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943B1 - 음료 용기 및 통기 부재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및 통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943B1
KR102602943B1 KR1020197016530A KR20197016530A KR102602943B1 KR 102602943 B1 KR102602943 B1 KR 102602943B1 KR 1020197016530 A KR1020197016530 A KR 1020197016530A KR 20197016530 A KR20197016530 A KR 20197016530A KR 102602943 B1 KR102602943 B1 KR 102602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ventilation
venting
actuator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830A (ko
Inventor
실베인 재크스 애머토리
리사 샤를로트 에들런드 연베르크
Original Assignee
비.박스 포 키즈 디벨롭먼츠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박스 포 키즈 디벨롭먼츠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비.박스 포 키즈 디벨롭먼츠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06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65D47/06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65D47/203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the element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which causes the deformation, e.g. screw cap closing container slit
    • B65D47/204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the element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which causes the deformation, e.g. screw cap closing container slit the separate element being formed by an overcap which constricts a spout, the spout being either pushed into alignment with, or pushed through, an opening in the overcap upon rotation of the l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 B65D51/16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formed by a slit or narrow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4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 F16K15/147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the closure elements being fixed along all or a part of their periphery the closure elements having specially formed slits or being of an elongated easily collapsibl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16K15/182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 F16K15/1825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for 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1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comprising a pivoted disc or f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Abstract

음료 용기는 가요성 관형 빨대 또는 분출구 또는 젖꼭지를 갖는 탄성 빨대-통기 조립체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출구 개구와, 공기 통로 및 통기 개구를 형성하는 통기 부재를 갖는 제거 가능한 뚜껑을 갖는 컵을 갖는다. 통기 액추에이터가 통기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통기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통기 부재의 상태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 뚜껑의 상부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커버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시프트 가능하며, 통기 부재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커버 부재의 이동 중에 통기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커버의 내향 표면 상에 캠을 포함한다. 폐쇄 위치에서, 커버는 빨대와 결합하고, 빨대 통로를 밀봉하도록 뚜껑에 대해 빨대를 절첩하고, 개방 위치에서, 빨대 유체 통로 및 통기 개구는 커버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제거 가능한 탄성 빨대-통기 조립체가 또한 세척을 위한 용이한 제거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탭을 갖는 것으로 개시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 및 통기 부재
본 발명은 액체 누설 및 누출과 내부에 사용되는 통기 부재를 최소화하기 위해 통합 빨대, 분출구 또는 젖꼭지를 갖는 폐쇄 뚜껑을 갖는, 특히 어린이용 음료 컵 또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빨대컵(sippy cup)은 유아 및 어린이에게 액체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음료 용기가 되었다. 빨대컵은 액체를 보유하는 용기 본체, 용기의 마우스를 폐쇄하고 어린이가 그를 통해 액체를 음용할 수 있는 캡을 통해 연장되는 빨대를 갖는 제거 가능한 뚜껑을 갖는다. 전형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 빨대컵을 저장하도록 빨대를 커버하고 핀칭하기 위해 커버가 캡에 부착된다. 액체 누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빨대컵을 밀봉하기 위해 다양한 기구가 과거에 전개되었다. 유사하게, 사용 시에 사용자에 의해 빨대를 통해 액체가 자유롭게 인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빨대컵을 통기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구가 전개되었다. 사용자에 의해 액체가 자유롭게 인출되고 컵 내의 공기 압력을 균등화하여 커버가 폐쇄되고 컵이 누출 및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을 때, 우발적인 누설 및 분출을 방지하고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게 하는 간단한 통기 기구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그러나 반드시 가장 넓지는 않은 양태에서, 본 발명은,
개방 마우스 및 내부 공동을 갖는 컨테이너;
마우스에 부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제거 가능한 뚜껑;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밀봉 결합되고 관통하여 연장되는 공기 통로를 갖는 적어도 가요성 통기 부재;
통기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통기 부재의 상태를 통기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통기 액추에이터; 및
뚜껑 상에 배치되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 부재로서, 커버 부재는 통기 부재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커버 부재의 이동 중에 통기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캠 부분을 갖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공기 통로의 통기 개구의 레벨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캠 부분과의 접촉시 통기 부재를 통기 상태로 만들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기 부재는 컨테이너 내의 압력이 컨테이너 외부의 압력에 관하여 음압 상태로 진입할 때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내부 공동 내에 수용된 액체가 관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적합하게, 본 양태의 음료 용기는 관통하여 연장되는 유체 통로를 갖는 가요성 관형 빨대 또는 분출구 또는 젖꼭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관형 빨대 또는 분출구 또는 젖꼭지 및 통기 부재는 뚜껑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밀봉 결합되는 탄성 본체를 갖는 탄성 빨대-통기 조립체 (또는 분출구-통기 조립체 또는 젖꼭지-통기 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는 가요성 관형 빨대 또는 분출구 또는 젖꼭지를 뚜껑에 대해 핀칭하고, 이에 의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유체 통로를 폐쇄한다.
