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490B1 -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490B1
KR102601490B1 KR1020220089671A KR20220089671A KR102601490B1 KR 102601490 B1 KR102601490 B1 KR 102601490B1 KR 1020220089671 A KR1020220089671 A KR 1020220089671A KR 20220089671 A KR20220089671 A KR 20220089671A KR 102601490 B1 KR102601490 B1 KR 102601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cam
cam body
center
ai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삼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티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티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티메탈
Priority to KR102022008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1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1/00Pump parameters
    • F04B2201/12Parameters of driving or driven means
    • F04B2201/1213Eccentricity of an outer annular c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20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 F05B2230/22Manufacture essentially without removing material by sin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6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cams or eccen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편심질량을 제공하는 캠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캠바디의 중심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편심홀이 형성되고, 상기 캠바디의 상면에는 캠 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호 형태의 복수의 편심기준선이 홈 형태로 가공되거나 페인트로 표시되어 형성되며, 상기 캠바디의 외주면을 절삭 가공하되 상기 복수의 편심기준선 중 선택된 편심기준선까지 절삭하여 편심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Eccentric cam for oilless air com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이하의 설명은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을 교체하지 않아도 동일한 금형에서 다양한 편심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편심량을 정확히 구현할 수 있고, 가공이 용이하고 제작공정을 줄일 수 있는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압축기는 공기를 압축하여 높은 공압을 생산하는 기기로서, 그 중에서 오일리스 공기압축기(oilless air compressor)는 윤활이 필요없는 왕복식 공기 압축기를 일컫는 말이다. 공기중에 오일이 섞여 있지 않기 때문에, 오일의 관리가 필요없으며 휴대성이 높아서 이동하면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공기압축기는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안으로 주변의 공기를 흡입한 후, 피스톤 동작으로 실린더내 흡입된 공기를 압축시키게 되며,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기에 흡입기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생산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에어 공구(예, 에어건, 스프레이건, 에어브러쉬 등)와 연결하여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산업용, 의료용, 가정용 기기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1및 도 2를 제시한다. 도 1은 공기압축기의 공기 흡입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는 공기압축기의 공기 배출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70)는 편심체(10)에 형성된 편심홀(11)과 삽입 결합되어 있다. 편심체(10)는 커넥팅 로드(30)에 연결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편심체(10)가 커넥팅 로드(3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기 위해 베어링(20)이 장착되어 있다. 편심체(10)의 회전에 의하여 커넥팅 로드(30)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피스톤(25)은 실린더(40)의 내부 공간(45)을 왕복 운동을 하며, 실린더(40)의 내부공간(45)은 각각 외부로 연통된 흡기로(64)와 배기로(63)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각각 흡기밸브(62)와 배기밸브(61)가 장착되어 있다.
편심체(10)가 회전하여 피스톤(25)이 실린더(40)의 내부 공간(45)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때, 흡기밸브(62)가 흡입로(64)를 개방되고 배기밸브(61)가 배기로(63)를 폐쇄한 상태가 되면, 내부공간(45)이 팽창하면서 압력이 떨어지면서 흡입로(64)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린더(40)의 내부공간(45)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이용해서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는 진공 펌프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다음, 흡기밸브(62)와 배기밸브(61)를 이용하여 흡기로(64)와 배기로(63)를 폐쇄한 상태에서 편심체(10)를 회전시켜 피스톤(25)이 실린더(40)의 내부공간(45)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면, 내부공간(45)에 흡입된 공기가 압축되게 된다. 압축이 일정 시간 일어난 후, 배기밸브(61)를 개방하게 되면 배기로(63)를 통해 압축된 공기가 외부로 제공되게 된다. 피스톤(25)에는 그 외주면에 피스톤링(50)이 결합되어, 내부공간(45)의 압축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피스톤(25)의 왕복운동을 구현하기 위해서,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편심체(10)가 하게 되며, 편심체의 편심홀(11)은 편심되도록 형성되어 모터 샤프트(70)와 결합하게 된다.
