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813B1 -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813B1
KR102605813B1 KR1020210067947A KR20210067947A KR102605813B1 KR 102605813 B1 KR102605813 B1 KR 102605813B1 KR 1020210067947 A KR1020210067947 A KR 1020210067947A KR 20210067947 A KR20210067947 A KR 20210067947A KR 102605813 B1 KR102605813 B1 KR 102605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valve
water
branch tee
sprinkl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845A (ko
Inventor
엄태평
Original Assignee
엄태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태평 filed Critical 엄태평
Priority to KR1020210067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8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기용 티 밸브는,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측,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측 및 급수배관 측과 각각 연통하는 티바디를 포함한다. 티바디 내부에는 일정 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한 가변밸브 및 병진운동이 가능한 이동바디를 구비하는 밸브어셈블리가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 초기 과정에는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소화수가 새지 않고, 화재시에는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와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에서 모두 물이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 {Branch tee valve opened by fluid flow and system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바디 및 회전이 가능한 가변밸브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Sprinkler)는 소방용 설비의 하나이며, 화재 발생시 초기 진화를 주된 목적으로 하는 설비이다.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며, 물에 높은 압력을 걸어 노즐에서 물보라처럼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감열부의 존재여부에 따라 분류될 수 있고, 감열부를 구비하는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와 감열부를 구비하지 않는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로 분류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스프링클러와 이에 연결된 배관 구조를 지칭한다.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급수배관,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및 이를 연결하는 분기용 티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분기용 티 밸브의 내부에는 차단부재가 배치되어, 분기용 티 밸브로 급수된 소화수를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측 또는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종래의 스프링클러 시스템 중에는,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및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포함하고, 분기용 티 밸브 내부에 피스톤 밸브가 배치된 것이 있다.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점검을 하기 위하여, 급수배관의 소화수를 배출한 뒤 다시 분기용 티 밸브에 소화수를 공급하여 한다.
종래의 분기용 티 밸브는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급격한 유입으로 수압이 발생한다. 이 수압은 폐쇄형 헤드 부분에 있는 빈 공간의 공기를 압축하게 된다. 공기가 압축되면서 피스톤 밸브가 수압에 의하여 폐쇄형 헤드 공간 측으로 순간적으로 요동치게 되고, 물은 공학원리적 구조에 의하여 개방형 헤드 측으로 약간씩 방출될 수밖에 없다. 만약, 분기용 티 밸브에서부터 폐쇄형 헤드 구간까지의 구간이 더 길거나 관경이 더 넓은 배관을 사용하게 된다면, 상대적으로 물이 공급될 때의 공기 압축 시간이 더욱 길어지게 되게 된다. 이는 개방형 헤드 측 방향으로 더 많은 물이 유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소방배관의 물은 용접 찌거기, 절삭유, 오래 고임 현상으로 인하여 매우 더럽고 오염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분기용 티 밸브는, 이 오염된 물이 개방형 헤드를 통해 누수되어, 사용자가 매우 불쾌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급격히 저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큰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스프링클러 배관의 관경은 스프링클러 헤드의 노즐 오리피스 직경보다 큰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리고, 분기용 티 밸브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배관은, 스프링클러 배관 내부에 물이 꽉 채워져 스프링클러 헤드의 오리피스를 통해 방출되는 수리역학적인 구조를 갖는다. 즉, 개방형이든 폐쇄형이든 물이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해 방출되는 순간에는 스프링클러 오리피스 구간까지의 전 배관에 물이 가득 채워져 동일한 압력이 형성되는 수리역학적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 헤드 말단에는 최소 압력이 1 kg/cm2 이상 10 kg/cm2 미만인 압력이 걸려야 한다. 이를 위해서 분기용 티 밸브의 작동과 동시에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물이 한꺼번에 양쪽의 배관 측으로 유입되어야 한다.
