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127B1 - 강수량계 - Google Patents

강수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127B1
KR102537127B1 KR1020220140065A KR20220140065A KR102537127B1 KR 102537127 B1 KR102537127 B1 KR 102537127B1 KR 1020220140065 A KR1020220140065 A KR 1020220140065A KR 20220140065 A KR20220140065 A KR 20220140065A KR 102537127 B1 KR102537127 B1 KR 10253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llection container
precipitation
support shaft
sn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우
이중훈
이승훈
김병규
Original Assignee
조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우 filed Critical 조영우
Priority to KR1020220140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수량계에 관한 것으로, 빗물이나 눈을 수집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수집용기와, 상기 수집용기에 수집되는 빗물이나 눈을 이용하여 강수량을 감지하는 강수량 센싱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수집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덮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상부덮개에 구비되어 빗물이나 눈을 감지하는 강수감지센서 및 상기 강수감지센서의 강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상부덮개가 상기 수집용기 개방된 상부를 개폐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덮개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수량계{Precipitation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강수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수량계에서 이물질 유입을 최소화하여 오작동이나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강수량계에 관한 것이다.
기상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기상 계측 장치로 온습도계, 강수량계, 풍향계, 풍속계 등 특정 기상 정보를 계측하기 위한 장치들이 있으며, 이중 강수량계는 강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강수량계는 상부에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이나 눈을 수집하는 수집용기가 구비되고, 수집용기에 수집되는 빗물이나 눈을 이용하여 강수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집용기는 빗물을 수집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집용기 내부로 먼지, 모래, 곤충 등 다양한 이물질이 유입되어 강수량을 측정하는 강수량 측정부에서 강수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오작동이나 고장이 자주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제10-1264124호와 같이 주로 빗물을 수집하는 부분의 개구에 필터를 설치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거나, 한국등록특허 제10-1503920호와 같이, 강수량을 측정하는 부분에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단이 부가되도록 구성되는 기술이 일부 개발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강수량계는 필터를 자주 교체해야 하거나, 이물질이 쌓인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사후 처리 방식으로, 강수량 측정부분에서의 이물질의 유입에 의한 오작동이나 고장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64124호(2013.05.08.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503920호(2015.03.12. 등록)
본 발명의 과제는 이물질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강수량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강수량계는, 빗물이나 눈을 수집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수집용기와, 상기 수집용기에 수집되는 빗물이나 눈을 이용하여 강수량을 감지하는 강수량 센싱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수집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덮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상부덮개에 구비되어 빗물이나 눈을 감지하는 강수감지센서 및 상기 강수감지센서의 강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상부덮개가 상기 수집용기 개방된 상부를 개폐 구동하도록 구비되는 덮개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수집용기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상측 둘레부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집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구동부는, 상기 강수감지센서의 강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지지축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수집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지지축의 외주부에 끼워져 상기 지지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디와,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바디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구동부는, 상기 강수감지센서의 강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바디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지지축을 향해 내측 방향으로 축소되거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제1 래크기어와, 상기 이동바디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제2 래크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피니언기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래크기어와 상기 제2 래크기어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지지축과 상기 이동바디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상측 둘레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커버지지대와, 상기 커버지지대와 연결되어, 상호 인접하는 2개의 커버지지대 사이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수량계는, 수집용기와 강수량 센싱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부덮개, 강수감지센서 및 덮개구동부를 포함하여, 강수감지센서의 강수 감지 여부에 따라 덮개구동부가 수집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나 눈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덮개가 수집용기의 상부를 폐쇄하여 수집용기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 유입에 의한 오작동이나 고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수량계는, 상부덮개가 지지축, 커버부재, 이동바디, 연동부재를 포함하고, 덮개구동부가 지지축과 이동바디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커버부재가 비나 눈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수집용기 내부로의 이물질을 원천 차단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비가 오는 경우에는 커버부재를 통해 수집용기 내부로 빗물이 흘러내려 수집되는 것을 유도하고, 동시에 수집용기에서 강수량 측정부로 빗물이나 눈을 제공하기 위한 배출공 부분에서의 흐름은 보다 원활하도록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수량계는, 덮개구동부가 전동모터, 피니언기어, 제1 래크기어, 제2 래크기어를 더 포함하여, 하나의 전동모터가 제공하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피니언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동시에 지지축과 이동바디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장치를 소형화 및 간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에서, 강수감지센서에서 빗물이나 눈이 감지되어, 덮개구동부에 의해 수집용기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커버부재가 구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하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좌, 우, 상, 하, 전, 후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각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바라보는 방향 또는 구성요소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강수량계는, 크게, 본체(100), 상부덮개(200), 강수감지센서(300), 덮개구동부(400)를 포함한다.
