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756B1 - 자동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756B1
KR102602756B1 KR1020210148889A KR20210148889A KR102602756B1 KR 102602756 B1 KR102602756 B1 KR 102602756B1 KR 1020210148889 A KR1020210148889 A KR 1020210148889A KR 20210148889 A KR20210148889 A KR 20210148889A KR 102602756 B1 KR102602756 B1 KR 10260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interference member
main body
uni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3630A (ko
Inventor
김정남
양동엽
김성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락
Priority to KR1020210148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75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3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3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공급부에서 공급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해당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해당 내부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유체를 소정의 설정압력으로 상기 배출구에 제공하되,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해당 설정압력이 변경되는 압력조절부가 마련된 릴리프 밸브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설정압력이 변경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을 가압하는 가압유닛과, 상기 릴리프 밸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가압유닛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납 케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레귤레이터는 밸브의 다이어프램을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케이스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이나 빗물, 이물질에 의해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레귤레이터{Auto regulator}
본 발명은 자동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된 에어를 설정압력으로 배출시키되, 해당 설정압력을 전동 방식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는 전동 레귤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레귤레이터는 입구측에 형성된 고압의 가스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감압하여 출구측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레귤레이터는 제어용 밸브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구와, 가스의 유입과 배출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스크류와, 다이어프램을 누르는 밸런스 스프링과, 상기 다이어프램의 하강시 작동되어 가스공급구에 부설된 밸브를 개폐하는 레버로 구성된다.
여기서, 최근 밸런스 스프링 대신에 전동공구를 사용하여 해당 다이어프램을 가압할 수 있는 자동 레귤레이터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해당 자동 레귤레이터는 전동의 가압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빗물, 이물질에 의해 결함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51366호: 레귤레이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밸브의 다이어프램을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케이스가 마련된 자동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레귤레이터는 유체공급부에서 공급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해당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해당 내부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유체를 소정의 설정압력으로 상기 배출구에 제공하되,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해당 설정압력이 변경되는 압력조절부가 마련된 릴리프 밸브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설정압력이 변경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을 가압하는 가압유닛과, 상기 릴리프 밸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가압유닛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납 케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접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섭부재와, 양단이 각각 상기 다이어프램 및 간섭부재에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되, 압축된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간섭부재를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접되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탄성력을 기설정된 최대 압력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간섭부재가 기설정된 제1임계위치보다 상기 다이어프램 측으로 인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임계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간섭부재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부재를 간섭하는 제1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다이어프렘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기설정된 최소 압력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간섭부재가 상기 제1임계위치보다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간섭부재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부재를 간섭하는 제2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간섭부재가 접촉될 경우, 상기 이동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해당 수용공간의 압력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에 통기구가 형성된 메인바디와, 상기 통기구로부터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해당 통기구에 연통되되, 단부가 개방된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에어 배출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레귤레이터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습도 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는 센서부재와,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상기 에어 배출부재를 통해 강제로 외부로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부와, 상기 센서부재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용공간 내의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습도 이상이거나 상기 수용공간 내의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수용공간으로 고압의 에어가 주입되도록 상기 에어 주입부를 제어하는 에어 컨트롤 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수납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간섭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되는 작동감지센서와,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을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긴급 이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간섭부재가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에 접촉된 상태에서, 해당 이동유닛이 작동할 경우, 해당 이동유닛이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이동유닛이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게 상기 긴급 이동부재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레귤레이터는 밸브의 다이어프램을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케이스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이나 빗물, 이물질에 의해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레귤레이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레귤레이터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자동 레귤레이터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동 레귤레이터의 후방부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자동 레귤레이터의 수납 케이스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자동 레귤레이터의 에어 배출부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레귤레이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레귤레이터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레귤레이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레귤레이터(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 레귤레이터(100)는 공급된 유체를 소정의 설정압력으로 배출시키는 릴리프 밸브(200)와, 상기 설정압력이 변경되도록 상기 릴리프 밸브(200)의 다이어프램(300)을 가압하는 가압유닛(300)과, 상기 릴리프 밸브(200)에 설치되며, 내부에 가압유닛(3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납 케이스(400)를 구비한다.
