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770B1 - 적층 가능한 잉크 - Google Patents

적층 가능한 잉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770B1
KR102605770B1 KR1020217007277A KR20217007277A KR102605770B1 KR 102605770 B1 KR102605770 B1 KR 102605770B1 KR 1020217007277 A KR1020217007277 A KR 1020217007277A KR 20217007277 A KR20217007277 A KR 20217007277A KR 102605770 B1 KR102605770 B1 KR 102605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layerable
radiation
layer
dec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629A (ko
Inventor
한스-위르겐 한니히
펠릭스 휠렌크레머
Original Assignee
악첸타 파넬레 + 프로필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악첸타 파넬레 + 프로필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악첸타 파넬레 + 프로필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4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2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6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1/107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2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colouring agents
    • C09D11/322Pigment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6Inkjet printing inks based on non-aqueous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8Inkjet 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non-macromolecular additives other than solvents, pigments or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k Jet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50 wt.-% 내지 ≤ 99 wt.-% 의 양의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 및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50 wt.-% 의 양의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매트릭스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매트릭스 재료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5 wt.-% 내지 ≤ 30 wt.-%, 바람직하게는 ≥ 8 wt.-% 내지 ≤ 2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15 wt.-% 의 양의 하나 이상의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중합체를 포함하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층 가능한 잉크
본 발명은 적층 가능한 잉크, 적층 가능한 잉크의 용도, 적층 가능한 잉크로 제조된 장식 층을 포함하는 장식 패널, 및 적층 가능한 잉크로 제조된 장식 층을 포함하는 장식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식 표면은 매력적이고 개성있는 외관을 생성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표면은 종종 다양한 인쇄 공정의 사용에 의해 장식이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잉크는 표면 상에 원하는 패턴으로 전달된 후, 고정되어 장식 층을 형성한다. 많은 영역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그 이유는, 이들은 UV 방사선 또는 전자 빔과 같은 방사선에 의해 인쇄될 표면 상으로 전달된 직후에 경화될 수 있어, 이들이 흐르지 않으며, 특히 날카로운 패턴을 갖는 장식 층이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형의 잉크는, 특히 인쇄가 비-흡수성 서브표면 상에서 수행될 때 사용된다.
특히, 개별화된 장식 표면의 제조에 있어서, 잉크젯 인쇄가 종종 사용된다. 여기에서, 잉크는 템플릿을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 제어 노즐을 통해 인쇄될 표면 상에 전달된다. 방사선 경화 잉크는 잉크젯 인쇄 공정 후에 공지의 방식으로 방사선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표면은 점점 더 표면 장식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장식을 갖는 벽, 천장 및 바닥 패널은 기능성 표면을 가진다.
장식된 패널은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으며, 용어 벽 패널은 또한 천장 또는 문 클래딩으로서 적합한 패널을 의미한다. 이들은 통상적으로 고체 재료, 예를 들어 목재 재료, 예컨대 중간 밀도 섬유판 (MDF) 또는 고 밀도 섬유판 (HDF), 목재-플라스틱 복합 재료 (WPC) 또는 미네랄-플라스틱 복합 재료 (MPC) 로 제조된 캐리어 또는 코어로 이루어지며, 이의 하나 이상의 측 상에는, 장식 층 및 커버 층 및, 임의로 추가의 층, 예를 들어 장식 층과 커버 층 사이에 배열되는 마모 층이 제공된다. MDF 또는 HDF 캐리어의 경우에 있어서, 장식 층은 통상적으로 캐리어 상에 배치되는 인쇄 서브표면 상에 적용되며, 예를 들어 종이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종이 층을 캐리어 상에 적용하기 전에, 미리 장식 층을 종이 층 상에 인쇄하거나, 또는 초기에 인쇄되지 않은 종이 층을 캐리어 상에 적용한 후에, 소위 직접 인쇄 공정의 사용에 의해 장식 층을 종이 층 상에 적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플라스틱 복합 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캐리어의 경우에 있어서, 직접 인쇄 공정에서 인쇄 서브표면을 임의로 적용한 후에, 이들에게 장식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식된 표면은 통상적으로 기계적 마모, 오염 방지, 내충격성 등의 측면에서 높은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그러므로, 종종 마모 층 또는 커버 층이 통상적으로 장식된 표면 상에 적용된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장식 템플릿을 모방한 표면 구조가 이러한 마모 층 또는 커버 층에 도입되어, 장식 패널의 표면이 촉각적으로 지각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 제공되며, 이는 이의 형상 및 패턴과 관련하여, 적용된 장식에 적합하고, 따라서 또한 촉각과 관련하여, 가능한 한 원본에 가까운 천연 재료의 복제를 수득한다.
마모 층 또는 커버 층은 종종 압력 및 온도의 영향하에서 적용된다. 이러한 공정은 적층이라고도 한다.