물이 폐쇄형 헤드 측과 개방형 헤드 측으로 모두 유동하기 위해서는, 피스톤 밸브가 폐쇄형 헤드 측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하여야만 한다. 하지만, 폐쇄형 헤드 측 배관과 개방형 헤드 측 배관에는 모두 동일한 압력이 작용하여 피스톤 밸브가 폐쇄형 헤드 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때문에 물이 폐쇄형 헤드 및 개방형 헤드 측으로 일정하게 방출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폐쇄형 헤드 측 피스톤 밸브의 단면적을 키우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스프링클러 배관에 물을 채우는 과정에서, 피스톤 밸브가 더욱 심하게 요동치게 되어 물이 개방형 헤드 측으로 더 많이 새거나, 밸브가 닫히지 않는다는 단점을 구조적으로 가지게 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3404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배관의 점검 및 보수 작업 시 소화수가 새지 않고, 작동시 양쪽 방향으로 물을 정확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시 오작동 없이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및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로 소방수가 원활하게 유동하도록,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 수 있는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용 티 밸브는, 티바디, 이동바디, 커넥팅로드 및 가변밸브를 포함한다.
티바디는 일단에 제1토출구, 타단에 제2토출구, 측부에 급수구가 형성된다. 이동바디는 티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제1토출구와 제2토출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커넥팅로드는 이동바디로부터 제1토출구를 향하여 연장된다. 가변밸브는 커넥팅로드의 일단에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바디는 유입구, 제1유출구, 제2유출구를 포함한다. 유입구는 급수구를 통해 급수된 소방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제1유출구는 제1측에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2유출구는 제1측에서 제1유출구와 이격되어 유입구와 연통되며, 제1유출구보다 단면적이 크다. 가변밸브는, 급수구로 유입된 유체가 제1유출구와 제2유출구로 유출됨에 따라 회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용 티 밸브는 둘레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둘레턱은 가변밸브의 둘레부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기용 티 밸브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는 티바디 내벽에 내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홈은 이동바디의 측부에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기용 티 밸브는, 제2유출구가 개방부 일 수 있다. 개방부는 제2유출구가 이동바디의 둘레부분까지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은, 분기용 티 밸브, 급수배관,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제1배관, 제2배관 및 제3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배관은 급수배관 및 티바디를 연통시킬 수 있다. 제2배관은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와 티바디를 연통시킬 수 있다. 제3배관은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와 티바디를 연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급수배관의 소방수를 제거한 뒤 소방수를 다시 공급하는 과정에서, 밸브어셈블리가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측을 차단한 채로, 가변밸브가 회전하여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측 만을 개방하므로, 급수배관의 점검 및 보수 작업 시 소방수가 외부로 새지 않는 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급수배관으로부터 소방수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가변밸브가 회전된 상태로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측 및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측이 모두 개방되어, 오작동 없이 소방수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기용 티 밸브의 티바디 및 티바디 내부에 배치된 밸브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밸브어셈블리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기용 티 밸브에 있어서, 티바디 내부에서 밸브어셈블리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밸브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가변밸브의 후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바디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티바디에 배치된 가이드돌기 및 이동바디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기용 티 밸브의 티바디 및 티바디 내부에 배치된 밸브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밸브어셈블리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기용 티 밸브에 있어서, 티바디 내부에서 밸브어셈블리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밸브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가변밸브의 후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기용 티 밸브(T)는 티바디(100)와, 티바디(100) 내부에 배치되는 밸브어셈블리(V)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1)은 분기용 티 밸브(T), 제1배관(10), 제2배관(20), 제3배관(30), 급수배관(40),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50) 및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60)를 포함한다.
급수배관(40)은 펌프(미도시)에 의해 급수되는 소화수가 유동하는 배관이다.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50)는 외부의 열을 감지하는 감열부(미도시)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헤드이다.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60)는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50)와 달리 감열부를 구비하지 않은 스프링클러 헤드이다.
티바디(100)는 제1배관(10)을 통해 급수배관(40)과 연통한다. 티바디(100)는 제2배관(20)을 통해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50)와 연통한다. 티바디(100)는 제3배관(30)을 통해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60)와 연통한다.
