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385B1 - 치과 교정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교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9385B1 KR102599385B1 KR1020197035715A KR20197035715A KR102599385B1 KR 102599385 B1 KR102599385 B1 KR 102599385B1 KR 1020197035715 A KR1020197035715 A KR 1020197035715A KR 20197035715 A KR20197035715 A KR 20197035715A KR 102599385 B1 KR102599385 B1 KR 1025993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xis
- distal
- transverse
- central
- arm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82465 Can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373 mandibl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050 maxill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320 palatal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274 Malocclu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63 bicusp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5 composi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64 cusp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78 glass ionomer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54 pala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specially adapted to be fixed to teeth with a band; Band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후방 턱뼈 영역의 분절 후방 이동을 위한 치과 교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치과 교정 장치는, 앞어금니 또는 송곳니에 부착되기 위한 중앙 기부 표면, 견인 요소와 연결되기 위한 돌출부, 및 아암의 원위 단부에서 기다란 횡방향 핀을 포함하는 아암을 갖는 중앙 요소, 그리고 어금니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원위 기부 표면, 및 횡방향 핀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원위 기부를 포함한다. 제1 축선이 원위 기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규정되며, 횡방향 핀은 중앙 표면 및 원위 표면을 가지며, 수용부의 내부 형상은, 제1 축선 주위로의 회전이 수용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중앙 표면 및/또는 원위 표면에 의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본 개시는 또한 치과 교정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7년 5월 29일에 출원된 유럽 특허 출원 EP17382306.3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치과 교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후방 턱뼈 부분의 분절 후방 이동(segmental distalization)을 위한 치과 교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부정 교합(malocclusion)에 따라, 다양한 치과 교정 치료가 이용 가능하다. 이들 치료 중의 어떤 치료에서는, 나머지 치아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치아 발치가 필요할 수 있다. 어떤 치료에서는, 후방 이동 요소가 어쩌면 하나의 이상의 치아의 발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치아의 분절은 일군의 이웃 치아, 즉 2개 이상의 이웃 치아로 정의된다. 치아 분절의 후방 이동은 일군의 치아를 함께 이동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에서, 후방 이동은 일군의 치아를 입의 원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일군의 치아는 상측 턱뼈(위턱뼈) 또는 하측 턱뼈(아래턱뼈)에 위치될 수 있다.
특별한 후방 이동 요소가 예컨대 EP 1 433 435 및 EP 1 649 824에 알려져 있다. 이들 후방 이동기는 송곳니-어금니 후방 위턱뼈 영역의 분절 후방 이동에 특별히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들 문헌의 후방 이동기는 기부로 상측 송곳니에 고정될 수 있는 중앙 요소를 포함하고, 또한 기부로 상측 어금니, 특히, 첫번째 어금니에 고정될 수 있는 원위 요소를 더 포함한다.
이들 설계의 중앙 요소는 기부, 이 기부를 원위 요소에 연결하는 아암 둘 다를 포함한다. 아암은 실질적으로 아치형이고, 그의 한 단부에서 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볼 부재는 볼 부재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원위 요소의 수용부에 수용된다.
중앙 요소는 실질적으로 앞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뭉툭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돌출부는 훅킹 요소로서 역할할 수 있다. 사용시, 훅크를 갖는 브라켓이 아래턱뼈 어금니에 부착될 수 있고, (치과 교정) 고무 밴드가 그의 훅크 및 중앙 요소의 훅킹 요소 주위에 걸릴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위턱뼈 송곳니를 뒤쪽으로 끌어 당기는 힘이 제공된다. 환자가, 예컨대 중실 앵커로서 작용하고 아래턱뼈의 치아를 위치 고정시키는 예컨대 부목(splint)(또는 다른 고정 장치)을 착용하고 있으면, 아래턱뼈의 치아는 앞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또한 위턱뼈 송곳니는 뒤쪽으로 끌어 당겨질 수 있다.
