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511B1 -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511B1
KR102599511B1 KR1020220157230A KR20220157230A KR102599511B1 KR 102599511 B1 KR102599511 B1 KR 102599511B1 KR 1020220157230 A KR1020220157230 A KR 1020220157230A KR 20220157230 A KR20220157230 A KR 20220157230A KR 102599511 B1 KR102599511 B1 KR 102599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atching
artemia
hatching tank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7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범
Original Assignee
김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범 filed Critical 김명범
Priority to KR1020220157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90Sorting, grading, counting or marking live aquatic animals, e.g. sex deter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부화조와 보조 부화조를 마련하여 알테미아의 연속적인 부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알테미아를 적정량 부화 및 채집하여 여러 양육수조에 동일한 양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알테미아의 부유알껍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고, 채집조에 조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부화조에 개폐도어를 설치하여 채집조에 채집된 알테미아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개폐도어를 제어하여 채집조에 알테미아가 이상적인 양으로 채집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는, 알테미아 유생을 채집 및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부화조 및 채집조를 포함하는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장치; 및 상기 부화조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부화조에 부유하고 있는 알껍질들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알껍질제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APPARATUS FOR AUTOMATION ARTEMIA CYST INCUBATION AND SUPPLY}
본 발명은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 부화조와 보조 부화조를 마련하여 알테미아의 연속적인 부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알테미아를 적정량 부화 및 채집하여 여러 양육수조에 동일한 양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알테미아의 부유알껍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고, 채집조에 조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부화조에 개폐도어를 설치하여 채집조에 채집된 알테미아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개폐도어를 제어하여 채집조에 알테미아가 이상적인 양으로 채집되도록 할 수 있는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수작업으로 알테미아(브라인쉬림프)를 부화 및 채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투명한 용기(예:페트병)에 알테미아 시스트, 담수, 소금, 산소기 콩돌, 수중히터 등을 투입 가동 후, 24∼30시간 이상 지나 부화 유생이 날기 시작하면 산소기를 멈춘다. 이후에 껍질이 수면으로 떠 오르면 검정색 종이(또는 검정색 천)으로 투명용기를 가린 후 하부에 조명을 비춰 부화유생들이 하부에 모여들 때 직접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빨아내거나 투명한 용기 밑에 밸브를 달아 밑으로 빼내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알테미아가 빛을 따라 움직이는 추광성을 가지고 있다는 과학적 사실에 기반을 둔 것이다.
한편에서는 이미 내구란 표면에 철분을 코팅한 알테미아 시스트 제품이 개발된 바도 있다. 이러한 제품은 매우 고가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성황리에 유통 판매되고 있으며, 이 제품 또한 전항과 마찬가지로 알테미아 시스트를 부화시킨 후, 직접 손으로 자석봉을 부화조에 투입하고 철분 코팅되어있는 껍질과 미부화란 등을 붙여내어 흐르는 물에 씻고 재차 자석봉을 넣어 분리하는 작업을 거듭 반복하여 알테미아 유생들만 남기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리고, 최근 시중 판매되는 알테미아 부화기 제품으로는 산소기를 사용하지 않고 원형 접시 같은 납작한 용기 안에 원형의 반복된 울타리 형태의 구조물을 넣고 염수를 나지막이 부어 넣은 후 원형 구조물 가장자리에 알테미아 시스트를 넣어 그대로 두고 24시간 이상 지나 부화되면 빛이 드는 구멍 뚫린 가운데에 알테미아 유생이 빠져 나와 모이도록 하고 건져내는 방법이 있다.
이상 설명한 기술들은 모두가 수작업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채집 선별과정이 번거롭고 어려워,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임에 불구하고 채집된 유생들로부터 알껍질 등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했다고 보장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아직 부화되지 않은 알테미아 시스트(미부화 내구란)들까지도 알껍질과 함께 버려지는 비경제적인 면을 감내해야 하는 불가피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알테미아의 대량 부화 시 한 번에 다 급이하지 못하므로 냉동해야만 하고 알테미아 유생의 생체조직이나 난황이 얼음 결정의 형성으로 인해 파괴되어 해동 시 변질할 우려가 있으며 이후 급이 시 치어 및 소형어양육조의 수질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최근에 나오는 원형 접시형 알테미아 부화기의 경우 산소기(air stone)를 사용하지 못하며(물론 산소기를 넣을 수 있도록 제품 구성이 되어 있기는 하지만 수류로 인해 알껍질이 유생채집부에 침범하여 섞이는 문제로 거의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보임) 산소공급(boiling)은 부화율을 높이는 절대적인 조건임에도 기술의 한계로 인해 이를 포기한 것으로 간주되며, 극소량 알테미아 시스트를 부화해 내는 정도로 대량 부화에는 기능상 한계점이 있다.
한편, 치어의 건강한 양육을 위해서 지속적인 먹이 공급은 절대적인 것이며, 한 끼라도 배를 채우지 못해 굶주리면 치어 성장에 치명적인 지장을 초래할 만큼 영양가 있는 지속적인 먹이 급이가 치어 양육의 성패를 좌우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테미아 부화 공급은 모두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치어 양육 시 알테미아의 부화와 급이는 많은 주의와 노동력 그리고 엄청난 시간이 투입되어야만 하는 작업일 수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힘든 수작업과 번거로운 공정은 작업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결과적으로 경제적 손해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알테미아는 부화되는 순간부터 발육을 위해 난황을 소비하여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하고 성체에 이르게 되면 난황을 모두 소비하여 없어져 난황을 지니지 않은 상태로 치어가 섭취하더라도 크게 영양을 취할 수 없어 치어 성장에 크게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시중에는 냉동 알테미어 유생이 제품화되어 판매되고 있으나 난황을 충분히 간직한 상태인 알테미아 노우플리스 단계에 있는 알테미어 유생임을 보장하기 힘들다. 그 이유는 손익계산에 따른 상업적 경제적인 이유로 대량의 내구란을 한꺼번에 부화시켜내야만 하고 이때 많은 미부화란를 포기하기 어려워 미부화가 발생치 않도록 불가피하게 과도한 부화시간을 줄 수밖에 없으며 유생의 생산량(부피)에만 중점을 둘 수밖에 없어 초기부화유생보다 3배 이상의 부피로 자라 성체에 이른 유생들만을 생산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초기부화유생(Artemia Nauplice)만 선별하는 것은 대량부화 및 냉동제품 생산에 있어서 절대 기대하기 힘든 일일 수밖에 없다.
