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490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490B1
KR102603490B1 KR1020160142699A KR20160142699A KR102603490B1 KR 102603490 B1 KR102603490 B1 KR 102603490B1 KR 1020160142699 A KR1020160142699 A KR 1020160142699A KR 20160142699 A KR20160142699 A KR 20160142699A KR 102603490 B1 KR102603490 B1 KR 102603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pipe
coating layer
refrigerant
evaporat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052A (ko
Inventor
나민균
박영덕
한규익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4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71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liquid ducts, e.g. for coolant liquids or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36Noise absorbers by means of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6Arrangements for coupling connectors with flow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흡음 및 차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증발기 파이프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고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 하는 증발기를 구비하며, 상기 증발기의 코어 측으로 냉매를 유입하기 위한 인렛 파이프와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아웃렛 파이프로 이루어진 증발기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 파이프의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일면에 증발기 파이프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코팅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와 팽창밸브를 연결하여 내부에 냉매를 유동시키는 증발기 파이프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로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와, 공조 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등이 구성되고,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축기(1)에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2), 팽창밸브(3) 및 증발기(4)를 순환하는 중에 증발기(4)를 통과하는 공기를 증발기(4)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시켜 온도를 낮추고, 이 저온의 공기를 차량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냉매는 압축기(1)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2)로 압송되며, 응축기(2)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된다.
이후에, 냉매는 팽창밸브(3)를 통해 팽창되어 증발기(4)에 유입되고, 증발기(4)를 통과하는 중에 증발기(4) 주위 공기와 열교환되어 주위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자신을 증발한 후 압축기(1)로 유입괴고, 압축기(1)에서 다시 압축되어 순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팽창밸브(3)는 고온고압의 액체 냉매를 저온저압으로 감압함과 아울러 냉매의 유량제어 및 사이클의 압력 평형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일례로 과열도 제어식 팽창밸브(Themal Expansion Valve;TXV)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증발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증발기 파이프는 증발기(4)의 코어 측으로 냉매를 유입하기 위한 인렛 파이프(5:Inlet Pipe)와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아웃렛 파이프(6:Outlet Pipe)로 이루어진다.
증발기 파이프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냉매)는 냉매소음이 파이프의 외부로 빠져나와 사람에게 소음으로 감지된다. 파이프의 유로 단면 기준으로 유체는 몇 가지 유체진동모드를 형성하며 유로는 단면 모드 및 길이 모드와 같은 진동모드를 형성한다. 이 경우, 유체 모드(Acoustic mode)와 유로 모드(Structure mode)가 일치했을 때 유동음이 냉방 시스템 밖으로 전달되어 소음으로 감지되는 것이다.
아울러, 유체의 소음특성상 같은 액상끼리도 밀도 차이에 압력이 달라져 해머링에 따라 소음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현상을 보인다. 냉매는 인렛 파이프(5)를 통해 유입되어 증발기(4)의 코어를 유동하고 아웃렛 파이프(6)를 통해 배출되는 유동 흐름을 보이며, 인렛 파이프(5)에서 누설음이 가장 강하여 냉매소음이 크고 증발기 코어 측에서 누설음이 작아지며 아웃렛 파이프(6)에서 다시 누설음이 강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증발기 파이프에 흡진 부재(Presstite)를 부착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소재비가 과다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증발기 파이프를 두겹으로 제작하여 누설음을 완화시키기도 하였으나, 이는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증발기 파이프 내에 그물망이나 튜브 등을 삽입하기도 하였으나, 별물 제작에 따른 제조비가 상승하고 소음을 줄이는데 큰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조 비용 상승을 작게하면서 흡음 및 차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증발기 파이프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고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 하는 증발기를 구비하며, 상기 증발기의 코어 측으로 냉매를 유입하기 위한 인렛 파이프와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아웃렛 파이프로 이루어진 증발기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 파이프의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일면에 증발기 파이프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코팅층은 증발기 파이프의 내면과 외면 모두에 동일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코팅층의 내면 및 외면에 제1 코팅층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코팅층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1 코팅층은 인렛 파이프에만 형성된다.
상기에서, 인렛 파이프의 내경은 아웃렛 파이프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증발기 파이프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차음 및 흡음 효과가 향상되고, 제조 비용 상승을 적게 하며, 유체의 저항이 작아 공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종래의 증발기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압축기에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순환하는 중에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증발기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열교환시켜 온도를 낮추고, 이 저온의 공기를 차량 실내에 공급함으로써 냉방을 수행하게 된다. 냉매는 압축기에 의해 고온고압으로 압축되어 응축기로 압송되며,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응축된다.
