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240B1 -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240B1
KR101139240B1 KR1020110128488A KR20110128488A KR101139240B1 KR 101139240 B1 KR101139240 B1 KR 101139240B1 KR 1020110128488 A KR1020110128488 A KR 1020110128488A KR 20110128488 A KR20110128488 A KR 20110128488A KR 101139240 B1 KR101139240 B1 KR 10113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ck gear
deflection
split
preven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국
Original Assignee
(주)관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관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관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12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2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revolv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짐방지기구를 문틀과 도어의 상부에 설치하도록 하여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매립형구조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문틀(22)(24)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22g)(24g)에 삽입되는 분할케이스(30)(40)에 직선안내홈(31)(41)을 형성하고, 직선안내홈(31)(41)에 미끄럼결합되는 슬라이더(50)의 하측에 상부랙기어(51)를 형성하며, 직선안내홈(31)(41)의 양쪽 끝부분에 분할케이스(30)(40)의 내부공간(30s)(40s)으로 이어지는 에어배출구(31a)(31b)(41a)를 형성하고, 도어(20)의 상단에 하부랙기어(60)를 설치하며, 상부랙기어(51)와 하부랙기어(60) 사이에 치합되는 피니언(70)을 분할케이스(30)(40)에 지지된 핀(72)에 설치하고, 슬라이더(5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행거암(52)의 하단에 처짐방지핀(53)을 설치하며, 처짐방지핀(53)을 안내하기 위한 반원홈(33)(43)을 분할케이스(30)(40)에 형성하고, 처짐방지핀(53)이 삽입되는 슬리브(80)를 도어(20)의 후면(20b)에 삽입하며, 처짐방지핀(53)의 중심에 에어벤트홀(54)을 형성하고, 분할케이스(30)(40)의 하부에 행거암(52)의 하단에 형성된 회전방지미끄럼부(55)의 좌우측면에 접촉되는 리브(34)(44)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Protection Structure of Dropping of Swing Type Door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용하는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처짐방지기구를 문틀과 도어의 상부에 설치하도록 하여 통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매립형구조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출입구에 시공되어 있는 여닫이형 도어는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개폐되는 도어로서, 일측에 설치된 경첩을 중심으로 큰 원을 그리면서 회전되어 열리고 닫히게 되는데, 비교적 무거운 도어의 하중이 경첩에 외팔보 형태로 집중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될수록 도어가 약간씩 밑으로 처지면서 도어정의 맞물림을 부정확하게 하고 문틀과 도어의 틈새가 좁아져 도어의 개폐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여닫이형 도어의 구조를 첨부도면 도1에 나타내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사각틀 형태의 문틀(11)에 도어(10)의 일측이 경첩(12)으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그 반대편에는 손잡이가 달린 도어정(13)이 설치되어 있었고, 도어정(13)으로부터 문틀(11)을 향해 출몰하는 도어래치(14)가 걸리는 걸림편(도시않됨)이 문틀(11)의 안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도어(10)와 문틀(11) 사이에는 도어(10)를 열고 닫을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약간의 틈이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일반적인 여닫이형 도어는 건축물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그 무게가 점진적으로 무거워져 수십Kg 정도에 달하는 것도 일반화되어 있으며, 시공 초기에는 도어(10)와 문틀(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하지만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무거운 도어(10)의 자중에 의해 경첩(12)의 반대편이 아래쪽으로 처지면서 문틀(11)과 도어(10)의 틈새를 변화시켜 도어(10)의 개폐를 어렵게 하거나 도어정(13)의 맞물림을 부정확하게 하여 도어(10)를 닫을 수 없게 되는 하자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출원번호 제20-2001-0038835호로 “여닫이문의 처짐방지구”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문틀의 아래쪽에 턱부위에 도어의 밑부분을 지지해 주는 롤러를 설치하여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의 밑부분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처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도어의 밑부분이 롤러에 직접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높아지면서 도어의 아래쪽 모서리부분이 마모되면서 도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롤러의 높이만큼 문틀과 도어의 틈새를 크게 설정하여야 되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아 적용하기가 매우 곤란하였고, 롤러가 문틀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행시 바지 자락에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매립형 구조로 하여 문틀과 도어의 틈새를 최소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도어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지 