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792B1 -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792B1
KR102601792B1 KR1020230089676A KR20230089676A KR102601792B1 KR 102601792 B1 KR102601792 B1 KR 102601792B1 KR 1020230089676 A KR1020230089676 A KR 1020230089676A KR 20230089676 A KR20230089676 A KR 20230089676A KR 102601792 B1 KR102601792 B1 KR 102601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tch
hanger
coupling portion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9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동백
Original Assignee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89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을 방지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걸쇠(20)와 하부결합부(21), 행거(40)와 상부결합부(41)에 각각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하는 스토퍼 걸림구멍(23)(43); 걸쇠(20)와 행거(40)의 안쪽에 각각 설치하는 완충스토퍼(50)(60); 완충스토퍼(50)(60)의 상하단 중심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여 스토퍼 걸림구멍(23)(43)에 삽입하여 걸리는 환형돌출부(51)(61); 걸쇠(20)와 행거(40)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하여 완충스토퍼(50)(60)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오목한 호형홈(24)(4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Door Deflection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을 방지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첩에 걸리는 하중을 분담해서 지지함으로써 도어의 처짐을 방지하고, 도어를 닫을 때 발생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여닫이형 도어는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로서, 일측에 설치된 경첩을 중심으로 큰 원을 그리면서 열리고 닫힌다.
여닫이형 도어는 무거운 도어로부터 작용되는 하중이 외팔보 형태로 경첩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시간이 경과하여 경첩이 마모되면 도어가 밑으로 처지면서 도어록의 맞물림이 부정확하게 되고, 문틀과 도어 간의 틈새가 일정하지 않아 도어의 개폐를 어렵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여닫이형 도어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사각틀 형태의 문틀(1)에 도어(5)의 일측이 경첩(2)으로 지지되어 있고, 그 반대편에는 손잡이가 달린 도어록(3)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어록(3)으로부터 문틀(1)을 향해 출몰하는 도어래치(4)가 걸리는 걸림편(도시 생략)이 문틀(1)의 안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도어(5)와 문틀(1) 사이에는 도어(5)를 열고 닫을 때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한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여닫이형 도어는 건축물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그 무게가 점진적으로 무거워져 수십 킬로그램에 달하는 것도 일반화되어 있다. 시공 초기에는 도어(5)와 문틀(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경첩(2)의 마모로 인해 도어(5)가 아래쪽으로 처지면서 문틀(1)과 도어(5) 간의 틈새가 한쪽은 벌어지고 반대편은 좁아지면서 도어(5)의 개폐를 어렵게 하거나 도어래치(4)의 맞물림을 부정확하게 하여 도어(5)를 닫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종래기술(특허문헌 1)은 문틀의 아래쪽 턱 부위에 도어의 밑 부분을 지지하는 롤러를 설치하여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의 밑 부분을 지지해 줌으로써 처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도어의 밑 부분이 롤러에 직접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빈도가 증가할수록 롤러와 접촉되는 도어의 아래쪽 모서리부분의 손상이 점점 커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도어가 무른 재질인 목재로 된 경우에는 마모와 파손이 더욱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기술은 롤러의 높이만큼 문틀과 도어의 아래쪽 틈새를 더욱 크게 해야 하므로,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아 적용이 곤란하고, 롤러가 문틀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행시 걸려서 넘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 롤러가 먼지나 이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 문제도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69615호(공고 2002.03.25.) 국내 등록특허 제10-1139240호(공고 2012.05.14.) 국내 등록특허 제10-1179144호(공고 2012.09.07.) 국내 등록특허 제10-1384202호(공고 2014.04.10.) 국내 등록특허 제10-1579858호(공고 2015.12.23.) 국내 등록특허 제10-1654051호(공고 2016.09.05.) 국내 등록특허 제10-1882212호(공고 2018.07.26.) 국내 등록특허 제10-1891097호(공고 2018.08.