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568B1 -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 - Google Patents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568B1
KR102601568B1 KR1020230074173A KR20230074173A KR102601568B1 KR 102601568 B1 KR102601568 B1 KR 102601568B1 KR 1020230074173 A KR1020230074173 A KR 1020230074173A KR 20230074173 A KR20230074173 A KR 20230074173A KR 102601568 B1 KR102601568 B1 KR 102601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visitors
viewing
fish
rept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사람들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람들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사람들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23007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9Floating structures with underwater viewing devices, e.g. with windows ; Arrangements on floating structures of underwater viewing devices, e.g. on b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4/565Accessories, e.g. sticks for water wal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쿠아리움의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관람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에 경사부(11)가 전방 상부에서 후방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체(10), 상기 선체(10)의 상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관리자 또는 다수의 관람객이 상기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핸드레일(20), 관람객이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관람할 수 있도록 선체(10)의 저면에 나사 결합되는 투시창(25), 상기 선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선체(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쿠션부재(30), 상기 선체(10)의 상면 전방 및 후방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선체(10) 이동 시, 크레인으로 상기 선체(10)를 들어올리기 위한 고리부재(35), 상기 선체(10)의 저면 양측에 다수 설치되어, 관람객이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메인 수조의 내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40) 및 상기 선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 수조의 상부에 구비된 조명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투시창(25)에 비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45)를 포함하고, 상기 투시창(25)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25)의 두께는 다수의 관람객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10) 바닥의 두께의 5배 이상 6배 이하이고, 상기 선체(10) 바닥의 두께는 상기 수용 공간(12)의 내측 상면에서 상기 선체(10)의 저면까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Boat for viewing the aquarium main water tank}
본 발명은 관람용 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다수의 관람객이 탑승하여, 선체의 바닥에 결합된 투시창을 통해 아쿠아리움의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관람하기 위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에 관한 것이다.
아쿠아리움은 수생 생물이 살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여, 다수의 관람객이 수생 생물의 생태 및 습성을 관람할 수 있는 대형 수족관을 의미한다. 아쿠아리움은 수생 생물을 사육, 연구 및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자연과 인간을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초기의 아쿠아리움은 단순하거나, 수생 생물이 종별로 분리된 형태로 전시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아쿠아리움은 바다의 생생한 모습을 전달하고자, 다양한 수조 및 생태 환경이 함께 전시되고 있다. 최근 들어, 아쿠아리움은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로서, 다양한 종류의 수생 생물이 함께 어우러진 형태를 보이고 있다.
기존의 아쿠아리움에서는 관람객이 대형 수조의 하부에 길게 형성된 수중 터널을 이동하며, 수중 터널의 양측면 또는 굴곡진 상면을 통해 상어, 거북이, 해파리 등 다양한 수생 생물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아쿠아리움에서는 관람객이 메인 수조의 측면을 이동하며, 메인 수조의 측면을 통해 다양한 수생 생물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아쿠아리움에서는 관람객이 수생 생물의 가까이에서 수생 생물에게 직접 먹이를 주며, 수생 생물을 관찰할 수 있는 체험 시설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8-0123320 A KR 10-2015-001208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관람객이 탑승하여, 선체의 바닥에 결합된 투시창을 통해 아쿠아리움의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관찰할 수 있는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는 아쿠아리움의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관람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는 전방에 경사부(11)가 전방 상부에서 후방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체(10), 상기 선체(10)의 상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관리자 또는 다수의 관람객이 상기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핸드레일(20), 관람객이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관람할 수 있도록 선체(10)의 저면에 나사 결합되는 투시창(25), 상기 선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선체(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쿠션부재(30), 상기 선체(10)의 상면 전방 및 후방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선체(10) 이동 시, 크레인으로 상기 선체(10)를 들어올리기 위한 고리부재(35), 상기 선체(10)의 저면 양측에 다수 설치되어, 관람객이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메인 수조의 내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40) 및 상기 선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 수조의 상부에 구비된 조명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투시창(25)에 비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45)를 포함하고, 상기 투시창(25)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25)의 두께는 다수의 관람객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10) 바닥의 두께의 5배 이상 6배 이하이고, 상기 선체(10) 바닥의 두께는 상기 수용 공간(12)의 내측 상면에서 상기 선체(10)의 저면까지의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체(10)는 상면에 관리자 및 다수의 관람객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2)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선체(10)는 상면 전방에 관리자가 착석 가능한 착석부(13)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12)은 전방 하부에 관리자가 발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4)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12)은 후방 하부에 관리자 및 다수의 관람객이 상기 선체(10)로 탑승 시, 발을 디딜 수 있는 탑승부(15)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12)은 하부 양측에 다수의 관람객이 착석 가능한 벤치부(16)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탑승부(15)는 전방 상부에 상기 탑승부(15)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12)은 내측 