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914B1 -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 - Google Patents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914B1
KR102505914B1 KR1020210137023A KR20210137023A KR102505914B1 KR 102505914 B1 KR102505914 B1 KR 102505914B1 KR 1020210137023 A KR1020210137023 A KR 1020210137023A KR 20210137023 A KR20210137023 A KR 20210137023A KR 102505914 B1 KR102505914 B1 KR 102505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fish
culture
water tank
tank body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혁진
김은진
Original Assignee
싸이스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싸이스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싸이스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7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파리 배양과정에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해파리 점액물질의 대량발생을 유도하고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하여 해양에 부유하는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데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 {Culture extraction system for jellyfish culture and jellyfish mucus extraction}
본 발명은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파리 배양과정에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해파리 점액물질의 대량발생을 유도하고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하여 해양에 부유하는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데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은 매년 천만 톤 가량이 바다로 유입되어 해양쓰레기의 80 %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양의 환류대와 해안선 주변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플라스틱은 특성상 자연환경에서 생분해되지 않고 분절화되어 더 작은 단위의 플라스틱으로 분해된다. 이 중 크기가 5mm 이하인 플라스틱을 미세플라스틱으로 분류하는데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성게, 불가사리, 해삼, 조개, 새 등 다양한 바다동물은 이를 먹이로 오인하여 직접 섭취하거나 먹이 활동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섭취하여 몸속에서 발견되고 있다. 이렇게 플라스틱에 오염된 바다자원은 먹이 사슬 과정을 거쳐 결과적으로 먹이 사슬의 최정점인 사람이 섭취하게 된다.
플라스틱은 자체적으로 독성물질을 포함하고 먹이 사슬 과정에서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을 배출하여 동식물 체내에 축적되어 면역체계 교란, 중추신경계 손상과 같은 유해반응을 일으켜 인체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인체의 건강을 지키면서 해양환경 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근본적으로 플라스틱의 소비를 줄여 해양에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양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플라스틱 사용이 보편화되어 일상 생활과 산업영역에서 차지하는 역할과 크기가 막대한 것을 고려하면 플라스틱 사용을 막연히 제한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플라스틱의 사용을 절제함과 더불어 기존에 버려진 플라스틱, 특히 해양에 부류하는 플라스틱을 수거하고 제거하는 것이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한편 해파리는 강장동물에 속하는 해양생물 중 하나로서 전 세계적으로 200 여종의 종이 분포하여 식용, 관상용, 수산자원의 먹이,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로 해파리를 원료로 사용한 피부 외용제(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15756), 관상용 해파리를 양식하는 장치(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58163) 등이 제시된 바 있다.
또한 해파리는 접착성을 가지는 끈적끈적한 점액을 포함하고 있어 해파리 점액이 미세플라스틱과 결합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해양에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구는 해파리에 대한 연구는 식용 및 관상용 해파리의 양식 또는 피부 개선을 위해 해파리를 원료로 한 피부 조영제 성분 개발에 집중된 바, 해파리를 양식하고 해파리 점액을 집중적으로 추출함으로써 해양 내 미세 플라스틱 제거하고 궁극적으로 해양자원을 보호하는 데 목적을 둔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파리 배양과정에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해파리 점액물질의 대량발생을 유도하고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하여 해양에 부유하는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데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내부 격자를 가짐으로써 물은 통과시키되 해파리는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수조 본체의 내부에서 수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는 거름망; 상기 수조 본체로 배양액을 순환적으로 공급하고, 배양액을 여과하는 여과순환수조; 상기 수조 본체에서 외부로 배양액을 배출할 수 있는 수조 본체 배출구; 상기 수조 본체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수조 본체 배출밸브; 상기 수조 본체 배출구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수조 본체에 공급되는 해수, 배양액 및 해파리점액물질을 저장하는 외부수조; 및 상기 수조 본체 내의 환경측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양추출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부;를 포함하고, 거름망의 이동에 의한 배양공간의 제한, 배양액의 감량, pH, 온도 및 염도의 변화에 의해 해파리배양환경을 변화시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통상의 상태보다 더 많은 점액물질을 배출하게 하는, 배양추출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시스템부는,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거름망이 상기 수조 본체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조 본체 내부에서 해파리가 배양되는 배양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거름망이 상기 수조 본체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이동하여, 수조 본체 내부에서 해파리가 배양되는 공간을 제한하는 배양공간제한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 내부의 배양액을 상기 외부수조로 배출하는 배양액배출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에서 상기 해파리가 배양되는 환경을 변화시켜 해파리에게 스트레스를 가하는 스트레스인가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에서 생성된 해파리점액물질을 상기 