않고, 통행시 걸리거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좌우로 분할되어 문틀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분할케이스의 내측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한 직선안내홈을 형성하고, 직선안내홈에 미끄럼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더의 하측에 상부랙기어를 형성하며, 직선안내홈의 양쪽 끝부분에 분할케이스의 내부공간으로 이어지는 에어배출구를 형성하고, 도어의 상단에 형성된 장방형의 삽입홈에 하부랙기어를 설치하며, 상부랙기어와 하부랙기어 사이에 치합되어 하부랙기어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부랙기어로 전달하는 피니언을 양측 분할케이스를 좌우로 관통하는 핀에 설치하여 분할케이스에 형성된 기어노출부를 통해 하방으로 일부 돌출되게 설치하고, 슬라이더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행거암의 하단에서 전방측을 향해 처짐방지핀을 수평하게 설치하며, 처짐방지핀을 안내하기 위한 반원홈을 분할케이스의 분할면에 형성하고, 처짐방지핀이 삽입되는 슬리브를 도어의 후면에 형성된 자리파기구멍에 삽입하며, 처짐방지핀의 중심에 에어벤트홀을 형성하고, 분할케이스의 하부에 행거암의 하단에 형성된 회전방지미끄럼부의 좌우측면에 접촉되는 리브를 형성하여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가 닫혔을 때 도어를 지지하는 처짐방지핀이 도어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슬리브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이 도어에 직접 접촉되지 않아 도어의 표면이나 모서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케이스가 문틀에 형성된 절개홈에 매립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슬리브는 도어의 후면에 형성된 자리파기구멍에 삽입되며, 얇게 만들 수 있는 하부랙기어는 도어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문틀과 도어간의 틈새를 최소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구성품들은 문틀과 도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통행시 간섭이 없고 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여닫이형 도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정면좌측상부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배면우측저면에서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처짐방지핀이 슬리브에 진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도어가 열리고 있는 상태에서 처짐방지핀이 슬리브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분할케이스와 문틀의 결합부위 및 하부랙기어와 슬리브의 도어결합부위를 보이기 위해 문틀과 도어를 절개하여 보인 배면측 단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분할케이스와 문틀의 결합부위 및 하부랙기어와 슬리브의 도어결합부위를 보이기 위해 문틀과 도어를 절개하여 보인 정면측 단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이 도어와 문틀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분할되어 문틀(22)(24)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22g)(24g)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분할케이스(30)(40)의 내측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한 직선안내홈(31)(41)을 형성하고, 직선안내홈(31)(41)에 미끄럼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더(50)의 하측에 상부랙기어(51)를 형성하며, 직선안내홈(31)(41)의 양쪽 끝부분에 분할케이스(30)(40)의 내부공간(30s)(40s)으로 이어지는 에어배출구(31a)(31b)(41a)를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더(50)는 “T”자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여 분할케이스(30)(40)에 형성되어 있는 직선안내홈(31)(41)에서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되도록 한다.
또한, 도어(20)의 상단에 형성된 장방형의 삽입홈(20g)에 하부랙기어(60)를 설치하며, 상부랙기어(51)와 하부랙기어(60) 사이에 치합되어 하부랙기어(60)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부랙기어(51)로 전달하는 피니언(70)을 양측 분할케이스(30)(40)를 좌우로 관통하는 핀(72)에 설치하여 분할케이스(30)(40)에 형성된 기어노출부(32)(42)를 통해 하방으로 일부 돌출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하부랙기어(60)를 도어(20)의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20g)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하부랙기어(60)를 삽입홈(20g)에 삽입하기 전에 삽입홈(20g)에 접착제를 일정량 주입한 상태에서 하부랙기어(60)를 삽입홈(20g)에 삽입하고 적정시간 방치함으로써 하부랙기어(60)가 삽입홈(20g)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여닫이형 도어(20)가 경첩(26)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기 때문에 하부랙기어(60)와 피니언(70)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하부랙기어(60)와 피니언(70)의 맞물림 공차를 크게 하여 헐겁게 맞물리도록 하거나 하부랙기어(60)와 피니언(70)의 치형을 도어(20)의 회전반경에 맞는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 슬라이더(5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행거암(52)의 하단에서 전방측을 향해 처짐방지핀(53)을 수평하게 설치하며, 처짐방지핀(53)을 안내하기 위한 반원홈(33)(43)을 분할케이스(30)(40)의 분할면(30p)(40p)에 형성하고, 처짐방지핀(53)이 삽입되는 슬리브(80)를 도어(20)의 후면(20b)에 형성된 자리파기구멍(20h)에 삽입하며, 처짐방지핀(53)의 중심에 에어벤트홀(54)을 형성하고, 분할케이스(30)(40)의 하부에 행거암(52)의 하단에 형성된 회전방지미끄럼부(55)의 좌우측면에 접촉되는 리브(34)(44)를 형성한다.