후방 이동기의 중앙 요소와 원위 요소 사이의 연결로 인해, 위턱뼈 어금니가 또한 뒤쪽으로 밀릴 수 있다. 동시에, 송곳니와 어금니 사이에 있는 아암의 형상 및 어금니 상에서의 원위 요소의 위치로 인해, 회전력이 또한 어금니에 가해지게 된다. 이 회전력의 결과로 위턱뼈 어금니의 구개근(palatal root) 주위의 피봇(pivot)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어금니의 원위 방향 회전("바로 세우기")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후향력과 회전력이 어금니에 동시에 가해질 수 있다.
위턱뼈 어금니가 원위 방향으로 너무 많이 회전하는(즉, 이 경우, 그 위턱뼈 어금니는 뒤쪽으로 경사지는 배향을 취하게 됨)것을 피하기 위해, 수용부와 볼부재의 형상은, 상측 어금니에 대한 볼 부재의 미리 결정된 회전이 일어나면 볼 부재가 수용부의 내면에 접촉하여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중앙 요소와 원위 요소 둘다는 정확한 높이에서 어금니와 송곳니에 장착되고, 국부적으로 규정된 아래턱뼈-위턱뼈(곧은 상하)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곧게 치아 표면에 장착된다. 아암은 볼 부재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제공된다. 송곳니와 어금니 둘 모두가 실제로 곧으면, 이 각도는, 중앙 요소의 볼 부재 또는 아암이 수용부의 경계에 접촉하여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해줄 것이다.
유사하게, 볼 부재 및 수용부의 경계의 형상은, 상측 어금니의 구개근 주위로 일어나는 상측 어금니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회전이 도달되면, 아암은 수용부의 경계에 접촉할 수 있고 볼 부재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송곳니-어금니 분절의 후방 이동은 위턱뼈 후방 영역에 있는 치아 세트의 적절한 (재)배향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들 종래 기술의 후방 이동 장치에 관련된 한 단점은, 아래턱뼈의 어금니와 환자의 볼(cheek) 내면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이용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그 후방 이동 장치는 많은 환자의 아래턱뼈에 장착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후방 이동 장치가 아래턱뼈의 어금니에 장착되면, 위턱뼈의 어금니가 후방 이동 장치와 충돌할 수 있다. 어떤 환자의 아래턱뼈에서의 치료를 위해서는 후방 이동 장치의 높이를 줄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들 종래 기술의 후방 이동 장치에 관련된 추가 단점은, 그 후방 이동 장치는 중앙 요소의 아암을 따른 비틀림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다. 예컨대 어금니는 중앙 요소가 부착되는 송곳니/앞어금니에 대해 안쪽으로(즉, 혀 방향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아암을 따른 비틀림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후방 이동 장치를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US2011/0244414에는, EP 1 433 435 및 EP 1 649 824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와 비교하여 감소된 높이를 갖는 다른 후방 이동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US2011/0244414의 후방 이동 장치는 송곳니/앞어금니 및 어금니에 연결되는 단일 요소로 이루어진다. 볼 부재와 수용부를 포함하는 연결기는 이 장치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높이 감소를 가능하게 해주고 또한 아래턱뼈에서 많은 환자를 치료할 때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하지만, 원위 요소에 대한 중앙 요소의 회전 및 볼 부재 또는 아암과 수용부의 대응하는 충돌점이 없어짐에 따라, 후방 이동 장치의 기능성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이들 장치는 "바로 세우기"와 비틀림 둘 모두에서 어금니의 위치를 조절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 중의 일부 단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소시키는 분절 후방 이동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후방 턱뼈 영역의 분절 후방 이동을 위한 치과 교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치과 교정 장치는, 앞어금니 또는 송곳니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앙 기부 표면, 견인 요소와 연결되기 위한 돌출부, 및 아암을 갖는 중앙 요소를 포함하고, 아암은 아암의 원위 단부에서 기다란 횡방향 핀을 포함한다. 본 치과 교정 장치는, 어금니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원위 기부 표면, 및 횡방향 핀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갖는 원위 기부를 더 포함한다. 제1 축선이 원위 기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규정되며, 제2 축선이, 원위 기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또한 제1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중앙-원위 방향으로 규정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횡방향 핀은 중앙 표면 및 원위 표면을 가지며, 수용부의 내부 형상은, 횡방향 핀이 제1 축선 주위로 1°내지 45°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제1 축선 주위로의 회전은 수용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중앙 표면 및/또는 원위 표면에 의해 제한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횡방향 핀은 볼 부재와 비교하여 감소된 높이를 가질 수 있고, 그래서, 볼의 내측면 및 장치와의 접촉 또는 위턱뼈의 어금니와 장치 사이의 접촉이 회피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를 귀챦게 함이 없이 환자의 아래턱뼈에도 장착될 수 있다.
