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3172B1 - 제습 밀폐형 휴지통 - Google Patents

제습 밀폐형 휴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3172B1
KR102603172B1 KR1020230079789A KR20230079789A KR102603172B1 KR 102603172 B1 KR102603172 B1 KR 102603172B1 KR 1020230079789 A KR1020230079789 A KR 1020230079789A KR 20230079789 A KR20230079789 A KR 20230079789A KR 102603172 B1 KR102603172 B1 KR 10260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ehumidifying
rib
trash
dehumidify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희
Original Assignee
이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희 filed Critical 이관희
Priority to KR102023007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3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2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부를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제습제가 수용될 수 있는 제습제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밀폐형 휴지통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 밀폐형 휴지통{TRASH CAN WITH DEHUMIDIFYING AND SEALING FUNCTION}
본 발명은 제습 밀폐형 휴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지통은 내부에 일시적으로 휴지를 담아 보관후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실내외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설치되어 있다. 최근 휴지통은 자동 상판 개폐나, 사용 완료한 비닐의 상단부 자동 접착 같은 부가적인 편리성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고 있으나, 휴지통의 가장 중요한 문제인 악취나 곰팡이 발생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 개발에는 소홀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휴지통 내부의 악취 발생 원인은, 액체가 스며든 상태로 버려진 물체에서 많이 발생한다. 즉, 휴지와 같은 버려진 물체에 스며든 수분으로 인해, 시간이 흐를수록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하게되고 휴지통 내부가 오염되면서 악취가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휴지통이 밀폐되지 않으면, 휴지통 내부의 악취가 휴지통 밖으로 세어나오는 문제점도 함께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5276호(2018.06.29.)
본 발명은 휴지통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제습제가 장착 가능하고, 밀폐 가능한 휴지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부를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제습제가 수용될 수 있는 제습제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밀폐형 휴지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습제수용부는, 일 면에는 통풍홀이 형성되고, 타 면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소정 크기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 측면 하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몸체의 양 측면 상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밀폐형 휴지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제습제수용부를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제습제를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소정 폭의 막대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소정 크기의 축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한 쌍이 상기 제습제수용부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밀폐형 휴지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차폐판; 상기 차폐판의 테두리 둘레를 따라 소정 길이 돌출되는 외측리브; 상기 외측리브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리브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헝성되는 내측리브; 및 상기 외측리브와 상기 내측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밀폐형 휴지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부에서 상기 바디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면에 상기 외측리브와 상기 실링부와 상기 내측리브가 안착되는 보강부; 상기 보강부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외측면이 상기 내측리브 내측면과 접촉되는 가이드리브; 상기 가이드리브의 내측에서 단턱지게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에 고정되는 비닐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밀폐형 휴지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상부 후측부와 상기 커버의 후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 및 상기 바디의 상부 전방부와 상기 커버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바디를 차폐한 상태를 고정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밀폐형 휴지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지통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제습제가 장착 가능하고, 밀폐 가능하여, 휴지통 내부의 악취 발생을 줄이고, 악취가 외부로 세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밀폐형 휴지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밀폐형 휴지통의 커버가 회동되어 바디의 내부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와, 비닐거치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거치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거치부에 쓰레기봉투가 설치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수용부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따른 제습제수용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에 따른 제습제수용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교체부가 더 설치되어, 제습제교체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밀폐형 휴지통(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밀폐형 휴지통(1)의 커버(20)가 회동되어 바디(10)의 내부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24)와, 비닐거치부(14)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거치부(14)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닐거치부(14)에 쓰레기봉투가 설치된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수용부(26)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제습제수용부(26)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 따른 제습제수용부(26)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5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밀폐형 휴지통(1)은 바디(10), 커버(20), 힌지부(30), 제습제(40) 및 잠금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는 내부에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바디(10)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10)는 소정 높이의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의 내부공간에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다.
