. 제1 밀봉 구조를 증기 입구의 단부 또는 증기 출구의 단부에 장착함으로써, 맞닿는 조인트의 시작점(beginning)에서 증기 입구와 증기 출구 사이의 밀봉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시예들 일부에 언급된 바와 같이 증기 입구와 증기 출구가 서로에게 맞닿는 위치가 조절 가능한 경우에, 제1 밀봉 구조의 상기 장착 위치 때문에, 증기 입구와 증기 출구가 서로에게 맞닿는 위치는 더 큰 거리 내에서 조절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 헤드에는 증기 배출 입구가 더 제공되고, 수용부에는 증기 배출 출구가 더 제공된다. 기계 헤드가 수용부에 맞닿을 때, 증기 배출 입구는 증기 배출 출구에 맞닿고 소통한다. 제2 밀봉 구조는 증기 배출 입구와 증기 배출 출구 사이에 제공되고, 제2 밀봉 구조는 그 두 개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가 끝날 때 증기 배출 입구와 증기 배출 출구 사이의 갭을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포트 내의 과잉 증기는 상기 증기 배출 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이는 포트 본체 내에 연속적인 압력 상승을 피할 뿐 아니라 뜨거운 증기의 연속적인 유입을 촉진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밀봉 구조는 증기 배출 입구의 단부와 증기 배출 출구의 단부 중 하나에 장착되는 반면 다른 하나는 플레어부(flared portion)를 형성한다. 기계 헤드가 연장할 때, 제2 밀봉 구조는 증기 배출 입구와 증기 배출 출구 사이의 밀봉을 달성하기 위해 플레어부에 대해 가압된다. 증기 배출 입구와 증기 배출 출구 사이의 밀봉은 제2 밀봉 구조를 가압함으로써 달성되고, 따라서 맞닿는 위치로부터 증기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증기 안내관은 증기 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증기 안내관이 조리를 위해 증기 입구에 조립되는 경우, 증기는 증기 안내관에 의해 안내되어 포트 본체 내의 액체 표면 아래에 들어간다. 증기는 증기 안내관에 의해 안내되어 가열을 위해 포트 본체 내의 액체 표면 아래로 들어가서, 액체는 증기로부터 열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고, 액체 혼합물이 충분히 휘저어지므로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가열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증기 안내관은 그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1 증기 출구 및 그 측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증기 출구들을 포함한다. 상기 두 종류의 증기 출구들은 증기 안내관에 제공된다. 증기는 최상부에서 바닥으로 배출되고, 단부의 제1 증기 출구만이 증기를 배출하는 경우에, 제1 증기 출구의 구멍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액체 표면 아래에 증기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기포가 생성되고, 액체가 증기에 의해 운반된 열을 흡수한 후에 냉기 및 폭발로 인해 기포가 수축되고, 상기 폭발 후 액체 내에서 폭발음이 생성되고, 이는 사용자 경험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제2 증기 출구는 증기 안내관의 측부에 배열되고, 제2 증기 출구는 주요 증기 배출 출구 역할을 한다. 복수의 제2 증기 출구들이 제공되므로, 제2 증기 출구들 각각의 구멍 크기는 더 작다. 다량의 증기가 제2 증기 출구들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제2 증기 출구들로부터 배출된 증기는 액체 내에 더 작은 기포를 형성하고, 따라서 폭발음이 더 작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증기 입구는 포트 뚜껑의 중심부에 위치된다. 증기는 포트 본체 위의 중심부로부터 유입되므로 증기는 균일하게 확산하고, 음식은 더욱 균일하게 가열되며, 조리 성능은 더 좋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포트 본체는 열적으로 절연된 포트 본체다. 열적으로 절연된 포트 본체로, 포트 본체의 열 보존 능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이는 열 손실을 방지하고 에너지를 절약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윤곽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기계 헤드 및 포트 뚜껑을 기계 헤드가 포트 뚜껑에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기계 헤드 및 포트 뚜껑을 기계 헤드가 포트 뚜껑에 맞닿은 상태에서 보여주는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두 개의 교차 단면 중 하나가 회전되는 2개의 교차 단면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도).