증발기는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고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 하여 냉각 수단으로 작용한다. 증발기에는 증발기 파이프(110)가 연결된다. 증발기 파이프(110)는 증발기의 코어 측으로 냉매를 유입하기 위한 인렛 파이프(Inlet Pipe)와,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아웃렛 파이프(Outlet Pipe)로 이루어진다.
상기 증발기 파이프(110)의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증발기 파이프(110)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코팅층(120)(130)이 형성된다. 이 경우, 본 실시 예에서, 제1 코팅층(120)(130)은 증발기 파이프(110)의 내면과 외면 모두에 동일 재질로 형성된다. 즉, 하나의 제1 코팅층(120)은 증발기 파이프(110)의 내면에 코팅되며, 다른 하나의 제1 코팅층(130)은 증발기 파이프(110)의 외면에 코팅된다.
증발기 파이프(110)는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코팅층(120)(130)은 실리콘(Si)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코팅층(120)(130)은 증발기 파이프(110)에 코팅(Coating)되어 흡음 및 차음 작용을 수행한다.
제1 코팅층(120)(130)이 증발기 파이프(110)에 대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증발기 파이프에 코팅되어 표면에 밀착 형성됨에 따라, 증발기 파이프와 코팅층 간의 임피던스(저항)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차음 효과가 발생된다.
진동과 소음은 임피던스(저항)가 달라지는 경계에서 일부는 반사되고(차음), 반사되지 않은 나머지는 투과된다. 특히, 재질(매질)이 다른 두 물체의 경계면에서는 임피던스가 크기 때문에 반사가 더욱 잘 일어난다. 일 예로, 수영장에서 물 밖의 큰소리도 물속에서는 잘 안 들리는 현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공기와 물이라는 두 매질 사이의 경계면의 임피던스에 의해 소음의 대부분이 반사되기 때문에 일어난다.
도 4를 참조하면, 증발기 파이프의 내면에 위치한 제1 코팅층(120)을 진행하는 소음(101)은 제1 코팅층(120)과 증발기 파이프(110)의 경계면(125)에서 대부분의 소음(102)이 반사되고 일부의 소음(103)이 증발기 파이프(110) 측으로 진행한다. 이 소음(103)은 다시 증발기 파이프(110)와 외면에 위치한 제1 코팅층(130) 간의 경계면(135)에서 대부분의 소음(104)이 반사되며 극히 일부의 소음(105)만이 외면에 위치한 제1 코팅층(130)을 통해 진행된다. 이로 인해, 증발기 파이프의 외부에는 소음이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코팅층(120)(130)은 자체의 질량으로 인한 흡음 효과를 갖는다. 제1 코팅층(120)(130)은 흡진 부재(Presstite)로 작용하여 파이프의 진동을 대신 반응해줌으로써 에너지를 소산시켜 흡음을 수행한다.
아울러, 제1 코팅층(120)(130)은 증발기 파이프(110)의 내면과 외면 모두에 동일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코팅액에 증발기 파이프(110)를 담그는 공정만을 추가하여 증발기 파이프의 내면 및 외면에 모두 코팅을 비교적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의 형성에 따라, 증발기 파이프에 코팅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바로 확인이 가능하며, 별물(그물망이나 튜브 등)을 삽입하는 구조와 비교하여 제조 공정에서 별물이 누락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별물의 누락을 확인하기 위한 공정 및 별물 누락 방지 수단 등을 요구하지 않게 된다.
아울러, 별물을 삽입하는 구조는 별물이 유체의 저항으로 작용하여 냉방 성능 악화 등의 부작용 가능성이 있으나, 본 발명의 코팅 구조는 저항이 매우 작아 성능 악화의 가능성이 없다.
