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335B1 -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335B1
KR102602335B1 KR1020180032173A KR20180032173A KR102602335B1 KR 102602335 B1 KR102602335 B1 KR 102602335B1 KR 1020180032173 A KR1020180032173 A KR 1020180032173A KR 20180032173 A KR20180032173 A KR 20180032173A KR 102602335 B1 KR102602335 B1 KR 102602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s
pucch
uplink control
information
ofdm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468A (ko
Inventor
류현석
쉬에펑
유현규
최상원
황규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10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종래 LTE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제어 정보 (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ACK/NACK, 채널 품질 (channel quality: CQI) 정보, 프리코딩 행렬 지시자 (precoding matrix indication: PMI) 정보, 랭크 지시자 (rank indication: RI) 정보, 그리고 스케줄링 요청 (Scheduling Request: S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정보들은 상향링크 제어 채널인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로 전송되거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인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로 데이터와 같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시간-주파수 전송 위치는, 시간 축으로는 1 subframe 동안 전송되며 주파수 축으로는 시스템 대역폭의 양 끝 단에 위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때, slot 단위로 주파수 hopping을 수행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5G 통신 시스템의 요구사항들 중 하나인 적은 통신 지연시간 (Latency)를 만족하지 못할 수 있고,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설계의 확장성 (Scalability)을 지원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서비스는 적은 통신 지연시간을 만족시키기 위해 하나의 slot (즉, 전송 시간 구간,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을 7 심볼로 고려할 수 있다. 이때, TDD (Time Division Duplexing) 시스템을 고려하면,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심볼 수가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하는 심볼 개수에 따라 다양해 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확장성을 갖는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단말의 방법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위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생성하는 단계,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위해 할당된 복수의 심볼 상에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DMRS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DMRS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MRS는 복수의 심볼 중 홀수번째 심볼 상에 매핑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단말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위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생성하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DMRS를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위해 할당된 복수의 심볼 상에 매핑하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DMRS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DMRS는 복수의 심볼 중 홀수번째 심볼 상에 매핑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지국의 방법은, 단말로부터 복수의 심볼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위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복조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DMRS는 복수의 심볼 중 홀수번째 심볼 상에 매핑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지국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단말로부터 복수의 심볼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위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수신하고, 복조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처리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되, DMRS는 복수의 심볼 중 홀수번째 심볼 상에 매핑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은, 다양한 bit 크기를 가질 수 있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성능 열화 없이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심볼 수를 가질 수 있는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을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도 1은 NCP (Normal Cyclic Prefix)를 사용하는 LTE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도 2는 ECP (Extended Cyclic Prefix)를 사용하는 LTE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도 3은 1 심볼 길이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도 4는 2 심볼 길이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도 5는 병합 구조 (Concatenated Structure)를 이용한 Long PUCCH 설계에 대한 예시이다.
도 6은 병합 구조 (Concatenated Structure)를 이용한 Long PUCCH 설계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홀수 개의 심볼을 갖는 Long PUCCH 설계 방법)
도 7은 절삭 구조 (Truncated Structure)를 이용한 Long PUCCH 설계에 대한 예시이다
도 8은 LTE PUCCH 포맷 1/1a/1b에 대한 구조 예시이다.
도 9는 LTE PUCCH 포맷 2/2a/2b에 대한 구조 예시이다.
도 10은 Long PUCCH의 시간 자원 양 변화에 따른 Long PUCCH의 주파수 자원 양 변화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11은 UCI를 Long PUCCH로 전송하기 위한 단말의 송신기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도 12는 UCI를 수신하기 위한 기지국 수신기의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도 13은 UCI를 Long PUCCH로 전송하기 위한 단말의 송신기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14는 Long PUCCH의 심볼 수가 UCI의 변조된 심볼 수보다 작은 경우에 대한 mapping 방법 예시이다.
도 15는 Long PUCCH의 심볼 수가 UCI의 변조된 심볼 수보다 큰 경우에 대한 mapping 방법 예시이다.
도 16은 도 11과 도 13에 예시한 단말의 동작 흐름도에 대한 예시이다.
도 17은 도 11과 도 13을 동작시키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흐름도 예시이다.
도 18은 주파수 축에서 하나의 RB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이다.
도 19는 주파수 축에서 RB 그룹 (4개의 RB가 하나의 RB 그룹)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이다.
도 20은 시간 축에서 하나의 심볼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이다.
도 21은 시간 축에서 심볼 그룹 (4개의 심볼이 하나의 심볼 그룹)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이다.
도 22는 시간 축에서의 Precoder Cycling (PC) 기법을 Long PUCCH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 23은 시간 축에서의 Precoder Cycling (PC) 기법을 Long PUCCH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24는 시간 축에서의 Precoder Cycling (PC) 기법을 Long PUCCH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25는 안테나 포트가 2개인 단말에서 시간 축 Precoder Cycling (PC) 기법을 Long PUCCH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종래 LTE에서는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두 개의 slot으로 구성된 하나의 subframe 내에서 시스템 대역폭의 양쪽 끝에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이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NCP (Normal Cyclic Prefix)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도 2는 ECP (Extended Cyclic Prefix)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이다. NCP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 1에서와 같이, 1 subframe이 14 개의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구성되고 1 slot은 7개의 DFT-S-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ECP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 2에서와 같이, 1 subframe이 12 개의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구성되고, 1 slot은 7개의 DFT-S-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획득하기 위해 slot 1의 시스템 대역폭 상단에서 전송되는 PUCCH#1이 slot 2에서는 시스템 대역폭 하단에서 전송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획득하기 위해, slot 1의 시스템 대역폭 하단에서 전송되는 PUCCH#2가 slot 2에서는 시스템 대역폭 상단에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subframe의 마지막 심볼 (NCP의 경우 14번째 심볼, ECP의 경우 12번째 심볼)에서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이 전송될 수 있다. 마지막 심볼에서 SRS가 전송되는 경우, PUCCH 전송에 사용되는 마지막 심볼은 puncturing될 수 있다.
한편, 종래 LTE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전송 시간 구간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는 1 subframe (1 ms)이다. 이에 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 지연시간 (latency)을 줄이기 위해, TTI를 slot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1 slot이 1 TTI가 될 수 있다. 이때, 1 slot은 7개의 DFT-S-OFDM 심볼 또는 7개의 (CP-OFDM: Cyclic Prefix-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로 구성되거나, 14개의 DFT-S-OFDM심볼 또는 14개의 CP-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1 slot이 7개 또는 14개의 심볼로 구성되는지의 여부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와 단말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가 서로 다른 전송 시간 구간 (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에서 전송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n 번째 서브프레임 (subframe)에서 단말에게 전송하고, 단말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n + 4) 번째 subframe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에 대한 ACK/NACK 정보를 n+4 번째 subframe에서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이 (n+4) 번째 subframe에서 NACK을 수신한 경우, 기지국은 (n+K) 번째 subframe에서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 있다. 이 때, K 값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FDD) 시스템의 경우 8로 고정되어 있고, 시간 분할 듀플렉스 (time division duplexing: TDD) 시스템의 경우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서브프레임 (DL/UL subframe)의 설정 (configuration)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특정 configuration에서 K 값은 고정이다. 이러한 동작은 5G 통신 시스템의 요구사항들 중 하나인 적은 통신 지연시간 (Latency)를 만족하지 못할 수 있고, 기지국 스케줄러의 자유도를 제한하여 기지국 스케줄러의 유연성 (flexibility)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프레임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 구조는 자가 구성 프레임 구조(Self-contained Frame Structure)라는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빠른 HARQ-ACK (fast HARQ-ACK) 지원을 위한 프레임 구조 또는 저지연 지원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에서 서브프레임의 구성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 번째 subframe은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n + 1) 번째 subframe은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 (n + 2) 번째 subframe은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n + 3) 번째 subframe은 상향링크 제어정보 송신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프레임 구조에서 상향링크로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채널은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TTI의 마지막 1 심볼(310, 320) 또는 마지막 2 심볼(410, 4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빠른 HARQ-ACK 지원에 사용되는 PUCCH를 Short PUCCH라 명명한다.
