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111B1 -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 Google Patents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111B1
KR102604111B1 KR1020220191170A KR20220191170A KR102604111B1 KR 102604111 B1 KR102604111 B1 KR 102604111B1 KR 1020220191170 A KR1020220191170 A KR 1020220191170A KR 20220191170 A KR20220191170 A KR 20220191170A KR 102604111 B1 KR102604111 B1 KR 102604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cipitation
filter
hole
main bod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91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우
이중훈
이승훈
김병규
Original Assignee
조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우 filed Critical 조영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1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comprising two or more cover sections hinged one to another

Abstract

본 발명은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빗물이나 눈을 수집하도록 개방된 강수량계의 상부에 결합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로, 강수량계의 상단 둘레부에 결합되고, 강수량계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관통홀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도어,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개폐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강수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강수감지센서, 상기 관통홀이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도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도어구동모듈 및 상기 강수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강수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Cover for precipitation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강수량계용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이나 눈을 수집하도록 개방된 강수량계의 상부에 결합되어,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에만 강수량계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 관한 것이다.
기상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기상 계측 장치로 온습도계, 강수량계, 풍향계, 풍속계 등 특정 기상 정보를 계측하기 위한 장치들이 있으며, 이중 강수량계는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강수량계는 상부에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이나 눈을 수집하는 수집용기가 구비되고, 수집용기에 수집되는 빗물이나 눈을 이용하여 강수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집용기는 빗물을 수집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집용기 내부로 먼지, 모래, 곤충 등 다양한 이물질이 유입되어 강수량을 측정하는 강수량 측정부에서 강수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작동이나 고장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제10-1264124호와 같이 주로 빗물을 수집하는 부분의 개구에 필터를 설치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거나, 한국등록특허 제10-1503920호와 같이, 강수량을 측정하는 부분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단이 부가되도록 구성되는 기술이 일부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강수량계는 필터를 자주 교체해야 하거나, 이물질이 쌓인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사후 처리 방식으로, 강수량 측정부분에서의 이물질의 유입에 의한 오작동이나 고장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64124호(2013.05.08.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503920호(2015.03.12. 등록)
본 발명의 과제는 강수량계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강수량계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에만 강수량계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빗물이나 눈을 수집하도록 개방된 강수량계의 상부에 결합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로, 강수량계의 상단 둘레부에 결합되고, 강수량계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관통홀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도어,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개폐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강수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강수감지센서, 상기 관통홀이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도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도어구동모듈 및 상기 강수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강수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상기 본체의 관통홀에 구비되는 제1 내부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부필터는, 상기 관통홀 내부에 인입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중앙만곡부와, 상기 중앙만곡부의 둘레부에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외측 둘레부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수집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상기 제1 내부필터를 상하으로 회동시켜 상기 관통홀 내외로 인입인출 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필터구동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상기 본체의 관통홀에 상기 제1 내부필터 하측에 구비되는 제2 내부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상기 제1 내부필터가 상기 관통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부필터에 외력을 제공하여 진동되도록 하는 필터진동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부필터는, 상기 관통홀 내부에 인입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부와, 일측은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관통홀 내외로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진동모듈은, 전동모터의 구동축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비대칭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동캠과, 상부에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힌지축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구동캠이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구동캠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비대칭 돌출부에 의해 주기적인 가압과 해제의 반복을 통하여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진동모듈은, 상기 구동캠이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구동캠과 대응되어 복수개 구비되고, 각 지지바디는 각 구동캠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상기 구동캠은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비대칭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1 내부필터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본체, 개폐도어, 강수감지센서, 도어구동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나 눈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도어가 강수량계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폐쇄함으로써, 강수량계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유입에 의한 강수량계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제1 내부필터를 더 포함하여, 강수가 감지되어 강수량계로 강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개방된 상태에서 강수량계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제1 내부필터의 필터부가 중앙만곡부, 경사부, 수집홈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강수량계의 강수량 측정부로 강수가 공급되는 부분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강수 공급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필터구동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내부필터를 관통홀 외부로 회동시켜 인출시켜 제1 내부필터 내부에 수집되는 이물질을 분리시켜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제2 내부필터를 더 포함함으로써, 개폐도어가 관통홀을 개방하도록 회동되고, 제1 내부필터 또한 관통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이물질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필터진동모듈을 더 포함하여, 제1 내부필터 내부에 수집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1 내부필터와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서 개폐도어가 회동되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서 개폐도어가 회동되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서 개폐도어가 회동되어 개방된 상태되고, 제1 내부필터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서 개폐도어가 회동되어 개방된 상태되고, 제1 내부필터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서 필터진동모듈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하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좌, 우, 상, 하, 전, 후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각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바라보는 방향 또는 구성요소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서 개폐도어(200)가 회동되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강수(빗물이나 눈)를 수집하도록 개방된 강수량계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크게, 본체(100), 개폐도어(200), 강수감지센서(300), 도어구동모듈 및 제어모듈(미도시)을 포함한다.
