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976B1 -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 - Google Patents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976B1
KR102604976B1 KR1020210144534A KR20210144534A KR102604976B1 KR 102604976 B1 KR102604976 B1 KR 102604976B1 KR 1020210144534 A KR1020210144534 A KR 1020210144534A KR 20210144534 A KR20210144534 A KR 20210144534A KR 102604976 B1 KR102604976 B1 KR 10260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exhaust
air
heat exchanger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0157A (ko
Inventor
김진만
Original Assignee
진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호(주) filed Critical 진호(주)
Priority to KR1020210144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9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6Self-contained devices, i.e. including own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particularly adapted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동력이 아닌 배터리 전원만으로 주행작동하는 전기자동차에 대해서, 저전력으로 운영할 수 있는 소형의 압축기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공간협소로 최소 공간을 이루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맞춤형으로 에어컨디셔너를 초소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주행이나 협소 공간에도 최적합하게 운영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압축기(151), 배기열교환기(31), 팽창밸브(153) 및 냉방열교환기(41)를 포함하는 열교환기구성(15)을 구비하고, 소형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에어컨디셔너에 있어서, 배기열교환기(31)가 장착되는 1층의 하부배기작동부(30); 실내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방열교환기(41)가 장착되는 2층의 상부냉방작동부(40); 및 1층의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0)와, 2층의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배기작동부(30)와 상부냉방작동부(40)를 분리하는 판상 형태의 냉방층분리플레이트(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AIR CONDITIONER FOR MICRO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동력이 아닌 배터리 전원만으로 주행작동하는 전기자동차에 대해서, 저전력으로 운영할 수 있는 소형의 압축기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도 공간협소로 최소 공간을 이루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맞춤형으로 에어컨디셔너를 초소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주행이나 협소 공간에도 최적합하게 운영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는 엔진 동력으로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의 충전 전원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주행 및 자동차의 장치들을 작동시키는 전력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대체로 일반 전기자동차는 탑재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서 수백킬로미터 주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출력 에어컨디셔너 및 히터 등의 장치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에 반해 초소형 자동차의 경우 1인용 승용차로 이루어지면서 탑재공간을 최소화하였기 때문에, 배터리도 소형으로 탑재하게 된다. 따라서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경우 배터리 전원이 최소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 배터리 전원은 주행에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에어컨디셔너 등의 장치들에서는 될 수 있으면 전력소모를 이루지 않기 위해서, 기존의 초소형 전기자동차에서는 에어컨디셔너를 설치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무더운 여름에는 창문을 열고 운행하거나 또는 개인용 휴대용 소형 선풍기에 의존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무더위에도 운행여건이 좋지 않기 때문에 이를 해소할 수 있는 개선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1760446호(2017년 07월 25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2300211호(2021년 09월 13일 공고) 등록특허번호 제10-2005958호(2019년 08월 01일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에 관한 것으로, 소형 배터리 탑재에 알맞도록 저전력 구동할 수 있는 압축기 등을 소형으로 구비하면서, 1인용으로 협소한 장소를 극복하기 위하여 의자 아래에 에어컨디셔너를 설치하면서, 에어컨디셔너의 구성들을 다층 구조로 위치시킴으로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컨디셔너의 작동으로 고온의 배기 공기는 1층을 통하여 배기시키고, 실내로 공급하는 냉기 공기는 2층을 통하여 공급함으로써 층 분리로 인해 냉기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기 공기의 흐름 공간내에 압축기 등 에어컨디셔너 작동으로 인해 열기가 발생되는 구성을 배기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장치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기(151), 배기열교환기(31), 팽창밸브(153) 및 냉방열교환기(41)를 포함하는 열교환기구성(15)을 구비하고, 소형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에어컨디셔너에 있어서, 배기열교환기(31)가 장착되는 1층의 하부배기작동부(30); 실내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방열교환기(41)가 장착되는 2층의 상부냉방작동부(40); 및 1층의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0)와, 2층의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배기작동부(30)와 