설사 적정부화시간으로 초기부화유생(Artemia Nauplice)을 채집하더라도 빠른 시간 안에 치어들에게 모두 급이 해야 하고 남은 경우, 대부분 냉동을 하게 되는데 냉동과정에서 난황과 생체조직이 파괴되고 또한 관리과정에서의 변질될 가능성이 크다. 수조에 투입 시 급격히 해동되며 고영양물질인 난황이 깨진 상태로 물에 녹아 나오고 파괴되어 떨어져 나온 생체조직들까지 더하여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며 결국 치어의 폐사로 이어지기 쉽고 이를 방어하기 위해서는 더욱 세밀한 수질 관리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부화유생을 선별함에 있어 최대한 유생만을 선별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이 있었으나 사실상 완벽한 선별은 불가능했다. 부화유생과 섞여 들어온 일부 알껍질과 미부화란 그리고 부패란의 표면에는 박테리아, 세균 등의 오염물질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런 이물질을 치어가 섭취하면 장염, 복수병 등 심각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부화 전 내구란 자체를 세척하도록 권장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들을 전반적으로 고려해보면,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 전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아울러, 기존에 알테미아 부화는 모두 수작업을 통하여 이루어 졌으며, 치어 등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고 따라서 경제적으로도 유리하지 못함에도 대안이 없는 관계로 그대로 옛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기존의 방식으로 가장 이상적인 먹이효율을 가진 갓 부화된 알테미아 노우플리우스를 공급하려면 여러 개의 부화기를 마련하여 매일 일정시간에 알테미아 시스트를 각 부화기에 순서 시간별로 넣으며 순서대로 부화를 시작하여 24시간이 지나면 먼저 넣은 부화기의 알테미아를 걸러서 치어 및 소형어 양육수조에 스포이드를 사용하여 넣어주는 방식으로 수동으로 차례대로 순환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과도한 노동력과 집중력이 요구되는 방식으로 작업자는 쉽게 피로감을 호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알테미아가 부화함에 따라 알껍질이 배양수 표면에 부유하게 되는데 종래기술에는 알껍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알껍질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420553호(2022.07.0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인 부화조와 보조 부화조를 마련하여 알테미아의 연속적인 부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알테미아를 적정량 부화 및 채집하여 여러 양육수조에 동일한 양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알테미아의 부유알껍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고, 채집조에 조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부화조에 개폐도어를 설치하여 채집조에 채집된 알테미아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개폐도어를 제어하여 채집조에 알테미아가 이상적인 양으로 채집되도록 할 수 있는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는, 알테미아 유생을 채집 및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부화조 및 채집조를 포함하는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장치; 및 상기 부화조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부화조에 부유하고 있는 알껍질들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알껍질제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알껍질제거부는, 상기 부화조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향되는 형태로 일정간격 배치되는 제1,2 회전체; 상기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들에 각각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부; 및 일측과 타측이 상기 작동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부화조를 따라 이동하면서 배양수에 부유하고 있는 알껍질을 밀어서 배출시키는 스크래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화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알껍질제거부에 의해 배출되는 알껍질을 수집하는 수집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화조에는 상기 수집조의 상측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회전체는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경사면을 스크래핑하면서 이동하다가 알껍질을 수집조에 낙하시킬 수 있도록 자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화조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조 부화조; 상기 보조 부화조 내의 배양수 및 알테미아를 상기 부화조로 공급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내부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화조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상기 부화조에 내구란을 투입하기 위한 제1 투입부 및 상기 보조 부화조에 내구란을 투입하기 위한 제2 투입부가 2갈래로 나누어지는 형태로 형성된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의 내부공간에 축 결합되며, 상기 부화조 또는 보조 부화조에 내구란을 선택적으로 투입하도록 회동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투입부와 제2 투입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화조에는 상기 채집조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채집조는 투명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부화조의 내벽면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도어; 상기 부화조에서 통로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채집조의 내부공간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부화조 내의 알테미아를 상기 채집조로 유도하는 LED 유도등; 및 상기 채집조의 내부공간에서 알테미아들이 상기 LED 유도등으로 몰려든 상태의 채집조 내부공간의 조도를 측정하여 알테미아의 채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조도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조도값 보다 높을 경우, 상기 개폐도어가 부화조의 통로를 폐쇄시키도록 작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채집조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을 복수개의 양육수조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배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공급부는, 상기 채집조에 연결되어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를 공급받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급캡; 및 상기 공급캡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관을 통과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하부에는 각각의 양육수조에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를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분기관이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는 형태로 형성된 배출호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는, 메인 부화조와 보조 부화조를 마련하여 알테미아의 연속적인 부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알테미아를 적정량 부화 및 채집하여 여러 양육수조에 동일한 양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알테미아의 부유알껍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고, 채집조에 조도감지센서를 설치하고, 부화조에 개폐도어를 설치하여 채집조에 채집된 알테미아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개폐도어를 제어하여 채집조에 알테미아가 이상적인 양으로 채집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적용된 부화조 및 알껍질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적용된 보조 부화조 및 연결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적용된 투입호퍼의 내부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적용된 개폐도어와, 가이드레일과, 리니어 모터 및 LED 유도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적용된 분배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조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채집조 내의 조도를 나타내는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적용된 부화조 및 알껍질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적용된 보조 부화조 및 연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적용된 투입호퍼의 내부를 도시한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적용된 개폐도어와, 가이드레일과, 리니어 모터 및 LED 유도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에 적용된 분배공급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조도감지센서가 감지한 채집조 내의 조도를 나타내는 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살아있는 갓 부화된 초기부화유생(Artemia Nauplice)만을 정해진 시간에 적정량 공급하는 한편, 미부화란은 그대로 부화조(11)에 남아 계속 부화시간을 가져 결국 부화되도록 유도해서 부화율을 높임으로써 값비싼 알테미아 시스트를 그냥 버려 낭비하는 일을 없앨 수 있도록 한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수류를 감쇄 및 차단하는 기움투명막창(150)을 도입하여 알껍질, 미부화란 등 이물질 유입을 100% 방지하고, 순수히 채집된 유생들을 깨끗이 세척 후 치어항에 공급할 수 있게끔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종래 전통적인 부화 및 채집방법으로 발생하는 미부화란의 포기, 난황을 소진해버린 유생 채집, 엄청난 작업시간과 노동력 투입 등 경제적 비효율성 배제할 수 있게끔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 전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치어 양육에 있어 현재 일반 내구란의 시중가 대비 약 7∼8배가량 고가인 철분코팅 알테미아 시스트를 구입해야 할 필요성이 없다. 또한, 기존의 철분코팅 내구란을 부화시켜 자석봉(magnetic stick)으로 반복적인 손작업을 해야 하는 과정의 비효율성과 비경제성, 불순물이 섞인 유생들을 급이 해야만 하는 위험성을 전면 배제하여 보다 선진적인 방식을 제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전자동(full automation)으로 부화, 채집, 공급의 전 단계(all steps)를 일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구 방식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효율성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당업자로 하여금 생산성 향상으로 최대의 경쟁력과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부화조(11)에 충진된 배양수에 부유하고 있는 알테미아 알껍질을 자동으로 제거하여 별도의 수집조(30)에 수집할 수 있으며, 부화조(11)를 세척하고 부화조(11)에 충진된 배양수를 교체할 때,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부화된 초기부화유생(Artemia Nauplice)을 적정량씩 채집한 후 복수개의 양육수조에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어,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부화 및 공급장치와,알컵질제거부와, 수집조(30)와, 보조 부화조(40)와, 연결관(50)과, 밸브(51)와, 투입호퍼(60)와, 차단막(70)과, 개폐도어(90)와, 승강구도부와, LED 유도등(110)과, 조도감지센서(120) 및 분배공급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부화 및 공급장치는 알테미아 알껍질 등 이물질을 제외한 순수 유생들만을 채집하는 것으로, 부화조(11) 및 채집조(12)를 포함할 수 있다.