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여닫이 도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를 닫을 때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는, 도어의 상면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는 장방형의 도어포켓; 도어포켓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하부결합부; 하부결합부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을 향해 일정한 높이로 형성하여 상단이 도어의 상면 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하는 상향지지벽; 하부결합부의 상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상향지지벽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형성하고, 하부결합부와 상향지지벽과 함께 ㄷ자 단면을 형성하는 걸쇠; 문틀의 천장면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는 장방형의 문틀포켓; 문틀포켓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상부결합부; 상부결합부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을 향해 일정한 높이로 형성하여 하단이 문틀의 천장면 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하는 하향지지벽; 상부결합부의 저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하향지지벽의 하단에서 걸쇠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하여 도어를 닫았을 때 걸쇠와 만나 걸쇠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부결합부와 하향지지벽과 함께 ㄷ자 단면을 형성하는 행거; 걸쇠와 행거의 개방된 부위 가장자리 안쪽 모서리에 각각 형성하여 도어를 닫을 때 서로 만나서 미끄러지는 진입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걸쇠와 하부결합부, 행거와 상부결합부에 각각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하는 스토퍼 걸림구멍; 걸쇠와 행거의 안쪽에 각각 설치하는 완충스토퍼; 완충스토퍼의 상하단 중심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여 스토퍼 걸림구멍에 삽입하여 걸리는 환형돌출부; 걸쇠와 행거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하여 완충스토퍼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오목한 호형홈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10)에 설치한 걸쇠(20)와 문틀(30)에 설치한 행거(40)에 의해 도어(1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어(10)에 형성한 도어포켓(12)에 하부결합부(21)를 함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문틀(30)에 형성한 형성한 문틀포켓(32)에 상부결합부(41)를 함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어(10)와 문틀(30) 사이의 갭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어(10)를 닫을 때 걸쇠(20)와 행거(40)가 완충스토퍼(50)(60)와 만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어(10)가 갖고 있던 운동에너지를 완충스토퍼(50)(60)가 흡수함으로써 소음과 충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걸쇠(20)와 행거(40)에 형성한 호형홈(24)(44)이 완충스토퍼(50)(60)의 외주면이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호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어 충격에너지를 보다 넓은 면적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걸쇠(20)와 행거(40)에 형성한 헤드출입구멍(26)(46)을 통해 스크류(27)(47)의 볼트머리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스크류(27)(47)의 조립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여닫이형 도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포켓, 하부결합부, 상향지지벽 및 걸쇠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를 아래쪽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결합부와 걸쇠에 설치하는 완충스토퍼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틀포켓, 상부결합부, 하향지지벽 및 행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닫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보인 평단면도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어(10)의 상면(11)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는 장방형의 도어포켓(12); 도어포켓(12)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하부결합부(21); 하부결합부(2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을 향해 일정한 높이로 형성하여 상단이 도어(10)의 상면(11) 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하는 상향지지벽(28); 하부결합부(21)의 상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상향지지벽(28)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형성하고, 하부결합부(21)와 상향지지벽(28)과 함께 ㄷ자 단면을 형성하는 걸쇠(20)를 포함한다.
도어포켓(12)은 엔드밀 또는 라우터 비트를 이용하여 도어(10)의 상면(11)에 가공할 수 있다. 도어포켓(12)을 형성하는 부분은 도어(10)에 설치된 경첩(도시생략)의 반대편 부위 도어(10)의 상면(11)에 형성한다.
하부결합부(21), 상향지지벽(28) 및 걸쇠(20)는 모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하부결합부(21), 상향지지벽(28) 및 걸쇠(2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ㄷ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성형할 수 있다.
하부결합부(21)는 스크류(27)에 의해 도어(1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결합부(21)에 적어도 한 쌍의 체결공(25)을 형성하고, 걸쇠(20)에 체결공(25)과 중심이 일치하는 적어도 한 쌍의 헤드출입구멍(26)을 형성할 수 있다.
헤드출입구멍(26)의 내경을 스크류(27)의 머리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하여 스크류(27)의 머리가 헤드출입구멍(26)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나사못 형태의 스크류(27)를 이용할 수 있다.
