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460B1 - 기존 거래 정보에 기반한 베네핏을 제공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존 거래 정보에 기반한 베네핏을 제공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460B1
KR102601460B1 KR1020210047528A KR20210047528A KR102601460B1 KR 102601460 B1 KR102601460 B1 KR 102601460B1 KR 1020210047528 A KR1020210047528 A KR 1020210047528A KR 20210047528 A KR20210047528 A KR 20210047528A KR 102601460 B1 KR102601460 B1 KR 102601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currency
payment
terminal
currency
affili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411A (ko
Inventor
노영우
Original Assignee
노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우 filed Critical 노영우
Priority to KR1020210047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460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06Q20/0658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e-cash managed lo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맹 단말로부터 추천 결제 비율을 요청받는 단계, 누적된 거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천 결제 비율을 연산하는 단계, 연산된 상기 추천 결제 비율을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추천 결제 비율을 수신한 상기 고객 단말에 상기 추천 결제 비율에 따른 결제 인터페이스가 우선적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기존 거래 정보에 기반한 베네핏을 제공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OF VIRTUAL CURRENCY PAYMENT SERVICE PROVIDING BENEFIT BASED ON PRIOR INFORMATION OF PAYMENT}
본 발명은 기존 거래 정보에 기반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가상 화폐 서비스 생태계 내에 속한 판매자에게 기존 거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가상 화폐 서비스 생태계가 확장됨에 따라 당해 생태계에 속한 판매자들에게 더 큰 베네핏(benefit)을 제공하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가상 화폐 서비스 생태계로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다.
지폐나 동전 등의 실물이 없고 컴퓨터 등에 정보 형태로 남아 사이버 상으로만 거래되는 화폐를 가상 화폐(virtual currency) 또는 가상 자산(virtual asset)이라고 총칭한다. 가상 화폐(또는 가상 자산)는 그 구현되는 방식에 따라, 또는 정책이나 분류 기준에 따라 가상 통화 등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가상 화폐는 전자 화폐(digital currency)와 암호 화폐(cryptocurrency)로 대별될 수 있다. 전자 화폐는 정부, 중앙 은행, 또는 특정 발행 주체에 의해 제어되는 중앙집중식 통화(centralized currency)의 특성을 갖는다. 반면 암호 화폐, 또는 암호화 화폐는 정부나 중앙 은행에서 발행하는 일반 화폐 또는 전자 화폐와 달리 처음 고안한 사람이 정한 규칙에 따라 규칙과 가치가 정해진다. 또, 정부나 중앙 은행이 거래 내역을 관리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유통되는 특징이 있다. 즉, 암화 화폐는 화폐의 발행 및 거래 승인 과정에서 암호화 기술을 수반하며 탈중앙집중식 통화(decentralized currency)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블록체인 기술 또는 블록체인 보안 기술(blockchain security technology)은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하고 이를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중앙 집중형 서버가 아닌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참여자에게 거래 내역이 공개되며,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참여자 간의 정보 공유 및 대조를 통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는 장점이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위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가상 화폐, 특히 암호 화폐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 암호 화폐는 크게 코인(coin) 또는 토큰(token)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소유한 경우 코인으로 지칭하고, 독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소유하지 않고 ERC20 기반 암호 화폐는 토큰으로 분류하 기도 하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코인과 토큰의 구별 실익은 없으며 혼용하기로 한다.
대표적인 암호 화폐로는 2009년에 최초로 개발된 비트 코인을 들 수 있고, 그 외에도 수없이 다양한 종류의 암호 화폐가 존재한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이 암호 화폐는 정부나 중앙 은행이 거래 내역에 관여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유통되기 때문에 정부가 가치나 지급을 보장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암호 화폐는 가치 변동성이 크고 실제 거래에 이용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다양한 화폐 종류의 존재로 인해 결제에 사용할 가상 화폐의 선택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암호 화폐를 포함하는 가상 화폐의 존속은 암호 화폐의 꾸준한 실사용을 이끌어 내는 것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수 있다. 특히 암호 화폐 가치의 변동성은 정책적으로 규제를 가하기 보다는 사용자들의 가상 화폐에 대한 관심과 이를 이용한 실거래로부터 가상 및 무형의 화폐에 화체된 잠재적 고유의 가치를 인식하게 함으로써 해결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가상 화폐는 투기나 자산의 축적 수단으로서의 이용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가상 화폐의 변동성으로 인해 가상 화폐의 실사용 이 곤란하고 그에 따라 가상 화폐의 가치 저평가로 인한 가치 손실로 이어지는 역순환 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가상 화폐의 종류가 많아 어떤 화폐를 사용해야 할지 선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물론 판매자 입장에서도 가상 화폐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수용할 요인이 미흡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사용자 및 판매자로 하여금 가상 화폐를 사용하고자 하는 니즈(needs)를 불러일으키고 이로부터 지속 성장 가능한 가상 화폐를 개발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매자의 결제 편의성이 향상되고, 판매자의 가상 화폐 결제에 대한 니즈를 불러일으키는 가상 화폐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구매자의 결제 편의성이 향상되고, 판매자의 가상 화폐 결제에 대한 니즈를 불러일으키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맹 단말로부터 추천 결제 비율을 요청받는 단계, 누적된 거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천 결제 비율을 연산하는 단계, 연산된 상기 추천 결제 비율을 고객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추천 결제 비율을 수신한 상기 고객 단말에 상기 추천 결제 비율에 따른 결제 인터페이스가 우선적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추천 결제 비율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선정된 상기 거래 정보들 각각의 가상 화폐 및 일반 화폐의 결제 비중의 평균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결제 비율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선정된 상기 거래 정보들 각각의 가상 화폐 및 일반 화폐의 결제 비중의 가중평균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결제 취소 이력을 보유한 상기 고객 단말에 추천 결제 비율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미만의 결제 취소 이력을 보유한 상기 고객 단말에 대한 추천 결제 비율 대비 일반 화폐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결제 취소 이력을 보유한 상기 고객 단말의 경우, 상기 일반 화폐가 차지하는 비중을 기 설정된 비중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결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누적된 거래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거래 정보의 누적에 기여한 정도에 따른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상기 기여도에 따라 가맹점에 우대 혜택를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거래 정보는 각각의 거래에 대한 거래 화폐들의 비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가상 화폐를 통한 거래 비중이 높을수록 상기 기여도를 높게 산출한다.