수용부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제1 축선 주위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중앙 표면과 원위 표면을 갖는 횡방향 핀은 어금니의 바로 세우기를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어떤 실시 형태에서, 횡방향 핀은 제1 축선 주위로 5°내지 20°, 특히 8°내지 15°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횡방향 핀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횡방향 핀의 단면 치수는 아암에 대한 중심 부착점으로부터 핀의 양 말단부 쪽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점진적인 감소의 일 양태로, 횡방향 핀이 제1 축선 주위로 회전함에 따라, 횡방향 핀의 원위 및 중앙 표면과 수용부의 내측면 사이의 접촉이 부드럽게 증가하게 된다.
어떤 예에서, 제1 축선을 따른 횡방향 핀의 높이는 횡방향 핀의 길이 방향 축선을 따른 횡방향 핀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고, 특히, 그 길이의 3/4 보다 작을 수 있고, 더 특히는 횡방향 핀의 길이의 1/2 보다 작을 수 있다.
어떤 예에서, 횡방향 핀은 길이 방향 축선을 가질 수 있으며, 수용부는, 횡방향 핀이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0°내지 60°, 특히 15°내지 45°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허용되는 회전의 정도는 수용부의 경계에 부딪히는 아암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허용되는 회전의 정도는 어금니의 구개근 주위로 일어나는 어금니의 회전을 결정한다. 제1 및 제2 축선 주위로의 회전 및 장치의 감소된 높이로 인해, 상이한 치아 상황 및 상이한 부정합을 갖는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횡방향 핀은 상측 표면과 하측 표면을 가지며, 수용부의 내부 형상은, 횡방향 핀이 제2 축선 주위로 1°내지 30°, 특히 5°내지 15°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제2 축선 주위로의 회전은 수용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상측 표면 및/또는 하측 표면에 의해 제한된다. 이들 예에서, 치과 교정 장치의 아암을 따른 비틀림력에 의해 생기는 모멘트와 힘이 수용부에 의해 잘 흡수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중심면이 제1 축선과 제2 축선에 의해 규정되며(중앙 요소의 아암의 높이에서), 횡방향 핀은 그 중심면에 대해 비대칭적이다. 어떤 예에서, 중심면이 제1 축선과 제2 축선에 의해 규정되며, 수용부는 그 중심면에 대해 비대칭적일 수 있다. 비대칭을 장치에 도입하여, 한 방향의 회전이 다른 방향의 회전 보다 많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비대칭은 횡빙향 핀 및/또는 수용부의 내측면에 존재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제3 축선이 제1 축선 및 제2 축선에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3 축선과 횡방향 핀의 길이 방향 축선 사이의 각도는 0°내지 15°일 수 있다.
추가 양태에서, 여기서 개시된 예들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 및 하나 이상의 고무 밴드를 포함하는 키트가 제공된다. 고무 밴드는 견인 장치의 일 예이다. 원위 방향 힘이 후방 이동 장치에 가해질 수 있다면, 피스톤, 핀 또는 다른 요소를 포함하는 대안적인 견인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키트는 고무 밴드와의 연결을 위한 원위 앵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앵커는 브라켓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TAD(Temporary Anchorage Device)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추가 목적, 이점 및 특징은 설명의 검토로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며, 또는 본 발명의 실시로 배울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를 비한정적인 예로 설명할 것이다.
도 1a 및 1b는 여기서 사용되는 일부 용어를 도시한다.
도 1c는 환자의 송곳니와 위턱뼈에 있는 어금니에 부착되는 치과 교정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a 및 2b는 한 구현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중앙 요소와 원위 요소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a 및 3b는 다른 예에 따른 원위 요소의 수용부에 있는 횡방향 핀의 단면 상부도를 나타낸다.