도 7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포트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포트 본체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증기 안내관이 제공되는) 포트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안내관이 없는) 증기 밥 조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증기 안내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의 증기 안내관의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법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기술된 실시예는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들의 일부일 뿐이고 실시예들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 명확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창의적인 작업 없이 얻어진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에서 기술적 해법과 기술적 효과를 묘사하기 위해 증기 밥 조리기의 예를 들었다. 물론, 통상의 기술자는 여기의 기술적 해법들은 증기 밥 조리기의 적용에만 제한되지 않고 (증기 조리 가열기로도 알려진) 다른 증기 조리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증기 밥 조리기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증기 밥 조리기는 기계 본체(100) 및 포트(200)를 포함하고, 기계 본체(100)는 증기 가열 플랫폼 역할을 하고, 포트(200)는 쌀과 같이 조리될 음식을 담도록 구성된다. 기계 본체(100)에는 증기 발생 장치(미도시)가 제공된다. 기계 본체(100)에는 측면에 개방 공간(10)이 제공되고, 기계 헤드(1)는 개방 공간(10)의 최상부에 제공되며, 포트(200)는 개방 공간(10)에 위치된다. 포트(200)는 포트 본체(3) 및 포트 뚜껑(2)을 포함하고, 포트 뚜껑(2)에는 기계 헤드(1)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수용부(4)가 제공되고, 기계 헤드(1)에는 증기 출구(11)가 제공되며, 증기 출구(11)는 증기 발생 장치와 소통하고, 수용부(4)에는 증기 입구(41)가 제공되고, 증기 출구(11)는 증기 입구(41)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개방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포트(200)는 편하게 꺼내서 다시 넣을 수 있다. 포트(200)의 제한 공간은 개방 공간(10)의 최상부와 개방 공간(10)의 바닥 사이에서 기계 헤드(1)에 형성되므로, 포트(200)는 기계 헤드(1)와 바닥 사이에서 꽉 가압될 수 있다. 증기가 기계 헤드(1)의 증기 출구(11)를 통해 포트 본체(3) 내로 유입되고, 증기가 포트 본체(3)와 포트 뚜껑(2)에 의해 규정되는 조리실에서 확산하며, 이는 조리실 내의 전면 및 3차원 가열을 구현하고, 포트 본체(3)가 균일하게 가열되므로 오직 바닥 또는 주변에서 포트 본체를 가열함으로써 야기되는 종래 기술의 불균일한 가열의 단점을 극복한다. 한편, 측면에 제공된 개방 공간(10)은 포트(200)의 취급(taking) 및 배치를 용이하게 하고, 다른 한편, 기계 헤드(1)에 개방 공간(10)의 최상부에서 바닥 사이에 형성되는 포트(200)의 제한 공간은 포트(200)가 기계 헤드(1)와 바닥 사이에서 꽉 가압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공간(10)의 높이는 개방 공간(10)의 외측으로부터 기계 헤드(1)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그러한 배열은 측면으로부터 포트(200)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포트(200)가 시야에서 바로 기계 헤드(1) 아래에 정확하게 위치되는지 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므로, 사용자의 작동 경험을 향상시킨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증기 밥 조리기가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증기 출구(11)는 증기 입구(41)와 맞닿을 수 있어서, 증기를 포트 본체 내로 유입하며; 증기 밥 조리기가 조리하지 않는 경우, 증기 출구(11)는 증기 입구(41)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서, 포트(200)의 취급 및 배치를 구현한다.
또한, 기계 헤드(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고 수축할 수 있고, 기계 헤드(1)는 포트(200)와 연결되어 포트(200)에 증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기계 헤드(1)는 연장하여 증기 출구(11)가 증기 입구(41)와 맞닿도록 허용한다. 조리가 필요할 때, 포트(200)는 기계 헤드(1) 아래에 위치되고, 기계 헤드(1)는 작업 위치(일반적으로, 기계 헤드(1)가 내려간다)로 연장하여 포트(200)에 증기를 제공하기 위해 증기 출구(11)와 증기 입구(41) 사이에 맞닿는 조인트를 완성한다. 수용부(4)는 포트 뚜껑(2)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증기 입구(41)도 포트 뚜껑(4)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증기가 포트 본체(3) 위의 중심부로부터 유입되고, 따라서 증기가 균일하게 확산하고, 음식은 더욱 균일하게 가열되며, 이에 의해 조리 성능은 더 우수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밀봉 구조(5)가 증기 출구(11)와 증기 입구(41) 사이에 제공된다. 제1 밀봉 구조(5)는 밀봉 링과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밀봉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밀봉 구조(5)는 증기 출구(11)와 증기 입구(41)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가 끝날 때(도 5 참조) 증기 출구(11)와 증기 입구(41) 사이의 갭을 밀봉하여, 증기 출구(11)와 증기 입구(41)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가 끝난 후 증기 누설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의 안전성과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다.
조리가 끝났거나 필요하지 않을 때, 기계 헤드(1)는 되돌아가고(일반적으로, 기계 헤드(1)가 올라간다), 기계 헤드(1)는 포트 뚜껑(2)으로부터 출발하고, 포트(2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바로 꺼내고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기계 본체(100)로부터 분리된 포트(200)가 포트 뚜껑(2)을 가지기 때문에 그것의 열적 절연 성능은 우수하고, 따라서 음식이 가열되고 있지 않더라도 음식의 온도는 빠르게 감소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포트는 테이블에서 직접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음식을 가지고 오기 위해 걸어다닐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경험이 훌륭하다.
기계 헤드(1)의 연장 및 수축은 전기 푸시 로드, 스크류 구동 구조, 랙앤피니언 구동 구조, 유압 실린더 구동 구조, 에어 실린더 구동 구조 등과 같은 이동을 실현할 수 있는 구동 방식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 구동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이 실시예에 사용되고, 기계 헤드(1)의 연장 및 수축은 모터, 스크류 로드 및 스크류 너트로 구성되는 구동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 헤드(1)는 포트 뚜껑(2)을 포트 본체(3)에 대해 가압하기 위해 증기 출구(11)가 증기 입구(41)에 맞닿은 후에 수용부(4)에 대해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즉, 작업 위치까지 연장할 때, 기계 헤드(1)는 수용부(4) 상에 하향 압력을 적용하고, 포트 뚜껑(2)은 압력에 의해 포트 본체(3)에 대해 가압되고, 이에 의해 포트 뚜껑(2)과 포트 본체(3) 사이의 밀착(close fit)을 보장하는 한편, 전체 포트(200)는 압력에 의해 고정되고 따라서 포트(200)가 조리 과정동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수용부(4)가 포트 뚜껑(2)의 중심부에 위치되는 경우, 포트 뚜껑(2)에 의해 포트 본체(3)에 가해지는 힘은 편차 없이 균일하다.