부화조(11)는 무광검정색 구조물이고, 채집조(12)는 투명용기형태 구조물일 수 있다.
부화조(11)와 채집조(12)의 사이에는 보조 부화조(40)가 배치될 수 있다.
부화조(11)를 청소하거나 부화조(11)에 충진된 배양수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일정시간 이상이 소요됨으로, 부화조(11)를 청소하거나 배양수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 보조 부화조(40)를 통해 알테미아를 부화시키면 된다.
즉, 보조 부화조(40)로 인해 부화조(11)를 청소하거나 부화조(11)에 충진된 배양수를 교체하더라도 알테미아의 부화작업이 중단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투입호퍼(60)는 부화조(11) 또는 보조 부화조(40)에 내구란을 선택적으로 투입하는 구성이다.
즉, 투입호퍼(60)를 통해 부화조(11)를 청소하거나 배양수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 부화조(40)에 내구란을 투입하여 부화작업을 진행하고, 부화조(11)의 청소작업이나 배양수 교체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부화조(11)에 내구란을 투입하여 부화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투입호퍼(60)는 부화조(11) 및 보조 부하조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호퍼(60)의 하부에는 부화조(11)에 내구란을 투입하기 위한 제1 투입부(61) 및 보조 부화조(40)에 내구란을 투입하기 위한 제2 투입부(62)가 2갈래로 나누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투입부(61) 및 제2 투입부(62)는 모두 상단과 하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투입부(61) 및 제2 투입부(62)의 조합된 단면 형상은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입호퍼(60)의 내부공간으로 투입된 내구란은 제1 투입부(61) 또는 제2 투입부(62)를 통해 낙하될 수 있다.
차단막(70)은 제1 투입부(61)와 제2 투입부(62)의 연결지점에 축(71)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차단막(70)은 축(71)을 기준으로 좌, 우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막(70)이 우측으로 회동될 경우 제2 투입부(62)의 상측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게 됨으로, 투입호퍼(60)로 투입된 내구란은 제1 투입부(61)를 통해 부화조(11)에 투입된다.
그리고, 차단막(70)이 좌측으로 회동될 경우 제1 투입부(61)의 상측 개방된 부분을 밀폐하게 됨으로, 투입호퍼(60)로 투입된 내구란은 제2 투입부(62)를 통해 보조 부화조(40)로 투입된다.
이때, 차단막(70)의 축(71)은 그 일정영역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축(71)의 돌출된 영역에는 모터, 캠 등과 같은 회전장치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장치를 통해 차단막(70)을 제어하여 제1 투입부(61) 또는 제2 투입부(62)를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부화조(11) 또는 보조 부화조(40)에 내구란을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부화조(11)의 청소작업이 완료되거나 배양수의 교체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보조 부화조(40) 내의 배양수 및 알테미아를 부화조(11)의 내부로 이동시켜 부화작업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보조 부화조(40)에는 배양수 및 알테미아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0a)가 형성되고, 부화조(11)에는 보조 부화조(40)로부터 배양수 및 알테미아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관(50)은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화조(11) 및 보조 부화조(40)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이 배출구(40a)에 연결되고 타측은 공급구에 연결된다.
연결관(50)에는 밸브(51)가 설치된다. 일 예로 밸브(51)는 전동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51)를 통해 연결관(50)의 내부를 개방시키면 보조 부화조(40) 내의 배양수 및 알테미아가 연결관(50)을 통해 부화조(11)로 이동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부화조(40)의 바닥면(41)은 배출구(40a)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양수 및 알테미아가 배출구(40a)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밸브(51)를 통해 연결관(50)의 내부를 폐쇄시키면 보조 부화조(40) 내의 배양수 및 알테미아가 부화조(11)로 이동되지 아니한다.
부가적으로, 연결관(50)에는 산소기 투입구(43)가 관통설치될 수 있다.
산소기 투입구(43)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투입구(30a)는 외기를 연결관(50)의 내부로 공급하여 이동하는 알테미아에게 산소를 공급한다.
부화조(11)와 보조 부화조(40) 및 보조 부화조(40)와 채집조(12)의 결합은 볼트 방식, 결착고리 형식으로 압박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이 방식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다른 방식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부화조(11)는 채집조(12)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배관 형상의 통로(80)가 형성된다.
따라서, 부화조(11)에서 부화된 초기부화유생은 통로(80)를 통해 채집조(12)에 채집될 수 있다.
부화조(11)에는 히터, LED등(미도시), 산소기 콩돌(미도시), 산소기 튜브(미도시)가 위치별로 탑재된다. 이러한 부화조(11)는 LED등, 히터, 산소기 콩돌, 산소기 튜브 등의 작용으로 알테미아 시스트에 적정한 염도, 수온, 광선(빛), 수류 등을 제공하여 정상적으로 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배양장치다.