도 3과 도 4에서는 물리적 하향링크 제어 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차지하고 있는 심볼 개수가 2개를 예시하였으나, PDCCH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심볼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수 있다. 또한, 도 3과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PDCCH 이후에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이 전송되는 경우, Short PUCCH 심볼 앞에 1 심볼 (또는 2개 이상의 심볼)로 구성된 GAP이 필요할 수 있다. GAP의 목적은 단말이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PDCCH/PDSCH의 수신 동작 후에 Short PUCCH를 상향링크로 전송하는 송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수신과 송신 간 하드웨어 switching을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이와 유사하게, GAP의 목적은 기지국이 하향링크로 PDCCH와 PDSCH를 송신한 후에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Short PUCCH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송신과 수신 간 하드웨어 switching을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또한, 도 3과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PDCCH 이후에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이 전송되는 경우, PDCCH 이 후에 1 심볼 (또는 2개 이상의 심볼)로 구성된 GAP이 필요할 수 있다. GAP의 용도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의 수신과 송신 간 하드웨어 switching 또는 기지국의 송신과 수신 간 하드웨어 switching을 위해 필요한 시간이다. 따라서, slot을 구성하는 심볼의 개수 (7 심볼 또는 14 심볼)와 PDCCH의 심볼 개수, 그리고 GAP을 구성하는 심볼의 개수에 따라 PDSCH 또는 PUSCH 전송에 사용될 수 있는 심볼의 개수가 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Short PUCCH의 경우 HARQ-ACK을 지원함으로써 통신 지연시간 (latency)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Short PUCCH는 1 심볼 또는 2 심볼을 사용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커버리지를 확보하는데 그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DFT-S-OFDM 심볼 (또는 CP-OFDM 심볼)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PUCCH가 지원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리지 지원을 위해 사용되는 PUCCH를 Long PUCCH라 명명한다. Long PUCCH는 PUSCH와 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되어 전송될 수 있으며, Short PUCCH와 FDM 또는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될 수 있다. 따라서 Long PUCCH를 구성할 수 있는 DFT-S-OFDM 심볼 (또는 CP-OFDM 심볼)의 개수는 하기 표 1과 표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8027876283-pat00001
위의 표 1은 Long PUCCH를 구성하는 심볼 수 예시(1 TTI = 7 심볼인 경우)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8027876283-pat00002
위의 표 2는 Long PUCCH를 구성하는 심볼 수 예시(1 TTI = 14 심볼인 경우)를 나타낸다.
표 1과 표 2에서 Short PUCCH가 없는 경우는, 해당 TTI (slot)에 Short PUCCH 자원이 configuration되지 않았거나, Short PUCCH 자원이 Long PUCCH 자원과 TDM되지 않는 경우 (즉, FDM 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표 1과 표 2의 TDD 시스템에서 GAP 심볼은 1로 가정하였으나, 단말의 TA (Timing Advance)를 고려하여 GAP 심볼의 개수는 셀 반경에 큰 셀에서 2개 이상의 심볼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TDD 시스템에서 PDCCH 심볼의 개수는 최대 2로 가정하였으나, 3개 이상의 심볼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다양한 경우를 고려하게 되면, Long PUCCH로 사용할 수 있는 심볼의 개수는 더 다양해 질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경우의 수를 갖는 Long PUCCH의 설계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도 5의 예시와 같은 병합 구조 (Concatenated structure)를 이용한 Long PUCCH 설계 또는 도 7의 예시와 같은 절삭 구조 (Truncated structure)를 이용한 Long PUCCH 설계가 가능하다.
병합 구조를 이용한 Long PUCCH 설계: 병합 구조를 이용한 설계에서는 최소 개수의 심볼로 구성된 기본 unit을 먼저 정의하고, 다양한 심볼 개수를 갖는 Long PUCCH의 설계가 필요할 때는, 기본 unit 단위로 심볼 개수가 증가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2 심볼을 기본 unit(510)으로 정의할 때, 1 심볼은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그리고 나머지 1 심볼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 (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의 전송에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4, 6, 8, 10, 12, 그리고 14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를 기본 unit을 병합해 가면서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병합 구조를 이용한 설계를 사용하는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DMRS의 오버헤드가 Long PUCCH의 심볼 개수에 무관하게 항상 50%를 차지하고 있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홀수 개의 심볼 (예를 들어, 5, 7, 9, 11, 13개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의 경우, 기본 unit의 단순 병합으로는 지원할 수 없다. DMRS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홀수 개의 심볼을 지원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병합된 Long PUCCH의 마지막 심볼을 UCI 전송을 위한 심볼로 추가할 수 있다. 즉, 3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의 경우 2 심볼로 구성된 기본 unit(610)에 1 심볼을 추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5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의 경우, 2 심볼로 구성된 기본 unit이 두 개를 병합시킨 후, 병합한 심볼 구조 (4 심볼로 구성)에 1 심볼을 추가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DMRS로 1 심볼을 사용하고 UCI 전송을 위해 1 심볼을 사용하는 2 심볼을 기본 unit으로 예시하였으나, 1 심볼 DMRS, 2 심볼 UCI와 같은 3 이상의 심볼을 기본 unit으로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3개 이상의 심볼로 구성된 기본 unit에서 DMRS는 처음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UCI + DMRS + UCI와 같은 기본 unit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
절삭 구조를 이용한 Long PUCCH 설계: 절삭 구조를 이용한 설계에서는 최소 개수의 심볼로 구성된 기본 unit을 정의했던 병합 구조를 이용한 PUCCH 설계와 달리, 최대 개수의 심볼로 구성된 기본 unit을 먼저 정의하고, 다양한 심볼 개수를 갖는 Long PUCCH의 설계가 필요할 때는, 기본 unit 에서 심볼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도 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14 심볼을 기본 unit(710)으로 정의할 때, 심볼 개수를 줄여 가면서 다양한 심볼 개수를 갖는 Long PUCCH를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DMRS 패턴에 민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RS의 위치가 도 8의 810에서 예시한 바와 같다면, 4개의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DMRS를 절삭해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DMRS의 위치가 도 9의 910에서 예시한 바와 같다면, 12개의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를 지원하기 위해서 DMRS를 절삭해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병합 구조를 이용한 Long PUCCH 설계 또는 절삭 구조를 이용한 Long PUCCH 설계에서도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획득하기 위해,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주파수 호핑 (hopp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Long PUCCH를 구성하는 심볼의 개수가 홀수일 때는 몇 개의 심볼을 구성해서 주파수 호핑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ong PUCCH를 구성하는 심볼의 개수가 7개이며, TTI 내에서 주파수 호핑이 기지국으로부터 configuration 된 경우, 첫 번째 부분의 3 심볼과 두 번째 부분의 4 심볼로 호핑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첫 번째 부분의 4 심볼과 두 번째 부분의 3 심볼로 호핑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 필요할 수 있다. TTI의 마지막 심볼에 SRS 또는 Short PUCCH가 전송돼야 하는 경우, Long PUCCH의 마지막 심볼은 Puncturing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두 번째 부분에 심볼 개수를 더 많이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병합 구조를 이용한 Long PUCCH에서 7 심볼로 구성되는 경우, 도 4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DMRS-UCI-DMRS-UCI-DMRS-UCI-UCI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첫 번째 부분의 3 심볼과 두 번째 부분의 4 심볼로 호핑을 수행한다면, 첫 번째 부분이 DMRS-UCI-DMRS (3 심볼)로 구성되고 두 번째 부분이 UCI-DMRS-UCI-UCI (4 심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불필요하게 두 개의 DMRS가 포함돼 있으나, 두 번째 부분에서는 하나의 DMRS 만이 존재하게 된다.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첫 번째 부분을 DMRS-UCI (2 심볼)로 구성하고 두 번째 부분을 DMRS-UCI-DMRS-UCI-UCI (5 심볼)로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호핑을 위한 심볼 분할은 기지국이 configuration할 수 있으며, 이러한 configuration은 Common RRC, UE-specific RRC 또는 Group common DCI를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호핑을 위한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부분의 심볼 수를 indication 하거나, 미리 정해진 패턴을 이용하여 패턴 번호를 indication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7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에서 패턴-1은 2 (첫 번째 부분) + 5 (두 번째 부분)를 지칭하고, 패턴-2는 3 + 4를 지칭하며, 패턴-3은 3 + 3을 지칭할 수 있다. 이때, 패턴-3은 Long PUCCH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심볼 개수가 총 7개이지만, 마지막 심볼을 사용하지 않고 짝수개의 심볼만을 사용하여 주파수 호핑을 수행한다는 의미이다. 마지막 심볼은 다른 단말의 SRS 또는 Short PUCCH 전송을 위해 사용되거나 동일 단말이 6 심볼을 Long PUCCH 전송을 위해 사용하고 나머지 1 심볼을 SRS 전송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UCI의 payload 크기는 1 bit에서부터 수백 bits 까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크기의 UCI payload들은 Long PUCCH를 구성하는 심볼 개수에 무관하게 유사한 상향링크 성능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100 bits의 UCI를 전송할 때, 4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와 14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의 성능이 유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Long PUCCH로 전송되는 UCI의 시간-주파수 자원의 양이 하기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27876283-pat00003
상기 수학식 1에서 N_1과 N_2는 Long PUCCH의 심볼 개수를 의미하고, m_1과 m_2는 Long PUCCH의 RB (resource block) 개수 또는 부반송파 (subcarrier) 개수일 수 있다. 즉, 도 10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Long PUCCH의 심볼 개수가 N_1에서 N_2로 감소하게 되면, Long PUCCH의 RB 개수 (또는 부반송파 개수)는 m_1에서 m_2로 증가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Long PUCCH의 심볼 개수가 N_2에서 N_1으로 증가하게 되면, Long PUCCH의 RB 개수 (또는 부반송파 개수)는 m_2에서 m_1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이때, Long PUCCH의 심볼 개수를 의미하는 N_1과 N_2에는 DMRS 심볼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다양한 UCI payload를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심볼 개수를 갖는 Long PUCCH를 유연성 (flexibility)있게 설계할 수 있다.