상면에 관통부(12a)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20)은 관리자가 상기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선체(10)의 상면 전방에 다수 구비되는 전방 핸드레일(21), 관리자 또는 다수의 관람객이 상기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선체(10)의 상면 후방에 다수 구비되는 후방 핸드레일(22), 다수의 관람객이 상기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선체(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사이드 핸드레일(23) 및 다수의 관람객이 상기 선체(10)로 탑승 시,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탑승부(15)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핸드레일(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45)는 상기 선체(10)의 상면 양측에 다수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대(46) 및 상기 지지대(46)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막(4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에서는 다수의 관람객이 탑승하여, 선체의 바닥에 결합된 투시창을 통해 아쿠아리움의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에서는 선체의 바닥에 형성된 투시창을 통해 물 위를 걷는 듯한 스릴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류 또는 파충류에게 먹이를 주며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에서는 선체의 투시창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일한 투명 아크릴 소재로 제작되어, 다수의 관람객이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선명하고, 면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후방에서 바라본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선체의 바닥 및 투시창과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차단부재가 설치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벤치부의 내측에 보관부가 형성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벤치부의 상부에 다수의 커버가 설치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부, 투과창 및 망원경 시스템이 구비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의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망원경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6는 급이홀 및 급이 장치에 대한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축소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는 아쿠아리움의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관람하기 위해 적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는 선체(10), 핸드레일(20), 투시창(25), 쿠션부재(30), 고리부재(35), 발광부(40) 및 차단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후방에서 바라본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선체(10)의 전방에는 경사부(11)가 전방 상부에서 후방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핸드레일(20)은 선체(10)의 상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관리자 또는 다수의 관람객이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투시창(25)은 관람객이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관람할 수 있도록 선체(10)의 저면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투시창(25)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투시창(25)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형성된다.
도 5는 선체(10)의 바닥 및 투시창(25)과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시창(25)의 두께는 다수의 관람객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선체(10) 바닥의 두께의 5배 이상 6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선체(10) 바닥의 두께는 수용 공간(12)의 내측 상면에서 선체(10)의 저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투시창(25)의 두께는 3mm 이상 5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쿠션부재(30)는 선체(10)와 다른 구조물 충돌 시, 선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선체(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이때, 쿠션부재(30)의 횡단면은 ㄱ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쿠션부재(30)는 고무 또는 스펀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리부재(35)는 선체(10)의 상면 전방 및 후방에 다수 설치되어, 선체(10) 이동 시, 크레인으로 선체(10)를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리부재(35)는 원형 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은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저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광부(40)는 선체(10)의 저면 양측에 다수 설치되어, 관람객이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메인 수조의 내부를 향해 빛을 조사한다. 이때, 발광부(40)는 LED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차단부재(45)가 설치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정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차단부재(45)는 선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 수조의 상부에 구비된 조명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시창(25)에 비치는 것을 차단한다.
선체(10)의 상부에서 빛이 조사되어, 투시창(25)에 비치는 경우, 어류 또는 파충류를 관찰하는 관람객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 차단부재(45)는 투시창(25)에 빛이 비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관람객은 투시창(25)을 통해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한편, 선체(10)의 상면에는 관리자 및 다수의 관람객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2)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수용 공간(12)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선체(10)의 상면 전방에는 관리자가 착석 가능한 착석부(13)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 공간(12)의 전방 하부에는 관리자가 발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4)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거치부(14)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 공간(12)의 후방 하부에는 관리자 및 다수의 관람객이 선체(10)로 탑승 시, 발을 디딜 수 있는 탑승부(15)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탑승부(15)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 공간(12)의 하부 양측에는 다수의 관람객이 착석 가능한 벤치부(16)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벤치부(16)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탑승부(15)의 전방 상부에는 상기 탑승부(15)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7)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보강부(17)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보강부(17)의 단면은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탑승부(15) 및 보강부(17)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 공간(12)의 내측 상면에는 관통부(12a)가 관통 형성된다. 이때, 관통부(12a)는 상부에 바라본 경우,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착석부(13)의 상면 중앙에는 관리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논슬립 패드(13a)가 장착된다.