상기 릴리프 밸브(200)는 유체공급부에서 공급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해당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해당 내부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300)과,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유체를 소정의 설정압력으로 상기 배출구에 제공하되, 상기 다이어프램(300)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해당 설정압력이 변경되는 압력조절부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관(211)에 연결되며, 내부유로에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210)는 내부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도록 내부유로에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해당 배출구에는 배출관(212)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체(210)는 내부유로의 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다이어프램(300)은 본체(210)의 후면에 설치되며, 후술되는 가압유닛(300)으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변형가능하도록 가장자리가 해당 본체(210)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다이어프램(300)은 개방된 내부유로의 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어프램(30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일단부가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210) 내부에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일단부가 유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해당 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연결로드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300)에 연결된다. 해당 압력조절부는 다이어프램(300)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설정압력이 변경된다.
한편, 상기 릴리프 밸브(200)는 공급된 유체를 감압 즉, 압력을 변경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이어프램(300)을 갖는 레귤레이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가압유닛(300)은 상기 본체(21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310)과, 상기 다이어프램(300)에 인접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프레임(3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섭부재(320)와, 양단이 각각 상기 다이어프램(300) 및 간섭부재(320)에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310)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되, 압축된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다이어프램(300)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330)와, 상기 탄성부재(330)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간섭부재(320)를 상기 다이어프램(300)에 인접되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이동유닛(340)과, 상기 간섭부재(32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거리제한부(35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1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단부가 상기 본체(21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 프레임(310)은 내부에, 탄성부재(330) 및 간섭부재(3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3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간(31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전후단부가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프레임(310)은 본체(210) 및 이동유닛(34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전후단부에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플랜지부재(3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310)은 상면에, 후술되는 간섭부재(320)의 간섭돌기(322)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홈(3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관통홈(313)은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이드 프레임(31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설치공간(311)의 좌우측 내벽면에, 후술되는 간섭부재(320)의 지지돌기(3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해당 간섭부재(320)의 이동을 가이드합니다.
간섭부재(320)는 가이드 프레임(310)의 설치공간(31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간섭부재(320)는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중공(321)이 형성되며, 중공(32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간섭부재(320)는 거리제한부(350)에 간섭될 수 있도록 상부에 간섭돌기(3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섭돌기(322)는 간섭부재(320)의 상단에 대해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며, 가이드 프레임(310)의 제1관통홈(313)에 관통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간섭부재(320)는 좌우측 외주면에 가이드 프레임(310)의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돌기(323)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간섭부재(320)는 지지돌기(323)가 가이드홈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이동유닛(34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탄성부재(330)는 설치공간(311)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단부가 다이어프렘에 접촉되고, 후단부가 간섭부재(320)에 지지되도록 세팅된다. 상기 탄성부재(330)는 압축된 길이에 비례하여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코일 스프링이 적용된다.
이동유닛(340)은 가이드 프레임(31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모터(341)와, 모터(341)의 회전축(343)에 설치되어 간섭부재(320)를 이동시키는 연결 커플러(342)를 구비한다.
모터(341)는 가이드 프레임(310)의 후단부에 마련된 플랜지 부재에 고정되되, 회전축(343)이 가이드 프레임(310)의 설치공간(311)으로 인입되게 설치된다. 해당 모터(341)는 인가되는 전기 또는 유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 커플러(342)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후단부가 모터(341)의 회전축(343)에 설치되어 모터(341)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연결 커플러(342)는 전단부가 간섭부재(320)의 중공(321)에 관통되게 삽입되되, 해당 간섭부재(32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341)에 의해 연결 커플러(34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 해당 연결 커플러(342)에 나사결합된 간섭부재(32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유닛(340)에 의해 간섭부재(320)가 다이어프램(300)에 인접되게 이동되면, 해당 탄성부재(330)는 압축되고, 탄성부재(330)는 압축된 길이에 비례하여 증가된 탄성력을 다이어프램(300)에 제공한다. 또한, 이동유닛(340)에 의해 간섭부재(320)가 다이어프램(300)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면, 해당 탄성부재(330)는 압축상태가 해제되고, 다이어프램(300)에 제공되는 탄성력이 감소한다.
