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078B1 - 가변 탄성 썸스틱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탄성 썸스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078B1
KR102601078B1 KR1020210068875A KR20210068875A KR102601078B1 KR 102601078 B1 KR102601078 B1 KR 102601078B1 KR 1020210068875 A KR1020210068875 A KR 1020210068875A KR 20210068875 A KR20210068875 A KR 20210068875A KR 102601078 B1 KR102601078 B1 KR 102601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thumbstick
bar
coupled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801A (ko
Inventor
박휘성
이기혁
심영보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6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07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025/048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separate central push, slide or tumbler button which is not integral with the operating part that surrounds it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탄성 썸스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배치는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스틱은,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부로 돌출된 걸림바를 포함하는 걸림판; 상기 걸림바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걸림바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수직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동작하는 스틱바; 상기 걸림판 및 상기 스틱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틱바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틱바가 기울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짐벌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틱바에 가해지는 상기 복원력이 조절되는, 썸스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탄성 썸스틱 장치{THUMBSTICK APPARATUS WITH ADJUSTABLE TENSION}
본 발명은 가변 탄성 썸스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엄지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는 가변 탄성 썸스틱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썸스틱(thumbstick)은 조이스틱 중 하나로, 스틱을 밀거나 당겨 조작하는 방식의 입력장치이다. 이러한 썸스틱은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스틱을 조작할 수 있는 소형 조이스틱이다.
이러한 썸스틱은 스틱바가 평면상에서 x축 및 y축의 양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움직인 다음, 스틱바에 연결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원되도록 구현된다.
이때, 썸스틱의 복원력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썸스틱의 복원력을 변경하고자 할 때, 스틱바에 연결된 스프링의 길이를 다르게 조작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썸스틱은 복원력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썸스틱의 길이를 변경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썸스틱의 복원력을 변경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45486호 (2008.05.2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스틱의 복원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썸스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배치는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스틱은,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부로 돌출된 걸림바를 포함하는 걸림판; 상기 걸림바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걸림바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수직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동작하는 스틱바; 상기 걸림판 및 상기 스틱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틱바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틱바가 기울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짐벌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판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틱바에 가해지는 상기 복원력이 조절되는, 썸스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모터 마운트; 및 상기 모터 마운트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판이 삽입되는 이너바디를 더 포함하는, 썸스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터 마운트는, 상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마운트 베이스부; 및 상기 마운트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측면을 감싸며 서로 이격된 배치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썸스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에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이너바디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홀 및 제2 결합홀이 각각 형성된, 썸스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에는, 상기 이동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이동판이 삽입되는 판 삽입홀이 형성된, 썸스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에 결합된 고정볼트; 및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고정볼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썸스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볼트고정부; 및 상기 볼트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너트는, 상기 볼트부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썸스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판에는 상기 고정너트와 함께 상기 이동판이 이동되도록 상기 고정너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썸스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틱바의 기울어짐의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기; 및 상기 감지기에서 감지된 상기 스틱바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썸스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가 상기 스틱바가 소정의 범위 이상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틱바에 제공되는 복원력이 커지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썸스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썸스틱 장치에 설치된 스틱의 복원력이 조절될 수 있어, 상황에 맞게 썸스틱 장치의 복원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모터가 장착되는 마운트 베이스부와 이너바디가 고정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판이 이너바디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의 길이가 가변되어 스틱의 복원력이 조절됨에 따라 빠르게 썸스틱 장치의 복원력을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스틱바의 기울어짐에 따라 이동판의 위치가 이동되어 썸스틱 장치의 복원력이 조절될 수 있어, 사용자가 썸스틱 장치를 복원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스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스틱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스틱 장치를 분해하여 하방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스틱 장치의 이동판이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스틱 장치의 이동판이 이동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스틱 장치의 스틱이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스틱 장치의 스틱이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스틱 장치의 스틱의 동작되는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스틱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썸스틱 장치(10)는, 모터 마운트(100), 구동모터(200), 고정볼트(300), 고정너트(400), 이동판(500), 이너바디(600), 스틱(700), 감지기(800) 및 제어기(900)를 포함한다.