한편, 거치부(14)의 상면에는 관리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 논슬립 패드(14a)가 다수 장착된다.
그리고, 탑승부(15)의 상면 중앙 및 보강부(17)의 상면에는 관람객이 선체(10)에 탑승 시, 관람객의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 논슬립 패드(15a)가 장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핸드레일(20)은 전방 핸드레일(21), 후방 핸드레일(22), 사이드 핸드레일(23) 및 가이드 핸드레일(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전방 핸드레일(21)은 관리자가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체(10)의 상면 전방에 다수 구비된다. 이때, 전방 핸드레일(21)은 ㄷ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전방 핸드레일(21)은 원형 파이프의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 핸드레일(22)는 관리자 또는 다수의 관람객이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체(10)의 상면 후방에 다수 구비된다. 이때, 후방 핸드레일(22)는 전방 핸드레일(21)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후방 핸드레일(22)는 원형 파이프의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사이드 핸드레일(23)은 다수의 관람객이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선체(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사이드 핸드레일(23)은 원형 파이프의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핸드레일(24)는 다수의 관람객이 선체(10)로 탑승 시,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탑승부(15)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가이드 핸드레일(24)는 ㄱ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핸드레일(24)는 원형 파이프의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전방 핸드레일(21)의 상부에는 제1 수평부재(21a)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수평부재(21a)의 양단에는 제1 수직부재(21b)가 하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때, 제1 수직부재(21b)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수직부재(21b)의 하단은 선체(10)의 상면 전방에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후방 핸드레일(22)의 상부에는 제2 수평부재(22a)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수평부재(22a)의 양단에는 제2 수직부재(22b)가 하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때, 제2 수직부재(22b)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수직부재(22b)의 하단은 선체(10)의 상면 후방에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사이드 핸드레일(23)은 굴곡부재(23a) 및 상하부재(2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굴곡부재(23a)는 사이드 핸드레일(23)의 상부에 구비되고,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굴곡부재(23a)의 일단 및 타단은 선체(10)의 상면에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상하부재(23b)는 굴곡부재(23a)의 하부에 다수 구비되어, 굴곡부재(23a)를 지지한다. 이때, 상하부재(23b)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하부재(23b)의 상단은 굴곡부재(23a)의 하부에 용접 결합되고, 상하부재(23b)의 하단은 선체(10)의 상면에 용접 결합된다.
그리고, 가이드 핸드레일(24)의 상부에는 수평대(24a)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수평대(24a)의 전단에는 수직대(24b)가 하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수평대(24a)의 후단은 후방 핸드레일(22)의 제2 수평부재(22a)의 상부에 용접 결합되고, 수직대(24b)의 하단은 제3 논슬립 패드(15a)의 상면 전방에 용접 결합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차단부재(45)는 지지대(46) 및 차단막(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지지대(46)는 선체(10)의 상면 양측에 다수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대(46)는 환봉 또는 원형 파이프의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차단막(47)은 지지대(46)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는 벤치부(16)의 내측에 보관부(16c)가 형성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벤치부(16)의 상부에 다수의 커버(16d)가 설치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벤치부(16)의 상면에는 보관 공간(16a)이 함몰 형성된다. 이때, 보관 공간(16a)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보관 공간(16a)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된 다수의 격벽(16b)에 의해 관람객의 소지품 또는 기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다수의 보관부(16c)로 구분된다. 이때, 격벽(16b)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관부(16c)는 벤치부(16)의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선체(10)의 부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보관부(16c)의 상부에는 상기 보관부(16c)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16d)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16d)는 여닫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디스플레이부(50), 투과창(55) 및 망원경 시스템(60)이 구비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의 좌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는 디스플레이부(50), 투과창(55) 및 망원경 시스템(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부(50)는 선체(10)의 좌측 상부에 구비되어, 어류 또는 파충류의 명칭, 특징 및 생태를 영상, 소리 및 문자로 각각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투과창(55)은 관람객이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확대하여 관람할 수 있도록 선체(10)의 저면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투과창(55)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투과창(55)의 상부에는 선체(10)의 저면에 나사 결합되는 판재부(56)가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판재부(56)의 하부 중앙에는 어류 또는 파충류의 형상을 확대시키기 위한 렌즈부(57)가 하부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때, 렌즈부(57)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관람객은 투과창(55)의 렌즈부(57)를 통해 어류 또는 파충류의 확대된 형상을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망원경 시스템(60)은 관람객이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크게 관찰할 수 있도록 투과창(55)의 상부에 구비된다.