바디(10)는 보강부(11), 가이드리브(12), 안착부(13) 및 비닐거치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보강부(11)는 바디(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부(11)는 바디(10)의 상부에서, 바디(10)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부(11)는 바디(10)의 상부 테두리에서 방사형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11)의 상면에는 후술할 커버(20)의 외측리브(22)와 실링부(24)와 내측리브(23)가 안착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12)는 보강부(11)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가 바디(10)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도 1과 같이, 닫힌 상태 일 때, 가이드리브(12)는 커버(20)의 내측리브(23)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리브(12)의 외측면이 내측리브(23) 내측면과 접촉되며, 가이드리브(12)가 커버(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안착부(13)는 가이드리브(12)의 내측에서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부(13)는 가이드리브(12)의 내측면의 테두리에 형성되되, 비닐거치부(14)의 형상에 맞춰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어, 비닐거치부(14)의 형상에 맞춰 단턱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3)에는 비닐거치부(14)가 끼워지며 안착될 수 있다.
비닐거치부(14)는 안착부(13)에 안착되어, 바디(10)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비닐거치부(14)에는 쓰레기봉투가 거치될 수 있다. 즉, 쓰레기봉투의 상부 둘레가 비닐거치부(14)의 둘레에 감싸도록 거치되어, 쓰레기봉투가 열린 상태로 비닐거치부(14)에 거치될 수 있다.
비닐거치부(14)는 거치테두리부(141) 및 고정부(142)를 포함한다.
거치테두리부(141)는 안착부(13)에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테두리는 내부는 비어있는 사각형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테두리부(141)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쓰레기봉투의 상부가 거치테두리부(141)를 감싼 상태에서, 거치테두리부(141)가 안착부(13)에 안착됨으로써, 입구가 열린 상태의 쓰레기봉투가 바디(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42)는 거치테두리의 하단에서 복수개가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고정부(142)는 타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돌출되며, 쓰레기봉투가 바디(1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20)는 바디(10)의 상부를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다. 커버(20)는 힌지부(30)에 의해 바디(1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바디(10)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회동되거나, 바디(10)의 상부를 덮어서 차폐하도록 회동될 수 있다.
커버(20)는 바디(10)의 상부를 차폐할 수 있는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10)가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커버(20)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는 차폐판(21), 외측리브(22), 내측리브(23), 실링부(24), 프레임(25) 및 제습제수용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판(21)은 바디(10)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차폐판(21)은 소정 두께의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측리브(22)는 차폐판(21)의 테두리 둘레를 따라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리브(23)는 외측리브(22)의 내측에서 외측리브(22)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측리브(23)는 외측리브(2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외측리브(22)보다 작은 둘레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24)는 외측리브(22)와 내측리브(2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실링부(24)는 패킹부재로 이루어져, 커버(20)가 바디(10) 상부를 차폐한 상태일 때, 실링부(24)가 보강부(11)의 상면과 밀착되어, 바디(10)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처럼, 실링부(24)를 통해 바디(10) 내부를 밀폐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25)은 제습제수용부(26)를 커버(20)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제습제수용부(26)의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에 수용된 제습제(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프레임(25)은 소정 폭의 막대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5)은 소정 폭과 두께로 형성되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5)에는 축삽입홈(251)과 끼움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각판 형태의 프레임(25)의 하부에는 제습제수용부(26)의 회전축(262)이 끼워지는 소정 크기의 축삽입홈(25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습제수용부(26)의 걸림돌기(263)가 끼워지는 끼움홀(252)이 형성될 수 있다.
축삽입홈(251)은 프레임(25)의 하부(커버(20)가 개방되어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이룰 때를 기준으로 하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축삽입홈(251)에 회전축(262)이 관통될 수 있다.
끼움홀(252)은 프레임(25)의 상단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형성되되, 끼움홀(252)의 상단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움홀(252)에 끼워진 걸림돌기(263)가 끼움홀(252)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끼움홀(252)에서 이탈될 수 있다.
