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760B1 - 무릎 관절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무릎 관절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760B1
KR102604760B1 KR1020210095799A KR20210095799A KR102604760B1 KR 102604760 B1 KR102604760 B1 KR 102604760B1 KR 1020210095799 A KR1020210095799 A KR 1020210095799A KR 20210095799 A KR20210095799 A KR 20210095799A KR 102604760 B1 KR102604760 B1 KR 10260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ssembly
rear panel
knee joint
cross membe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4447A (ko
Inventor
장용주
Original Assignee
장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주 filed Critical 장용주
Priority to KR102021009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76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1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with guided foot supports moving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by trans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63B21/025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무릎 관절 운동기구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가 무릎 관절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가지는 운동기구 본체; 및 운동기구 본체를 의자의 전방 하부 측에 위치하도록 운동기구 본체를 의자에 지지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릎 관절 운동기구{KNEE JOINT EXERCISE DEVICE}
본 발명(Disclosure)은,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의자에 앉아 학업 또는 업무를 보는 중에도 가볍게 무릎 관절 운동을 할 수 있게 하는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최근 운동을 즐기는 젊은 층이 늘어나면서 노인병으로 여기던 '무릎 관절염'을 치료하기 위해 병원을 찾는 젊은 환자들이 늘고 있으며, 퇴행성 관절염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한편, 무릎 관절에 좋은 운동 및 무릎 인공관절 수술 후 재활 운동으로는 평지에서 가볍게 뛰기, 빠르게 걷기, 수영, 자전거 타기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운동들은 관절염 예방 및 재활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체중이 많이 실려 무리를 주는 운동보다는 전술한 바와 같은 가벼운 운동을 하면 관절을 보호하는 근육과 인대가 강화되어 움직일 때마다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관절이 유연해지기 때문에 관절 통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무릎 관절에 좋은 운동들은 주로 실외 운동이기 때문에 날씨 및 시간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그로 인해 꾸준하게 운동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날씨 및 시간 등에 구애를 받지 않는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본 발명을 특허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43309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328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0938호.
본 발명(Disclosure)은, 실내에서 의자에 앉아 학업 또는 업무를 보는 중에도 무릎 관절 운동 및 무릎 재활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무릎 관절 운동기구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가 무릎 관절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가지는 운동기구 본체; 및 운동기구 본체를 의자의 전방 하부 측에 위치하도록 운동기구 본체를 의자에 지지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서, 프레임부는, 전방 패널 어셈블리; 내측면이 전방 패널 어셈블리의 내측면과 마주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후방 패널 어셈블리; 마주하는 전방 패널 어셈블리의 내측면 하부 측과 후방 패널 어셈블리의 내측면 하부 측은 수평하게 연결하는 하부 크로스 멤버; 마주하는 전방 패널 어셈블리의 내측면 상부 측과 후방 패널 어셈블리의 내측면 상부 측은 연결하되,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서 전방 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부 크로스 멤버; 및 상부 크로스 멤버의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되,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서 전방 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서, 전방 및 후방 패널 어셈블리의 양측 및 상부 측으로 노출되는 하부 크로스 멤버, 상부 크로스 멤버, 슬라이드 레일 및 작동부를 내부에 한정하는 한 쌍의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케이스들의 상부면은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서 전방 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케이스들의 상부면 사이에는 의자에 앉은 사용자가 작동부의 슬라이더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가이드공이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서 전방 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서, 케이스들의 상부면 상에는 마주하는 슬라이드 레일 측으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윤활유 주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서, 작동부는, 케이스들의 상부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 및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 인접한 하부 크로스 멤버의 상부 측에서 하부 크로스 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어 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부하수단;을 포함하되, 슬라이더의 하부면 양측에는 슬라이드 레일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블록이 장착되고, 슬라이더의 상부면 상에는 가이드공을 통해 케이스의 상부면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발판 지지대가 장착되며, 발판 지지대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서, 가이드공 사이로 노출되는 슬라이더에는 고정핀이 끼워지는 제 1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부 크로스 멤버에는 제 1 고정공을 관통한 고정핀이 끼워지는 제 2 