도 14는 망원경 시스템(60)의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망원경 시스템(60)은 제1 베이스부(61), 제2 베이스부(62), 제1 지지부(63), 제2 지지부(64), 샤프트(65) 및 망원경(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베이스부(61)는 투과창(55)의 상면에 구비되고, 제2 베이스부(62)는 제1 베이스부(61)의 타측에 구비된다. 이때, 제1 베이스부(61)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베이스부(62)는 제1 베이스부(6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지지부(63)는 제1 베이스부(61)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제1 지지부(63)는 사각바 또는 사각 파이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지지부(64)는 제2 베이스부(62)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제2 지지부(64)는 제1 지지부(63)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샤프트(65)는 제1 지지부(63) 및 제2 지지부(64)의 사이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샤프트(65)는 환봉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망원경(66)은 샤프트(65)의 중앙에 구비되어, 샤프트(65)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망원경(66)의 회전 각도는 -30도 이상 3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람객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망원경(66)을 이용하여,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크게 관찰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는 선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어류 또는 파충류가 통과하는 이동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부(70)는 제1 플레이트(71), 제2 플레이트(72) 및 굴곡부(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 플레이트(71)는 선체(1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제1 플레이트(71)는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72)는 선체(1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제2 플레이트(72)는 제1 플레이트(71)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굴곡부(73)는 제1 플레이트(71) 및 제2 플레이트(72)의 사이에 하부로 굴곡지게 구비된다. 이때, 굴곡부(73)는 굴곡진 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선체(10), 제1 플레이트(71), 제2 플레이트(72) 및 굴곡부(73)의 사이에는 어류 또는 파충류가 통과하는 이동 공간(74)이 형성된다.
관람객은 투과창(55)을 통해 이동 공간(74)을 통과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면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를 AA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선체(10)의 전면 및 후면의 상부에는 관람객이 어류 또는 파충류에게 먹이를 주기 위한 급이홀(10a)이 다수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급이홀(10a)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16는 급이홀(10a) 및 급이 장치(7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급이홀(10a)에는 먹이가 경사지게 이동하는 급이 장치(75)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급이 장치(75)의 일측에는 원판부(75a)가 형성되고, 원판부(75a)의 타측에는 급이홀(10a)에 결합되는 결합부(75b)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원판부(75a)의 일면에는 먹이가 이동하는 경사홀(75c)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원판부(75a)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부(75b)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홀(75c)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어류 또는 파충류 관람 시, 관람객은 급이 장치(75)를 통해 편리하게 먹이를 공급할 수 있고, 관람 종료 시, 관리자는 다수의 급이 장치(75)를 선체(10)로부터 각각 분리한 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에서는 다수의 관람객이 탑승하여, 선체(10)의 바닥에 결합된 투시창(25)을 통해 아쿠아리움의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가까이에서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에서는 선체(10)의 바닥에 형성된 투시창(25)을 통해 물 위를 걷는 듯한 스릴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류 또는 파충류에게 먹이를 주며 좀 더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하되,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 균등한 실시예에도 미친다 할 것이다.