거리제한부(350)는 상기 다이어프램(300)에 인가되는 탄성력을 기설정된 최대 압력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간섭부재(320)가 기설정된 제1임계위치보다 상기 다이어프램(300) 측으로 인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임계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간섭부재(320)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부재(320)를 간섭하는 제1리미트 스위치(352)와, 상기 다이어프렘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기설정된 최소 압력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간섭부재(320)가 상기 제1임계위치보다 상기 다이어프램(3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간섭부재(320)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부재(320)를 간섭하는 제2리미트 스위치(353)와, 상기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352,353)가 설치되는 설치 플레이트(351)와, 해당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352,353)에 대한 간섭부재(320)의 접촉 여부에 따라 이동유닛(34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설치 플레이트(351)는 가이드 프레임(3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치 플레이트(351)는 간섭부재(320)의 간섭돌기(322)가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홈(313)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2관통홈(354)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관통홈(354)은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제1리미트 스위치(352)는 제2관통홈(354)을 관통한 간섭부재(320)의 간섭돌기(322)를 간섭할 수 있도록 제2관통홈(354)의 연장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해당 제1리미트 스위치(352)는 제1임계위치 즉, 다이어프램(300)에 인접된 위치의 설치 플레이트(351)의 상면 전방부에 설치된다. 이때, 제1리미트 스위치(352)는 간섭돌기(322)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후단부에 제1접촉센싱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1임계위치는 해당 릴리프 밸브(200)의 스펙 또는 자동 레귤레이터(100)의 설치대상에 따라 작업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2리미트 스위치(353)는 제2관통홈(354)을 관통한 간섭부재(320)의 간섭돌기(322)를 간섭할 수 있도록 제2관통홈(354)의 연장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해당 제1리미트 스위치(352)는 제2임계위치 즉, 제1리미트 스위치(352)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설치 플레이트(351)의 상면 후방부에 설치된다. 이때, 제2리미트 스위치(353)는 간섭돌기(322)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전단부에 제2접촉센싱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제2임계위치는 해당 릴리프 밸브(200)의 스펙 또는 자동 레귤레이터(100)의 설치대상에 따라 작업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352,353)로부터 간섭돌기(322)에 대한 접촉 여부의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352,353)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간섭부재(320)가 접촉될 경우, 이동유닛(340)의 모터(34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제어부는 간섭부재(320)가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352,353)에 접촉된 상태로 해당 간섭부재(320)에 이동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간섭부재(320) 또는 이동유닛(340)의 파손을 방지한다.
수납 케이스(400)는 상기 본체(21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414)이 형성되고, 해당 수용공간(414)의 압력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에 통기구(416)가 형성된 메인바디(410)와, 상기 통기구(416)로부터 상기 메인바디(410)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해당 통기구(416)에 연통되되, 단부가 개방된 연통로(421)가 형성된 에어 배출부재(42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바디(410)는 내부에 수용공간(414)이 형성된 수납몸체(411)와, 릴리프 본체(210) 및 수납몸체(411) 사이에 설치되는 제1방수커버(412)와, 수납몸체(411)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제2방수커버(413)를 구비한다.