상부냉방작동부(40)를 분리하는 판상 형태의 냉방층분리플레이트(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는,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의 후방으로 위치되는 배기열교환기(31);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 내부의 공기를 후방 배기열교환기(31) 측으로 송풍시키는 배기팬(32);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 내부로 배기용 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하부측방향케이스(211)에 다공을 형성한 배기공기유입부(33); 및 상기 배기열교환기(31)를 지난 배기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토출구(34)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는,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의 후방으로 위치되는 냉방열교환기(41);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냉방팬(42);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의 후방 케이스에 다공을 형성하여 냉방열교환기(41) 측으로 열교환용 공기가 투입되는 냉방공기유입부(43); 상기 냉방팬(42)에 의하여 초소형 전기자동차 내부로 냉방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방조향토출구(44) 또는 냉방덕트(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 및 하부배기작동부(30)를 포함하여 실내로 냉방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흐름구성은, 에어컨디셔너(20)의 케이스인 컨디셔너케이스(21) 중에서 하부측인 하부측방향케이스(211)에 형성된 배기공기유입부(33)로 배기공기가 유입되고, 배기팬(32)의 작동으로 배기공기공간(36) 내의 배기의 공기가 배기열교환기(31)를 지나서 열교환되어 컨디셔너케이스(21)의 하부인 하부후방케이스(212)에 구비된 배기토출구(34)를 통해 배기되는 하부측입후출배기 공기흐름구성; 및 컨디셔너케이스(21) 중에서 상부인 상부후방케이스(213)에 다공을 형성한 냉방공기유입부(43)로 부터 냉방공기가 유입되어 냉방공기공간(46)으로 흐르고, 냉방팬(42)의 작동으로 냉방열교환기(41)를 지난 열교환된 냉방공기가 컨디셔너케이스(21)의 상부측인 상부측방케이스(214)에 구비된 냉방조향토출구(44) 또는 냉방덕트(50)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상부후입측출냉방 공기흐름구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에서 냉기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냉방덕트(50); 및 상기 냉방덕트(50) 끝단에 결합되어 실내로 냉기 공기를 공급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토출방향조절부(45)를 구비하고, 상기 냉방덕트(50)는, 상기 냉방열교환기(41)를 지난 냉기가 냉방팬(42)에 의해 유입되는 냉기유입부(51); 상기 냉기유입부(51)와 연결되어 후방으로 냉기를 유도하는 후방회절부(52); 상기 후방회절부(52)와 연결되어 측방향으로 냉기를 유도하는 측방향연장부(53); 상기 측방향연장부(53)와 둔각으로 연결되어 측방향으로 흐르는 냉기를 전방 측으로 선회하도록 하기 위한 선회유도부(54); 상기 선회유도부(54)와 둔각으로 연결되어 전방향으로 향하여 냉기가 전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직진유도부(55); 및 상기 직진유도부(55)와 연결되어 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에서 토출방향조절부(45)와 연결되어 냉기를 전방 방향의 토출방향조절부(45)로 흐르도록 하는 전방토출직진부(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에 관한 것으로, 소형 배터리 탑재에 알맞도록 저전력 구동할 수 있는 압축기 등을 소형으로 구비하면서, 1인용으로 협소한 장소를 극복하기 위하여 의자 아래에 에어컨디셔너를 설치하면서, 에어컨디셔너의 구성들을 다층 구조로 위치시킴으로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에어컨디셔너의 작동으로 고온의 배기 공기는 1층을 통하여 배기시키고, 실내로 공급하는 냉기 공기는 2층을 통하여 공급함으로써 층 분리로 인해 냉기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배기 공기의 흐름 공간내에 압축기 등 에어컨디셔너 작동으로 인해 열기가 발생되는 구성을 배기 공간에 배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장치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가 장착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가 초소형 전기자동차의 의자 아래에 장착된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에서의 작동 구성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일 실시예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에 대해서 외부 케이스 일부가 제거된 상태에 대한 전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에 대해서 외부 케이스 일부가 제거된 상태에 평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냉기 배출을 위한 냉방덕트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에 대해서 외부 케이스 등의 일부 구성이 제거되어 하부배기작동부가 보이는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2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 등에서와 같이, 압축기(151), 배기열교환기(31), 팽창밸브(153) 및 냉방열교환기(41)를 포함하는 열교환기구성(15)을 구비하고, 초소형 전기자동차(10)에 장착되는 에어컨디셔너(20)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도 2 등에서와 같이 초소형 전기자동차(10)의 협소한 공간 활용을 위하여, 의자(11) 아래에 에어컨디셔너(20)를 설치한 것으로써, 초소형 전기자동차(10)의 협소한 공간여건이지만 최대한 활용하여 에어컨디셔너(20)를 설치한 것이다.
초소형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용량이 작기 때문에 대부분 주행에 소모하고 있는데, 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전력소모가 적은 작은 크기의 압축기 등을 이용함으로써 저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는 구성을 이루며, 작은 크기의 구성들을 2층으로 구성하기 때문에 공간 협소의 난제도 함께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2층 구조로 에어컨디셔너(20)를 구성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20)가 초소형 전기자동차(10)의 의자(11) 아래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그리고 컨디셔너케이스(21) 전면에 조작을 위한 패널(23)이 마련된다.