외부수조로 배출하는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 상기 외부수조에 저장된 배양액 및 해수를 상기 수조 본체로 재유입하는 배양액보충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부수조는, 상기 수조 본체로부터 배양액의 일부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배양액 집수조; 상기 수조 본체에서 추출한 해파리점액물질을 저장하는 추출수조;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에서 추출한 해파리점액물질에 상응하는 해수를 보충하기 위한 해수를 저장하는 해수보충수조; 및 상기 외부수조의 배양액 및 해수 유출입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4 이상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양단계는, 온도센서, pH센서, 염도센서 및 TDS센서에 의해 환경측정정보를 측정하고,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수조 본체에서 상기 여과순환수조로 배양액이 유입되는 단계; 상기 여과순환수조에서 여과재에 의해 배양액이 여과되는 단계; 및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여과순환수조에서 여과된 배양액이 상기 수조 본체로 재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공간제한단계는, 지지대에 고정된 거름망 이동모터에 의하여 거름망이 상기 수조 본체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이동하여 해파리 배양 공간을 제한해 해파리를 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레스인가단계는, 상기 배양공간제한단계 및 상기 배양액배출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수용공간이 제한되고 배양액이 감량된 상태에서, 교반기에 의해 배양액을 교반하는 단계; 배양액의 온도를 가변하는 단계; 배양액의 pH를 가변하는 단계; 및 배양액의 염도를 가변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는,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 및 추출수조 유입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에서 추출수조로 해파리점액물질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수조 유입밸브가 닫히고 추출수조 배출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추출수조에 저장된 상기 해파리점액물질을 외부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액보충단계는, 해수보충수조 배출밸브와 배양액 집수조 배출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배양액 집수조에 저장된 배양액과 해수보충수조에서 보충한 해수를 합산하여 상기 수조 본체로 재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해수보충수조에서 보충한 해수는 추출수조에서 추출한 해파리점액물질 양과 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양추출시스템의 배양액 및 해수는 1 개 이상의 펌프에 의해 순환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시스템부는 상기 수조 본체 일측에 위치하고 환경측정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배양추출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수조 본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수조 본체의 pH를 측정하는 pH센서; 상기 수조 본체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 및 상기 수조 본체의 총용존고용물을 측정하는 TDS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으로서 해파리 배양과 동시에 해파리 점액물질을 동시에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파리 배양과정에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해파리 점액 물질의 대량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방법으로서 거름망의 이동으로 인한 배양공간 제한, 해수의 감량, pH, 온도 및 염도의 변화 등 복수의 방법으로 배양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파리 점액물질이 추출된 배양액에 추출된 해파리 점액 물질에 상응하는 양의 해수를 보충함으로써 해파리 배양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순환수조에서 여과재에 의해 배양액을 여과하고 수조 본체로 재유입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이 해파리를 배양하고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배양단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배양공간제한단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배양액배출단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스트레스인가단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이 배양액에서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하고 해수를 보충하여 재활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다.
본원 발명의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은 해파리 배양과정에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해파리 점액물질의 대량발생을 유도하고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하여 해양에 부유하는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데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로서,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수조 본체(100); 상기 수조 본체(100)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내부 격자를 가짐으로써 물은 통과시키되 해파리는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수조 본체(100)의 내부에서 수조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는 거름망(110); 상기 수조 본체(100)로 배양액을 순환적으로 공급하고, 배양액을 여과하는 여과순환수조(340); 상기 수조 본체(100)에서 외부로 배양액을 배출할 수 있는 수조 본체 배출구(140); 상기 수조 본체 배출구(140)의 개폐를 조절하는 수조 본체 배출밸브(141); 상기 수조 본체 배출구(140)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수조 본체(100)에 공급되는 해수, 배양액 및 해파리점액물질을 저장하는 외부수조(300); 및 상기 수조 본체(100) 내의 환경측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양추출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의 배양추출시스템을 이루는 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수조 본체(100)는 내부에 소정 크기 이상의 수용공간(S)을 구비하는 장치로서, 수조 본체(100) 내부에 위치하고 좌우로 이동하여 해파리 배양공간을 제한할 수 있는 거름망(110), 여과순환수조(340), 배양액 집수조(310) 및 해수보충수조(330)와 연결되어 수조 본체(100)내부로 배양액 및 해수가 유입되는 수조 본체 유입구(120), 수조 본체 유입구(12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수조 본체 유입밸브(121), 여과순환수조(340)와 연결되어 수조 본체(100)내부의 배양액을 배출하는 수조 본체 순환구(130), 배양액 집수조(310) 및 추출수조(320)와 연결되어 배양액 및 해파리 점액물질을 배출하는 수조 본체 배출구(140), 수조 본체 배출구(14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수조 본체 배출밸브(141)를 포함한다.