편심체(10)의 보다 자세한 모습을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은 종래의 편심체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편심체(10)는 보통 캠이라고도 불리는데, 메인 본체부(12)가 형성되고, 그 위에 커넥팅 로드와 결합하는 결합부(13)가 형성되며, 결합부(13) 내부에는 모터 샤프트와 결합하는 편심홀(11)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본체부(12)는 편심된 질량을 제공하는 연결부(14)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3)는 원기둥 형태이며, 편심홀(11)은 결합부(13)의 중심 혹은/또는 편심체(10)의 무게중심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격된 편심홀(11)과 결합된 캠 운동으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편심체(10)와 연결된 피스톤(25)이 왕복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편심체에 편심홀을 형성하는 가공을 위해서는, 보통 소결을 위한 금형을 제작하게 되는데, 설계에 따라 편심의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편심홀의 중심 이격 위치 및 편심홀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즉, 편심홀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각각 별개의 금형을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편심홀을 크게 제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큰 홀 가공은 한번에 금형에서 제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단 원하는 크기보다 작은 내부홀을 1차로 제작한 이후, 2차로 확공 작업을 거쳐야만 하는데, 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내부 홀을 확공하는 것은 정밀한 제작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의 난이도가 있어서 제작단가의 상승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편심의 정도가 심하여 중심 이격거리가 큰 경우에는 편심체의 외경과 편심홀간의 간격이 매우 좁게 되어, 이는 제작과정의 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실시예의 목적은, 금형을 교체하지 않아도 동일한 금형에서 다양한 편심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는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의 목적은, 원하는 편심량을 정확히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이 용이하고 제작공정을 줄일 수 있는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편심질량을 제공하는 캠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캠바디의 중심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편심홀이 형성되고, 상기 캠바디의 상면에는 캠 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호 형태의 복수의 편심기준선이 홈 형태로 가공되거나 페인트로 표시되어 형성되며, 상기 캠바디의 외주면을 절삭 가공하되 상기 복수의 편심기준선 중 선택된 편심기준선까지 절삭하여 편심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편심기준선은 상기 캠바디의 중심에서 이격형성되되, 상기 편심홀과 반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캠바디는 소결금형을 이용하여 소결공법으로 제작하며, 상기 편심홀은 상기 소결금형을 이용하여 무가공으로 한번에 형성한 후, 상기 캠바디의 외주면을 절삭 가공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캠바디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편심기준선의 원호를 형성하는 직경(R)은, 상기 캠바디의 중심과 상기 편심홀의 중심 사이의 이격거리(d)와 상기 편심홀이 형성된 반지름(r)의 합보다 큰 것(R > d + r)을 특징으로 한다.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의 제작방법은, 소결금형을 통해 금형으로 원기둥 형상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편심질량을 제공하는 캠바디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캠바디의 상면에 상기 캠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편심기준선을 홈 형태로 가공하거나, 페인트로 표시하여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캠바디의 중심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편심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편심기준선 중 하나까지 캠바디의 외주면을 절삭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복수의 편심기준선이 편심의 정도를 조절하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캠바디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편심기준선의 원호를 형성하는 직경(R)은, 상기 캠바디의 중심과 상기 편심홀의 중심 사이의 이격거리(d)와 상기 편심홀이 형성된 반지름(r)의 합보다 큰 것(R > d + r)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금형을 교체하지 않아도 동일한 금형에서 다양한 편심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편심량을 정확히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이 용이하고 제작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본 오일리스 편심캠의 구조 및 방법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공기압축기의 공기 흡입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공기압축기의 공기 배출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편심체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캠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캠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오일리스 공기압축기(1000)는 내부에 구동모터(600)를 구비하고 있는데, 구동모터(600)는 크게 분류하면 회전가능한 로터(615)와 그 내부에 구비된 스테이터(620)로 구성된다. 로터(615)는 링 형상으로서, 그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마그네틱(610)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마그네틱(610)에 상응하는 위치에 전자기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테이터 코일625)이 제공된다. 모터의 회전 원리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로터(615)는 모터샤프트(70)와 결합되어 있어서, 로터(615)의 회전은 모터샤프트(70)를 회전시키게 되며, 모터샤프트(70)는 회전관성을 제공하는 플라이휠(640)과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320은 모터샤프트(70)를 지지하는 보조베어링이다.