프레임(25)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며, 한 쌍의 프레임(25)이 제습제수용부(26)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커버(2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프레임(25)은 제습제수용부(26)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차폐판(21)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축삽입홈(251)과 끼움홀(252)이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제습제수용부(26)에는 제습제(40)가 수용될 수 있다. 제습제수용부(26)는 몸체(261), 회전축(262), 걸림돌기(263) 및 파지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61)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261)는 내부에 수용공간(2612)이 형성된 소정 크기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수용공간(2612)에 제습제(40)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몸체(261)의 일 면에는 통풍홀(2611)이 형성되고, 타 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261)는 프레임(25)에 의해 커버(20)에 체결되는데, 이때 개방되도록 형성된 타 면이 차폐판(21)과 마주보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262)은 몸체(261)의 양 측면 하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축(262)은 몸체(261)의 양 측면 하부에서 축삽입홈(251)을 관통하도록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262)은 원기둥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262)은 축삽입홈(251)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걸림돌기(263)는 몸체(261)의 양 측면 상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돌기(263)는 몸체(261)의 양 측면 상부에서 끼움홀(252)에 끼워질 수 있다. 걸림돌기(263)는 사각판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264)는 몸체(261)의 상단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회전축(262)은 축삽입홈(251)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고, 걸림돌기(263)가 끼움홀(252)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프레임(25)에 의해 제습제수용부(26)를 커버(2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습제수용부(26)의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에는 제습제(40)를 수용된 상태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61)가 상측으로 이동되면, 회전축(262)은 축삽입홈(251)의 상부로 이동되고, 걸림돌기(263)는 끼움홀(252)에서 이탈하여 끼움홀(25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63)는 끼움홀(252)에서 이탈된 상태에서 회전축(262)이 축삽입홈(251) 내에서 회전하여, 몸체(261)가 바디(10) 측으로 회동되어,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이 개방될 수 있다.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에 수용된 제습제(40)를 제거하거나, 새로운 제습제(40)를 수용공간(2612)에 투입할 수 있다.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에 새로운 제습제(40)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술한 도 6 및 도 7의 순서를 반대로 하여, 도 6과 같이, 제습제수용부(26)가 커버(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힌지부(30)는 바디(10)의 상부 후측부와 커버(20)의 후측부에 설치되어, 커버(20)가 회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힌지부(30)는 일반적으로 휴지통의 커버(20) 회동에 사용되는 다양한 힌지 구조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40)는 몸체(261) 내부의 수용공간(2612)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습제(4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습제(40) 중 하나로 일 수 있다. 제습제(40)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잠금부(50)는 바디(10)의 상부 전방부와 커버(20)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커버(20)가 바디(10)를 차폐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잠금부(50)는 걸림돌출부(51) 및 락킹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출부(51)는 커버(20)의 전방부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돌출부(51)는 차폐판(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외측리브(22)에서 전방부에 해당하는 부분의 가운데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락킹부(52)는 바디(10)의 보강부(11) 전방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락킹부(52)는 덮개부(521) 및 걸림핀(522)을 포함한다.
