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720B1 -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 및 편 베어링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 및 편 베어링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720B1
KR102604720B1 KR1020180067911A KR20180067911A KR102604720B1 KR 102604720 B1 KR102604720 B1 KR 102604720B1 KR 1020180067911 A KR1020180067911 A KR 1020180067911A KR 20180067911 A KR20180067911 A KR 20180067911A KR 102604720 B1 KR102604720 B1 KR 102604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regulating
bearing
attachment
annula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171A (ko
Inventor
신이치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90032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3Frame details with bearing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着脫) 기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해결 수단] 스풀 착탈 기구는, 스풀축(2)의 개방 단부(端部)로부터 스풀축(2)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스풀축(2)의 개방 단면(端面) 측을 향하는 제1 측면, 및, 스풀축(2)의 개방 단면과는 반대의 지지부 측을 향하는 제2 측면을 가지는 돌기인 제1 베어링의 외륜(4b)과, 제2 측면에 대향할 수 있는 면을 가지고, 외륜(4b)에 계합(係合)할 수 있는 규제부(40), 및, 보스부(37)를 가지는 스풀의 회전축을 항하여 압압(押壓) 조작되었을 경우에, 규제부(40)를 외륜(4b)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압압 조작부(42)가 형성되고, 스풀에 장착되는 적어도 1개의 착탈 부재(30)와, 규제부(40)를 스풀의 반경 방향으로 회전축을 항하여 압박하는 환상(環狀) 용수철(32)과, 착탈 부재(30)를 스풀의 장착 위치에 보지(保持)하는 보지 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 및 편 베어링 릴{SPOOL ATTACHMENT MECHANISM FOR FISHING REEL, AND SINGLE-BEAR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의 스풀을 스풀축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한,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 및 편 베어링 릴에 관한 것이다.
편 베어링 릴 및 스피닝 릴 등의 낚시용 릴에는,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스풀을 원터치로 착탈 가능한 스풀 착탈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스풀 착탈 기구는, 돌기부로서의 제1 베어링과, 착탈 부재와, 압박 부재와, 위치 결정 부재로서의 덮개 부재를 구비한다. 제1 베어링은,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가진다. 착탈 부재는, 규제부와 압압(押壓) 조작부를 가진다. 규제부는, 제2 측면에 대향하여 계합(係合)한다. 착탈 부재는, 규제부가 제2 측면에 대향하는 규제 위치와, 제1 베어링으로부터 이반(離反)하는 이반 위치로 경(徑)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압박 부재는, 착탈 부재를 규제 위치를 향하게 하여 압박한다. 덮개 부재는, 규제 위치로 압박되는 착탈 부재를 규제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JP 2014-30372 A
특허 문헌 1의 스풀 착탈 기구는, 착탈 부재를 규제 위치를 향하게 하여 압박하는 코일 용수철을 스풀의 경방향으로부터 짜 넣을 필요가 있어, 조립하는 것이 어려웠다. 스풀 착탈 기구의 조립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성으로부터, 경방향의 소형화도 어렵다. 그리고, 코일 용수철을 짜 넣을 때에, 코일 용수철이 변형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련되는 스풀 착탈 기구는, 낚시용 릴의 스풀을 스풀축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에 있어서, 스풀축의 개방 단부(端部)로부터 스풀축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스풀축의 개방 단면(端面) 측을 향하는 제1 측면, 및, 스풀축의 개방 단면과는 반대의 지지부 측을 향하는 제2 측면을 가지는 돌기부와, 제2 측면에 대향할 수 있는 면을 가지고, 제2 측면에 계합할 수 있는 규제부, 및, 스풀의 회전축을 항하여 압압 조작되었을 경우에, 규제부를 돌기부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스풀에 장착되는 적어도 1개의 착탈 부재와, 규제부를 스풀의 반경 방향으로 회전축을 항하여 압박하는 환상(環狀) 용수철과, 착탈 부재를 스풀의 장착 위치에 보지(保持)하는 보지 부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착탈 부재는, 스풀의 줄 감기 몸통부에 설치되는 통상(筒狀)의 보스부의 외주면(外周面)으로부터 내주면(內周面)으로 관통하는 슬릿에 장착되고, 제2 측면에 계합하는 착탈 부재에 대하여, 스풀의 축 방향의 이동이 슬릿으로 규제된다.
바람직하게는, 보지 부재는, 스풀의 회전축 방향의 선단(先端)에 고정되어, 착탈 부재를 스풀의 장착 위치에 보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돌기부는, 스풀축의 개방 단부에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구름 베어링이고, 제2 측면은, 구름 베어링의 외륜의 지지부 측을 향하는 면이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착탈 부재가, 스풀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스풀에 장착되고, 환상 용수철은, 한 쌍의 착탈 부재의 규제부끼리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착탈 부재의 규제부와 조작부는, 스풀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착탈 부재는 각각, 규제부와 조작부를 스풀의 회전축의 경방향 외방(外方)에서 만곡(彎曲)하여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환상 용수철은, 규제부의 경방향 외측에 계합하고, 한 쌍의 착탈 부재의 규제부끼리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혹은, 각각의 착탈 부재의 규제부와 조작부는, 스풀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착탈 부재는 각각, 규제부와 조작부를 스풀의 회전축의 경방향 외방에서 만곡하여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환상 용수철은, 조작부의 경방향 내측에 계합하고, 한 쌍의 착탈 부재의 조작부끼리를,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환상 용수철은, 한 개의 선재(線材)로 형성되어 있다.
착탈 부재와 환상 용수철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규제부는, 제2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규제면과, 규제면과 반대 측에 배치되고, 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것에 따라, 규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는 경사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캔틸레버 지지되어 있는 스풀축과, 스풀축의 개방 단부에 빠짐 방지되어 배치되는 돌기부인 제1 베어링과, 제1 베어링보다도 캔틸레버 지지 측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과, 줄 감기 몸통부, 및, 줄 감기 몸통부와 일체 형성되어 줄 감기 몸통부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에 의하여 스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통상의 보스부를 가지는 줄 감기용의 스풀과, 제1 관점에 관련되는 스풀 착탈 기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스풀 착탈 기구에 의하면, 압박 부재로서 1개의 환상 용수철을 스풀의 선단 측으로부터 끼우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의 조립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의 정면도.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의 배면도.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의 단면도.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착탈 부재의 정면도.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착탈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환상 용수철의 사시도.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한 쌍의 착탈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압압 조작 시의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환상 용수철의 사시도.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되는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관련되는 압압 조작 시의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련되는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
도 16은 실시 형태 4에 관련되는 환상 용수철을 장착할 때의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
도 17은 실시 형태 4에 관련되는 환상 용수철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도면 중,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의 정면도이다. 편 베어링 릴(100)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3)을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1)는, 원형 접시상(狀)의 프레임(10)과, 낚싯대(RD)를 장착하기 위한 장대 장착부(12)로 구성된다. 프레임(10)은, 스풀(3)보다도 소경(小徑)이다. 스풀(3)에 설치된 핸들 손잡이(54)를 조작하여, 스풀(3)을 회전시킬 수 있다. 스풀(3)에는,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핸들 손잡이(54)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밸런스 웨이트(56)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스풀(3)의 낚싯줄이 감기는 면은 회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 상의 곡선을 그 평면 상의 직선의 둘레에 회전시켜 회전면을 형성할 때의, 그 직선을 회전축이라고 한다. 스풀(3)의 회전축이란, 스풀(3)의 낚싯줄이 감기는 면의 회전면을 형성하기 위한 회전축이다.