도 4a 및 4b는 다른 예에 따른 원위 요소의 수용부에 있는 횡방향 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c는 환자의 송곳니와 위턱뼈에 있는 어금니에 부착되는 치과 교정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a 및 2b는 한 구현예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의 중앙 요소와 원위 요소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a 및 3b는 다른 예에 따른 원위 요소의 수용부에 있는 횡방향 핀의 단면 상부도를 나타낸다.
도 4a 및 4b는 다른 예에 따른 원위 요소의 수용부에 있는 횡방향 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a는 하측 턱(아래턱뼈)에 있는 치아의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입의 전방 부분(110)을 중앙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입의 후방 부분(120)을 원위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치아 뒤에 있는 입의 내측 부분(130)을 혀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입의 외측 부분(140)을 입술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 치아(첫번째 어금니)에 대한 중앙-원위 방향(115)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치아에 대한 혀-입술 방향(135)이 또한 도 1에 나타나 있다. 이 용어는 본 개시에서 고수될 것이다.
도 1b는 어금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그 어금니의 중앙측은 참조 번호 "110"으로 나타나 있고, 어금니의 원위측은 참조 번호 "120"으로 나타나 있다. 참조 번호 "130" 및 "140"은 어금니의 혀측 및 입술측을 각각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제1 축선은 어금니의 혀 표면에 부착되는 원위 요소의 기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으로 정의된다. 도 1b에서, 제1 축선은 참조 번호 "1"로 나타나 있다. 제2 축선은 원위 요소의 기부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중앙 -원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제2 축선(2)은 제1 축선(1)에 수직이다.
도 1c는 분절 후방 이동(segmental distalization)에 사용되는 치과 교정 장치의 일 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치과 교정 장치는 중앙 요소(10) 및 원위 요소(20)를 포함한다. 중앙 요소(10)는 송곳니(이 특정한 예에서는 아래턱뼈 송곳니(51))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기부(11)를 갖는다. 원위 요소(20)는 어금니, 예컨대 아래턱뼈 어금니(53)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앙 요소(10)는 원위 요소(20)의 수용부에 위치되는 횡방향 핀(14)에서 끝나는 아암(13)을 포함한다. 핀(14)과 원위 요소(20)에 있는 수용부에 대한 더 많은 상세점은 다른 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중앙 요소(10)는 돌출부(15)를 포함하고, 이 돌출부 주위에 고무 밴드(40)가 배치될 수 있다. 고무 밴드(40)는 또한 앵커(30)에 있는 돌출부 또는 훅크(32)에 주위에 배치될 수 있어, 중앙 요소(15)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앵커(30)는 예컨대 위턱뼈 어금니에 장착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앵커는 브라켓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위턱뻐 송곳니를 뒤쪽으로 끌어 당기는 힘이 제공된다. 환자가, 중실 앵커로서 작용하고 아래턱뼈의 치아를 위치 고정시키는 예컨대 부목(splint)(또는 다른 고정 장치)을 착용하고 있으면, 아래턱뼈의 치아는 앞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또한 위턱뼈 송곳니는 뒤쪽으로 끌어 당겨질 수 있다.
후방 이동기의 중앙 요소(10)와 원위 요소(20) 사이의 연결로 인해, 위턱뼈 어금니(53)가 또한 뒤쪽으로 밀릴 수 있다. 동시에, 송곳니와 어금니 사이에 있는 아암의 형상 및 어금니 상에서의 원위 요소의 위치로 인해, 회전력이 또한 어금니(53)에 가해지게 된다. 이 회전력의 결과로 위턱뼈 어금니의 구개근(palatal root) 주위의 피봇(pivot)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어금니의 원위 방향 회전("바로 세우기")이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후향력과 회전력이 어금니에 동시에 가해질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고무 밴드 이외의 다른 견인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인 구성에서, 다른 앵커, 예컨대, 구개에 위치되는 TAD가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예에서, 앵커는 나사 구멍을 포함할 수 있고, 견인 요소는 상대 나사산을 갖는 핀일 수 있다. 핀을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시켜 견인을 가할 수 있다.