표 3은 UCI payload의 크기에 따른 Long PUCCH의 다양한 포맷에 대한 예시이다. UCI의 payload 크기가 큰 경우 (예를 들어 수 백 bits), 부호화율을 낮추기 위해 Long PUCCH에서 DMRS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심볼의 개수를 줄일 필요가 있다 (DMRS 오버헤드를 감소시킴). 이와 반대로 UCI의 payload 크기가 작은 경우 (예를 들어, 1 or 2 bits)에는 UCI의 payload 크기가 큰 경우에 비해, 부호화율을 많이 낮추지 않아도 충분한 수신 성능이 보장될 수 있으므로 DMRS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UCI payload 크기에 따라 DMRS 오버헤드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서로 다른 Long PUCCH 포맷의 지원을 필요로 할 수 있다. Long PUCCH 포맷이 너무 많아지게 될 경우 시스템이 복잡해 지기 때문에, 가능한 적은 수의 Long PUCCH 포맷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표 4에서 예시한 3가지의 Long PUCCH 포맷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표 3]
Figure 112018027876283-pat00004
위의 표 3은 UCI payload 크기에 따른 Long PUCCH의 다양한 포맷을 나타낸다.
[표 4]
Figure 112018027876283-pat00005
위의 표 4는 UCI payload 크기에 따른 Long PUCCH 포맷을 나타낸다.
상기 표 4에서 Effective coding rate (Rr)은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27876283-pat00006
상기 수학식 2에서 N은 특정 Long PUCCH 포맷을 구성하는 심볼의 총 개수를 의미하고, D는 특정 Long PUCCH 포맷으로 전송되는 DMRS가 차지하는 심볼의 개수를 의미한다. m은 특정 Long PUCCH 포맷을 구성하는 RB (resource block) 개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Long PUCCH의 포맷 1은 1 bit 또는 2 bits UCI를 전송하기 위한 포맷이다. Long PUCCH 포맷 1은 상기 표 1 또는 상기 표 2와 같이 다양한 심볼 개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Long PUCCH 포맷 2는 UCI payload 크기가 2 bits 보다 크고 X_2 bits 보다 작거나 같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표 1 또는 상기 표 2와 같이 다양한 심볼 개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Long PUCCH 포맷 3은 UCI payload 크기가 X_2 bits 보다 크고 X_3 bits 보다 작거나 같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표 1 또는 상기 표 2와 같이 다양한 심볼 개수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1은 상기 표 4의 Long PUCCH 포맷 3 (UCI payload 크기가 큰 경우)에 대한 단말의 송신기 구조를 나타낸다. 단말에서 생성된 X_2 bits 보다 크고 X_3 bits 보다 작거나 같은 UCI O bits들은 채널 코딩을 통해 M bits로 채널 부호화 된다. 채널 부호화 된 M bits은 UE-specific 스크램블링을 거쳐 변조화된다. 변조된 심볼들은 De-multiplexing 과정을 거쳐 Long PUCCH의 각 심볼로 mapping 된다. 이때, 단말의 제어부(1110)는 변조된 심볼들을 어떤 DFT-S-OFDM 심볼로 매핑시킬 것인지를 결정하고, 이는 Long PUCCH에 사용될 심볼 개수와 연관이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Long PUCCH의 심볼 개수가 7개이고 (N = 7), 첫 번째 DFT-S-OFDM 심볼이 DMRS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제어부(1110)는 6개의 모든 path를 변조된 심볼을 mapping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10)는 7개의 Long PUCCH 심볼들 중 몇 개의 DFT-S-OFDM 심볼이 DMRS 용도로 사용될 것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path의 switch를 on/off 시킬 수 있다. 만일 3번째 DFT-S-OFDM 심볼이 DMRS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제어부(1110)는 3번째 DFT-S-OFDM 심볼에 변조된 심볼들이 mapping되지 않도록 switch를 off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7개의 DFT-S-OFDM들 중, DFT-S-OFDM 심볼 1과 DFT-S-OFDM 심볼 3이 DMRS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DFT-S-OFDM 심볼 2, 4, 5, 6, 그리고 7은 변조된 심볼이 mapping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해당 DFT-S-OFDM 심볼의 path가 변조된 심볼들이 mapping되도록 on). 또 다른 일 예로, Long PUCCH가 4개의 DFT-S-OFDM 심볼로 구성되고 첫 번째 DFT-S-OFDM 심볼이 DMRS로 사용되는 경우, 제어부(1110)는 DFT-S-OFDM 심볼 5, 6, 그리고 7에 해당되는 path의 switch를 off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해당 path의 switch on/off는 도 11에 도시한 제어부(1110) 또는 De-multiplexer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De-multiplexer가 제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변조된 심볼들은 OCC (Orthogonal Cover Code) block, Cyclic Shift block을 거쳐, DFT block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제어부(1110)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Long PUCCH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주파수 자원 (RB, 또는 subcarriers)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ong PUCCH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DFT-S-OFDM 심볼 개수 (DMRS 개수를 제외하고 UCI가 전송될 수 있는 심볼 개수)가 N_1개 인 경우, 제어부는 DFT size를 m_1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DFT-S-OFDM 심볼 개수 (DMRS 개수를 제외하고 UCI가 전송될 수 있는 심볼 개수)가 N_2개 인 경우, 제어부는 DFT size를 m_2로 설정할 수 있다. 변조된 심볼들은 DFT block을 거쳐 IFFT를 수행한 후, DFT-S-OFDM 심볼에 mapping 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표 4의 Long PUCCH 포맷 3 (UCI payload 크기가 큰 경우)에 대한 기지국 수신기의 동작을 나타낸 예시이다. 단말의 송신기에 장착된 제어부(1210)와 유사하게, 기지국 수신기에 장착된 제어부(1210)는 몇 개의 DFT-S-OFDM 심볼에 대한 switch를 on 또는 off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몇 개의 DFT-S-OFDM 심볼에 DMRS가 전송됐는지에 따라 해당 path의 switch를 on 또는 off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DMRS path가 on된 DFT-S-OFDM 심볼에서는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Equalizer로 전송한다. 한편, switch가 on 되어 있는 DFT-S-OFDM 심볼에서는 FFT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Equalizer로 전송한다. Equalizer는 채널 추정기로부터 전달 받은 입력 값과 FFT 결과 값을 활용하여 IDFT block의 입력 값을 제공한다. IDFT는 제어부(1210)의 제어에 따라 결정되는 IDFT 크기로 IDFT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210)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는 Long PUCCH의 주파수 자원에 따라 IDFT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IDFT의 결과는 OCC block으로 전송되어 송신단에서 사용한 OCC를 제거하고 multiplexer로 입력된다. 그 이후의 block들은 송신단에서 사용된 과정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표 4의 Long PUCCH 포맷 2 (UCI payload 크기가 작은 경우)에 대한 단말의 송신기 구조를 나타낸다. 단말에서 생성된 2 bits 보다 크고 X_2 bits 보다 작거나 같은 UCI O bits들은 채널 코딩을 통해 M bits로 채널 부호화 된다. 채널 부호화 된 M bits은 UE-specific 스크램블링을 거쳐 변조화된다. 변조된 심볼들은 De-multiplexing 과정을 거쳐 Long PUCCH의 각 심볼로 mapping 된다. 이때, block code (예를 들어, Reed-Muller code: RM code)가 사용될 경우, 부호화된 bit 수는 고정된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RM (20, A)을 가정하면, 채널 부호화기의 입력 값이 A로 들어갈 때, 채널 부호화기의 출력 값은 20 bits로 고정된다. 이때, A는 13 bits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RM (32, B)을 가정하면, 채널 부호화기의 입력 값이 B로 들어갈 때, 채널 부호화기의 출력 값은 32 bits로 고정된다. 이때, B는 11 bits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따라서, block code를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DFT-S-OFDM 심볼 개수를 갖는 Long PUCCH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크기를 지원하는 (서로 다른 출력 값을 지원하는) block code가 필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block code의 출력 값을 M_bit으로 정의하면, 변조된 심볼의 개수는 M_symb=M_bit/2일 수 있다 (QPSK 변조를 가정). Long PUCCH를 구성하는 DFT-S-OFDM 심볼 개수를 N, DMRS 용도로 사용되는 DFT-S-OFDM 심볼 개수를 D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Case 1) Msymb=(N-D) DFT-S-OFDM 심볼, 예를 들어, Msymb=(N-D)=10