스풀(3)에는,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착탈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착탈 부재(30)의 압압 조작부(42)를 회전축을 항하여 서로 가까이 하도록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3)을 릴 본체(1)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착탈 부재(30)는, 스풀(3)과 함께 회전한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의 배면도이다. 장대 장착부(12)는, 고정부(12a), 암부(12b) 및 장착 다리부(12c)를 가지고 있다. 암부(12b)는, 고정부(12a)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암부(12b)는, 고정부(12a)로부터 프레임(10)의 경방향 외방으로 연장된 후에 만곡하여, 스풀(3)의 경방향 외방에 배치되어 있는 장착 다리부(12c)에 접속하고 있다. 장착 다리부(12c)는, 암부(12b)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장착 다리부(12c)는, 암부(12b)의 선단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고 낚싯대(RD)에 장착 가능하다.
고정부(12a)는, 프레임(10)에 형성된 감합(嵌合) 볼록부(14d)의 외주면(14g)에 감합하는 내주면(12d)을 가지는 링 형상이다. 고정부(12a)는, 둘레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예를 들어 4개)의 고정 구멍(12e)을 가지고 있다. 고정 구멍(12e)에 삽통(揷通)된 볼트 부재(16)가, 프레임(10)에 형성된 나사 구멍(14e)에 비틀어 넣어져, 장대 장착부(12)가 프레임(10)에 고정된다. 감합 볼록부(14d)는, 프레임(10)의 중심의 제1 위치 C1에 대하여 편심(偏芯)한 제2 위치 C2를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위치 C1은, 스풀(3)의 회전축에 일치하고 있다.
예를 들어, 8개의 나사 구멍(14e) 중, 1개 걸러 4개의 나사 구멍(14e)에 장대 장착부(12) 측으로부터 볼트 부재(16)가 비틀어 넣어져, 프레임(10)에 장대 장착부(12)가 고정된다. 프레임(10)에 장대 장착부(12)를 고정하는 위치를 8종류로 바꾸어, 장대 장착부(12)에 장착되는 낚싯대(RD)와 스풀(3)의 회전축과의 거리를 8단계로 바꿀 수 있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단선 III-III에 의한 단면을 도시한다. 스풀(3)은, 프레임(10)에 고정된 스풀축(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축(2)은, 프레임(10)에 캔틸레버 지지되어 있다. 지지되어 있는 단부를 지지부, 타방(他方)의 지지되어 있지 않는 단부를 개방 단부라고 한다. 개방 단부의 단면은 개방 단면이다. 스풀축(2)에는, 개방 단부에 제1 베어링(4)이 감합되고, 지지부 측에 제2 베어링(5)이 감합된다. 제1 베어링(4)의 내륜(4a) 및 제2 베어링(5)의 내륜(5a)이 스풀축(2)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3)은, 제1 베어링(4)의 외륜(4b)과 제2 베어링(5)의 외륜(5b)에 감합하고, 스풀축(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 착탈 기구(6)에 의하여, 스풀(3)을 스풀축(2)에 장착하거나 스풀축(2)으로부터 이탈하거나 할 수 있다. 전술의 착탈 부재(30)는, 스풀 착탈 기구(6)를 구성한다.
<릴 본체의 구성>
프레임(10)은, 스풀축(2)을 캔틸레버 지지하는 것과 함께 장대 장착부(12)가 취부되는 취부부(14)와,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물림 방지부(15)를 가지고 있다. 취부부(14)는, 장대 장착부(12)가 취부되는 제1 취부부(14a)와, 스풀축(2)을 취부하기 위한 제2 취부부(14b)를 가지고 있다.
제1 취부부(14a)는, 장대 장착부(12)가 배치되는 환상의 배치부(14c)와, 배치부(14c)로부터 원형으로 돌출하는 감합 볼록부(14d)를 가지고 있다. 배치부(14c) 및 감합 볼록부(14d)는, 배치부(14c)로부터 스풀축(2)이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배치부(14c)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장대 장착부(12)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예를 들어 8개)의 나사 구멍(14e)이, 제2 위치 C2를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풀축(2)은, 제2 취부부(14b)에 장착된다. 제2 취부부(14b)는, 감합 볼록부(14d)로부터 스풀축(2)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된다. 제2 취부부(14b)는, 스풀축(2)의 축심인 제1 위치 C1을 중심으로 하여 원통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취부부(14b)의 중심에는, 스풀축(2)이 비틀어 박음 고정되는 암나사부(14f)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14f)는, 프레임(10)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물림 방지부(15)는, 릴 본체(1)의 스풀(3)로의 낚싯줄의 물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물림 방지부(15)의 선단부는, 스풀(3)의 제1 플랜지부(36a)에 설치되는 환상 홈(36c) 내에 배치된다. 물림 방지부(15)는, 환상 홈(36c)을 향하여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풀축의 구성>
스풀축(2)은, 제2 취부부(14b)에 캔틸레버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2)은, 선단에 암나사 구멍(2a)이 형성된 제1 베어링 장착부(2b), 제2 베어링 장착부(2c), 테두리부(2d), 및, 수나사부(2e)를 가지고 있다. 개방 단부인 제1 베어링 장착부(2b)에는, 제1 베어링(4)이 장착된다. 암나사 구멍(2a)에는, 제1 베어링(4)을 빠짐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 볼트(18)가 비틀어 박혀 있다. 빠짐 방지 볼트(18)의 머리부(18a)는, 제1 베어링(4)의 내륜(4a)에 접하고 있다.