도 3과 4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증기 출구(11)와 증기 입구(41) 중 하나는 맞닿는 조인트를 구현하기 위해 다른 하나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증기 출구(11)가 증기 입구(41)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이후 설명을 위한 예시로 사용된다. 삽입에 의해 맞닿는 조인트를 실현하는 것의 장점은 삽입 거리가 조절 가능하기 때문에 증기 출구(11)와 증기 입구(41)가 서로 맞닿는 위치는 일정 정도 조절 가능하고, 이는 조리 장치의 적용 가능성 및 보편성을 증가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증기 출구(11)가 증기 입구(41) 내로 삽입된 후, 즉 증기 출구(11)가 증기 입구(41)에 맞닿고 있을 때 증기 출구(11)와 증기 입구(41) 사이에는 갭(6)이 있다. 갭(6)은 증기 출구(11)의 외표면과 증기 입구(41)의 내표면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제1 밀봉 구조(5)는 갭(6) 내에 위치하거나 갭(6)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하여 갭(6)을 밀봉하고, 이는 증기 출구(11)와 증기 입구(41)가 다른 위치들에서 서로에 맞닿을 대 항상 우수한 밀봉 성능을 보장한다. 제1 밀봉 구조(5)가 갭(6)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해법은 이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갭(6) 내로 연장하는 제1 밀봉 구조(5)의 일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섹션(51)을 의미한다. 상기 연장 섹션(51)은 밀봉 과정동안 압착되고 변형되어 밀봉 역할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착부(43)는 증기 입구(41)의 단부 또는 증기 출구(11)의 단부에 제공되고, 제1 밀봉 구조(5)는 장착부(43)에 장착된다. 제1 밀봉 구조(5)를 증기 입구(41)의 단부 또는 증기 출구(11)의 단부에 장착함으로써, 증기 입구(41)와 증기 출구(11) 사이의 밀봉이 맞닿는 조인트의 시작점에서 달성될 수 있다. 도 3과 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장착부(43)는 증기 입구(41)의 단부에 제공되고, 즉, 제1 밀봉 구조(5)가 증기 입구(41)의 단부에 장착되고, 장착부(43)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단차 구조일 수 있다. 기계 헤드(1)는 많은 구조들을 가지고 센서들의 설치와 관련되기 때문에, 제1 밀봉 구조(5)는 증기 입구(41)의 단부에 장착되고, 이는 기계 헤드(1) 상에 밀봉 구조들의 설치를 줄이고, 따라서 기계 헤드(1)의 다른 중요한 구조들을 위한 충분한 장착 공간을 유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제1 밀봉 구조(5)를 위해, 증기 출구(11)가 삽입되기 전에, 연장 섹션(51)이 수평으로 그리고 안쪽으로 증기 입구(41)를 향해 뻗는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증기 출구(11)가 삽입될 때, 연장 섹션(51)은 아래로 가압되고, 연장 섹션(51)은 증기 입구(41)와 증기 출구(11) 사이의 갭(6) 내로 가압된다. 증기 출구(1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밀봉 구조(5)는 증기 출구(1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빗각 안내 표면을 가진다.
밀봉 구조는 일반적으로 삽입, 바인딩(binding) 등과 같은 방법들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밀봉 구조(5)는 바람직하게는 가압 연결 방법에 의해 장착된다. 도 3과 5를 참조하면, 가압 연결 구조(7)가 더 제공된다. 가압 연결 구조(7)는 장착부(43)에 장착되고, 제1 밀봉 구조(5)는 가압 연결 구조(7)와 장착부(43)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밀봉 구조(5)는 가압 연결 구조(7)에 의해 장착부(43)에 대해 가압되어 고정되고, 제1 밀봉 구조(5)의 설치는 가입 연결 구조(7)로 인해 더 신뢰성이 높다. 가압 연결 구조는 슬리브형 구조일 수 있고, 제1 밀봉 구조(5)는 슬리브형 구조를 끼움으로써 장착부(43) 상에 고정되며, 제1 밀봉 구조(5)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가압 연결 구조(7)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설치 방법은 가압 연결 구조(7)의 조립과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세척을 위한 제1 밀봉 구조(5)의 전체적인 해체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밀봉 구조(5)는 증기 입구(41)의 단부에 장착되고, 증기 밥 조리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포트 뚜껑(2)은 자유 부분이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부딪힘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가압 연결 구조(7)가 제1 밀봉 구조(5)를 부분적으로 보호함으로써 포트 뚜껑(2)이 떨어질 때 제1 밀봉 구조(5)에 대한 부딪힘 발생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과 6을 참조하면, 기계 본체(100)에 증기 재순환 장치(미도시)가 추가로 제공되고, 기계 헤드(1)에 증기 재순환 장치와 소통하는 증기 배출 입구(12)가 더 제공된다. 이에 대응하여, 수용부(4)에 증기 배출 출구(42)가 더 제공되고, 증기 배출 입구(12)는 기계 헤드(1)가 수용부(4)에 맞닿을 때 증기 배출 출구(42)에 맞닿아 소통한다. 유입된 가열 증기와 가열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가 방 내로 직접 배출되면, 목재 가구와 기타 전기 도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증기 재순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증기는 재순환되고, 이는 증기가 방 공기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증기가 외부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한다. 