모터 마운트(100)는 썸스틱 장치(10)의 최 하단에 배치되고, 구동모터(200)를 지지한다. 모터 마운트(100)는, 마운트 베이스부(110),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마운트 베이스부(110)는, 구동모터(200)를 지지한다. 마운트 베이스부(110)는, 대략 원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구동모터(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는 마운트 베이스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는, 마운트 베이스부(110)에서 각각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는 각각 마운트 베이스부(110)에 구동모터(200)가 안착될 때 구동모터(200)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에 의해 구동모터(200)는 마운트 베이스부(1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의 상단에는 각각 제1 결합홀(122) 및 제2 결합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홀(122) 및 제2 결합홀(132)은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각각 두 개의 제1 결합홀(122) 및 두 개의 제2 결합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홀(122) 및 제2 결합홀(132)은 각각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가 이너바디(600)에 결합되기 위해 구비된다.
구동모터(200)는 이동판(500)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모터 마운트(100)에 안착된다. 구동모터(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구동모터(2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모터(200)는, 구동되어 회전되는 회전부(210)를 포함한다.
고정볼트(300)는 구동모터(200)의 회전부(210)에 결합되고, 구동모터(200)가 회전될 때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볼트(300)는, 볼트고정부(310) 및 볼트부(320)를 포함한다.
볼트고정부(310)는 구동모터(200)의 회전부(210)에 결합된다. 볼트고정부(310)가 회전부(210)에 결합됨에 따라 구동모터(200)가 구동되어 회전부(210)가 회전될 때, 볼트고정부(310)도 회전부(2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볼트부(320)는 볼트고정부(310)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너트(400)는, 고정볼트(300)의 볼트부(320)에 결합되며, 고정볼트(300)가 구동모터(200)의 회전부(21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어 볼트부(3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너트(4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다각 형상(예컨대, 육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판(500)은 구동모터(200)가 구동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판(500)은 이너바디(6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판(500)은 판 본체(510) 및 판 상체(520)를 포함한다.
판 본체(510)는 외주 형상이 다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육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판 본체(510)의 하부에는 제1 삽입홀(512) 및 제2 삽입홀(5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홀(512)은 고정볼트(300)의 볼트부(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단면 형상이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홀(512)은 고정볼트(300)의 볼트부(320)가 접촉되지 않도록 볼트부(3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제2 삽입홀(514)은 제1 삽입홀(512)의 하부에 형성되고, 고정너트(4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삽입홀(514)은 고정너트(400)가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게 고정너트(400)의 외주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고정너트(400)가 제2 삽입홀(514)에 끼워진 채로 고정볼트(300)가 회전하면 고정너트(400)가 볼트부(320)의 나사산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고정너트(400)가 고정볼트(300)의 볼트부(320)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때 판 본체(510)는 고정너트(40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판 상체(520)는 판 본체(510)의 상단에 배치되고, 판 본체(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판 상체(520)는, 대략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판 본체(510)의 상부 너비보다 큰 너비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판 상체(520)의 너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 본체(510)와 동일한 너비를 가져도 무방하다.
이너바디(600)는 구동모터(200)의 상부에 배치되고, 모터 마운트(100)와 결합된다. 이너바디(600)에는, 이동판(5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판 삽입홀(620)이 형성된다. 판 삽입홀(620)은 이동판(500)의 판 본체(510)의 외주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판 본체(510)가 육각기둥 형상을 가짐에 따라 판 삽입홀(620)의 단면 형상은 육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이너바디(600)의 하단 측면에 복수 개의 고정 홀(61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홀(610)은 모터 마운트(100)의 제1 결합부(120) 및 제2 결합부(130)에 각각 형성된 제1 결합홀(122) 및 제2 결합홀(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홀(610)은 제1 결합홀(122) 및 제2 결합홀(132)과 연통되어 볼트 등이 삽입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너바디(600)는 모터 마운트(1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바디(600)에는 스틱(700)이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63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6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바디(600)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단의 형상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630)는 스틱(700)이 이너바디(600)에 결합될 때, 결합되는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며, 스틱(700)이 이너바디(60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스틱(7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기울어지도록 조작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게임 내에서 게임 캐릭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스틱(700)은 이너바디(600)에 결합되고, 이동판(500)의 위치에 따라 복원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스틱(7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판(710), 스틱바(720), 스프링(730), 짐벌(740) 및 케이스(750)를 포함한다.
