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225B1 -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 - Google Patents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225B1
KR102605225B1 KR1020220124855A KR20220124855A KR102605225B1 KR 102605225 B1 KR102605225 B1 KR 102605225B1 KR 1020220124855 A KR1020220124855 A KR 1020220124855A KR 20220124855 A KR20220124855 A KR 20220124855A KR 102605225 B1 KR102605225 B1 KR 102605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ing
lowered
lifting
un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라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라인텍 filed Critical (주)라인텍
Priority to KR102022012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2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removable without tools, e.g. of stud-and-sock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결합날개가 마련되어 있는 몸체와, 지면에 형성되어 고정앵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몸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몸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중앙에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체의 개구된 부위를 밀폐시키고, 상기 몸체가 삽입되면 상기 지지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서 탄성력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날개와 체결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잠금부재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하강되면 상기 잠금부재를 가압하여 체결된 상기 몸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해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Safety bollard with a locking device inside to prevent arbitrarily separating}
본 발명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에 매립되어 있어 임의로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라드(Bollard)는 보도 및 차도의 경계, 공원, 놀이터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안전과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 진입 차단물인 볼라드는 석재, 목재, 콘크리트, 금속재를 상, 하 일체로 형성하여 대략 원형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하부는 시공면에 매설된 후 몰탈 시공 처리하여 지면과 고정하는 고정식 시공방법을 채택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된 상부가 도로면 상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통행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종래의 고정 타입형의 볼라드는 화재 또는 천재지변 등에 의한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지면에 매립되어 있는 하부베이스의 해체가 용이하지 못하여 사고나 사태 등이 발생된 지역으로의 작업차량 투입이 어렵게 되어 사고나 사태 등의 진압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05575호는 분리형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매립되는 고정지지대에 차단기둥이 삽입되어 탈부착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비상상황이나 차량 통제시 선택적으로 볼라드를 설치할 수 있는 점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차단기둥과 고정지지대 사이의 잠금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3자가 차단기둥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차량 통행이 금지된 구역에 차량이 통행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자물쇠를 채워 차단기둥과 고정지지대를 결합하는 형태로 개선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열쇠를 자물쇠의 수에 따라 들고 다녀야 하므로 휴대성이 떨어지고 분실 위험이 있었으며, 자물쇠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공구에 의해 자물쇠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0557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제3자가 잠금장치의 구조를 파악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쇠 또는 공구의 도움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볼라드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라드가 분리되었을 때 바닥에 설치된 구조체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결합날개가 마련되어 있는 몸체와, 지면에 형성되어 고정앵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몸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몸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중앙에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체의 개구된 부위를 밀폐시키고, 상기 몸체가 삽입되면 상기 지지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서 탄성력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날개와 체결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잠금부재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하강되면 상기 잠금부재를 가압하여 체결된 상기 몸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해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의 상기 지지체는 개구된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날개가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지는 형성되는 인입홈과, 상기 인입홈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날개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의 결합단이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개구된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승강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잠금부재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홈과, 상기 인입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홈과, 개구된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다수 개의 제1결합홀과, 개구된 하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결합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의 상기 잠금부재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일정한 간격으로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가 형성된 승강링과, 상기 승강링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링이 상승되면 상기 결합날개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승강링이 하강되면 상기 결합날개와 분리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단과, 상기 승강링의 중앙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해금부재가 하강되면 상기 해금부재에 의해 가압력을 상기 승강링으로 전달하는 가압단과, 상기 승강링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해금부재가 하강되면 압축되고, 상기 해금부재가 상승되면 복원되어 상기 승강링을 상승시키는 