통로(8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로(80)에는 배양수에 잠기게 될 기움투명막창(150)(Tilted Transparent Membrane Window)이 장착된다. 즉 기움투명막창(150)은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장치(10)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기움투명막창(150)은 복수 개의 투명한 상부 및 하부 고형막(151,152) 들을 종렬로 상하 안쪽으로 기울게(경사면 70도, 11a) 접착 배치하여 1.5mm의 틈(gap)이 있는 접점을 형성하도록 하는 형태의 사각면체 모양의 수중 창(window)이다.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알에서 깨어나자마자 본능에 따라 빛의 방향으로 반응하여 움직이고 운동할수록 투명막 경사면(70도, 11a)에 미끄러지며 손쉽게 이동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하의 투명한 상부 및 하부 고형막(151,152)의 넓은 접점 틈(contact point gap of upper and under transparent membranes)으로 통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하부의 투명막 상부 및 하부 고형막(151,152)들의 각 접점 틈은 좌우로 넓으며, 앞뒤 사이로 1.5mm 간격의 틈(gap)을 이룬다. 투명막 접점 배치가 병목구조의 반대형태(역병목구조 revers bottlenect structure)로 이루어져 유입되는 수류의 세기를 절대적으로 감쇄 및 차단시키기 때문에, 보일링(boiling) 중인 부화조(11)(15) 내의 강한 수류에도 불구하고 최초 접점 내부의 미세한 수류를 제외하고 이후 접점과 그 사이 공간에는 조금의 수류도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알껍질, 미부화란, 부패란 등의 이물질이 기움투명막창(150)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며, 자기 운동능력으로 미끄러져 들어간 알테미아 유생들만이 채집조(12)에 모이게 된다. 이로써, 이물질 유입율이 0%에 이른다.
기움투명막창(150)은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장치(10)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염수 및 불순물 등에 의한 오염과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명성이 상실되었을 때 언제든지 교체 가능(유지보수 용이)하다. 기움투명막창(150) 자체를 분해하여 별도의 내부 세척도 가능하다.
상부 각 투명막의 중앙 상단에는 상부천정에 붙여 직경 1mm의 미세한 원형 관통구를 형성할 수 있다. 첫 번째 관통구에는 실리콘호스(내경1mm,외경2mm, 14)를 연결하여 수면 위 공기 중으로 빼서 고정한다. 이것은 부화조(11)에 염수(배양수)가 채워질 때 기움투명막창(15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유생들 이동에 장애를 줄 수 있는 에어포켓(air poket)이 발생함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기움투명막창(150)은 상부의 투명한 고형막 중앙 상단 상부천정에 붙여 직경 1mm의 미세한 관통구를 첫 번째 관통구에는 실리콘호스(내경 1mm, 외경 2mm)를 연결하여 수면 위 공기 중으로 빼서 고정한다. 이것은 부화조(11)에 최초 염수 공급 시 기움투명막창(150) 내부에 에어포켓의 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부화조(11)의 하부에는 바닥표면에 최대한 홈(내구란들이 고여있을 수 있는 파인 부분)이 없도록 큰 레버를 가진 밸브로 구성되는 청소용배출구(11b)가 형성된다.
부화조(11)의 일측 상부에는 수집조(30)의 투입구(30a)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11a)이 형성된다.
경사면(11a)은 상부 일정영역이 투입구(30a)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경사면(11a)을 통해 후술되는 알껍질제거부(20)가 알테미아 알껍질을 수집조(30)로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채집조(12)는 부화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을 부화조(11)로부터 유도하고 채집한 후, 담수로 1차 샤워 세척하는 한편, 담수로 2차 샤워하는 동시에 치어 및 소형어 양육조로 배출 공급하게 하는 투명한 구조물 형태의 유도공급장치이다.
채집조(12)는 그 내부에서 기움투명막창(150)의 장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등대밀어개폐문(160)의 설치부, 등대밀어개패문이 동작하도록 뒷 벽면에 엘보(elbow) 또는 베어링 바퀴의 상하운동을 위한 레일 구조의 홈,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담수 유입 시 채집조(12) 내부에 뿌려줄 수 있게 샤워기, 염수공급 튜브와 직진운동형모터(리니어모터)를 포함한다.
채집조(12)의 배출부는 치어양육조 공급배출구(121)와 염수배출부를 포함한다.
치어양육조 공급배출구(121)는 1차 세척으로 유생의 몸에 묻어있을 수 있는 각종 세균 곰팡이 및 이물질을 제거한 순수한 유생을 치어양육조로 흘려보내는 배출구(121)이다.
그리고, 염수배출부는 채집조(12) 후면 하부에 나사조임 형태 또는 밀착형 결착고리형식으로 압박고정 연결되며 접촉 부분에 메쉬망 실리콘패킹을 끼우고 압박하여 고정 장착한다.
염수배출부는 염수재사용배출구, 담수세척수배출구, 메쉬망 설치부 및 산소기 콩돌(air stone)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염수재사용배출구는 유생유도 후 담수세척과정 전에 염수를 외부 공급용 염수수조로 보내기 위한 배출구(121)이고, 담수세척수 배출구는 채집된 유생을 치어양육조에 공급하기 전에 위생을 위해 1차 세척한 세척수를 외부에 버리는 배출구이다. 염수배출부 산소기 콩돌과 부화조(11)의 산소기 튜브는 동일한 산소공급기와 결합하여 같이 작동하되 둘 다 최소한의 기포를 발생시켜 이동 완료한 유생들과 부화조(11)에 남은 일부 유생들이 생명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각 배출구는 외부 돌기에 수동밸브 및 솔레노이드 밸브(전동밸브)를 단독 혹은 중복으로 장착 가능하다. 메쉬망은 채집조(12)와 염수배출부 사이 통로(80)에 위치하며 압박고정 시 견고하게 장착된다. 메쉬망은 염수재사용배출, 담수세척수배출 시 알테미아 유생들이 걸러지게 하는 것으로서, 유생의 크기를 고려하여 300MESH(0.045mm) 이하 사이즈로 하고, 둘레를 일정 두께의 실리콘 코팅하여 채집조(12)와 염수배출부 사이 방수패킹의 역할도 한다.
채집조(12)에는 상부에 샤워기, 염수공급튜브 및 리니어모터가 설치되고, 통로(80) 쪽 벽면에 등대밀어개폐문(160)(back-to-back pushing door)이 장착된다.