걸림판(710)은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걸림판(710)은, 이동판(500)의 판 상체(520)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판(710)은, 중앙 부분에 걸림바(712)가 배치될 수 있다. 걸림바(712)는 걸림판(710)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틱바(7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걸림바(712)에 결합될 수 있다. 스틱바(720)는 걸림바(712)가 하부에 삽입되어 스틱바(720)의 길이 방향으로 양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걸림바(71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틱바(720)에는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외주면에 수직한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회전축(72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틱바(720)는 회전축(722)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렇게 스틱바(720)가 회전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판(71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스프링(730)은 걸림바(712)에 삽입되며, 스틱바(720)의 하부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된다. 스프링(730)은 스틱바(720)와 함께 걸림판(710)이 회전됨에 따라 걸림판(710)이 이동판(500)의 판 상체(520)에서 일부가 들려 기울어짐에 따라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730)의 복원력은 걸림판(710)이 스틱바(720)와 가까워질수록 강하게 작용될 수 있다. 스프링(730)의 상측 단부는 스틱바(720)에 지지되고, 스프링(730)의 하측 단부는 걸림판(710)에 지지될 수 있다.
짐벌(740)은 스틱바(720)가 이동되는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케이스(750)는 스틱바(72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기울어질 때, 짐벌(740)의 움직임을 고정하고, 또한, 이너바디(600)에 스틱(700)을 결합시킨다. 이러한 케이스(750)에는, 이너바디(600)의 고정돌기(630)가 삽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돌기 홈(75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 홈(752)의 형상은 고정돌기(63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스틱바(720)가 기울어지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바(720)와 함께 걸림판(710)이 이동판(500)의 판 상체(520)에서 일부가 들려 스프링(730)이 압축됨에 따라 스틱바(720)가 수직한 위치로 복원하기 위한 복원력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틱바(720)에 가하는 외력을 제거하는 경우, 스틱바(7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방향으로 복원될 수 있다.
감지기(800)는 스틱바(720)의 회전축(722) 및 짐벌(740)의 회전축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틱바(720)가 기울어지는 정도 및 스틱바(720)가 기울어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기(800)는 스틱바(720)의 기울임을 감지할 수 있는 자이로 센서일 수 있다.
제어기(900)는 감지기(800)에서 감지된 스틱바(720)의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구동모터(200)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기(900)는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바(720)의 상단부(또는 하단부)가 제1 범위 내(A)에 위치하도록 스틱바(720)가 기울어지는 경우, 이동판(500)의 위치를 고정하여 스틱바(720)에 가해지는 복원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동모터(2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스틱바(720)의 상단부(또는 하단부)가 제1 범위(A)를 벗어나 제2 범위(B)에 위치하도록 스틱바(720)가 기울어지는 경우, 제어기(900)는 이동판(500)이 이너바디(600)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모터(200)를 구동시켜 스틱바(720)에 가해지는 복원력이 스틱바(720)의 상단부(또는 하단부)가 제1 범위(A) 내에 놓일 때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작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9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썸스틱 장치
100: 모터 마운트 110: 마운트 베이스부
120: 제1 결합부 122: 제1 결합홀
130: 제2 결합부 132: 제2 결합홀
200: 구동모터 210: 회전부
300: 고정볼트 310: 볼트고정부
320: 볼트부
400: 고정너트
500: 이동판 510: 판 본체
512: 제1 삽입홀 514: 제2 삽입홀
520: 판 상체
600: 이너바디 610: 고정 홀
620: 판 삽입홀 630: 고정돌기
700: 스틱
710: 걸림판 712: 걸림바
720: 스틱바 722: 회전축
730: 스프링 740: 짐벌
750: 케이스 752: 돌기 홈
800: 감지기 900: 제어기

Claims (10)

  1.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판; 및
    상기 이동판의 상부에 배치는 스틱을 포함하고,
    상기 스틱은,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부로 돌출된 걸림바를 포함하는 걸림판;
    상기 걸림바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걸림바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수직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동작하는 스틱바;
    상기 걸림판 및 상기 스틱바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틱바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상기 스틱바가 기울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짐벌;
    상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모터 마운트; 및
    상기 모터 마운트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판이 삽입되는 이너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이 상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스틱바에 가해지는 상기 복원력이 조절되고,