급수배관(40)를 통해 급수된 소화수가 제1배관(10)을 통해 티바디(100)로 급수되면, 티바디(100) 내부에 배치된 밸브어셈블리(V)가 제1배관(10) 측으로 또는 제2배관(2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밸브어셈블리(V)가 티바디(100) 내부를 이동하면서, 제2배관(20) 측으로의 소화수 유동이 개방되고, 제3배관(30) 측으로의 소화수 유동은 차단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밸브어셈블리(V)가 티바디(100) 내부를 이동하면서, 제2배관(20) 측 및 제3배관(30) 측으로의 소화수 유동이 모두 개방될 수 있다.
분기용 티 밸브(T)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1)을 점검하는 경우, 우선, 급수배관(40)에 있는 소화수를 펌프(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 후, 펌프(미도시)를 통하여 새로운 소화수를 다시 급수배관(40)으로 공급한다. 새로운 소화수는 제1배관(10)을 통과하여 티바디(100)로 급수된다. 티바디(100)로 급수된 소화수는 제2배관(20)에 채워지게 되어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50)까지 소화수를 채우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이하에서는 급수 초기 과정이라 지칭한다. 급수 초기 과정은, 소화수가 지속적으로 유동하는 것이 아닌, 제2배관(20) 내부 공간에 소화수를 채우는 과정이므로, 일시적으로 이루어진다.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1)을 점검하는 경우가 아닌 실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50) 및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60)로부터 각각 소화수가 분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티바디(100)에 소화수가 지속적으로 급수되어, 티바디(100)로 급수되는 물이 각각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50)와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60)로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즉, 이 경우에는, 소화수의 급수 과정이 급수 초기 과정 동안만이 아니라, 그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소화수가 티바디(100)로 급수되어야 하고, 이러한 급수 과정을 이하에서는 급수 지속 과정이라 지칭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티바디(100)는 일단에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50)와 연통하는 제1토출구(120)가 형성되고, 타단에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60)와 연통하는 제2토출구(130)가 형성되며, 측부에 급수배관(40)과 연통하는 급수구(110)가 형성된다.
밸브어셈블리(V)는 이동바디(200), 커넥팅로드(240) 및 가변밸브(300)를 포함한다.
이동바디(200)는 티바디(100) 내부에서 제1토출구(120)와 제2토출구(13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동바디(200)는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커넥팅로드(240)는 이동바디(200)로부터 제1토출구(120)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다. 커넥팅로드(240)의 일단에는 가변밸브(300)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변밸브(300)는 디스크 형상일 수 있다.
티바디(100) 내부에는 스토퍼(140)와 확장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티바디(100)의 내부에서 제2토출구(130)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40)는 급수구(110)와 제2토출구(130) 사이 티바디(100)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티바디(100)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토퍼(140)의 내경은 이동바디(200)의 외경(D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이동바디(200)가 제2토출구(13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장부(150)는 티바디(100) 내부에서 제1토출구(120)에 가까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구(110)와 제1토출구(120) 사이 티바디(100)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150)는 티바디(100) 측벽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확장부(150)의 내경은 가변밸브(300)의 외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150)를 통해서 소화수의 유동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토출구(120)에는 제2배관(20)이 배치될 경우, 제2배관(20)이 제1토출구(120)의 내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배관(20)은 두께를 가지므로, 제2배관(20)의 단부가 스토퍼 역할을 하여, 가변밸브(300)가 제1토출구(12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바디(200)에는 급수구(110)로부터 급수된 소화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0)가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210)는 이동바디(200)의 한쪽 측부에만 형성될 수고 있고, 도 3과 같이 이동바디(200)를 관통하여 이동바디(200)의 양쪽 측부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바디(200)의 제1측 부분에 제1유출구(220) 및 제2유출구(2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바디(200)의 제2측 부분은 유입구(210)와 연통되지 않도록 폐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측이란 이동바디(200)를 기준으로 제1토출구(120)를 향하는 측이고, 제2측이란 이동바디(200)를 기준으로 제2토출구(130)를 향하는 측을 의미한다.