모터샤프트(70)는 편심캠(100)에 연결되어 있는데, 편심캠(100)의 캠바디(110)에 구비된 편심홀(120)에 삽입되어 있다. 모터샤프트(70)가 회전하면, 편심캠(100)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편심캠(100)은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도록 모터샤프트(70)와 결합되어 있다. 편심캠(100)은 주베어링(310)을 통해 커넥팅 로드(210)와 결합되고, 커넥팅 로드(210)의 다른 한쪽은 피스톤(250)과 결합하여 실린더(400)의 내부공간(450)에 삽입된다. 실린더(400)는 내부공간(450)을 구비한 원기둥 형태로서, 커넥팅 로드(210) 및 이와 결합된 피스톤(250)은 내부공간(450) 안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즉, 편심캠(100)과 상대적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커넥팅 로드(210)에 의하여, 구동모터(600)에 의해 생산된 회전력이 실린더 내부공간(450)을 압축 혹은 팽창시킬 수 있는 왕복운동으로 변형되는 것이다.
실린더의 내부공간(450)은 흡기구유로(510) 및 배기구유로(520)에 의하여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며, 흡기구유로 및 배기구유로(510, 5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 어셈블리(500)가 결합되어 있다.
편심캠(100)이 회전하여 피스톤(250)이 실린더(400)의 내부 공간(450)에서 아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밸브 어셈블리(500) 내의 밸브를 이용하여 흡입기유로(510)를 개방되고 배기구유로(520)를 폐쇄한 상태가 되면, 내부공간(450)이 팽창하여 압력이 떨어지면서 흡입기유로(51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실린더(400)의 내부공간(450)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이용해서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는 진공 펌프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다음, 흡기구유로(510)와 배기구유로(520)를 폐쇄한 상태에서 편심캠(100)을 회전시켜 피스톤(250)이 실린더(400)의 내부공간(450)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면, 내부공간(450)에 흡입된 공기가 압축되게 된다. 압축이 일정 시간 일어난 후, 배기구유로(520)를 개방하면, 압축된 공기가 외부로 제공되게 된다. 피스톤(250)에는 그 내부공간(450)의 압축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그 외주면에 피스톤링이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심캠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5 및 도 6을 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캠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심캠의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편심캠(100)은 원기둥 형상의 본체부(105) 및 본체부(105) 위에 형성되며, 본체부(105)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캠바디(110)를 갖는다. 본체부(105)와 캠바디(110)는 일체로 형성되되, 직경의 차이로 구분될 수 있다. 제작시에는 본체부(105)와 캠바디(110)의 치수를 외면 절삭가공을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체부(105)에는 외주면 일부에 연장형성되어 편심하중을 제공하는 연결부(130)가 구비되며, 연결부(130)와 본체부(10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반원 형태로서 편심 질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움푹 들어간 함몰부(14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회전관성과 편심질량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캠바디(110)에는 편심홀(120)이 원형으로 제공되는데, 이 편심홀(120)은 캠바디(110)와 본체부(105)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홈 형태로 관통하지 않고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편심홀(120)은 금형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홈 형태일 경우 그 깊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용이하다. 편심홀(120)은 캠바디(110)의 중심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편심캠(100)의 중심과도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캠바디(110)의 중심(111)과 편심홀(120)의 중심(121)은 일정거리(d)만큼 이격되어 있다.