여기에서, 장식 층 상에 적용된 추가의 층이 장식 층에 충분하게 접착되거나 또는, 가능한 경우, 충분한 결합 강도, 특히 충분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결합 강도를 갖는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방사선 경화 후에 달성될 추가의 층에 대해 양호한 결합성을 갖는 방사선 경화 잉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공지의 방사선 경화 잉크의 단점은, 경화의 결과로서 이들이 다른 층에 더이상 충분하게 결합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공지의 방사선 경화 잉크는 어렵게 적층할 수 있을 뿐이다. 지금까지, 결합은 접착제를 장식 층 상에 적용함으로써 대부분 실현되어 왔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공정 단계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적층 가능한 잉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제 1 항에 따른 적층 가능한 잉크, 및 또한 제 13 항에 따른 이러한 적층 가능한 잉크의 용도, 제 14 항에 따른 적층 가능한 잉크의 장식 층을 포함하는 패널, 및 제 15 항에 따른 이러한 패널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종속항, 상세한 설명 또는 실시예에서 제공되며, 여기에서 종속항 또는 상세한 설명 또는 실시예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설명되거나 또는 표시되는 추가의 특징은 문맥이 명확히 반대를 나타내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주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적층 가능한 잉크를 제안한다: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50 wt.-% 내지 ≤ 99 wt.-%, 바람직하게는 ≥ 70 wt.-% 내지 ≤ 95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80 wt.-% 내지 ≤ 90 wt.-% 의 양의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 및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50 wt.-%, 바람직하게는 ≥ 5 wt.-% 내지 ≤ 3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20 wt.-% 의 양의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매트릭스 재료,
여기에서, 상기 매트릭스 재료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0 wt.-%, 바람직하게는 ≥ 5 wt.-% 내지 ≤ 2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15 wt.-% 의 양의 하나 이상의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중합체를 포함한다.
놀랍게도, 장식 층은 이러한 적층 가능한 잉크로, 특히 잉크젯 인쇄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적층 가능한 잉크는 여전히 방사선 경화 가능하고, 방사선 경화 공정 후에 적층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여기에서 양호한 결합 강도는 적층 전에 접착제를 장식 층 상에 추가로 적용하지 않으면서, 상기 적층으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잉크, 즉, 적합한 파장의 전자기 방사선, 예를 들어 UV 방사선 또는 전자 빔에 의해 유도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응하며, 고화되는 착색 액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중합체는, 온도에 노출될 때, 연화되거나 또는 액화되고, 특히 또한 방사선 경화 후에 추가로 중합되거나 또는 가교 결합될 수 있는 중합체로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단량체, 올리고머, 광개시제, 안정화제, 분산제 및/또는 염료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20 wt.-% 내지 ≤ 70 wt.-%, 바람직하게는 ≥ 25 wt.-% 내지 ≤ 6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30 wt.-% 내지 ≤ 50 wt.-% 의 양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단량체는 광개시제에 의해 개시되고, 중합 반응에 유입되며, 중합체를 형성하는 유기 분자로서 이해해야 한다. 단량체는 초기에 희석제로서 역할을 하며, 따라서 적층 가능한 잉크를 인쇄 가능하게 만들고, 중합 동안에, 특히 잉크의 경화 및 가교 결합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단량체는, 잉크 조성물의 점도에 영향을 미치며, 광개시된 중합 반응에서도 상응하는 중합체에 가교 결합하는 반응성 희석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5 wt.-% 내지 ≤ 50 wt.-%, 바람직하게는 ≥ 8 wt.-% 내지 ≤ 4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20 wt.-% 의 양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올리고머는 단지 적은 수의 반복 단위를 갖는 저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로서 이해해야 한다. 올리고머는 인쇄될 표면에 대한 접착력을 제공하며, 중합의 경우, 특히 또한 경화 및 가교 결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10 wt.-%, 바람직하게는 ≥ 3 wt.-% 내지 ≤ 8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4 wt.-% 내지 ≤ 6 wt.-% 의 양의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전자기 방사선의 흡수, 특히 UV 광과 같은 광의 흡수하에서 반응에 유입되어,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반응성 화합물을 형성하는 화합물로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0 wt.-% 내지 ≤ 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wt.-% 내지 ≤ 2.5 wt.-% 의 양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화합물로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0 wt.-% 내지 ≤ 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wt.-% 내지 ≤ 2.5 wt.-% 의 양의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분산제는 분산액을 안정화시키는 화합물로서 이해해야 한다. 분산제는, 예를 들어 분산될 입자의 표면에 흡수되어, 입자 응집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60 wt.-%,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5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20 wt.-% 내지 ≤ 40 wt.-% 의 양의 염료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염료는 특징적인 색상을 갖는 화합물로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20 wt.-% 내지 ≤ 70 wt.-%, 바람직하게는 ≥ 25 wt.-% 내지 ≤ 6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30 wt.-% 내지 ≤ 50 wt.-% 의 양의 단량체, ≥ 5 wt.-% 내지 ≤ 50 wt.-%, 바람직하게는 ≥ 8 wt.-% 내지 ≤ 4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20 wt.-% 의 양의 올리고머, ≥ 1 wt.-% 내지 ≤ 10 wt.-%, 바람직하게는 ≥ 3 wt.-% 내지 ≤ 8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4 wt.-% 내지 ≤ 6 wt.-% 의 양의 광개시제, ≥ 0 wt.-% 내지 ≤ 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wt.-% 내지 ≤ 2.5 wt.-% 의 양의 안정화제, ≥ 0 wt.-% 내지 ≤ 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wt.-% 내지 ≤ 2.5 wt.-% 의 양의 분산제, 및 ≥ 1 wt.-% 내지 ≤ 60 wt.-%,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5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20 wt.-% 내지 ≤ 40 wt.-% 의 양의 염료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양호한 방사선 경화 가능한 특성을 가지며, 안정하고, 양호한 색상 특성을 가지며, 적층 능력이 악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유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매트릭스 재료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0 wt.-% 내지 ≤ 1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1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2 wt.-% 내지 ≤ 5 wt.-% 의 양의 거대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거대 단량체는 반응성 말단 기를 가지며, 따라서 중합 가능한 거대 분자 화합물로서 이해해야 한다. 