    상기 모터 마운트는,
    상기 구동모터가 안착되는 마운트 베이스부; 및
    상기 마운트 베이스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측면을 감싸며 서로 이격된 배치된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바디에는,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이너바디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홀 및 제2 결합홀이 각각 형성된,
    썸스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바디에는, 상기 이동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이동판이 삽입되는 판 삽입홀이 형성된,
    썸스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 결합된 고정볼트; 및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되는 상기 고정볼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고정너트를 더 포함하는,
    썸스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는 볼트고정부; 및
    상기 볼트고정부에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너트는, 상기 볼트부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썸스틱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에는 상기 고정너트와 함께 상기 이동판이 이동되도록 상기 고정너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썸스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틱바의 기울어짐의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기; 및
    상기 감지기에서 감지된 상기 스틱바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썸스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감지기가 상기 스틱바가 소정의 범위 이상의 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스틱바에 제공되는 복원력이 커지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썸스틱 장치.
KR1020210068875A 2021-05-28 2021-05-28 가변 탄성 썸스틱 장치 KR102601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875A KR102601078B1 (ko) 2021-05-28 2021-05-28 가변 탄성 썸스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875A KR102601078B1 (ko) 2021-05-28 2021-05-28 가변 탄성 썸스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01A KR20220160801A (ko) 2022-12-06
KR102601078B1 true KR102601078B1 (ko) 2023-11-10

Family

ID=8440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875A KR102601078B1 (ko) 2021-05-28 2021-05-28 가변 탄성 썸스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0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01106A1 (en) * 2015-06-30 2017-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stick with adjustable tens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486A (ko) 2006-11-20 2008-05-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다기능 스위치 장치
KR101124507B1 (ko) * 2010-04-28 2012-03-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텐션형 조이스틱
KR101488209B1 (ko) * 2013-05-09 2015-01-30 신준협 조이스틱을 이용한 위치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01106A1 (en) * 2015-06-30 2017-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stick with adjustable t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801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7798B (zh) 具有可调整张力的摇杆
ES2593681T3 (es) Dispositivo de entrada que incluye un conjunto de rueda para desplazar una imagen en múltiples direcciones
US5687944A (en) Angle controller for image display
KR101743585B1 (ko) 균형유지 기능이 구비된 드론용 이착륙 시스템
KR102601078B1 (ko) 가변 탄성 썸스틱 장치
CN101287945A (zh) 平衡支撑装置
EP3561633B1 (en) Joystick structure and remote controller
KR102011605B1 (ko) 검사장치용 무빙 스테이지
NL1031566C2 (nl) Beluchtingsinrichting.
US20080223703A1 (en) Multifunctional operating element
US10995545B2 (en) Multistate resistance adjusting device for non-pull cord window blind
KR20150131722A (ko) 전방향 트레드밀
JP2007172231A (ja) コントロールレバー装置
JP7026947B2 (ja) 装飾部品駆動装置
JP4810667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コントローラ
KR101911486B1 (ko) 2축 모션 시뮬레이션 시스템
JP7057560B2 (ja) グラインダー体感装置
KR20230100046A (ko) 브러시용 틸팅 브라켓
US7204816B2 (en) Massaging apparatus
KR200160895Y1 (ko) 투영기의 기울기 조절장치
EP0999487A2 (en) Analogue joystick
US5533460A (en) Thread tension device with latch for a sewing machine
KR102292804B1 (ko) 위치 조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프로젝터
KR1008038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각도 조절장치
KR100522950B1 (ko)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수평 선회 조절을 위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