제2 베어링 장착부(2c)는, 제1 베어링 장착부(2b)보다도 대경(大徑)이고, 그 지지부 측에 제2 베어링(5)이 장착된다. 제1 베어링(4)의 내륜(4a)과 제2 베어링(5)의 내륜(5a)은, 그 사이에 배치된 위치 결정용의 스페이서(20)에 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어링(4)의 내륜(4a)과 제2 베어링(5)의 내륜(5a)이 위치 결정된다. 제2 베어링(5)의 외경(外徑)은, 제1 베어링(4)의 외경보다도 크다.
테두리부(2d)는, 제2 베어링 장착부(2c)보다도 대경이고, 제2 베어링(5)을 위치 결정하는 것과 함께, 제2 취부부(14b)에 당접(當接)하여 스풀축(2)을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다. 제2 베어링(5)의 내륜(5a)은, 테두리부(2d)와 스페이서(20)에 의하여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지지부인 수나사부(2e)가 암나사부(14f)에 나합(螺合)하여, 스풀축(2)이 제2 취부부(14b)에 고정된다.
제1 베어링(4)은, 스풀 착탈 기구(6)의 돌기부로서도 기능한다. 제1 베어링(4)은, 스풀축(2)의 개방 단부로부터 스풀축(2)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이다. 제1 베어링(4)의 외륜(4b)은, 개방 단면을 향하는 제1 측면(4c)과, 제1 측면(4c)과는 반대 측의 지지부 측을 향하는 제2 측면(4d)을 가지고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3)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 등의 경금속제의 환상 부재이며, 기계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풀(3)은, 통상의 줄 감기 몸통부(35)와, 제1 플랜지부(36a) 및 제2 플랜지부(36b)를 가지고 있고, 이것들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이 별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제1 플랜지부(36a)의 외주 측의 외측면에, 전술한 바와 같이, 물림 방지부(15)가 비집고 들어가는 환상 홈(36c)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플랜지부(36b)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원호상(圓弧狀)의 오목부(36d)가 기계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과 함께, 원판부(38)에 나란히 연속하여 있는 복수의 개구부(36e)가 형성되어 있다.
줄 감기 몸통부(35)는, 외주면에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통상의 줄 감기부(35a), 줄 감기부(35a)의 내주 측에서 스풀축(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보스부(37), 및, 줄 감기부(35a)와 보스부(37)를 연결하는 원판부(38)를 가지고 있다. 보스부(37)는, 스풀축(2)이 관통 가능한 관통 구멍(37a)을 가지는 통상의 부재이다. 관통 구멍(37a)은, 스풀축(2)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베어링(4) 및 제2 베어링(5)에 감합된다. 보스부(37)의 선단 측은 스풀 착탈 기구(6)를 구성하는 덮개 부재(34)에 의하여 막혀 있다.
보스부(37)의 관통 구멍(37a)은, 선단 측으로부터 기단(基端) 측을 향하여 4단계로 내경(內徑)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7a)은, 선단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단차(37d), 제2 단차(37e) 및 제3 단차(37f)를 가지고 있다. 제1 단차(37d)는, 스풀(3)을 장착할 때에, 제1 베어링(4)의 외륜(4b)에 당접한다. 즉, 제1 베어링(4)의 제1 측면(4c)은, 제1 단차(37d)에 당접한다. 제2 단차(37e)는, 제1 베어링(4)을 관통 구멍(37a)에 장착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제2 단차(37e)보다 선단 측은, 제1 베어링(4)에 정확히 감합하지만, 제2 단차(37e)보다 기단 측은, 제1 베어링(4)의 외경보다 크고 제2 베어링(5)의 외경보다 작다. 제3 단차(37f)는, 스풀(3)을 장착할 때에 제2 베어링(5)의 외륜(5b)에 당접한다.
스풀(3)과 스풀축(2)과의 사이에는, 스풀(3)의 회전으로 소리를 발생하는 발음 기구(2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조작 부재(29)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발음 기구(22)를 발음 위치와 무음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편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단선 IV-IV에 의한 단면을 도시한다. 보스부(37)에는, 제2 단차(37e)의 기단 측에, 보스부(37)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한 쌍의 슬릿(37b)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슬릿(37b)은, 스풀(3)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슬릿(37b)은, 회전축에 평행한 면으로 노치(notch)되는 서로 평행한 노치면(37c)(도 9 참조)을 관통 부분의 양측에 각각 가지고 있다. 슬릿(37b)은, 착탈 부재(30)를 경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안내한다.
덮개 부재(34)는, 보스부(37)의 선단 외주면에 비틀어 박음 고정된다. 덮개 부재(34)는, 스풀 착탈 기구(6)의 보지 부재의 일례이다. 덮개 부재(34)는, 보스부(37)의 선단 외주면에 비틀어 박히는 나사부(34a)와, 나사부(34a)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된 환상의 위치 결정부(34c)를 가지고 있다. 위치 결정부(34c)는, 착탈 부재(30)의 경방향 외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착탈 부재(30)는, 슬릿(37b)에 장착된다. 한 쌍의 착탈 부재(30)에, 1개의 환상 용수철(32)이 계합하고, 착탈 부재(30)를 스풀(3)의 회전축을 항하여 압박하고 있다. 착탈 부재(30)는, 제1 베어링(4)의 제2 측면(4d)에 계합한다. 착탈 부재(30)는, 슬릿(37b)에 의하여 스풀(3)에 대하여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제2 측면(4d)에 계합하는 착탈 부재(30)에 대하여, 스풀(3)의 축 방향의 이동이 슬릿(37b)으로 규제된다.
<스풀 착탈 기구의 구성>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착탈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착탈 부재의 사시도이다. 착탈 부재(30)는, 대체로 C자상(狀)으로 만곡하여 형성된 부재이다. 착탈 부재(30)는, 규제부(40), 압압 조작부(42), 연결부(44) 및 안내부(46)를 가지고 있다. 착탈 부재(30)는, 제1 면(30a)이 스풀축(2)의 선단 측을 향하도록, 스풀(3)의 슬릿(37b)에 장착된다. 규제부(40)는, 연결부(44)로부터 압압 조작부(42)에 대향하는 위치를 향하여 꺾여져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40)는, 제1 베어링(4)의 제2 측면(4d)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규제면(40a)과, 규제면(40a)과는 반대 측의 경사면(40b)을 가지고 있다. 규제면(40a)은, 스풀(3)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면(40b)은,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규제면(40a)으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는 평면으로 구성된다. 규제면(40a)은, 제1 베어링(4)의 외륜(4b)의 제2 측면(4d)에 계지(係止)되어, 스풀(3)이 스풀축(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경사면(40b)은, 스풀축(2)으로부터 떼어낸 스풀(3)을 스풀축(2)에 장착할 때, 제1 베어링(4)의 외륜(4b)의 외주면의 각부(角部)에 접촉하여, 경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착탈 부재(30)를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40)의 경방향의 외측면에는, 환상 용수철(32)을 보지하기 위한 보지 돌기(40c)가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40)는, 내주부에 제1 원통면(40d)을 가지고 있다. 제1 원통면(40d)의 내경은, 보스부(37)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다.