또한, 증기 배출 입구(12)가 기계 헤드(1)에 제공되고, 증기 배출 출구(42)가 수용부(4)에 제공되며, 이는 기계 본체(100)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증기 배출 과정동안 증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제2 밀봉 구조(8)나 증기 배출 입구(12)와 증기 배출 출구(42) 사이에 제공되고, 제2 밀봉 구조(8)는 둘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가 끝날 때 증기 배출 입구(12)와 증기 배출 출구(42) 사이의 갭을 밀봉하도록 구성되므로, 증기 누설 없이 조리를 달성한다. 제2 밀봉 구조(8)는 밀봉 링일 수도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3과 5를 참조하면, 제2 밀봉 구조(8)는 증기 배출 입구(12)의 단부와 증기 배출 출구(42)의 단부 중 하나에 장착되는 반면, 다른 하나는 플레어부(44)를 형성한다. 제2 밀봉 구조(8)가 증기 배출 입구(12)의 단부에 장착되고 증기 배출 출구(42)가 플레어부(44)를 형성하는 경우가 이후 설명을 위한 예시로 사용된다. 제2 밀봉 구조(8)는 제2 밀봉 구조(8)가 도면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2와 5를 참조하면, 기계 헤드(1)가 아래로 연장할 때, 기계 헤드(1)는 제2 밀봉 구조(8)를 통해 플레어부(44)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증기 배출 입구(12)와 증기 배출 출구(42) 사이의 밀봉을 달성한다. 밀봉 과정은 가압 과정이고, 기계 헤드(1)는 가압력의 도움으로 포트 본체(3)에 대해 포트 뚜껑(2)을 꽉 가압할 수 있고, 전체 포트(200)가 가압되고 고정되어 포트(200)가 조리 과정동안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밀봉 구조(8)를 플레어부(44)에 대해 정확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도 5를 참조하면, 안쪽으로 수축되는 빗각 안내부(81)는 제2 밀봉 구조(8)의 하부에 제공된다. 빗길 안내부(81)는 기계 헤드(1)가 내려갈 때 제2 밀봉 구조(8)를 플레어부(44) 내로 정확하게 안내하여, 증기 배출 출구(42)의 모서리에 대해 직접적으로 가압되고 제2 밀봉 구조(8)의 이탈에 의해 야기되는 제2 밀봉 구조(8)의 손상을 피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제2 밀봉 구조(8)는 압력을 견디도록 요구되기 때문에, 가압되기 위해 노출될 필요가 있다. 제2 밀봉 구조(8)가 포트 뚜껑(2)에 장착되면 포트 뚜껑(2)이 임의의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심지어 사용 중에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노출된 제2 밀봉 구조(8)가 부딪히거나 부러질 가능성이 더 높다. 제2 밀봉 구조(8)를 기계 헤드(1)에 장착함으로써, 제2 밀봉 구조(8)의 우연한 부딪힘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출구(42)와 증기 배출 입구(12)가 서로 맞닿기 전에 증기 입구(41)와 증기 출구(11)가 서로 맞닿는다. 증기 입구(41)와 증기 출구(11)가 먼저 서로에 대해 맞닿도록 함으로써, 가열을 위한 증기의 누설이 방지되고, 따라서 조리 및 가열의 효율이 영향받지 않는다. 여기서, 먼저 맞댄다는 것은 증기 입구(41)와 증기 출구(11)가 서로 맞닿은 후에 맞닿는 조인트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증기 입구(41)와 증기 출구(11)의 위치는 조절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위치 조절은 위 실시예들 중 일부에서 언급된 삽입 연결 방법에서, 또는 증기 입구(41) 및/또는 증기 출구(11) 자신들이 탄성 또는 확장성을 가지는 경우에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증기 배출 출구(42)와 증기 배출 입구(12) 사이의 제2 밀봉 구조(8)가 두 가지에 의해 가압되어 밀봉을 달성하는 상기 실시예들에 언급된 경우로, 증기 배출 출구(42)와 증기 배출 입구(12)가 서로 맞닿는 위치의 조절 가능성은 낮고, 따라서 증기 배출 출구(42)와 증기 배출 입구(12)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가 끝날 때 기계 헤드(1)의 연장도 끝난다. 우선 증기 입구(41)와 증기 출구(11)가 서로 맞닿도록 허용함으로써, 기계 헤드(1)의 연장이 끝날 때 증기 입구(41)와 증기 출구(11)가 절대적으로 맞닿는 조인트 상태에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고, 이는 전체 기계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조리 장치의 경우, 포트(200)는 음식을 담도록 구성되고, 세척을 위해 빈번하게 꺼낼 필요가 있다. 포트(200)의 단면이 대부분 원형이기 때문에, 포트(200)가 기계 헤드(1) 바로 아래에 위치될 때, 포트(200)는 사용자가 식별하기 어려운 특정 위치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두 개의 다른 증기 경로의 편리한 연결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도 7을 참조하면,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증기 배출 출구(42)는 증기 입구(41)를 중심에 둠으로써 증기 입구(41)를 둘러싸도록 배열되고, 제2 밀봉 구조(8)는 증기 출구(11)를 중심에 둠으로써 증기 출구(11)를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위의 둘러싸는 배열로, 기계 헤드(1)와 수용부(4)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는 포트(200)의 회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고, 사용자는 오로지 포트(200)가 기계 헤드(1) 바로 아래에 위치되는 것만 필요로 한다. 작동은 편리하고, 사용자 경험은 우수하다.