덮개부(521)는 보강부(11)의 전방부 가운데 부분에서, 양 단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돌출부(51)의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핀(522)은 덮개부(521)의 상단에서 바디(10)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핀(522) 내측으로 걸림돌출부(51)가 위치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가 바디(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상태에서, 도 9b와 같이, 덮개부(521)가 회동되어, 걸림핀(522)의 내측이 걸림돌출부(51)가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커버(20)가 바디(10)를 차폐하는 상태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교체부(60)가 더 설치되어, 제습제교체부(60)가 작동되는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밀폐형 휴지통(1)은 제습제교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습제교체부(60)는 커버(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사용이 완료된 제습제(40)를 제습제수용부(26)에서 이탈시키고, 새로운 제습제(40)를 제습제수용부(26)에 위치시켜, 제습제(40)를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커버(20)에는 개방부(27)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부(27)는 커버(20)에서 제습제수용부(26)의 몸체(261)가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홀이다. 개방부(27)는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홀이다. 개방부(27)를 통해,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과 후술할 제습제교체부(60)의 하우징(61)이 연통될 수 있다. 일 예로, 개방부(27)는 소정 크기의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습제교체부(60)는 하우징(61), 제거부(62), 가압부(63), 격벽(64) 및 알림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61)은 커버(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61)은 커버(20)의 좌우 방향 폭 및 전후 방향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61)은 하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박스가 뒤집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61)의 일 측에는 여분 제습제(40)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부(611)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부(611)는 손잡이부(612)에 의해 사용자에게 파지되어 분리 및 결합되거나, 회전되어, 하우징(61)의 일부를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투입부(611)는 하우징(61)의 좌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거부(62)는 개방부(27)에 설치되어 사용이 완료된 제습제(40)를 그립하여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에서 제거 및 이탈시킬 수 있다. 제거부(62)는 그립부(621), 상하이동부(622) 및 레일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621)는 사용이 완료된 제습제(40)를 그립할 수 있다. 그립부(621)는 지지체(6211), 수평바(6212), 수직바(6213) 및 교체판단부(6214)를 포함한다.
지지체(6211)는 상하이동부(622)의 피스톤부(6222) 하단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지지체(6211) 내부로 수평바(6212)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지지체(6211)는 개방부(27)의 좌우 폭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바(6212)는 몸체(261)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수평바(6212)는 지지체(6211)의 양 측에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바(6212)는 지지체(6211)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어, 지지체(6211) 내부로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수직바(6213)는 양 측의 수평바(6212) 단부 각각에 설치되며, 수평바(6212)와 수직을 이루며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 내부로 삽입 가능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바(6213)는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에 수용된 제습제(40)의 양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수평바(6212)가 지지체(6211)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양 측의 수직바(6213)가 제습제(40)를 가압하며 제습제(40)를 그립할 수 있다.
교체판단부(6214)는 지지체(6211) 내부에 설치되어,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 내부에 수용된 제습제(40)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교체판단부(6214)는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이 되는 시간을 측정해서,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습도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되는 경우, 제습제(40)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하이동부(622)는 그립부(621)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상하이동부(622)는 실린더부(6221) 및 피스톤부(6222)를 포함하여, 피스톤부(6222)가 실린더부(6221)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실린더부(622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피스톤부(6222)가 실린더부(6221)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피스톤부(6222)의 하단에 고정된 지지체(6211)가 함께 이동됨으로써, 피스톤부(6222)에 의해 그립부(621)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레일부(623)는 하우징(6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하이동부(622)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로, 레일부(623)는 하우징(61)의 개방부(27) 상측에서부터 우측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하이동부(622)가 개방부(27)의 상측에서 하우징(61)의 우측까지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압부(63)는 하우징(61) 내측의 좌측벽에 설치되어, 개방부(27)의 좌측에 안착된 새로운 제습제(40)를 개방부(27) 측 방향인 우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63)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격벽(64)은 투입부(611)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투입부(611)를 통해 투입된 새로운 제습제(40)가 개방부(27)의 좌측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알림부(65)는 하우징(61)의 외측에 설치되어, 기존에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에 설치된 제습제(40)가 몸체(261)에서 분리된 후, 새로운 제습제(40)가 수용공간(2612)에 안착되어 습기를 제거하고, 새로운 제습제(40)도 교체해야하는 시기가 되면, 불빛을 통해 제습제(40) 2개의 교체가 필요한 것을 알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습제교체부(60)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에 제습제(40)가 수용되고, 개방부(27)의 좌측에 새로운 제습제(40')가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교체판단부(6214)에 의해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에 수용된 제습제(40)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10b와 같이, 그립부(621)에 의해 사용 완료된 제습제(40)가 그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바(6212)가 지지체(6211) 내부로 삽입되면서, 수직바(6213)가 제습제(40)의 양 측을 가압하며 그립할 수 있다.