이에 대한 상세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배기열교환기(31)가 장착되는 1층의 하부배기작동부(30)가 마련된다.
아울러 실내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방열교환기(41)가 장착되는 2층의 상부냉방작동부(40)가 함께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7 내지 도 10 등에서와 같이 1층의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와, 2층의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배기작동부(30)와 상부냉방작동부(40)를 분리하는 판상 형태의 냉방층분리플레이트(60)가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냉방층분리플레이트(60)에 의하여, 아래 하부배기작동부(30)와 2층의 상부냉방작동부(40)가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에어컨디셔너는 냉기를 사용자가 있는 실내로 보내는 것으로, 냉기가 발생되는 곳은 저온의 공기 흐름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 저온 공기 흐름 공간에서의 저온 발생만큼, 상대적으로 고온의 열기가 응축기인 배기열교환기(31)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이며, 이러한 고온 열기 흐름 공간이 바로 1층인 하부배기작동부(30)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즉 1층의 하부배기작동부(30)와, 상부 2층의 상부냉방작동부(40) 등은 서로의 작동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상당한 차이의 온도차이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 두 영역 사이의 온도차이가 효율적으로 형성되어야만 에어컨디셔너(20)의 냉방 효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들 상부냉방작동부(40)와 하부배기작동부(30) 등이 단순히 공간적으로만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냉방층분리플레이트(60)에 의하여 온도 차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10)에 있어서의 에어컨디셔너(20)는 대체로 고온을 형성하는 1층의 하부배기작동부(30), 상대적으로 저온을 형성하는 2층의 상부냉방작동부(40), 이에 더하여 이들 작동부들의 공간을 분리하면서 단열도 이루는 냉방층분리플레이트(60)로 하여, 공간 및 단열 상태를 분리하는 것이다. 이로써 초소형 전기자동차(10)용 에어컨디셔너(20)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순히 크기만 소형으로 구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각각의 온도 상황을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해 층 분리 및 단열의 구성도 함께 이루어 냉방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에 우선 상하층 별로 각 구성들에 대한 상세 구성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소형 전기자동차(10)는 설명한 바와 같이 협소한 공간 제한에서도 에어컨디셔너(20)를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에어컨디셔너(20)를 2층 구조로 이루어지게 하며, 이 중에서도 1층은 에어컨디셔너(20)의 작동 구성 부재들을 위치시킴으로써, 에어컨디셔너(20)의 무게 중심이 아래로 위치되게 하여, 장치의 안정된 설치가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에어컨디셔너(20)의 1층 구성인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의 세부 구성으로써,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의 후방으로 위치되는 배기열교환기(31)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 내부의 공기를 후방 배기열교환기(31) 측으로 송풍시키는 배기팬(32) 등이 마련된다. 이로써 배기팬(32)에 의하여 하부배기작동부(30) 내의 공기가 배기열교환기(31)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배기열교환기(31)는 에어컨디셔너(20) 작동으로 고온을 형성하기 때문에, 배기팬(32)에 의하여 흐르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 내부로 배기용 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하부측방향케이스(211)에 다공을 형성한 배기공기유입부(33)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열교환기(31)를 지난 배기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토출구(34)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처럼 배기팬(32)에 의하여 하부배기작동부(30)에서는 배기공기유입부(3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기열교환기(31)를 거쳐 배기토출구(34)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이처럼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 및 하부배기작동부(30)를 포함하여 실내로 냉방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흐름구성 중에서, 1층인 하부배기작동부(30)에서의 공기흐름구성은, 에어컨디셔너(20)의 케이스인 컨디셔너케이스(21) 중에서 하부측인 하부측방향케이스(211)에 형성된 배기공기유입부(33)로 배기공기가 유입되고, 배기팬(32)의 작동으로 