또한 수용공간(S)은 배양액, 해수 및 해파리가 저장되고 배양되는 공간으로서 거름망(110)에 의해 공간이 제한될 수 있다. 거름망(110)은 거름망 이동모터(600)에 의하여 좌우이동할 수 있다. 거름망 이동모터(600)는 수조 본체(100) 일측에 위치한 지지대(6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수조 본체(100)의 유출입구는 유출입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700)를 포함하여 해파리 또는 이물질이 엉켜 수조 본체(100)의 유출입구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조 본체(100)의 수용공간(S) 일측에 배양액을 교반하는 교반기(500)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시스템은 수조 본체(100) 일측에 위치하여 수조 본체(100) 내부의 환경측정정보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00), pH센서(210), 염도센서(220) 및 TDS센서(230)를 포함하고, 배양추출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시스템은 배양추출시스템의 총체적인 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장치로서, 수용공간(S) 내에 배양되는 해파리의 개체수와 크기를 감지하거나, 해파리 배양에 필요한 먹이를 공급하거나, 거름망(110)의 이동을 제어하여 해파리 배양공간을 제한하거나, 수용공간(S) 내의 온도, pH, 염도 등을 변화하거나, 외부수조(300) 및 여과순환수조(340)으로의 배양액 및 해수의 공급과 순환을 결정할 수 있다.
외부수조(300)는 수조 본체(100)와 구별된 공간에서 배양액 및 해수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수조 본체(100)에서 배출된 배양액 일부를 일시 저장하는 배양액 집수조(310), 수조 본체(100)에서 추출한 해파리 점액물질을 저장하고 외부로 최종추출물을 배출하는 추출수조(320), 수조 본체(100)에 보충하는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해수보충수조(330)를 포함하고,
배양액 집수조(310)는 수조 본체(100)와 연결되어 배양액 집수조(310) 내부로 배양액이 유입되는 배양액 집수조 유입구(미도시), 배양액 집수조 유입구(미도시)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배양액 집수조 유입밸브(311), 수조 본체(100)와 연결되어 배양액 집수조(310)의 배양액을 배출하는 배양액 집수조 배출구(미도시), 배양액 집수조 배출구(미도시)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배양액 집수조 배출밸브(312), 외부와 연결되어 배양액 집수조(310)의 배양액을 배출하는 배양액 배출구(미도시), 배양액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배양액 배출밸브(313)를 포함하고,
추출수조(320)는 수조 본체(100)와 연결되어 추출수조(320) 내부로 해파리 점액물질이 유입되는 추출수조 유입구(미도시), 추출수조 유입구(미도시)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추출수조 유입밸브(321), 외부와 연결되어 추출수조(320)에 저장된 해파리 점액물질을 최종배출하는 추출수조 배출구(미도시), 추출수조 배출구(미도시)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추출수조 배출밸브(322)를 포함하고,
해수보충수조(330)는 수조 본체(100)와 연결되어 해수보충수조(330)의 해수를 배출하는 해수보충수조 배출구(미도시), 해수보충수조 배출구(미도시)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해수보충수조 배출밸브(331), 외부와 연결되어 해수보충수조(330)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해수배출구(미도시), 해수배출구(미도시)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해수 배출밸브(332)를 포함한다.