그리고, 채집조(12)의 뒤쪽 벽면에는 등대밀어개폐문(160)의 하박부의 엘보우가 지나갈 레일형 홈이 형성된다. 또한, 채집조(12)에는 하부에 치어양육조 공급배출구가 형성되고, 뒤쪽 외부 벽에는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를 유도하는 광선을 발산할 LED등(38)이 배치되며, 뒤쪽 하부에는 염수배출부가 마련된다.
염수배출부는 채집조(12) 뒤 벽면 하부에 홈과 융기부분 사이에 방수실리콘패킹을 두고 나사 조임 또는 밀착형 결착고리 형식으로 연결된다.
이때 접촉부분인 메쉬망 설치부에는 실리콘패킹 처리된 메쉬망이 개재된다. 메쉬망은 채집조(12) 염수 및 담수 배출 시 유생들을 걸러주는 기능을 한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염수재사용배출구, 담수세척수배출구, 산소기 콩돌 설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대밀어개폐문(160)은 채집조(12)에 염수 또는 담수가 배출, 공급되는 과정에서 부화조(11)의 배양수가 기움투명막창(150)의 장착부 통로(80)를 통해 유입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한편, 부화조(11)에서 깨어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채집조(12)로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80)를 열어주기도 하는 수중설치 압력개폐문이다.
등대밀어개폐문(160)은 채집조(12) 위 물 밖에서 모터의 힘으로 움직이는 수직하강의 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하여 기움투명막창(150)의 장착부의 여닫이문을 강력하게 밀어 압박하며 닫는 형태이다.
또한, 등대밀어개폐문(160)과 직접 연결되는 하박부를 유선형의 텐션구조로 구성하여 압박과정이 원활하면서도 탄성을 유지하며 압박하도록 한다.
등대밀어개폐문(160)의 상박부는 위로는 리니어 모터(161)와 연결되고 아래로는 하박부와 연결된다. 하박부는 유선형의 텐션구조로 압박의 원활함과 탄성을 유지하여 압박하는 기능을 한다.
상박부는 아래로 하박부와 연결되고 위로 리니어 모터(161)와 연결된다.
상박부의 팔꿈지(elbow) 부위가 채집조(12) 뒤의 벽면에 파져 있는 수직의 홈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끔 한다. 상박부의 팔꿈지 부위에 베어링(bearing) 바퀴를 장착할 수도 있다.
등대밀어개폐문(160)은 통로(80) 상부 벽면에 경첩형식으로 연결되는 투명한 문판을 구비하되 안쪽의 사각 형태의 융기부분이 벽면 홈으로 끼워져 방수실리콘패킹과 밀착되며 닫히는 구조를 갖는다. 문판은 투명한 고형판이며, 중앙하부에 하박부의 연결부가 있고 문판 위쪽은 채집조(12)의 기움투명막창(150)의 장착부 상부 벽면에 견고한 경첩형식으로 연결된다.
한편, 알껍질제거부(20)는 부화조(11)의 상측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부화조(11)에 부유하고 있는 알테미아의 알껍질들을 수집조(30)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알껍질제거부(20)는 제1,2 회전체(21,22)와, 작동부(23)와, 가압바(25) 및 스크래퍼(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체(21)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부화조(11)의 내부 일측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체(22)는 복수개로 적용되어 부화조(11)의 내부 타측벽에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회전체(21)와 제2 회전체(22)는 서로 1:1 대향된다.
제1 회전체(21)는 풀리 또는 스프로켓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부화조(11)의 내부 일측벽에 축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2 회전체(22)는 풀리 또는 스프로켓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부화조(11)의 내부 타측벽에 축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회전체(21) 및 제2 회전체(22)는 각각 3개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체(21) 및 제2 회전체(22)는 스크래퍼(24)가 경사면(11a)을 스크래핑하면서 이동하다가 알껍질을 수집조(30)에 낙하시킬 수 있도록 자리배치된다.
구체적으로, 2개의 제1 회전체(21)는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되면서 부화조(11)의 배양수 표면보다 높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제1 회전체(21)는 경사면(11a)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2 회전체(22)는 서로 수평선상에 위치되면서 부화조(11)의 배양수 표면보다 높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제2 회전체(22)는 경사면(11a)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체(21) 및 제2 회전체(22)는 스크래퍼(24)의 수평이동 경로와 경사 이동경로를 순차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스크래퍼(24)는 경사 이동경로에서 경사면(11a)을 스크래핑하면서 알껍질을 이동시켜 수집조(30)로 낙하시킨다.
어느 하나의 제1 회전체(21) 및 어느 하나의 제2 회전체(22)에는 작동부(23)를 회전시켜 스크래퍼(24)에 이동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모터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모터들은 제1 회전체(21) 및 제2 회전체(22)를 동일한 속도 및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아울러, 모터들은 도 3을 기준으로 제1 회전체(21) 및 제2 회전체(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작동부(23)는 시계방향으로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고, 스크래퍼(24)는 작동부(23)의 회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이동된다.
작동부(23)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작동부(23)는 합성고무 또는 연질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작동부(23)는 제1 회전체(21) 및 제2 회전체(22)가 풀리로 형성되는 경우, 벨트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작동부(23)는 제1 회전체(21) 및 제2 회전체(22)가 스프로켓으로 형성되는 경우, 체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부(23)는 제1 회전체(21) 및 제2 회전체(22)들에 각각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가압바(25)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부화조(11)의 상부 일측벽과 타측벽에 각각 결합된다.
가압바(25)는 저면이 작동부(23)를 각각 가압함으로써, 작동부(23)가 일정한 텐션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가압바(25)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텐션유지롤러를 부화조(11)의 내벽면에 축 설치하면서 작동부(23)를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작동부(23)의 텐션을 유지할 수도 있다.
스크래퍼(24)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래퍼(24)는 일측이 어느 하나의 작동부(23)에 결합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작동부(23)에 결합된다.
스크래퍼(24)는 부화부의 내부 일측에서부터 타측벽에 이르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23)는 도 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스크래퍼(24)는 작동부(23)의 회전작동에 의해 부화조(11)를 따라 이동하면서 배양수에 부유하고 있는 알껍질을 밀어서 경사면(11a) 측으로 이동시킨다.
스크래퍼(24)는 이어서 경사면(11a)을 스크래핑하면서 이동되다가 경사면(11a)의 상단에서 알껍질을 수집조(30)로 튕겨낸다. 따라서, 알껍질은 자유 낙하되어 수집조(30)에 수집된다.