한편, 상기 제1 코팅층은 인렛 파이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증발기 파이프의 소음은 인렛 파이프 측에서 가장 심하며, 증발기 코어 측에서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아웃렛 파이프 측에서 다시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따라서, 코팅층을 증발기 파이프 전체에 걸쳐 코팅하지 않고 소음이 가장 크게 발생하는 인렛 파이프에만 코팅층을 형성하여 코팅층의 위치를 최적화함에 따라, 효율적인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코팅층은 인렛 파이프에 필수적으로 구성이 요구되며, 아웃렛 파이프에는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렛 파이프의 내경은 아웃렛 파이프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렛 파이프의 내면에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면 최초의 설계사항의 내경(H)보다 인렛 파이프의 실제 내경은 코팅층의 두께만큼 작아지게 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인렛 파이프의 내경을 더 크게 구성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 파이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코팅층은 다중 코팅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코팅층(120)(130)의 내면 및 외면에 제1 코팅층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코팅층(140)(150)을 형성한다.
즉, 증발기 파이프(110)의 내면에 위치한 제1 코팅층(120)의 내면에 하나의 제2 코팅층(140)이 코팅되고, 증발기 파이프(110)의 외면에 위치한 제1 코팅층(130)의 외면에 다른 하나의 제2 코팅층(150)이 코팅된다. 이 경우, 내면의 제1 코팅층(120)과 외면의 제1 코팅층(130)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면의 제2 코팅층(140)과 외면의 제2 코팅층(150)은 동일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코팅층(120)(130)과 제2 코팅층(140)(150)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증발기 파이프(110), 제1 코팅층(120)(130) 및 제2 코팅층(140)(150)의 각각의 사이에는 4개의 경계면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소음의 차음 효과 및 흡음 효과는 더욱 커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증발기 파이프
120, 130: 제1 코팅층
125, 135: 경계면
140, 150: 제2 코팅층

Claims (5)

  1. 내부에 냉매가 유동하고 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 하는 증발기를 구비하며, 상기 증발기의 코어 측으로 냉매를 유입하기 위한 인렛 파이프와 냉매를 배출하기 위한 아웃렛 파이프로 이루어진 증발기 파이프(11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파이프(110)의 내면과 외면 중 적어도 일면에 증발기 파이프(110)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1 코팅층이 형성되고,
    제1 코팅층의 내면 및 외면에 제1 코팅층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2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코팅층은 인렛 파이프에만 형성되고,
    상기 인렛 파이프의 내경은 아웃렛 파이프의 내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되,
    증발기 파이프(110)의 내면과 외면에 형성되는 제1 코팅층은 서로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 코팅층의 내면과 외면에 형성되는 제2 코팅층도 서로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42699A 2016-10-31 2016-10-31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03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699A KR102603490B1 (ko) 2016-10-31 2016-10-31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699A KR102603490B1 (ko) 2016-10-31 2016-10-31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052A KR20180047052A (ko) 2018-05-10
KR102603490B1 true KR102603490B1 (ko) 2023-11-17

Family

ID=6218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699A KR102603490B1 (ko) 2016-10-31 2016-10-31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4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9086A (ja) * 2013-03-29 2014-10-23 シーシーアイ株式会社 耐火被覆材及び耐火構造
CN105546654A (zh) * 2016-01-29 2016-05-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及冷媒循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438A (ko) * 2000-06-26 2002-01-05 배길훈 자동차용 에어컨시스템의 팽창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9086A (ja) * 2013-03-29 2014-10-23 シーシーアイ株式会社 耐火被覆材及び耐火構造
CN105546654A (zh) * 2016-01-29 2016-05-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系统及冷媒循环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052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7494B2 (ja) 冷凍サイクルを用いた機器及び空気調和機
CN104380002B (zh) 辐射式空气调节机
JP6371046B2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用熱交換器
CN105008162A (zh) 热交换器以及空调装置
JP5356565B2 (ja) 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圧縮装置
CN107128147A (zh) 一种同轴管及具有其的空调系统
KR1026034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217945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4609316B2 (ja) 冷蔵庫
JP5892907B2 (ja) 乾燥冷風装置
JP2010112517A (ja) 四方切換弁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16151878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00060442A (ko) 냉매패스 대칭형 열교환기
KR102575777B1 (ko) 공기조화기
KR101551692B1 (ko) 축냉 열교환기
JP2001277842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H0328273Y2 (ko)
KR10148720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소음기
JP2001141316A (ja) Co2冷凍回路の制御機構
JP2017007627A (ja) 空気調和装置
KR100529169B1 (ko) 공기 조화장치용 덕트
KR102007794B1 (ko) 소음 저감형 이중관 열교환기
JP4581897B2 (ja) ヒートポンプ式温風暖房機
JP2005053474A (ja) 車両用冷却ファ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19163893A (ja) 熱交換器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