거대 단량체는, 예를 들어 코팅의 표면 자유 에너지를 변화시키며, 접착을 돕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매트릭스 재료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 0 wt.-% 내지 ≤ 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wt.-% 내지 ≤ 2.5 wt.-% 의 양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용매는 중합체를 용해시키는 액체로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매트릭스 재료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0 wt.-% 내지 ≤ 1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1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2 wt.-% 내지 ≤ 5 wt.-% 의 양의 거대 단량체, 및 임의로 ≥ 0 wt.-% 내지 ≤ 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wt.-% 내지 ≤ 2.5 wt.-% 의 양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적층 가능한 잉크는 방사선 경화성, 안정성 및 색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양호한 적층 능력을 갖는 것이 유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20 wt.-% 내지 ≤ 70 wt.-%, 바람직하게는 ≥ 25 wt.-% 내지 ≤ 6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30 wt.-% 내지 ≤ 50 wt.-% 의 양의 단량체, ≥ 5 wt.-% 내지 ≤ 50 wt.-%, 바람직하게는 ≥ 8 wt.-% 내지 ≤ 4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20 wt.-% 의 양의 올리고머, ≥ 1 wt.-% 내지 ≤ 10 wt.-%, 바람직하게는 ≥ 3 wt.-% 내지 ≤ 8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4 wt.-% 내지 ≤ 6 wt.-% 의 양의 광개시제, ≥ 0 wt.-% 내지 ≤ 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wt.-% 내지 ≤ 2.5 wt.-% 의 양의 안정화제, ≥ 0 wt.-% 내지 ≤ 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wt.-% 내지 ≤ 2.5 wt.-% 의 양의 분산제, 및 ≥ 1 wt.-% 내지 ≤ 60 wt.-%,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5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20 wt.-% 내지 ≤ 40 wt.-% 의 양의 염료를 포함하며,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매트릭스 재료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0 wt.-% 내지 ≤ 1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1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2 wt.-% 내지 ≤ 5 wt.-% 의 양의 거대 단량체, 및 임의로 ≥ 0 wt.-% 내지 ≤ 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wt.-% 내지 ≤ 2.5 wt.-% 의 양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는 특히 양호한 적층 능력, 방사선 경화성, 안정성 및 색상 특성을 갖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단량체는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는 특히 충분하게 방사선 경화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단량체는 일관능성 단량체, 이관능성 단량체, 다관능성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단량체에 의해, 적층 가능한 잉크의 경화 특성은 유리하게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예를 들어 경화된 잉크의 분자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단량체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N-비닐카프로락탐,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 아크릴레이트,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틸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일관능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일관능성 단량체는 유리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가 특히 용이하게 경화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단량체는 1,3-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비스페놀-A-디메타크릴레이트, 1,12-도데칸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관능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단량체는 경화 동안에 추가의 가교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장식 층의 특히 양호한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단량체는 에톡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프로폭시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노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다관능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단량체는 경화 동안에 추가의 가교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또한 유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장식 층의 특히 양호한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단량체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단량체는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놀랍게도, 유리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는 특히 충분하게 방사선 경화될 수 있으며, 동시에 특히 충분하게 적층 가능한 것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은 단량체로서 특히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20 wt.-% 내지 ≤ 70 wt.-%, 바람직하게는 ≥ 35 wt.-% 내지 ≤ 5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40 wt.-% 내지 ≤ 45 wt.-% 의 양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를 단량체로서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20 wt.-% 내지 ≤ 70 wt.-%, 바람직하게는 ≥ 25 wt.-% 내지 ≤ 5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30 wt.-% 내지 ≤ 45 wt.-% 의 양의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단량체로서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놀라운 방식으로, 이러한 양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와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물에 의해, 유리하게는 특히 양호한 방사선 경화가 달성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올리고머는 아크릴레이트 공-올리고머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는 특히 충분하게 방사선 경화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올리고머는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올리고머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올리고머는 멜라민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놀랍게도,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는 특히 충분하게 방사선 경화될 수 있으며, 동시에 특히 충분하게 적층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는 올리고머로서 특히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5 wt.-% 내지 ≤ 50 wt.-%, 바람직하게는 ≥ 8 wt.-% 내지 ≤ 2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15 wt.-% 의 양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올리고머로서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5 wt.-% 내지 ≤ 50 wt.-%, 바람직하게는 ≥ 8 wt.-% 내지 ≤ 20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15 wt.