캠바디(110)의 상면에는 복수의 편심기준선(150)이 형성되는데, 편심기준선은 캠바디(110)의 중심(111)을 기준으로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편심기준선(150)은 홈 형태로 가공하여 표시될 수도 있고, 페인트 등으로 그려서 상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복수의 편심기준선(150)은 각각 원기둥 형태의 캠바디(110)의 중심(111)에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원호로서, 캠바디(110)의 중심(111)과 편심홀(120)의 중심(121) 사이의 이격거리(d)와, 편심홀의 반지름(r)의 합보다 크다. 즉, R > d + r 로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서로 다른 직경(R1, R2, R3)을 갖는 편심기준선(151, 152, 153)을 예시하였지만, 3개보다 많이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편심기준선들(150)이 가지는 직경은 모두 R > d + r 를 만족하므로, 가장 짧은 직경을 갖는 편심기준선(151)이 원호로서 가지는 직경(R1)은 R1 > d + r 을 만족한다. 이때 편심기준선은 편심체의 중심에서 이격형성된 상기 편심홀과 반대방향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편심캠에 편심홀을 형성하는 가공을 위해서는, 보통 소결을 위한 금형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본체부(105)와 연결부(130), 캠바디(110)를 형성하게 된다. 편심홀(120)은 금형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으며, 나중에 절삭 가공을 통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캠바디(110)의 상면에 형성된 편심기준선(150) 중 선택된 하나까지 캠바디의 외주면을 절삭 가공한다. 이를 통해 캠바디(110)의 외주면이 절삭되면서 그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편심홀(120)의 상대적 위치 혹은 편심도가 변경되며 편심캠(100)의 무게중심이 달라지게 된다. 즉,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복수편심선(153)까지 외주면을 절삭가공하게 되면, 그보다 안쪽에 있는 복수편심선(151, 152)까지 외주면을 절삭가공한 것 보다 편심홀(120)의 편심도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가장 안쪽에 있는 복수편심선(151)까지 외주면을 절삭가공하게 되면, 편심홀(120)의 편심도는 커지게 된다. 도 6은 가장 짧은 직경(R1)을 갖는 편심기준선(151)까지 절삭 가공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즉, 편심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편심홀(120)의 확공 가공보다 용이한 캠바디의 외주면 절삭 가공을 통해 원하는 만큼 자유롭게 편심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금형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편심홀의 깊이 등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내부 홀을 확공하는 것은 정밀한 제작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의 난이도가 있어서 제작단가의 상승 원인이 되기도 하나, 본 가공 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편심의 정도가 심하여 중심 이격거리가 큰 경우에는 편심체의 외경과 편심홀간의 간격이 매우 좁게 되어, 확공 가공이라는 작업의 난이도가 높은 과정을 통해 이를 구현하는 것보다, 보다 정밀하고 제작과정의 불량의 원인을 제거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또한, 복수의 편심기준선을 통해 원하는 편심도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편심체 11: 편심홀
20: 베어링 25, 250: 피스톤
30, 210: 커넥팅 로드 40, 400: 실린더
45, 450: 실린더 내부공간 50: 피스톤링
61: 배기밸브 62: 흡기밸브
63: 배기로 64: 흡기로
70: 모터샤프트 100: 편심캠
110: 캠바디 120: 편심홀
310: 주베어링 320: 보조베어링
500: 밸브어셈블리 510: 흡기구유로
520: 배기구유로 600: 구동모터
610: 마그네틱 615: 로터
620: 스테이터 625: 스테이터 코일
640: 플라이휠

Claims (6)

  1.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편심질량을 제공하는 캠바디;
    를 포함하며,
    상기 캠바디의 중심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편심홀이 형성되고,
    상기 캠바디의 상면에는 캠 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호 형태의 복수의 편심기준선이 홈 형태로 가공되거나 페인트로 표시되어 형성되며,