증기 가열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 출원에 뒤따르는 개선점들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8과 9를 참조하면, 증기 밥 조리기와 같은 증기 가열 조리 기구는 기계 본체(100), 포트 본체(3), 및 포트 본체(3)에 덮인 포트 뚜껑(300)을 포함한다. 도 8 내지 14에서 볼 수 있듯이 포트 본체(3)와 포트 뚜껑(300)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본체는 또한 기계 본체(100)의 측면 개방 공간에 위치되고, 기계 헤드는 개방 공간의 최상부에 제공되며, 위에 설명된 수용부도 제공된다. 증기 발생 장치(400)는 기계 본체(100) 내에 제공되고, 증기 입구(310)와 증기 배출 출구(340)는 포트 뚜껑(300) 안에 제공되며, 증기 안내관(500)은 증기 입구(3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증기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증기는 조리를 위한 증기 안내관을 통해 포트 본체에 들어간다. 증기는 조리를 위한 증기 안내관(500)를 통해 포트 본체 내로 안내되어 충분한 열교환을 할 수 있으며, 이는 유입된 증기가 충분한 열교환 없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가열 효율에 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게는, 조리실은 포트 뚜껑(300)과 포트 본체(3)에 의해 정의되고, 증기 안내관은 포트 뚜껑의 중앙 영역에 위치된다. 증기 입구로부터 들어가는 증기는 증기 안내관을 통해 조리실 내로 유입된다. 증기 안내관이 포트 뚜껑의 중앙 영역에 위치되기 때문에, 증기 안내관에 의해 배출되는 증기는 먼저 아래로 흘러 음식과 접촉하고, 전면으로 확산하며, 그 후 위로 확산하고, 마지막으로 증기 배출 출구로부터 배출되어, 증기에 의해 조리실 내에서 대류가 형성되고, 이는 조리 성능을 향상시키고, 따라서 증기만에 의해 음식을 직접적으로 가열함으로써 조리를 실현한다.
또한, 증기의 증기 배출 출구 방향 이동 동안, 증기의 일부는 증기의 관성 및 배출된 증기의 공기흐름 방해 때문에 증기 배출 출구를 우회하여 증기 입구로 흐르고, 마지막으로 들어오는 증기와 함께 다시 대류 순환에 참여함으로써 열적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증기 가열 조리 기구에는 적어도 제1 조리 모드 및 제2 조리 모드가 제공된다. 제1 조리 모드에서, 증기 안내관(500)은 증기 입구로부터 분리되고, 증기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증기는 조리를 위한 증기 입구를 통해 포트 본체로 들어간다. 제2 조리 모드에서, 증기 안내관(500)은 증기 입구(310)와 조립되고, 증기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된 증기는 조리를 위한 증기 안내관을 통해 포트 본체로 들어간다.
분리 가능한 증기 안내관(500)은 증기 입구(310)에 배열되고, 증기를 최대한 사용할 수 있도록 특정 조리 모드에 따라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증기 안내관이 증기 입구에 장착되는 경우에, 증기 안내관의 증기 출구는 포트 본체의 하부 영역까지 연장되고, 증기가 포트 본체로부터 하부 영역에 도달할 때, 증기의 일부가 포트 본체에 담긴 액체에 의해 흡수되고, 증기의 다른 부분은 포트 본체의 상부 영역까지 다시 올라오며, 이는 증기에 의해 운반된 가열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하게 한다. 증기 안내관이 증기 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증기는 증기 입구로부터 포트 본체 내로 유입되고, 증기는 포트 본체의 상부 영역으로부터 포트 본체의 하부 영역 내로 천천히 흐르며, 증기가 최상부에서 바닥까지 천천히 확산하므로 증기에 의해 운반된 가열 에너지에 의해 조리를 실현한다.
제1 조리 모드와 제2 조리 모드는 두 개의 다른 조리 모드이다. 제1 조리 모드에서, 증기는 오직 요리를 위한 열 전도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이는 특히 밥 조리 모드이다. 제2 조리 모드에서, 조리 시간을 줄이기 위해 액체 혼합물이 휘저어질 필요가 있고, 이는 특히 죽 조리 모드이다. 증기 안내관이 조리 모드들과 연동되어 사용되므로, 보다 정확한 조리를 만들고, 조리 품질을 향상시킨다. 물론, 밥 조리 모드에서, 포트 본체 내에 쌀과 물이 섞여 있기 때문에 증기 안내관은 여전히 조리를 위해 조립될 수 있고, 증기 안내관(500)은 증기가 포트 본체 내의 액체 표면 아래로 들어가도록 안내한다.
증기 안내관이 조리를 위한 증기 입구에 조립될 때, 즉 제2 조리 모드에서, 증기 안내관(500)은 포트 본체 내의 액체 표면 아래로 증기가 들어가도록 안내한다. 제2 조리 모드는 고체-액체 혼합물을 위한 조리 모드,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죽 조리 모드로 정의된다. 증기 안내관의 증기 출구는 액체 표면 아래에 배열되어, 증기 안내관의 바깥으로 흐르는 증기가 액체 표면 아래에서 나온 후 배출되도록 보장한다. 가열 증기 및 액체는 열교환을 달성하기 위해 완전히 접촉하여 액체 가열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증기 안내관의 증기 출구는 1 cm에서 3cm까지(도 9의 d1 참조) 액체 표면 아래에 위치한다. 증기 안내관의 증기 출구가 1cm보다 작은 거리만큼 액체 표면 아래에 있다면, 유입된 증기가 너무 빠른 경우에, 액체 표면이 배출된 증기에 의해 충격을 받아 증기 출구의 액체가 흩어지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증기 배출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는 액체와 완전히 접촉할 수 없어 조리가 느려진다. 증기 안내관의 증기 출구가 3cm보다 더 큰 거리만큼 액체 표면 아래에 있다면, 증기는 액체 표면 아래에 다량의 기포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기포는 액체 표면 아래로부터 상승하여 액체 표면 위로 터져서 포트 액체 표면 위의 포트 본체의 내벽에 조리될 다량의 음식이 들러붙게 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준다.