-% 의 양의 멜라민 아크릴레이트를 올리고머로서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놀랍게도, 이러한 양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멜라민 아크릴레이트에 의해, 유리하게는 특히 양호한 방사선 경화가 달성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올리고머는 ≥ 500 g/mol 내지 ≤ 5,000 g/mol 의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벤조페논, 알파 케톤, 티오페닐 모르폴린 프로파논, 티오크산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경화는 상응하는 파장 범위의 방사선, 예를 들어 UV 방사선에 의해 충분히 개시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알파 케톤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광개시제는 티오페닐 모르폴린 프로파논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1 wt.-% 내지 ≤ 10 wt.-%, 바람직하게는 ≥ 3 wt.-% 내지 ≤ 8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4 wt.-% 내지 ≤ 6 wt.-% 의 양의 알파 케톤을 광개시제로서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1 wt.-% 내지 ≤ 10 wt.-%, 바람직하게는 ≥ 3 wt.-% 내지 ≤ 8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4 wt.-% 내지 ≤ 5 wt.-% 의 양의 티오페닐 모르폴린 프로파논을 광개시제로서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분산제는 Efka 4000, Efka 5000, Efka 6000, Dispex, ultradisperse, RAD-SPERS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적층 가능한 잉크의 색상은 적층 능력 또는 방사선 경화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균일한 것이 유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0 wt.-% 내지 ≤ 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wt.-% 내지 ≤ 2.5 wt.-% 의 양의 RAD-SPERSE 를 분산제로서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는 열적으로 안정한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0 wt.-% 내지 ≤ 5 wt.-%, 바람직하게는 ≥ 1 wt.-% 내지 ≤ 3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wt.-% 내지 ≤ 2.5 wt.-% 의 양의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을 분산제로서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는 열적으로 안정하며, 잉크의 방사선 경화성 및 적층 능력은 손상되지 않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적층 가능한 잉크는 억제제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 0 wt.-% 내지 ≤ 2 wt.-%, 바람직하게는 ≥ 0.005 wt.-% 내지 ≤ 1 wt.-%, 특히 바람직하게는 ≥ 0.01 wt.-% 내지 ≤ 0.1 wt.-% 의 양으로 적층 가능한 잉크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억제제는 히드로퀴논, 메톡시 메틸 히드로퀴논, p-벤조퀴논, p-메톡시퀴논, 페노티아진, 모노-tert-부틸히드로퀴논, 1,2-디히드록시벤젠, p-tert-부틸카테콜, 벤조퀴논, 2,5-디-tert-부틸히드로퀴논, 2,5-p-디메틸-p-벤조퀴논, 안트라퀴논, 2,6-디-tert-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유기 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적절한 억제제의 제공은 유리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의 발열 분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광개시된 중합의 제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염료는 유기 및/또는 무기 안료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염료는 NB1, NB2, PB1, PB1:2, PB15:1, NBr3, NBr7, NBr9, PBr1, NY2, NY3, NY6, NY10, NY11, NY12, NY13, NY14, PY1, PY2, PY3, PY4, PY5, PY6, NG1, NG2, PG1, PG2, PG4, PG13, NO2, NO4, NO5, NO6, PO17, PO20, NR1, NR2, NR11, NR23, NV1, PV1, PV1:1, PV1:3, PV3:3, NBK3, NBK6, NBK9, PBK11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컬러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염료의 색상은 유리하게는, 특히 방사선 경화성 및 적층 능력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원하는 바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염료는 200 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nm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평균 입자 크기는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측정되는 체적 평균된 평균 입자 직경 D50 으로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하게는 잉크는 균일한 색상을 가지며, 잉크젯 프린터의 사용에 의해 충분히 인쇄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이로써, 특히, 인쇄 노즐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UV-안정성 중합체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매트릭스 재료는 UV 방사선에 의한 방사선 경화 동안에 손상되지 않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아크릴레이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코폴리아미드, 코폴리에스테르, 액체 폴리부타디엔, 콜로포니-개질된 폴리이소부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놀랍게도, 이들 중합체는 중합체로서 특히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 700 g/mol 내지 ≤ 20,000 g/mol 의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 700 g/mol 내지 ≤ 15,000 g/mol 의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 1,500 g/mol 내지 ≤ 20,000 g/mol 의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 2,000 g/mol 내지 ≤ 18,000 g/mol 의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 3,000 g/mol 내지 ≤ 20,000 g/mol 의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 1,000 g/mol 내지 ≤ 3,000 g/mol 의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액체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중합체에 의해, 유리하게는 매트릭스 재료는 적층 동안에 활성화되며, 적층된 커버 층을 갖는 장식 층은 양호한 결합 강도를 갖는 안정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에서 기술한 중합체에 의해, 적층 가능한 잉크의 물리적 특성은 지나치게 많이 손상되지 않아, 양호한 인쇄성 및 또한 양호한 방사선 경화성이 유지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5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중합체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충분히 분포된 방식으로 존재할 수 있어, 적층 능력이 전체 인쇄 영역에 걸쳐 일관적으로 양호한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150 ㎛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170 ㎛ 이하, 특히 2 ㎛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400 ㎛ 이하, 특히 1 ㎛ 이하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코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놀랍게도, 상기에서 언급한 범위는 특정한 중합체에 특히 충분히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 170 ℃ 내지 ≤ 210 ℃ 의 용융 범위를 갖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 105 ℃ 내지 ≤ 132 ℃ 의 용융 범위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 118 ℃ 내지 ≤ 128 ℃ 의 용융 범위를 갖는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 110 ℃ 내지 ≤ 120 ℃ 의 용융 범위를 갖는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코폴리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액체 폴리부타디엔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EN ISO 3219 에 따라서 측정되는 300 mPa s 이상 내지 500 mPa