수납몸체(411)는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수용공간(414)이 형성되되, 전후단부가 각각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해당 수납몸체(411)는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견고하게 외형을 유지하되, 습기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내부식성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방수커버(412)는 수납몸체(411)의 전단부에 설치되되, 개방된 수납몸체(411)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방수커버(412)는 전면이 릴리프 밸브(200)의 몸체 후면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가이드 프레임(310)의 전단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관통되게 설치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방수커버(412)는 해당 수용공간(414)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수납몸체(411)에 밀착되도록 고무와 같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방수커버(413)는 수납몸체(411)의 개방된 후면을 덮을 수 있도록 수납몸체(411)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방수커버(413)는 중앙부에 모터(341)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되게 삽입구(4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방수커버(413)는 삽입구(415)에 대해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통기구(416)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200)의 설정압력을 높인 다음, 낮출 경우, 잔압이 발생되는데, 메인바디(410)는 밀폐구조로 되어 있어 수용공간(414) 내의 압력이 높아져 장치의 작동에 결함이 발생될 수 있는데, 해당 통기구(416)를 통해 수납 케이스(400)의 수용공간(414) 내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수납 케이스(400)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에어 배출부재(420)는 통기구(416)로부터 제2방수커버(413) 외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며, 내부에 해당 통기구(416)에 연통되는 연통로(421)가 형성된다. 여기서, 에어 배출부재(420)는 후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에어 배출부재(420)의 연통로(421)는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자동 레귤레이터(100)는 릴리프 밸브(200)의 다이어프램(300)에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유닛(300)이 수납 케이스(400)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수납 케이스(400)에 의해 해당 가압유닛(30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며, 빗물이나 이물질이 해당 가압유닛(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레귤레이터(50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 레귤레이터(500)는 상기 수용공간(414) 내의 습도 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410)에 설치되는 센서부재(510)와, 상기 수용공간(414)의 공기를 상기 에어 배출부재(420)를 통해 강제로 외부로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414)으로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부(520)와, 상기 에어 주입부(520)를 제어하는 에어 컨트롤 모듈(530)을 더 구비한다.
센서부재(510)는 수납몸체(411)의 내벽면에 설치되어 수용공간(414)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 상기 센서부재(510)는 설치대상 지역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센싱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에어 주입부(520)는 일단이 수용공간(414)에 연통되도록 수납몸체(411)에 연결되는 주입관(521)과, 상기 주입관(521)에 연결되어 해당 주입관(521)을 통해 수용공간(414)으로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는 콤프레셔(522)를 구비한다. 한편, 에어 주입부(52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납몸체(411)의 수용공간(414)으로 고압의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에어 컨트롤 모듈(530)은 상기 센서부재(510)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용공간(414) 내의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습도 이상이거나 상기 수용공간(414) 내의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수용공간(414)으로 고압의 에어가 주입되도록 상기 에어 주입부(520)의 콤프레셔(522)를 제어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 레귤레이터(500)는 수납몸체(411) 내부의 습도 및 온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수납몸체(411) 내부로 고압의 에어를 주입하여 해당 수용공간(414)의 내기를 외부로 강제 순환시키므로 수납몸체(411) 내부의 습도 및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가압유닛(300)에 결함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레귤레이터(6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 레귤레이터(600)는 상기 이동유닛(340)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340)에 설치되는 작동감지센서(610)와, 상기 수납 케이스(4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340)을 상기 다이어프램(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긴급 이동부재(620)를 더 구비한다. 이때, 이동유닛(340)의 모터(341)는 가이드 프레임(310)의 후단부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가이드 프레임(310)의 후단부에 지지되되, 수납몸체(411) 내부에 간섭부재(320)의 이동방향 즉,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작동감지센서(610)는 모터(341)에 설치되어 모터(341)의 작동상태를 감지한다. 여기서, 작동감지센서(610)는 모터(341)의 회전력 생성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해당 작동감지센서(610)는 전동기기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지수단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긴급 이동부재(620)는 전단부가 모터(341)에 고정되고, 후단은 수납몸체(411) 내부에 설치되며, 전후방향 길이가 신축된다. 해당 긴급 이동부재(620)는 전후방향 길이가 신축되는 유압 실린더 또는 스크류잭이 적용될 수 있다. 모터(341)는 해당 긴급 이동부재(620)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310)의 후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작동감지센서(61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간섭부재(320)가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352)에 접촉된 상태에서, 해당 이동유닛(340)의 모터(341)가 작동할 경우, 해당 이동유닛(340)이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동유닛(340)의 모터(341)가 상기 다이어프램(300)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게 상기 긴급 이동부재(620)를 작동시킨다.