여과순환수조(340)는 수조 본체(100)와 구별된 공간에서 배양액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여과하는 장치로서, 배양액의 여과를 수행하는 여과재를 지지할 수 있는 여과재 받침대(342), 여과재 받침대(342)를 여과순환수조(340) 일측에 고정할 수 있는 여과재 받침대 고정프레임(343)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 본체(100), 외부수조(300) 및 여과순환수조(340)의 배양액 및 해수는 주입펌프(410), 순환펌프(420)를 포함하는 1 이상의 펌프에 의해 순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의 배양추출시스템은 수조 본체(100), 외부수조(300) 및 여과순환수조(340)가 복수의 유출입구에 의해 연결되어 순환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수조(300)는 외부와 연결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해파리 점액물질, 해수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수조(300) 및 여과순환수조(340)를 독립된 형태로 수조 본체(100)와 연결하지 않고 여과순환수조(340)가 외부수조(300)에 포함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수조 본체(100), 외부수조(300) 및 여과순환수조(340)의 유출입구 및 밸브는 본 도면에 도시된 개수와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배양액 및 해수의 유출입을 용이하게 하는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수조 본체(100) 내부의 환경측정정보를 측정하는 제어시스템의 센서는 상기한 온도센서(200), pH센서(210), 염도센서(220) 및 TDS센서(230)에 국한되지 않고 용존 산소 센서(Dissolved Oxygen(DO) Sensor), 용존 이산화탄소 센서 등 환경측정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이 해파리를 배양하고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시스템부는,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14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거름망(110)이 상기 수조 본체(100)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조 본체(100) 내부에서 해파리가 배양되는 배양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14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거름망(110)이 상기 수조 본체(100)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이동하여, 수조 본체(100) 내부에서 해파리가 배양되는 공간을 제한하는 배양공간제한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141)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100) 내부의 배양액을 상기 외부수조(300)로 배출하는 배양액배출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14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100)에서 상기 해파리가 배양되는 환경을 변화시켜 해파리에게 스트레스를 가하는 스트레스인가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141)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100)에서 생성된 해파리점액물질을 상기 외부수조(300)로 배출하는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 상기 외부수조(300)에 저장된 배양액 및 해수를 상기 수조 본체(100)로 재유입하는 배양액보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단계는, 온도센서(200), pH센서(210), 염도센서(220) 및 TDS센서(230) 등에 의해 환경측정정보를 측정하고, 순환펌프(420)에 의해 상기 수조 본체(100)에서 상기 여과순환수조(340)로 배양액이 유입되는 단계; 상기 여과순환수조(340)에서 여과재에 의해 배양액이 여과되는 단계; 및 상기 순환펌프(420)에 의해 상기 여과순환수조(340)에서 여과된 배양액이 상기 수조 본체(100)로 재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공간제한단계는, 지지대(610)에 고정된 거름망 이동모터(600)에 의하여 거름망(110)이 상기 수조 본체(100)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이동하여 해파리 배양 공간을 제한해 해파리를 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스인가단계는, 상기 배양공간제한단계 및 상기 배양액배출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수용공간(S)이 제한되고 배양액이 감량된 상태에서, 교반기(500)에 의해 배양액을 교반하는 단계; 배양액의 온도를 가변하는 단계; 배양액의 pH를 가변하는 단계; 및 배양액의 염도를 가변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고, 상기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는,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141) 및 추출수조 유입밸브(321)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100)에서 상기 추출수조(320)로 해파리점액물질을 공급받는 단계; 상기 추출수조 유입밸브(321)가 닫히고 추출수조 배출밸브(322)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추출수조(320)에 저장된 상기 해파리점액물질을 외부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액보충단계는, 상기 해수보충수조 배출밸브(331)와 상기 배양액 집수조 배출밸브(312)가 열린 상태에서, 배양액 집수조(310)에 저장된 배양액과 상기 해수보충수조(330)에서 보충한 해수를 합산하여 상기 수조 본체(100)로 재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보충수조(330)에서 보충한 해수는 상기 추출수조(320)에서 추출한 배양액 양과 상응한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의 배양추출시스템은 최적의 해파리 생장환경을 조성하여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해파리를 배양할 수 있다.(S100) 이어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통상의 상태보다 많은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으로서, 수조 본체(100) 내의 거름망(110)을 이동하여 배양공간을 제한할 수 있고(S200), 수조 본체(100) 내의 배양액 및 해수 일부를 배양액 집수조(310)로 배출할 수 있고(S300), 온도, pH, 염도를 가변하거나 교반기(500)에 의해 해수 및 배양액을 교반하여 해파리 배양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S400). 이어서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수조(320)로 배출하여 최종적으로 외부로 추출할 수 있고(S500), 배양액 집수조(310)에 저장된 배양액과 해수보충수조(330)에서 추출된 양에 상응하는 해수를 수조 본체(100) 내부로 재공급(S600)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파리를 배양하고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하는 과정을 반복수행 할 수 있다.