일 실시예에서, 캠 부분은 커버 부재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중간의 위치에 있을 때 통기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통기 부재는 공기 통로 내에 각도를 이루어 하방으로 배치되는 대향 가요성 제1 및 제2 통기 부분과 같은, 공기 통로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통기 액추에이터는 적합하게 제1 및 제2 통기 부분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그와 일체로 되고 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쐐기형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쐐기형 부분은 통기 부재의 측벽의 일부와 일체로 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쐐기형 부분은 캠 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자유 단부를 형성하도록 제1 및/또는 제2 통기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적합하게 뚜껑과 일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적합하게 공기 통로 내에 배치되고 가교 부분에 의해 뚜껑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걸쳐 연장되는 지지 부분에 의해 공기 통로 내에 지지되는 세장형 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부재는 지지 부분과 접촉하기 위해 그 단부 부분에서 환형 플랜지를 갖는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음료 용기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밀봉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관통하여 연장되는 공기 통로를 갖는 가요성 통기 부재; 및
통기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인가되는 힘에 응답하여 통기 부재의 상태를 통기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통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통기 조립체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힘이 커버 부재 상에 배치된 캠 부분에 의해 인가되고, 커버 부재의 이동 중에 통기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공기 통로의 통기 개구의 레벨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기 부재는 음료 용기 내의 압력이 음료 용기 외부의 압력에 관하여 음압 상태로 진입할 때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음료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가 관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적합하게, 관통하여 연장되는 유체 통로를 갖는 가요성 관형 빨대 또는 분출구 또는 젖꼭지를 더 포함한다.
적합하게, 통기 부재는 공기 통로 내에 각도를 이루어 하방으로 배치되는 대향 가요성 제1 및 제2 통기 부분과 같은, 공기 통로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통기 액추에이터는 제1 및 제2 통기 부분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그와 일체로 되고 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쐐기형 부분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쐐기형 부분은 통기 부재의 측벽의 일부와 일체로 되어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쐐기형 부분은 자유 단부를 형성하도록 제1 및/또는 제2 통기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뚜껑과 일체로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기 액추에이터는 적합하게는 공기 통로 내에 배치되고 가교 부분에 의해 뚜껑에 부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개구에 걸쳐 연장되는 지지 부분에 의해 공기 통로 내에 지지되는 세장형 부재를 포함한다. 적합하게, 세장형 부재는 지지 부분과 접촉하기 위해 그 단부 부분에서 환형 플랜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 및/또는 양태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가 본 발명을 실제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아래에 개략적으로 설명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도 2 내지 도 4의 음료 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풀 탭, 통기 부재, 및 통기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탄성 빨대-통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통기 부재 및 통기 액추에이터의 확대도이다.
도 2a는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2a의 음료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통기 부재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2a의 음료 용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a는 커버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2a의 음료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커버가 중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2a의 음료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통기 부재가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2a의 음료 용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는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2a의 음료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2a의 음료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통기 부재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2a의 음료 용기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위치에 있고 통기 부재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기 부재의 추가의 실시예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5b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는 위치에 있고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5a의 통기 부재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지 않은 위치에 있고 통기 부재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기 부재의 추가의 실시예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6b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는 위치에 있고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6a의 통기 부재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위치에 있고 통기 부재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기 부재의 추가의 실시예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는 위치에 있고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7a의 통기 부재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위치에 있고 통기 부재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기 부재의 추가의 실시예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는 위치에 있고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8a의 통기 부재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위치에 있고 통기 부재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기 부재의 추가의 실시예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는 위치에 있고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9a의 통기 부재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위치에 있고 통기 부재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통기 부재의 추가의 실시예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는 위치에 있고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10a의 통기 부재의 개략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지 않는 위치에 있고 폐쇄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음료 용기의 통기 부재의 추가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c는 도 11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d는 도 11a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a는 커버가 통기 부재와 결합되는 위치에 있고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11a의 음료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a는 폐쇄 상태의 통기 부재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3b는 통기 액추에이터에 인가되는 하방력 이후 통기 부재가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13a의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3c는 통기 액추에이터에 인가되는 내향력 이후 통기 부재가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13a의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4a는 폐쇄 상태의 통기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4b는 통기 액추에이터에 인가되는 하방력 이후 통기 부재가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14a의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5a는 폐쇄 상태의 통기 부재의 추가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5b는 통기 액추에이터에 인가되는 하방력 이후 통기 부재가 통기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15a의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5c는 통기 부재가 통기 상태에 있고 공기의 유동이 관통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 15a의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6a는 4개의 통기 리플릿 또는 부분을 포함하는 돔 밸브의 형태의 통기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통기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6c는 폐쇄 상태의 도 16a에 도시된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6d는 통기 액추에이터에 하방력이 인가된 이후 통기 상태의 도 16a에 도시된 통기 부재의 단면도이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대안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단지 예시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은 반드시 축척에 따른 것이 아니며; 특정 구성요소의 상세를 보여주기 위해 어떤 특징부는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상세는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단지 본 발명을 다양하게 채용하기 위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교시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본예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발명의 요소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그들의 특정 상세만을 도시하지만, 본 설명에 비추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과도한 상세를 제공하지는 않는, 도면에 간결한 아우트라인 형태로 도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상부 및 저부, 상방 및 하방 등과 같은 형용사는 임의의 실제의 이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필요로 하거나 암시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요소 또는 작용을 다른 요소 또는 작용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포함하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다(includes)"와 같은 단어는, 요소의 목록을 포함하는 방법 또는 장치가 이들 요소만을 포함하지 않고, 이러한 방법 또는 시스템에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여,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도록, 비배타적인 포함을 규정하도록 의도된다. 추가적으로,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면, 유사 도면 부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지시한다.