제1유출구(220)는 유입구(2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제2유출구(230)는 유입구(210)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유출구(22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출구(230)는 커넥팅로드(240)를 기준으로 제1유출구(220)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제2유출구(230)의 유로 단면적은 제1유출구(220)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가변밸브(300)는 이동바디(200)의 제1측 부분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변밸브(300)는 이동바디(200)의 제1유출구(220) 및 제2유출구(23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변밸브(300)는 커넥팅로드(24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변밸브(300)는 급수구(110)로 유입된 유체가 제1유출구(220)와 제2유출구(230)로 유출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유입구(210)로 소화수가 유입되면, 제1유출구(220) 및 제2유출구(230)로 소화수가 유출된다. 이 때, 제1유출구(220)의 유로 단면적이 제2유출구(230)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2유출구(230)로 소화수가 더욱 더 많이 유출된다. 가변밸브(300)는 제1유출구(220)와 제2유출구(230)의 소화수 유동량 차이 때문에, 제1유출구(220)에 가까워지는 방향 및 제2유출구(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가변밸브(300)가 회전하는 범위는 일정 회전범위(A) 내로 제한된다.
가변밸브(300)의 외경(D2)는 이동바디(200)의 외경(D1)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경우, 밸브어셈블리(V)가 제2토출구(130) 보다 제1토출구(120)에 가까이 이동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급수 초기 과정에는, 이동바디(200)가 스토퍼(14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급수 초기 과정에는, 이동바디(200)가 정지 관성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경우, 이동바디(200)가 제2토출구(130)를 차단하게 되고, 제2토출구(130)를 통하여는 소화수가 유동하지 않는다.
급수구(110)로 급수된 소화수는, 제1유출구 (220) 및 제2유출구(230)을 통해 유출된다. 이 과정에서 가변밸브(300)가 회전한다. 제1유출구(220) 및 제2유출구(230)을 통해 유출된 소화수는, 회전된 상태의 가변밸브(300)와 티바디(100) 사이의 틈을 지나, 확장부(150) 및 제1토출구(120)를 거쳐서 티바디(100)으로부터 토출되게 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급수 지속 과정에는, 이동바디(200)가 스토퍼(140)와 이격되어 제1측으로 이동한다. 가변밸브(300)는 확장부(150)의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소화수가 유동하는 경우, 가변밸브(300)에는 제1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바디(200)의 제2측 부분에는 제2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동압이 작용한다. 소화수를 비압축성 유체로 가정한다면, 소화수의 동압에 의한 외력은 유체의 접촉면적에 비례한다. 앞서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변밸브(300)의 외경(D2)은 이동바디(200)의 외경(D1)보다 크게 형성되고, 때문에 가변밸브(300)의 소화수 접촉 면적이 이동바디(200) 제2측 부분의 소화수 접촉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소화수의 동압에 의한 외력의 합력은 제1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밸브어셈블리(V)가 제1측을 향하여 서서히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급수구(110)로 급수된 소화수 중 일부는 유입구(210)로 유입된다, 유입구(210)로 유입된 소화수는 제1유출구 (220) 및 제2유출구(230)을 통해 유출된다. 이 과정에서 가변밸브(300)가 회전한다. 회전된 상태의 가변밸브(300)와 티바디(100)의 내벽 사이 틈으로 소화수가 통과하여, 소화수가 제1토출구(120)를 지나 티바디(100)으로부터 토출된다.
급수구(110)로 급수된 소화수 중 나머지 일부는 유입구(210) 외부로 유동한다. 유입구(210) 외부로 유동하는 소화수는, 이동바디(200)의 제2측 부분과 스토퍼(140)의 틈 사이로 통과하여, 소화수가 제2토출구(130)를 지나 티바디(100)로부터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유출구(220)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고, 제2유출구(230)의 단면 형상이 폐곡선을 이루는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유출구(220)와 제2유출구(2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유출구(230)의 단면적이 제1유출구(220)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유출구(220)와 제2유출구(230)가 각각 커넥팅로드(24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쪽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면,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가변밸브(300)에는 가변밸브(300)를 가로질러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핀삽입홀(350)이 형성된다. 커넥팅로드(240)의 일단에는 제2핀삽입홀(250)이 형성된다. 핀(330)이 구비되어, 핀(330)이 제1핀삽입홀(350) 및 제2핀삽입홀(250)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가변밸브(300)와 커넥팅로드(240)가 결합될 수 있다.