우선, 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강수량계의 기본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상부에 빗물이나 눈을 수집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수집용기(110)와, 수집용기(110)에 수집되는 빗물이나 눈을 이용하여 강수량을 측정하는 강수량 센싱부(130)가 구비되게 된다.
이때, 본체(100)는 하나의 바디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2개 이상의 모듈바디가 상호 탈부착 되어 하나의 본체(100)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모듈바디가 탈부착 되어 하나의 본체(100)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모듈바디 중 가장 상측에 배치되는 모듈바디에 수집용기(1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집용기(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본체의 상부에 별도의 몸체로 구비되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강수량 센싱부(130)는 수집용기(110)의 하부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공(1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집용기(110) 내부로 수집되어 배출공(120)을 통해 배출되어 공급되는 빗물이나 눈의 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강수량 센싱부(130)는, 일예로, 좌우대칭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시소운동 되도록 구성되는 가동바디(미도시)와, 공급되는 빗물이나 눈에 의해 가동바디가 시소운동 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번갈아가며 기울어짐에 따라 가동바디에 의해 가압되거나 접촉됨을 감지하는 좌측감지센서(미도시)와 우측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좌측감지센서와 우측감지센서에서의 감지회수를 이용하여 강수량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강수량 센싱부(130)는, 다른 예로, 수집용기(110) 내부로 수집되는 빗물의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수위변화에 따라 강수량을 감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외에도 종래의 강수량을 감지 가능한 수단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덮개(200)는, 수집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부덮개(200)는 수집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 가능하다면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일예로, 상부덮개(200)는 하나의 커버부재(220)가 상하로 이동되어 수집용기(110)의 상부를 개폐하거나, 다른 예로, 하나의 커버부재(220)가 회전이동되어 수집용기(110)의 상부를 개폐하거나, 또 다른 예로, 복수개의 커버부재(220)가 인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수집용기(110)의 상부를 폐쇄 가능하고, 덮개구동부(400)에 의해 복수개의 커버부재(220)가 상호 이격되도록 이동되어 수집용기(110)의 상부가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강수감지센서(300)는, 강수량계의 본체(100)와 상부덮개(20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이나 눈을 감지하여 강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예로, 강수감지센서(300)는 본체(100)나 후술할 상부덮개(200)의 지지축(210) 상단부 외면에, +라인과 -라인이 구비되어, 비나 눈이 내리는 경우 빗물이나 눈이 해당 부분에 접촉됨에 따라 +라인과 -라인이 합선되는 것이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강수 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다음으로, 덮개구동부(400)는, 수집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상부덮개(200)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으로, 특히, 강수감지센서(300)의 강수 감지 여부에 따라, 빗물이나 눈이 감지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수집용기(110)의 상부를 개방하도록 상부덮개(200)를 구동하고, 빗물이나 눈이 미감지 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수집용기(110)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되도록 상부덮개(20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강수량계는, 비나 눈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덮개(200)가 수집용기(110)의 상부를 폐쇄하여, 수집용기(110)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만 상부덮개(200) 구동되어 수집용기(110)의 상부가 개방되어, 빗물이나 눈이 수집되는 과정에서 수집용기(11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만을 걸러내거나 제거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되므로, 이물질 유입에 의한 오작동이나 고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빗물이 수집되는 과정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하여 수집용기(110)의 개방된 상부 또는 수집용기(110)에서 강수량 센싱부(130)로 빗물이 공급되도록 수집용기(110) 하부에 관통 형성되는 배출공(120) 부분에 필터가 더 구비되거나, 수집용기(110) 내부 또는 배출공(120) 부분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수단이 별도로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에서, 강수감지센서(300)에서 빗물이나 눈이 감지되어, 덮개구동부(400)에 의해 수집용기(1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커버부재(220)가 구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는, 상부덮개(200)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수집용기(110)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한 실시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부덮개(200)는, 수집용기(110)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축(210)과, 지지축(210)의 상측 둘레부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집용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220)를 포함하고, 덮개구동부(400)는, 강수감지센서(300)의 강수 감지 여부에 따라 지지축(2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수집용기(1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덮개구동부(400)에 의해 지지축(210)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커버부재(220)가 수집용기(110) 상부를 폐쇄하거나 수집용기(110)와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 공간으로 빗물이나 눈이 수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는, 상부덮개(200)는, 지지축(210)의 외주부에 끼워져 지지축(21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디(230)와, 일단은 커버부재(220)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바디(230)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부재(240)를 더 포함하고, 덮개구동부(400)는, 강수감지센서(300)의 강수 감지 여부에 따라 이동바디(230)를 상하로 이동시켜, 커버부재(220)가 지지축(210)을 향해 내측 방향으로 축소되거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바디(23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바디(230)와 결합된 연동부재(240)에 의해 커버부재(220)가 지지축(210)을 향해 내측 방향으로 접히거나 탄성에 의해 축소되고, 이동바디(230)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바디(230)와 결합된 연동부재(240)에 의해 커버부재(220)가 외측 방향으로 펼쳐져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바디(230)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바디(230)와 결합된 연동부재(240)에 의해 커버부재(220)가 지지축(210)을 향해 내측 방향으로 접히거나 