하부결합부(21)를 도어포켓(12)에 삽입한 다음 헤드출입구멍(26)를 통해 스크류(27)를 안쪽으로 진입시킨 후 스크류(27)를 체결공(25)을 통해 도어(10)에 박아서 설치한다. 이때 스크류(27)에 의해 도어(10)에 탭구멍(1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문틀(30)의 천장면(31)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는 장방형의 문틀포켓(32); 문틀포켓(32)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상부결합부(41); 상부결합부(41)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을 향해 일정한 높이로 형성하여 하단이 문틀(30)의 천장면(31) 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하는 하향지지벽(48); 상부결합부(41)의 저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하향지지벽(48)의 하단에서 걸쇠(2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하여 도어(10)를 닫았을 때 걸쇠(20)와 만나 걸쇠(20)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부결합부(41)와 하향지지벽(48)과 함께 ㄷ자 단면을 형성하는 행거(40)를 포함한다.
문틀포켓(32)은 엔드밀 또는 라우터 비트를 이용하여 문틀(30)의 천장면(31)에 가공할 수 있다. 문틀포켓(32)을 형성하는 부분은 도어(10)가 닫혔을 때 도어포켓(12)과 만나도록 도어포켓(12)의 직상부에 형성한다.
상부결합부(41), 하향지지벽(48) 및 행거(40)는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부결합부(41), 하향지지벽(48) 및 행거(4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ㄷ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성형할 수 있다.
상부결합부(41)는 스크류(47)에 의해 문틀(30)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결합부(41)에 적어도 한 쌍의 체결공(45)을 형성하고, 행거(40)에 체결공(45)과 중심이 일치하는 적어도 한 쌍의 헤드출입구멍(46)을 형성할 수 있다.
헤드출입구멍(46)의 내경을 스크류(47)의 머리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하여 스크류(47)의 머리가 헤드출입구멍(46)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나사못 형태의 스크류(47)를 이용할 수 있다.
상부결합부(41)를 문틀포켓(32)에 삽입한 다음 헤드출입구멍(46)를 통해 스크류(47)를 안쪽으로 진입시킨 후 스크류(47)를 체결공(45)을 통해 문틀(30)에 박아서 설치한다. 이때 스크류(47)에 의해 문틀(30)에 탭구멍(3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걸쇠(20)와 행거(40)의 개방된 부위 가장자리 안쪽 모서리에 각각 형성하여 도어(10)를 닫을 때 서로 만나서 미끄러지는 진입경사면(22)(42)을 포함한다.
걸쇠(20)에 형성하는 진입경사면(22)은 걸쇠(2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상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행거(40)에 형성하는 진입경사면(42)은 행거(4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향할수록 아래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한다.
진입경사면(22)(42)은 걸쇠(20)와 행거(40)가 서로 만날 때 걸쇠(20)가 행거(40)를 타고 올라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은 걸쇠(20)와 하부결합부(21), 행거(40)와 상부결합부(41)에 각각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하는 스토퍼 걸림구멍(23)(43); 걸쇠(20)와 행거(40)의 안쪽에 각각 설치하는 완충스토퍼(50)(60); 완충스토퍼(50)(60)의 상하단 중심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여 스토퍼 걸림구멍(23)(43)에 삽입하여 걸리는 환형돌출부(51)(61)를 포함한다.
완충스토퍼(50)(60)와 환형돌출부(51)(61)는 합성고무를 소재로 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환형돌출부(51)(61)의 외경을 완충스토퍼(50)(6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 스토퍼 걸림구멍(23)(43)의 내경은 환형돌출부(51)(61)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완충스토퍼(50)를 하부결합부(21)와 걸쇠(20)의 사이에 강제로 밀어넣으면 고무로 된 완충스토퍼(50)가 압축되면서 하부결합부(21)와 걸쇠(20)의 안쪽으로 진입한다.
이 과정에서 환형돌출부(51)와 스토퍼 걸림구멍(23)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면 완충스토퍼(5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을 회복하고 환형돌출부(51)는 스토퍼 걸림구멍(23)에 삽입되어 걸린다.
이때 완충스토퍼(50)의 외주면이 하부결합부(21)와 걸쇠(20)를 연결하는 상향지지벽(28)의 안쪽면에 선접촉되어 지지된다.