도 2a는 치과 교정 장치의 일 예의 중앙 요소를 도시한다. 중앙 요소(10)는, 사용시 중앙-원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아암을 포함한다. 아암(13)의 원위 단부에는 횡방향 핀(14)이 배치되어 있다. 중앙 요소는 중앙 기부 표면(12)을 갖는 중앙 기부(11)를 가지며, 그 중앙 기부 표면은 송곳니 또는 앞어금니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중앙 기부 표면(12)은 송곳니에의 부착을 위한 다수의 돌 포함할 수 있다. 이 기부 표면은 부착될 필요가 있는 특정 치아에 맞도록 약간 오목하게 될 수 있다.
부착 전에, 치아 표면을 정화할 수 있는데, 어쩌면 에칭하고 이어서 건조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에, 치아 표면에 접착제를 바를 수 있다. 빛을 사용하여 활성화될 수 있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 다음에 치과 교정 기구(어쩌면 그의 기부 표면에서 접착제를 포함할 수도 있음)가 치아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빛을 사용하여 접착제를 활성화시킨 후에, 치과 교정 기구가 치아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복합 수지 또는 유리 이오노머(ionomer) 시멘트와 같은 다른 종류의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과정을 "결합"이라고 하고, 또는 사용되는 접착제에 따라서 "시멘트 결합"이라고 한다.
도 2b는 어금니 표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원위 기부 표면(21)을 갖는 원위 요소(20)를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중앙 기부 표면으로서, 원위 기부 표면은 어금니에의 접합을 도와주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13)의 원위 단부는 수용부(22)에 배치되는 횡방향 핀을 포함한다. 횡방향 핀(14)은 핀(14)의 길이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방 이동 장치의 조립 과정에서, 핀이 핀의 변형 없이 들어갈 수 있도록 수용부는 원래 처음에 핀(14)에 대해 약간 확대될 수 있다. 핀이 들어간 후에, 수용부의 개구는 감소될 수 있고, 이때 예컨대 완전한 경계의 국부적인 변형 또는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특히, 코이닝(coining)이 일어나는 국부적인 변형이 바람직한 예이다. 명확히 하기 위해, 그러한 조립 과정은 제품의 포장 및 배송 전에 산업적인 세팅에서 일어난다. 조립은 치과 교정사에 의해 행해지지 않는다.
도 3a는 일 예에 따른 원위 요소의 수용부에 있는 횡방향 핀의 단면 상부도를 나타낸다. 횡방향 핀의 길이 방향 축선은 참조 번호 "4"로 나타나 있다. 참조 번호 "3"으로 나타나 있는 제3 축선은 도 1b에 규정되어 있는 제1 축선 및 제2 축선에 수직하게 규정될 수 있다. 즉, 제3 축선은 사용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횡방향 핀(14)의 길이 방향 축선(4)과 제 3 축선(3) 사이의 각도는 0°내지 20°일 수 있다. 이 각도는, 어금니가 아암(13)에 의해 뒤쪽으로 밀리면서 회전함에 따라, 치료 중에 변할 수 있다. 어금니의 회전의 결과로, 제2 축선과 제3 축선(3)에 수직인 제1 축선 주위로의 회전이 일어나게 된다.
제1 축선 주위로의 회전의 제한은, 수용부의 내면의 중앙 벽(25)에 접촉하는 중앙 표면(14b)에 의해 제한된다. 제1 축선 주위로의 회전의 제한은 또한 수용부의 원위 벽(26)에 접촉하는 원위 표면(14a)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아암(13)과 핀(14)을 포함하는 동일한 중앙 요소의 제2 배향이 파단선으로 나타나 있다.
횡방향 핀의 길이 방향 축선과 아암의 길이 방향 축선 사이의 예각(β)은 70°내지 90°일 수 있다.
도 3b는 추가 예에 따른 원위 요소의 수용부에 있는 횡방향 핀의 단면 상부도를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 횡방향 핀은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 변하는 단면을 갖는다. 횡방향 핀(14)이 아암에 연결되어 있는 중심 지점으로부터, 단면 치수는 양 방향으로 단부(14c, 14d) 쪽으로 가면서 감소한다.