탄성에 의해 축소되는 경우에는, 커버부재(220)가 수집용기(1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영역이 축소되어 수집용기(110)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되, 동시에 커버부재(220)의 하방으로 굴곡지거나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굴곡면이나 경사면을 통해 빗물이나 눈이 흘러내려 수집용기(110)의 내부공간으로 빗물이 수집되도록 유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집용기(110)의 내부공간의 외측둘레부를 향해 빗물이나 눈이 흘러내리도록 유도하여, 수집용기(110)에 수집되는 빗물이나 눈이 수집용기(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공(120)으로 집중되어 배출공(120) 부분에서의 배출흐름이 막히거나 역류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켜, 배출공(120)에서 빗물이나 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재(220)는, 지지축(210)의 상측 둘레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커버지지대(221)와, 커버지지대(221)와 연결되어, 상호 인접하는 2개의 커버지지대(221) 사이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천(2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연동부재(240)는 이동바디(230)와 커버지지대(221)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커버천(222)은 외면에 발수코팅층이 형성되어 빗물이 커버천(222)의 외면을 따로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더불어 커버천(222)은 연동부재(240)에 의해 커버지지대(221)가 지지축(210)을 향해 내측으로 당겨지거나 외측 방향으로 펼쳐질 때 커버영역이 축소되거나 확장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덮개구동부(400)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미도시)와, 전동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피니언기어(410)와, 지지축(210)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에 피니언기어(410)와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제1 래크기어(420)와, 이동바디(230)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에 피니언기어(410)와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제2 래크기어(430)를 포함하여, 피니언기어(4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래크기어(420)와 상기 제2 래크기어(430)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피니언기어(410)가 회전됨에 따라 동시에 지지축(210)과 이동바디(230)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하나의 전동모터가 제공하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지지축(210)과 이동바디(230)가 동시에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장치를 소형화 및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부덮개(200)는 커버부재(220)의 외측 둘레부에 하방으로 굴곡진 홈이 형성되는 보조필터(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보조필터는 커버부재(220)의 상측 외면의 이물질이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경우 이물질이 안착되어 걸러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보조필터는 커버부재(220)의 외측 둘레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고, 커버부재(220)가 연동부재(240)에 의해 커버면적이 확장 및 축소되는 경우 그와 연동되어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수량계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부덮개(200)에 구비되어, 상부덮개(200) 상측으로 쌓이는 눈이 녹아 하방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열을 가하는 가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부는 전원수단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아 열을 가하도록 상부덮개(200)에 구비되는 열선이나 발열패드 등 상부덮개(200)에 구비되어 상부덮개(200)의 상측으로 쌓이는 눈을 용이하게 녹일 수 있도록 열을 가할 수 있는 수단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한편, 참고로 전원수단은 강수량계의 구동을 위해 구동을 위해 전력을 필요로 하는 강수량계의 각 구성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 본체
110 : 수집용기
120 : 배출공
130 : 강수량 센싱부
200 : 상부덮개
210 : 지지축
220 : 커버부재
221 : 커버지지대
222 : 커버천
230 : 이동바디
240 : 연동부재
300 : 강수감지센서
400 : 덮개구동부
410 : 피니언기어
420 : 제1 래크기어
430 : 제2 래크기어

Claims (5)

  1. 빗물이나 눈을 수집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수집용기와, 상기 수집용기에 수집되는 빗물이나 눈을 이용하여 강수량을 감지하는 강수량 센싱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수집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덮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상부덮개에 구비되어 빗물이나 눈을 감지하는 강수감지센서; 및
    상기 강수감지센서의 강수 감지 여부에 따라 비나 눈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덮개가 상기 수집용기의 상부를 폐쇄하고 비나 눈이 오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덮개가 상기 수집용기 상부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덮개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수집용기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상측 둘레부에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집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지지축의 외주부에 끼워져 상기 지지축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디와,
    일단은 상기 커버부재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바디와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구동부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제1 래크기어와,
    상기 이동바디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에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도록 구비되는 제2 래크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피니언기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래크기어와 상기 제2 래크기어가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강수감지센서의 강수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지지축과 상기 이동바디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축을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수집용기의 상부를 개폐하고, 상기 이동바디를 상하로 이동시켜 상기 커버부재가 상기 지지축을 향해 내측 방향으로 축소되거나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이동바디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연동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축을 향해 내측 방향으로 축소되는 경우, 상기 수집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영역이 축소되면서 하방으로 굴곡지거나 경사져, 빗물이나 눈이 상기 수집용기 내부공간의 외측둘레부를 향해 흘러내려 수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상측 둘레부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커버지지대와,
    상기 커버지지대와 연결되어, 상호 인접하는 2개의 커버지지대 사이 영역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커버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수량계.