또한, 상기 우대 혜택은 상기 기여도가 높은 가맹점일수록 수수료를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각각의 가맹점이 보유한 가맹 단말로부터 적립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여도에 비례하여 상기 적립금의 분배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분배 비율에 따라 상기 가맹점에 상기 적립금을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적립금을 수신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다수의 가맹점 중 어느 하나와 거래 시행 시 수행되고, 상기 적립금의 분배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립금을 분배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매자의 결제 편의성이 향상되고, 판매자의 가상 화폐 결제에 대한 니즈를 불러일으키는 가상 화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부 목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된 고객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결제 절차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결제 비율 결정을 위한 데이터의 종류에 대한 기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결제 비율 결정을 위한 데이터의 누적 기간에 대한 기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결제 비율 결정을 위한 데이터의 가중치 설정에 대한 기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경우 2의 가중치를 따를 경우 추천 비율 결정을 위한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된 고객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된 고객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결제 절차 및 적립금 분배 절차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 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 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 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 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 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 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 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 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구매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 단말(200),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가상 화폐 시세 제공 서버(4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적어도 하나의"라는 단어는 단수 및 복수를 지칭할 수 있는 용어로 정의한다.
도 1의 각 구성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 단말(200), 가상 화폐 시세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맹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600)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600)의 일 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고객 단말(100)은 구매를 위하여 또는 구매 후에 블록체인(Block Chain)에 의해 검증되어 블록체인의 하나의 노드를 형성하는 단말일 수 있고, 또는 다른 단말을 검증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100)은 구매에 따른 트랜잭션이 발생한 경우, 장부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업데이트되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100)은,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결제를 한 후에 등록을 위하여 고객 단말(100)이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등록 및 저장되는 고객의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100)은, 가맹점에서 카드를 이용하여 가상 화폐를 이용하고 자 하는 경우, 또는 가상 화폐를 직접 사용하는 경우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결제를 요청하는 단말 일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100)은,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셋탑박스, 키오스크, 카 네비게이션,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로봇, 워치 폰, 인터넷 연결 카메라, 보안 시스템, 방송 장비, IPTV,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 (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고객 단말(100)은 네트워크(600)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고객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 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맹 단말(200)은 고객 단말(100)에서 요청된 결제 요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가맹점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가상 화폐를 통한 결제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 가맹점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가맹 단말(200)은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지원하는 각종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받아 가맹점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가맹 단말(200)은 블록체인에서 인증된 노드(단말)인지의 여부를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인증을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고, 결제가 완료된 경우 노드의 트랜잭션을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알리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가맹 단말(200)은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셋탑박스, 키오스크, 카 네비게이션, 홈 네트워크 기기, 홈 로봇, 워치 폰, 인터넷 연결 카메라, 보안 시스템, 방송 장비, IPTV,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 (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맹 단말(200)은, 네트워크(600)를 통해 원격지의 서 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가맹 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 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 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상 화폐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 앱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거나,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하는 다른 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블록체인에서 비트 코인으로 결제가 이루어진 경우, 블록체인의 인증을 만족하도록 거래, 결제 및 인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상 화폐를 발급하고 배급하여, 고객 단말(100) 및/또는 가맹 단말(200)에서 요청하는 경우, 가상 화폐를 고객 단말(100) 및/또는 가맹 단말(200)로 지급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고객 단말(100) 및/또는 가맹 단말(200)에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내부에 축적된 데이터에 대한 조회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축적된 데이터를 고객 단말(100) 및/또는 가맹 단말(200)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 (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고객 단말(100), 가맹 단말(200),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상 화폐가 아닌 기존 화폐를 통한 결제 시스템에 동시에 연동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특히, 가맹 단말(200)은 가상 화폐를 통한 결제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의 결제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도록 여러 기능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록체인(Block Chain)은 공공 거래 장부이며 가상 화폐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막는 기술이다. 이때, 블록체인은,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데이터 기록 리스트로써 분산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하고, 데이터 기록 리스트의 거래 기록은 의무적으로 암호화되고, 블록체인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컴퓨터상에서 운영되고, 비트 코인을 비롯한 대부분의 암호화폐들이 블록체인 기술 형태에 기반하고 있다.