배기공기공간(36) 내의 배기의 공기가 배기열교환기(31)를 지나서 열교환되어 컨디셔너케이스(21)의 하부인 하부후방케이스(212)에 구비된 배기토출구(34)를 통해 배기되는 하부측입후출배기 공기흐름구성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하부측입후배출배기 공기흐름구성에 의하여, 1층의 하부배기작동부(30)의 측방향에서 유입된 배기 공기는, 배기팬(32)에 의하여, 배기열교환기(31)를 거쳐 후방인 배기토출구(34)인 후방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하부배기작동부(30) 내에는, 열교환을 위하여 마련되는 압축기, 드라이어, 그리고 컨트롤러(22) 등이 마련되는 것으로, 이러한 에어컨디셔너(20) 대부분의 구성부재들이 아래 1층인 하부배기작동부(30) 내에 위치함으로써, 전체 무게가 에어컨디셔너(20) 아래 쪽으로 쏠리게 함으로써, 전체 에어컨디셔너(20) 하중이 아래로 위치되어, 안정적인 무게중심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압축기(151), 컨트롤러(22), 전원공급장치 등에서 발생되는 열기도, 하부배기작동부(30)에 설치된 배기팬(32)에 의하여 열기가 함께 배출됨으로써 장치 운영의 안정성도 높아지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 등에서와 같이 배기토출구(34)와 연결되는 배기관을 통하여 배기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에어컨디셔너(20)의 2층인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에는, 대체로 실내로 냉기가 공급되는 구성이 위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의 후방으로 위치되는 냉방열교환기(41), 그리고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냉방팬(42) 등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의 후방 케이스에 다공을 형성하여 냉방열교환기(41) 측으로 열교환용 공기가 투입되는 냉방공기유입부(43), 그리고 상기 냉방팬(42)에 의하여 초소형 전기자동차 내부로 냉방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방조향토출구(44) 또는 냉방덕트(50)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냉방조향토출구(44)는 도 6에서와 같이 상부냉방작동부(40)의 측부에 바로 붙여 구성하여, 방향조절기를 통하여 실내로 냉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냉방덕트(50)의 경우 도 8, 도 9 등의 예에서처럼 대체로 상부냉방작동부(40)에서 실내로 흐르는 냉기 공기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해 별도의 공기 흐름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 및 하부배기작동부(30)를 포함하여 실내로 냉방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흐름구성 중에서, 상부냉방작동부(40)에서의 공기흐름구성은, 컨디셔너케이스(21) 중에서 상부인 상부후방케이스(213)에 다공을 형성한 냉방공기유입부(43)로 부터 냉방공기가 유입되어 냉방공기공간(46)으로 흐르고, 냉방팬(42)의 작동으로 냉방열교환기(41)를 지난 열교환된 냉방공기가 컨디셔너케이스(21)의 상부측인 상부측방케이스(214)에 구비된 냉방조향토출구(44) 또는 냉방덕트(50)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상부후입측출냉방 공기흐름구성을 이루는 것이다.
즉 상부냉방작동부(40) 내에서 후방에 위치된 냉방열교환기(41)의 전방 쪽에 위치한 냉방팬(42)에 의하여, 상부냉방작동부(40) 후방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냉방팬(42)에 의하여 상부냉방작동부(40)의 측방향으로 냉기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에서 냉기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냉방덕트(50); 및 상기 냉방덕트(50) 끝단에 결합되어 실내로 냉기 공기를 공급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토출방향조절부(45) 등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상기 냉방덕트(50)는, 도 8,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냉방열교환기(41)를 지난 냉기가 냉방팬(42)에 의해 유입되는 냉기유입부(51)가 마련된다. 대체로 냉기유입부(51)는 냉방팬(42)과 연결되어, 냉방팬(42)의 토출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냉방덕트(50)는, 상기 냉기유입부(51)와 연결되어 후방으로 냉기를 유도하는 후방회절부(52)를 구비한다. 이러한 후방회절부(52)에 의하여 냉방덕트(50)에서의 공기 흐름은, 에어컨디셔너(20)에 대해 후방으로 향하여 흐르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냉방덕트(50)는, 상기 후방회절부(52)와 연결되어 측방향으로 냉기를 유도하는 측방향연장부(53)를 구비한다. 즉 후방회절부(52)에 의하여 냉기 공기 흐름이 후방으로 위치되어 흐르는 중에, 상부냉방작동부(40)의 측방 외부로 흐르게 하는 것이다.
또한 냉방덕트(50)는, 상기 측방향연장부(53)와 둔각으로 연결되어 측방향으로 흐르는 냉기를 전방 측으로 선회하도록 하기 위한 선회유도부(54)를 구비한다.
즉 이에 측방향연장부(53)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흐르는 냉기 공기가, 선회유도부(54)에 의하여 전방 측 방향으로 살짝 휘어지면서 흐르게 된다.
아울러 냉방덕트(50)는, 상기 선회유도부(54)와 둔각으로 연결되어 전방향으로 향하여 냉기가 전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직진유도부(55)가 구비된다.