한편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양공간제한단계, 배양액배출단계 및 스트레스인가단계는 순차적으로 수행하고 스트레스인가단계에서 온도, pH, 염도를 가변하거나 교반기(500)에 의해 해수 및 배양액을 교반하여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양공간제한단계, 배양액배출단계 및 스트레스인가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 7은 본원 발명의 배양추출시스템이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한 도면과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배양단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배양단계에서는 수조 본체(100) 내의 수용공간(S)에 해파리 배양에 필요한 배양액 및 해수가 저장 되어있다. 수조 본체(100) 내의 수용공간(S)은 배양액 및 해수가 저장되고 해파리가 배양되는 공간으로서 제어시스템의 온도센서(200), pH센서(210), 염도센서(220) 및 TDS센서(230)에 의해 환경측정정보가 측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양액 및 해수의 온도를 해파리가 가장 활발히 생장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양단계에서 수용공간(S) 내부의 온도는 14 ℃로 유지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양액 및 해수의 pH농도, 염도 등을 측정하여 해파리가 생장하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한편 배양단계에서 소모되는 배양액 및 해수는 여과순환수조(340)에서 여과재에 여과될 수 있다. 여과순환수조(340)는 해파리의 호흡 및 섭식 등과 같이 생장과정에서 생성되는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배양액 및 해수의 오염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수조 본체(100) 내의 해파리 생장과정에서 오염된 배양액 및 해수의 일부는 순환펌프(420)에 의해 여과순환수조(340)로 유입되고, 여과순환수조(340)에서 여과재에 의해 배양액 및 해수가 여과되어 정화되고, 다시 여과순환수조(340)에서 수조 본체(100)로 여과된 배양액 및 해수를 재유입한다. 한편 배양액 및 해수를 여과하는 과정은 TDS센서(23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TDS(Total dissolved Solid)란 물에 함유된 광물, 염, 금속, 양이온 및 음이온과 같은 활동성을 가진 충전된 이온의 총량으로 물의 오염도를 결정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로서 배양액 및 해수의 여과를 수행하거나 여과재의 투입여부를 결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여과순환수조(340)는 여과재를 지지할 수 있는 여과재 받침대(342) 및 이를 여과순환수조(340) 일측에 고정할 수 있는 여과재 받침대 고정프레임(34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과정에서 배양액 및 해수가 순환되는 유출입구는 각 밸브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조 본체 배출구(140)가 폐쇄되어 수조 본체(100) 내의 배양액 및 해수가 외부수조(30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조 본체 유입구(120)와 수조 본체 순환구(130)가 개방되어 배양액 및 해수가 수조 본체(100)와 여과순환수조(340)를 순환하여 정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의 배양추출시스템의 배양단계에서는 해파리 배양에 대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점액물질 추출이 가능한 해파리를 배양할 수 있다.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생장한 해파리는 끈적끈적한 형태의 점액물질을 배출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해양에 부유하는 미세플라스틱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통상의 상태보다 더 많은 점액물질을 배출하게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배양추출시스템에서는 해파리 배양공간의 제한, 해수의 감량, pH, 온도 및 염도의 변화 등의 방법으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배양공간제한단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거름망(110)을 이동하여 배양공간을 제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망(110)은 수조 본체(100)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내부 격자를 가짐으로써 물은 통과시키되 해파리는 통과시키지 않는다. 배양공간제한단계에서 거름망(110)은 수조 본체(100)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이동하여 해파리 배양공간을 제한한다.