블록체인의 구조에 따르면, 블록체인은 대규모의 노드들 사이에서 각 노드에 분산 저장된 장부의 데이터를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합의 수렴 알고리즘을 이용하고, 이러한 구조는 노드가 익명으로 실행되거나, 연결이 좋지 않거나, 심지어 신뢰할 수 없는 운영자가 참여하는 것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블록체인의 탈중앙 특성에 따르면, 모든 탈중앙 암호화폐의 노드는 부분 또는 전체의 블록체인을 가지고 있다. 이에, 페이팔과 같은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중앙 집중형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다. 또한, 일반적인 장부에는 수표나 영수증 또는 약속어음의 교환내역이 기록되는 반면에, 블록체인은 그것 자체가 거래장부인 동시에 거래증서(수표, 영수증, 약속어음)이므로, 블록체인 구조를 이용한 가상 화폐 시스템에서는 거래들의 지불되지 않은 결과의 형태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지불인 갑이 소정의 금액을 수취인 을에게 보내다" 라는 형식의 거래는 소프트웨어 앱(비트코인 지갑앱 등)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배포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노드들은 거래를 검증한 다음, 자신의 장부에 거 래를 추가한다. 그리고 이 거래가 추가된 장부를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들에게 배포하여 공통된 장부를 유지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리고, 블록체인은 이중 지불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암호화폐들은 신뢰할 수 있는 제3자에 의한 시간표시거래를 블록체인에 추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작업증명(proof-of-work) 또는 소유증명(proof-of-take) 같은 다양 한 시간표시 방법들을 사용하는데, 이는 누구나 쉽게 이중지불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블록체인의 개념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로 신뢰관계가 없는 사용자 간의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을 사용에 참여하는 사용자라면 누구나 데이터를 입력,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제3의 신뢰기관(TTP: Trust Third Party) 없이 신뢰성 있는 거래를 하기 위한 근간 기술인 합의 알고리즘의 사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합의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권한이 있는 사용자간의 특정 매커니즘 동작 후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로 인해 블록체인의 상태가 안전하게 업데이트되고 유지되어, 블록체인 내의 데이터 무결성이 보장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PoW(Proof of Work, 작업 증명), PoS (Proof of Stake, 지분 증명) 및 DPoS(Delegated Proof of Stake, 위임된 지분 증명)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PoW는, 비트코인에서는 10분 단위로 발생한 모든 거래를 하나의 블록으로 묶어 시간 순서에 따라 하나의 체인처럼 연결하여 전체 P2P 네트워크 상에 공유할 수 있다. 네트워크 내의 노드들은 이전 블록 헤더의 해시값과 nonce를 연접한 값을 해시 연산하여 특정한 값을 찾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nonce는 최초 0부터 시작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값을 찾을 때까지 1씩 증가하는 32-bits의 수이고, 특정한 값은 몇 개의 0으로 시작되는 256-bits의 수이다. 해시 연산의 특성상 역연산이 어렵기 때문에 특정 값을 찾기 위해 서는 nonce를 변화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연산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때 문에 컴퓨팅 파워가 높은 노드일수록 블록 생성에 걸리는 시간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가상 화폐에서는 블록 헤더 내의 bits를 이용하여 특정값 내 0의 개수를 1씩 늘려가며 블록 생성 시간을 10분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6개 이상의 노드들이 연산을 통해 블록 생성에 대한 위와 같은 증명 작업을 완료하면 그 블록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여 블록체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으로, PoS는, 계산능력이 아닌 화폐의 보유량에 따라 각 노드의 합의 결정권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을 공격하기 위해서는 공격자가 네트워크의 51% 이상을 점령해야 하는데 PoS를 사용하면 총 화폐 보유량 중 51%이상을 가지고 있어야 공격이 가능하므로, PoW를 사용할 때보다 해커 입장에서 공격에 드는 비용 이 매우 증가하여 보안성이 높아질 수 있다.
세 번째 방법으로 DPoS는, PoS 가 일정한 지분을 가진 모든 노드에게 블록 생성 권한을 주었던 반면, DPoS에서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의 투표 결과에서의 상위 101개의 노드에게만 권한을 부여하여 합의에 대한 권리를 위임한다. 투표에 의해 선출된 대표자들의 신뢰를 바탕으로 블록을 생성하기 때문에 합의에 걸리는 시 간과 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단위 시간동안 생성되는 블록의 개수도 PoW와 PoS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다. 이때, 대표자들은 매 차수마다 임의로 배정되는 순서에 따라 블록을 만들어 블록체인에 추가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고, 대표자 간의 투표에 의해 악의의 사용자로 선출된 노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추방시킬 수 있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블록체인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3개의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무결성 보장을 위한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부(310), 결제 데이터 저장부(320), 결제부(330),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340), 업데이트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 단말(200)로 가상 화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인터페이스 구성 정보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 단말(200)은 가상 화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인터페이스 등을 설치, 실행, 표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 단말(2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 폰 등)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이때, 네트워크(600)의 연결은, 적어도 하나의 고객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 단말(200),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가상 화폐 시세 제공 서버(300)가 네트워크(600)로 연결되어 서로의 통신을 위해 통신 접점에 통신 객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통신 객체를 통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수신부(310)는, 가상 화폐를 구매하는 구매 이벤트를 고객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결제부(320)는, 고객 단말(100)로 가상 화폐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제받을 수 있다. 이때, 가상 화폐와 현금의 금액 비율은 각 나라별로 다르게 지정될 수 있으며, 가상 화폐 시세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가상 화폐에 대응하는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매자가 가맹점으로부터 10$ 상당의 물품 구매를 원하며, 해당 물품의 구매는 임의의 가정된 코인들인 제1 코인과 제2 코인, 그리고 현금을 이용하기 원하는 경우, 제1 코인의 시세와 제2 코인의 시세에 대한 정보를 이용해 적절한 결제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코인 1개의 매수가가 5$이고, 제2 코인 1개의 매수가가 3$라고 가정하면, 구매자가 가맹점으로부터 10$ 상당의 물품 구매시 1개의 제1 코인, 1개의 제2 코인 및 2$를 지불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인의 시세에 대한 정보는 가상 화폐 시세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매 당시의 시세에 한정되지 않고, 과거 가상 화폐의 시세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별도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현재 시세와 다른 결제 비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칭된 제1 코인(또는 제2 코인)은 예시적으로 로 2020년 하반기에 백서(white paper)가 공개된 뉴어스 코인(New Earth Coin, NEC)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지칭된 제1 코인(또는 제2 코인)은 뉴어스 코인 외에도,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과 같은 기존의 가상 화폐일 수 있다. 또한, 가상 화폐의 개수는 2개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고객은 더 많은 종류의 가상 화폐를 선택하여 결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고객 단말(100)에서 요청한 결제의 수단은, 가상 화폐 거래, 계좌이체, 신용카드 및 현금카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결제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결제 데이터 저장부(330)는, 고객 단말(100)을 블록체인(Block Chain)의 하나의 노드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고객 단말(100)에서 구매를 한 경우에는, 어떠한 구매자가 어떠한 가상 화폐를 얼마만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어떠한 구매자가 임의로 자신의 매수금액 또는 매도금액을 속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노드를 지정할 때, 노드에 존재하는 단말의 동의를 거쳐서 인증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이 과정을 거친 후에는 결제 데이터 저장부(330)는 데이터베이스에 고객 단말(100)의 구매 금액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한다.