s 이하의 범위의 점도를 갖는 코폴리아크릴레이트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EN ISO 3219 에 따라서 측정되는 200 mPa s 이상 내지 450 mPa s 이하의 범위의 점도를 갖는 액체 폴리부타디엔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상응하는 중합체는 매트릭스 재료의 양호한 열적 활성화성을 생성하며, 동시에 적층 가능한 잉크의 양호한 인쇄성을 허용하는 점도를 갖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100 ℃ 이상 내지 130 ℃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적층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중합체는 점착제라고도 하는 점착 부여제에서 선택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콜로포니 에스테르 수지, 특히 콜로포니 에스테르-개질된 폴리이소부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매트릭스 재료는 ≥ 700 g/mol 내지 ≤ 15,000 g/mol 의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 및 ≥ 170 ℃ 내지 ≤ 210 ℃ 의 용융 범위를 갖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매트릭스 재료는 ≥ 1,500 g/mol 내지 ≤ 20,000 g/mol 의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 및 ≥ 105 ℃ 내지 ≤ 132 ℃ 의 용융 범위를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거대 단량체는 폴리옥시에틸렌 클로로트리아진, 폴리옥시프로필렌 클로로트리아진,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테르, 폴리스티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거대 단량체는 ≥ 150 g/mol 내지 ≤ 400 g/mol 의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거대 단량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거대 단량체는 폴리에테르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거대 단량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이며, 중합체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거대 단량체는 폴리에테르이며, 중합체는 폴리메틸렌 메타크릴레이트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매트릭스 재료는 거대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으며, 중합체는 액체 폴리부타디엔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구현예에 의해, 유리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는 커버 층과 특히 강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용매는 시클로헥사논, 부타논, 메틸 에틸 케톤, 자일렌,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락테이트, 디메틸 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포름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유리하게는 중합체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특히 충분히 분산되거나 또는 심지어 용해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합체의 특히 균일한 분포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장식 층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에서 기술한 적층 가능한 잉크의 용도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장식 패널의 적층된 장식 층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을 통해, 표면은 장식이 제공될 수 있으며, 보호 층은 장식에 직접 적용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서 기술한 적층 가능한 잉크로 제조된 장식을 갖는 장식 층을 포함하는 장식 패널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 패널의 사용은 특히 충분히 상세하게 설명한 장식 표면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장식 표면은 하나 이상의 보호 층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서 기술한 적층 가능한 잉크로부터 제조된 장식을 갖는 장식 층을 포함하는 장식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a. 플레이트 형상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에서 기술한 적층 가능한 잉크에 의한 장식을 플레이트 형상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 상에 인쇄하는 단계,
c. 장식을 전자기 방사선, 바람직하게는 UV 방사선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d. 장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을 적층하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경화된 잉크는 장식의 적층 동안에 열적으로 활성화되며, 적층과 결합을 형성한다.
"캐리어" 는 특히 최종 패널에서 코어로서 또는 베이스 층으로서 작용하며, 특히 목재 기반 재료, 섬유 재료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료와 같은 천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는 미리 패널에 적합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거나, 또는 이것에 기여할 수 있다.
단단한 목재 재료 외에도,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목재 기반 재료는 교차 적층 재목, 접착제 적층 재목, 블록 보드, 베니어 합판, 적층 베니어 목재, 평행 스트랜드 목재 및 굽힘 합판과 같은 재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목재 기반 재료는 또한 칩 보드, 예컨대 프레스 보드, 압출 보드, 지향 구조 보드 (OSB) 및 적층 스트랜드 목재, 뿐만 아니라, 목재 섬유 재료, 예컨대 목재 섬유 절연 보드 (HFD), 중간 경질 및 경질 섬유판 (MB, HFH) 및 특히 중간 밀도 섬유판 (MDF) 및 고 밀도 섬유판 (HDF) 이다. 목재 중합체 재료 (목재 플라스틱 복합재, WPC) 와 같은 최신의 목재 기반 재료, 포움, 경질 포움 또는 벌집 종이와 같은 경량 코어 재료 및 그 위에 적용된 목재의 층으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시멘트로 광물 경화된 샌드위치 보드, 칩 보드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목재 기반 재료이다. 또한, 코르크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목재 기반 재료를 나타낸다.
상응하는 패널 또는 캐리어의 제조에서 사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아미드 (PA), 폴리우레탄 (PU), 폴리스티렌 (PS),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PEEK),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공-중합체물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이다. 플라스틱은 탄산 칼슘 (백악), 산화 알루미늄, 실리카 겔, 석영 가루, 목재 가루, 활석, 비산회, 석고와 같은 통상적인 충전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공지의 방식으로 착색될 수 있다.
"웹 형상 캐리어" 는 이의 제조 공정에서, 예를 들어 웹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이의 두께 또는 폭에 비해서 유의하게 길다란 길이를 가지고, 이의 길이는, 예를 들어 15 미터 초과일 수 있는 캐리어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플레이트 형상 캐리어" 는 또한 웹 형상 캐리어로부터의 분리에 의해 형성되며,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캐리어로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형상 캐리어는 생성될 패널의 형상 및/또는 크기를 미리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 형상 캐리어는 또한 대형 플레이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대형 플레이트는 특히, 치수가 최종 장식 패널의 치수를 몇 배 초과하며, 제조 공정의 과정에서, 예를 들어 톱질, 레이저 또는 워터 제트 절단에 의해 상응하는 복수의 장식 패널에서 분리되는 캐리어이다. 예를 들어, 대형 플레이트는 웹 형상 캐리어에 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적층은 압력 및/또는 온도의 작용에 의한 2 개의 층의 단단한 결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열적 활성화는 또한 제 2 의 열적 경화로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단계 a) 와 b) 사이에, 인쇄 서브표면이 플레이트 형상 캐리어 상에 적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 있어서, 인쇄 서브표면은 플레이트 형상 캐리어 상의, 잉크의 향상된 접착을 허용하는 층으로서 이해해야 한다.