우선, 본체(100)는, 강수량계의 상단 둘레부에 결합되고, 강수량계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는 관통홀(11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본체(100)는 강수량계의 상단 둘레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조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일예로는, 본체(100)의 관통홀(110)이, 강수량계의 상단 내주면과 동일한 원주 크기를 가지는 제1 직경부(111)와, 상기 제1 직경부(111)의 하측에 상기 강수량계의 외주면이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직경부(111)보다 큰 원주 크기를 가지는 제2 직경부(112)를 포함하여, 제1 직경부(111)와 제2 직경부(112)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113)에 의해 상기 본체(100)가 강수량계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제2 직경부(112)에 강수량계의 상단 둘레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개폐도어(200)는, 본체(100)의 관통홀(110)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100)의 관통홀(110)을 상측에서 커버 가능하도록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본체(100)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강수감지센서(300)는, 강수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0) 또는 상기 개폐도어(200) 중 적어도 하나에 강수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강수감지센서(300)는, 일예로, 외면에 +라인과 -라인이 구비되어,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 빗물이나 눈이 해당 부분에 접촉됨에 따라 +라인과 -라인이 합선되는 것이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강수감지센서(300)가 개폐도어(200)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개페도어의 상면 전체 영역에 걸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어구동모듈은, 상기 관통홀(110)이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도어(2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강수감지센서(300)에서 감지되는 강수여부에 따라 후술할 제어모듈에 의해 구동제어 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어모듈은, 본 발명의 강수량계용 덮개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상기 강수감지센서(300)에서 감지되는 강수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모듈은, 강수감지센서(300)의 강수 감지 여부에 따라 강수가 감지되는 경우 관통홀(110)이 개방되도록 개폐도어(200)가 상방으로 회동되도록 구동되고, 빗물이나 눈이 미감지 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관통홀(110)이 폐쇄되도록 개폐도어(200)가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이로 인해 관통홀(110)이 개폐됨에 따라 강수량계의 개방된 상부 또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서 개폐도어(200)가 회동되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서 개폐도어(200)가 회동되어 개방된 상태되고, 제1 내부필터(400)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서 개폐도어(200)가 회동되어 개방된 상태되고, 제1 내부필터(400)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서 필터진동모듈(6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에서 제1 내부필터(400), 필터구동모듈, 필터진동모듈(600)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우선, 제1 내부필터(400)는, 본체(100)의 관통홀(110)에 구비되어, 강수감지센서(300)에서 강수가 감지되어 도어구동모듈에 의해 개폐도어(200)가 구동되어 관통홀(110)이 개방된 상태에서 강수량계로 강수가 수집되는 동안 강수량계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예로, 제1 내부필터(400)는, 상기 관통홀(110) 내부에 인입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부(410)와, 일측은 상기 필터부(4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410)가 상기 관통홀(110) 내외로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부(410)와 상기 본체(100)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필터부(410)는, 일예로,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중앙만곡부(411)와, 상기 중앙만곡부(411)의 둘레부에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412)와, 상기 경사부(412)의 외측 둘레부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수집홈부(413)를 포함하여, 강수량계의 강수량이 수집되어 강수량을 측정하는 부분으로 강수를 제공하기 위해 강수량계의 중앙부분에 구비되는 배출홀 부분의 상측으로는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배출홀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흘러내려 둘레부 부분으로 이동되어 수집될 수 있도록 하여, 강수가 강수량계의 측정부 부분으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필터부(410)는 수집홈부(413)의 외측 둘레부에는 상기 관통홀(110)의 상단 둘레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부(4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터구동모듈은, 상기 제1 내부필터(400)를 상하로 회동시켜 상기 관통홀(110) 내외로 인입인출 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필터진동모듈(600)은, 상기 제1 내부필터(400)가 상기 관통홀(110)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부필터(400)에 외력을 제공하여 진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 내부필터(400)가 관통홀(110)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진동에 의해 필터로 수집된 이물질을 털어내어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내부필터(400)는, 상기 관통홀(110) 내부에 인입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부(410)와, 일측은 상기 필터부(41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410)가 상기 관통홀(110) 내외로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부(410)와 상기 본체(100)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420)를 포함하고, 