가압유닛(300)이 정상 작동시에는 긴급 이동부재(620)에 의해 모터(341)가 가이드 프레임(310)의 후단부에 밀착된 상태로 작동한다. 이때, 간섭부재(320)가 제1리미트 스위치(352)에 접촉된 상태인데도, 모터(341)가 작동되면, 제어부는 해당 모터(341)가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341)를 후방으로 이격시킨다. 모터(341)가 후방으로 이격되면 해당 이동유닛(340)에 연결된 간섭부재(32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다이어프램(300)에 인가되는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이 감소하여 릴리프 밸브(200)에 과도한 압력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자동 레귤레이터 200: 릴리프 밸브
210: 본체 220: 다이어프램
300: 가압유닛 310: 가이드 프레임
320: 간섭부재 330: 탄성부재
340: 이동유닛 341: 모터
342: 연결 커플러 350: 거리제한부
352: 제1리미트 스위치 353: 제2리미트 스위치
400: 수납 케이스 410: 메인바디
411: 수납몸체 412: 제1방수커버
413: 제2방수커버 420: 에어 배출부재

Claims (7)

  1. 유체공급부에서 공급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해당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해당 내부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유체를 소정의 설정압력으로 상기 배출구에 제공하되,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해당 설정압력이 변경되는 압력조절부가 마련된 릴리프 밸브;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설정압력이 변경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을 가압하는 가압유닛; 및
    상기 릴리프 밸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가압유닛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납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접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섭부재;
    양단이 각각 상기 다이어프램 및 간섭부재에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되, 압축된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간섭부재를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접되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해당 수용공간의 압력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에 통기구가 형성된 메인바디; 및
    상기 통기구로부터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해당 통기구에 연통되되, 단부가 개방된 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 에어 배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공간 내의 습도 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메인바디에 설치되는 센서부재;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상기 에어 배출부재를 통해 강제로 외부로 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 주입부;
    상기 센서부재에서 제공되는 측정 정보를 토대로 상기 수용공간 내의 습도가 기설정된 기준습도 이상이거나 상기 수용공간 내의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온도 이상일 경우, 상기 수용공간으로 고압의 에어가 주입되도록 상기 에어 주입부를 제어하는 에어 컨트롤 모듈;을 더 구비하는,
    자동 레귤레이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탄성력을 기설정된 최대 압력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간섭부재가 기설정된 제1임계위치보다 상기 다이어프램 측으로 인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임계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간섭부재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부재를 간섭하는 제1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기설정된 최소 압력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간섭부재가 상기 제1임계위치보다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간섭부재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부재를 간섭하는 제2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는,
    자동 레귤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간섭부재가 접촉될 경우, 상기 이동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자동 레귤레이터.
  5. 삭제
  6. 삭제
  7. 유체공급부에서 공급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마련되고, 해당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가 통과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되고, 해당 내부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내부유로를 통과하는 유체를 소정의 설정압력으로 상기 배출구에 제공하되,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압력에 따라 해당 설정압력이 변경되는 압력조절부가 마련된 릴리프 밸브;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설정압력이 변경되도록 상기 다이어프램을 가압하는 가압유닛; 및
    상기 릴리프 밸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가압유닛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납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접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섭부재;
    양단이 각각 상기 다이어프램 및 간섭부재에 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되, 압축된 길이에 비례하여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증가하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간섭부재를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접되거나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탄성력을 기설정된 최대 압력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간섭부재가 기설정된 제1임계위치보다 상기 다이어프램 측으로 인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임계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간섭부재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부재를 간섭하는 제1리미트 스위치;
    상기 다이어프램에 인가되는 탄성력이 기설정된 최소 압력 이상이 되도록 상기 간섭부재가 상기 제1임계위치보다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간섭부재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간섭부재를 간섭하는 제2리미트 스위치;
    상기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간섭부재가 접촉될 경우, 상기 이동유닛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수납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간섭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이동유닛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유닛에 설치되는 작동감지센서; 및
    상기 수납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유닛을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긴급 이동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감지센서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간섭부재가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에 접촉된 상태에서, 해당 이동유닛이 작동할 경우, 해당 이동유닛이 오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이동유닛이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게 상기 긴급 이동부재를 제어하는,
    자동 레귤레이터.