즉 측방향연장부(53)에서 측방향으로 흐르는 냉기 공기가 전방 실내로 공급되기 위해 직각으로 꺾일 경우 바람 세기가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1단계로 선회유도부(54)에 의해 둔각 방향으로 냉기 바람을 흐르게 한 다음에, 다시 직진유도부(55)에 의하여 전방 방향 흐르기 위해 둔각 방향으로 살짝 냉기가 흐르는 방향을 살짝 꺾게 된다.
아울러 냉방덕트(50)는, 상기 직진유도부(55)와 연결되어 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에서 토출방향조절부(45)와 연결되어 냉기를 전방 방향의 토출방향조절부(45)로 흐르도록 하는 전방토출직진부(56)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앞서 설명한 직진유도부(55)는 아직 전방으로 향하지 않으며, 이에 직진유도부(55)와 연결되는 전방토출직진부(56)에 의하여 전방 방향으로, 냉기 공기가 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로써 냉기 공기는 측방향연장부(53)에 연결되는 선회유도부(54) 및 직진유도부(55) 등에 의하여 바람세기가 유지되면서 전방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더하여 냉기유입부(51)와 연결된 후방회절부(52)에 의하여, 냉기 공기가 후방으로 향하여 흐르게 함으로서, 이후의 측방향연장부(53), 선회유도부(54), 직진유도부(55), 그리고 전방토출직진부(56) 등에 의하여 후방으로 향하였던 냉기 공기가 전방 방향으로 향하여 공급되는 것이다.
이는 냉기 공기가 전방 실내로 흐르게 함에 있어서, 냉방열교환기(41), 냉방팬(42) 등에 의해 전방에서 실내로 토출될 수도 있지만, 그렇게 되면 냉기 공기가 실내로 공급됨에 전방 방향으로 치우쳐 냉기 공기가 공급될 수도 있다. 따라서 후방회절부(52)에 의하여, 될 수 있으면 냉기가 토출되는 위치가 좀더 후방으로 위치되어, 전방 실내로 토출되게 함으로써, 그만큼 더 넓은 전방 영역으로 냉기 공기가 공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6에서와 같이 2층의 상부냉방작동부(40)에는 필요한 경우 냉방공기유입부(43) 측에 필터를 더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 : 초소형 전기자동차 15 : 열교환기구성
20 : 에어컨디셔너 30 : 하부배기작동부
31 : 배기열교환기 32 : 배기팬
40 : 상부냉방작동부 41 : 냉방열교환기
42 : 냉방팬 50 : 냉방덕트

Claims (4)

  1. 압축기(151), 배기열교환기(31), 팽창밸브(153) 및 냉방열교환기(41)를 포함하는 열교환기구성(15)을 구비하고, 소형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것이며,
    배기열교환기(31)가 장착되는 1층의 하부배기작동부(30);
    실내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방열교환기(41)가 장착되는 2층의 상부냉방작동부(40); 및
    1층의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0)와, 2층의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배기작동부(30)와 상부냉방작동부(40)를 분리하는 판상 형태의 냉방층분리플레이트(60)를 포함하는 에어컨디셔너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는,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의 후방으로 위치되는 배기열교환기(31);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 내부의 공기를 후방 배기열교환기(31) 측으로 송풍시키는 배기팬(32);
    상기 하부배기작동부(30) 내부로 배기용 공기를 투입하기 위해 하부측방향 케이스(211)에 다공을 형성한 배기공기유입부(33); 및
    상기 배기열교환기(31)를 지난 배기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토출구(34)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는,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의 후방으로 위치되는 냉방열교환기(41);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냉방팬(42);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의 후방 케이스에 다공을 형성하여 냉방열교환기(41) 측으로 열교환용 공기가 투입되는 냉방공기유입부(43);
    상기 냉방팬(42)에 의하여 초소형 전기자동차 내부로 냉방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방조향토출구(44) 또는 냉방덕트(5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 및 하부배기작동부(30)를 포함하여 실내로 냉방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흐름구성은,
    에어컨디셔너(20)의 케이스인 컨디셔너케이스(21) 중에서 하부측인 하부측방향케이스(211)에 형성된 배기공기유입부(33)로 배기공기가 유입되고, 배기팬(32)의 작동으로 배기공기공간(36) 내의 배기의 공기가 배기열교환기(31)를 지나서 열교환되어 컨디셔너케이스(21)의 하부인 하부후방케이스(212)에 구비된 배기토출구(34)를 통해 배기되는 하부측입후출배기 공기흐름구성; 및
    컨디셔너케이스(21) 중에서 상부인 상부후방케이스(213)에 다공을 형성한 냉방공기유입부(43)로 부터 냉방공기가 유입되어 냉방공기공간(46)으로 흐르고, 냉방팬(42)의 작동으로 냉방열교환기(41)를 지난 열교환된 냉방공기가 컨디셔너케이스(21)의 상부측인 상부측방케이스(214)에 구비된 냉방조향토출구(44) 또는 냉방덕트(50)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상부후입측출냉방 공기흐름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냉방작동부(40)에서 냉기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냉방덕트(50); 및
    상기 냉방덕트(50) 끝단에 결합되어 실내로 냉기 공기를 공급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토출방향조절부(45)를 구비하고,