본 발명의 음료 용기(10)의 실시예가 각각 개방 위치, 중간 위치 및 폐쇄 위치에 있는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음료 용기(10)은 4개의 주요 구성요소, 즉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컵(12) 형태의 컨테이너 및 개방 마우스를 구비한 내부 공동(40) 및 제거 가능한 뚜껑(14)으로 구성된다. 뚜껑(14)은 제1 및 제2 상호 나사산 형성 부분에 의해 컵(12)의 마우스에 나사 결합된다. 커버(16)가 뚜껑(14)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커버(16)는 횡축(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도 4a 내지 도 4c에서, 커버(16)는, 탄성 또는 탄력 변형 가능한 빨대-통기 조립체(18)를 노출시키고 가요성 관형 빨대(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연장되게 하는 개방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세장형 가요성 튜브(22)가 가요성 관형 빨대(20)에 추가로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특정 실시예에서, 세장형 가요성 튜브(22)는 추가로 가중된 단부 부분을 가질 수 있고, 그래서 액체는 도시된 바와 같은 직립 또는 정상 위치 뿐만 아니라 반전된 위치 양쪽 모두에서 컵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출구 또는 젖꼭지는 빨대(20)를 대체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빨대-통기 조립체(18)는 탄성 또는 탄력 변형 가능한 분출구-통기 조립체 또는 탄성 또는 탄력 변형 가능한 젖꼭지-통기 조립체 각각으로 이해될 것이다.
제공된 실시예에서, 컵(12)은 바람직하게는 클리어 또는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반면, 뚜껑(14) 및 커버(16)는 밝게 채색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뚜껑(14)은 중심 입구/출구 개구(28)의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대체로 반원 또는 반구형 돔(26)을 갖고, 이 개구 내로 통기 조립체(18)가 삽입되고 오목한 홈(30)이 평면도에서 축(A)에 대체로 수직하게 정렬되고 개구(28)로부터 외향으로 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커버(16)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커버(16)는 대체로 돔(26)의 윤곽을 따르는 반원 쉘의 세그먼트의 형상이다. 커버(16)가 도 2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회전될 때, 가요성 관형 빨대(20)는 홈(30) 내로 절첩되고 폐쇄 상태로 핀칭되어 컵(12)이 기울어질 때 빨대로부터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b, 도 3b 및 도 4b는 각각 음료 용기(10)의 확대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b에서, 커버(16)는 가요성 관형 빨대(20)가 뚜껑(14)의 돔(26) 내에 형성된 홈(30) 내로 절첩되는 폐쇄 위치에 있다. 이 위치에서, 가요성 빨대(20)는 커버(16)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캠 또는 돌출부(38)와 홈(30)의 상부 단부에 인접한 뚜껑(14) 상에 형성된 리지(50) 사이에서 절첩되고 핀칭된다. 폐쇄 위치에서, 빨대(20)의 내부 통로는 핀칭되어 폐쇄된다. 탄성 빨대-통기 조립체(18)에는,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공기 통로(32)를 형성하는 원통형 내부 측벽(35)을 갖는 통기 부재(36)가 제공되고, 통기 부재(36)는 통기 또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다. 공기 통로(32)의 외부 단부는 통기 부재(36) 내에 통기 개구(34)를 형성한다. 폐쇄 상태에서, 음료 용기(10) 내에 음압이 있을 때, 공기는 음료 용기(10) 내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뚜껑(14)은 빨대, 분출구 또는 젖꼭지가 하나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고 통기 부재가 다른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하나 초과의 개구(28)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통기 부재(36)는 공기 통로(32) 내에 배치된 대향 가요성 및 불침투성 제1 및 제2 통기 리플릿 또는 부분(39a, 39b)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 각각은 통기 개구(34)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통기 개구(34)에서 하방으로 각도를 이루어 내향으로 또는 안쪽으로 연장되어, 그들 각각의 단부 부분이 표면 접촉으로 면대면으로 맞닿거나 배치되어 그 사이에 슬릿을 형성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은 폐쇄 상태에서 그리고 이들은 폐쇄 상태로 탄성적으로 압박 또는 편향된 경우 이들 사이에서 공기 및/또는 액체의 어떠한 관통도 억제 또는 방지한다. 제1 통기 부분(39a)에는 그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그와 일체로 된 쐐기 또는 핀 형상 본체를 갖는 통기 액추에이터 또는 통기 개구 부분(37)이 추가로 제공되고, 통기 액추에이터(37)는 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통기 개구(34)의 레벨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된 자유 단부(37a)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액추에이터는 통기 부재(36)의 내부 측벽(35)의 일부와 일체로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기 부재(36)는 공기 통로(32) 내에 배치된 단일 통기 리플릿 또는 부분 또는 공기 통로(32) 내에 배치된 2개 초과의 통기 리플릿 또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통기 부재(36)는 통기 부재(36)가 2개의 슬릿과 4개의 통기 리플릿 또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교차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통기 리플릿 또는 부분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통기 리플릿 또는 부분은, 4개의 환형 리플릿 또는 부분(39a, 39b, 39c, 39d)을 포함하는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된 돔형 밸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만곡된 또는 둥근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커버(16)가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개방 위치 또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통기 부재(36)는 공기 통로(32) 및 통기 개구(34)가 대기에 개방되기 위한 유체 연통 상태가 되지 않도록 폐쇄 상태에 있다. 