Case 2) Msymb>(N-D) DFT-S-OFDM 심볼, 예를 들어, Msymb=10, (N-D)=7
Case 3) Msymb<(N-D) DFT-S-OFDM 심볼, 예를 들어, Msymb=10, (N-D)=12
상기 Case 1)은 LTE와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LTE PUCCH포맷 2/2a/2b에서 UCI의 payload size가 3 bits ~ 13 bits인 경우, RM (20, A)를 사용할 수 있다. QPSK 변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채널 부호화된 20 bits로부터 10개의 변조된 심볼이 생성된다. NCP를 가정할 때, LTE PUCCH는 14개의 DFT-S-OFDM 심볼로 구성되며, 14개의 심볼들 중, 4개의 심볼이 DMRS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UCI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DFT-S-OFDM 심볼의 수는 10개로, QPSK 변조된 심볼의 수와 동일하다. 10개의 QPSK 변조된 심볼을 d0, d1, ..., d9으로 가정할 때, 각각의 di, (i∈∈{0,1,...,9})는 길이 12의 sequence를 통해 DFT-S-OFDM 심볼의 주파수 (12 subcarriers)로 spreading 된다. 즉, QPSK 변조된 심볼 d0는 길이 12의 sequence를 통해 DFT-S-OFDM 심볼 1의 주파수 (12 subcarriers)로 spreading 되고, QPSK 변조된 심볼 d1은 길이 12의 sequence를 통해 DFT-S-OFDM 심볼 3의 주파수 (12 subcarriers)로 spreading 된다 (DFT-S-OFDM 심볼 2는 DMRS 전송). 따라서, 앞서 언급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Case 2)의 경우에서처럼 QPSK 변조된 심볼이 DFT-S-OFDM 심볼의 개수보다 많거나, 상기 Case 3)의 경우에서처럼 QPSK 변조된 심볼이 DFT-S-OFDM 심볼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수학식 1]에서 언급한 것처럼, DFT-S-OFDM 심볼의 개수와 변조된 심볼의 개수가 서로 다른 경우, 주파수 축의 subcarrier 수 또는 RB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Case 2)에서와 같이, DFT-S-OFDM 심볼 개수가 변조된 심볼의 개수보다 적은 경우에는 주파수 축의 자원 (subcarrier 수 또는 RB 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Case 3)에서와 같이, DFT-S-OFDM 심볼 개수가 변조된 심볼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주파수 축의 자원 (subcarrier 수 또는 RB 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을 예를 들어 상기 Case 2)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RM (20, A)가 사용되고 QPSK 변조를 통해 생성된 10개의 QPSK 변조된 심볼 (M_symb=10)을 d0, d1, ..., d9으로 가정하자. 그리고 7개의 DFT-S-OFDM 심볼 (N = 7)이 Long PUCCH를 위해 구성되고, 3개의 DFT-S-OFDM 심볼이 DMRS 전송을 위해 사용 (D = 3)된다고 가정하자. 즉, UCI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DFT-S-OFDM 심볼은 4개 (N - D =4)이고 각각을 s0, s1, s2, s3으로 가정하자. 도 13의 제어부(1310)는 Long PUCCH에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 (subcarrier 수 또는 RB의 수)을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Long PUCCH를 구성하는 DFT-S-OFDM 심볼 개수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10)는 주파수 자원의 크기 (RB의 수)와 (N - D)개의 DFT-S-OFDM 심볼 수를 곱한 값이 M_symb 값보다 크거나 같아지도록 만드는 주파수 자원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N-D)××m≥≥≥≥M_symb). 이때, m=3 (36 subcarriers)으로 설정하면, 4××3≥≥10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3에서 변조된 심볼 d0는 길이 L의 sequence를 통해 s0에 mapping될 수 있다. 이때, sequence 길이 L은 s0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 (subcarrier 수)에 따라 달라지거나 주파수 자원 수에 관계 없이 고정일 수 있다. 주파수 자원에 따라 sequence 길이 L이 달라지는 경우를 예를 들면, Long PUCCH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subcarrier 수가 12일 경우, L = 12이고, Long PUCCH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subcarrier 수가 24일 경우 L = 24일 수 있다. 한편, 주파수 자원 수에 관계 없이 sequence 길이가 고정인 경우, 길이 L = 12 (또는 L = 6)인 시퀀스가 반복해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주파수 자원 수가 24인 경우, L = 12인 시퀀스가 두 번 사용되거나 L = 6인 시퀀스가 4번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길이가 L인 시퀀스가 변조된 심볼 di (i=0,1,...,9)를 주파수 축으로 spreading하여 4개의 DFT-S-OFDM 심볼에 mapping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변조된 심볼은 10개지만 DFT-S-OFDM 심볼이 4개이므로, m=3 (36 subcarriers)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circular repetition을 사용하여, d0, d1, ..., d9, d0, d1의 순서를 사용하여 각 심볼에 mapping할 수 있다. 따라서, 변조된 심볼들 d0, d4, d8은 DFT-S-OFDM 심볼 s0에 spreading 되고, 변조된 심볼들 d1, d5, d9은 DFT-S-OFDM 심볼 s1에 spreading될 수 있다. 또한, d2, d6, d0은 DFT-S-OFDM 심볼 s2에 spreading 되고, 변조된 심볼들 d3, d7, d1은 DFT-S-OFDM 심볼 s3에 spreading될 수 있다. 이때, 도 13에서 설명한 것처럼, 각 변조된 심볼을 DFT-S-OFDM 심볼로 spreading 해주는 시퀀스는 변조된 심볼마다 서로 다르거나 (즉, 하나의 DFT-S-OFDM 심볼 내에서 서로 다른 시퀀스를 사용하거나), 하나의 DFT-S-OFDM 심볼 내에서 서로 동일한 시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DFT-S-OFDM 심볼 s0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s0를 구성하는 변조된 심볼 d0, d4, d8 각각이 L = 12이고 서로 다른 cyclic shift 값을 갖는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하나의 DFT-S-OFDM 심볼 내에서 서로 동일한 시퀀스가 사용되는 경우, s0를 구성하는 변조된 심볼 d0, d4, d8은 서로 동일한 cyclic shift 값을 갖는 길이 L = 12인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DFT-S-OFDM 심볼 내에서 서로 동일한 시퀀스가 사용되는 경우의 또 다른 일 예로, s0를 구성하는 변조된 심볼 d0, d4, d8은 서로 동일한 cyclic shift 값을 갖는 길이 L = 36인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모든 경우에 대해 서로 다른 DFT-S-OFDM 심볼은 서로 다른 cyclic shift 값을 갖는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ase 3)에서와 같이, DFT-S-OFDM 심볼 개수가 변조된 심볼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주파수 축의 자원 (subcarrier 수 또는 RB 수)의 변경이 필요 없을 수 있다. 도 13을 예를 들어 상기 Case 3)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RM (20, A)가 사용되고 QPSK 변조를 통해 생성된 10개의 QPSK 변조된 심볼 (M_symb=10)을 d0, d1, ..., d9으로 가정하자. 그리고 14개의 DFT-S-OFDM 심볼 (N = 14)이 Long PUCCH를 위해 구성되고, 2개의 DFT-S-OFDM 심볼이 DMRS 전송을 위해 사용 (D = 2)된다고 가정하자. 즉, UCI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DFT-S-OFDM 심볼은 12개 (N - D =12)이고 각각을 s0, s1, ..., s11로 가정하자. 도 13의 제어부(1310)는 De-multiplexer에 입력 값을 제공하여, 도 1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변조된 심볼과 DFT-S-OFDM 심볼 사이에 mapping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길이가 L =12인 시퀀스가 변조된 심볼 di (i=0,1, ...,9)를 주파수 축으로 spreading하여 12개의 DFT-S-OFDM 심볼에 mapping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이다.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변조된 심볼은 10개지만 DFT-S-OFDM 심볼이 12개이므로 circular repetition을 사용하여, d0, d1, ..., d9, d0, d1의 순서를 사용하여 각 DFT-S-OFDM 심볼에 mapping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DFT-S-OFDM 심볼은 서로 다른 cyclic shift 값을 갖는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동일한 변조된 심볼, d0가 spreading되는 s0와 s10은 서로 동일한 cyclic shift 값을 갖는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고, 동일한 변조된 심볼, d1이 spreading되는 s1와 s11은 서로 동일한 cyclic shift 값을 갖는 시퀀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1과 도 13에 예시한 단말의 동작 흐름도이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UCI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수신하고(1610) UCI의 payload 크기를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1620). 예를 들어, 이런 파라미터들은 UCI를 구성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HARQ ACK/NACK, CQI/PMI, RI, 또는 beam 측정 정보 (단말이 측정한 하향링크 빔의 품질 정보 및 해당 빔의 index 등)들 중 어떤 정보들이 UCI를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들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UCI 정보의 bit 크기 등을 단말이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ARQ ACK/NACK의 경우는 몇 개의 하향링크 subframe 또는 CA (Carrier Aggregation)가 지원되는 경우, 몇 개의 component carrier (CC)에 대한 ACK/NACK을 보내야 하는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파라미터들은 Common RRC, UE-specific RRC,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기지국이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단말은 UCI payload 크기를 결정한다(1620).