이 후, 도 10c와 같이, 상하이동부(622)에 의해 그립부(621)가 개방부(27)의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후, 도 11a와 같이, 레일부(623)를 따라 상하이동부(622)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그립부(621)가 개방부(27)의 우측에 위치되며, 개방부(27)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부(63)가 새로운 제습제(40')를 우측으로 가압하여, 새로운 제습제(40')가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으로 낙하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후, 도 11b와 같이, 그립부(621)는 사용이 완료된 제습제(40)의 그립을 중단하고, 레일부(623)를 따라 개방부(27) 상측으로 이동 한 후에, 상하이동부(622)에 의해 하강하여, 그립부(621)가 몸체(261)의 수용공간(2612) 상측을 차폐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가압부(63)는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투입부(611)를 통해서 추가 제습제(40)가 투입되고, 상기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65)는 상기와 같이 기 설정된 횟수만큼 그립부(621)가 제습제(40)를 교체하면, 불빛을 통해 사용자에게 하우징(61) 내부의 사용 완료된 제습제(40)의 제거가 필요한 것을 알릴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70)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 밀폐형 휴지통(1)은 감지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잠금부(50)는 물리적인 구조가 아니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가 가능한 구조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여기서 잠금부(50)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는 다양한 잠금 장치 구조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부(70)는 커버(20) 또는 커버(20)의 상측에 설치된 제습제교체부(6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감지부(70)는 바디(10) 전방에 위치되는 물체가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인 경우에만 잠금부(5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이 바디(10) 전방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잠금부(50)의 잠금이 해제되어 커버(20)의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유아나 반려동물이 바디(10) 전방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잠금부(50)의 잠금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감지부(70)는 센싱부(71) 및 블록(72)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71)는 전방의 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물체나 사물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72)은 센싱부(71)가 설치되는 블록(72)일 수 있다. 블록(72)은 소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블록(72)의 경사진 상면의 경사도에 따라, 센싱부(71)가 센싱하는 사물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71)가 센싱하는 바디(10) 전방에 위치되는 사물을 센싱하는 높이는, 유아들의 평균 키보다 높은 높이일 수 있다.
따라서, 센싱부(71)가 센싱하는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유아가 휴지통 앞에 서있더라도 잠금부(50)의 잠금이 유지되어, 유아가 휴지통 커버(20)를 열고 장난치는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제습 밀폐형 휴지통
10: 바디 11: 보강부
12: 가이드리브 13: 안착부
14: 비닐거치부 141: 거치테두리부
142: 고정부 20: 커버
21: 차폐판 22: 외측리브
23: 내측리브 24: 실링부
25: 프레임 251: 축삽입홈
252: 끼움홀 26: 제습제수용부
261: 몸체 2611: 통풍홀
2612: 수용공간 262: 회전축
263: 걸림돌기 264: 파지부
27: 개방부 30: 힌지부
40: 제습제 50: 잠금부
51: 걸림돌출부 52: 락킹부
521: 덮개부 522: 걸림핀
60: 제습제교체부 61: 하우징
611: 투입부 612: 손잡이부
62: 제거부 621: 그립부
6211: 지지체 6212: 수평바
6213: 수직바 6214: 교체판단부
622: 상하이동부 6221: 실린더부
6222: 피스톤부 623: 레일부
63: 가압부 64: 격벽
65: 알림부 70: 감지부
71: 센싱부 72: 블록

Claims (6)

  1. 내부에 쓰레기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형태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부를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제습제가 수용될 수 있는 제습제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습제수용부는,
    일 면에는 통풍홀이 형성되고, 타 면은 개방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소정 크기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양 측면 하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회전축; 및
    상기 몸체의 양 측면 상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습제수용부를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밀착시켜, 상기 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제습제를 고정시킬 수 있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소정 폭의 막대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끼워지는 소정 크기의 축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은,
    한 쌍이 상기 제습제수용부의 양 측에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밀폐형 휴지통.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바디의 개방된 상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차폐판;
    상기 차폐판의 테두리 둘레를 따라 소정 길이 돌출되는 외측리브;
    상기 외측리브의 내측에서 상기 외측리브와 소정 거리 이격되며 헝성되는 내측리브; 및
    상기 외측리브와 상기 내측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밀폐형 휴지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부에서 상기 바디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면에 상기 외측리브와 상기 실링부와 상기 내측리브가 안착되는 보강부;
    상기 보강부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외측면이 상기 내측리브 내측면과 접촉되는 가이드리브;
    상기 가이드리브의 내측에서 단턱지게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에 고정되는 비닐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밀폐형 휴지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 후측부와 상기 커버의 후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 및
    상기 바디의 상부 전방부와 상기 커버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바디를 차폐한 상태를 고정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밀폐형 휴지통.