커버(16)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중간 위치로 이동될 때, 커버(16)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캠(38)은, 제2 통기 부분(39b)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통기 부분(39a)의 상호 및 상대적인 측방향 또는 외향 이동이 존재하도록, 안쪽으로 또는 내향으로 피봇하게 탄성 변형되는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자유 단부(37a)와 중첩하여 접촉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통기 부재(36)는 이제 통기 상태에 있고, 이는 공기 통로(32)에 의해 컵(12)의 내부 공동과 그 외부(그리고 그 반대) 사이에서 공기의 통과를 용이하게 한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36)의 본 구성은 커버(16)가 사용자에 의해 초기에 개방될 때, 컵(12) 내의 압력 축적의 결과로서 빨대(20)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통기 액추에이터(37)는 커버(16)의 개방 중에 통기 부재(36)를 폐쇄 위치로부터 통기 위치로 일시적으로 변환하여, 통기 부재(36)가 빨대(20)의 유체 통로가 폐쇄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음료 용기(10)의 내부 공동과 대기 사이의 압력의 균등화를 허용한다. 이러한 특징은 부분적으로 완전한 음료 용기(10)가 예를 들어 커버(16)가 폐쇄되는 동안 태양에 의해 가열될 때 특히 유리하다. 빨대(20)의 피칭 해제 이전의 내부 압력의 임의의 축적의 해제는 커버(16)가 개방됨에 따라 음료 용기(10) 내의 유체가 빨대(20)로부터 분출되거나 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 통로(32)의 내부 단부는 컵(12) 및 뚜껑(14)에 의해 집합적으로 형성된 내부 공동(40) 내로 개방된다.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은 이전에 암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가 기울어지고 공기 통로(32)의 내부 단부가 액체에 노출되는 경우에 폐쇄된 공기 통로(32)를 정상적으로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통기 부재(36)는 바람직하게는 누출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킨다. 약 6인치 수두(inches of water)를 초과하는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에 걸친 음압차는 적절하게는 통기 부분(39a, 39b) 사이의 슬릿이 그의 측방향 피봇 가능한 이동에 의해 개방되게 하여, 음료 용기(10) 내의 액체가 빨대(2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인출될 때에 공기가 내부 공동(40) 내로 흡인되게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음료 용기(10) 내의 압력 레벨은 사용자가 그로부터 음용할 때 대기와 균등화될 수 있다.
유사하게, 빨대(20)는 사용자의 마우스로부터의 하방 압력에 응답하여 개방되는 수직으로 배향된 슬릿을 형성하는, 내부에 형성된 대향 리플릿 또는 부분을 포함하는 (도시되지 않은) 얇은 멤브레인을 갖는다. 압력차에 대해 개방되는 것과 같은 대안적인 밸브 배열체가 빨대(20) 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빨대 멤브레인(도시되지 않음)은 커버(16)가 개방되고 빨대(20)가 연장된 상태에서 음료 용기(10)가 반전되면 빨대(20) 및 튜브(22) 내부의 액체가 빨대(2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빨대 멤브레인(도시되지 않음)은 빨대(20)의 자유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볼록한 내향 돌출 형상을 갖는다. 빨대 멤브레인(도시되지 않음)은 립 또는 마우스로부터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개방되지 않으면 외향 유동에서 슬릿의 개방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빨대-통기 조립체(18)는 튜브(22) 및 가중 단부가 제거된 상태로 도 1에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통기 액추에이터(37)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풀 탭(46)의 형상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탭(46)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파지될 수 있는 링의 형태이고, 손상되면 독립적으로 세정 또는 교체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빨대-통기 조립체(18)를 뚜껑(14) 밖으로 당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빨대-통기 조립체(18)의 탄성 본체는 경도계로 쇼어 30-70, 바람직하게는 약 쇼어 50을 갖는 중합체 재료로 적절하게 제조된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빨대-통기 조립체(18)는 빨대(20)와 통기 부재(36)를 단일의 일체형 유닛으로 조합한다. 대안적으로, 빨대(20) 및 통기 부재(36)는 각각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뚜껑(14) 내의 2개의 별개의 입구-출구 개구 내에 장착되는 별개의 요소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일체형 탭을 갖는 조합된 빨대-통기 조립체(18)가 용이한 사용을 위해 바람직하다.