압압 조작부(42)는, 착탈 부재(30)를 규제 위치로부터 이탈 위치로 경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압압 조작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압압 조작부(42)는, 연결부(44)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압압 조작부(42)에는, 2개의 착탈 부재(30)를 대향하여 배치하였을 때에, 타방의 착탈 부재(30)의 보지 돌기(40c)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오목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 오목부(42b)는, 연결부(44)의 내주면(44a)으로부터 경방향 외방으로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패여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44)는, 규제부(40)와 압압 조작부(42)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44)의 내주면(44a)은, 보스부(37)의 외주면보다도 약간 큰 내경의 제2 원통면(44b)과, 평면부(44c)를 가지고 있다. 평면부(44c)의 길이는, 착탈 부재(30)의 이동량과 실질적으로 같다. 연결부(44)와 두께가 얇은 규제부(40)와의 경계 부분에는, 평면부(44c)가 곧게 연장된 단차면(44d)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46)는, 압압 조작부(42)로부터 연결부(44)와 반대 측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46)는, 규제부(40)와 계합하여 한 쌍의 착탈 부재(30)를 서로 경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규제부(40)의 두께와 안내부(46)의 두께의 합계는, 연결부(44)의 두께와 동일하다. 2개의 착탈 부재(30)를, 각각의 규제부(40)가 대향하도록 배치하면, 일방(一方)의 규제부(40)가 타방의 안내부(46) 아래에 겹치고, 일방의 규제부(40)는 타방의 안내부(46)에 안내된다. 안내부(46)는, 타방의 착탈 부재(30)의 단차면(44d)에 평행하게 접하는 안내면(46a)을 선단부에 가지고 있다. 안내부(46)의 내주면(46b)은, 제2 원통면(44b)과 같은 내경으로, 제2 원통면(44b)의 연장과 겹친다.
착탈 부재(30)의 제1 면(30a)에는, 덮개 부재(34)에 접하는 위치 결정 돌기(48)가 제1 면(30a)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다. 위치 결정 돌기(48)는, 환상 용수철(32)을 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48)가 덮개 부재(34)에 당접하는 것에 의하여, 착탈 부재(30)가 보스부(37)에 보지된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환상 용수철의 사시도이다. 환상 용수철(32)은, 착탈 부재(30)의 보지 돌기(40c)에 각각 계합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계합부(32a)와, 계합부(32a)를 연결하고,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연결부(32b)를 가진다. 환상 용수철(32)은, 한 개의 선상재(線狀材)로 형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환상 용수철(32)은, 엔드리스가 아니라, 일 개소, 간극(間隙)(32c)으로 끊겨 있다. 여기에서는, 일 개소에 간극(32c)이 있어 엔드리스가 아닌 용수철도, 환상 용수철이라고 한다. 환상 용수철(32)은, 간극(32c)이 없는 엔드리스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환상 용수철(32)은, 개방된 자유로운 상태로부터, 계합부(32a)끼리를 이격(離隔)시키면, 계합부(32a)끼리를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이 작용한다. 또한, 연결부(32b)끼리를 가까이 하도록 압축하면, 계합부(32a)끼리가 이격되도록 벌릴 수 있다.
반대로, 개방된 자유로운 상태로부터, 계합부(32a)끼리를 근접시키면, 계합부(32a)끼리를 멀리 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힘이 작용한다. 또한, 연결부(32b)끼리를 멀리 하도록 확장하면, 계합부(32a)끼리를 근접시킬 수 있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한 쌍의 착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한 쌍의 착탈 부재(30)가 보스부(37)에 장착되어, 규제 위치에 있는 상태의 착탈 부재(30)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서는, 위치 결정 돌기(48)가 생략되어 있다.
도 8의 상태에서, 규제부(40)는, 보스부(37)의 슬릿(37b)에 끼이고, 규제면(40a)은, 제1 베어링(4)의 제2 측면(4d)에 계합하는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는, 규제부(40)의 제1 원통면(40d)이, 보스부(37)의 외주면에 당접하여, 규제부(40)는 도 8의 상태보다 서로 가까워지는 일은 없다.
한 쌍의 착탈 부재(30)를 보스부(37)의 슬릿(37b)에 장착하여,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위치에 보지한 상태에서, 보스부(37)의 선단 측으로부터, 즉 도 8에서 말하면 위로부터, 환상 용수철(32)을 계합부(32a)가 보지 돌기(40c)에 계합하도록 끼운다. 환상 용수철(32)은, 개방된 자유로운 상태에서, 2개의 계합부(32a) 상호의 거리가, 한 쌍의 착탈 부재(30)의 규제부(40)끼리가 근접하는 규제 위치에 있을 때의 보지 돌기(40c) 상호의 거리보다도 작다. 연결부(32b)끼리를 가까이 하도록 압축하면, 계합부(32a)끼리가 이격되도록 벌릴 수 있다. 계합부(32a)끼리가 이격되도록 벌린 상태에서, 계합부(32a)를 수납 오목부(42b)에 삽입하고, 연결부(32b)끼리를 압축하는 힘을 완화하면, 2개의 계합부(32a)를 각각 보지 돌기(40c)에 계합시킬 수 있다.
환상 용수철(32)을 장착한 후, 덮개 부재(34)를 취부한다. 덮개 부재(34)는, 압압 조작부(42)를 제외하고, 착탈 부재(30)와 환상 용수철(32)을 덮어, 스풀(3)의 선단 측으로부터는, 압압 조작부(42)밖에 보이지 않는다(도 1 참조).
도 9는,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절단선 IX-IX에 의한 단면을 도시한다. 한 쌍의 착탈 부재(30)는, 스풀축(2)을 사이에 두고, 각각의 규제부(40)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9는, 착탈 부재(30)가 규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9에서는, 중심으로부터 순서대로, 빠짐 방지 볼트(18)와 암나사 구멍(2a), 제1 베어링 장착부(2b)(파선), 제2 베어링 장착부(2c), 제1 베어링(4)의 내륜(4a)(파선), 스페이서(20), 외륜(4b), 및, 보스부(37)가 도시되어 있다. 착탈 부재(30)의 규제부(40)는, 보스부(37)의 슬릿(37b)에 배치되어 있다. 일방의 착탈 부재(30)의 안내부(46)는, 타방의 규제부(40)보다 지면의 배면 측에 위치하고, 규제부(40)의 규제면(40a)의 면에 접하고 있다. 환상 용수철(32)이 보지 돌기(40c)에 보지되어, 규제부(40)를 각각 스풀축(2)을 향하여 압박하고 있다.