여기서, 결제 데이터 저장부(330)는 가상 화폐의 거래(Transaction)를 위하여 블록체인 내 네트워크의 노드에 가상 화폐의 거래 내용이 저장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 및 트랜잭션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이에, 고객 단말(100)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면, 블록체인의 네트워크에 동기화하고, 고객 단말(100)을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가상 화폐의 결제자로 등록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업데이트부(35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3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수행된 거래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해당 데이터는 블록체인(Block Chain)의 하나의 노드를 지정하여 결제 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되는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즉, 결제 데이터 저장부(330)와 연동되는 스마트 컨트랙트상의 다른 계층의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중앙 집중형 데이터 저장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340)는, 예를 들면, 거래에 대한 가상 화폐별 결제 비중에 대한 정보, 가상 화폐별 결제 금액에 대한 정보, 결제 시각에 대한 정보, 결제 시각 당시의 가상 화폐별 시세에 대한 정보, 결제 매장의 위치에 대한 정보, 결제 매장의 업종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집이 가능한 범위 이내에서 최대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340)는 가맹점별로 연산되는 기여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가맹점들 각각의 결제 내역 중, 일정 기간동안 가상 화폐를 통한 결제 횟수 및 결제 비율이 높은 가맹점의 경우 높은 기여도를 가진 것으로 결정하여, 해당 가맹점에 대한 결제 시 우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여도에 대한 연산은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내의 연산 가능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기여도를 활용한 일 예로, 기여도가 높은 가맹점의 가맹 단말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여도가 낮은 가맹점의 가맹 단말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부과하는 수수료율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업데이트부(350)는, 결제에 따른 지급이 완료되는 경우, 가상화폐를 기록한 장부 데이터를 블랙체인의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서 공유되도록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결제 데이터 저장부(330) 및/또는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340)에 저장되는 정보 중 블록 체인을 통해 공유되는 정보에 대하여는 이를 다른 노드에 공유되도록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은 국가별, 지역별 및 서비스별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맹점이 전국 각지에 산재해 있을 때, 이들 전부를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고, 지역별로 구분한 여러 개의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해 결제를 요청하는 고객 및 가맹점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해 기재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의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부 목록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된 고객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는 가맹 단말로부터 받은 기존 결제 정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5개의 거래에 대한 정보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데이터는 성공적으로 결제가 완료된 거래들의 화폐별 거래 비중을 나타낸다. 즉, 제1 데이터에 해당하는 거래는 A화폐가 100%의 비중으로 결제되었으며, 제2 데이터에 해당하는 거래는 A화폐 50%, 카드 50%의 비중으로 결제되었고, 제3 데이터에 해당하는 거래는 A화폐 30%, B화례 50%, 카드 20%의 비중으로 결제되었으며, 제4 데이터에 해당하는 거래는 A화폐 70%, B화폐 30%의 비중으로 결제되었고, 제5 데이터에 해당하는 거래는 A화폐 50%, B화폐 20%, 카드 30%의 비중으로 결제된 것으로 예시한다. 이 경우, 5개의 거래는 평균적으로 A화폐 60%, B화폐 20%, C화폐 20%의 비중으로 결제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최근 5번의 결제 동안 소비자가 선호하는 결제 비중은 A화폐 60%, B화폐 20%, C화폐 20%인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에, 신규 결제 요청 발생 시 고객 단말에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인터페이스 및 추천 결제 비율을 도 4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한 결제 비중을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소비자는 물품 결제 요청 시 추천 결제 비중으로 A화폐 60%, B화폐 20%, C화폐 20%의 비중이 기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결제 비중 선택 없이 해당 결제 비중에 대한 동의 여부만을 선택함으로써 결제 비중 선택을 완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 화폐 결제 고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화폐별 결제 비중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및 이하의 실시예에서 '카드'는 신용카드를 통한 결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신용카드 이외에 체크카드, 직불카드, 충전식 선불카드 등 다양한 카드를 통한 온라인/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할 수 있고, 현물 결제도 가능할 수 있다. 즉, 가상 화폐가 아닌 화폐로서 일정 가치가 보증되는 결제 수단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데이터의 종류는 가상 화폐별 결제 비중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집이 가능한 범위 이내에서 최대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결제 절차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객이 가맹점에서 어떤 물품에 대한 구매 의사가 생긴 경우, 가맹 단말(200)에 고객 단말(100)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0). 예시적으로, 가맹 단말(200)이 고객 단말(100)을 인식하는 방법으로는 QR코드, 바코드 등을 들 수 있으며, 네트워크(600)상에서 서로의 주소를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면 그 방법에 제한받지 않고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맹 단말(200)은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추천 결제 비율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결제 품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20). 여기서, 결제 품목에 대한 정보의 제공은 고객 단말(100)로 직접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가맹 단말(200)로부터 추천 결제 비율에 대한 정보를 요청받은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내부 알고리즘 및 규칙을 이용해 산정한 추천 결제 비율을 고객 단말(100)에 제공하여 고객이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S30). 