    상기 냉방덕트(50)는,
    상기 냉방열교환기(41)를 지난 냉기가 냉방팬(42)에 의해 유입되는 냉기유입부(51);
    상기 냉기유입부(51)와 연결되어 후방으로 냉기를 유도하는 후방회절부(52);
    상기 후방회절부(52)와 연결되어 측방향으로 냉기를 유도하는 측방향연장부(53);
    상기 측방향연장부(53)와 둔각으로 연결되어 측방향으로 흐르는 냉기를 전방 측으로 선회하도록 하기 위한 선회유도부(54);
    상기 선회유도부(54)와 둔각으로 연결되어 전방향으로 향하여 냉기가 전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직진유도부(55); 및
    상기 직진유도부(55)와 연결되어 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에서 토출방향조절부(45)와 연결되어 냉기를 전방 방향의 토출방향조절부(45)로 흐르도록 하는 전방토출직진부(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44534A 2021-10-27 2021-10-27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 KR10260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34A KR102604976B1 (ko) 2021-10-27 2021-10-27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34A KR102604976B1 (ko) 2021-10-27 2021-10-27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157A KR20230060157A (ko) 2023-05-04
KR102604976B1 true KR102604976B1 (ko) 2023-11-23

Family

ID=86379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534A KR102604976B1 (ko) 2021-10-27 2021-10-27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9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4644A (ja) * 2016-03-03 2017-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二輪車用エアコン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エアコン付き二輪車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522A (ko) * 2012-10-05 2014-04-15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 운전실용 냉,난방을 이용한 냉기 및 온기 저장장치
KR101760446B1 (ko) 2015-08-20 2017-07-25 주식회사 신영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냉각유로 구조체
KR102005958B1 (ko) 2017-11-17 2019-08-01 성현모터스 주식회사 초소형 전기자동차 도어용 창유리
KR102260952B1 (ko) * 2019-06-05 2021-06-04 주식회사유니캠프 승합차용 냉방장치의 가열공기 배출장치
KR102300211B1 (ko) 2019-10-28 2021-09-13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초소형 전기 자동차의 안전성능향상을 위한 주행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4644A (ja) * 2016-03-03 2017-09-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二輪車用エアコン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エアコン付き二輪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157A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0682B2 (ja) 軌道系電動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および軌道系電動車両
JP4263740B2 (ja) モジュール式ルーフトップ空調システム構成
JP5819813B2 (ja) 自給式冷却モジュールを備えた事前調節式空気ユニット
EP2210751B1 (en) On-vehicle temperature controller
US20090031742A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5819814B2 (ja) 可変周波数駆動による事前調節式空気ユニット
US20080110185A1 (en) Vehicle HVAC system
JPH05262144A (ja) 電気自動車におけるバッテリ温度制御装置
KR20010007282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US20110016894A1 (en) Truck Air Conditioner for Keeping Cabin Temperature Comfortable Independently of the Vehicle Engine
WO2017104254A1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7107718A1 (zh) 多轴载人飞行器
JP2016137846A (ja) シート及びシート送風装置
EP3560789B1 (en) Railway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604976B1 (ko)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
CN104290565A (zh) 背置式电动客车空调
JP2022043497A (ja) 空気調和装置
CN107953740B (zh) 空调单元
WO2022143945A1 (zh) 全功能仓、具有充电室的扩展仓以及换电站
JP2020199805A (ja) 車両用空調装置
CN211617374U (zh) 车载空调系统
WO2010098049A1 (ja) 車載用温度調節装置
JP3229995B2 (ja) ボイドスラブを利用した躯体蓄熱空調方式
WO2017081744A1 (ja) 冷却システム
CN109733159B (zh) 内置在车辆内部的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