여기에서, 플레이트 형상 캐리어 상의, 상기에서 기술한 적층 가능한 잉크의 사용에 의한 장식의 인쇄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식은 플렉소그래픽 인쇄, 오프셋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 공정에서, 적층 가능한 잉크로 생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를 갖는 장식은 특히 잉크젯 공정과 같은 디지털 인쇄 기술의 사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개별 장식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장식은 복수의 상기에서 기술한 상이한 색상의 적층 가능한 잉크로부터 생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여러가지 색상의 장식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장식의 경화는 전자기 방사선, 바람직하게는 UV 방사선으로 실현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UV 방사선은 특히, 예를 들어 10 - 450 nm, 예컨대 100 - 380 nm 의 파장 범위의 방사선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리하게는 적층 가능한 잉크는 매트릭스의 열적 재활성화 가능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경화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방사선은, 예를 들어 중간 압력 이미터를 사용하여 자체 공지의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은 증기 램프와 같은 가스 방전 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은 래커, 수지 또는 필름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커버 층은,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적으로 경화되는 액체, 래커-함유 커버 층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경화된 잉크는 열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경화된 커버 층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은, 예를 들어 멜라민을 기반으로 하는 미리 생성된 오버레이 층으로서 인쇄된 캐리어 상에 위치하고, 압력 및/또는 열의 작용에 의해 이와 결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경화된 잉크는 열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을 형성하기 위해, 방사선 경화 가능한 조성물, 예컨대 방사선 경화 가능한 래커, 예를 들어 아크릴 래커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모 층은 상기 층의 내마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질화 티타늄, 탄화 티타늄, 질화 규소, 탄화 규소, 탄화 붕소, 탄화 텅스텐, 탄화 탄탈륨, 산화 알루미늄 (커런덤 (corundum)), 산화 지르코늄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경질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적용은, 예를 들어 고무 롤러와 같은 롤러에 의해, 또는 붓는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경화된 잉크는 적층 동안에 100 ℃ 이상 내지 150 ℃ 이하의 범위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경화된 잉크는 130 ℃ 이상 내지 140 ℃ 이하의 범위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며, 경화된 잉크는 100 ℃ 이상 내지 120 ℃ 이하의 범위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며, 경화된 잉크는 125 ℃ 이상 내지 145 ℃ 이하의 범위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며, 경화된 잉크는 105 ℃ 이상 내지 115 ℃ 이하의 범위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액체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며, 경화된 잉크는 110 ℃ 이상 내지 130 ℃ 이하의 범위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콜로포니-개질된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며, 경화된 잉크는 100 ℃ 이상 내지 120 ℃ 이하의 범위의 온도에서 열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온도 범위의 결과로서, 경화된 잉크는 특히 충분하게 열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장식 층 및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은 적층 동안에 2 bar 이상 내지 70 bar, 바람직하게는 10 bar 이상 내지 50 bar 의 범위의 압력으로 함께 압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장식 층 및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은 적층 동안에 5 bar 이상 내지 70 bar, 바람직하게는 15 bar 이상 내지 60 bar 의 범위의 압력으로 함께 압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며, 장식 층 및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은 적층 동안에 2 bar 이상 내지 55 bar, 바람직하게는 8 bar 이상 내지 50 bar 의 범위의 압력으로 함께 압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며, 장식 층 및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은 적층 동안에 2 bar 이상 내지 70 bar, 바람직하게는 7 bar 이상 내지 65 bar 의 범위의 압력으로 함께 압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코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장식 층 및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은 적층 동안에 3 bar 이상 내지 70 bar, 바람직하게는 4 bar 이상 내지 63 bar 의 범위의 압력으로 함께 압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액체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하며, 장식 층 및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은 적층 동안에 4 bar 이상 내지 70 bar, 바람직하게는 5 bar 이상 내지 55 bar 의 범위의 압력으로 함께 압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콜로포니-개질된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며, 장식 층 및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은 적층 동안에 2 bar 이상 내지 70 bar, 바람직하게는 5 bar 이상 내지 45 bar 의 범위의 압력으로 함께 압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적층 가능한 잉크는 중합체로서 액체 폴리부타디엔 및 콜로포니-개질된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며, 장식 층 및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은 적층 동안에 4 bar 이상 내지 70 bar, 바람직하게는 5 bar 이상 내지 55 bar 의 범위의 압력으로 함께 압착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압력 범위의 결과로서, 장식 층 및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은 특히 높은 결합 강도를 갖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층 및/또는 마모 층은 최종 적층의 정적 (static) (정전기 (electrostatic)) 대전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위해, 커버 층 및/또는 마모 층은 콜린 클로라이드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커버 및/또는 마모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서, 예를 들어 ≥ 0.1 wt.-% 내지 ≤ 40.0 wt.-%, 바람직하게는 ≥ 1.0 wt.-% 내지 ≤ 30.0 wt.-% 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호 층에서 또는 마모 층 또는 커버 층에서, 구조화, 특히 장식과 일치하는 표면 구조는 기공을 도입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리어 플레이트는 이미 구조를 가지며, 장식을 적용하기 위한 인쇄 도구와 캐리어 플레이트의 서로에 대한 정렬은 광학적 방법에 의해 검출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의 구조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인쇄 도구와 캐리어 플레이트의 서로에 대한 정렬을 위해, 정렬에 필요한 인쇄 도구와 캐리어 플레이트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캐리어 플레이트의 변위 또는 인쇄 도구의 변위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장식 패널의 구조화는 커버 층 및/또는 마모 층의 적용 후에 실행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커버 층 및/또는 마모 층으로서 경화성 조성물이 적용되고, 경화 공정은 커버 층 및/또는 마모 층의 부분적인 경화 만이 발생하는 정도로만 수행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경화된 층에 있어서, 원하는 표면 구조는 경질 금속 구조 롤러 또는 다이와 같은 적합한 도구에 의해 엠보싱된다. 여기에서, 엠보싱 공정은 적용된 장식에 따라서 수행된다. 장식과 함께 도입될 구조의 충분한 일치를 보장하기 위해서, 캐리어 플레이트와 엠보싱 도구는 상응하는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서로에 대해 정렬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경화된 커버 층 및/또는 마모 층에 원하는 구조를 도입한 후, 이제 구조화된 커버 층 및/또는 마모 층의 추가의 경화 공정이 수행된다.
