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394B1 -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394B1
KR102536394B1 KR1020230044404A KR20230044404A KR102536394B1 KR 102536394 B1 KR102536394 B1 KR 102536394B1 KR 1020230044404 A KR1020230044404 A KR 1020230044404A KR 20230044404 A KR20230044404 A KR 20230044404A KR 102536394 B1 KR102536394 B1 KR 102536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rail
window
rail groove
horizontal por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스트
유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스트, 유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스트
Priority to KR102023004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6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03Anti-drop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or movable
    • E05Y2600/30Adjustable or movab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04Protection against component faults o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06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드 창문에 장착되어 창문의 강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는, 창틀의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창문의 하부레일홈에 삽입되는 보강본체와; 상기 보강본체를 상기 하부레일홈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본체는 상기 하부레일홈에 장착된 롤러와 롤러 사이에서 상기 하부레일홈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보강본체는, 상면이 상기 하부레일홈의 상단에 접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하부레일홈의 측면에 대면하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하부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수직부를 서로 연결하여 양측의 상기 수직부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제2수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 Reinforcement member for slide window and Window having the same }
본 발명은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드 창문에 장착되어 창문의 강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한다.
이때 상기의 창 또는 문들이 지지되는 창호프레임은 사용재료에 따라 목제 창호프레임과 금속제 창호프레임과 합성수지제 창호프레임으로 분류된다.
합성수지제 창호프레임은, 피브이시(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창호를 제작하는 것이다.
창틀프레임과 창짝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사각형태의 외곽틀로 조립된다.
최근에는 단열, 소음차단 등을 위해 두께가 두꺼운 유리를 사용하거나 여러장의 유리를 창문에 설치한다.
위와 같이 유리의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여러장을 사용하게 되면,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유리를 받치는 창문프레임에 그대로 전달되어 창문프레임이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다양한 보강재를 창호에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그 개선의 효과가 미미한 한계가 있었다.
공개특허 10-2007-0021695 등록특허 10-151182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창호에 보강부재를 장착하여 창호의 강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는, 창틀의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창문의 하부레일홈에 삽입되는 보강본체와; 상기 보강본체를 상기 하부레일홈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본체는 상기 하부레일홈에 장착된 롤러와 롤러 사이에서 상기 하부레일홈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보강본체는, 상면이 상기 하부레일홈의 상단에 접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하부레일홈의 측면에 대면하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하부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수직부를 서로 연결하여 양측의 상기 수직부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제2수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부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대면하는 상기 하부레일홈의 측면에 걸리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수평부 및 제1수평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레일홈의 상단에 결합되는 나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수평부는 하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나사의 결합시 하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2수평부는 상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수직부를 상기 하부레일홈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상기 수직부의 하단은 상기 제2수평부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강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는, 하부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하부레일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며, 상기 하부레일홈에는 다수개의 롤러가 장착된 창문과; 상기 하부레일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하부레일홈의 외곽을 감싸면서 상기 창틀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외곽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하부레일홈에 장착된 상기 롤러와 롤러 사이에서 상기 하부레일홈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강본체와; 상기 보강본체를 상기 하부레일홈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본체는, 상면이 상기 하부레일홈의 상단에 접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하부레일홈의 측면에 대면하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하부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수직부를 서로 연결하여 양측의 상기 수직부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제2수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수평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레일이 배치된다.
상기 롤러는 창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롤러를 상기 창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창문의 하단이 상기 창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될 경우, 상기 롤러의 상승에 의해 상기 창문이 최대 하강하였을 때 상기 제2수평부의 하면은 상기 하부레일의 상단과 이격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수평부 및 제1수평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레일홈의 상단에 결합되는 나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평부는 하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의 결합시 하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2수평부는 상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수직부를 상기 하부레일홈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한다.