이러한 감소의 효과로, 핀과 수용부 사이의 접촉(또한 그래서 추가 회전에 대한 저항)이 더 점진적으로 증가 된다.
도 4a 및 4b는 다른 예에 따른 원위 요소의 수용부에 있는 횡방향 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의 예에서, 횡방향 핀은 일정한 단면을 가지며 아암(13)에 대해 대칭적이다. 그러나, 수용부는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횡방향 핀은 아암(13)의 축선 주위로 한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회전의 제한은 횡방향 핀의 상측 표면(14f)과 수용부의 내부 상측 표면(27)의 접촉점 및 횡방향 핀의 하측 표면(14e)과 수용부의 내부 하측 표면(28)에 의해 결정된다.
도 4b에 예에서, 횡방향 핀과 수용부 둘다가 아암(13)에 대해 비대칭적이다. 비대칭성을 사용하여, 한 방향의 회전이 다른 방향 보다 더 많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특정한 실시 형태와 예만 여기에 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대안적인 실시 형태 및/또는 용도와 이의 명백한 변형예 및 등가예가 가능함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된 특정한 실시 형태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하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 대한 공정한 해석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4)
- 후방 턱뼈 영역의 분절 후방 이동(segmental distalization)을 위한 치과 교정 장치(10)로서,
앞어금니 또는 송곳니(51)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중앙 기부 표면(12), 견인 요소와 연결되기 위한 돌출부(15), 및 아암(13)을 갖는 중앙 요소(10) - 상기 아암(13)은 아암의 원위 단부에서 기다란 횡방향 핀(14)을 포함함 -; 및
어금니(53)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원위 기부 표면(21), 및 상기 횡방향 핀(14)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2)를 갖는 원위 기부(20)를 포함하고,
제1 축선(1)이 상기 원위 기부 표면에 수직하게 규정되며, 제2 축선(2)이, 상기 원위 기부 표면에 평행하고 또한 상기 제1 축선에 수직인 중앙-원위 방향으로 규정되며,
상기 횡방향 핀은 중앙 표면(14b) 및 원위 표면(14a)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내부 형상은, 상기 횡방향 핀이 상기 제1 축선(1) 주위로 1°내지 45°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축선(1) 주위로의 회전은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상기 중앙 표면(14b) 및/또는 원위 표면(14a)에 의해 제한되는, 치과 교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핀(14)은 상기 제1 축선 주위로 5°내지 20°또는 8°내지 15°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는, 치과 교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핀(14)은 원통형인, 치과 교정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핀(14)의 단면 치수는 상기 아암에 대한 중심 부착점으로부터 상기 횡방향 핀(14)의 양 말단부 쪽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치과 교정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에 따른 상기 횡방향 핀(14)의 높이는 0 보다 크고 상기 횡방향 핀(14)의 길이 방향 축선(4)에 따른 횡방향 핀(14)의 길이의 1 보다 작거나, 또는 3/4 보다 작거나, 또는 1/2 보다 작은, 치과 교정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핀(14)은 길이 방향 축선(4)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횡방향 핀(14)이 상기 길이 방향 축선(4) 주위로 0°보다 크고 60°이하의 각도 또는 15°내지 45°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치과 교정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핀(14)은 상측 표면(14f)과 하측 표면(14e)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내부 형상은, 상기 횡방향 핀(14)이 상기 제2 축선(2) 주위로 1°내지 30° 또는 5°내지 15°의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 축선(2) 주위로의 회전은 상기 수용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상기 상측 표면(14f) 및/또는 하측 표면(14e)에 의해 제한되는, 치과 교정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면이 상기 제1 축선(1)과 제2 축선(2)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횡방향 핀(14)은 상기 중심면에 대해 비대칭적인, 치과 교정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면이 상기 제1 축선(1)과 제2 축선(2)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중심면에 대해 비대칭적인, 치과 교정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요소의 돌출부(15)는 훅크인, 치과 교정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핀(14)의 길이 방향 축선(4)과 아암의 길이 방향 축선 사이의 각도는 70°내지 90°인, 치과 교정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 교정 장치 및 하나 이상의 고무 밴드(40)를 포함하는 키트.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밴드(40)와의 연결을 위한 앵커(30)를 더 포함하는 키트. - 제13항에 있어서,