UCI payload 크기를 결정한 단말은 상기 표 3 또는 표 4와 같이 UCI payload 크기에 따라 Long PUCCH 포맷을 결정한다(1630). 예를 들어, 표 4에서와 같이 UCI payload 크기 (UCI 크기가 X2 bits 보다 작거나 같음)에 의해 Long PUCCH 포맷 3이 결정되는 경우, 단말은 Long PUCCH의 시간-주파수 자원의 크기를 결정한다(1640). 이때, Long PUCCH의 자원은 기지국이 시간-주파수 자원을 모두 결정하여 단말로 configuration하거나,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 중 하나를 기지국이 결정하여 단말로 configuration하고, 나머지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정해진 규칙에 의해 기지국의 configuration 없이 단말에서 직접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ong PUCCH가 사용할 수 있는 심볼의 개수를 기지국이 configuration하고, Long PUCCH에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의 크기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서 단말이 결정할 수 있다(1650).
Long PUCCH의 시간 자원을 기지국이 단말로 indication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
Option 1)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모든 심볼이 Long PUCCH 심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1 TTI (1 Slot)가 N개의 DFT-S-OFDM (또는 CP-OFDM) 심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첫 번째1 심볼은 PDCCH 용도로 사용되고 두 번째 1 심볼이 Guard (GAP) 용도로 사용된다고 가정하자. 이때, 나머지 N - 2개의 심볼이 Long PUCCH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TTI에서 Long PUCCH를 전송하고자 하는 단말들은 Slot 구조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Slot 구조에 대한 정보는 RRC 또는 Group common DCI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될 수 있으며, Slot 구조에 대한 정보에는 Slot을 구성하는 총 심볼 개수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미리 약속된 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lot을 구성하는 총 심볼 개수는 '0' = 7 심볼 (Type 1), '1' = 14 심볼 (Type 2)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Slot의 패턴에 대한 일 예로, 8개의 패턴이 약속돼 있다는 가정 하에, 기지국은 000 = 패턴 1, 001 = 패턴 2, ..., 111 = 패턴 8을 나타낼 수 있다. 지원하는 패턴의 수에 따라 이를 표현하는 bits 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패턴은 PDCCH의 심볼 수, GAP (Guard) 심볼 수, 또는 해당 TTI에 존재하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 (PDSCH)의 심볼 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Slot 구조에 대한 정보의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RRC 또는 Group common DCI를 통해, 앞서 언급한 Slot의 Type과 PDCCH, GAP에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를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Group common DCI를 통한 Slot 구조 정보 전송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 MSB (Most Significant Bit) 1 bit 또는 LSB 1 bit은 Slot Type을 지칭하고, 나머지 bit들은 PDCCH와 GAP에 사용되는 심볼 수를 지칭할 수 있다. 또는 Slot Type과 PDCCH와 GAP에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는 각각 독립된 Field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Option 1에서 Long PUCCH의 마지막 1개 심볼은 1-symbol Short PUCCH 또는 SRS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Option 1에서 Long PUCCH의 마지막 2개 심볼은 2-symbol Short PUCCH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해당 심볼 또는 심볼들을 puncturing할 수 있다. 단말이 Long PUCCH가 전송되는 TTI에서 Short PUCCH 또는 SRS로 사용되는 심볼들을 puncturing할 것인지의 여부는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기지국이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Common RRC 또는 UE-specific RRC 시그널링을 통해, Short PUCCH 또는 SRS가 전송될 수 있는 심볼 (또는 심볼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slot (또는 subframe)을 configuration하고, 특정 slot (또는 subframe)에서 해당 심볼 (또는 심볼들)이 puncturing될 것인지 말 것인지의 여부를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indication할 수 있다.
Option 2)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심볼들 중 일부가 Long PUCCH 심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1 TTI (1 Slot)가 N개의 DFT-S-OFDM (또는 CP-OFDM) 심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첫 번째1 심볼은 PDCCH 용도로 사용되고 두 번째 1 심볼이 Guard (GAP) 용도로 사용된다고 가정하자. 이때, 나머지 N - 2개의 심볼이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Option 1)과의 차이점은 Option 2)에서는 N - 2개의 모든 심볼이 Long PUCCH 전송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N - 2개의 심볼들 중 일부가 Long PUCCH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 - 2개의 심볼들 중 2개의 심볼이 Short PUCCH에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N - 4개의 심볼들이 Long PUCCH에 사용될 수 있음을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N - 2개의 심볼을 생성하고 마지막 2 심볼에 대한 puncturing을 수행했던 Option 1)과 달리, Option 2)에서는 N - 4개의 심볼에 대해 rate match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는 기지국이 SRS 또는 Short PUCCH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심볼의 개수를 explicit하게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Long PUCCH의 주파수 자원을 기지국이 단말로 indication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
Option 1) Implicit indication: Long PUCCH가 시작되는 주파수 자원의 시작점 (RB 인덱스)을 RRC 또는 Group common DCI를 통해 단말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자원의 시작점은 단말마다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주파수 자원의 시작점을 알려주고, 단말이 수신한 UE-specific DCI의 CCE (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로부터 Long PUCCH의 주파수 자원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Long PUCCH가 시작되는 주파수 자원의 시작점만을 알려주고, 주파수 자원의 크기 (RB size)는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단말이 DFT-S-OFDM 심볼 개수에 따라 정해진 규칙에 의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Option 2) Explicit indication: Long PUCCH의 주파수 RB index와 주파수 RB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UE-specific DCI 또는 RRC, Group common DCI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주파수 RB index의 set이 RRC를 통해 configuration되고, 실제 configuration된 set에서 어떤 index가 사용될 것인지는 UE-specific DCI를 통해 indication될 수 있다.