증기 안내관의 특정 조립 구조가 이 해법으로 추가 제공된다.
도 10, 11 및 12를 참조하면, 포트 본체(3)의 바닥을 향해 연장하는 안내부(320)가 증기 입구(310)에 제공되고, 증기 안내관의 일 단부가 안내부(320)에 조립된다. 일반적으로, 증기 입구(310)는 포트 뚜껑(300)에 직접적으로 형성되는 관통공이고, 증기 안내 파이르를 관통공에 직접 조립하는 것은 불편하다. 연장 안내부(320)가 증기 입구에 제공되고, 안내부는 증기 안내관의 조립 부품으로 사용된다. 안내관(320)은 증기 입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패스너에 의해 증기 입구에 고정될 수 있다.
증기 안내관은 강력 맞춤 구조(tight fitting structure), 회전 연결 구조 또는 자성 구조와 같은 방법들 중 하나로 안내부에 고정되며, 증기 안내관이 안내부에 조립되는 위치에서 증기 안내관의 직경이 안내부의 하부의 직경보다 크거나 같다.
강력 맞춤 구조, 회전 연결 구조 및 자성 구조는 종래 조립의 주요 구조다. 위의 조립 구조로 증기 안내관을 쉽게 분해할 수 있다. 강력 맞춤(tight fiting)이 사용되는 경우, 안내관(320)은 호스일 수 있고, 증기 안내관은 스퀴징(squeezing)에 의해 안내관에 조립된다. 회전 연결 구조와 자성 구조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경우, 안내관(320)은 분해가 용이하도록 스냅 구조 또는 홈이 상응하게 제공되는 경질 파이프일 수 있다.
장기간 사용 시 증기 안내관이 증기 안내관과 안내관 사이의 연결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증기의 배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안내부의 단부 모서리를 코팅하도록 구성되는 밀봉 조립체(330)가 추가로 제공된다. 밀봉 조립체는 모든 증기를 증기 안내관 내로 안내한다. 증기 안내관(500)은 밀봉 조립체(330)에 끼워지고, 증기 안내관의 내벽은 밀봉 조립체의 가장 큰 외벽과 강력히 맞춰진다.
또한, 도 13과 14를 참조하면, 증기 안내관(500)은 그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1 증기 출구(510) 및 그 측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증기 출구들(520)을 포함한다. 위의 두 종류의 증기 출구들은 증기 안내관에 제공된다. 증기는 최상부에서 바닥으로 배출되며, 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단부에 제1 증기 출구만 제공되는 경우, 제1 증기 출구의 구멍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증기에 의해 액체 표면 아래에 비교적 큰 기포가 발생하고, 액체가 증기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흡수한 후에는 냉기 및 폭발 때문에 기포가 수축되고 파열 후 액체에서 터지는 소리가 발생하여 사용자 경험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제2 증기 출구는 증기 안내관의 측면부에 배치되고, 제2 증기 출구는 주요 증기 배출 출구 역할을 한다. 복수의 제2 증기 출구들이 제공되기 때문에, 제2 증기 출구들 각각의 기공 크기는 더 작다. 제2 증기 출구들로부터 다량의 증기가 배출되고, 제2 증기 출구들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는 액체 내에 더 작은 기포들을 형성하고, 따라서 터지는 소리는 더 작다.
제2 증기 출구(520)는 머플링 홀이고, 상기 머플링 홀은 제1 증기 출구(510)로부터 멀리 있고, 상기 머플링 홀은 증기 안내관의 관벽을 둘러싸고 관통한다.
제2 증기 출구는 제1 증기 출구에서 멀어지도록 배치되고, 제2 증기 출구는 관벽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관벽의 주위 측면으로부터 배출되도록 대부분의 증기를 안내하기 편리하므로, 배출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증기의 작은 부분은 제1 증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더라도, 제1 증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감소하기 때문에 액체에 형성되는 거품이 그에 따라 적어진다. 즉, 본 출원에서 제2 증기 출구(520)는 머플링 홀이다.
또한, 역흡입 방지 구멍(530)이 증기 안내관의 중상부에 제공되고, 역흡입 방지 구멍은 제2 증기 출구로부터 떨어져 있다. 조리 과정동안, 증기는 연속적으로 액체 내로 유입되어 액체 내 압력은 증기 안내관 내 압력보다 더 높다. 증기 공급이 차단되면, 액체 내 압력은 증기 안내관 내 압력보다 더 크기 때문에, 액체는 바닥에서부터 증기 안내관 내로 흐를 것이다. 증기 안내관의 중상부에 역흡입 방지 구멍을 마련함으로써 유입액이 역흡입 방지 구멍에서 배출되어 증기 안내관을 통해 증기 입구로 제한없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포트 뚜껑의 오염을 방지한다.