대안적인 음료 용기 뿐만 아니라 상술된 실시예의 음료 용기(10)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통기 부재(36)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5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통기 부재(36)의 각각의 실시예가 관련된 음료 용기(10)의 이동 가능한 커버(14) 상에 배치된 돌출부 또는 캠(38)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통기 액추에이터(37)에 의해 폐쇄 위치와 통기 또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작동 가능하다는 것이 강조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통기 부재(36)는 다시 그 내부 측벽(35)의 대향 부분들로부터 하방으로 각도를 이루어 내향으로 또는 안쪽으로 그리고 통기 개구(34)의 레벨 아래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을 포함하고, 그들 각각의 단부 부분은 표면 접촉으로 면대면으로 맞닿거나 배치되어 그 사이에 슬릿을 형성한다.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 통기 액추에이터(37)가 제1 통기 부분(39a)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그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기 액추에이터(37)는 제1 통기 부분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통기 개구(34)의 레벨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되는 자유 단부(37a)를 형성한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통기 액추에이터(37)는 통기 부재(36)의 내부 측벽(35)과 일체로 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배열의 결과로서, 그리고 이동 가능한 커버(1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할 때,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자유 단부(37a)는 중간 위치에 있을 때, 커버(16)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된 캠(38)에 의해 접촉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로 통과하는 동안 캠(38)과의 이러한 접촉은, 강제로 통기 액추에이터(37)를 탄성 변형시키고 통기 부재(36a)에 대해 하방 내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기 액추에이터(37)는 레버 아암으로서 효과적으로 기능하여, 제1 통기 부분(39a)이 제2 통기 부분(39b)으로부터 멀어지는 상대적인 측방향 또는 외측 이동을 초래하고 통기 부재(36)를 통기 상태로 변환한다.
도 6에서, 통기 액추에이터(37)는 더 이상 통기 부재(36)와 일체로 되어 있지 않다. 오히려, 통기 액추에이터(37)는 뚜껑(14)과 일체로 되고 가요성 가교 부분(15)에 의해 그에 부착된다. 가교 부분(15)은 통기 개구(34)에 인접한 뚜껑(14)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통기 개구(34)의 레벨 위에 위치설정된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제1 단부 부분까지 연장된다. 통기 액추에이터(37)는 세장형이고 제1 및 제2 자유 단부(37a, 37b)를 형성하고 가교 부분(15)에 의해 통기 개구(34)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유지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기 액추에이터(37)는 통기 부재(36)에 의해 형성된 공기 통로(32) 내에 배치되어, 제2 자유 단부(37b)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1 통기 부분(39a)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고 맞닿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기 부재(36)의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은 그 내부 측벽(35)의 대향 부분들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각도를 이루어 내향으로 그리고 통기 개구(34)의 레벨 아래로 연장된다.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또는 그 반대로의 이동 가능한 커버(16)의 피봇 이동 시에,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제1 자유 단부(37a)가 중간 위치에 있을 때에 커버(16)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된 캠(38)에 의해 접촉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로 통과하는 동안 캠(38)과의 이러한 접촉은, 강제로 가교 부분(15)을 탄성 변형시키고 내향으로 피봇시켜서,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상대적인 하방 및 피봇 이동을 허용한다. 이는 제2 통기 부분(39b)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통기 부분(39a)의 상대적인 외향 및 하방 이동으로 전환되며, 이는 통기 부재(36)를 통기 상태로 만든다.
도 7을 참조하면, 음료 용기 실시예는 뚜껑(14) 또는 통기 부재(36)와 일체로 되어 있지 않는 자유 부유 통기 액추에이터(37)를 제공한다. 오히려, 통기 액추에이터(37)는 제1 및 제2 자유 단부(37a, 37b)를 갖고 공기 통로(32)의 상부 부분 내에 중심에 배치된 세장형 부재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제1 자유 단부(37a)는 통기 개구(34) 위의 레벨에 위치설정되고, 제2 자유 단부(37b)는 슬릿 또는 그 사이의 접합부에서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의 상부 표면과 접촉한다. 통기 액추에이터(37)는 한 쌍의 탄력 변형 가능한 지지 요소(17a, 17b)의 상부 표면과 접촉하는 제1 단부에 배치된 환형 플랜지(37c)에 의해 이 위치에 유지된다. 지지 요소(17a, 17b)는 통기 개구(34)에 인접한 뚜껑(14)의 대향 에지 부분들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어 통기 액추에이터(37)가 사이에 위치설정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라 본질적으로 배열되어, 커버(16)의 피봇 이동시에, 중간 위치에 있을 때,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제1 자유 단부(37a)가 커버(16)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캠(38)에 의해 접촉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로 통과하는 동안 캠(38)과의 이러한 접촉은, 하방으로 탄성 변형하는 통기 액추에이터(37)의 플랜지(37c)를 지지 요소(17a, 17b)에 대해 강제하고,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상대적인 하방 이동을 허용한다. 그 결과,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제2 자유 단부(37b)는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 사이에서 가압되거나 강제되고, 이에 의해 통기 부재(36)를 통기 상태로 만든다.
도 8a 및 도 8b에서, 음료 용기(10)의 추가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음료 용기(10)는 커버(16)가 실질적으로 뚜껑(14)의 평면 내에서, 또는 실질적으로 피봇 지점을 중심으로 피봇 가능하기보다는 뚜껑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술된 실시예와 상이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통기 부재(36) 및 통기 액추에이터(37)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를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위치 중간의 위치로의 수평 방향으로의 커버(16)의 이동은 여전히 커버(16)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캠(38)이 통기 액추에이터(37)와 접촉하고 통기 부재(36)를 통기 상태로 만들기에 충분하다.
도 8a 및 도 8b와 유사하게, 도 9a 및 도 9b는, 도 9b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뚜껑(14) 상에 장착된 커버(16)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10)를 도시한다. 커버(16)는, 커버(16)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나선형 스프링 등과 같은, 편향 부재(21)를 통해서 상방 돌출 정지 부분(19)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8a 및 도 8b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커버(16)는 그 내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캠(38)을 더 포함하고, 이는 커버(16)가 제2 위치로 이동시 통기 액추에이터(37)와 접촉하고 통기 부재(36)를 통기 상태로 만든다.