KR1020220140065A 2022-10-27 2022-10-27 강수량계 KR102537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065A KR102537127B1 (ko) 2022-10-27 2022-10-27 강수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065A KR102537127B1 (ko) 2022-10-27 2022-10-27 강수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127B1 true KR102537127B1 (ko) 2023-05-30

Family

ID=8652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065A KR102537127B1 (ko) 2022-10-27 2022-10-27 강수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12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45B1 (ko) * 2011-11-28 2012-05-09 주식회사 동아시스템 접이식 파고라
KR101264124B1 (ko) 2012-10-25 2013-05-15 (주)정한전자시스템 자동배수 기능을 갖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 측정 방법
KR101503920B1 (ko) 2014-08-26 2015-03-19 주식회사 이노매틱스 이물자가제거기능을 갖는 강우량계
CN106717657A (zh) * 2017-02-14 2017-05-31 胥曰强 一种新型玉米棒栈子
CN107450111A (zh) * 2017-09-12 2017-12-08 董学阳 雨量计智能防护系统
KR20220132871A (ko) * 2021-03-24 2022-10-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45B1 (ko) * 2011-11-28 2012-05-09 주식회사 동아시스템 접이식 파고라
KR101264124B1 (ko) 2012-10-25 2013-05-15 (주)정한전자시스템 자동배수 기능을 갖는 무게식 강수량계 및 강수량 측정 방법
KR101503920B1 (ko) 2014-08-26 2015-03-19 주식회사 이노매틱스 이물자가제거기능을 갖는 강우량계
CN106717657A (zh) * 2017-02-14 2017-05-31 胥曰强 一种新型玉米棒栈子
CN107450111A (zh) * 2017-09-12 2017-12-08 董学阳 雨量计智能防护系统
KR20220132871A (ko) * 2021-03-24 2022-10-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수용 햇빛 차단 파라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CN207745577U (zh) 一种用于海绵城市的过滤组件以及排水系统
BRPI1004676B1 (pt) sistema captador, classificador e separador de água pluvial
US20190017274A1 (en) Self-Cleaning Gutter System
KR102537127B1 (ko) 강수량계
KR20090027798A (ko) 배수구용 그레이팅
CN109137991A (zh) 一种智能窨井盖
CN207227892U (zh) 一种排水效果好的道路排水沟
CN209620166U (zh) 一种建筑雨水回收装置
KR20170014313A (ko) 차량용 미세먼지 집진장치
KR20240028634A (ko) 기상 계측 장치
KR101342261B1 (ko) 점검램프를 이용한 교량 배수시설의 오물감지 및 배수촉진 장치
CN205822327U (zh) 雨水收集器
CN208126653U (zh) 信息交通诱导指示屏
CN102712296B (zh) 挡风玻璃刮水器的轴承
CN116071894A (zh) 一种山洪灾害预警呼叫一体化设备
KR102604111B1 (ko) 강수여부에 따라 개폐 구동되는 강수량계용 덮개
CN206657011U (zh) 一种坡地水土检测装置
CN109529470A (zh) 一种包含检测袋的除尘滤袋
CN114197573B (zh) 一种具有雨水收集作用的园林景观用挡雨棚
JP5048634B2 (ja) ソリッドセパレーション型の汚水中継ポンプ設備のスクリーン装置
KR102409971B1 (ko) 빗물 집수 장치
JP2007247284A (ja) 合流式管渠におけるスクリーンの稼働管理システム
CN207003243U (zh) 一种市政桥梁防堵塞式下水道
CN221589860U (zh) 一种适用于老旧小区改造的雨水收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