결합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의 상기 커버는 중앙에 상기 해금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잠금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압홀과, 하부면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에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하강되면 압축되고, 상기 몸체가 분리되면 복원되어 상기 승강축을 상승시키는 승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의 상기 해금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외주면에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형성된 장착홀에 구속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날개와, 상기 승강날개의 하부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하강되면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되어 상기 스위치를 상승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스위치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의 승강상태에 따라 상기 해금부재를 가압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가압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의 상기 몸체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해금부재가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해금부재가 노출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을 덮어 보호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해금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에 의하면, 잠금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제3자가 잠금장치의 구조를 파악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에 의하면, 열쇠 또는 공구의 도움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볼라드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에 의하면, 볼라드가 분리되었을 때 바닥에 설치된 구조체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의 지지체 구조를 나타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의 커버가 승강되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의 잠금부재가 작동되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에 매립되어 있어 임의로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가 분해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의 지지체 구조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의 커버가 승강되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의 잠금부재가 작동되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결합날개(110)가 마련되어 있는 몸체(100)와, 지면에 형성되어 고정앵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몸체(1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몸체(1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지지체(200)와, 지지체(200)의 중앙에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를 밀폐시키고, 몸체(100)가 삽입되면 지지체(2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커버(300)와, 커버(300)의 하부에서 탄성력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몸체(100)가 회전되면 결합날개(110)와 체결되어 몸체(1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잠금부재(400)와, 몸체(100)의 상단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하강되면 잠금부재(400)를 가압하여 체결된 몸체(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해금부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100)는 차량의 통행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하부면과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몸체(100)의 외부에는 보행자가 부딪혔을 때 발생되는 충격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링 형태로 된 다수 개의 충격흡수 패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충격흡수 패드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0)의 하단에는 다수 개의 결합날개(110)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날개(110)는 몸체(100)가 지지체(200)에 삽입되었을 때 지지체(200)에 구속되어 상하로 몸체(100)가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결합날개(110)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체결홀(111)이 마련되어 있으며, 체결홀(111)은 잠금부재(400)에 의해 체결되어 몸체(100)가 지지체(2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체(200)는 지면에 설치되어 몸체(100)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지지체(200)는 지면에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앵커가 지면에 삽입되면서 비매립 방식으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지지체(200)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이 개구되어 있어 몸체(100)가 상부 중앙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0)에 형성된 결합날개(110)는 지지체(200)에 수직하게 삽입된 후 몸체(1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지지체(200) 내부로 삽입되면서 몸체(10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체(200)의 가장자리에는 고정앵커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앵커홀(27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면에 삽입되는 고정앵커가 앵커홀(270)을 하부 방면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지지체(200)가 지면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커버(300)는 지지체(200)의 개구된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몸체(100)가 지지체(200)에 삽입되면 몸체(100)의 하중에 의해 하강되고, 몸체(100)가 지지체(200)로부터 분리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를 밀폐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즉, 커버(300)는 몸체(100)가 분리되었을 때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보행자가 이동 중 몸체(100)가 분리된 지지체(200)를 밟았을 때 발이 지지체(200)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실족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300)는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를 밀폐시키기 위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결합날개(110)와 동일한 형태 및 수량의 지지날개(310)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날개(110)가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지지체(200)의 인입홈(210)도 함께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잠금부재(400)는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300)를 향해 상부 방면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0)가 지지체(200)에 삽입되어 회전되었을 때 지지체(200) 내부에 삽입된 결합날개(110)의 체결홀(111)에 삽입되면서 