도 10a 및 도 10b에, 음료 용기(10)의 추가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음료 용기(10)은 커버(16)가 뚜껑(14)의 에지 부분에 힌지식으로 연결되고 피봇 지점(23)을 중심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봇 지점(23)은 통기 부재(36) 및 통기 액추에이터(37)와 직접 중첩된다. 통기 부재(36) 및 통기 액추에이터(37)는 도 5, 도 8 및 도 9에 이전에 도시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커버(16)는 그 기부 부분(25)으로부터 외향으로 그리고 피봇 지점(23)에 인접하여 연장되는 캠(38)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위치 중간의 위치에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커버(16)의 이동은, 전술된 바와 같이, 캠(38)을 통기 액추에이터(37)와 접촉하게 하고 통기 부재(36)를 통기 상태로 변환한다.
도 11 및 도 12는 음료 용기(10)의 추가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음료 용기(10)은 내부에 컵(12) 및/또는 뚜껑(14)의 상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단부 벽(51) 및 하부 개방 부분(53)을 갖는 원통형 형상 커버(16)를 포함한다. 커버(16)는 상부 단부 벽(5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뚜껑(14)의 상부 표면 내에 배치된 상호 치수설정된 중심 채널(57)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심 샤프트(55)를 통해서 뚜껑(14)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또한, 세장형 및 아치형 또는 만곡형 캠 부분(38)이 상부 단부 벽(5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다.
뚜껑(14)은 컵(12)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추가로 관통하는 원통형 통기 개구(34)를 형성한다. 관통하여 연장되는 공기 통로(32)를 갖는 가요성 통기 부재(36)가 통기 개구(34) 내에 밀봉식으로 배치된다.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통기 부재(36)는 전술된 바와 같이, 그 내부 측벽(35)의 대향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각도를 이루어 내향으로 그리고 통기 개구(34)의 레벨 아래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을 포함한다. 세장형 쐐기 또는 핀 형상 본체를 갖는 통기 액추에이터(37)가 제1 통기 부분(39a)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그와 일체로 되고, 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전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기 개구(34)의 레벨 위에 위치설정되는 자유 단부(37a)를 형성한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캠(38)이 통기 액추에이터(37)와 중첩되고 그와 접촉하지 않는 폐쇄 위치의 커버(16)를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커버(16)의 상대적인 회전 이동시,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자유 단부(37a)가 아치형 방식으로 그 위를 통과함에 따라 캠(38)에 의해 접촉된다. 그 위로 통과하는 동안 캠(38)과의 접촉은 통기 액추에이터(37)가 탄성 변형되어 하방으로 그리고 통기 부재(36)에 대해 내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고, 이는 제2 통기 부분(39b)으로부터 멀어지는 제1 통기 부분(39a)의 상대적인 측방향 또는 외향 이동으로 전환되고 통기 부재(36)를 통기 상태로 변환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연관된 통기 부재(36)를 통기 상태로 만들기 위해 통기 액추에이터(37)의 특정 실시예에 작용하도록 요구되는 특정 힘을 도시하고 있다.
도 13a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도 4 및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통기 부재(36)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자유 단부에 부여된 하방력 및/또는 내향 횡방향 힘(화살표로 표시됨)은 통기 부재(36)를 통기 상태로 만들기에 충분하다.
도 14a는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본질적으로 유사한 통기 부재(36)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액추에이터(37)의 자유 단부에 하방력을 부여하는 것은 그 본체를 변형시키고 통기 부재(36)를 통기 상태로 만들기에 충분하다.
도 15a는 통기 부재(36)의 추가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이 특정 실시예에서, 통기 액추에이터(37)는 공기 통로 내에 그리고 내부 측벽(35) 사이에 중심에 위치설정된 본체 부분(41)을 포함한다. 본체 부분(41)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통기 개구(34)의 레벨 위에 위치설정된 그 자유 단부(37a)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의 각각의 상부 표면 상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또는 돌출되는 한 쌍의 가요성 아암 부분(41a, 41b)이 본체 부분(4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도 15b 및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5b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분(41)의 자유 단부(37a)의 하방 압력은 아암 부분(41a, 41b)이 변형되고 측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피봇하게 한다. 이는 제1 및 제2 통기 부분(39a, 39b)이 서로로부터 측방향으로 멀리 이동하게 만들고 이에 의해 통기 부재(35)를 통기 상태로 만들고 공기 통로를 통한 공기 이동을 허용한다(도 15c에 표시됨).