필터진동모듈(600)은, 전동모터의 구동축과 연동되어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610)과, 상기 회전축(610)의 외주면을 따라 비대칭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동캠(620)과, 상부에는 상기 힌지결합부(420)의 힌지축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구동캠(620)이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610)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구동캠(62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비대칭 돌출부에 의해 가압과 해제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면서 주기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바디(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610)은, 전동모터의 구동축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되거나, 전동모터의 구동축과 기계적 연동구조(기어, 체인, 벨트 등의 연동수단 포함)에 의해 구동축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진동모듈(600)은, 상기 구동캠(620)이 제1 내부필터(400)의 힌지결합부(420)의 일측부와 타측부 각각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전축(610)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디(630)는 상기 구동캠(6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상기 구동캠(620)은 상기 회전축(6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비대칭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1 내부필터(400)의 힌지결합부(420)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어구동모듈과 필터구동모듈은, 함체의 도어, 쓰레기통의 상부덮개, 양변기의 커버 등과 같이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된 부분이 회동되어 내부공간이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종래의 구동구조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부분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는 제2 내부필터(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내부필터(500)는, 상기 본체(100)의 관통홀(110)에 상기 제1 내부필터(400)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내부필터(400)가 필터구동모듈에 의해 관통홀(110)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도 강수량계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강수량계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가 구동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강수가 감지되어 관통홀(110)이 개방되도록 구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본체(100)의 관통홀(110)이 개폐도어(200)에 의해 커버되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강수감지센서(300)에서 강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도어구동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개폐도어(200)가 회동되게 되어 상기 관통홀(110)이 개방되도록 한다.
이후, 관통홀(110)이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관통홀(110)이 폐쇄되도록 구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강수감지센서(300)에서 빗물이나 눈이 미감지되거나(강수감지센서(300)가 본체(100)와 개폐도어(200) 각각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2개의 강수감지센서(300)에서 강수가 미감지되는 경우) 또는 강수량계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강수량계의 강수량 측정부에서 강수량이 미감지됨을 전달받거나 강수량을 지속적으로 전달받아 강수량 감지여부를 확인하여 강수량계의 강수량 측정부에서 강수량이 미감지됨을 확인하여, 결과적으로 비나 눈이 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1)필터구동모듈을 구동시켜 제1 내부필터(400)가 관통홀(110)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고, 2)필터진동모듈(600)을 구동시켜 제1 내부필터(400)에 외력을 가하여 진동시켜 제1 내부필터(400)에 수집된 이물질이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후에, 3)다시 필터구동모듈을 구동시켜 제1 내부필터(400)가 관통홀(110)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고, 4)마지막으로, 도어구동모듈을 구동시켜 관통홀(110)이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 본체
110 : 관통홀
111 : 제1 직경부
112 : 제2 직경부
113 : 단턱
200 : 개폐도어
300 : 강수감지센서
400 : 제1 내부필터
410 : 필터부
411 : 중앙만곡부
412 : 경사부
413 : 수집홈부
414 : 안착부
420 : 힌지결합부
500 : 제2 내부필터
600 : 필터진동모듈
610 : 회전축
620 : 구동캠
630 : 지지바디
20 : 강수량계

Claims (8)

  1. 빗물이나 눈을 수집하도록 개방된 강수량계의 상부에 결합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로,
    강수량계의 상단 둘레부에 결합되고, 강수량계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관통홀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도어;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개폐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강수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강수감지센서;
    상기 관통홀이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도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도어구동모듈;
    상기 강수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강수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본체의 관통홀에 구비되는 제1 내부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필터는,
    상기 관통홀 내부에 인입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중앙부분에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되는 중앙만곡부와,
    상기 중앙만곡부의 둘레부에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외측 둘레부에 하방으로 오목하게 만곡되는 수집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2. 빗물이나 눈을 수집하도록 개방된 강수량계의 상부에 결합되는 강수량계용 덮개로,