또한, 배킹 층이 장식 측의 반대 측 상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능한 구현예를 보여준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구현예의 조합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가능한 잉크의 조성물의 예는 하기 표에서 제공된다. 이 문맥에 있어서, wt.-% 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한 질량% 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에 따른 적층 가능한 잉크는 보라색이었으며, 잉크젯 인쇄 공정에서 캐리어 상에 적용된 후에 UV 방사선으로 특히 충분하게 경화될 수 있었다.
수득된 장식 층은 110 ℃ 의 프레스에서 10 bar 의 압력으로 마모 보호 층이 적층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착제를 장식 층과 마모 보호 층 사이에 적용하지 않고서, 안정한 결합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2 에 따른 적층 가능한 잉크는 갈색이었으며, 잉크젯 인쇄 공정에서 캐리어 상에 적용된 후에 UV 방사선으로 특히 충분하게 경화될 수 있었다. 수득된 장식 층은 또한 110 ℃ 의 프레스에서 2.5 bar 의 압력으로 마모 보호 층이 적층되었다. 이 공정에 있어서, 접착제를 장식 층과 마모 보호 층 사이에 적용하지 않고서, 안정한 결합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3 에 따른 적층 가능한 잉크는 녹색이었으며, 또한 잉크젯 인쇄 공정에서 캐리어 상에 적용된 후에 UV 방사선으로 특히 충분하게 경화될 수 있었다. 수득된 장식 층은 135 ℃ 의 프레스에서 8 bar 의 압력으로 마모 보호 층이 적층되었다. 이 공정에 있어서, 접착제를 장식 층과 마모 보호 층 사이에 적용하지 않고서, 안정한 결합이 또한 형성되었다.
실시예 4 에 따른 적층 가능한 잉크는 황색이었으며, 또한 잉크젯 인쇄 공정에서 캐리어 상에 적용된 후에 UV 방사선으로 특히 충분하게 경화될 수 있었다. 수득된 장식 층은 130 ℃ 의 프레스에서 5 bar 의 압력으로 마모 보호 층이 적층되었다. 이 공정에 있어서, 접착제를 장식 층과 마모 보호 층 사이에 적용하지 않고서, 안정한 결합이 또한 형성되었다.

Claims (15)

  1. 다음을 포함하는 적층 가능한 잉크: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70 wt.-% 내지 ≤ 95 wt.-% 의 양의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 및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5 wt.-% 내지 ≤ 30 wt.-% 의 양의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매트릭스 재료,
    여기에서, 상기 매트릭스 재료는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5 wt.-% 내지 ≤ 20 wt.-% 의 양의 하나 이상의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중합체는, 온도에 노출될 때, 연화되거나 또는 액화되고, 또한 추가로 중합되거나 또는 가교 결합될 수 있고,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가 단량체, 올리고머, 광개시제, 안정화제, 억제제, 분산제 및 염료를 포함하고,
    방사선 경화 가능한 잉크가 적층 가능한 잉크에 대해서, ≥ 25 wt.-% 내지 ≤ 60 wt.-% 의 양의 단량체, ≥ 5 wt.-% 내지 ≤ 50 wt.-% 의 양의 올리고머, ≥ 1 wt.-% 내지 ≤ 10 wt.-% 의 양의 광개시제, > 0 wt.-% 내지 ≤ 5 wt.-% 의 양의 안정화제, > 0 wt.-% 내지 ≤ 5 wt.-% 의 양의 분산제, 및 ≥ 1 wt.-% 내지 ≤ 60 wt.-% 의 양의 염료를 포함하며,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잉크 매트릭스 재료가 > 0 wt.-% 내지 ≤ 15 wt.-% 의 양의 거대 단량체를 포함하고,
    단량체가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일관능성 단량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단량체가 1,3-글리세롤 디메타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 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이관능성 단량체를 포함하고,
    매트릭스 재료 내의 하나 이상의 열적으로 활성화 가능한 중합체가 ≥ 700 g/mol 내지 ≤ 20,000 g/mol 의 범위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거대 단량체가 폴리옥시에틸렌 클로로트리아진, 폴리옥시프로필렌 클로로트리아진,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테르, 폴리스티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
  2. 제 1 항에 있어서, 올리고머가 아크릴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멜라민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층 가능한 잉크.
  3. 제 1 항에 있어서, 광개시제가 벤조페논, 알파 케톤, 티오페닐 모르폴린 프로파논, 티오크산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층 가능한 잉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아크릴레이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코폴리아미드, 코폴리에스테르, 액체 폴리부타디엔, 콜로포니-개질된 폴리이소부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층 가능한 잉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식 패널의 장식 층, 또는 적층된 장식 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층 가능한 잉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층 가능한 잉크의 사용에 의해 생성된 장식을 갖는 장식 층을 포함하는 장식 패널.