몸체(10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잠금부재(400)가 상부로 상승된 상태가 되면 몸체(100)의 결합날개(110)와 체결되게 되어 몸체(100)가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잠금부재(400)가 하부로 하강된 상태가 되면 결합날개(110)와 분리되어 몸체(100)가 회전되어 지지체(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몸체(100)가 지지체(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면 지지체(200) 내측면으로 결합날개(110)가 삽입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몸체(10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되고, 잠금부재(400)가 결합날개(110)의 체결홀(111)에 삽입되면 몸체(100)가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되어 몸체(100)가 지지체(2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해금부재(500)는 몸체(100)의 상단에서 수직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해금부재(500)를 가압하면 해금부재(500)가 하강되면서 잠금부재(400)를 하부 방면으로 가압하여 잠금부재(400)가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해금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체(100)의 상단 중앙에는 장착홀(130)이 마련되어 있으며, 장착홀(130)에는 해금부재(500)가 삽입된 후 장착홀(130) 내부에서 수직하게 승강될 수 있게 되고, 외력에 의해 가압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해금부재(50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해금부재(500)를 가압하여 잠금부재(400)가 하강되는 경우 몸체(100)에 형성된 결합날개(110)가 몸체(100)의 회전방향에 따라 수평방면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므로 몸체(100)를 지지체(200)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몸체(100)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해금부재(500)의 상단은 몸체(100)의 상단에 돌출되어 있어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금부재(500)의 하단은 몸체(100)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있어 해금부재(50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금부재(500)는 커버(300)를 관통하여 커버(300)의 하부에 위치된 잠금부재(4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해금부재(500)가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20)와, 몸체(100)의 상단에 형성되며 해금부재(500)가 노출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몸체(100)의 상단을 덮어 보호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해금부재(5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100)의 상단 중앙에는 해금부재(500)가 형성되어 있는데, 몸체(100)의 상단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해금부재(500)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몸체(100)에 몸을 기대거나 손을 짚었을 때 해금부재(500)가 쉽게 가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몸체(100)의 상단 중앙은 하부 방면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오목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120)의 중앙에는 해금부재(50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홀(130)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오목부(120)를 통해 해금부재(500)는 몸체(100)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되므로 몸체(100)의 상단보다 상부 방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제3자가 몸체(100)에 손을 짚거나 기대었을 때 해금부재(500)를 실수로 누르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금부재(500)를 제3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몸체(100) 상단에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이 씌어져 있으며,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은 몸체(100)의 상단을 가리면서 빗물 및 이물질이 해금부재(500)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제3자가 해금부재(500)를 볼 수 없게 된다.
즉,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된 몸체(100)는 겉으로 보기에는 상단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되게 되며, 몸체(100)를 지지체(200)에 설치하거나 분리할 때 탄성재질로 된 있는 보호캡(도시되지 않음)의 중앙을 가압할 수 있게 되며, 오목부(120)에 설치된 해금부재(500)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체(200)는 개구된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결합날개(110)가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지는 형성되는 인입홈(210)과, 인입홈(210)의 측면에 형성되며 몸체(100)가 회전되면 결합날개(110)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체결홈(220)과, 체결홈(22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잠금부재(400)의 결합단(440)이 관통하여 체결홈(22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홀(221)과, 개구된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잠금부재(400)가 승강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고, 잠금부재(4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홈(240)과, 인입홀의 하부에 형성되며 체결홈(22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커버(300)가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홈(230)과, 개구된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커버(300)가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다수 개의 제1결합홀(250)과, 개구된 하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잠금부재(400)가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결합홀(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체(200)는 지면에 거치된 후 고정앵커가 앵커홀(270)에 삽입되면서 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지지체(20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 개의 앵커홀(27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200)의 상부 중앙은 몸체(10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몸체(100)에 형성된 결합날개(110)가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부위의 내측면에는 인입홈(210)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인입홈(210)은 결합날개(110)의 규격, 형태, 수량, 배치간격에 맞춰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날개(110)가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인입홈(210)도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몸체(100)가 지지체(200)에 삽입될 때 결합날개(110)도 함께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날개(110)는 인입홈(210)을 통해 지지체(200)의 내부로 수직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인입홈(210)의 측면에는 몸체(100)가 회전될 때 결합날개(110)가 지지체(20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홈(220)이 마련되어 있다.