이때, 스크래퍼(24)는 마찰력이 우수한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경사면(11a)에 알껍질이 잔류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그리고, 스크래퍼(24)는 경사면(11a)을 스크래핑하는 면이 칼날과 같이 날카로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경사면(11a)을 효율적으로 스크래핑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알껍질제거부(20)를 통해 배양수에 부유하고 있는 알껍질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음에 따라, 작업자가 뜰채 등의 도구를 통해 수작업으로 배양수에 부유하고 있는 알껍질을 제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개폐도어(90) 및 승강구동부(100)는 부화조(11)에서 통로(80)를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부화조(11)에 깨어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적정량 채집조(12)에 채집되도록 함으로써, 채집조(12)에 많은 양의 노우플리스들이 불필요하게 채집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부화조(11)의 내부 벽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91)이 설치되고, 개폐도어(90)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91)에 형성된 홀(91a)을 따라 승강되는 슬라이더(90a)가 각각 형성된다.
개폐도어(9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슬라이더(90a)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도어(90)는 부화조(11)의 내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100)는 부화조(11)의 내부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100)는 리니어모터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100)는 개폐도어(9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개폐도어(90)는 상승될 시 통로(80)의 끝단을 개방한다. 통로(80)가 개방되면 부화조(11)에서 깨어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채집조(12)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도어(90)는 하강될 시 부화조(11)의 내부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통로(80)의 끝단을 가려 폐쇄상태로 만들어 준다.
통로(80)가 폐쇄되면 부화조(11)에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깨어나더라도 채집조(12)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이러한 개폐도어(90) 및 승강구동부(100)를 통해 통로(80)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채집조(12)에 적정량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채집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LED 유도등(110)은 부화조(11)에서 깨어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채집조(12)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
LED 유도등(110)은 채집조(12)의 내부공간에 빛을 조사한다. 이로 인해 부화조(11)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알에서 깨어나자마자 본능에 따라 빛의 방향으로 반응하여 통로(80)를 통해 채집조(12)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조도감지센서(120)는 채집조(12)의 외부에 배치된다.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은 본능에 따라 채집조(12)의 내부공간에서 LED 유도등(110)으로 몰려든다. 조도감지센서(120)는 채집조(12)의 내부공간에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LED 유도등(110)으로 몰려든 상태의 조도를 측정하여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의 채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조도감지센서(120)는 채집조(12)의 조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도값과 조도감지센서(120)로부터 전송 받은 조도 값을 비교한다.
제어부에 설정된 조도 값은 채집조(12)로 이동해온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의 숫자를 기본 테이터로 하여 설정될 수 있다.
채집조(12)에 이동해온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의 개수가 많을수록 조도는 어두워지고, 노우플리스들의 개수가 적을수록 밝아지게 된다.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도값과 조도감지센서(120)로부터 전송 받은 조도 값에 따라 승강구동부(1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도값보다 조도감지센서(120)로부터 전송 받은 조도 값이 높을 경우, 승강구동부(100)를 제어하여 개폐도어(90)를 하강시킴으로써, 부화조(11) 내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채집조(12)로 이동해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도값보다 조도감지센서(120)로부터 전송 받은 조도 값이 높아지기 전까지는 승강구동부(100)가 개폐도어(90)를 상승시키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도 8은 조도감지센서(120)가 감지한 채집조(12) 내의 조도를 나타낸 것으로, 제어부는 이와 같이 조도감지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채집조(12) 내의 조도를 통해 채집조(12)에 이동해온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의 개수를 감지하여 승강구동부(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분배공급부(130)는 채집조(12)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을 복수개의 양육수조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분배부는 공급캡(131)과, 배출호퍼(132) 및 수평계(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캡(131)은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캡(131)의 상면에는 부화조(11)의 하부에 배치된 배출구에 연결설치되는 공급관(1311)이 설치된다.
공급관(1311)은 채집조(12) 내의 알테이마 노우플리스를 공급받는 용도로 사용된다.
배출호퍼(132)는 공급캡(131)의 저면에 결합된다.
채집조(12)의 배출구(121)에는 배출구(121)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밸브(122)가 설치된다.
즉, 밸브(122)를 개방시키면 채집조(12) 내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배출구(121)와 공급관(1311)을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호퍼(132)의 내부공간으로 낙하된다.
배출호퍼(132)의 하부에는 각각의 양육수조에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를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분기관(1321)이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분기관(1321)들은 서로 다른 양육수조의 상부에 각각 배치된다.
따라서, 배출호퍼(13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은 각각의 분기관(1321)을 통해 분배되어 각각의 양육수조로 균등하게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이러한 공급캡(131)과 배출호퍼(132)를 통해 채집조(12) 내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을 복수개의 양육수조에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어, 분배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켜준다.
수평계는 공급캡(131)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다.
수평계는 공급캡(131)의 수평도를 측정한다.
공급캡(131)은 배출호퍼(132)와 결합됨으로, 수평계를 통해 공급캡(131)의 수평도를 맞추면 배출호퍼(132)의 수평도도 맞출 수 있다.
즉, 수평계의 수평도를 ??추면 공급캡(131) 및 배출호퍼(132)의 수평도도 맞춰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양육수조들에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을 균등하게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를 운용하려면 먼저 채집조(12) 내부의 등대밀어개폐문(160)이 닫혀 밀폐된 상태를 확인한 다음, 부화조(11)에 적정량의 배양수(염수)를 투입한다.
이후, 투입호퍼(60)를 통해 부화조(11)의 내부공간에 내구란(시스트)을 투입한다.
이후에, 배양시작(start) 스위치를 온(on)시키면, 부화조(11)의 덮개(13) 하단에 장착된 LED등과 산소기 콩돌과 수중히터(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을 시작한다.
부화조(11)는 검정색무광의 구조물이며 수중히터(140)가 장착되는 옆 벽면에는 가림막(미도시)이 구비되어 이후에 유생이동 유도를 위한 광선이 유입될 때 수중히터(140) 유리면에 빛이 반사 또는 산란되는 것을 방지하여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보다 원활하게 이동하는 데 집중하도록 한다.