도 9의 상태에서는, 규제부(40)의 제1 원통면(40d)이, 보스부(37)의 외주면에 당접하거나, 혹은, 규제부(40)의 연결부(44) 측의 직선 부분이 보스부(37)의 노치면(37c)에 당접하고 있다. 규제부(40)는, 슬릿(37b)의 관통 부분으로부터 보스부(37)의 관통 구멍(37a) 내에 비집고 들어가, 규제면(40a)이, 외륜(4b)의 제2 측면(4d)에 계합하고 있다. 착탈 부재(30)는, 슬릿(37b)에 의하여 스풀(3)에 대하여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제2 측면(4d)에 계합하는 착탈 부재(30)에 대하여, 스풀(3)의 축 방향의 이동이 슬릿(37b)으로 규제된다.
각각의 착탈 부재(30)에서, 압압 조작부(42)는, 규제부(40)와 스풀축(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규제부(40)가 스풀축(2)을 향하여 환상 용수철(32)로 압박되어 스풀축(2)에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압압 조작부(42)는, 스풀축(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관련되는 압압 조작 시의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와 같이, 도 3의 절단선 IX-IX에 의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착탈 부재(30)가 이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각각의 착탈 부재(30)에서, 규제부(40)는, 압압 조작부(42)와 스풀축(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도 9의 상태로부터, 한 쌍의 착탈 부재(30) 각각의 압압 조작부(42)를, 서로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압압 조작하면, 규제부(40)는, 스풀축(2)으로부터 경방향 외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규제부(40)를, 제1 베어링(4)의 외륜(4b)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0의 상태에서는, 규제부(40)의 규제면(40a)은, 제2 측면(4d)에 계합하지 않기 때문에, 스풀(3)을 스풀축(2)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 때, 착탈 부재(30)는, 덮개 부재(34)로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보스부(37)로부터 빠질 일은 없다. 또한, 일방의 보지 돌기(40c)는, 타방의 수납 오목부(42b)에 비집고 들어가, 한 쌍의 착탈 부재(30)는 서로 간섭할 일이 없다.
실시 형태 1에서는, 환상 용수철(32)은, 개방된 자유로운 상태에서, 2개의 계합부(32a) 상호의 거리가, 한 쌍의 착탈 부재(30)의 규제부(40)끼리가 근접하는 규제 위치에 있을 때의 보지 돌기(40c) 상호의 거리보다도 작다. 또한, 연결부(32b)끼리의 내측 치수를 보스부(37)의 외경보다 작게 하지 않아도, 규제부(40)가 제2 측면(4d)으로부터 이탈하는 위치에, 2개의 계합부(32a)끼리를 이격시킬 수 있다.
도 10의 상태로부터, 압압 조작부(42)를 압압 조작하는 힘을 완화하면, 환상 용수철(32)의 복원력으로, 도 9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하여, 스풀(3)을 스풀축(2)에 장착할 수 있다. 또는, 이탈시킨 스풀(3)로, 압압 조작부(42)를 압압 조작하지 않고, 보스부(37)의 관통 구멍(37a)에 스풀축(2)을 삽통하면, 착탈 부재(30)는, 도 9의 위치로 되돌아와 있기 때문에, 규제부(40)의 경사면(40b)이, 제1 베어링(4)의 외륜(4b)의 제1 측면(4c)의 모퉁이에 당접한다. 그대로 보스부(37)를 밀어 넣으면, 경사면(40b)에 의하여 착탈 부재(30)는 경방향 외방으로 이동하고, 외륜(4b)의 외주면을 미끄러지게 하여, 규제면(40a)을 제2 측면(4d)에 계합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스풀 착탈 기구(6)에서는, 한 쌍의 착탈 부재(30)는 1개의 환상 용수철(32)로 스풀(3)의 회전축을 항하여 압박된다. 실시 형태 1의 스풀 착탈 기구(6)는, 한 쌍의 착탈 부재(30)를 보스부(37)의 슬릿(37b)에 배치한 상태에서, 환상 용수철(32)을 착탈 부재(30)의 보지 돌기(40c)에 끼우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 있다.
덧붙여, 환상 용수철(32)은, 도 7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상재로 한정하지 않고 판상재(板狀材)로 가공하여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전술대로, 간극(32c)은 있어도 없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선상재를 가공하여도 7에 도시되는 형상으로 가공한 후, 간극(32c)을 용접하여 접속하여도 무방하다. 휨 가공으로 형성하는 계합부(32a)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으로 계합부(32a)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환상 용수철의 「환상」은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개의 연결부(32b)에서 2개의 계합부(32a)를 연결하지 않고, 어느 일방의 연결부(32b)에서 계합부(32a)를 연결하는 구조여도 무방하다. 그 경우, 2개의 계합부(32a) 중 어느 것에도 간극(32c)은 형성되지 않고, 연결부(32b)가 생략된 부분이 간극(32c)에 상당한다.
그 외, 덮개 부재(34)는, 보스부(37)에 나사부(34a)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보스부(37)에 형성된 환상 볼록부에 계합하는 환상 오목부를 덮개 부재(34)에 형성하여, 탄성 변형시켜 끼워 넣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착탈 부재(30)의 위치 결정 돌기(48)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48)는 없어도 무방하다. 그 경우, 환상 용수철(32)이 덮개 부재(34)에 접하고, 착탈 부재(30)는, 환상 용수철(32)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보지된다.
실시 형태 2.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환상 용수철의 사시도이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스풀 착탈 기구(6)는 착탈 부재(30)를 1개밖에 포함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2의 환상 용수철(32)은, 실시 형태 1의 환상 용수철(32)의 한 쌍의 계합부(32a) 중, 1개의 계합부(32a)를 대신하여, 감합부(32d)를 형성한 것이다. 감합부(32d)는, 보스부(37)의 슬릿(37b)에 감합한다. 도 11의 환상 용수철(32)에서도, 간극(32c)이 형성되어 있다. 간극(32c)은, 계합부(32a)가 아니라, 감합부(32d)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간극(32c)이 없이, 환상 용수철(32)은 엔드리스여도 무방하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련되는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와 같이, 도 3의 절단선 IX-IX에 의한 단면을 도시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1개의 착탈 부재(30)가 보스부(37)에 장착된다. 환상 용수철(32)의 계합부(32a)는, 보지 돌기(40c)에 계합한다. 또한, 감합부(32d)는, 규제부(40)가 삽입되어 있는 슬릿(37b)에 대향하는 타방의 슬릿(37b)에 감합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도 12의 상태에서, 규제부(40)가 스풀축(2)을 향하여 압박되도록, 환상 용수철(32)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40)는, 슬릿(37b)의 관통부로부터 관통 구멍(37a) 내에 비집고 들어가, 외륜(4b)의 제2 측면(4d)에 계합한다.