체결홈(220)은 인입홈(210)의 측면에 위치되어 있으며 몸체(100)가 회전되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몸체(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분리되는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홈(220)은 결합날개(110)의 상부면과 하부면과 접촉되어 결합날개(110)가 체결홈(220)에 삽입되면 상부와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몸체(100)가 회전되어 결합날개(110)가 체결홈(220)에 삽입되면 체결홈(220)을 따라 수평방면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홈(220)의 끝단 하부면에는 결합날개(110)에 형성된 체결홀(111)에 잠금부재(400)가 승강되도록 하기 위한 관통홀(221)이 마련되어 있으며, 관통홀(221)은 결합날개(110)가 체결홈(220)의 끝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홀(111)과 중심점이 일치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홀(111)과 관통홀(221)의 중심축이 일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날개(110)가 체결홈(220)의 끝단에 완전히 밀착되면 잠금부재(400)가 승강되어 결합날개(110)를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지지홈(230)은 인입홈(2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홈(22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커버(300)에 형성된 지지날개(310)를 수용하고 커버(300)가 하강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몸체(100)가 지지체(200)에 삽입될 때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를 밀폐시키는 커버(300)는 몸체(100)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하게 되며, 결합날개(11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지지날개(310)는 인입홈(210)을 따라 하강되면서 지지홈(23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즉, 지지홈(230)은 커버(300)가 하강되었을 때 커버(300)를 수용하여 커버(300)의 상부면이 체결홈(220)과 동일한 높이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입홈(210)은 체결홈(220)의 하부면까지 파여진 형태이고, 지지홈(230)은 인입홈(210)의 하부면에서 커버(300)에 형성된 지지날개(310)의 두께만큼 하부 방면으로 더 파여진 것을 의미한다.
커버(300)가 하강하면서 지지날개(310)가 지지홈(230)에 안착되면 지지날개(310)에 의해 커버(300)의 위치도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지지날개(310)의 상부면은 체결홈(220)의 하부면과 높이가 동일해지므로 결합날개(110)가 인입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100)를 회전시켰을 때 결합날개(110)가 체결홈(220)으로 쉽게 인입할 수 있게 된다.
승강홈(240)은 지지체(200)의 개구된 중앙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을 향해 링 형태로 파여져 있어 원형으로 된 잠금부재(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승강홈(240)의 지름은 개구된 지지체(200)의 상부 중앙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잠금부재(400)가 승강홈(240)이 위치되었을 때 상부와 하부로 이동되는 높이가 제한되게 된다.
제1결합홀(250)과 제2결합홀(260)은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결합홀(250)은 커버(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승강축(320)이 삽입되어 수직으로만 이송되도록 하고, 제2결합홀(260)은 잠금부재(400)에 형성된 지지축(450)이 삽입되어 수직으로만 이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결합홀(260)은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제1결합홀(250)은 다수 개가 제2결합홀(260)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커버(300)와 잠금부재(400)는 지지체(200)의 제1결합홀(250)과 제2결합홀(260)에 의해 결합되어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게 되며, 커버(300)와 잠금부재(400)가 승강되기 위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커버(300)는 중앙에 해금부재(500)가 관통하여 잠금부재(4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압홀(340)과, 하부면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체(200)에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축(320)과, 승강축(320)의 하부에 형성되며 몸체(100)가 삽입되어 커버(300)가 하강되면 압축되고, 몸체(100)가 분리되면 복원되어 승강축(320)을 상승시키는 승강스프링(3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300)는 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승강되어 몸체(100)가 지지체(200) 내부로 삽입되면 몸체(100)에 의해 하강된 상태로 유지하고, 몸체(100)가 분리되면 탄성력에 의해 커버(300)가 상승되면서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를 밀폐시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행자의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압홀(340)은 커버(30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몸체(100)에 결합되는 해금부재(500)가 하강되면 해금부재(500)에 형성된 가압축(520)이 커버(300)의 가압홀(340)을 관통하여 커버(300) 하부에 위치된 잠금부재(4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300)의 가장자리에는 결합날개(11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날개(310)가 마련되어 있고, 지지날개(310)는 인입홈(210)에 위치되어 커버(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인입홈(210)을 따라 승강되도록 하여 몸체(100)가 분리되었을 때 인입홈(210)을 밀폐시켜 인입홈(210)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날개(310)는 지지체(200)의 지지홈(230)에 안착되면서 커버(300)가 하강되는 위치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커버(300)의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승강축(3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축(320)은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결합홀(250)에 삽입되도록 커버(300)의 하부면 중앙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커버(300)에 형성되는 지지날개(310) 및 승강축(320)의 위치는 인입홈(210)의 위치와 제1결합홀(250)의 