거름망(110)은 지지대(610)에 고정된 거름망 이동모터(600)에 의하여 좌우 이동될 수 있고, 상기과정에서 배양액 및 해수가 순환되는 유출입구는 각 밸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조 본체 배출구(140) 및 수조 본체 순환구(130)가 폐쇄되어 수조 본체(100) 내의 배양액 및 해수가 외부수조(300) 및 여과순환수조(34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배양액배출단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해수를 감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액배출단계에서는 해파리 배양공간이 제한된 상태에서 수조 본체 배출구(140) 및 배양액 집수조 유입구(미도시)를 개방하여 수조 본체(100)에 저장된 해수 및 배양액 일부를 배양액 집수조(310)로 배출한다. 또한 추출수조 유입구(미도시)는 폐쇄되어 해수 및 배양액 일부가 추출수조(3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양액배출단계에서 배양액 집수조(310)로 유입된 배양액 및 해수는 해파리 점액물질 추출이 완료된 후 수조 본체(100) 내부로 재유입되어 해파리 배양에 재사용될 수 있다. 또는 배양액 및 해수의 오염도가 임계수치를 초과하였을 경우 해수배출구(미도시)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과정에서 배양액 및 해수가 순환되는 유출입구는 각 밸브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주입펌프(410)에 의해 배양액 및 해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스트레스인가단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방법으로서 온도, pH, 염도 등의 배양 환경을 변화시키거나, 배양액 및 해수를 교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스인가단계에서는 배양공간이 제한되고 해수량이 감량된 상태에서 수조 본체(100) 내의 온도, pH, 염도를 변화시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수조 본체(100) 일측에 설치된 교반기(500)에 의해 해수 및 배양액을 교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과정에서 수조 본체 배출구(140) 및 수조 본체 순환구(130)는 배양액 및 해수가 외부수조(300) 또는 여과순환수조(34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양공간제한단계, 배양액배출단계 및 스트레스인가단계를 수행한 상태에서 해파리는 생장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감지하고 집속되어 통상의 상태보다 더 많은 점액물질을 배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방법으로서 상술한 방법 외에 다른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용존 산소량 및 용존 이산화탄소량을 측정하고 변화시킴으로써 해파리 생장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의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배양추출시스템에서는 통상의 경우보다 많은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에서는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수조(320)에 저장할 수 있다. 수조 본체 배출구(140) 및 추출수조 유입구(미도시)를 개방하여 수조 본체(100)에서 집속된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수조(320)로 배출한다. 또한 배양액 집수조 유입구(미도시)는 폐쇄되어 해파리 점액물질 일부가 배양액 집수조(3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추출수조(320)에 저장된 해파리 점액물질은 추출수조 배출구(미도시)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배양추출시스템은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가 수행된 후에 배양액보충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배양액보충단계는 배양액배출단계에서 배양액 집수조(310) 내에 저장된 배양액 및 해수 일부와 해수보충수조(330)에서 보충되는 해수를 주입펌프(410)에 의해 수조 본체(100) 내로 재유입하는 단계이다.
해수보충수조(330)에서 보충되는 해수량은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해파리 점액물질과 상응하는 양으로 결과적으로 수조 본체(100) 내에 유입되는 배양액 및 해수는 초기상태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배양액배출단계에서 배양액 집수조(310) 내에 저장된 배양액 및 해수의 오염도가 임계수치 이상을 초과하였을 경우 해수배출구(미도시)를 개방하여 배양액 및 해수 일부를 외부로 배출하고 해수보충수조(330)에서 이에 상응하는 해수를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상기과정에서 배양액 및 해수가 순환되는 유출입구는 각 밸브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주입펌프(410)에 의해 배양액 및 해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추출시스템이 배양액에서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하고 해수를 보충하여 재활용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부터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배양추출시스템은 최적의 해파리 생장환경을 조성하여 배양할 수 있고, 일정 수준이상으로 생장이 완료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통상의 상태보다 많은 해파리 점액물질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사용된 배양액은 배양액 집수조(310)에 일시 저장되어 해파리 점액물질추출단계가 완료된 후에 재사용될 수 있고, 추출된 해파리점액물질에 상응하는 해수를 보충함으로써 초기에 저장된 양과 동일하게 배양액 및 해수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의 배양추출시스템을 통해 추출된 해파리 점액물질은 사용자 목적에 부합하는 방법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 발명에서는 해파리 점액물질의 끈적끈적한 특성을 이용하여 해양에 부유하는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종래와 같이 피부 개선을 위한 피부 조영제를 개발하거나 접착제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으로서 해파리 배양과 동시에 해파리 점액물질을 동시에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파리 배양과정에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함으로써 해파리 점액 물질의 대량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방법으로서 거름망의 이동으로 인한 배양공간 제한, 해수의 감량, pH, 온도 및 염도의 변화 등 복수의 방법으로 배양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파리 점액물질이 추출된 배양액에 추출된 해파리 점액 물질에 상응하는 양의 해수를 보충함으로써 해파리 배양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순환수조에서 여과재에 의해 배양액을 여과하고 수조 본체로 재유입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수조 본체 110: 거름망