앵커(30)는 브라켓인,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7382306.3A EP3409235A1 (en) | 2017-05-29 | 2017-05-29 | An orthodontic device |
EP17382306.3 | 2017-05-29 | ||
PCT/EP2018/063918 WO2018219858A1 (en) | 2017-05-29 | 2018-05-28 | An orthodontic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4768A KR20200014768A (ko) | 2020-02-11 |
KR102599385B1 true KR102599385B1 (ko) | 2023-11-06 |
Family
ID=59077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35715A KR102599385B1 (ko) | 2017-05-29 | 2018-05-28 | 치과 교정 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12036088B2 (ko) |
EP (2) | EP3409235A1 (ko) |
JP (1) | JP7120551B2 (ko) |
KR (1) | KR102599385B1 (ko) |
CN (1) | CN111031960B (ko) |
CA (1) | CA3064790A1 (ko) |
ES (1) | ES2838001T3 (ko) |
PL (1) | PL3629996T3 (ko) |
WO (1) | WO201821985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73865A1 (en) * | 2018-12-24 | 2020-07-01 |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 Orthodontic device and tool for positioning the device |
FR3106484B1 (fr) * | 2020-01-29 | 2024-09-20 | Glad Medical | Nouveaux dispositifs de corrections des defauts de croissance maxillaire et/ou mandibulaire |
WO2022268342A1 (fr) * | 2021-06-25 | 2022-12-29 | Glad Medical | Nouveaux dispositifs de corrections des defauts de croissance maxillaire et/ou mandibulaire |
WO2024170584A1 (en) | 2023-02-16 | 2024-08-22 |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 An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e |
US20240277453A1 (en) | 2023-02-21 | 2024-08-22 | Orthodontic Manufacturer Sia S.R.L. | Orthodontic device and orthodontic kit for treating malocclusions |
EP4450020A1 (en) | 2023-04-18 | 2024-10-23 |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 Orthodontic device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28575A2 (es) | 2001-10-03 | 2003-04-10 | Luis Carriere Lluch | Elemento auxiliar para la distalización segmentaria del sector posterior maxilar de canino a molar en tratamientos de ortodoncia |
WO2009017944A1 (en) | 2007-07-31 | 2009-02-0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Orthodontic attachment module for intra-oral bite correctors |
WO2013144283A1 (en) | 2012-03-30 | 2013-10-03 |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 Method of assembling a distalizer |
US20150366640A1 (en) | 2014-06-20 | 2015-12-24 |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 Orthodontic lingual device |
WO2017070799A1 (en) | 2015-10-29 | 2017-05-04 | Orthoarm Inc. | Orthodontic bracket with sliding molar distalizer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95342A (en) * | 1982-11-04 | 1989-01-03 | Marston Jones | Calibrated spring module |
DK1649824T3 (da) | 2003-07-25 | 2012-12-17 | Orthodontic Res & Dev Sl | Hjælpeanordning til segmental distalisation til ortodontiske behandlinger |
US7261533B2 (en) | 2003-10-21 | 2007-08-28 | Align Technology,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dental aligners |
ES2200721B1 (es) | 2003-10-23 | 2005-04-01 |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 Elemento de distalizacion segmentaria para tratamientos de ortodoncia. |
US20060174897A1 (en) * | 2005-02-10 | 2006-08-10 | Edvard Sarkisian | Apparatus and method for caring for obstructive sleep disorder breathing |
KR100805752B1 (ko) | 2006-09-08 | 2008-02-21 | 김옥경 | 치아 교정기 |
GB0901795D0 (en) * | 2009-02-04 | 2009-03-11 | Smith & Nephew | Medical device and method |
US20120028208A1 (en) | 2009-04-14 | 2012-02-02 | Cleary James D | Interarch force module with link for orthodontic treatment |