상기 슬리브(80)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또는 자기윤활성을 갖는 테프론계열의 수지, 오일이 함침된 오일리스황동으로 제작하여 처짐방지핀(53)이 출입할 때 마찰력을 줄여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며, 내마모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직선운동하는 처짐방지핀(53)과 도어(20)에 의해 큰 회전반경을 갖고 회전운동하는 슬리브(80)간의 간섭을 예상하여 슬리브(80)와 처짐방지핀(53)을 헐겁게 결합되도록 하며, 이 경우 처짐방지핀(53)의 외측 상단 정점과 슬리브(80)의 내측 상단정점이 일치되도록 설치하면 처짐방지핀(53)에 의해 지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할케이스(30)(40)는 복수의 체결공(35)(45)을 형성하여 볼트(46)와 너트(36)에 의해 결합할 수 있으며, 내부에 부품들을 조립한 상태에서 초음파융착, 접착 등에 의해 영구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조립된 분할케이스(30)(40)를 문틀(22)(24)에 형성된 절개홈(22g)(24g)에 고정하기 위해 두 개로 이루어져 있는 문틀(22)(24)을 조립하기전 절개홈(22g)(24g)에 접착제를 주입한 다음 조립된 분할케이스(30)(40)를 각각의 절개홈(22g)(24g)에 삽입한 다음 문틀(22)(24)을 조립한다.
상기 슬리브(80)를 자리파기구멍(20h)에 삽입할 때 공기가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80)의 후단 중심에 공기배출구멍(80a)을 형성하며, 슬리브(80)를 자리파기구멍(20h)에 삽입하기 전 슬리브(80)의 외측면과 자리파기구멍(20h)의 내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삽입하여 슬리브(80)가 자리파기구멍(20h)에 영구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슬라이더(50)와 회전방지미끄럼부(55)에는 움직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분할케이스(30)(40)에 형성된 직선안내홈(31)(41)과 리브(34)(44)에 구리스를 주입한 상태에서 조립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7은 손잡이가 달린 도어정을 나타낸 것이고, 28은 도어래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2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5의 화살표방향인 후방측을 향해 닫게 되면, 도어(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랙기어(60)가 문틀(22)(24)에 진입되는 과정에서 피니언(70)에 맞물리게 되며, 피니언(70)는 도어(20)가 계속해서 닫힐 때 도어(20)의 움직임에 의해 도5의 화살표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피니언(70)의 상측에 맞물려 있던 상부랙기어(51)가 도5의 화살표 방향인 전방측을 향해 움직이게 되고 동시에 상부랙기어(51)와 일체로 되어 있는 슬라이더(50)가 분할케이스(30)(40)에 형성되어 있는 직선안내홈(31)(41)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방측을 향해 수평하게 움직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슬라이더(5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행거암(52)과 처짐방지핀(53) 및 회전방지미끄럼부(55)가 슬라이더(50)와 동시에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처짐방지핀(53)이 분할케이스(30)(40)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홈(33)(43)을 통과하여 도어(20)가 위치된 전방측을 향해 돌출되면서 도어(20)의 후면(20b)에 설치되어 있는 슬리브(80)의 구멍으로 삽입된다.
또, 행거암(5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방지미끄럼부(55)는 분할케이스(30)(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34)(44)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행거암(52)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처짐방지핀(53)이 반원홈(33)(43)으로 정확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게 된다.
위와 같이 도어(2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도어(20)의 자중에 의해 처짐방지핀(53)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는데, 이때 처짐방지핀(53)이 슬라이더(50)와 회전방지미끄럼부(55)에 의해 분할케이스(30)(40)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고, 분할케이스(30)(40)는 문틀(22)(24)에 형성된 절개홈(22g)(24g)에 견고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20)가 처짐방지핀(53)에 의해 지지되어 경첩(26)에 가해지는 하중이 덜어지게 되고, 동시에 도어(20)의 처짐이 방지된다.