부화시간을 준 후 보일링을 멈추고 LED등이 오프(off)되면, 채집조(12)에 위치한 LED 유도등(110)이 온(on)이 되어, 해당 불빛이 기움투명막창(150)을 투과하여 부화조(11)에서 부화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에게 보여진다. 따라서, 노우플리스들(유생)은 LED 유도등(110)에 유도되어 채집조(12)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알테미아 내구란 중 일부는 부화되지 못하고 부화조(11)의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부화중인 내구란과 날지 못하는 알테미아 유생들은 부화조(11)의 바닥으로 가라 앉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수면위로 떠오른 알테미아 알껍질은 계속 축적되기 때문에 적절히 제거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알껍질제거부(20)를 작동시켜 수면위에 떠있는 알껍질을 수집조(30)로 배출시킴으로써, 알껍질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스크래퍼(24)가 경사면(11a)을 스크래핑하면서 알껍질을 수집조(30)로 튕겨내게 되고, 스크래퍼(24)가 배양수의 일정량을 경사면(11a)으로 이동시키더라도, 배양수는 경사면(11a)을 따라 하강되고, 알껍질만 상승되어 수집조(30)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양수의 손실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끊임없이 계속적인 알테미아 시스트를 공급 및 부화 시킴과 아울러 부화된 알테미아 시스트를 치어양육수조로 공급하기 위해 전술한 보조 부화조(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부화조(11)에는 수면에서 제거되는 알껍질 등 부유물과는 별도로 부화되지 않는 미부화란, 부패란 등이 부화조(11)의 바닥에 쌓일 수 있는데, 이는 배양수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부화조(11)를 세척하거나 또는 부화조(11) 내의 배양수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전술한 보조 부화조(40)가 적용된다.
보조 부화조(40)에는 부화조(11)에 충진된 배양수의 완전 배출시간을 고려하여 사전에 하루 공급분량의 알테미아 시스트를 정해진 시간별로 나눠 투입호퍼(60)를 통해 투입하여 부화를 시작하도록 하고, 부화조(11) 내의 배양수를 완전히 배출한 후 보조 부화조(40)에서 부화중인 알테미아 시스트 및 보조 부화조(40)의 내부공간에 충진된 배양수를 부화조(11)로 이동시키면 된다.
즉, 이와 같이 부화조(11) 내의 오염원을 제거하고 새로운 배양수를 조성하는 과정에서도 알테미아의 부화와 공급 작업이 중단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투입호퍼(60) 및 차단막(70)을 통해 부화조(11)와 보조 부화조(40)에 알테미아 시스트를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부화조(11)를 세척하거나 배양수를 교체하는 과정에서는 보조 부화조(40)에 알테미아 시스트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차단막(70)은 그 회전축에 스프링을 장착하여 부화조(11) 쪽 제1 투입부(61)가 상시 열려있게 하고 전류를 이용한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플런져를 이용하여 그 축을 회전하게 함으로써, 잠깐 동안 보조 부화조(40) 방향의 제2 투입부(62)가 열리도록 하면 보조 보화조로 알테미아 시스트를 투입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보조 부화조(40)는 부화조(11)와 채집조(12) 사이 중앙통로(80) 위에 설치되며 바닥면(41)은 약 45도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산소공급(보일링)시에 내구란들이 고이지 않고 수류를 타고 운동하도록 하면서 바닥면(41) 하부 끝에 끝에 연결관(50)을 끼울 수 있는 배출구(40a)가 형성되어 배양수가 보조 부화조(40)의 바닥면(41) 경사를 타고 깨끗하게 부화조(11)의 내부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입호퍼(60)와, 부화조(11) 및 보조 부화조(40)를 통해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작업이 중단되지 아니하고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에서는 우선 일정시간에 일정량의 알테미아 시스트를 부화조(11)에 투입함으로써, 일정량의 알테미아가 부화되어 채집조(12)로 이동시켜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나 모든 알테미아 시스트가 24시간이 지나 100% 부화되는 것은 아니며 더 일찍 혹은 더 늦게 부화되기도 한다. 즉 개체 및 제품에 따라 부화소요시간의 편차가 발생된다. 이 부분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알테미아 시스트 생산기업들도 꾸준히 연구하고 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따라서 시스트를 일정량 일정시간에 투입한 것만으로는 아주 정확하고 시스트 투입량에 정비례한 노우플리스 채집량(공급량)을 맞출 수는 없다.
예컨대 빠른 부화시간을 갖는 제품은 과도하게 빠른 부화로 급이 시간까지 기다리는 만큼 알테미아 노우플리스가 지닌 난황을 자체 소비해버리는 결과가 나타나고, 반대로 늦은 부화시간을 갖는 경우 세팅된 24시간이 지나도 원하는 부화량을 얻지 못하여 급이량을 다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채집조(12)에 조도감지센서(120)를 설치하여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LED 유도등(110)으로 몰려든 상태의 채집조(12) 내부의 정밀한 조도를 감지하고 측정한다.
부화조(11) 내부의 통로(80) 입구에 개폐도어(90)를 배치하고, 조도감지센서(120)가 채집조(12) 내부의 조도를 감지한 후 제어부가 조도값에 따른 알테미아의 채집량을 측정하면 개폐도어(90)를 하강시켜 통로(80)를 폐쇄함으로써, 알테미아 유생들이 유도광선이 비추는 기움투명막창(150)의 내부로 더 이상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이와 같이 정량 채집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을 분배공급부(130)를 통해 양육수조들에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다.