한편, 주파수 호핑이 지원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와 주파수 호핑 대역폭 및 호핑하는 심볼 단위에 대한 정보 (호핑이 지원된다면)를 RRC 또는 Group common DCI를 통해 기지국이 indication할 수 있다. 호핑하는 심볼 단위의 예로, Long PUCCH를 구성하는 심볼의 개수가 7개이며, TTI 내에서 주파수 호핑이 기지국으로부터 configuration 된 경우, 첫 번째 부분의 3 심볼과 두 번째 부분의 4 심볼로 호핑을 수행할 것인지, 첫 번째 부분의 4 심볼과 두 번째 부분의 3 심볼로 호핑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첫 번째 부분의 2 심볼과 두 번째 부분의 5 심볼로 호핑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이다.
도 17는 도 10과 도 13을 동작시키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흐름도이다. 기지국은 단말이 UCI payload 크기를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을 송신한다(1710). 예를 들어, HARQ ACK/NACK, CQI/PMI, RI, 또는 beam 측정 정보 (단말이 측정한 하향링크 빔의 품질 정보 및 해당 빔의 index 등)들 중 어떤 정보들이 UCI를 구성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들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UCI 정보의 bit 크기 등을 단말이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ARQ ACK/NACK의 경우는 몇 개의 하향링크 subframe 또는 CA (Carrier Aggregation)가 지원되는 경우, 몇 개의 component carrier (CC)에 대한 ACK/NACK을 보내야 하는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파라미터들은 Common RRC, UE-specific RRC,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기지국이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단말은 UCI payload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앞서 언급한 UCI 정보들이 언제 단말로부터 전송될 것인지를 판단하고, UCI payload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1720). 예를 들어, HARQ ACK은 'n' 번째 subframe에 단말로부터 전송될 수 있고, CQI/PMI는 'n + k' 번째 subframe에 단말로부터 전송되며, beam 측정 정보는 'n + j'번째 subframe에 단말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모든 UCI 정보들이 multiplexing되어 'n'번째 subframe에 단말로부터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파라미터들을 송신한 기지국은 해당 UCI 정보들이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시점을 계산하여, 특정 subframe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UCI의 payload 크기를 결정 또는 예측할 수 있다(1720).
UCI payload 크기를 결정 또는 예측한 기지국은 상기 표 3 또는 표 4와 같이 UCI payload 크기에 따라 Long PUCCH 포맷을 결정한다(1730). 예를 들어, 표 4에서와 같이 UCI payload 크기(UCI 크기가 X2 bits 보다 작거나 같음)에 의해 Long PUCCH 포맷 3이 결정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n'번째 subframe에서 전송할 수 있는 Long PUCCH의 시간-주파수 자원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1740). 이때, Long PUCCH의 자원은 기지국이 시간-주파수 자원을 모두 결정하여 단말로 configuration하거나,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 중 하나를 결정하여 기지국이 configuration하고, 나머지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정해진 규칙에 의해 기지국의 configuration 없이 단말에서 직접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ong PUCCH가 사용할 수 있는 심볼의 개수를 기지국이 configuration하고, Long PUCCH에 사용되는 주파수 자원의 크기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서 단말이 결정할 수 있다.
Long PUCCH의 시간 자원을 기지국이 단말로 indication (configuration)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1750).
Option 1) 특정 subframe (예를 들어, 'n'번째 subframe)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를 통해 수신 가능한 모든 심볼이 Long PUCCH 심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1 TTI (1 Slot)가 N개의 DFT-S-OFDM (또는 CP-OFDM) 심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첫 번째1 심볼은 PDCCH 용도로 사용되고 두 번째 1 심볼이 Guard (GAP) 용도로 사용된다고 가정하자. 이때, 나머지 N - 2개의 심볼이 Long PUCCH 수신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TTI에서 Long PUCCH를 수신하고자 하는 기지국은 Slot 구조에 대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lot 구조에 대한 정보는 RRC 또는 Group common DCI를 통해 기지국이 전송할 수 있으며, Slot 구조에 대한 정보에는 Slot을 구성하는 총 심볼 개수와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미리 약속된 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lot을 구성하는 총 심볼 개수는 '0' = 7 심볼 (Type 1), '1' = 14 심볼 (Type 2)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Slot의 패턴에 대한 일 예로, 8개의 패턴이 약속돼 있다는 가정 하에, 기지국은 000 = 패턴 1, 001 = 패턴 2, ..., 111 = 패턴 8을 나타낼 수 있다. 지원하는 패턴의 수에 따라 이를 표현하는 bits 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패턴은 PDCCH의 심볼 수, GAP (Guard) 심볼 수, 또는 해당 TTI에 존재하는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 채널 (PDSCH)의 심볼 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Slot 구조에 대한 정보의 또 다른 예로, 기지국은 RRC 또는 Group common DCI를 통해, 앞서 언급한 Slot의 Type과 PDCCH, GAP에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를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Group common DCI를 통한 Slot 구조 정보 전송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 MSB (Most Significant Bit) 1 bit 또는 LSB 1 bit은 Slot Type을 지칭하고, 나머지 bit들은 PDCCH와 GAP에 사용되는 심볼 수를 지칭할 수 있다. 또는 Slot Type과 PDCCH와 GAP에 사용되는 심볼의 개수는 각각 독립된 Field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Option 1에서 Long PUCCH의 마지막 1개 심볼은 1-symbol Short PUCCH 또는 SRS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Option 1에서 Long PUCCH의 마지막 2개 심볼은 2-symbol Short PUCCH의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러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단말은 해당 심볼 또는 심볼들을 puncturing할 수 있다. 단말이 Long PUCCH가 전송되는 TTI에서 Short PUCCH 또는 SRS로 사용되는 심볼들을 puncturing해야할 것인지의 여부는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기지국이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Common RRC 또는 UE-specific RRC 시그널링을 통해, Short PUCCH 또는 SRS가 전송될 수 있는 심볼 (또는 심볼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slot (또는 subframe)을 configuration하고, 특정 slot (또는 subframe)에서 해당 심볼 (또는 심볼들)이 puncturing될 것인지 말 것인지의 여부를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단말로 indication할 수 있다.
Option 2) 특정 subframe (예를 들어, 'n'번째 subframe)에서 기지국이 상향링크를 통해 수신 가능한 심볼들 중, 일부가 Long PUCCH 심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 1 TTI (1 Slot)가 N개의 DFT-S-OFDM (또는 CP-OFDM) 심볼로 구성된다고 가정하고, 첫 번째1 심볼은 PDCCH 용도로 사용되고 두 번째 1 심볼이 Guard (GAP) 용도로 사용된다고 가정하자. 이때, 나머지 N - 2개의 심볼이 상향링크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 전송에 사용될 수 있다. Option 1)과의 차이점은 Option 2)에서는 N - 2개의 모든 심볼이 Long PUCCH 수신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N - 2개의 심볼들 중 일부가 Long PUCCH 수신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 - 2개의 심볼들 중 2개의 심볼이 Short PUCCH에 사용되는 경우, 기지국은 N - 4개의 심볼들이 Long PUCCH에 사용될 수 있음을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N - 2개의 심볼을 생성하고 마지막 2 심볼에 대한 puncturing을 수행했던 Option 1)과 달리, Option 2)에서는 N - 4개의 심볼에 대해 rate match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는 기지국이 SRS 또는 Short PUCCH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심볼의 개수를 explicit하게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Long PUCCH의 주파수 자원을 기지국이 단말로 indication (configuration)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할 수 있다(1750).
Option 1) Implicit indication: Long PUCCH가 시작되는 주파수 자원의 시작점 (RB 인덱스)을 RRC 또는 Group common DCI를 통해 단말로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자원의 시작점은 단말마다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주파수 자원의 시작점을 알려주고, 단말이 수신한 UE-specific DCI의 CCE (Control Channel Element) 인덱스로부터 Long PUCCH의 주파수 자원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은 Long PUCCH가 시작되는 주파수 자원의 시작점만을 알려주고, 주파수 자원의 크기 (RB size)는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단말이 DFT-S-OFDM 심볼 개수에 따라 정해진 규칙에 의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Option 2) Explicit indication: Long PUCCH의 주파수 RB index와 주파수 RB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UE-specific DCI 또는 RRC, Group common DCI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주파수 RB index의 set이 RRC를 통해 configuration되고, 실제 configuration된 set에서 어떤 index가 사용될 것인지는 UE-specific DCI를 통해 indication될 수 있다.