120: 수조 본체 유입구 121: 수조 본체 유입밸브
130: 수조 본체 순환구 140: 수조 본체 배출구
141: 수조 본체 배출밸브
200: 온도센서 210: pH센서
220: 염도센서 230: TDS센서
300: 외부수조 310: 배양액 집수조
311: 배양액 집수조 유입밸브 312: 배양액 집수조 배출밸브
313: 배양액 배출밸브 320: 추출수조
321: 추출수조 유입밸브 322: 추출수조 배출밸브
330: 해수보충수조 331: 해수보충수조 배출밸브
332: 해수 배출밸브 340: 여과순환수조
341: 여과순환수조 배출밸브 342: 여과재 받침대
343: 여과재 받침대 고정프레임
410: 주입펌프 420: 순환펌프
500: 교반기
600: 거름망 이동모터 610: 지지대
700: 필터
S: 수용공간

Claims (8)

  1.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의 단면에 상응하는 형태를 가지고, 내부 격자를 가짐으로써 물은 통과시키되 해파리는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수조 본체의 내부에서 수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는 거름망;
    상기 수조 본체로 배양액을 순환적으로 공급하고, 배양액을 여과하는 여과순환수조;
    상기 수조 본체에서 외부로 배양액을 배출할 수 있는 수조 본체 배출구;
    상기 수조 본체 배출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수조 본체 배출밸브;
    상기 수조 본체 배출구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수조 본체에 공급되는 해수, 배양액 및 해파리점액물질을 저장하는 외부수조; 및
    상기 수조 본체 내의 환경측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배양추출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부;를 포함하고,
    거름망의 이동에 의한 배양공간의 제한, 배양액의 감량, pH, 온도 및 염도의 변화에 의해 해파리배양환경을 변화시켜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여 통상의 상태보다 더 많은 점액물질을 배출하게 하는, 배양추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스템부는,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거름망이 상기 수조 본체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조 본체 내부에서 해파리가 배양되는 배양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거름망이 상기 수조 본체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이동하여, 수조 본체 내부에서 해파리가 배양되는 공간을 제한하는 배양공간제한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 내부의 배양액을 상기 외부수조로 배출하는 배양액배출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에서 상기 해파리가 배양되는 환경을 변화시켜 해파리에게 스트레스를 가하는 스트레스인가단계;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에서 생성된 해파리점액물질을 상기 외부수조로 배출하는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
    상기 외부수조에 저장된 배양액 및 해수를 상기 수조 본체로 재유입하는 배양액보충단계;를 수행하는, 배양추출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수조는,
    상기 수조 본체로부터 배양액의 일부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배양액 집수조;
    상기 수조 본체에서 추출한 해파리점액물질을 저장하는 추출수조;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에서 추출한 해파리점액물질에 상응하는 해수를 보충하기 위한 해수를 저장하는 해수보충수조; 및
    상기 외부수조의 배양액 및 해수 유출입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4 이상의 밸브를 포함하는, 배양추출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양단계는,
    온도센서, pH센서, 염도센서 및 TDS센서에 의해 환경측정정보를 측정하고,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수조 본체에서 상기 여과순환수조로 배양액이 유입되는 단계;
    상기 여과순환수조에서 여과재에 의해 배양액이 여과되는 단계; 및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여과순환수조에서 여과된 배양액이 상기 수조 본체로 재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공간제한단계는,
    지지대에 고정된 거름망 이동모터에 의하여 거름망이 상기 수조 본체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으로 이동하여 해파리 배양 공간을 제한해 해파리를 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양추출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스인가단계는,
    상기 배양공간제한단계 및 상기 배양액배출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수용공간이 제한되고 배양액이 감량된 상태에서,
    교반기에 의해 배양액을 교반하는 단계;
    배양액의 온도를 가변하는 단계;
    배양액의 pH를 가변하는 단계; 및
    배양액의 염도를 가변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해파리에 스트레스를 인가하는, 배양추출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해파리점액물질추출단계는,
    상기 수조 본체 배출밸브 및 추출수조 유입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수조 본체에서 추출수조로 해파리점액물질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수조 유입밸브가 닫히고 추출수조 배출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추출수조에 저장된 상기 해파리점액물질을 외부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액보충단계는,
    해수보충수조 배출밸브와 배양액 집수조 배출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배양액 집수조에 저장된 배양액과 해수보충수조에서 보충한 해수를 합산하여 상기 수조 본체로 재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해수보충수조에서 보충한 해수는 추출수조에서 추출한 해파리점액물질 양과 상응하는, 배양추출시스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양추출시스템의 배양액 및 해수는 1 개 이상의 펌프에 의해 순환되어 재사용될 수 있는, 배양추출시스템.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시스템부는 상기 수조 본체 일측에 위치하고 환경측정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배양추출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수조 본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수조 본체의 pH를 측정하는 pH센서;
    상기 수조 본체의 염도를 측정하는 염도센서; 및
    상기 수조 본체의 총용존고용물을 측정하는 TDS센서;를 포함하는, 배양추출시스템.