여기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추천 결제 비율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100) 뿐만 아니라 가맹 단말(200)에도 제공하여 가맹점이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결제 품목에 대한 정보를 고객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결제 품목에 대한 정보의 제공이 가맹 단말(200)에서 고객 단말(100)로 직접 수행된 경우에는, 결제 품목에 대한 정보의 제공은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천 결제 비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고객 단말(10)은 고객의 선택에 따라 가맹 단말(20)로 결제 요청 명령을 전송한다(S40). 여기서, 고객은 추천 결제 비율대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제시된 추천 결제 비율에도 불구하고, 임의의 비율을 선택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가맹 단말(200)은 동일한 정보를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가상 화폐 서비스와 관련된 네트워크상의 모든 노드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여 가상 화폐 주소 인증을 수행하고 거래를 블록체인에 등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제 요청을 수신한 가맹 단말(200)은 가상 화폐 및/또는 기타 화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해당 결제에 대한 정보를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한다. 여기서, 해당 데이터베이스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내의 결제 데이터 저장부(330) 및/또는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340)일 수 있으며, 결제 데이터 저장부(330) 및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340)에서 수집 가능한 모든 데이터 또는 일부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저장한다. 여기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는 블록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정보의 종류에 따라 스마트 컨트랙트를 구성하는 여러 데이터베이스 계층 중 미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 계층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블록 체인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가 업데이트 되는 경우,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만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600)를 통해 연결된 해당 가상 화폐 시스템을 구축하는 다수의 노드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의 결제 방법은 탈중앙화의 리스크를 가맹점 간의 합법적 암호화된 고객 정보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고, 이 정보를 통해 정상 거래를 기준으로 고객의 권장 표준 등급을 제시할 수 있다. 고객의 권장 표준 등급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결제 비율 결정을 위한 데이터의 종류에 대한 기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결제 비율은 가맹점별, 지역별, 업종별로 구분할 수 있다. 위의 기준은 가맹점에서 가맹 단말(200)을 통해 선택할 수 있으며, 기준 선택 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기준에 일치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추천 결제 비율을 산정해 가맹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에서 가맹 단말(200)을 조작하여 가맹점별 기준을 선택 후, 하위 분류에서 전체 품목을 선택한 경우,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가맹점에서 이루어진 거래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결제 비율을 산정하여 고객 단말(100) 및/또는 가맹 단말(20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 가맹점에서 가맹 단말(200)을 조작하여 가맹점별 기준을 선택 후, 하위 분류에서 품목별 추천을 선택한 경우,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가맹점의 일부 품목에 대해 이루어진 거래 정보만을 바탕으로 추천 결제 비율을 산정하여 고객 단말(100) 및/또는 가맹 단말(2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맹점에서 가맹 단말(200)을 조작하여 지역별 기준을 선택 후, 하위 분류에서 시/군/구별 추천을 선택한 경우,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가맹점이 속한 시/군/구 내에서 이루어진 거래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결제 비율을 산정하여 고객 단말(100) 및/또는 가맹 단말(200)에 제공한다.
또 다른 예로, 가맹점에서 가맹 단말(200)을 조작하여 지역별 기준을 선택 후, 하위 분류에서 동/리별 추천을 선택한 경우,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가맹점이 동/리 내에서 이루어진 거래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결제 비율을 산정하여 고객 단말(100) 및/또는 가맹 단말(2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맹점에서 가맹 단말(200)을 조작하여 업종별 기준을 선택 후, 하위 분류에서 대분류별 추천을 선택한 경우,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가맹점이 속한 대분류에 속하는 업종 내에서 이루어진 거래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결제 비율을 산정하여 고객 단말(100) 및/또는 가맹 단말(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해당 대분류에 속하는 업종이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다섯 자리의 숫자로 구성된 표준산업분류 코드의 앞 두자리가 일치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맹점에서 가맹 단말(200)을 조작하여 업종별 기준을 선택 후, 하위 분류에서 소분류별 추천을 선택한 경우,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해당 가맹점이 속한 소분류에 속하는 업종 내에서 이루어진 거래 정보를 바탕으로 추천 결제 비율을 산정하여 고객 단말(100) 및/또는 가맹 단말(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해당 소분류에 속하는 업종이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다섯 자리의 숫자로 구성된 표준산업분류 코드 다섯자리 전부가 일치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추천 결제 비율은 가맹점별, 지역별, 업종별로 구분하는 예시를 들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데이터의 분류를 위한 다양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결제 비율 결정을 위한 데이터의 누적 기간에 대한 기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결제 비율은 설정 기준에 따라 최근 1일, 3일, 일주일, 1개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추천 결제 비율을 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의 기간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사용자 설정을 선택하여 임의의 기간을 선택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결제 비율 결정을 위한 데이터의 가중치 설정에 대한 기준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경우 2의 가중치를 따를 경우 추천 비율 결정을 위한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결제 비율은 가맹점의 선택에 따라 특정 화폐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경우 1에 따르면, A화폐, B화폐 및 카드에 대한 가중치는 모두 1로 특정 화폐에 대한 가중치 쏠림 없이 모두 일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추천 결제 비중이 계산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의 경우 2에 따르면, A화폐에 대한 가중치는 2이고, B화폐 및 C화폐에 대한 가중치는 1로 A화폐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추천 비율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가중 결제 비율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결제 비율에 도 9의 경우 2에 해당하는 가중 결제 비율을 적용한 것이다.