위치와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축(320)의 하단 지름이 중단과 상단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결합홀(250)의 상단과 하단 지름은 각각 승강축(320)의 상단과 중단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결합홀(250)의 중단 지름은 승강축(320)의 하단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승강축(320)이 제1결합홀(2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승강축(320)의 하단은 제1결합홀(250)의 상단과 하단 방면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1결합홀(250)의 상단과 하단의 지름은 승강축(320)의 하단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축(320)이 제1결합홀(2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결합홀(250)의 내부에는 승강축(320)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승강스프링(330)이 마련되어 있으며, 승강스프링(330)은 몸체(100)가 지지체(200)에 삽입되면서 커버(300)가 하강되면 승강축(320)에 의해 압축되고, 몸체(100)가 지지체(200)로부터 분리되면 압축된 상태가 복원되면서 승강축(320)을 상부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몸체(100)가 지지체(200)로 분리되면 커버(300)가 자동으로 지지체(200)의 상부로 이동하여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를 자동으로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잠금부재(400)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일정한 간격으로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420)가 형성된 승강링(410)과, 승강링(410)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승강링(410)이 상승되면 결합날개(110)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몸체(100)가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승강링(410)이 하강되면 결합날개(110)와 분리되어 몸체(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단(440)과, 승강링(410)의 중앙 상부에 형성되며 해금부재(500)가 하강되면 해금부재(500)에 의해 가압력을 승강링(410)으로 전달하는 가압단(430)과, 승강링(410)의 중앙에 형성되며 지지체(20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축(450)과, 지지축(450)의 외면에 형성되어 해금부재(500)가 하강되면 압축되고, 해금부재(500)가 상승되면 복원되어 승강링(410)을 상승시키는 결합스프링(46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잠금부재(400)는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면서 몸체(100)에 형성된 결합날개(110)와 체결될 수 있어 몸체(100)를 지지체(200)에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승강링(410)은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향해 다수 개의 지지대(420)가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어, 지지대(420)와 지지대(4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커버(300)의 승강축(320)이 제1결합홀(250)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지지대(420)는 도면과 같이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지지대(420)가 배치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대(420)가 서로 연결되는 승강링(410)의 중앙은 원형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링(410)은 지지체(200)의 승강홈(240)에 삽입되어 승강홈(240)의 높이만큼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홈(2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링(410)의 지름은 승강홈(240)이 형성된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링(410)의 상부에는 다수 개의 결합단(440)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단(440)의 수는 결합날개(110)의 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결합날개(110)에 형성된 체결홀(111)에 결합단(440)이 삽입되어 결합날개(1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결합단(440)은 지지체(200)의 체결홈(220)에 형성된 관통홀(221)과 중심점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링(410)이 상승되면 관통홀(221)을 통해 결합단(440)이 체결홈(220) 상부로 돌출되어 결합날개(110)의 체결홀(111)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즉, 결합단(440)은 관통홀(221)이 형성된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승강링(410)의 승강에 따라 관통홀(221)을 통해 체결홈(220)의 상부로 돌출되어 결합날개(110)를 고정시키거나, 체결홈(220) 하부로 하강되어 결합날개(1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가압단(430)은 승강링(410)의 중앙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해금부재(500)의 가압축(520)이 접촉될 수 있게 되며, 몸체(100)가 지지체(200)에 삽입되어 커버(300)가 하강된 상태가 되면 커버(300)의 가압홀(340)에 가압단(430)이 삽입된 형태로 위치되어 있으며, 해금부재(500)의 가압축(520)은 가압단(430)과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압단(430)은 상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 가압축(520)과 맞물린 상태로 수직하게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압단(430)이 가압축(520)에 의해 하강되면 지지대(420)를 통해 승강링(410)의 가장자리도 동시에 하강되면서 결합단(440)이 관통홀(221)의 하부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지지축(450)은 승강링(41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지지체(200)의 개구된 부위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제2결합홀(260)에 삽입되어 제2결합홀(260)을 따라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450)이 제2결합홀(260)에 삽입되어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되므로 해금부재(500)가 가압단(430)을 가압하면 승강링(410)을 따라 지지축(450)이 제2결합홀(260)을 따라 하강할 수 있게 되고, 승강링(410)의 중앙에서 가압력이 발생되고 지지축(450)이 수직하게 하강될 수 있으므로 승강링(410)의 가장자리는 기울어지지 않고 평행하게 하강될 수 있게 된다.