한편, 주파수 호핑이 지원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와 주파수 호핑 대역폭 및 호핑하는 심볼 단위에 대한 정보 (호핑이 지원된다면)를 RRC 또는 Group common DCI를 통해 기지국이 indication할 수 있다. 호핑하는 심볼 단위의 예로, Long PUCCH를 구성하는 심볼의 개수가 7개이며, TTI 내에서 주파수 호핑이 기지국으로부터 configuration 된 경우, 첫 번째 부분의 3 심볼과 두 번째 부분의 4심볼로 호핑을 수행할 것인지, 첫 번째 부분의 4심볼과 두 번째 부분의 3심볼로 호핑을 수행할 것인지 또는 첫 번째 부분의 2심볼과 두 번째 부분의 5심볼로 호핑을 수행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이다.
한편, Long PUCCH의 수신 신뢰도 향상을 위해 송신단 (단말)에서 안테나 다이버시티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 기법으로 Precoder Cycling (PC)을 고려한다. CP-OFDM (Cyclic Prefix-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법에서는 도 18과 같이 주파수 축에서 하나의 RB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를 사용하거나(1810) 또는 도 19와 같이 RB의 Group 별로 서로 다른 precoder를 사용할 수 있다 (4개의 RB가 하나의 RB Group을 형성하는 예시, 1910). 이러한 PC 기법을 통해 송신단에서 주파수 선택성 (frequency selectivity)을 인위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9에 비해 주파수 선택성을 보다 더 증가시킴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18은 하나의 RB 단위로 채널 추정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채널 추정 성능이 도 19에 비해 열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에서는 4개의 RB (1 RB Group) 내에서 전송되는 모든 RS (Reference Signal)들을 이용하여 주파수 축의 Interpolation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채널 추정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18에서는 하나의 RB 내에서 전송되는 RS들 만을 사용하여 주파수 축 Interpolation을 수행하기 때문에, 채널 추정 성능이 도 19에 비해서 열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주파수 선택성의 증가와 채널 추정 성능의 향상 사이에는 트레이드 오프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18, 19에서 언급한 주파수 축에서의 PC 기법을 Long PUCCH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Long PUCCH는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aveform을 사용하기 때문에, CP-OFDM에 비해 좋은 PAPR (Peak-to-average Power Ratio) 성능을 갖게 된다. 이러한 특성은 DFT-S-OFDM이 single carrier 특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DFT-S-OFDM에서 주파수 축에서의 PC 기법을 그대로 도입하게 되면, DFT-S-OFDM의 single carrier 특성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PAPR 성능이 열화 될 수 있다. 따라서, DFT-S-OFDM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PAPR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주파수 축에서의 PC 기법 대신에 시간 축에서의 PC 기법을 사용해야 한다. 시간 축에서의 PC 기법은 도 20, 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DFT-S-OFDM 심볼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를 적용하거나(2010) 또는 둘 이상의 DFT-S-OFDM 심볼들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를 사용하는 것(2110)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0은 하나의 DFT-S-OFDM 심볼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가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며, 도 21은 둘 이상의 DFT-S-OFDM 심볼들 (4개의 DFT-S-OFDM 심볼들이 하나의 precoder 사용)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가 적용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시간 축에서의 PC 기법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송신단에서 몇 개의 심볼 단위로 동일 precoder가 적용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단에서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는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사전에 약속된 규칙을 따르거나, 기지국이 별도의 시그널링 (예를 들어, Common RRC/dedicated RRC signaling 또는 DCI)을 통해 단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2는 시간 축에서의 PC 기법을 Long PUCCH에 적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Option 1). 도 22에서는 DMRS 전송을 위한 1 심볼과 UCI 전송을 위한 1 심볼로 구성된 2-심볼 기본 unit을 가정하였고, Long PUCCH는 6 개 이상의 심볼로 구성됨을 가정하였다. 이때, 기지국과 단말은 Long PUCCH의 기본 unit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가 사용됨을 사전에 약속할 수 있다(2210). 도 22에 예시하지 않았으나, 도 5 내지 도 6에서 예시한 Long PUCCH 구조에서 기본 unit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2-심볼로 구성된 기본 unit이 아닌, 3개 이상의 심볼로 구성된 기본 unit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시간 축에서의 PC 기법을 Long PUCCH에 적용하는 또 다른 일 예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다 (Option 2). 도 23에서는 Long PUCCH를 구성하는 기본 unit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를 적용한 도 22과 달리, 주파수 호핑이 수행되는 심볼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를 적용할 수 있음을 도시하였다. 즉, Long PUCCH를 구성하는 기본 unit은 2 심볼이지만, 주파수 호핑이 4 심볼 단위로 이루어질 경우, 4 심볼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가 사용될 수 있다(2310). 도 23에서는 8개의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를 도시하였으나, 임의의 짝수 개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에서, 주파수 호핑이 5심볼 단위로 이루어질 경우, 5 심볼 단위로 서로 다른 precoder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임의의 홀수 개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에서도 앞선 예시가 비슷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개의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에서는 주파수 호핑이 5 심볼과 4 심볼 단위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주파수 호핑이 4 심볼과 5 심볼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호핑 단위에 따라 서로 다른 precoder가 적용될 수 있다. Option 2에서는 한 slot 내에서 이루어지는 주파수 호핑의 횟수가 하나의 slot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precoder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slot에서 주파수 호핑이 한번 이루어지는 경우, 하나의 slot 내에서는 최대 두 개의 precoder가 사용될 수 있다.
시간 축에서의 PC 기법을 Long PUCCH에 적용하는 또 다른 일 예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다 (Option 3). 앞서 언급한 도 22(Option 1) 및 도 23(Option 2)과 도 24(Option 3)의 차이는, 도 24에서는 기지국이 동일 precoder가 적용되는 시간 축 단위 (심볼 또는 둘 이상의 심볼들로 구성된 심볼 그룹)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Common RRC/dedicated RRC signaling을 통해 동일 precoder가 적용되는 시간 축 단위를 configuration하거나 또는 DCI를 통해 동일 precoder가 적용되는 시간 축 단위를 indicatio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서는 12 심볼로 구성된 Long PUCCH를 가정하였다. 이때, 기지국은 N 번째 slot에서 6 심볼 단위로 동일 precoder를 적용할 것을 단말에게 시그널링 할 수 있으며, N + K 번째 slot에서는 4 심볼 단위로 동일 precoder를 적용할 것을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단말의 이동 속도 및 채널의 특성에 따라, 기지국이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것인지 또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높일 것인지에 대해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이동 속도가 큰 경우에는 채널의 시간 축 변화가 크기 때문에,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확보하기 보다는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는 다수 개의 DMRS를 통해 시간 축에서 interpolation을 수행함으로써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동일 precoder를 적용할 수 있는 시간 축 단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N 번째 slot). 한편, 단말의 이동 속도가 작은 경우에는 채널의 시간 축 변화가 적기 때문에,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보다는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확보하는 것이 시스템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동일 precoder를 적용할 수 있는 시간 축 단위를 감소시킬 수 있다 (N + K 번째 slot).