도 10에 따르면, 가중치 적용 후 제2 데이터에서 A화폐의 결제 비중이 67%로 계산되고, 카드의 결제 비중은 33%로 계산될 수 있다. 가중치의 적용 전에는 A화폐 50%, B화폐 50%였으나, A화폐에 가중치를 카드 대비 2배로 설정함에 따라 이와 같은 비율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1 내지 데5 데이터에 대한 가중 평균을 산출할 경우, 추천 결제 비율은 A화폐 72%, B화폐 14%, 카드 14%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의 결정은 가맹점이 원하는 대로 설정될 수 있다. 가맹점에서 특정 화폐에 대한 결제 비중을 높이고 싶을 경우, 가중치 설정 기능을 이용하면 효과적으로 추천 비율을 설정하여 소비자의 가상 화폐 결제 비중의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4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고객의 물품 구매 시 화폐별 추천 결제 비중의 프리셋(preset)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였으나,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조회 가능한 데이터는 추천 결제 비중의 결정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해 조회 가능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 고객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된 고객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고객 단말(100)의 결제 요청 시, 추천 결제 비율로 카드 100%를 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100)을 이용하는 고객은 관리 대상 고객으로 기 설정된 고객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관리 대상 고객이란 일정 기간동안 결제 취소 횟수가 일정 횟수 이상인 고객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최근 일주일동안 결제 취소 횟수가 3회 이상인 고객일 수 있다. 이 경우, 화폐의 가치 변동 폭이 전통적인 화폐보다 상대적으로 큰 가상 화폐를 통한 결제의 경우 결제 취소에 대한 불확실성 및 복잡도를 증가시켜 결제 플랫폼의 안정성을 낮출 우려가 있으므로, 전통적인 화폐를 통한 결제 비중을 높여 추천 결제 비중이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드를 이용한 결제 비중을 100%로 추천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결제 비중을 추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해도 해당 고객이 관리 대상 고객이 아닐 경우보다 카드의 결제 비중이 높게 나타나도록 추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대한 설명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카드는 신용카드 결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가상 화폐가 아닌 화폐로서 일정 가치가 보증되는 결제 수단의 일 예시로서 기능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된 고객 단말이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고객 단말(100)의 결제 요청 시, 사용자 설정 결제 비율로 카드의 결제 비중이 필수적으로 50%가 넘어가도록 강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취소 횟수가 잦은 편이어서 관리 대상 고객에 해당하는 경우임에도 추천 결제 비중을 통한 결제를 통하지 않고, 직접 설정을 통해 가상 화폐를 통한 결제 비중을 높이려는 고객의 경우에도, 카드(즉, 전통적인 결제 수단)를 활용한 결제 비중을 50% 이상으로 강제함으로써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를 통한 결제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에 대한 50%의 결제 비중 수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알고리즘에 따라 다른 값의 설정이 언제든지 가능함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최근 한달 이내 10회 이상의 결제 취소 이력이 있는 고객이라면, 카드를 통한 결제 비중을 70% 이상으로 강제할 수 있다. 반면, 최근 한달 이내 5회 이상 10회 미만의 결제 취소 이력이 있는 고객이라면, 카드를 통한 결제 비중을 40% 이상으로 강제할 수 있다. 즉, 결제 취소 이력이 잦게 관찰될수록 카드를 통한 결제 비중을 더 높은 값으로 강제할 수 있다. 이는 추천 결제 비중의 결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설정 결제 비율로 카드 결제 비중이 50%를 초과하도록 제시된 경우, 즉 추천 결제 비율이 제시된 경우에도 판매자는 가상 화폐를 이용한 결제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관리 기준에 대한 설정은 가맹 단말(200)을 통해 가맹점에서 가능할 수도 있고,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운영 측에서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관리 대상 고객에 대한 설정은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업데이트 될 수도 있고, 가맹 단말(200)에서 실시간으로 블록체인 상의 자료 조회 후 설정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객을 관리가 필요한 관리 대상 고객과 일반 고객, 즉 2개의 군으로 나누는 것 외에, 더 많은 수의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한달 이내 취소 내역이 없는 고객은 A등급, 한달 이내 취소 내역이 5회 이하인 고객은 B 등급, 한달 이내 취소 내역이 10회 이하인 고객은 C 등급, 그 이상일 경우 D 등급으로 분류할 수도 있으며, 등급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위와 같은 고객 분류를 수행함에 있어서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로그인 또는 앱이나 홈페이지 회원 가입 시에 사전에 고객 정보의 활용 동의를 받는 절차가 요구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 중 전술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서 지칭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하며, 차별점을 갖는 특징을 갖는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가상 화폐 제공 서버와 비교하여 적립부(361)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립부(361)는 가맹점에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를 이용한 결제 완료 시, 이에 대응하여 적립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즉,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를 통한 결제 완료 시, 결제 금액의 일정 비중을 별도로 적립부(361)에 저장하여 가상 화폐를 쌓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적립부(361)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에서 결제 가능한 가상 화폐들의 지갑(가상 화폐의 저장을 위한 주소)일 수 있다.