즉, 분배공급부(130)를 구성하는 공급캡(131)의 공급관(1311)을 채집조(12)의 배출구에 연결설치 한 다음, 밸브(122)를 개방하면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이 배출호퍼(132)의 공급관(1311)들을 통해 분기되어 서로 다른 양육수조들에 균등하게 공급하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1)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부화된 알테미아의 채집에서부터 공급하는 시점까지 목표하는 정확한 알테미아의 채집량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당업자가 겪는 번잡한 급이량 조절의 문제를 수치화하여 해결해 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10 :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장치 11 : 부화조
11a : 경사면 11b : 청소용배출구
12 : 채집조 13 : 덮개
121,40a : 배출구 122,51 : 밸브
20 : 알껍질제거부 21 : 제1 회전체
22 : 제2 회전체 23 : 작동부
24 : 스크래퍼 25 : 가압바
30 : 수집조 30a : 투입구
40 : 보조 부화조 41 : 바닥면
43 : 산소기 연결구 50 : 연결관
60 : 투입호퍼 61 : 투입부
62 : 제2 투입부 70 : 차단막
80 : 통로 90 : 개폐도어
90a : 슬라이더 91 : 가이드레일
91a : 홀 100 : 승강구동부
110 : LED 유도등 120 : 조도감지센서
130 : 분배공급부 131 : 공급캡
1311 : 공급관 132 : 배출호퍼
1321 : 분기관 140 : 수중히터
150 : 기움투명막창 151 : 상부 고형막
152 : 하부 고형막 160 : 등대밀어개폐문
161 : 리니어 모터

Claims (7)

  1. 알테미아 유생을 채집 및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부화조 및 채집조를 포함하는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장치; 및
    상기 부화조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부화조에 부유하고 있는 알껍질들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알껍질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껍질제거부는,
    상기 부화조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서로 대향되는 형태로 일정간격 배치되는 제1,2 회전체;
    상기 제1 회전체 및 제2 회전체들에 각각 무한궤도를 형성하면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부; 및
    일측과 타측이 상기 작동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작동부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부화조를 따라 이동하면서 배양수에 부유하고 있는 알껍질을 밀어서 배출시키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조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알껍질제거부에 의해 배출되는 알껍질을 수집하는 수집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화조에는 상기 수집조의 상측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2 회전체는 상기 스크래퍼가 상기 경사면을 스크래핑하면서 이동하다가 알껍질을 수집조에 낙하시킬 수 있도록 자리 배치되는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조의 타측에 배치되는 보조 부화조;
    상기 보조 부화조 내의 배양수 및 알테미아를 상기 부화조로 공급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내부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조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에 상기 부화조에 내구란을 투입하기 위한 제1 투입부 및 상기 보조 부화조에 내구란을 투입하기 위한 제2 투입부가 2갈래로 나누어지는 형태로 형성된 투입호퍼;
    상기 투입호퍼의 내부공간에 축 결합되며, 상기 부화조 또는 보조 부화조에 내구란을 선택적으로 투입하도록 회동작동에 의해 상기 제1 투입부와 제2 투입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조에는 상기 채집조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채집조는 투명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부화조의 내벽면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도어;
    상기 부화조에서 통로가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도어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채집조의 내부공간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부화조 내의 알테미아를 상기 채집조로 유도하는 LED 유도등; 및
    상기 채집조의 내부공간에서 알테미아들이 상기 LED 유도등으로 몰려든 상태의 채집조 내부공간의 조도를 측정하여 알테미아의 채집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조도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조도값 보다 높을 경우, 상기 개폐도어가 부화조의 통로를 폐쇄시키도록 작동시키는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집조의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들을 복수개의 양육수조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배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공급부는,
    상기 채집조에 연결되어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를 공급받는 공급관을 포함하는 공급캡; 및
    상기 공급캡에 결합되고, 상기 공급관을 통과한 알테미아 노우플리스가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하부에는 각각의 양육수조에 알테미아 노우플리스를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분기관이 여러 갈래로 나누어지는 형태로 형성된 배출호퍼를 포함하는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KR1020220157230A 2022-11-22 2022-11-22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KR102599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230A KR102599511B1 (ko) 2022-11-22 2022-11-22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230A KR102599511B1 (ko) 2022-11-22 2022-11-22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511B1 true KR102599511B1 (ko) 2023-11-07

Family

ID=8874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230A KR102599511B1 (ko) 2022-11-22 2022-11-22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951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7654U (ko) * 1987-11-30 1989-06-09
FR2693874A1 (fr) * 1992-07-22 1994-01-28 Gaubert Christian Dispositif pour l'élevage des écrevisses en milieu fermé et artificiel.
US20110200704A1 (en) * 2008-02-13 2011-08-18 Inve Technologies Nv Method for treating artemia cysts
KR101516494B1 (ko) * 2013-11-08 2015-05-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알껍질 제거장치
KR101711039B1 (ko) * 2016-07-29 2017-03-13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이 용이한 소방장치
CN108377943A (zh) * 2018-05-22 2018-08-10 漳州市龙文区健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下鱼类孵化器
CN208242593U (zh) * 2018-05-22 2018-12-18 漳州市龙文区健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下鱼类孵化器
KR102420553B1 (ko) 2021-08-25 2022-07-13 김명범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 전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87654U (ko) * 1987-11-30 1989-06-09
FR2693874A1 (fr) * 1992-07-22 1994-01-28 Gaubert Christian Dispositif pour l'élevage des écrevisses en milieu fermé et artificiel.
US20110200704A1 (en) * 2008-02-13 2011-08-18 Inve Technologies Nv Method for treating artemia cysts
KR101516494B1 (ko) * 2013-11-08 2015-05-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알껍질 제거장치
KR101711039B1 (ko) * 2016-07-29 2017-03-13 (주)하일기술단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이 용이한 소방장치
CN108377943A (zh) * 2018-05-22 2018-08-10 漳州市龙文区健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下鱼类孵化器
CN208242593U (zh) * 2018-05-22 2018-12-18 漳州市龙文区健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水下鱼类孵化器
KR102420553B1 (ko) 2021-08-25 2022-07-13 김명범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 전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5059A (en) Raceway culturing of fish
WO2010067554A1 (ja) 受精卵採取装置
KR102420553B1 (ko) 알테미아 부화 및 공급 전자동화 시스템
CN108990861B (zh) 一种物联网式水产养殖全自动放料装置及其使用方法
CN205962362U (zh) 淡水养殖供给装置
CN209268391U (zh) 一种丰年虾的孵化分离装置
KR102599511B1 (ko) 알테미아 시스트의 부화 및 자동 공급장치
CN113854224A (zh) 一种智能化渔业装置
CN108990868B (zh) 一种用于水产的多层养殖架
KR101511948B1 (ko) 양어장의 물순환 시스템
CN113383743A (zh) 一种水产种苗驯化器及其应用
CN215123376U (zh) 一种水产种苗驯化器
CN212164595U (zh) 一种养鸡场自动投喂装置
CN212813627U (zh) 一种多层分段养殖可投喂的环保水产养殖箱
WO1988008665A1 (en) Raceway culturing of fish
US3565043A (en) Fish-growing aquarium
CN210987731U (zh) 一种虾苗养殖虾卵分离装置
KR102150581B1 (ko) 갑각류 양식장치
CN113711961A (zh) 一种用于虾类分级养殖的养殖箱及其养殖方法
FI82173C (fi) Uppfoedningsfoerfarande foer i vaetskemedium uppvaexande animallarver och medel foer anvaendning av detta foerfarande.
CN112715496A (zh) 一种水产养殖捕捞机械
CN216219573U (zh) 一种鱼虾苗孵化智能养殖设备
CN100471387C (zh) 一种底栖类水产动物的潮汐式养殖装置
KR102505914B1 (ko)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
CN113589871B (zh) 种虾育种养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