    강수량계의 상단 둘레부에 결합되고, 강수량계의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관통홀을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도어;
    상기 본체 또는 상기 개폐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강수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강수감지센서;
    상기 관통홀이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도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도어구동모듈;
    상기 강수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강수여부에 따라 상기 도어구동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본체의 관통홀에 구비되는 제1 내부필터; 및
    상기 제1 내부필터를 상하으로 회동시켜 상기 관통홀 내외로 인입인출 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필터구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관통홀에 상기 제1 내부필터 하측에 구비되는 제2 내부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필터가 상기 관통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부필터에 외력을 제공하여 진동되도록 하는 필터진동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필터는,
    상기 관통홀 내부에 인입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필터부와,
    일측은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가 상기 관통홀 내외로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필터부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진동모듈은,
    전동모터의 구동축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 비대칭 돌출부가 형성되는 구동캠과,
    상부에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힌지축이 안착되어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구동캠이 위치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구동캠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비대칭 돌출부에 의해 주기적인 가압과 해제의 반복을 통하여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진동모듈은,
    상기 구동캠이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디는 상기 구동캠과 대응되어 복수개 구비되고, 각 지지바디는 각 구동캠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상기 구동캠은 상기 회전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외측방향으로 비대칭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어, 상기 제1 내부필터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KR1020220191170A 2022-11-29 2022-12-30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KR102604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63142 2022-11-29
KR1020220163142 2022-1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111B1 true KR102604111B1 (ko) 2023-11-20

Family

ID=8897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91170A KR102604111B1 (ko) 2022-11-29 2022-12-30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1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637A (ko) * 2010-07-09 2012-01-17 김창구 강수량계의 전원공급 및 히터구동 테스트 장치
KR20120105711A (ko) * 2011-03-16 2012-09-26 대한민국(국립기상연구소장)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KR101264124B1 (ko) 2012-10-25 2013-05-15 (주)정한전자시스템 자동배수 기능을 갖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 측정 방법
KR101503920B1 (ko) 2014-08-26 2015-03-19 주식회사 이노매틱스 이물자가제거기능을 갖는 강우량계
KR20210089090A (ko) *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드론용 강수량 측정 장치 및 그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637A (ko) * 2010-07-09 2012-01-17 김창구 강수량계의 전원공급 및 히터구동 테스트 장치
KR20120105711A (ko) * 2011-03-16 2012-09-26 대한민국(국립기상연구소장) 배수 교차식 강수량계
KR101264124B1 (ko) 2012-10-25 2013-05-15 (주)정한전자시스템 자동배수 기능을 갖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 측정 방법
KR101503920B1 (ko) 2014-08-26 2015-03-19 주식회사 이노매틱스 이물자가제거기능을 갖는 강우량계
KR20210089090A (ko) *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보라스카이 드론용 강수량 측정 장치 및 그의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181B1 (ko) 우수 조절 및 오물 차단 기능이 구비된 맨홀 그레이팅 장치
SG174635A1 (en) Self-cleaning filter module
DE4330078A1 (de) Zentrifugaltrockner für Pellets
KR102604111B1 (ko)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CN107747350A (zh) 一种具有防洪功能的井盖
CN107604949A (zh) 一种防潮防盗的市政工程用窨井盖
CN107524219B (zh) 市政道路智能排水系统
CN1739858B (zh) 离心分离机
CN209620166U (zh) 一种建筑雨水回收装置
US2228185A (en) Shale separator
KR20090036556A (ko) 밀폐형 배수로 덮개
CN113668665A (zh) 一种公路道路快速排水系统
KR20100000298U (ko) 맨홀용 악취 방지장치
KR102537127B1 (ko) 강수량계
CN109529470A (zh) 一种包含检测袋的除尘滤袋
JP4489717B2 (ja) 合流式管渠におけるスクリーンの稼働管理システム
KR200469032Y1 (ko) 회전개폐수단이 구비된 집수정용 그레이팅
CN209406604U (zh) 离心机拉袋抻拉结构及采用该抻拉结构的上悬拉袋离心机
KR20240028634A (ko) 기상 계측 장치
KR100744434B1 (ko) 국기게양대
CN106862190A (zh) 一种除尘风管的卸料方法
CN205708876U (zh) 一种用于气力垃圾输送系统的旋转屏
JP4611238B2 (ja) 合流式管渠におけるスクリーンの稼働管理システム
KR200381745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219011444U (zh) 一种防堵塞过滤的市政路面用污水井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