고정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서, 부하수단의 전방 측과 슬라이더의 후방 측은 와이어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되, 와이어는 부하수단의 전방 측에서부터 전방 패널 어셈블리에 설치된 제 1 도르래 및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 설치된 제 2 도르래를 경유해 슬라이더의 후방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서, 부하수단의 후방은 하부 크로스 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된 장력 조절로드에 연결되되, 장력 조절로드는 하부 크로스 멤버의 상부 측에 장착되는 가이드 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장력 조절로드의 후방 측은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 체결되는 장력 조절 볼트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서, 연결부재는, 의자 측에서 프레임부의 후방 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연장되는 고정관; 및 전방 측이 후방 패널 어셈블리의 외측에 연결되고 후방 측이 고정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동관;을 포함하되, 고정관의 후방 측에는 의자의 의자 기둥 프레임에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체결링이 형성되고, 후방 패널 어셈블리의 외측면 측에는 힌지 브라켓이 형성되며, 힌지 브라켓과 가동관의 전방 측은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서, 가동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정지공들이 형성되고, 고정관의 전방 측에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정지공과 마주하는 위치 결정공이 형성되며, 위치 결정공과 연통하는 어느 하나의 정지공에는 위치 결정핀이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에 앉아 학업 또는 업무를 보는 중에도 가볍게 무릎 관절 운동 및 무릎 재활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 이로 인해 재활 훈련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피가 작고 컴팩트하기 때문에 공간이 협소한 책상 밑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동부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가 의자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100)는 운동기구 본체(110)와, 운동기구 본체(110)를 의자(C)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60)를 포함한다.
먼저, 운동기구 본체(110)는 의자(C)의 전방 하부 측에 설치되며(도 3 참조), 의자(C)에 앉은 사용자가 무릎 관절을 구부렸다 펴는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운동기구 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2)와, 작동부(132)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2)는 전방 패널 어셈블리(114a) 및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를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a, 114b)는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자 형상으로 절곡된 튜브(116a, 116b)와, 절곡된 튜브(116a, 116b)의 내부를 연결하는 브라켓(118a, 118b)들로 이루어지며. 전방 및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a, 114b)는 내측면이 마주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다.
그리고 마주하는 전방 패널 어셈블리(114a)의 내측면 하부 측과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의 내측면 하부 측은 수평하게 연된 하부 크로스 멤버(120)를 매개로 연결된다.
또한, 마주하는 전방 패널 어셈블리(114a)의 내측면 상부 측과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의 내측면 상부 측은 상부 크로스 멤버(122)를 매개로 연결되는데, 상부 크로스 멤버(122)는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에서 전방 패널 어셈블리(114a)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한편, 프레임부(112)는 작동부(132)가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124)을 더 포함한다.
슬라이드 레일(1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크로스 멤버(122)의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며, 상부 크로스 멤버(122)와 마찬가지로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에서 전방 패널 어셈블리(114a)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렇게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124)에는 작동부(132)를 구성하는 슬라이더(134)가 슬라이드 레일(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부(122)는 하부 크로스 멤버(120), 상부 크로스 멤버(122), 슬라이드 레일(124) 및 작동부(132)를 내부에 한정하는 케이스(126a, 126b)들을 더 포함한다.
즉, 케이스(126a, 126b)들은 전방 및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a, 114b)의 양측 및 상부 측으로 노출되는 하부 크로스 멤버(120), 상부 크로스 멤버(122), 슬라이드 레일(124) 및 작동부(132)를 내부에 한정한다.
이때, 케이스(126a, 126b)들의 상부면은 상부 크로스 멤버(122) 및 슬라이드 레일(124)과 마찬가지로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에서 전방 패널 어셈블리(114a)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케이스(126a, 126b)들의 상부면 사이에는 의자(C)에 앉은 사용자가 슬라이더(134)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가이드공(128)이 형성된다.
가이드공(128)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에서 전방 패널 어셈블리(114a)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126a, 126b)들의 상부면 상에는 마주하는 슬라이드 레일(124) 측으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윤활유 주입공(13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및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a, 114b)의 상부 측은 케이스(126a, 126b)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100) 이동 시 사용자가 전방 및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a, 114b)의 상부를 파지할 수 있게 한다.
작동부(132)는 의자(C)에 앉은 사용자가 무릎 관절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근육과 인대에 탄성력에 의한 운동 부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작동부(132)는 슬라이더(134)와, 슬라이더(134)를 탄력적으로지지하면서 장력을 제공하는 부하수단(146)을 포함한다.