이후 도어(20)를 첨부도면 도6의 화살표방향인 후방측을 향해 개방하게 되면, 하부랙기어(60)에 맞물려 있는 피니언(70)이 도6의 화살표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피니언(70)의 상측에 맞물려 있는 상부랙기어(51)가 도6의 화살표방향인 후방측을 향해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부랙기어(51)와 일체로 되어 있는 슬라이더(50)에 의해 상부랙기어(51)와 행거암(52), 처짐방지핀(53), 회전방지미끄럼부(55)가 후방측을 향해 수평하게 직선운동되며, 처짐방지핀(53)은 분할케이스(30)(40)에 형성되어 있는 반원홈(33)(43)을 통해 안내되면서 분할케이스(30)(40)의 내부로 거의 대부분 진입된다.
또한, 도어(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하부랙기어(60)가 피니언(70)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게 되면, 피니언(70)은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어 피니언(70)와 상부랙기어(51)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도어(20)가 다시 닫힐 때 맞물리는 시점에서 구동된다.
한편, 처짐방지핀(53)이 슬리브(80) 안쪽으로 진입되거나 슬리브(80)로부터 빠져나오는 과정에서 슬리브(80)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거나 부압이 발생되어 도어(20)의 움직임에 저항을 줄 수 있는데, 이는 처짐방지핀(53)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는 에어벤트홀(54)에 의해 공기가 배출되거나 흡입되면서 저항을 줄여주게 된다.
20 : 도어 20b : 후면
20g : 삽입홈 20h : 자리파기구멍
22,24 : 문틀 22g,24g : 절개홈
26 : 경첩 27 : 도어정
28 : 도어래치 30,40 : 분할케이스
30s,40s : 내부공간 30p,40p : 분할면
31,41 : 직선안내홈 31a,31b,41a : 에어배출구
32,42 : 기어노출부 33,43 : 반원홈
34,44 : 리브 35,45 : 체결공
36 : 너트 46 : 볼트
50 : 슬라이더 51 : 상부랙기어
52 : 행거암 53 : 처짐방지핀
54 : 에어벤트홀 55 : 회전방지미끄럼부
60 : 하부랙기어 70 : 피니언
72 : 핀 80 : 슬리브
80a : 공기배출구멍

Claims (1)

  1. 문틀(22)(24)의 상부에 형성된 절개홈(22g)(24g)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분할케이스(30)(40)의 내측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한 직선안내홈(31)(41)을 형성하고, 직선안내홈(31)(41)에 미끄럼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되는 슬라이더(50)의 하측에 상부랙기어(51)를 형성하며, 직선안내홈(31)(41)의 양쪽 끝부분에 분할케이스(30)(40)의 내부공간(30s)(40s)으로 이어지는 에어배출구(31a)(31b)(41a)를 형성하고, 도어(20)의 상단에 형성된 장방형의 삽입홈(20g)에 하부랙기어(60)를 설치하며, 상부랙기어(51)와 하부랙기어(60) 사이에 치합되어 하부랙기어(60)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상부랙기어(51)로 전달하는 피니언(70)을 양측 분할케이스(30)(40)를 좌우로 관통하는 핀(72)에 설치하여 분할케이스(30)(40)에 형성된 기어노출부(32)(42)를 통해 하방으로 일부 돌출되게 설치하고, 슬라이더(5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행거암(52)의 하단에서 전방측을 향해 처짐방지핀(53)을 수평하게 설치하며, 처짐방지핀(53)을 안내하기 위한 반원홈(33)(43)을 분할케이스(30)(40)의 분할면(30p)(40p)에 형성하고, 처짐방지핀(53)이 삽입되는 슬리브(80)를 도어(20)의 후면(20b)에 형성된 자리파기구멍(20h)에 삽입하며, 처짐방지핀(53)의 중심에 에어벤트홀(54)을 형성하고, 분할케이스(30)(40)의 하부에 행거암(52)의 하단에 형성된 회전방지미끄럼부(55)의 좌우측면에 접촉되는 리브(34)(44)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KR1020110128488A 2011-12-02 2011-12-02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KR101139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488A KR101139240B1 (ko) 2011-12-02 2011-12-02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488A KR101139240B1 (ko) 2011-12-02 2011-12-02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240B1 true KR101139240B1 (ko) 2012-05-14

Family

ID=4627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488A KR101139240B1 (ko) 2011-12-02 2011-12-02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24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144B1 (ko) 2012-06-18 2012-09-07 (주)투에이치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KR101384202B1 (ko) 2013-11-21 2014-04-10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579858B1 (ko) 2015-11-26 2015-12-23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도어처짐 방지장치