    상기 캠바디의 외주면을 절삭 가공하되 상기 복수의 편심기준선 중 선택된 편심기준선까지 절삭하여 편심의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기준선은 상기 캠바디의 중심에서 이격형성되되, 상기 편심홀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바디는 소결금형을 이용하여 소결공법으로 제작하며, 상기 편심홀은 상기 소결금형을 이용하여 무가공으로 한번에 형성한 후, 상기 캠바디의 외주면을 절삭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바디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편심기준선의 원호를 형성하는 직경(R)은, 상기 캠바디의 중심과 상기 편심홀의 중심 사이의 이격거리(d)와 상기 편심홀이 형성된 반지름(r)의 합보다 큰 것(R > d + r)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5. 소결금형을 통해 금형으로 원기둥 형상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편심질량을 제공하는 캠바디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캠바디의 상면에 상기 캠바디의 중심을 기준으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편심기준선을 홈 형태로 가공하거나, 페인트로 표시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캠바디의 중심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편심홀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편심기준선 중 하나까지 캠바디의 외주면을 절삭 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복수의 편심기준선이 편심의 정도를 조절하는 척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의 제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바디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편심기준선의 원호를 형성하는 직경(R)은, 상기 캠바디의 중심과 상기 편심홀의 중심 사이의 이격거리(d)와 상기 편심홀이 형성된 반지름(r)의 합보다 큰 것(R > d + r)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의 제작방법.

KR1020220089671A 2022-07-20 2022-07-20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 KR10260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671A KR102601490B1 (ko) 2022-07-20 2022-07-20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671A KR102601490B1 (ko) 2022-07-20 2022-07-20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490B1 true KR102601490B1 (ko) 2023-11-14

Family

ID=8874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671A KR102601490B1 (ko) 2022-07-20 2022-07-20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4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0139A (ja) * 1993-09-28 1996-04-09 Shoei:Kk 大型カム、その製作方法および鍛造用金型
KR101484817B1 (ko) * 2012-09-03 2015-01-2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2019100246A (ja) * 2017-11-30 2019-06-24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0139A (ja) * 1993-09-28 1996-04-09 Shoei:Kk 大型カム、その製作方法および鍛造用金型
KR101484817B1 (ko) * 2012-09-03 2015-01-20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2019100246A (ja) * 2017-11-30 2019-06-24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6666A1 (en) Rotary fluid machine
CN105570128A (zh) 一种压缩机泵体结构及压缩机
US9702363B2 (en) Compressor
JP5094349B2 (ja) シリンダ装置、圧縮機およびシリンダ装置の製造方法
KR102601490B1 (ko)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의 편심캠 및 그 제작방법
JP6808043B2 (ja) 切削チップ、切削工具及び加工装置
CN109642576A (zh) 旋转式压缩机
JP2012154235A (ja) 回転式圧縮機
CN109555692A (zh) 活塞限位结构、压缩机及换热设备
JPWO2013105147A1 (ja) ベーン型圧縮機
EP4160021A1 (en) Pump body assembly and fluid machine
JP2007292016A (ja) 密閉型圧縮機
CN110966188A (zh) 转缸活塞压缩机的泵体结构及转缸活塞压缩机
KR20210125993A (ko) 로터형 압축 어셈블리, 압축기 및 공조 설비
CN106050653B (zh) 泵体组件及具有其的压缩机
CN109555695B (zh) 活塞限位结构、压缩机及换热设备
KR20240012133A (ko) 아웃터 로터타입 오일리스 공기 압축기
EP2669523A1 (en) Scroll compressor
JP3616056B2 (ja) ロータリ圧縮機
KR102188240B1 (ko) 왕복동식 압축기
JP2013167210A (ja) ロータリー圧縮機
CN117489589A (zh) 流体机械和换热设备
CN117145769A (zh) 流体机械和换热设备
CN116241467A (zh) 具有轴承的流体机械和换热设备
CN117662467A (zh) 流体机械和换热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