실시 형태 2에서도, 착탈 부재(30)를 보스부(37)에 장착하고, 규제 위치에 보지한 상태에서, 보스부(37)의 선단 측으로부터, 환상 용수철(32)을 장착할 수 있다. 환상 용수철(32)을 장착한 후, 덮개 부재(34)를 취부한다. 덮개 부재(34)는, 압압 조작부(42)를 제외하고, 착탈 부재(30)와 환상 용수철(32)을 덮어, 스풀(3)의 선단 측으로부터는, 압압 조작부(42)밖에 보이지 않는다(도 1 참조).
규제 위치의 상태로부터, 압압 조작부(42)와, 덮개 부재(34)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손가락을 걸고, 압압 조작부(42)를 스풀축(2)을 향하여 압압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규제부(40)를 제2 측면(4d)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 때, 환상 용수철(32)의 감합부(32d)는, 연결부(44)와 안내부(46)로 눌려, 슬릿(37b)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부품 점수가 적고, 조립이 보다 간단하다. 덧붙여, 환상 용수철의 「환상」은 전체 둘레를 둘러싸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개의 연결부(32b)에서 계합부(32a)와 감합부(32d)를 연결하지 않고, 어느 일방의 연결부(32b)에서 계합부(32a)와 감합부(32d)를 연결하는 구조여도 무방하다. 그 경우, 계합부(32a)에도 감합부(32d)에도 간극(32c)은 형성되지 않고, 연결부(32b)가 생략된 부분이 간극(32c)에 상당한다.
실시 형태 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련되는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규제부(40)를 직접, 환상 용수철(32)로 압박하는 것이 아니라, 압압 조작부(42)를 환상 용수철(32)로 경방향 외방으로 압박하는 것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규제부(40)를 경방향 내측으로 압박한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착탈 부재(30)는, 보지 돌기(40c)를 대신하여, 압압 조작부(42)의 내측에 보지 돌기(42c)를 가진다. 실시 형태 3의 환상 용수철(32)은, 도 7의 환상 용수철(32)과 마찬가지의 형상이지만, 계합부(32a) 상호의 거리가 다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개방된 자유로운 상태에서, 2개의 계합부(32a) 상호의 거리가, 한 쌍의 착탈 부재(30)의 규제부(40)끼리가 근접하는 규제 위치에 있을 때의 보지 돌기(42c) 상호의 거리보다도 크다. 또한, 연결부(32b)끼리의 내측 치수를 보스부(37)의 외경보다 작게 하지 않아도, 규제부(40)가 제2 측면(4d)에 계합하는 위치에서, 2개의 계합부(32a)끼리를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3의 상태에서 한 쌍의 착탈 부재(30)를 보지하여, 보스부(37)의 선단 측으로부터 환상 용수철(32)을 장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환상 용수철(32)은, 압압 조작부(42)의 내측에 형성된 보지 돌기(42c)에 계합되어 보지된다. 환상 용수철(32)은, 개방된 자유로운 상태에서, 2개의 계합부(32a) 상호의 거리가, 한 쌍의 착탈 부재(30)가 규제 위치에 있을 때의 보지 돌기(42c) 상호의 거리보다도 크기 때문에, 도 13의 상태에서, 압압 조작부(42)끼리는,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한 쌍의 착탈 부재(30) 각각에서, 규제부(40)는, 스풀(3)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압압 조작부(42)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압 조작부(42)가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압박되면, 규제부(40)는, 회전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따라서, 한 쌍의 착탈 부재(30)의 움직임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한 쌍의 착탈 부재(30)를 보스부(37)의 슬릿(37b)에 장착하여,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위치에 보지한 상태에서, 보스부(37)의 선단 측으로부터, 환상 용수철(32)을 계합부(32a)가 보지 돌기(42c)에 계합하도록 끼운다. 환상 용수철(32)은, 개방된 자유로운 상태에서, 2개의 계합부(32a) 상호의 거리가, 한 쌍의 착탈 부재(30)가 규제 위치에 있을 때의 보지 돌기(42c) 상호의 거리보다도 크다. 연결부(32b)끼리를 이반하도록 확장하면, 계합부(32a)끼리가 근접하도록 압축할 수 있다. 또는, 계합부(32a)끼리를 직접적으로 근접하도록 압축하여도 무방하다. 계합부(32a)끼리가 근접하도록 압축한 상태에서, 계합부(32a)를 수납 오목부(42b)에 삽입하고, 연결부(32b)끼리를 확장하는 힘을 완화하면, 2개의 계합부(32a)를 각각 보지 돌기(42c)에 계합시킬 수 있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관련되는 압압 조작 시의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9와 같이, 도 3의 절단선 IX-IX에 의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14는, 착탈 부재(30)가 이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한 쌍의 착탈 부재(30) 각각에서, 규제부(40)는, 압압 조작부(42)와 스풀축(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도 13의 상태로부터, 한 쌍의 착탈 부재(30) 각각의 압압 조작부(42)를, 서로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압압 조작하면, 규제부(40)는, 스풀축(2)으로부터 경방향 외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규제부(40)를, 제1 베어링(4)의 외륜(4b)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4의 상태에서는, 규제부(40)의 규제면(40a)은, 제2 측면(4d)에 계합하지 않기 때문에, 스풀(3)을 스풀축(2)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 때, 착탈 부재(30)는, 덮개 부재(34)로 보지되어 있기 때문에, 보스부(37)로부터는 빠질 일은 없다.
실시 형태 3에서도, 환상 용수철(32)은 전체 둘레를 둘러싸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2개의 연결부(32b)에서 2개의 계합부(32a)를 연결하지 않고, 어느 일방의 연결부(32b)에서 계합부(32a)를 연결하는 구조여도 무방하다. 그 경우, 계합부(32a)에는 간극(32c)은 형성되지 않고, 생략된 연결부(32b)의 부분이 간극(32c)에 상당한다.