완충스토퍼(60)를 상부결합부(41)와 행거(40)의 사이에 강제로 밀어넣으면 고무로 된 완충스토퍼(60)가 압축되면서 상부결합부(41)와 행거(40)의 안쪽으로 진입한다.
이 과정에서 환형돌출부(61)와 스토퍼 걸림구멍(43)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면 완충스토퍼(6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형을 회복하고 환형돌출부(61)는 스토퍼 걸림구멍(43)에 삽입되어 걸린다.
이때 완충스토퍼(60)의 외주면이 상부결합부(41)와 행거(40)를 연결하는 하향지지벽(48)의 안쪽면에 선접촉되어 지지된다.
본 발명은 걸쇠(20)와 행거(40)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하여 완충스토퍼(50)(60)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오목한 호형홈(24)(44)을 포함한다.
호형홈(24)(44)은 완충스토퍼(50)(60)의 직경에 대응하는 반경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걸쇠(20)와 행거(40)의 단부와 호형홈(24)(44)이 만나는 모서리를 일정한 원호 반경으로 라운드 처리하면 완충스토퍼(50)(60)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여닫이형의 도어(10)를 문틀(30)을 향해 닫으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에 설치된 걸쇠(20)가 문틀(30)에 설치된 행거(40)와 서로 맞물려 만나고 걸쇠(20)가 행거(40)의 상면에 얹혀서 지지된다.
이와 같이 걸쇠(20)가 행거(40)의 상면을 올라타기 전에 걸쇠(20)와 행거(40)에 각각 형성된 진입경사면(22)(42)이 먼저 접촉하여 만난다. 이때 걸쇠(20)의 밑면이 행거(40)의 상면보다 약간 낮은 경우에도 행거(40)에 형성한 진입경사면(42)을 걸쇠(20)가 타고 올라가면서 행거(40)에 지지된다.
도어(10)가 닫힐 때 상부결합부(41)와 행거(40)에 설치된 완충스토퍼(60)가 걸쇠(20)에 형성한 호형홈(24)과 만나서 서로 밀착하고, 도어(10)가 갖고 있던 운동에너지가 걸쇠(20)를 통해 고무로 된 완충스토퍼(60)에 전달되면서 충격과 소음이 크게 감소한다.
또, 도어(10)가 닫힐 때 하부결합부(21)와 걸쇠(20)에 설치된 완충스토퍼(50)가 행거(40)에 형성한 호형홈(44)과 만나서 서로 밀착하고, 도어(10)가 갖고 있던 운동에너지가 고무로 된 완충스토퍼(50)에 전달되면서 충격과 소음이 크게 감소한다.
10 : 도어 11 : 상면
12 : 도어포켓 13,33 : 탭구멍
20 : 걸쇠 21 : 하부결합부
22,42 : 진입경사면 23,43 : 스토퍼 걸림구멍
24,44 : 호형홈 25,45 : 체결공
26,46 : 헤드출입구멍 27,47 : 스크류
30 : 문틀 31 : 천장면
32 : 문틀포켓 40 : 행거
41 : 상부결합부 50,60 : 완충스토퍼
51,61 : 환형돌출부

Claims (2)

  1. 삭제
  2. 도어(10)의 상면(11)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는 장방형의 도어포켓(12);
    상기 도어포켓(12)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하부결합부(21);
    상기 하부결합부(21)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을 향해 일정한 높이로 형성하여 상단이 상기 도어(10)의 상면(11) 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하는 상향지지벽(28);
    상기 하부결합부(21)의 상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상향지지벽(28)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형성하고, 상기 하부결합부(21)와 상기 상향지지벽(28)과 함께 ㄷ자 단면을 형성하는 걸쇠(20);
    문틀(30)의 천장면(31)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하는 장방형의 문틀포켓(32);
    상기 문틀포켓(32)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상부결합부(41);
    상기 상부결합부(41)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하측을 향해 일정한 높이로 형성하여 하단이 상기 문틀(30)의 천장면(31) 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하는 하향지지벽(48);
    상기 상부결합부(41)의 저면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상기 하향지지벽(48)의 하단에서 상기 걸쇠(20)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하여 상기 도어(10)를 닫았을 때 상기 걸쇠(20)와 만나 상기 걸쇠(20)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상부결합부(41)와 상기 하향지지벽(48)과 함께 ㄷ자 단면을 형성하는 행거(40);
    상기 걸쇠(20)와 상기 행거(40)의 개방된 부위 가장자리 안쪽 모서리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도어(10)를 닫을 때 서로 만나서 미끄러지는 진입경사면(22)(42);
    을 포함하는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쇠(20)와 하부결합부(21), 상기 행거(40)와 상부결합부(41)에 각각 상하 관통형으로 형성하는 스토퍼 걸림구멍(23)(43);
    상기 걸쇠(20)와 상기 행거(40)의 안쪽에 각각 설치하는 완충스토퍼(50)(60);
    상기 완충스토퍼(50)(60)의 상하단 중심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여 상기 스토퍼 걸림구멍(23)(43)에 삽입하여 걸리는 환형돌출부(51)(61);