결합스프링(460)은 지지축(45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은 지지체(200)의 개구된 바닥면과 접촉되고 상단은 승강링(410)의 중앙 하부면과 접촉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결합스프링(460)은 해금부재(500)에 의해 가압단(430)이 가압되어 승강링(410)이 하강하는 경우 승강링(41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가압단(43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압축된 결합스프링(460)이 복원되면서 승강링(410)을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해금부재(500)가 가압단(430)을 가압하는 경우에만 승강링(410)이 하강되어 결합단(440)이 체결홈(220)과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고, 해금부재(5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승강링(410)이 상승되어 체결홈(220)에 결합단(440)이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해금부재(500)는 몸체(10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위치(510)와, 스위치(510)의 외주면에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몸체(100)에 형성된 장착홀(130)에 구속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날개(530)와, 승강날개(530)의 하부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스위치(510)가 하강되면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되어 스위치(510)를 상승시키는 복귀스프링(540)과, 스위치(5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스위치(510)의 승강상태에 따라 해금부재(500)를 가압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가압축(5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금부재(500)는 잠금부재(400)를 가압하여 잠금을 해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체(1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따라 하강되어 잠금부재(40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치(510)는 몸체(100)의 상단에 형성된 장착홀(13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스위치(510)의 상부면은 몸체(100)의 오목부(120)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스위치(510)를 누르기 쉽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위치(510)의 외주면에는 링 형태로 돌출되는 승강날개(5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승강날개(530)는 결합홀의 내부 공간에 구속되어 승강되는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결합홀은 상단과 하단의 지름이 스위치(510)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중단은 승강날개(530)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스위치(510)가 승강될 때 승강날개(530)가 결합홀의 상단과 하단의 지름이 변화되는 구간까지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날개(530)의 하부에는 복귀스프링(540)이 마련되어 있어 스위치(510)가 가압되어 하강되면 승강날개(53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된 상태로 유지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상태로 복원되면서 승강날개(530)를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잠금부재(4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는 스위치(510)를 가압한 상태로 누르고 있으면 되고, 다시 잠금상태로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위치(510)에서 손을 떼면 복귀스프링(540)에 의해 스위치(510)가 상승되면서 잠금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가압축(520)은 스위치(510)의 하부에서 몸체(100)의 하단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몸체(100)가 지지체(200)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가압축(520)이 가압단(430)의 상부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가압단(430)의 상부에 가압축(520)이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잠금부재(400)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스위치(510)를 가압하면 가압축(520)이 가압단(430)을 가압하여 승강링(410)이 하강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압축(520)은 커버(300)에 형성된 가압홀(340)을 관통하면서 하강될 수 있게 되며, 승강링(410)이 하강됨에 따라 결합단(440) 승강홈(240)에서 분리되면서 결합날개(110)를 고정위치로 회전시켜 몸체(100)가 고정되도록 하거나 인입홈(210) 방면으로 회전시켜 몸체(10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몸체(100)가 지지체(200)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몸체(10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커버(300)가 승강스프링(330)에 의해 지지체(20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몸체(100)에 형성된 결합날개(110)의 위치를 지지체(200)에 형성된 인입홈(210)에 맞춘 상태로 몸체(100)를 가압하면 커버(300)가 하강되면서 몸체(100)가 지지체(2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커버(300)는 인입홈(210)의 하부에 형성된 지지홈(230)까지 하강한 후 고정되게 되고, 몸체(100)의 결합날개(110)는 체결홈(220)이 형성된 위치까지 하강된 상태가 된다.