상기 창문은, 단면이 '┌┐'형상의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하단연결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중간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프레임의 안쪽에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하부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내측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외곽지지부재는 상기 외부프레임, 내부프레임 및 중간연결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수평부는 상기 중간연결프레임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보강부재를 합성수지재의 창문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여 창문의 강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유리 등에 의한 큰 하중이 창문이 작용하여도 창문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창문이 쉽게 개폐되도록 할 수 있고, 창틀에 대한 창문의 높낮이를 조절하여도 보강부재가 창문의 이동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창문의 하부레일홈에 장착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창문의 하부레일홈에 장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롤러의 상승에 의해 창문이 하강한 상태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창문의 하부레일홈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창문의 하부레일홈에 장착된 상태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창문의 하부레일홈에 장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롤러의 상승에 의해 창문이 하강한 상태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보강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과, 창문(20)과, 보강부재(30)와, 외곽지지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창틀(10)은 하부에 하부레일(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창문(20)은 하부에 하부레일홈(2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레일홈(25)은 상기 창틀(10)에 형성된 하부레일(11)에 안착되어 상기 창문(20)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창문(20)의 상부는 유리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창틀(10) 및 창문(20)은 PV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레일홈(25)에는 다수개의 롤러(26)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창문(20)은, 외부프레임(21)과, 내부프레임(22)과, 하단연결프레임(23)과, 중간연결프레임(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프레임(21)은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22)은 상기 외부프레임(21)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프레임(21)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창문(2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프레임(21)과 내부프레임(22) 사이에는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22)의 안쪽에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하부레일홈(25)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연결프레임(23)은 상호 이격된 상기 외부프레임(21)의 하단과 상기 내부프레임(22)의 하단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중간연결프레임(24)은 상기 외부프레임(21)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상기 외부프레임(21)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프레임(22)의 외측면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내부프레임(22)의 안쪽에 형성된 상기 하부레일홈(25)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내부프레임(22)의 내측면에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보강부재(30)는 창문(20)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내구성을 증대시켜 창문(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부재(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외곽지지부재(4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레일홈(25)의 외곽을 감싸면서 상기 창틀(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곽지지부재(40)는 상기 외부프레임(21), 내부프레임(22) 및 중간연결프레임(24)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외곽지지부재(40)는 상기 보강부재(30)와 함께 상기 창문(20)의 강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본체(31)와,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본체(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레일홈(25)에 장착된 상기 롤러(26)와 롤러(26) 사이에서 상기 하부레일홈(25)에 장착된다.
상기 보강본체(31)는 상기 하부레일홈(25)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창틀(10)에 형성된 상기 하부레일(11)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보강본체(31)는, 제1수평부(32)와, 수직부(33)와, 제2수평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평부(32)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본체(31)가 상기 하부레일홈(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면이 상기 하부레일홈(25)의 상단에 접한다.
상기 수직부(33)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수평부(32)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하부레일홈(25)의 측면에 대면한다.
상기 제2수평부(34)는 상기 제1수평부(32)의 하부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수직부(33)를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상기 제2수평부(34)는 양측의 상기 수직부(33)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보강본체(31)가 상기 하부레일홈(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수평부(34)는 상기 중간연결프레임(24)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단연결프레임(23)보다 상부에 위치한다.