    상기 걸쇠(20)와 상기 행거(40)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하여 상기 완충스토퍼(50)(60)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오목한 호형홈(24)(4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20230089676A 2023-07-11 2023-07-11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2601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676A KR102601792B1 (ko) 2023-07-11 2023-07-11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9676A KR102601792B1 (ko) 2023-07-11 2023-07-11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792B1 true KR102601792B1 (ko) 2023-11-14

Family

ID=88744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9676A KR102601792B1 (ko) 2023-07-11 2023-07-11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79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615Y1 (ko) 2001-12-15 2002-03-25 이병노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KR101139240B1 (ko) 2011-12-02 2012-05-14 (주)관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KR101179144B1 (ko) 2012-06-18 2012-09-07 (주)투에이치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KR101384202B1 (ko) 2013-11-21 2014-04-10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579858B1 (ko) 2015-11-26 2015-12-23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도어처짐 방지장치
KR101654051B1 (ko) 2016-08-03 2016-09-05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882212B1 (ko) 2018-03-21 2018-07-26 (주)에이비라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891097B1 (ko) 2018-03-26 2018-08-23 김환성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615Y1 (ko) 2001-12-15 2002-03-25 이병노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
KR101139240B1 (ko) 2011-12-02 2012-05-14 (주)관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KR101179144B1 (ko) 2012-06-18 2012-09-07 (주)투에이치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KR101384202B1 (ko) 2013-11-21 2014-04-10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579858B1 (ko) 2015-11-26 2015-12-23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도어처짐 방지장치
KR101654051B1 (ko) 2016-08-03 2016-09-05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882212B1 (ko) 2018-03-21 2018-07-26 (주)에이비라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891097B1 (ko) 2018-03-26 2018-08-23 김환성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7929B1 (en) Window hinge
US5636475A (en) Structural lock for tilting-type double hung windows
KR102601792B1 (ko)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EA010895B1 (ru) Две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граничения пространства и элемент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двер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такой конструкции
KR101654051B1 (ko) 공동주택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539949B1 (ko) 다중 미닫이 도어의 연동장치
US6260305B1 (en) Gasket system for a horizontal door
KR20190003132U (ko) 매립형 방화문
GB1583500A (en) Door and door frame assembly
US11512500B1 (en) Modified tilt latch bolt
JPH08210046A (ja) 建 具
KR102650048B1 (ko) 손끼임 방지기능을 갖는 도어 개폐장치
JPS6129898Y2 (ko)
CN209444128U (zh) 一种高承重内平开下悬组件
KR102536394B1 (ko)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KR102638557B1 (ko) 엘리베이터용 손끼임 방지 프레임의 스프링 장착구조
KR200495643Y1 (ko) 경첩 결합형 외측 문 틈새 차단 장치
KR101115424B1 (ko) 창호용 버튼식 자동잠금장치
KR20120000004U (ko) 자동으로 닫혀지는 현수식 교실출입문
KR102152518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KR20230116544A (ko) 도어 손잡이 고정 시스템
JPH038787Y2 (ko)
KR200275857Y1 (ko) 행거식 미닫이문
US6338222B1 (en) Universal sash tether clasp and anchoring apparatus for window counterbalancing system
US20020066160A1 (en) Auto-returning device of a hinge for a glass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