길이 방향으로, 역흡입 방지 구멍(530)의 하단부와 제 2 증기 출구(520)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d2)는 10mm 내지 50mm이다. 이 해법에서, 역흡입 방지 구멍과 제2 증기 출구 사이의 거리 관계가 정의된다. 역흡입 방지 구멍의 하단부와 제2 증기 출구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10mm 미만이면, 액체가 바닥에서 증기 안내관 내로 흘러 들어감에 따라 완충력이 있기 때문에 역흡입 방지 구멍이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시간이 충분하지 않고, 액체가 여전히 증기 안내관에서 증기 입구로 흘러 포트 뚜껑의 오염을 야기한다. 역흡입 방지 구멍의 하단부와 제2 증기 출구의 상단부 사이의 거리가 50mm보다 더 크면, 이 거리는 너무 크고, 이 경우 증기 안내관이 더 길어야 하며, 포트 본체는 더 높아야한다; 또한, 증기 안내관으로 흐르는 액체는 50mm를 넘지 않을 것이고, 즉, 역흡입 방지 구멍을 제공하는 구조는 역흡입 방지 효과를 갖지 않는다.
위의 증기 안내관은 경질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경질 플라스틱은 증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고, 증기 안내관의 굽힘은 증기의 배출에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증기 안내관이 액체에 삽입되어 딱딱한 물체와 접촉한 후 증기 안내관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게다가, 증기 안내관에 의해 형성된 증기관의 단면은 최상부에서 바닥까지 동일한 지름을 가지므로 증기 순환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다.
포트 본체는 열적으로 절연된 포트 본체다. 열적으로 절연된 포트 본체로, 포트 본체의 열 보존 능력이 증기 가열 방법 또는 다른 가열 방법들과 무관하게 향상되므로 열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고, 이로써 에너지를 절약한다.
상기 실시예들의 증기 밥 조리기는 바람직하게는 쌀을 조리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실시예들의 구조적 특징들은 모순이 없는 경우 다른 실시예들을 얻기 위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창의적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획득된 새로운 실시예들은 또한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해야 한다.
100 기계 본체 10 개방 공간
200 포트 1 기계 헤드
11 증기 출구 12 증기 배출 입구
2, 300 포트 뚜껑 320 안내부
330 밀봉 조립체 3 포트 본체
4 수용부 41, 310 증기 입구
42, 340 증기 배출 출구 43 장착부
44 플레어부 5 제1 밀봉 구조
51 연장 섹션 6 갭
7 가압 연결 구조 8 제2 밀봉 구조
81 빗각 안내부 400 증기 발생 장치
500 증기 안내관 510 제1 증기 출구
520 제2 증기 출구 530 역흡입 방지 구멍

Claims (10)

  1. 증기 밥 조리기로서,
    기계 본체 및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 본체에는 증기 발생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기계 본체에는 측면에 개방 공간이 제공되고, 기계 헤드는 상기 개방 공간의 꼭대기에 제공되고, 또한 상기 포트는 상기 개방 공간 내에 위치되며,
    상기 포트는 포트 본체 및 포트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포트 뚜껑에는 상기 기계 헤드에 맞닿도록 구성되는 수용부가 제공되고,
    상기 기계 헤드에는 증기 출구가 제공되고, 상기 증기 출구는 상기 증기 발생 장치와 소통하며, 상기 수용부에는 증기 입구가 제공되고, 상기 증기 출구는 상기 증기 입구와 맞닿도록 구성되며,
    증기 안내관은 상기 증기 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증기 발생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증기는 조리를 위해 상기 증기 안내관을 통해 상기 포트 본체에 들어가고, 상기 증기 안내관은 상기 포트 뚜껑의 포트 뚜껑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복수의 제2 증기 출구들은 상기 증기 안내관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포트 본체 내의 증기가 상기 기계 헤드 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기계 헤드에는 증기 배출 입구가 더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증기 배출 출구가 더 제공되고, 상기 기계 헤드가 상기 수용부에 맞닿는 경우 상기 증기 배출 입구가 상기 증기 배출 출구에 맞닿고 소통하며,
    상기 증기 안내관의 중상부에 역흡입 방지 구멍이 제공되고, 상기 역흡입 방지 구멍은 상기 제2 증기 출구에서 이격되는,
    증기 밥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헤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및 수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계 헤드는 연장하여 상기 증기 출구가 상기 증기 입구와 맞닿게하고, 또한 상기 기계 헤드는 수축하여 상기 증기 출구가 상기 증기 입구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증기 밥 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밀봉 구조가 상기 증기 출구와 상기 증기 입구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밀봉 구조는 상기 증기 출구와 상기 증기 입구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가 끝날 때 상기 증기 출구와 상기 증기 입구 사이의 갭을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밥 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출구와 상기 증기 입구 중 하나가 나머지 하나 내로 삽입되어 상기 맞닿는 조인트를 이루고, 상기 갭은 상기 증기 출구가 상기 증기 입구에 맞닿을 때 상기 증기 출구와 상기 증기 입구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밀봉 구조는 상기 갭 내에 위치되거나 상기 갭 내로 부분적으로 연장하여 상기 갭을 밀봉하는,
    증기 밥 조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제2 밀봉 구조가 상기 증기 배출 입구와 상기 증기 배출 출구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제2 밀봉 구조는 상기 증기 배출 입구와 상기 증기 배출 출구 사이의 맞닿는 조인트가 끝날 때 상기 증기 배출 입구와 상기 증기 배출 출구 사이의 갭을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밥 조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안내관이 조리를 위해 상기 증기 입구에 조립되는 경우 상기 증기 안내관은 증기가 상기 포트 본체 내의 액체 표면 아래로 들어가게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증기 밥 조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안내관은 상기 증기 안내관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제1 증기 출구를 포함하는,
    증기 밥 조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입구는 상기 포트 뚜껑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증기 밥 조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본체는 열적으로 절연된 포트 본체인,
    증기 밥 조리기.