실시 형태 4.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관련되는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3의 절단선 IX-IX에 의한 단면을 도시한다. 실시 형태 4는, 착탈 부재와 환상 용수철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실시 형태 4에 관련되는 환상 용수철(33)은, 착탈 부재(30)와 환상 용수철(32)의 기능을 구비한다. 환상 용수철(33)은, 환상의 용수철 부재로 구성된다. 환상 용수철(33)은, 2개의 규제부(50)와 2개의 압압 조작부(33b)를 가진다. 2개의 규제부(50)는, 환상 용수철(33)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2개의 압압 조작부(33b)는, 환상 용수철(33)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규제부(50)끼리를 잇는 선은, 압압 조작부(33b)끼리를 잇는 선과 직교한다. 실시 형태 1의 환상 용수철(32)에 비교하면, 규제부(50)는 계합부(32a)에 상당하고, 압압 조작부(33b)는 연결부(32b)에 상당한다.
환상 용수철(33)은, 개방된 자유로운 상태에서, 2개의 규제부(50) 상호의 내측 치수는, 제1 베어링(4)의 외륜(4b)의 내경보다도 작다. 도 15의 상태에서는, 환상 용수철(33)이 개방된 상태로부터 규제부(50)끼리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부(50)에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환상 용수철(33)의 내주는, 슬릿(37b)의 노치면(37c)의 모퉁이에 당접하여 안정된다.
환상 용수철(33)은, 압압 조작부(33b)끼리를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즉, 스풀(3)의 회전축을 향하여, 압압 조작되면, 규제부(50)끼리를 이격한다. 즉, 규제부(50)를, 외륜(4b)의 제2 측면(4d)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16은, 실시 형태 4에 관련되는 환상 용수철을 장착할 때의 스풀 착탈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와 같이, 도 3의 절단선 IX-IX에 의한 단면을 도시한다. 규제부(50)의 경방향 내방(內方)의 선단과, 압압 조작부(33b)의 경방향 내주를 통과하는, 환상 용수철(33)의 가상의 내주(VC)의 길이는, 보스부(37)의 단면의 외주의 길이보다 크다. 그래서, 압압 조작부(33b)끼리를 가까이 하는 방향으로 압압하여,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변형하여, 보스부(37)를 삽통시킬 수 있다. 슬릿(37b)의 위치에서 환상 용수철(33)의 변형을 원래대로 되돌려,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규제 위치에 환상 용수철(33)을 장착할 수 있다.
환상 용수철(33)을 슬릿(37b)에 장착한 후, 덮개 부재(34)를 보스부(37)의 선단에 취부한다. 덮개 부재(34)의 외경을, 환상 용수철(33)을 장착할 때의 압압 조작부(33b)끼리의 외측 치수보다 크게 하여, 덮개 부재(34)의 밖에서는 규제부(50)끼리의 거리를 보스부(37)의 외경보다 커질 때까지, 환상 용수철(33)을 변형할 수 없게 하여 두면, 환상 용수철(33)을 뺄 수 없다. 압압 조작부(33b)끼리를 압압 조작하였을 때에, 덮개 부재(34)의 외주에 해당되는 굴곡부를, 환상 용수철(33)에 형성하여 두어도 무방하다.
도 17은, 실시 형태 4에 관련되는 환상 용수철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의 환상 용수철(33)은, 예를 들어, 환상의 용수철에 규제부(50)를 인서트 성형하여 형성되어 있다. 환상의 용수철은, 예를 들어 도 7의 환상 용수철(32)과 같이, 1개의 선상재를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환상의 용수철에 간극(32c)이 있는 경우, 간극(32c)을 인서트 성형되는 규제부(50) 안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환상의 용수철을 규제부(50) 안에서 굴곡하여 두면, 규제부(50)는 용수철재의 둘레에 회전하는 일이 없다.
도 17의 환상 용수철(33)에서는, 압압 조작부(33b)가, 환상의 용수철의 면으로부터 일어서는 굴곡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환상 용수철(33)을 보스부(37)에 장착하고, 덮개 부재(34)를 취부한 상태에서는, 압압 조작부(33b)끼리의 거리를, 덮개 부재(34)의 외경보다 작게 할 수 없다. 그 결과, 환상 용수철(33)은 덮개 부재(34)에 보지된다.
규제부(50)는, 제1 베어링(4)의 제2 측면(4d)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규제면(50a)과, 규제면(50a)과는 반대 측의 경사면(50b)을 가지고 있다. 규제면(50a)은, 스풀(3)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면(50b)은,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규제면(50a)으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는 평면으로 구성된다. 규제면(50a)은, 제1 베어링(4)의 외륜(4b)의 제2 측면(4d)에 계지되어 스풀(3)이 스풀축(2)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경사면(50b)은, 스풀축(2)으로부터 떼어낸 스풀(3)을 스풀축(2)에 장착할 때, 제1 베어링(4)의 외륜(4b)의 외주면의 각부에 접촉하여 경사를 이용하여 규제부(50)를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 4의 스풀 착탈 기구(6)에서는, 착탈 부재와 환상 용수철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층 더 부품 점수가 적고, 조립이 보다 용이하다.
상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로서 구름 베어링인 제1 베어링(4)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는 미끄럼 베어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돌기는 스풀축과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특히 돌기를 합성 수지제로 한 경우는, 돌기를 베어링과 겸용하여도 돌기를 스풀축과 일체로 설치하기 쉽다. 또한, 돌기를 인서트 성형 등의 성형법에 의하여, 스풀축과 일체로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3)에 핸들 손잡이(54)가 설치되는 편 베어링 릴(100)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스풀 착탈 기구는, 스풀축의 개방 단부로부터 스풀축에 스풀을 착탈할 수 있는 낚시용 릴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 손잡이가 릴 본체의 스풀과는 반대 측에 설치되어, 구동 기구를 내장하는 편 베어링 릴에, 본 발명의 스풀 착탈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그 외에, 스피닝 릴에도 본 발명의 스풀 착탈 기구를 적용할 수 있다.