이후 몸체(100)를 회전시키면 결합날개(110)가 체결홈(220)에 삽입되게 되고, 체결홈(220)에 형성된 관통홀(221)에는 잠금부재(400)의 결합단(440)이 돌출되어 있어 결합날개(110)가 체결홈(220)의 끝단까지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이때 해금부재(500)의 스위치(510)를 눌러 하강시키면 가압축(520)이 잠금부재(400)의 승강링(410)을 하강시켜 결합단(440)이 관통홀(221) 하부로 하강하게 되므로, 몸체(100)를 회전시켜 결합날개(110)가 체결홈(220)의 끝단까지 밀착되도록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누르고 있던 해금부재(500)의 스위치(510)를 놓게 되면 가압축(520)이 복귀스프링(540)에 의해 상승하면서 잠금부재(400)의 승강링(410)도 결합스프링(460)에 의해 상승되어 결합단(440)이 관통홀(221)을 통해 체결홈(220) 내부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결합단(440)이 체결홈(220) 내부로 돌출되면 결합날개(110)에 형성된 체결홀(111)에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몸체(100)가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체(2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몸체(100)를 지지체(20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해금부재(500)의 스위치(510)를 가압하여 잠금부재(400)의 승강링(410)이 하강하도록 하여 결합단(440)이 결합날개(110)의 체결홀(111)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승강링(410)이 하강되면 몸체(100)가 회전될 수 있게 되며, 몸체(100)가 회전된 후 해금부재(500)의 스위치(510)를 놓게 되면 승강링(410)이 결합스프링(460)에 의해 상승되게 된다.
몸체(100)는 인입홈(210)이 있는 방면으로 회전시켜 결합날개(110)가 인입홈(210)에 위치되게 되면 커버(300)에 형성된 승강스프링(330)에 의해 커버(300)가 상승하면서 지지체(200)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몸체(100)가 자동으로 지지체(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에 의하면, 잠금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제3자가 잠금장치의 구조를 파악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고, 열쇠 또는 공구의 도움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볼라드를 쉽고 간편하게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으며, 볼라드가 분리되었을 때 바닥에 설치된 구조체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몸체 110 : 결합날개
111 : 체결홀 120 : 오목부
130 : 장착홀 200 : 지지체
210 : 인입홈 220 : 체결홈
221 : 관통홀 230 : 지지홈
240 : 승강홈 250 : 제1결합홀
260 : 제2결합홀 270 : 앵커홀
300 : 커버 310 : 지지날개
320 : 승강축 330 : 승강스프링
340 : 가압홀 400 : 잠금부재
410 : 승강링 420 : 지지대
430 : 가압단 440 : 결합단
450 : 지지축 460 : 결합스프링
500 : 해금부재 510 : 스위치
520 : 가압축 530 : 승강날개
540 : 복귀스프링

Claims (6)

  1.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결합날개가 마련되어 있는 몸체와;
    지면에 형성되어 고정앵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몸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상기 몸체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중앙에 형성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체의 개구된 부위를 밀폐시키고, 상기 몸체가 삽입되면 상기 지지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부에서 탄성력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날개와 체결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잠금부재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외력에 의해 하강되면 상기 잠금부재를 가압하여 체결된 상기 몸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해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개구된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날개가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파여지는 형성되는 인입홈과;
    상기 인입홈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회전되면 상기 결합날개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부재의 결합단이 관통하여 상기 체결홈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관통홀과;
    개구된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승강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잠금부재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홈과;
    상기 인입홈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홈과;
    개구된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가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다수 개의 제1결합홀과;
    개구된 하부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가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2결합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일정한 간격으로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가 형성된 승강링과;
    상기 승강링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링이 상승되면 상기 결합날개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승강링이 하강되면 상기 결합날개와 분리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단과;
    상기 승강링의 중앙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해금부재가 하강되면 상기 해금부재에 의해 가압력을 상기 승강링으로 전달하는 가압단과;
    상기 승강링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에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해금부재가 하강되면 압축되고, 상기 해금부재가 상승되면 복원되어 상기 승강링을 상승시키는 결합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중앙에 상기 해금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잠금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압홀과;
    하부면에 다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에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축과;
    상기 승강축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가 하강되면 압축되고, 상기 몸체가 분리되면 복원되어 상기 승강축을 상승시키는 승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금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외주면에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형성된 장착홀에 구속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승강날개와;
    상기 승강날개의 하부에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하강되면 압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되어 상기 스위치를 상승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스위치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의 승강상태에 따라 상기 해금부재를 가압하여 잠금을 해제하는 가압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해금부재가 외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해금부재가 노출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을 덮어 보호하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해금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방지되는 안전 볼라드.