KR1020210148889A 2021-11-02 2021-11-02 자동 레귤레이터 KR102602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889A KR102602756B1 (ko) 2021-11-02 2021-11-02 자동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8889A KR102602756B1 (ko) 2021-11-02 2021-11-02 자동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630A KR20230063630A (ko) 2023-05-09
KR102602756B1 true KR102602756B1 (ko) 2023-11-16

Family

ID=8640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889A KR102602756B1 (ko) 2021-11-02 2021-11-02 자동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7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771B2 (ja) * 1994-05-19 2000-01-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スイッチ
JP2005196585A (ja) * 2004-01-08 2005-07-21 Smc Corp フィルタ内蔵形レギュレータ
CN103968117A (zh) * 2013-01-28 2014-08-06 泰思康公司 具有集成的快速加压旁路阀的流体调节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00170B2 (en) * 1987-09-25 1990-08-02 Mitsui Toatsu Chemicals Inc. 2-(2,2,2-trifluoroethyl imino)-tetrahydro-1,3,5, thiadiazin- 4-ones and their preparation and use
JP3001771U (ja) * 1994-03-07 1994-09-06 一三 小林 圧力調整弁
KR100951366B1 (ko) 2008-06-11 2010-04-08 (주)모토닉 레귤레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1771B2 (ja) * 1994-05-19 2000-01-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スイッチ
JP2005196585A (ja) * 2004-01-08 2005-07-21 Smc Corp フィルタ内蔵形レギュレータ
CN103968117A (zh) * 2013-01-28 2014-08-06 泰思康公司 具有集成的快速加压旁路阀的流体调节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3630A (ko) 202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642B2 (en) Soft ventable relief valve
US9072925B2 (en) Valve
KR102602756B1 (ko) 자동 레귤레이터
KR20040002960A (ko) 압력 증강 장치를 갖는 연료 분사 장치 및 압력 증강 장치
CN112615025B (zh) 气体供给系统和推定气罐的内部压力的方法
JP2006529017A (ja) バルブ
US10487854B2 (en) Valve device and hydraulic system
KR101806690B1 (ko) 연료전지 시스템의 연료극 배출밸브
US4119016A (en) Hydraulic control device
JP6375415B2 (ja) 高圧洗浄装置及び高圧洗浄車
CN109844325B (zh) 排出压力补偿阀和具有这种排出压力补偿阀的升降设备
JP2018077198A (ja) 高圧流体制御弁の制御装置および異常診断方法
KR101949211B1 (ko) 전기화학 배터리를 가진 수중 크래프트
KR20180040206A (ko) 안전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압 시스템
JP5173986B2 (ja) 圧力スイッチ
DE10344897A1 (de) Ventil zur Steuerung einer Verbindung in einem Hochdruckflüssigkeitssystem, insbesondere einer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S58166101A (ja) 自己充填機構を有する液体ばね蓄圧装置
CN212273132U (zh) 一种先导阀结构及具有其的滑阀
JP6621225B1 (ja) 負圧湿式予作動スプリンクラー設備における流量制御弁
CN109373029B (zh) 防水锤卸位安全阀
JP6157871B2 (ja) 高圧洗浄装置及び高圧洗浄車
JP6800790B2 (ja) 車両用燃料電池システム
CN216768550U (zh) 一种液压螺纹插装阀
CN101377198B (zh) 螺旋式压缩机的容量控制装置
CN216308247U (zh) 一种膨胀水箱控制装置及包括其的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