KR101654051B1 (ko) 2016-08-03 2016-09-05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882212B1 (ko) 2018-03-21 2018-07-26 (주)에이비라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891097B1 (ko) 2018-03-26 2018-08-23 김환성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982099B1 (ko) 2018-12-24 2019-05-24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의 처짐 방지장치
KR102601792B1 (ko) 2023-07-11 2023-11-14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79B1 (ko) 2003-07-29 2005-12-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도어 래치
KR200447256Y1 (ko) 2007-12-21 2010-01-12 동일테크노타운 7차 협회 유한회사 도어 지지 바퀴 장치
KR20100125814A (ko) * 2009-05-21 2010-12-01 이봉학 내풍압 기능을 갖는 처짐방지 장치
JP2011045979A (ja) 2009-08-28 2011-03-10 Howa Mach Ltd 引戸式片開き2枚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279B1 (ko) 2003-07-29 2005-12-09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도어 래치
KR200447256Y1 (ko) 2007-12-21 2010-01-12 동일테크노타운 7차 협회 유한회사 도어 지지 바퀴 장치
KR20100125814A (ko) * 2009-05-21 2010-12-01 이봉학 내풍압 기능을 갖는 처짐방지 장치
JP2011045979A (ja) 2009-08-28 2011-03-10 Howa Mach Ltd 引戸式片開き2枚扉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144B1 (ko) 2012-06-18 2012-09-07 (주)투에이치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KR101384202B1 (ko) 2013-11-21 2014-04-10 주식회사 건보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579858B1 (ko) 2015-11-26 2015-12-23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도어처짐 방지장치
KR101654051B1 (ko) 2016-08-03 2016-09-05 (주)종합건축사사무소환경건축 공동주택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882212B1 (ko) 2018-03-21 2018-07-26 (주)에이비라인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891097B1 (ko) 2018-03-26 2018-08-23 김환성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101982099B1 (ko) 2018-12-24 2019-05-24 (주)플랜에이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도어의 처짐 방지장치
KR102601792B1 (ko) 2023-07-11 2023-11-14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건축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240B1 (ko) 건축용 여닫이형 도어의 처짐방지 구조
KR101037681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 개폐장치
KR20160105864A (ko) 슬라이딩 도어 클로저 세트
KR100838189B1 (ko) 비매설 형태로 된 도어용 유압식 힌지장치
ES2569062T3 (es) Aparato de cocción
US9115928B2 (en) Home appliance comprising a transfer element between a body and a door thereof
US20160362922A1 (en) Track Corner Connecting Device For Shower Door, Shower Door Frame And Shower Door
KR200417213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KR101249704B1 (ko) 욕실 수납장용 미닫이 문의 개폐장치
KR200427606Y1 (ko) 공작기계용 슬라이드 도어장치
KR100765878B1 (ko) 분진 방지형 경첩
KR100937628B1 (ko) 친자연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TW200745436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afety gates
KR20110058762A (ko) 환기창의 셔터 개폐장치
KR200472253Y1 (ko) 슬림형 창문 프레임을 위한 삽입형 롤러부
EP2044276A1 (en) Handle, particularly window handle
WO2010001350A1 (en) Vehicle door systems
KR101195214B1 (ko) 도어에 매설되는 경첩
KR101552544B1 (ko) 슬라이딩창 밀착용 롤러조립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KR101616092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고정 브래킷
KR101431959B1 (ko) 반자동 개폐식 도어의 슬라이딩 연결장치
KR20140013651A (ko)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그리고 이의 설치방법
KR20090012308U (ko) 창문
KR20110092999A (ko) 창문자동 개폐장치
JP6230490B2 (ja) 引戸の隙間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