KR1020230079789A 2023-06-21 2023-06-21 제습 밀폐형 휴지통 KR10260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789A KR102603172B1 (ko) 2023-06-21 2023-06-21 제습 밀폐형 휴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9789A KR102603172B1 (ko) 2023-06-21 2023-06-21 제습 밀폐형 휴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3172B1 true KR102603172B1 (ko) 2023-11-15

Family

ID=8874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789A KR102603172B1 (ko) 2023-06-21 2023-06-21 제습 밀폐형 휴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31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927Y1 (ko) * 2002-07-04 2002-10-07 임택순 압축 휴지통
KR101875276B1 (ko) 2016-07-25 2018-07-05 장광옥 휴지통 개폐장치
US20200290798A1 (en) * 2015-11-13 2020-09-17 Philbin Products Limited Receptacle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KR102234987B1 (ko) * 2019-09-10 2021-04-01 창신리빙(주)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927Y1 (ko) * 2002-07-04 2002-10-07 임택순 압축 휴지통
US20200290798A1 (en) * 2015-11-13 2020-09-17 Philbin Products Limited Receptacle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KR101875276B1 (ko) 2016-07-25 2018-07-05 장광옥 휴지통 개폐장치
KR102234987B1 (ko) * 2019-09-10 2021-04-01 창신리빙(주) 다양한 크기의 쓰레기봉투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407B2 (en)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articles, such as waste, dirty laundry, and the like
US5503292A (en) System for automatically lining a trash receptacle
KR101484546B1 (ko) 봉투 자동 교체식 쓰레기통
KR930703193A (ko) 플라스틱제 쓰레기용기
US4649813A (en) Waste compactor apparatus
KR20170129600A (ko) 쓰레기통
HUT64909A (en) Rubbish container with an identifier unit of specially big surface
KR102603172B1 (ko) 제습 밀폐형 휴지통
KR102034954B1 (ko) 쓰레기 분리 수거대
US3529766A (en) Waste receptacle with disposable container
KR101632863B1 (ko) 비닐봉투 자동수거 기능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2018024B1 (ko) 쓰레기통 받침대
KR10205358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JP2000053203A (ja) ごみ容器
US20060138148A1 (en) Trash receptacle with retractable foot pedals
KR10062942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74822Y1 (ko) 재활용품수거함
KR100644288B1 (ko)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KR970002193Y1 (ko) 자동차용 오물수거함
KR0134292Y1 (ko) 쓰레기통
KR102454510B1 (ko) 화장실 청소용품 보관 장치
KR200362262Y1 (ko) 봉투가 삽입되는 쓰레기통
KR200362223Y1 (ko) 음식물 쓰레기통의 지지장치
KR200290958Y1 (ko) 쓰레기통
KR20170020181A (ko)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