가변밸브(300) 및 이동바디(200)의 사이에는 탄성부재(340)가 더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40)는 토션스프링 또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토션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이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는 토션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의 도번을 모두 340으로 지칭하였다. 탄성부재(340)는 가변밸브(300)가 회전한 경우, 가변밸브(300)에 가변밸브(300)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회전 방향으로 반발력이 가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소화수가 유동하지 않는 경우, 가변밸브(300)가 회전되기 전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탄성부재(340)가 토션스프링인 경우, 가변밸브(300)와 커넥팅로드(240)에 각각 토션스프링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토션스프링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40)가 압축스프링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압축스프링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가변밸브(300)와 커넥팅로드(240)에 각각 형성되어 압축스프링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이동바디(200)의 둘레에는 오링(260)이 배치될 수 있다. 오링(260)은 이동바디(200)가 티바디(100)에 밀착되도록 하여, 소화수가 제1토출구(120) 측 또는 제2토출구(130) 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오링(260)은 이동바디(200)의 둘레 중 제1측에 가까운 부분과 제2측에 가까운 부분 중 적어도 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가변밸브(3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디스크 형상이고, 둘레부(320)를 포함한다. 둘레부(320)에는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둘레턱(360)이 형성될 수 있다. 때문에 둘레턱(360)의 지름이 둘레부(32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둘레턱(360)이 차지하는 면적이 둘레부(320)가 차지하는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경우, 급수 지속 과정에서 밸브어셈블리(V)가 제1토출구(120) 측으로 더욱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고, 급수 지속 과정 중에 갑작스러운 유동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도 밸브어셈블리(V)가 제2토출구(130) 측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변밸브(300)의 후면에는 레버홈(310)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버홈(310)은 가변밸드(300)의 후면의 중앙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길게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이 때, 레버홈(310)은 커넥팅로드(240)로부터 제1유출구(220)을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버홈(310)은 가변밸브(300)가 회전할 때, 가변밸브(300)의 제1유출구(220)과 가까운 부분이 제1유출구(220)와 가까워질 수 있도록, 가변밸브(300)의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바디(200)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바디(200)에는 제2유출구(230)가 확장된 개방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231)은 제2유출구(230)가 이동바디(200)의 둘레부분까지 확장되어 형성된다. 개방부(231)는, 이동바디(200)의 후단부가 절개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바디(200) 측부의 커넥팅로드(240)를 기준으로 한 제1유출구(220)의 반대 쪽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출구(220) 또한 개방부(231)와 마찬가지로 측부의 일부가 개방된 채로, 이동바디(200)의 둘레부분까지 확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부(231)가 형성되고, 제1유출구(220)가 확장되어 형성될 경우, 유입구(210)로 유입된 소화수의 유동 경로 단면적이 증가하여, 소화수의 유동이 원활히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티바디에 배치된 가이드돌기 및 이동바디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바디(100)의 내벽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60)가 배치된다. 가이드돌기(160)는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볼트가 관통 삽입되어 티바디(100)의 내벽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동바디(200)에는 가이드돌기(160)와 대응되는 가이드홈(27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70)은 이동바디(200)가 티바디(100) 내부에 배치되었을 때의, 이동바디(200)의 가이드돌기(16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70)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60)와 가이드홈(270)이 구비된 경우, 이동바디(200)가 티바디(100)의 내부에서 제1토출구(120) 또는 제2토출구(130) 측으로 이동할 때,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구(210)의 위치가 회전하지 않아 급수구(110)를 통해 급수된 물이 이동바디(200)에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
T: 분기용 티 밸브
10: 제1배관 20: 제2배관
30: 제3배관 40: 급수배관
50: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60: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V: 밸브어셈블리
100: 티바디 110: 급수구
120: 제1토출구 130: 제2토출구
140: 스토퍼 150: 확장부
160: 가이드돌기
200: 이동바디 210: 유입구
230: 제2유출구 231: 개방부
240: 커넥팅로드 250: 제2핀삽입홀
260: 오링 270: 가이드홈
300: 가변밸브 310: 레버홈
320: 둘레부 330: 핀
340: 탄성부재 350: 제1핀삽입홀
360: 둘레턱

Claims (5)

  1. 일단에 제1토출구, 타단에 제2토출구, 측부에 급수구가 형성된 티바디;