1: 릴 본체
2: 스풀축
3: 스풀
4: 제1 베어링
4c: 제1 측면
4d: 제2 측면
5: 제2 베어링
6: 스풀 착탈 기구
30: 착탈 부재
30a: 제1 면
32: 환상 용수철
32a: 계합부
32b: 연결부
33: 환상 용수철
33b: 압압 조작부
34: 덮개 부재
35: 줄 감기 몸통부
37: 보스부
37b: 슬릿
40: 규제부
40a: 규제면
40b: 경사면
42: 압압 조작부
44: 연결부
50: 규제부
50a: 규제면
50b: 경사면
100: 편 베어링 릴

Claims (11)

  1. 낚시용 릴의 스풀을 스풀축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한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의 개방 단부(端部)로부터 상기 스풀축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스풀축의 개방 단면(端面) 측을 향하는 제1 측면, 및, 상기 스풀축의 개방 단면과는 반대의 지지부 측을 향하는 제2 측면을 가지는 돌기부와,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할 수 있는 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측면에 계합(係合)할 수 있는 규제부, 및, 상기 스풀의 회전축을 항하여 압압(押壓) 조작되었을 경우에, 상기 규제부를 상기 돌기부로부터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풀에 장착되는 적어도 1개의 착탈 부재와,
    상기 규제부를 상기 스풀의 반경 방향으로 회전축을 항하여 압박하는 환상(環狀) 용수철과,
    상기 착탈 부재를 상기 스풀의 장착 위치에 보지(保持)하는 보지 부재
    를 구비하는 스풀 착탈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부재는, 상기 스풀의 줄 감기 몸통부에 설치되는 통상(筒狀)의 보스부의 외주면(外周面)으로부터 내주면(內周面)으로 관통하는 슬릿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측면에 계합하는 상기 착탈 부재에 대하여, 상기 스풀의 축 방향의 이동이 상기 슬릿으로 규제되는, 스풀 착탈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부재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 방향의 선단(先端)에 고정되어, 상기 착탈 부재를 상기 스풀의 장착 위치에 보지하는, 스풀 착탈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스풀축의 개방 단부에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된 구름 베어링이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구름 베어링의 외륜의 상기 지지부 측을 향하는 면인,
    스풀 착탈 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착탈 부재가, 상기 스풀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경(徑)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상기 스풀에 장착되고,
    상기 환상 용수철은, 상기 한 쌍의 착탈 부재의 상기 규제부끼리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풀 착탈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착탈 부재의 상기 규제부와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착탈 부재는 각각, 상기 규제부와 상기 조작부를 상기 스풀의 회전축의 경방향 외방(外方)에서 만곡(彎曲)하여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환상 용수철은, 상기 규제부의 경방향 외측에 계합하고, 상기 한 쌍의 착탈 부재의 규제부끼리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풀 착탈 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착탈 부재의 상기 규제부와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착탈 부재는 각각, 상기 규제부와 상기 조작부를 상기 스풀의 회전축의 경방향 외방에서 만곡하여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고,
    상기 환상 용수철은, 상기 조작부의 경방향 내측에 계합하고, 상기 한 쌍의 착탈 부재의 조작부끼리를, 서로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풀 착탈 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용수철은, 한 개의 선재(線材)로 형성되어 있는, 스풀 착탈 기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부재와 상기 환상 용수철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풀 착탈 기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규제면과, 상기 규제면과 반대 측에 배치되고, 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것에 따라, 상기 규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스풀 착탈 기구.
  11. 릴 본체와,
    상기 릴 본체에 캔틸레버 지지되어 있는 스풀축과,
    상기 스풀축의 개방 단부에 빠짐 방지되어 배치되는 돌기부인 제1 베어링과,
    상기 제1 베어링보다도 상기 캔틸레버 지지 측에 배치되는 제2 베어링과,
    줄 감기 몸통부, 및, 상기 줄 감기 몸통부와 일체 형성되어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내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베어링 및 상기 제2 베어링에 의하여 상기 스풀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통상의 보스부를 가지는 줄 감기용의 스풀과,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스풀 착탈 기구
    를 구비하는 편 베어링 릴.
KR1020180067911A 2017-09-19 2018-06-14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 및 편 베어링 릴 KR102604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8890A JP6968640B2 (ja) 2017-09-19 2017-09-19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着脱機構および片軸受リール
JPJP-P-2017-178890 2017-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71A KR20190032171A (ko) 2019-03-27
KR102604720B1 true KR102604720B1 (ko) 2023-11-22

Family

ID=65771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911A KR102604720B1 (ko) 2017-09-19 2018-06-14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 및 편 베어링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968640B2 (ko)
KR (1) KR102604720B1 (ko)
CN (1) CN109511621B (ko)
TW (1) TWI749243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741A (ja) 2002-01-15 2003-07-2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7020522A (ja) 2005-07-20 2007-02-01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部品
JP2011072237A (ja) 2009-09-30 2011-04-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クラッチ装置
JP2014030372A (ja) 2012-08-02 2014-02-20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着脱機構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3127A (ja) * 1982-10-02 1984-04-10 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フイツシングリ−ル
JPH119152A (ja) * 1997-06-24 1999-01-19 Ryobi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着脱機構
JP5993713B2 (ja) * 2012-10-31 2016-09-14 株式会社シマノ 片軸受リール
JP6134133B2 (ja) * 2012-12-04 2017-05-24 株式会社シマノ ドラグつまみ、及びこれを用いた釣り用リール
JP6649699B2 (ja) * 2015-05-27 2020-02-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9480246B1 (en) * 2015-11-25 2016-11-01 Better Fishtrap, Inc. Detachable line cartridg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741A (ja) 2002-01-15 2003-07-2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7020522A (ja) 2005-07-20 2007-02-01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部品
JP2011072237A (ja) 2009-09-30 2011-04-1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クラッチ装置
JP2014030372A (ja) 2012-08-02 2014-02-20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着脱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14419A (zh) 2019-04-16
TWI749243B (zh) 2021-12-11
JP6968640B2 (ja) 2021-11-17
CN109511621B (zh) 2022-02-18
KR20190032171A (ko) 2019-03-27
CN109511621A (zh) 2019-03-26
JP2019050785A (ja)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5448B2 (ja) 釣り用リール部品
KR910002680Y1 (ko) 스피닝 리일
KR101293174B1 (ko) 스피닝 릴의 로터 제동 장치
JP2007020522A5 (ko)
KR101790778B1 (ko) 브레이킹 마그넷의 영점 조절이 가능한 베이트 캐스팅 릴
US20060060687A1 (en) Fishing reel having externally controlled spool brake
KR20030063240A (ko) 낚시용 릴의 부품조립체
KR102604720B1 (ko) 낚시용 릴의 스풀 착탈 기구 및 편 베어링 릴
KR20220115874A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2019007576A (ja) ラジアルフォイル軸受
US6964387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lash of spool used in baitcasting reel
TWI554208B (zh) 釣魚用捲線器的捲筒裝卸機構
JP2000037565A (ja) ヨーヨー
KR102045543B1 (ko) 편 베어링 릴
KR101784271B1 (ko) 편 베어링 릴
US4813626A (en) Drag control device in spinning type fishing reel
JP6235446B2 (ja) 魚釣用リール
JP2014030372A5 (ko)
KR200444938Y1 (ko) 예압구조를 가진 스테핑모터
JP2014087309A5 (ko)
JP6235445B2 (ja) 魚釣用リール
JPH0910785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KR100318718B1 (ko) 착탈 가능한 스풀축 지지판을 갖는 플라이 낚시용 릴
JP2014212754A (ja) 片軸受リール
JPH1070946A (ja) 魚釣用リールの逆転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