가상 화폐를 통한 결제의 시스템의 경우, 기존 화폐를 이용한 결제시스템 대비 단순화된 절차를 이용하며, 거쳐야 할 기구 및 기관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어 저렴한 수수료로 운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에,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수수료를 낮게 책정할 수 있는데, 기존 화폐를 통한 결제 시스템 대비 낮아진 수수료의 일정 부분을 적립금으로 쌓아 가맹점에게 재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화폐를 통한 결제 시 카드 수수료가 1.5%였다면, 가상 화폐를 통한 결제 시, 가상 화폐에 대한 수수료를 0.5%로 산정하고, 적립금 비율을 0.2%로 산정하여 총 0.7%의 수수료를 부과하여 기존 카드 수수료인 1.5%보다 낮은 수수료율을 유지하되, 0.2%만큼 적립되는 가상 화폐를 이용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결제 서버가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적립금은 복수의 가맹점에서 공동으로 쌓은 후,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의 운영에 기여한 정도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적립금을 분배할 수 있다. 즉,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가맹점들 각각의 결제 내역 중, 일정 기간동안 가상 화폐를 통한 결제 횟수 및 결제 비율이 높은 가맹점의 경우 높은 기여도를 가진 것으로 결정하여, 해당 기간에 쌓인 적립금의 분배 시 낮은 기여도를 가진 가맹점 대비 적립금의 분배 비율을 상대적으로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여도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 내의 연산 가능한 장치에 의하여 연산되어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3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업데이트부(350)에 의해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340)의 정보 업데이트를 통해 블록체인화 되어 네트워크상의 다른 노드에 동시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적립금의 적립 및/또는 기여도의 산출을 수행하는 경우, 가맹점 입장에서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를 적절히 이용할수록 더 높은 보상을 수령할 수 있게 되므로 적극적으로 해당 결제 생태계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결제 절차 및 적립금 분배 절차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고객이 가맹점에서 어떤 물품에 대한 구매 의사가 생긴 경우, 가맹 단말(201)에 고객 단말(101)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11).
다음으로, 가맹 단말(201)은 고객 단말에 품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1).
다음으로, 고객 단말(101)은 고객의 선택에 따라 가맹 단말(201)로 결제 요청 명령을 전송한다(S31). 여기서, 고객은 추천 결제 비율대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으며, 임의의 비율을 선택하여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결제 요청을 수신한 가맹 단말(201)은 가상 화폐 및/또는 기타 화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해당 결제에 대한 정보를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한다(S41). 여기서, 해당 데이터베이스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 내의 결제 데이터 저장부(330) 및/또는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340)일 수 있으며, 결제 데이터 저장부(330) 및 서비스 데이터 저장부(340)에서 수집 가능한 모든 데이터 또는 일부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는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저장한다(S51).
다음으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는 기여도를 산출한다(S61). 해당 작업은 결제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특정 시점에 그동안 쌓인 결제 정보를 종합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는 산출된 기여도에 따라 적립금을 가맹점에 분배한다(S71). 여기서, 적립금의 분배는 가맹 단말(201)에 연결된 가맹점의 가상 화폐 주소를 통해 분배될 수 있으며, 가맹점에서 기 등록한 별도의 가상 화폐 주소를 통해 분배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에 적립된 적립금을 기여도에 따라 분배하는 실시예에 대해 서술하였으나, 적립금의 활용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의 경우, 적립금을 통해 쌓인 가상 화폐의 출금 권한은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미도시)에서 갖고, 이를 이용해 가상 화폐의 다른 가상 화폐로의 환전 등을 통해 투자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의 투자 수익을 가맹점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투자 수익의 제공 비율은 기여도에 비례할 수 있으며, 기여도의 계산 없이 가맹점별로 적립한 가상 화폐의 누적 금액에 따라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 중 전술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서 지칭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기로 하며, 차별점을 갖는 특징을 갖는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2)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1)와 비교하여 교환부(372)를 추가로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교환부(372)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2)에서 결제 가능한 가상 화폐들의 지갑(가상 화폐의 저장을 위한 주소)일 수 있으며, 이의 출금 권한은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2)의 운영자가 될 수 있고, 이의 위임을 받은 제3자가 될 수도 있다.