5: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
10: 선체 10a: 급이홀
11: 결합부 12: 수용 공간
12a: 관통부 13: 착석부
13a: 제1 논슬립 패드 14: 거치부
14a: 제2 논슬립 패드 15: 탑승부
15a: 제3 논슬립 패드 16: 벤치부
16a: 보관 공간 16b: 격벽
16c: 보관부 16d: 커버
17: 보강부 20: 핸드레일
21: 전방 핸드레일 21a: 제1 수평부재
21b: 제1 수직부재 22: 후방 핸드레일
22a: 제2 수평부재 22b: 제2 수직부재
23: 사이드 핸드레일 23a: 굴곡부재
23b: 상하부재 24: 가이드 핸드레일
24a: 수평대 24b: 수직대
25: 투시창 30: 쿠션부재
35: 고리부재 40: 발광부
45: 차단부재 46: 지지대
47: 차단막 50: 디스플레이부
55: 투과창 56: 판재부
57: 렌즈부 60: 망원경 시스템
61: 제1 베이스부 62: 제2 베이스부
63: 제1 지지부 64: 제2 지지부
65: 샤프트 66: 망원경
70: 이동부 71: 제1 플레이트
72: 제2 플레이트 73: 굴곡부
74: 이동 공간 75: 급이 장치
75a: 원판부 75b: 결합부
75c: 경사홀

Claims (4)

  1. 아쿠아리움의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관람하기 위한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에 있어서,
    상기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5)는
    전방에 경사부(11)가 전방 상부에서 후방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선체(10);
    상기 선체(10)의 상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관리자 또는 다수의 관람객이 상기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핸드레일(20);
    관람객이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관람할 수 있도록 선체(10)의 저면에 나사 결합되는 투시창(25);
    상기 선체(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상기 선체(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쿠션부재(30);
    상기 선체(10)의 상면 전방 및 후방에 다수 설치되어, 상기 선체(10) 이동 시, 크레인으로 상기 선체(10)를 들어올리기 위한 고리부재(35);
    상기 선체(10)의 저면 양측에 다수 설치되어, 관람객이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용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메인 수조의 내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40); 및
    상기 선체(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메인 수조의 상부에 구비된 조명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투시창(25)에 비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재(45);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10)는
    상면에 관리자 및 다수의 관람객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12)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25)은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투시창(25)의 두께는
    다수의 관람객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10) 바닥의 두께의 5배 이상 6배 이하이고,
    상기 선체(10) 바닥의 두께는
    상기 수용 공간(12)의 내측 상면에서 상기 선체(10)의 저면까지의 거리이고,
    상기 선체(10)는
    상면 전방에 관리자가 착석 가능한 착석부(13)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12)은
    전방 하부에 관리자가 발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4)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12)은
    후방 하부에 관리자 및 다수의 관람객이 상기 선체(10)로 탑승 시, 발을 디딜 수 있는 탑승부(15)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12)은
    하부 양측에 다수의 관람객이 착석 가능한 벤치부(16)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탑승부(15)는
    전방 상부에 상기 탑승부(15)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 공간(12)은
    내측 상면에 관통부(12a)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핸드레일(20)은
    관리자가 상기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선체(10)의 상면 전방에 다수 구비되는 전방 핸드레일(21);
    관리자 또는 다수의 관람객이 상기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선체(10)의 상면 후방에 다수 구비되는 후방 핸드레일(22);
    다수의 관람객이 상기 선체(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선체(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사이드 핸드레일(23); 및
    다수의 관람객이 상기 선체(10)로 탑승 시, 손으로 파지 가능하도록 탑승부(15)의 상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가이드 핸드레일(24);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45)는
    상기 선체(10)의 상면 양측에 다수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대(46); 및
    상기 지지대(46)의 상부에 설치되고,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단막(47);을 포함하고,
    상기 선체(10)의 좌측 상부에 구비되어, 어류 또는 파충류의 명칭, 특징 및 생태를 영상, 소리 및 문자로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50);
    관람객이 메인 수조의 내부를 이동하는 어류 또는 파충류를 확대하여 관람할 수 있도록 상기 선체(10)의 저면에 나사 결합되는 투과창(55); 및
    관람객이 어류 또는 파충류를 보다 크게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투과창(55)의 상부에 구비되는 망원경 시스템(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과창(55)은
    상부에 상기 선체(10)의 저면에 나사 결합되는 판재부(56)가 사각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부(56)는
    하부 중앙에는 어류 또는 파충류의 형상을 확대시키기 위한 렌즈부(57)가 하부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망원경 시스템(60)은
    상기 투과창(55)의 상면에 구비되는 제1 베이스부(61);