위와 같이 상기 제2수평부(34)가 상기 중간연결프레임(24)보다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창틀(10)의 상부에 유리 등에 의해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창문(20)의 하부 양쪽에 안쪽으로 몰리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2수평부(34)가 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본체(31)가 상기 하부레일홈(2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수평부(34)의 하부에 상기 창틀(10)의 하부레일(11)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3)의 하단은 상기 제2수평부(34)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는 위와 같은 상기 보강본체(31)를 상기 하부레일홈(25)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부(33)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대면하는 상기 하부레일홈(25)의 측면에 걸리는 걸림돌기(3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걸림돌기(35)에 의해 상기 보강부재(30)를 작업자가 상기 하부레일홈(25)에 삽입하게 되면, 자동으로 상기 걸림돌기(35)가 상기 내부프레임(22)의 내측면에 걸려 상기 보강부재(30)가 상기 하부레일홈(25)의 안쪽에 간편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26)는 창문(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롤러(26)는 롤러(26) 자체의 구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상기 롤러(26)와 상기 창문(20)의 결합부위의 조정 등을 통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롤러(26)를 상기 창문(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창문(20)은 하강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창문(20)의 하단이 상기 창틀(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롤러(26)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창틀(10)과 창문(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창문(20)이 창틀(10)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롤러(26)의 상승에 의해 창문(20)이 최대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26)의 상승에 의해 상기 창문(20)이 최대 하강하였을 때, 상기 제2수평부(34)의 하면은 상기 하부레일(11)의 상단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수평부(34)가 양측에 상기 수직부(33)를 지지하면서도, 상기 창문(20)이 최대 하강하였을 때 상기 제2수평부(34)가 하부레일(11)에 접하여 창문(20)의 이동에 방해요소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금속재 창호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강성 및 내구성이 좋기 때문에, 유리의 하중이 증가하여도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합성수지재 창호의 경우에는, 유리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창문(20)의 하부가 휘어지거나 변형되면서 롤러(26)가 잘 작동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부재(30)를 합성수지재의 창문(20)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하여 창문(20)의 강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켜, 유리 등에 의한 큰 하중이 창문(20)이 작용하여도 창문(20)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창문(20)이 쉽게 개폐되도록 할 수 있고, 창틀(10)에 대한 창문(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도 보강부재(30)가 창문(20)의 이동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를 창문의 하부레일홈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제2수평부(34) 및 고정부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수평부(34) 및 제1수평부(32)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레일홈(25)의 상단에 결합되는 나사(36)로 이루어진다.
물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는 제1실시예의 걸림돌기(35)와 나사(36)를 함께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수평부(34)는 하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30)를 상기 하부레일홈(25)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35)에 의해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하부레일홈(25)에 1차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온도, 외부환경 등에 따라 상기 창틀(10)의 모양이 조금씩 가변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보강부재(30)는 상기 하부레일홈(25)에서 이탈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36)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부재(30)를 상기 창틀(10)에 고정시킨다.
상기 나사(36)를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기 제2수평부(34)에 체결한 후 이를 계속 밀어 넣어 상기 제1수평부(32)에 체결하고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36)는 상기 하부레일홈(25)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내부프레임(22)에 결합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하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기 제2수평부(34)는 상기 나사(36)에 의해 밀려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수평부(34)는 상기 수직부(33)를 상기 하부레일홈(25)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게 된다.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수직부(33)는 상기 하부레일홈(25)의 측면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상기 내부프레임(22)을 바깥쪽으로 미는 힘을 작용하기 때문에, 유리 등의 하중에 의해 상기 내부프레임(22)이 안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창틀, 11 : 하부레일,
20 : 창문, 21 : 외부프레임, 22 : 내부프레임, 23 : 하단연결프레임, 24 : 중간연결프레임, 25 : 하부레일홈, 26 : 롤러,
30 : 보강부재, 31 : 보강본체, 32 : 제1수평부, 33 : 수직부, 34 : 제2수평부, 35 : 걸림돌기, 36 : 나사,
40 : 외곽지지부재

Claims (9)

  1. 창틀의 하부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 창문의 하부레일홈에 삽입되는 보강본체와;
    상기 보강본체를 상기 하부레일홈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본체는 상기 하부레일홈에 장착된 롤러와 롤러 사이에서 상기 하부레일홈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보강본체는,