한편, 단말의 안테나 포트 수가 둘 이상 일 때, 각 안테나 포트 별로 직교성을 갖는 DMRS를 전송함으로써 시간 축에서의 PC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는 안테나 포트가 2개인 단말에서 시간 축 PC 기법을 사용하는 예시이다. 각 안테나 포트 별 DMRS의 직교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첫 번째 심볼로 전송되는 DMRS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분할 다중화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된다. 즉, 안테나 포트 1번 (도 25에 P1으로 표기)과 안테나 포트 2번 (도 25에 P2로 표기)이 주파수 분할 다중화 된다. 안테나 포트 1번을 통해 전송되는 Long PUCCH에서는 precoder로 [1 1 1 1]을 사용하고, 안테나 포트 2번을 통해 전송되는 Long PUCCH에서는 precoder로 [1 j -1 -j]을 사용한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송신단의 각 안테나 포트 별 precoder 정보를 수신단에서 알고 있다고 가정하자. 또한 안테나 포트 1번을 통해 형성된 채널은 h1, 안테나 포트 2번을 통해 형성된 채널을 h2로 가정하자. 이러한 가정들 하에서, precoder 1번이 적용된 두 번째 심볼은 h1 + h2 채널을 겪게 되고, precoder 2번이 적용된 세 번째 심볼은 h1 + jh2, precoder 3번이 적용된 네 번째 심볼은 h1 - h2, 그리고 precoder 4번이 적용된 다섯 번째 심볼은 h1 - jh2를 겪게 됨을 수신단에서 알고 있으므로, UCI 정보들을 복호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단말 수신부(2620)를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단말 처리부(2610)는 UCI payload 크기를 결정하고, Long PUCCH 포맷을 결정하며, Long PUCCH 자원 크기를 결정하고, 변조된 심볼들을 Long PUCCH 심볼에 mapping 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상기 단말 처리부(2610)의 동작에 기반하여 생성된 신호를 단말 송신부(263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은 기지국 송신부(2730) 단말로 파라미터를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 처리부(2710)는 UCI payload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UCI payload 크기에 따라 Long PUCCH 포맷을 결정하고, Long PUCCH 자원 크기를 결정하며, Long PUCCH 자원 할당을 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 수신부(2720)는 상기 파라미터를 수신한 단말의 동작에 의하여 생성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위한 복수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들의 개수에 대한 제1 정보 및 슬롯 내(intra-slot)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활성화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PUCCH를 위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상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DMRS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한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을 적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DMRS를, 상기 PUC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의 개수는 4개 이상 14개 이하이고,
    상기 DMRS는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중 홀수번째 OFDM 심볼 상에 매핑되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중 짝수번째 OFDM 심볼 상에 매핑되며,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 이전의 상기 PUCCH의 제1 부분의 OFDM 심볼 개수는,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 이후의 상기 PUCCH의 제2 부분의 OFDM 심볼 개수보다 같거나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비트 수가 1개 또는 2개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PUCCH를 위한 PUCCH 포맷(format)을 PUCCH 포맷 1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feedback) 또는 스케쥴링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기지국으로부터,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위한 복수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들의 개수에 대한 제1 정보 및 슬롯 내(intra-slot)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활성화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PUCCH를 위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상에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DMRS를 매핑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한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을 적용하여,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DMRS를, 상기 PUCCH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의 개수는 4개 이상 14개 이하이고,
    상기 DMRS는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중 홀수번째 OFDM 심볼 상에 매핑되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중 짝수번째 OFDM 심볼 상에 매핑되며,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 이전의 상기 PUCCH의 제1 부분의 OFDM 심볼 개수는,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 이후의 상기 PUCCH의 제2 부분의 OFDM 심볼 개수보다 같거나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비트 수가 1개 또는 2개인 것에 기반하여, 상기 PUCCH를 위한 PUCCH 포맷(format)을 PUCCH 포맷 1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feedback) 또는 스케쥴링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7.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위한 복수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들의 개수에 대한 제1 정보 및 슬롯 내(intra-slot)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활성화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정보에 따른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PUCCH를 위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DMRS에 기반하여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에 따른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이 상기 PUCCH에 적용되고,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의 개수는 4개 이상 14개 이하이고,
    상기 DMRS는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중 홀수번째 OFDM 심볼 상에 매핑되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중 짝수번째 OFDM 심볼 상에 매핑되며,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 이전의 상기 PUCCH의 제1 부분의 OFDM 심볼 개수는,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 이후의 상기 PUCCH의 제2 부분의 OFDM 심볼 개수보다 같거나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비트 수가 1개 또는 2개이고, 상기 PUCCH를 위한 PUCCH 포맷(format)은 PUCCH 포맷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feedback) 또는 스케쥴링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을 위한 복수의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symbol)들의 개수에 대한 제1 정보 및 슬롯 내(intra-slot)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을 활성화하는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정보에 따른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상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PUCCH를 위한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DMRS에 기반하여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에 따른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이 상기 PUCCH에 적용되고,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의 개수는 4개 이상 14개 이하이고,
    상기 DMRS는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중 홀수번째 OFDM 심볼 상에 매핑되고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OFDM 심볼들 중 짝수번째 OFDM 심볼 상에 매핑되며,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 이전의 상기 PUCCH의 제1 부분의 OFDM 심볼 개수는, 상기 슬롯 내 주파수 호핑 이후의 상기 PUCCH의 제2 부분의 OFDM 심볼 개수보다 같거나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비트 수가 1개 또는 2개이고, 상기 PUCCH를 위한 PUCCH 포맷(format)은 PUCCH 포맷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피드백(feedback) 또는 스케쥴링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80032173A 2017-03-23 2018-03-20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602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150 2017-03-23
KR20170037150 2017-03-23
KR20170074779 2017-06-14
KR1020170074779 2017-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468A KR20180108468A (ko) 2018-10-04
KR102602335B1 true KR102602335B1 (ko) 2023-11-17

Family

ID=6358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173A KR102602335B1 (ko) 2017-03-23 2018-03-20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50393B2 (ko)
KR (1) KR102602335B1 (ko)
CN (1) CN110447196B (ko)
WO (1) WO2018174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7365A1 (zh) * 2017-03-03 2018-09-07 南通朗恒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功率调整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WO2018184295A1 (zh) * 2017-04-07 2018-10-11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道的传输方法及相关装置
US11696287B2 (en) * 2017-04-27 2023-07-04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9092823A1 (ja) * 2017-11-08 2019-05-1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1705982B2 (en) * 2018-01-23 2023-07-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djusting wireless communication structure
EP3776956B1 (en) * 2018-04-05 2023-08-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dentification of hybrid arq (harq id) and repetition window for autonomous repeated uplink transmissions
US11582077B2 (en) * 2019-02-25 2023-02-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over multiple carriers in unlicensed spectrum
CN112020144B (zh) * 2019-05-30 2022-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异步物理上行共享信道的资源的方法及设备
US11743006B2 (en) * 2019-11-27 2023-08-29 Intel Corporation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design for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waveforms
WO2021250896A1 (ja) * 2020-06-12 2021-12-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WO2021250897A1 (ko) * 2020-06-12 2021-12-16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719B1 (ko) 2007-12-17 2009-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변조 방법 및 장치
US8743771B2 (en) 2009-02-24 2014-06-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abling relay node to transmit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relay node
KR101782647B1 (ko) 2010-01-28 201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인코딩 방법 및 장치
KR101873733B1 (ko) 2010-05-06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829831B1 (ko) 2010-05-06 2018-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EP2966800A1 (en) * 2011-04-29 2016-01-1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arrier aggregation with subframe restrictions
US9596067B2 (en) 2012-09-16 2017-03-1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channel status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ooperative transmission
CN104105138B (zh) 2013-04-03 2019-04-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信道的传输、接收处理方法及装置
JP2016527758A (ja) 2013-06-17 2016-09-08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送信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KR20150089715A (ko) 2014-01-28 2015-08-05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uci 코딩율 조절 방법 및 그 장치
EP3823206B1 (en) * 2015-07-30 2023-05-31 Apple Inc. Ofdma-based multiplexing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EP4221115A1 (en) * 2016-01-27 2023-08-02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7150925A1 (ko) 2016-03-02 2017-09-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455560B2 (en) * 2017-01-05 2019-10-22 Sharp Kabushiki Kaisha Shor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design for 5th generation (5G) new radio (NR)
KR102264030B1 (ko) * 2017-03-21 2021-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 간 물리 상향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200037347A (ko) * 2017-08-10 2020-04-0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5G(5th GENERATION) NR(NEW RADIO)을 위한 긴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설계의 슬롯 구조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4459*
3GPP R1-1703240*
3GPP R1-17033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07317A1 (en) 2020-04-02
WO2018174522A1 (ko) 2018-09-27
CN110447196B (zh) 2022-05-24
KR20180108468A (ko) 2018-10-04
CN110447196A (zh) 2019-11-12
US11350393B2 (en)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2335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925043B2 (en) Multiplexing large payloads of control information from user equipments
CN107750439B (zh) 用于在无线蜂窝通信系统中使用窄带来传输信号的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
KR101625861B1 (ko) 상향링크 전송 시, 다중 코드워드 기반 단일 사용자 mimo가 사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phich 할당 및 참조 신호 생성 방법
US8611238B2 (en) Multiplexing large payloads of control information from user equipments
CN109644037B (zh) 上行链路传输的预编码信息信令方法和装置
KR20170001489A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감소된 전송시간구간을 이용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30073870A (ko) 업링크 제어 정보를 매핑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9543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2201292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3747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5278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3557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5285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슬롯을 통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20050720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23002143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0302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7048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