  10. 삭제
KR1020207023429A 2018-01-18 2019-01-17 증기 밥 조리기 KR102607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079900.3U CN208192771U (zh) 2018-01-18 2018-01-18 一种蒸汽加热烹饪器具
CN201820079900.3 2018-01-18
CN201820376177.5U CN208192799U (zh) 2018-03-20 2018-03-20 一种蒸汽烹饪装置
CN201820376177.5 2018-03-20
PCT/CN2019/072107 WO2019141207A1 (zh) 2018-01-18 2019-01-17 一种蒸汽烹饪饭煲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941A KR20200106941A (ko) 2020-09-15
KR102607093B1 true KR102607093B1 (ko) 2023-11-28

Family

ID=6730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3429A KR102607093B1 (ko) 2018-01-18 2019-01-17 증기 밥 조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05911B2 (ko)
KR (1) KR102607093B1 (ko)
TW (1) TWI791083B (ko)
WO (1) WO2019141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8151B2 (en) 2017-08-09 2022-03-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212788226U (zh) 2019-02-25 2021-03-26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US11051654B2 (en) 2019-02-25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2167959B (zh) * 2019-11-18 2022-06-1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加热饭煲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5211714B (zh) * 2021-04-15 2023-07-1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13854815B (zh) * 2021-09-15 2022-07-22 苏州维格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加热效率高的蒸羹器及其使用方法和清洗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4308A (ja) * 2001-11-09 2003-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CN104523138A (zh) * 2014-12-31 2015-04-22 东莞市西芹电器有限公司 一种食物快速蒸煮装置及其快速蒸煮方法
US20150173550A1 (en) 2013-12-19 2015-06-25 Yao-Tsung Kao Household Electrothermal Vaporization Heater
CN104783651A (zh) * 2015-05-12 2015-07-22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蒸汽加热式食物料理机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8192797U (zh) * 2018-01-18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加热烹饪锅
CN208192793U (zh) * 2018-01-18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加热烹饪器具
CN208192790U (zh) * 2018-01-18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加热烹饪器具
CN208192771U (zh) * 2018-01-18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加热烹饪器具
CN208192792U (zh) * 2018-01-18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加热用烹饪器具及蒸汽饭煲
CN208192799U (zh) * 2018-03-20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烹饪装置
CN208192795U (zh) * 2018-01-18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器具用蒸汽进出装置及蒸汽饭煲
CN208192794U (zh) * 2018-01-18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烹饪的烹饪器具
CN208192791U (zh) * 2018-01-18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加热用烹饪器具及蒸汽饭煲
CN208192796U (zh) * 2018-01-18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器具及蒸汽饭煲
CN208192888U (zh) * 2018-01-29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锅具及蒸汽饭煲
CN208192798U (zh) * 2018-03-20 2018-12-0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烹饪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4308A (ja) * 2001-11-09 2003-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US20150173550A1 (en) 2013-12-19 2015-06-25 Yao-Tsung Kao Household Electrothermal Vaporization Heater
CN104523138A (zh) * 2014-12-31 2015-04-22 东莞市西芹电器有限公司 一种食物快速蒸煮装置及其快速蒸煮方法
CN104783651A (zh) * 2015-05-12 2015-07-22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蒸汽加热式食物料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05911B2 (ja) 2023-07-11
TWI791083B (zh) 2023-02-01
WO2019141207A1 (zh) 2019-07-25
TW201932055A (zh) 2019-08-16
KR20200106941A (ko) 2020-09-15
JP2021510564A (ja)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7093B1 (ko) 증기 밥 조리기
US9345358B2 (en) Electric steam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802756B (zh) 一種蒸汽加熱烹飪器具
WO2023279822A1 (zh) 加热组件和具有其的烹饪器具
CN210748701U (zh) 卤锅蒸气加热组件
CN210930833U (zh) 一种电饭煲上盖及电饭煲
CN217488365U (zh) 一种加热均匀的料理锅
WO2020220788A1 (zh) 一种方便加工的空气炸锅
CN210446639U (zh) 一种微压防溢的电饭锅
CN102908048B (zh) 防护节能高压锅
CN209499462U (zh) 一种室外高压锅
CN218942968U (zh) 一种空气炸锅的导风加热装置
CN217792514U (zh) 一种燃气压力锅
CN213129110U (zh) 一种复底蒸锅
CN210930234U (zh) 带烘烤、储物功能的取暖桌
CN211933645U (zh) 一种防水蒸气滴落的食品用蒸锅
CN211632872U (zh) 一种电烤盘
CN215016293U (zh) 一种多功能组合空气炸锅
CN114903350A (zh) 一种加热均匀的料理锅
CN218074606U (zh) 具有蒸汽烹饪功能的烤箱
CN217659245U (zh) 用于烹饪锅具密封气压调节组件、组合锅盖及烹饪锅具
CN214905892U (zh) 一种高效率的蒸鱼器
CN217547757U (zh) 多功能一体机电热煮锅
CN212878903U (zh) 多功能节能烹饪锅
CN216256663U (zh) 一种具备节电功能的火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