    상면이 상기 하부레일홈의 상단에 접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하부레일홈의 측면에 대면하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하부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수직부를 서로 연결하여 양측의 상기 수직부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제2수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수직부의 외측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대면하는 상기 하부레일홈의 측면에 걸리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수평부 및 제1수평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레일홈의 상단에 결합되는 나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부는 하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나사의 결합시 하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2수평부는 상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수직부를 상기 하부레일홈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하단은 상기 제2수평부보다 하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6. 하부레일이 형성된 창틀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하부레일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며, 상기 하부레일홈에는 다수개의 롤러가 장착된 창문과;
    상기 하부레일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하부레일홈의 외곽을 감싸면서 상기 창틀의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재질의 외곽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하부레일홈에 장착된 상기 롤러와 롤러 사이에서 상기 하부레일홈에 장착되고, 상기 하부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강본체와;
    상기 보강본체를 상기 하부레일홈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본체는,
    상면이 상기 하부레일홈의 상단에 접하는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양측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하부레일홈의 측면에 대면하는 한 쌍의 수직부와;
    상기 제1수평부의 하부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상기 수직부를 서로 연결하여 양측의 상기 수직부가 안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제2수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수평부의 하부에 상기 하부레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창문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롤러를 상기 창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창문의 하단이 상기 창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될 경우,
    상기 롤러의 상승에 의해 상기 창문이 최대 하강하였을 때 상기 제2수평부의 하면은 상기 하부레일의 상단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8.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수평부 및 제1수평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레일홈의 상단에 결합되는 나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수평부는 하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의 결합시 하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2수평부는 상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상기 수직부를 상기 하부레일홈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9.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창문은,
    단면이 '┌┐'형상의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외부프레임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하단연결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안쪽에 배치되면서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외측면을 서로 연결하는 중간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부프레임의 안쪽에는 하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하부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내부프레임의 내측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외곽지지부재는 상기 외부프레임, 내부프레임 및 중간연결프레임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수평부는 상기 중간연결프레임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KR1020230044404A 2023-04-04 2023-04-04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KR102536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404A KR102536394B1 (ko) 2023-04-04 2023-04-04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404A KR102536394B1 (ko) 2023-04-04 2023-04-04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394B1 true KR102536394B1 (ko) 2023-05-26

Family

ID=8653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404A KR102536394B1 (ko) 2023-04-04 2023-04-04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3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695A (ko) 2005-08-19 2007-02-23 이화선 창문용 프레임
KR101511823B1 (ko) 2012-09-04 2015-04-1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의 단열 및 강도 보강구조
JP2022046817A (ja) * 2016-07-20 2022-03-23 三協立山株式会社 二重建具及び室内側建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695A (ko) 2005-08-19 2007-02-23 이화선 창문용 프레임
KR101511823B1 (ko) 2012-09-04 2015-04-13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의 단열 및 강도 보강구조
JP2022046817A (ja) * 2016-07-20 2022-03-23 三協立山株式会社 二重建具及び室内側建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90037A (en) Prefabricated door and frame assembly
CA1110820A (en) Wall partition assembly
KR102123690B1 (ko) 창호브라켓
CA2500143A1 (en) Injection molded jamb supports for a sill assembly
US10196854B2 (en) Door seal with two sealing planes
JPH09209658A (ja) 枠部材の押縁取付構造
AU2018226421A1 (en) A window stay
EP0028831A1 (en) Window sash assembly
KR102536394B1 (ko) 슬라이드 창문용 보강부재 및 이것이 구비된 슬라이드 창호
KR102200708B1 (ko)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KR101404706B1 (ko) 창호용 필링피스
US4057937A (en) Window sash assembly
US5095672A (en) Windowsill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JP6769800B2 (ja) 建具
KR101932657B1 (ko) 행거도어의 레일결합구조
KR102422652B1 (ko) 슬라이드 도어용 프레임 체결구
US6176292B1 (en) Door with automatic misalignment accommodating finger guard
JP2624448B2 (ja) 改窓方法
JP6861576B2 (ja) 建具
JP4823108B2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US20040111972A1 (en) Sill-free door with lowerable seal
CN213510191U (zh) 一种推拉门扇防摆端盖
EP2211009B1 (en) Outwardly opening window assembly
CN219427907U (zh) 一种车门玻璃零阶差升降结构及具有其的车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