    상기 티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로부터 상기 제1토출구를 향하여 연장된 커넥팅로드; 및
    상기 커넥팅로드의 일단에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디는,
    상기 급수구를 통해 급수된 소방수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
    제1측에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제1유출구; 및
    상기 제1측에서 상기 제1유출구와 이격되어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제1유출구보다 단면적이 큰 제2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밸브는,
    상기 급수구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출구로 유출됨에 따라 회전하는 분기용 티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밸브는,
    둘레부에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둘레턱을 더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바디 내벽에 내측을 향해 돌출된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바디는,
    측부에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출구는, 상기 이동바디의 둘레부분까지 확장되어 형성되는 개방부인 분기용 티 밸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기용 티 밸브;
    펌프에 의하여 급수되는 소화수가 유동하는 급수배관;
    감열부를 구비하는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
    감열부를 구비하지 않는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상기 급수배관 및 상기 티바디를 연통시키는 제1배관;
    상기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와 상기 티바디를 연통시키는 제2배관; 및
    상기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 및 상기 티바디를 연통시키는 제3배관을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
KR1020210067947A 2021-05-26 2021-05-26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 KR102605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947A KR102605813B1 (ko) 2021-05-26 2021-05-26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947A KR102605813B1 (ko) 2021-05-26 2021-05-26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45A KR20220159845A (ko) 2022-12-05
KR102605813B1 true KR102605813B1 (ko) 2023-11-29

Family

ID=84392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947A KR102605813B1 (ko) 2021-05-26 2021-05-26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8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5832B2 (ja) 2000-05-31 2010-07-07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差圧式開放弁および開放式スプリンクラー設備
FR2990739B1 (fr) * 2012-05-15 2016-07-22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Vanne pour commander la circulation de fluide, a moyen d'obturation rotatif
KR20170026154A (ko) * 2015-08-27 2017-03-08 김승연 스프링클러 배관의 유수제어기능이 있는 분기용 티 및 그것을 이용한 스키핑 현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845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9240B1 (en) Dry pipe/deluge valve for automatic sprinkler systems
MX2008010415A (es) Montaje aspersor en seco.
WO1998030284A1 (en) Dampened telescopic sprinkler system
JP2017534379A (ja) 火炎抑制システム
KR102605813B1 (ko) 유체 흐름에 따라 개방되는 분기용 티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분기용 티 밸브 시스템
US11439853B2 (en) Rapid-action valve for a pressurized extinguishing fluid container, and extinguishing fluid container comprising same
JP7476353B2 (ja) 圧縮空気泡消火システム用の空気混合器及び消火システム
JP2918479B2 (ja) スプリンクラー用自動警報弁
KR102648656B1 (ko)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JP5707469B1 (ja) 流水検知装置
CN111089215B (zh) 用于安装在管线中的防水击装置及管线组件
JP2021105443A (ja) 消防設備用一斉開放弁、開放型スプリンクラー設備及び予作動式流水検知装置
FR2644869A1 (fr) Dispositif d'ouverture pour reservoir sous pression
RU219720U1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запорно-пусковым устройством
RU217300U1 (ru) Модульная подвес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запорно-пусков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2666490B1 (ko) 소방설비용 유체 제어 선택밸브
RU217297U1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запорно-пусков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200292837Y1 (ko) 소화장치용 밸브
RU2650130C1 (ru) Газоводя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20180028006A (ko)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
JP6950953B2 (ja) 圧力調整機構、圧力調整機構を含む流水検知装置及び消火設備
KR101890412B1 (ko) 자동배수기능을 갖는 드레인 밸브
JP2777823B2 (ja) 安全弁付自動排水弁
JP2021115083A (ja) 消火設備及び弁装置
KR20060115511A (ko) 소방용 자동차단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