    상기 제1 베이스부(6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 베이스부(62);
    상기 제1 베이스부(61)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부(63);
    상기 제2 베이스부(62)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지지부(64);
    상기 제1 지지부(63) 및 제2 지지부(64)의 사이에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샤프트(65); 및
    상기 샤프트(65)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65)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망원경(66);를 포함하고,
    상기 망원경(66)의 회전 각도는
    -30도 이상 30도 미만이고,
    상기 선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어류 또는 파충류가 통과하는 이동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70)는
    상기 선체(1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71);
    상기 선체(10)의 후방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72); 및
    상기 제1 플레이트(71) 및 제2 플레이트(72)의 사이에 하부로 굴곡지게 구비되는 굴곡부(73);를 포함하고,
    상기 선체(10), 제1 플레이트(71), 제2 플레이트(72) 및 굴곡부(73)의 사이에는
    어류 또는 파충류가 통과하는 이동 공간(74)이 형성되고,
    상기 선체(10)는
    전면 및 후면의 상부에 관람객이 어류 또는 파충류에게 먹이를 주기 위한 급이홀(10a)이 다수 관통 형성되고,
    상기 급이홀(10a)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기 급이홀(10a)에는
    먹이가 경사지게 이동하는 급이 장치(75)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급이 장치(75)는
    일측에 원판부(75a)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75a)는
    타측에 급이홀(10a)에 결합되는 결합부(75b)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75a)는
    일면에 먹이가 이동하는 경사홀(75c)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074173A 2023-06-09 2023-06-09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 KR102601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173A KR102601568B1 (ko) 2023-06-09 2023-06-09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4173A KR102601568B1 (ko) 2023-06-09 2023-06-09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568B1 true KR102601568B1 (ko) 2023-11-13

Family

ID=8874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173A KR102601568B1 (ko) 2023-06-09 2023-06-09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5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599A (ko) * 1973-04-30 1975-01-17
KR200255981Y1 (ko) * 2001-09-12 2001-12-13 한국수자원공사 중소댐용 부유물 수거 소형폰툰
KR20080076864A (ko) * 2008-05-16 2008-08-20 이지섭 반잠수 보트
KR20150012082A (ko) 2013-07-24 2015-0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잠수함
KR20180123320A (ko) 2017-05-08 2018-11-16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수중관람용 레저보트
KR20220108679A (ko) * 2021-01-27 2022-08-03 솔라스 사이언스 앤드 엔지니어링 컴파니 리미티드 다기능 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599A (ko) * 1973-04-30 1975-01-17
KR200255981Y1 (ko) * 2001-09-12 2001-12-13 한국수자원공사 중소댐용 부유물 수거 소형폰툰
KR20080076864A (ko) * 2008-05-16 2008-08-20 이지섭 반잠수 보트
KR20150012082A (ko) 2013-07-24 2015-0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력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잠수함
KR20180123320A (ko) 2017-05-08 2018-11-16 한국컴포짓 주식회사 수중관람용 레저보트
KR20220108679A (ko) * 2021-01-27 2022-08-03 솔라스 사이언스 앤드 엔지니어링 컴파니 리미티드 다기능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3888B1 (en) Floating construction
KR102601568B1 (ko) 아쿠아리움 메인 수조 관람용 보트
JPWO2003003822A1 (ja) 水生動物の孵化装置
US20110168102A1 (en) Aqua-avian Exhibit
US6532899B1 (en) Climbing and sunning platform for turtles and other reptiles and amphibians
US3254621A (en) Facility for viewing marine life
KR101375558B1 (ko) 다단 대형 파이프형 인공어초
US20160128301A1 (en) Modular containment system
US5031572A (en) Pet crab dwelling
JP5455212B2 (ja) 遊具装置
ES2315701T3 (es) Aparato y metodo para la cria de moluscos.
US2169941A (en) Live bait container
JPH04102670A (ja) ダイビングプール
ES2229849B1 (es) Cetarea perfeccionada.
US20050284396A1 (en) Bi-level aqua terrarium
KR101841956B1 (ko) 터널형 강제어초
KR20200065722A (ko) 부표 연결 구조
Lavery Physical factors determining spawning site selection in a Central American hole nester, Cichlasoma nigrofasciatum
JP2006111171A (ja) 灯浮標
CN220301251U (zh) 沙滩生态装置
KR100886754B1 (ko) 수납형 다각어초
KR102433430B1 (ko) 수중관광용 반잠수체
KR100291982B1 (ko) 내파성 가두리양식장
JP2003164236A (ja) 両棲動物も観られる観賞魚用水槽
US11359802B2 (en) Illuminated guide pole for a watercraft-suppor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