교환부(372)는 기존 화폐 대비 가격 변동성이 더욱 심한 가상 화폐의 가격 변동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가상 화폐용 지갑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2)는 가상 화폐 시세 제공 서버(4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 화폐의 종류별로 과거 시세에 기초하여 임의의 가상 화폐별 거래 가격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 화폐의 거래 가격은 현재 가상 화폐의 거래 시세가 아니라, 가상 화폐의 가격 변동 완화를 목적으로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2)에서 특정한 알고리즘에 따라 연산된 가격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2)는 각각의 가상 화폐의 종류별로, 최근 1주일간의 일별 평균 가격을 산출한 후, 해당 가격의 이동 평균값을 새로 발생한 결제 요?에 대한 가상 화폐별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상 화폐의 변동성을 최대한 완화한 결제가 가능하여 거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위의 연산은 결제부(320) 또는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02) 내의 연산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가상 화폐의 현재 시세가 아닌 특정 알고리즘에 따라 연산된 시세를 이용하므로, 교환부(372)에 여러 종류의 가상 화폐를 저장해 두고,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372)를 이용해 원활한 거래 및 교환이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면의 각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Hardware)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어드레싱(Addressing)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세분된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구성 요소들을 합하여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각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어드레싱 가능한 저장 매체에서 구현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각 구성요소는 특정된 논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구성요소가 제공하는 기능은 더 세분화된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구성도 또는 블록도 상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일체화된 하나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 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고객 단말
200: 가맹 단말
300: 가상 화폐 서비스 제공 서버
400: 가상 화폐 시세 제공 서버

Claims (8)

  1. 어느 고객 단말로부터 수신된 구매 의사 정보를 지정된 제1 가맹 단말에 전달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상 화폐를 이용한 물품 거래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가상 화폐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
    상기 고객 단말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에 의한 누적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결제 비율을 연산하는 단계;
    연산된 상기 추천 결제 비율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상기 고객 단말과 제1 가맹 단말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가상 화폐를 이용한 물품 거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추천 결제 비율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선정된 상기 누적 거래 정보들 각각의 가상 화폐 및 일반 화폐의 결제 비중의 평균값 또는 가중 평균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고객 단말에 의한 누적 거래 정보에 있어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의 결제 취소 이력을 보유한 고객 단말의 경우, 상기 추천 결제 비율에서 일반 화폐가 차지하는 비율을 기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설정하는, 가상 화폐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가상 화폐 시세 서버로부터 가상 화폐들의 시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화폐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평균값을 계산하기 위한 가중치는, 상기 가맹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가상 화폐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결제 비율에서 일반 화폐가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결제 취소 이력의 횟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도록 구성된, 가상 화폐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맹 단말을 포함하는 복수의 가맹 단말들로부터, 각각의 누적 거래 정보에 기초한 기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맹 단말들에 대한 상기 누적 거래 정보는 각각의 거래에 대한 가상 화폐들의 비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가상 화폐를 통한 거래 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가맹 단말에 대한 상기 기여도를 높게 산출하는 가상 화폐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맹 단말별 기여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가맹 단말별 상대적인 적립금 분배 비율을 결정하는, 가상 화폐 기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수집된 시세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가상 화폐의 종류 별로, 최근 기 지정된 기간 동안의 해당 가상 화폐의 시세의 이동 평균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해당 가상 화폐 시세의 이동 평균값을, 새로 발생한 결제에 사용되는 해당 가상 화폐의 가격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화폐 기반 결제 서비스의 제공 방법.
KR1020210047528A 2021-04-13 2021-04-13 기존 거래 정보에 기반한 베네핏을 제공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01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28A KR102601460B1 (ko) 2021-04-13 2021-04-13 기존 거래 정보에 기반한 베네핏을 제공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28A KR102601460B1 (ko) 2021-04-13 2021-04-13 기존 거래 정보에 기반한 베네핏을 제공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11A KR20220141411A (ko) 2022-10-20
KR102601460B1 true KR102601460B1 (ko) 2023-11-10

Family

ID=8380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528A KR102601460B1 (ko) 2021-04-13 2021-04-13 기존 거래 정보에 기반한 베네핏을 제공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4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275B1 (ko) * 2013-10-02 2016-02-19 중소기업은행 가맹점정보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2033244B1 (ko) * 2018-04-03 2019-11-08 박상현 암호화 화폐 결제 시스템 및 암호화 화폐 결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061A (ko) * 2010-03-30 2011-10-06 안효은 최적 지불수단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06687A (ko) * 2012-07-06 2014-01-16 주식회사 우리은행 고객의 기여도에 따른 우대금리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대금리 제공 서비스 방법
KR20200101541A (ko) * 2019-02-01 2020-08-28 황성재 블록체인 기반 pos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2401832B1 (ko) * 2019-07-17 2022-05-25 황주원 가상화폐를 이용한 마케팅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275B1 (ko) * 2013-10-02 2016-02-19 중소기업은행 가맹점정보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2033244B1 (ko) * 2018-04-03 2019-11-08 박상현 암호화 화폐 결제 시스템 및 암호화 화폐 결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11A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42977A1 (en) Encrypting a portion of a block of an exchange item transactions chain
US20200160294A1 (en) Securely modifying exchange items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US11164228B2 (en) Method and medium for determining exchange item compliance in an exchange item marketplace network
US20210182915A1 (en) Platform for management of user data
US20170372392A1 (en) Securely processing exchange items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KR102024377B1 (ko) 블록체인 기반 그룹에 부여된 신용평가를 이용한 여신 서비스 제공 방법
JP685202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48123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거래 서비스 지원 시스템
US20230206229A1 (en) Generating a new key pair for utilization within a contract blockchain
AU2019335592A1 (en) Digital currency and trading system
JP7042637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仮想通貨取引システム
KR20190125200A (ko) 사물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매개로 하여 암호화폐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09511A1 (en) Determining a fraud abatement approach for a potentially fraudulent exchange item
KR101666083B1 (ko) 매출채권 담보대출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KR20230125152A (ko) 부동산 유동화증권의 거래 지원 시스템
US20220309493A1 (en) Expediting transaction settlement
Turi et al. Digital economy and the information society
KR102601460B1 (ko) 기존 거래 정보에 기반한 베네핏을 제공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0505713A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方法
KR101666084B1 (ko) 매출채권 담보대출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JP6564118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657555B1 (ko) 결제 화폐 선택 절차를 내포하는 개인 단말기 간의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45775B1 (ko) 추가 인증 절차를 내포하는 가상 화폐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58994B1 (ko) 예탁금을 이용해 암호 화폐의 거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판매 주체를 보호하기 위한 암호 화폐의 결제 시스템 및 방법
Çelik Implementation of technical analysis on selected cryptocurren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