예시적인 실시예가 전술되었지만,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형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단어는 한정보다는 설명의 단어이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다양하게 구현된 실시예의 특징부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를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Claims (21)

  1. 음료 용기이며,
    개방 마우스 및 내부 공동을 갖는 컨테이너;
    마우스에 부착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제거 가능한 뚜껑;
    뚜껑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밀봉 결합되고 관통하여 연장되는 공기 통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통기 부재로서, 통기 부재는 컨테이너 내의 압력이 컨테이너 외부의 압력에 관하여 음압 상태로 진입할 때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내부 공동 내에 수용된 액체가 관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통기 부재는 공기 통로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통기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통기 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통기 부재의 상태를 통기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통기 액추에이터로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통기 부재와 일체로 되고 캠 부분과의 접촉시 통기 부재를 통기 상태로 만들도록 구성되는, 통기 액추에이터; 및
    뚜껑 상에 배치되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 부재로서, 커버 부재는 통기 부재의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커버 부재의 이동 중에 통기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캠 부분을 갖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통기 부재는 공기 통로 내에 각도를 이루어 하방으로 배치되는 대향하는 가요성 제1 및 제2 통기 부분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공기 통로의 통기 개구의 레벨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음료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관통하여 연장되는 유체 통로를 갖는 가요성 관형 빨대 또는 분출구 또는 젖꼭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관형 빨대 또는 분출구 또는 젖꼭지 및 통기 부재는 뚜껑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밀봉 결합되는 탄성 본체를 갖는 탄성 빨대-통기 또는 분출구-통기 또는 젖꼭지-통기 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음료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커버는 가요성 관형 빨대 또는 분출구 또는 젖꼭지를 뚜껑에 대해 핀칭하고, 이에 의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유체 통로를 폐쇄하는, 음료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캠 부분은 커버 부재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중간의 위치에 있을 때 통기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용기.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제1 및 제2 통기 부분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상부 표면 상에 그와 일체로 배치되고 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쐐기형 부분을 포함하는, 음료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쐐기형 부분은 통기 부재의 측벽의 일부와 일체로 되어 있는, 음료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쐐기형 부분은 캠 부분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자유 단부를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통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음료 용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개구에 걸쳐 연장되는 지지 부분에 의해 공기 통로 내에 지지되는 세장형 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지지 부분과 접촉하기 위해 그 단부 부분에 환형 플랜지를 갖는, 음료 용기.
  13. 음료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통기 조립체이며,
    음료 용기 내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밀봉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관통하여 연장되는 공기 통로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통기 부재로서, 통기 부재는 음료 용기 내의 압력이 음료 용기 외부의 압력에 관하여 음압 상태로 진입할 때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음료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가 관통하여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통기 부재는 공기 통로 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통기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통기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기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통기 부재의 상태를 통기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통기 액추에이터로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통기 부재와 일체로 되고 커버 부재 상에 배치된 캠 부분과의 접촉시 통기 부재를 통기 상태로 만들도록 구성되는, 통기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통기 부재는 공기 통로 내에 각도를 이루어 하방으로 배치되는 대향하는 가요성 제1 및 제2 통기 부분을 포함하는, 통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공기 통로의 통기 개구의 레벨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통기 조립체.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관통하여 연장되는 유체 통로를 갖는 가요성 관형 빨대 또는 분출구 또는 젖꼭지를 더 포함하는, 통기 조립체.
  16. 삭제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제1 및 제2 통기 부분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상부 표면 상에 그와 일체로 배치되고 그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쐐기형 부분을 포함하는, 통기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쐐기형 부분은 통기 부재의 측벽의 일부와 일체로 되어 있는, 통기 조립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쐐기형 부분은 자유 단부를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 통기 부분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통기 조립체.
  20.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통기 액추에이터는 개구에 걸쳐 연장되는 지지 부분에 의해 공기 통로 내에 지지되는 세장형 부재를 포함하는, 통기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세장형 부재는 지지 부분과 접촉하기 위해 그 단부 부분에 환형 플랜지를 갖는, 통기 조립체.
KR1020197016530A 2018-05-07 2019-04-09 음료 용기 및 통기 부재 KR102602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8203169 2018-05-07
AU2018203169A AU2018203169B1 (en) 2018-05-07 2018-05-07 Drinking vessel and ventilation members