슬라이더(1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26a, 126b)들 상부면 상에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슬라이더(134)는 슬라이드 레일(124)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데, 슬라이더(134)의 하부면 양측에는 슬라이드 레일(124)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블록(136)이 장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134)의 상부면 상에는 케이스(126a, 126b)들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공(128)을 통해 케이스(126a, 126b)의 상부면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발판 지지대(137)가 장착된다.
이때, 발판 지지대(137)의 양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 관절 운동 시 의자(C)의 앉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138)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가이드공(128) 사이로 노출되는 슬라이더(134)에는 고정핀(140)이 끼워지는 제 1 고정공(142)이 형성되고, 상부 크로스 멤버(122)의 대략 중간부분에는 제 1 고정공(142)을 관통한 고정핀(140)이 끼워지는 제 2 고정공(144)이 관통 형성된다.
이렇게 제 1 및 제 2 고정공(142, 144)에 끼워지는 고정핀(140)은 슬라이더(134)의 이동을 제한하는데, 이에 의해 의자(C)에 앉은 사용자가 공부 또는 업무 중에 발판(138)에 발을 올려 놓더라도 슬라이더(134)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무릎 관절 운동 시 고정핀(140)은 제 1 및 제 2 고정공(142, 144)에서 분리된다.
부하수단(14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제공되되, 부하수단(146)은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에 인접한 하부 크로스 멤버(120)의 상부 측에 설치되며, 하부 크로스 멤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부하수단(146)의 전방 측과 슬라이더(134)의 후방 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54)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는데, 와이어(154)는 부하수단(146)의 전방 측에서부터 전방 패널 어셈블리(114a)에 설치된 제 1 도르래(156) 및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에 설치된 제 2 도르래(158)를 경유해 슬라이더(134)의 후방 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부하수단(146)은 마그네틱, 고무, 라텍스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부하수단(146)의 후방은 하부 크로스 멤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된 장력 조절로드(148)에 연결된다.
이때, 장력 조절로드(148)는 하부 크로스 멤버(120)의 상부 측에 장착되는 가이드 링(1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장력 조절로드(148)의 후방 측은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를 형성하는 브라켓(118b)에 체결되는 장력 조절 볼트(152)에 연결된다.
즉, 의자(C)에 앉은 사용자가 양쪽 발을 발판(138)에 올려 놓은 상태 하에서 무릎 관절을 펴면 슬라이더(134)는 전방 패널 어셈블리(114a) 측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와이어(154)에 의해 슬라이더(134)와 연결된 부하수단(146)은 그 길이가 신장되면서 운동 부하를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근육과 인대에 제공한다.
반대로, 의자(C)에 앉은 사용자가 무릎 관절을 구부리면 슬라이더(134)는 부하수단(146)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134)는 복귀된다.
그리고 장렬 조절 볼트(152)를 조이거나 풀면 장력 조절로드(148) 및 장력 조절로드(148)에 연결되는 부하수단(146)은 하부 크로스 멤버(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데, 그 결과 부하수단(146)의 장력은 조절되며 동시에 무릎 관절 운동 및 무릎 재활 운동 시 운동 부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재(160)는 운동기구 본체(110)가 의자(C)의 전방 하부 측에 위치하도록 운동기구 본체(110)를 의자(C)에 지지시킨다.
연결부재(160)는 고정관(162)과, 고정관(162)의 전방 측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동관(166)을 포함한다.
고정관(162)은 도시된 바와 같의 의자(C) 측에서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 측으로 연장되며, 전방 측으로 가동관(166)이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된 내부를 형성된다.
이때, 고정관(162)의 후방 측에는 의자(C)의 바퀴를 지지하며 의자(C)의 시트부가 연결되는 의자 기둥 프레임(F)에 연결되는 체결링(164)이 형성되는데, 체결링(1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 기둥 프레임(F)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 하에서 볼트 및 너트 등을 매개로 의자 기둥 프레임(F)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한편, 가동관(166)은 전방 측이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의 외측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후방 패널 어셈블리(114b)의 외측면 측에는 장력 조절 볼트(152)에 간섭되지 않게 힌지 브라켓(168)이 형성되고, 힌지 브라켓(168)과 가동관(166)의 전방 측은 힌지핀(170)을 매개로 연결된다.