KR1020210137023A 2021-10-15 2021-10-15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 KR102505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23A KR102505914B1 (ko) 2021-10-15 2021-10-15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023A KR102505914B1 (ko) 2021-10-15 2021-10-15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5914B1 true KR102505914B1 (ko) 2023-03-03

Family

ID=8551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023A KR102505914B1 (ko) 2021-10-15 2021-10-15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9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84Y2 (ja) * 1990-07-10 1995-05-01 弘征 鈴木 蛍の養殖装置
JPH10234250A (ja) * 1997-02-25 1998-09-08 Takushi Hotta クラゲ等の浮遊生物の飼育育成水槽
CN102524126A (zh) * 2012-01-05 2012-07-04 李新书 人工繁殖海月水母的方法
KR101773291B1 (ko) * 2016-03-22 2017-08-30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피쉬펌프를 이용한 양식생물 수확 및 배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284Y2 (ja) * 1990-07-10 1995-05-01 弘征 鈴木 蛍の養殖装置
JPH10234250A (ja) * 1997-02-25 1998-09-08 Takushi Hotta クラゲ等の浮遊生物の飼育育成水槽
CN102524126A (zh) * 2012-01-05 2012-07-04 李新书 人工繁殖海月水母的方法
KR101773291B1 (ko) * 2016-03-22 2017-08-30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피쉬펌프를 이용한 양식생물 수확 및 배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12747A1 (e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using biofloc fermenter and aquaponics
US5353745A (en) Aquaculture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CN105393975B (zh) 一种简易循环水对虾养殖池水处理系统
CN104521832B (zh) 一种鱼苗、成鱼养殖方法
CN207411238U (zh) 南美白对虾集约化高密度循环水养殖系统
CN107667938A (zh) 南美白对虾集约化高密度循环水养殖方法
CN108439711A (zh) 一种工厂化海水养殖废水一体化处理净化系统及方法
WO2003069983A9 (en) Aquaculture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quatic species
JP2010532246A (ja) 水産養殖システムから出る魚廃棄物を改変uasbリアクタを用いてメタンに変換する方法
CN203152265U (zh) 一种养殖水循环净化装置
CN102792909A (zh) 利用盐碱水的鱼类养殖系统及方法
JPH11509402A (ja) 閉回路内で微小藻類を培養する方法と装置
CN107667956A (zh) 南美白对虾集约化高密度循环水养殖系统
CN104351112B (zh) 一种循环水底栖动物培养实验装置
JP2022061956A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システム
CN206728930U (zh) 循环水立体生态养殖系统
CN113336332B (zh) 一种基于远程操控的水体富营养化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1183004B1 (ko) 조개 인공 산란장
KR102505914B1 (ko) 해파리 배양 및 해파리 점액 추출을 위한 배양추출시스템
CN110352893A (zh) 一种黑鱼循环水净化养殖系统
WO1988009615A1 (en) Fish cultivation tank
CN204697752U (zh) 一种节能型育珠系统
KR102070594B1 (ko) 순환여과형 집수정 장치
CN107950442B (zh) 鲑鳟鱼养殖投喂方法
WO201606089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ltivating alg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