US20130066436A1 (en) * | 2011-09-08 | 2013-03-14 | Jonathan Desa | Impl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CA3002858A1 (en) * | 2013-02-04 | 2014-08-07 | Xiangmin Zhang | Elastic tongue-dorsum retraction device clamping pliers, installation pliers, line guide and implantation method |
US9539066B2 (en) * | 2013-05-10 | 2017-01-10 | Todd Evan Dickerson | Orthodontic appliance |
-
2017
- 2017-05-29 EP EP17382306.3A patent/EP3409235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8
- 2018-05-28 KR KR1020197035715A patent/KR10259938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5-28 US US16/616,411 patent/US12036088B2/en active Active
- 2018-05-28 WO PCT/EP2018/063918 patent/WO201821985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5-28 JP JP2019566106A patent/JP7120551B2/ja active Active
- 2018-05-28 EP EP18729612.4A patent/EP3629996B1/en active Active
- 2018-05-28 CN CN201880031953.0A patent/CN111031960B/zh active Active
- 2018-05-28 CA CA3064790A patent/CA3064790A1/en active Pending
- 2018-05-28 PL PL18729612T patent/PL3629996T3/pl unknown
- 2018-05-28 ES ES18729612T patent/ES2838001T3/es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3028575A2 (es) | 2001-10-03 | 2003-04-10 | Luis Carriere Lluch | Elemento auxiliar para la distalización segmentaria del sector posterior maxilar de canino a molar en tratamientos de ortodoncia |
WO2009017944A1 (en) | 2007-07-31 | 2009-02-0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Orthodontic attachment module for intra-oral bite correctors |
WO2013144283A1 (en) | 2012-03-30 | 2013-10-03 |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 Method of assembling a distalizer |
US20150366640A1 (en) | 2014-06-20 | 2015-12-24 | Orthodontic Research And Development, S.L. | Orthodontic lingual device |
WO2017070799A1 (en) | 2015-10-29 | 2017-05-04 | Orthoarm Inc. | Orthodontic bracket with sliding molar distaliz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0521577A (ja) | 2020-07-27 |
EP3409235A1 (en) | 2018-12-05 |
WO2018219858A1 (en) | 2018-12-06 |
EP3629996A1 (en) | 2020-04-08 |
CA3064790A1 (en) | 2018-12-06 |
US12036088B2 (en) | 2024-07-16 |
ES2838001T3 (es) | 2021-07-01 |
CN111031960A (zh) | 2020-04-17 |
JP7120551B2 (ja) | 2022-08-17 |
PL3629996T3 (pl) | 2021-04-19 |
US20200085539A1 (en) | 2020-03-19 |
CN111031960B (zh) | 2021-09-17 |
KR20200014768A (ko) | 2020-02-11 |
EP3629996B1 (en) | 2020-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99385B1 (ko) | 치과 교정 장치 | |
JP3706517B2 (ja) | 歯列矯正用支持体 | |
TWI679006B (zh) | 牙齒矯正空間關閉裝置 | |
US5125831A (en) | Orthodontic bracket with bi-directional hook | |
US20210153980A1 (en) | Orthodontic Bracket with Sliding Molar Distalizer | |
CA3016218C (en) | Orthopedic-orthodontic molar distalizer | |
US20110300503A1 (en) | Device for Fixing Orthodontic Devices | |
JP2020520737A (ja) | 様々なサイズのアーチワイヤスロットを有する歯列矯正システム | |
KR20090077945A (ko) | 치열교정용 리트랙션 아치 및 스프링 | |
US9987104B2 (en) | Orthodontic lingual device | |
ES2967525T3 (es) | Sistema de ortodoncia | |
KR200457198Y1 (ko) |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 |
JP6854291B2 (ja) | 舌側歯科矯正装具 | |
US20220110720A1 (en) | Orthodontic device and tool for handling the device | |
US20140242536A1 (en) | Mandibular attachment for correction of malocclusion | |
EP4450020A1 (en) | Orthodontic devices | |
WO2024218067A1 (en) | Orthodontic devices and methods of treatment | |
WO2024170584A1 (en) | An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e | |
JPH0380021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