그리고 가동관(166)의 후방 측은 고정관(162)의 전방 측을 통해 고정관(162)의 내부로 삽입되는데, 가동관(166)에는 가동관(166)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지공(172)들이 형성되고, 고정관(162)의 전방 측에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정지공(172)과 마주하는 위치 결정공(174)이 형성된다.
이때, 위치 결정공(174)과, 위치 결정공(174)과 연통하는 어느 하나의 정지공(162)에는 위치 결정핀(176)이 끼워진다.
즉, 고정관(162)에서 가동관(166)을 인출 및 삽입시킴으로써 의자(C)와 운동기구 본체(110) 사이의 거리는 조절되고, 의자(C)와 운동기구 본체(11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면 위치 결정공(174) 및 위치 결정공(174)과 연통하는 어느 하나의 정지공(172)에 위치 결정핀(176)을 삽입시켜 가동관(166)을 고정관(162)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100)는 의자(C)에 앉아 학업 또는 업무를 보는 중에도 가볍게 무릎 관절 운동 및 무릎 재활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 이로 인해 재활 훈련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100)는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무릎 관절 운동기구(100)는 부피가 작고 컴팩트하기 때문에 공간이 협소한 책상 밑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의자에 앉은 사용자가 무릎 관절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며 동시에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근육과 인대에 탄성력에 의한 운동 부하를 제공하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가지는 운동기구 본체; 및 상기 운동기구 본체를 상기 의자의 전방 하부 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운동기구 본체를 상기 의자에 지지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자 형상으로 절곡된 튜브와, 절곡된 튜브의 내부를 연결하는 브라켓들로 이루어진 전방 패널 어셈블리와, "∩"자 형상으로 절곡된 튜브와, 절곡된 튜브의 내부를 연결하는 브라켓들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이 상기 전방 패널 어셈블리의 내측면과 마주하게 전후 방향으로 이격 설치되는 후방 패널 어셈블리와, 마주하는 상기 전방 패널 어셈블리의 내측면 하부 측과 상기 후방 패널 어셈블리의 내측면 하부 측은 수평하게 연결하는 하부 크로스 멤버와, 마주하는 상기 전방 패널 어셈블리의 내측면 상부 측과 상기 후방 패널 어셈블리의 내측면 상부 측은 연결하되, 상기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서 상기 전방 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부 크로스 멤버와, 상기 상부 크로스 멤버의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되, 상기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서 상기 전방 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전방 패널 어셈블리와 후방 패널 어셈블리의 양측 및 상부 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하부 크로스 멤버, 상기 상부 크로스 멤버, 상기 슬라이드 레일 및 상기 작동부를 내부에 한정하는 한 쌍의 케이스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들은 상기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서 상기 전방 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들의 상부면 사이는 상기 의자에 앉은 사용자가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가이드공이 상기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서 상기 전방 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 패널 어셈블리 및 후방 패널 어셈블리의 상부 측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스들의 상부면 상에는 마주하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 측으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윤활유 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케이스들 사이에 배치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 인접한 상기 하부 크로스 멤버의 상부 측에서 상기 하부 크로스 멤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더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장력을 제공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부하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면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끼워지는 슬라이드 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면 상에는 상기 가이드공을 통해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발판 지지대가 장착되며, 상기 발판 지지대의 양측에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한 쌍의 발판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부하수단의 전방 측과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 측은 와이어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는 상기 부하수단의 전방 측에서부터 상기 전방 패널 어셈블리에 설치된 제 1 도르래 및 상기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 설치된 제 2 도르래를 경유해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 측에 연결되며,
    상기 부하수단의 후방은 상기 하부 크로스 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된 장력 조절로드에 연결되되, 상기 장력 조절로드는 상기 하부 크로스 멤버의 상부 측에 장착되는 가이드 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장력 조절로드의 후방 측은 상기 후방 패널 어셈블리에 체결되는 장력 조절 볼트에 연결되는 무릎 관절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 사이로 노출되는 슬라이더에는 고정핀이 끼워지는 제 1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크로스 멤버에는 상기 제 1 고정공을 관통한 상기 고정핀이 끼워지는 제 2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는 무릎 관절 운동기구.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의자 측에서 상기 프레임부의 후방 패널 어셈블리 측으로 연장되는 고정관; 및
    전방 측이 상기 후방 패널 어셈블리의 외측에 연결되고 후방 측이 상기 고정관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동관;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관의 후방 측에는 상기 의자의 의자 기둥 프레임에 볼트 및 너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체결링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 패널 어셈블리의 외측면 측에는 힌지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브라켓과 상기 가동관의 전방 측은 힌지핀을 매개로 연결되는 무릎 관절 운동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동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정지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의 전방 측에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상기 정지공과 마주하는 위치 결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위치 결정공과 연통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정지공에는 위치 결정핀이 끼워지는 무릎 관절 운동기구.