KR1020220124855A 2022-09-30 2022-09-30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 KR102605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55A KR102605225B1 (ko) 2022-09-30 2022-09-30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855A KR102605225B1 (ko) 2022-09-30 2022-09-30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225B1 true KR102605225B1 (ko) 2023-11-23

Family

ID=88974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855A KR102605225B1 (ko) 2022-09-30 2022-09-30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2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575Y1 (ko) 2002-11-20 2003-02-26 김규종 분리형 볼라드
KR200330045Y1 (ko) * 2003-07-18 2003-10-11 홍종일 차선표지장치
KR20120068315A (ko) * 2010-12-17 2012-06-27 안종갑 착탈식 차선 규제봉
KR102027341B1 (ko) * 2019-05-21 2019-10-01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일방향 회동형 볼라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575Y1 (ko) 2002-11-20 2003-02-26 김규종 분리형 볼라드
KR200330045Y1 (ko) * 2003-07-18 2003-10-11 홍종일 차선표지장치
KR20120068315A (ko) * 2010-12-17 2012-06-27 안종갑 착탈식 차선 규제봉
KR102027341B1 (ko) * 2019-05-21 2019-10-01 유한회사 원진알미늄 일방향 회동형 볼라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4568B1 (en) Shock absorbing retractable bollard systems
US9410298B2 (en) Structural tube based movable vehicle crash barrier gate
US20070240942A1 (en) Safety Device for Operator Protection in Low-Height Shaft Bottom End Elevators and Elevator Equipped Therewith
US20100012427A1 (en) Mobile anchoring and fall prevention device
US9347191B2 (en) Structural tube based vehicle crash fence
JPS6299574A (ja) 敷地への接近を管理する障碍装置
CA2803836C (en) Guard rail safety system
US5671568A (en) Hurricane shelter
KR102605225B1 (ko)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잠금장치가 내부에 마련된 안전 볼라드
KR101827876B1 (ko) 인출방지부재가 보강된 차량 진입 방지용 볼라드
KR100663097B1 (ko) 도로 등 토목용 터널 공동구의 댐퍼식 덮개
KR101999672B1 (ko) 고정장치가 구비된 매립형 유도등
KR200422824Y1 (ko) 차량 진입 방지용 지주
US5819471A (en) Retractable post
KR101449876B1 (ko) 볼라드
KR100663098B1 (ko) 도로 등 토목용 터널 공동구의 힌지식 덮개
KR200451407Y1 (ko) 충격흡수 볼라드
KR20050111453A (ko) 수동으로 승하강되는 차량진입 차단용 볼라드
EP3507420B1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a tiled floor
GB2234766A (en) Removable post fixing device
KR200470254Y1 (ko) 출몰식 로드마커
KR101420062B1 (ko) 볼라드
JPH0953248A (ja) 大地震対応の構造物
KR102585958B1 (ko) 수압에 의해 개폐되는 자가 부상형 맨홀
KR200407492Y1 (ko) 도로 시설물 보호대 겸용 편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