  7. 적어도 하기의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층 가능한 잉크의 사용에 의해 생성된 장식을 갖는 장식 층을 포함하는 장식 패널의 제조 방법:
    a. 플레이트 형상 캐리어를 제공하는 단계;
    b.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층 가능한 잉크에 의한 장식을 플레이트 형상 캐리어의 적어도 일부 상에 인쇄하는 단계;
    c. 장식을 전자기 방사선, 또는 UV 방사선으로 경화시키는 단계;
    d. 장식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마모 층 및/또는 커버 층을 적층하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경화된 잉크는 장식의 적층 동안에 열적으로 활성화되며, 적층과 결합을 형성함.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7007277A 2019-05-15 2020-05-12 적층 가능한 잉크 KR102605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4600.7 2019-05-15
EP19174600.7A EP3739009A1 (de) 2019-05-15 2019-05-15 Laminierbare tinte
PCT/EP2020/063200 WO2020229474A1 (de) 2019-05-15 2020-05-12 Laminierbare ti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629A KR20210043629A (ko) 2021-04-21
KR102605770B1 true KR102605770B1 (ko) 2023-11-23

Family

ID=6659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277A KR102605770B1 (ko) 2019-05-15 2020-05-12 적층 가능한 잉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253883A1 (ko)
EP (1) EP3739009A1 (ko)
JP (1) JP7285325B2 (ko)
KR (1) KR102605770B1 (ko)
CN (1) CN112703231B (ko)
WO (1) WO202022947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4552A (ja) * 2003-04-18 2004-11-11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加飾シート成形物、加飾シート成形物の製造方法及び加飾用紫外線硬化型着色インキ
JP2011523603A (ja) * 2008-05-14 2011-08-18 バイエル・マテリアルサイエ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放射線硬化印刷インクまたは印刷ワニスでコートされた積層物および成形物
JP2015047748A (ja) * 2013-08-30 2015-03-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加飾シート、加飾シート成型物、インモールド成型品の製造方法、インモールド成型品、及び、インク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8971A1 (de) * 2003-02-28 2004-09-09 Ferro Gmbh Strahlenhärtbare Druckmedien, damit hergestellte Abziehbild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eramischer Dekore
JP4662762B2 (ja) * 2004-12-28 2011-03-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及びこれを用いた平版印刷版
GB0613583D0 (en) * 2006-07-05 2006-08-16 Sericol Ltd A printing ink
US20100183819A1 (en) * 2009-01-22 2010-07-22 John Arnold Heat-activated adhesive composition
JP2013545837A (ja) * 2010-10-22 2013-12-26 キャボ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インキ組成物
WO2013019821A1 (en) * 2011-08-01 2013-02-07 Sun Chemical Corporation High-stretch energy curable inks & method of use in heat transfer label applications
GB201408467D0 (en) * 2014-05-13 2014-06-25 Sericol Ltd Inks
US20160090504A1 (en) * 2014-09-30 2016-03-31 Fujifilm Corporation Undercoat composition, composition set, inkjet recording method, and printed material
PL3095614T3 (pl) * 2015-05-22 2020-07-13 Agfa Nv Wytwarzanie powierzchni dekoracyjnych metodą druku natryskowego
KR20170142352A (ko) * 2016-06-17 2017-12-28 네오프린텍(주) 포장재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포장재
EP3375827A1 (de) * 2017-03-17 2018-09-19 TIGER Coatings GmbH & Co. KG Laminat-tinte
WO2019005798A1 (en) * 2017-06-27 2019-01-03 Inx International Ink Co. ENERGY-CURED HEAT-ACTIVATED INK JET ADHESIVES FOR FILM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4552A (ja) * 2003-04-18 2004-11-11 Teikoku Printing Inks Mfg Co Ltd 加飾シート成形物、加飾シート成形物の製造方法及び加飾用紫外線硬化型着色インキ
JP2011523603A (ja) * 2008-05-14 2011-08-18 バイエル・マテリアルサイエン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放射線硬化印刷インクまたは印刷ワニスでコートされた積層物および成形物
JP2015047748A (ja) * 2013-08-30 2015-03-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加飾シート、加飾シート成型物、インモールド成型品の製造方法、インモールド成型品、及び、インク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9009A1 (de) 2020-11-18
JP7285325B2 (ja) 2023-06-01
WO2020229474A1 (de) 2020-11-19
US20210253883A1 (en) 2021-08-19
CN112703231B (zh) 2023-04-07
CN112703231A (zh) 2021-04-23
JP2022513128A (ja) 2022-02-07
KR20210043629A (ko)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5778B (zh) 通过喷墨制造装饰性表面的方法以及所得装饰性表面
KR101165111B1 (ko) 화장재
US202101878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superficial structure
CN103958213B (zh) 一种在墙或地板镶板上印刷的方法
JP4978226B2 (ja) 化粧シート
US10710388B2 (en) Heat transfer films for the dry coating of surfaces
JP2006239954A (ja) 高光沢化粧シート
JP4802819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20210069696A (ko) 투명성 수지 필름, 화장판 및 화장판의 제조 방법
CN106626854A (zh) 活性能量线硬化型树脂组合物、转印片、装饰板以及装饰板的制造方法
KR102605770B1 (ko) 적층 가능한 잉크
JP2015171811A (ja) 化粧シート
US11396171B2 (en) High pressure decorative laminate having a top layer of energy cured acrylated urethane polymer
RU2769650C1 (ru)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ая цифровой печатью износостойкая защитная пленка
US20190210331A1 (en) Surfacing materials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8155460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JP5119639B2 (ja) 床材用化粧シート
JP2017035810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4779540B2 (ja) 賦型シート
JP4876592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化粧板
US20220258204A1 (en) Panels comprising a structured lacquer surface
JP5407253B2 (ja) 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7456147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組成物、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組成物、組成物収容容器、2次元又は3次元の像形成装置、2次元又は3次元の像形成方法、硬化物、及び加飾体
CN101395225A (zh) 可辐射固化体系
JP4835089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