KR1020210095799A 2021-07-21 2021-07-21 무릎 관절 운동기구 KR102604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99A KR102604760B1 (ko) 2021-07-21 2021-07-21 무릎 관절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799A KR102604760B1 (ko) 2021-07-21 2021-07-21 무릎 관절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47A KR20230014447A (ko) 2023-01-30
KR102604760B1 true KR102604760B1 (ko) 2023-11-20

Family

ID=8510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799A KR102604760B1 (ko) 2021-07-21 2021-07-21 무릎 관절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76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01Y1 (ko) * 1998-02-27 2000-06-01 장웅걸 페달 운동 장치
KR200396625Y1 (ko) * 2005-07-05 2005-09-23 심명숙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0819127B1 (ko) * 2007-10-16 2008-04-03 김재현 의자 부착용 스트레칭 기구
US20120077653A1 (en) * 2009-06-04 2012-03-29 Vadim Dedov Exercise apparatus
CN207950476U (zh) * 2018-02-10 2018-10-12 孙婷 一种神经内科下肢训练装置
CN210472959U (zh) * 2019-08-14 2020-05-08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仁济医院 一种膝关节训练器
KR102269871B1 (ko) * 2020-05-13 2021-06-29 (주)다온네이쳐 복합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309B1 (ko) 2008-08-13 2011-09-14 창 주 이 하체 운동기구
KR20100110938A (ko) 2009-04-06 2010-10-14 김영모 의자 부착용 하체 운동장치
KR200463280Y1 (ko) 2010-05-27 2012-10-25 김현수 무릎관절용 이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01Y1 (ko) * 1998-02-27 2000-06-01 장웅걸 페달 운동 장치
KR200396625Y1 (ko) * 2005-07-05 2005-09-23 심명숙 슬라이딩 운동기구
KR100819127B1 (ko) * 2007-10-16 2008-04-03 김재현 의자 부착용 스트레칭 기구
US20120077653A1 (en) * 2009-06-04 2012-03-29 Vadim Dedov Exercise apparatus
CN207950476U (zh) * 2018-02-10 2018-10-12 孙婷 一种神经内科下肢训练装置
CN210472959U (zh) * 2019-08-14 2020-05-08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仁济医院 一种膝关节训练器
KR102269871B1 (ko) * 2020-05-13 2021-06-29 (주)다온네이쳐 복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4447A (ko) 202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16372B (zh) 具有弹性足部支撑件的锻炼器械
US6334624B1 (en) Wheelchair users exercise device
US7115081B2 (en)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with total body support
US85294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er back exercise
US6808477B2 (en) Martial arts dummy supporting arrangement
KR20040029963A (ko) 운동기구
US4946162A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US20060284463A1 (en) Moving seat chair for exercise and rehabilitation
KR100527457B1 (ko) 전신운동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장치
CN209090459U (zh) 一种工作运动椅
EP2393397A1 (en) Chair back support system
KR102604760B1 (ko) 무릎 관절 운동기구
US5437588A (en) Multifunctional treadmill having a seat
EP2346581B1 (en) Exercise apparatus
CN106512295A (zh) 一种全身肌肉锻炼用品
US11844976B2 (en) Fitness apparatus and method
JP4793994B2 (ja) 自転車用乗馬型鞍
KR101099244B1 (ko) 전신 운동기구
CN210845160U (zh) 一种神经内科护理用多功能锻炼设备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EP1955735A1 (de) Trampolin
CN2936341Y (zh) 轮滑助学保安器
KR101619990B1 (ko) 전신 등속성 운동기구
CN220309685U (zh) 臀大肌蹬踏运动康复器
DE10004807C2 (de) Einbeinsitz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