PCT/AU2019/050314 WO2019213693A1 (en) 2018-05-07 2019-04-09 Drinking vessel and ventilation memb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830A KR20210006830A (ko) 2021-01-19
KR102602943B1 true KR102602943B1 (ko) 2023-11-16

Family

ID=6402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530A KR102602943B1 (ko) 2018-05-07 2019-04-09 음료 용기 및 통기 부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1058241B2 (ko)
EP (1) EP3768125A4 (ko)
JP (1) JP7323812B2 (ko)
KR (1) KR102602943B1 (ko)
CN (2) CN109820393B (ko)
AU (1) AU2018203169B1 (ko)
BR (1) BR112020022597A2 (ko)
CA (1) CA3098914A1 (ko)
IL (1) IL278446B1 (ko)
NZ (1) NZ770084A (ko)
PH (1) PH12020551809A1 (ko)
SG (1) SG11202010815PA (ko)
WO (1) WO2019213693A1 (ko)
ZA (1) ZA202006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7550S1 (en) * 2017-06-14 2020-03-10 b.box for kids developments Pty Ltd. Sippy cup straw-valve assembly
WO2019204859A1 (en) * 2018-04-27 2019-10-31 Simon Karlik A variable flow cap assembly for a drinking vessel
CN113277215B (zh) * 2020-02-20 2023-10-27 企划王有限公司 通气装置、盖体以及包括该盖体的容器
USD942217S1 (en) * 2020-03-03 2022-02-01 Gyeongshin Lee Cup holder tray for sofa
EP4296185A3 (en) * 2020-05-14 2024-02-07 OP-Hygiene IP GmbH Bottle top pump
KR102318570B1 (ko) * 2020-06-15 2021-10-27 천성배 접이식 빨대컵용 뚜껑
WO2022130025A1 (en) * 2020-12-18 2022-06-23 Koninklijke Philips N.V. Cup cap for straw cup and straw cup
USD939271S1 (en) * 2021-05-12 2021-12-28 Fujian Spd E-Commerce Co., Ltd. Bottle li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441A1 (ja) * 2006-06-23 2007-12-27 Pigeon Corporation 飲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3889A (en) * 1992-09-21 1994-09-06 Jaw Horng Chang Nozzle for inflatable objects
US5906288A (en) * 1997-05-27 1999-05-25 Royal Packaging Industries Van Leer N.V. Anti-glug vent for plastic pails
US6135311A (en) * 1998-09-23 2000-10-24 Acorn Bay, Llc Drink valve
TW437709U (en) * 1999-10-13 2001-05-28 Supstar Entpr Company Ltd Cap sealing structure for container
US6164314A (en) * 2000-01-12 2000-12-26 Intex Recreation Corp. Oversized air valve for use with inflatable devices and method
US20030145888A1 (en) * 2002-02-01 2003-08-07 Hsiang-Ting Lin Air bag inflation device
JP4917913B2 (ja) 2003-06-24 2012-04-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327052B2 (ja) 2004-09-10 2009-09-09 ピジョン株式会社 飲料容器
GB0522963D0 (en) * 2005-11-11 2005-12-21 Parker Julian Container end and opener
JP2007176537A (ja) 2005-12-27 2007-07-12 Richell Corp 飲料容器用キャップ及び飲料容器
JP4614185B2 (ja) 2006-05-31 2011-01-19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JP4993717B2 (ja) * 2007-05-31 2012-08-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飲料容器
US8683632B2 (en) * 2007-07-13 2014-04-01 Zhengping Zhang Internal valve and methods of use for inflatable objects
TWI501903B (zh) * 2009-09-09 2015-10-01 Combi Corp 附有吸管之飲料容器
US8678221B2 (en) * 2010-04-28 2014-03-25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Beverage container lid with mouth opening and separate push in vent
JP5495999B2 (ja) 2010-07-16 2014-05-21 ピジョン株式会社 飲料容器
US9238529B1 (en) * 2010-12-21 2016-01-19 John Anthoney Newman Lid for a drink cup
CN202011528U (zh) * 2010-12-23 2011-10-19 蒋一新 一种吸吮饮料容器
CN103562087B (zh) * 2011-05-31 2015-09-02 贝亲株式会社 饮料容器
SG2014012397A (en) 2011-08-12 2014-04-28 Desarrollos Tamarit Plaza Sl Cap
KR200474060Y1 (ko) * 2012-09-20 2014-08-19 (주)서룡상사 유아용 음료용기
DE102013010431A1 (de) * 2013-06-24 2014-12-24 Mapa Gmbh Trinkbehälter mit einem Trinkgefäß und einem Trinkaufsatz
CN103496499B (zh) * 2013-09-23 2017-04-12 蒋一新 透气杯盖
JP6566556B2 (ja) 2015-07-31 2019-08-28 株式会社リッチェル 飲料容器
US9972575B2 (en) * 2016-03-03 2018-05-15 Applied Materials, Inc. Hybrid wafer dicing approach using a split beam laser scribing process and plasma etch process
US10390643B2 (en) * 2017-03-29 201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fillable design for a closed water bottle
KR102533063B1 (ko) * 2017-06-14 2023-05-15 비.박스 포 키즈 디벨롭먼츠 피티와이 엘티디 시피 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441A1 (ja) * 2006-06-23 2007-12-27 Pigeon Corporation 飲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2006814B (en) 2022-01-26
US11058241B2 (en) 2021-07-13
IL278446A (ko) 2021-01-31
PH12020551809A1 (en) 2021-07-26
WO2019213693A1 (en) 2019-11-14
AU2018203169B1 (en) 2018-11-08
KR20210006830A (ko) 2021-01-19
EP3768125A1 (en) 2021-01-27
US20210330106A1 (en) 2021-10-28
EP3768125A4 (en) 2021-04-28
CN115553621A (zh) 2023-01-03
US20210085106A1 (en) 2021-03-25
US11819148B2 (en) 2023-11-21
SG11202010815PA (en) 2020-11-27
JP7323812B2 (ja) 2023-08-09
NZ770084A (en) 2024-03-22
JP2021523065A (ja) 2021-09-02
IL278446B1 (en) 2024-04-01
CN109820393A (zh) 2019-05-31
BR112020022597A2 (pt) 2021-02-02
CA3098914A1 (en) 2019-11-14
CN109820393B (zh)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2943B1 (ko) 음료 용기 및 통기 부재
RU2643416C2 (ru)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ейнера для напитков
US11849871B2 (en) Sippy cup
US20050205587A1 (en) Cup assembly
US10799046B2 (en) Valve assembly for a leak resistant drinking cup
US20080073363A1 (en) Drinking cup and cover with flow directing assembly
CN110621202B (zh) 阀和相关联的方法
RU165986U1 (ru) Поильник-непроливайка
EP4161318B1 (en) Valve actuated bottle cap
GB2399080A (en) No spill drin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