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9274B1 -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및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및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9274B1
KR102599274B1 KR1020230082642A KR20230082642A KR102599274B1 KR 102599274 B1 KR102599274 B1 KR 102599274B1 KR 1020230082642 A KR1020230082642 A KR 1020230082642A KR 20230082642 A KR20230082642 A KR 20230082642A KR 102599274 B1 KR102599274 B1 KR 102599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iewing
control unit
top box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김만석
이성희
이승백
Original Assignee
(주)유유코리아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유코리아,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filed Critical (주)유유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8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9274B1/ko
Priority to JP2023118533A priority patent/JP7464935B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07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 G08B21/0423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based on behaviour analysis detecting deviation from an expected pattern of behaviour or schedu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92Sensor dual technology, i.e. two or more technologies collaborate to extract unsafe condition, e.g. video tracking and RFID trac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6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type of event, e.g. in case of fire phone the fire service, in case of medical emergency phone the ambul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Psyc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셋톱박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 {Response to single-person household crisis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TV viewing information analysis}
본 발명은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하여 위기 상황을 예측 및 판단하여 이에 대응하도록 하는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고령자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대한민국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는 전체 인구의 17.5%인 901만 8천명이며 2025년에는 20.6%로 예상되어 고령사회에서 초고령 사회로 7년 만에 도달하게 되는, OECD에서 가장 빠른 노령화 국가로 예상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1인 가구의 비중은 2000년 15.5% 대비 2021년 33.4%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특히 모든 세대에서 빠른 증가 속도를 보이고 있는데, 1인 가구의 경우 건강, 보안 및 기타 위기 상황에 대응이 취약하고 이로 인해 국가 및 지자체의 복지 차원의 관리가 요구되어 있는 상황이다. 특히, 노약자 또는 건강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혼자 살 경우, 일상 생활에서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종래 일반적으로 1인 가구에서 생활하는 사용자가 직접 응급 호출 장치의 물리적 버튼을 누름으로써 응급 서비스 요청에 대한 알림을 보내는 것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응급 상황이 발생했음을 인식하고 버튼을 누를 수 있는 상태여야만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상황에 따라서는 적절한 대응을 보장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주거 환경에서의 센서는 모션, 온도, 습도 등의 요소를 감지하여 비정상적인 상황을 감지하고 알림을 보낼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활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으나, 종래 센서를 통해 측정된 값은 다양한 환경 변화를 정확하게 해석하지 못하고, 때로는 잘못된 응급 정보를 인식하여 인력 낭비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1인 가구 구성원의 활동에 대한 정보의 취득이나 모니터링 등의 부분에 있어 사생활 보호 차원에서 문제가 될 수 있고, 이에 사생활의 침해없이 고령자 및 1인 가구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상적이며 가장 대중적인 여가 수단인 TV의 시청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TV시청 형태정보와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리모컨에 부착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긴급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사생활의 큰 침해없이 실시간으로 1인 가구의 위기상황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사용자의 주변인 또는 응급 기관에 이상 상황 알림을 보낼 수 있어, 상황에 따른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셋톱박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셋톱박스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시청시간, 시청이력을 포함한 시청정보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제1기간에서 상기 시청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간구간 별 사용자의 시청패턴을 식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기간에서 상기 복수의 시간구간 중 제1시간구간에서의 식별된 제1시청패턴과 상기 제1기간 이후인 제2기간에서 상기 제1시간구간과 대응하는 제2시간구간에서 식별된 제2시청패턴이 상이하면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주변인 및 응급기관을 포함한 대응인력에 이상상황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시청패턴과 상기 제2시청패턴이 상이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자에게 이상상황 알림의 송신 여부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리모컨을 통해 이상 없음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시청패턴을 상기 제2시청패턴으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리모컨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제1사용자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이상 있음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대응인력에 응급상황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을 통해 응급상황 발생에 대한 제3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대응인력에 응급상황 알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모컨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생체센서부를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생체정보에 대한 생체측정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측정정보가 사용자에 대응하여 설정된 이상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대응인력에 응급상황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셋톱박스의 사용자와 상기 서버와 연결된 다른 제1셋톱박스의 제1사용자 각각의 시청패턴을 식별하여, 이들이 유사하면 서로를 대응인력으로 매칭하며, 상기 셋톱박스와 상기 제1셋톱박스 간 채팅, 음성, 비디오 호출의 형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상적이며 가장 대중적인 여가 수단인 TV의 시청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TV시청 형태정보와 생체정보 및 환경정보 등을 감지하는 센서를 리모컨에 부착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긴급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사생활의 큰 침해없이 실시간으로 1인 가구의 위기상황을 신속하게 감지하여 사용자의 주변인 또는 응급 기관에 이상 상황 알림을 보낼 수 있어, 상황에 따른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이 동작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시청패턴을 분석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보호자에 대한 알림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 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이 동작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시청패턴을 분석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서 보호자에 대한 알림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300), 셋톱박스(100), 리모컨(400) 및 셋톱박스(1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1인 가구 위기 상황은 사용자가 주로 밤에 TV를 시청하는데 갑자기 오전에 TV를 켜거나, 또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동안 TV를 켜놓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채널 변경이나 볼륨 조정과 같은 행동이 전혀 없는 경우와 같은 사용자의 일정한 시청 패턴에서 크게 벗어난 경우, 획득된 생체정보에서 심박수, 체온 등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평소 범위와 크게 다른 경우,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길게 누르거나, 또는 특정 코드를 입력하는 등의 방식으로 응급 상황을 직접 알리는 경우 등을 의미하며, 즉, 사용자에게 건강상 위급상황이 발생한 것과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사용자에게 영상 및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대형화면 TV, 컴퓨터 모니터, 휴대용 디바이스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셋톱박스(100)와 연결되어, 셋톱박스(100)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하고 해당 데이터에 따라 영상 및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며, 셋톱박스(100)로부터 송신받은 이상 상황 알림의 송신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시청자에게 표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상황에 대해 인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시청자의 행동 패턴 및 선호도에 따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개인화된 콘텐츠 제공은 시청자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고,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는 또한 사용자의 시청 정보, 특히 시청시간, 시청 이력 등을 셋톱박스(100)에 전송하며, 이러한 정보는 시청자의 일상적인 패턴과 행동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이상 상황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 외에도,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처리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가 리모컨(400)을 통해 제공된 이상상황 알림의 송신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에 응답하면, 해당 정보는 셋톱박스(100)로 전송되어 분석 및 처리되며, 이 결과는 다시 디스플레이장치(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며, 사용자의 건강 및 안전에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즉시 조치를 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에서의 디스플레이는 이를 구현하는 방식이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r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 등을 포함하며, 백라이트유닛 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TV를 전제로 하여 이하 기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은 셋톱박스(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100)는 사용자의 TV 시청 정보를 수집, 저장 및 전송하며, 이러한 정보는 특히 시청 시간, 시청 이력 등을 포함하며,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일상적인 시청 패턴을 파악하는 데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10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컨대, 사용자가 리모컨(400)을 통해 응답한 이상상황 알림의 송신 여부 및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는 셋톱박스(100)로 전송되어 처리되며, 그 결과는 서버로 전송되어 이후의 분석과 처리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셋톱박스(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연결되어 있어, 수집된 시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시청 패턴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위기 상황 발생 시 대응 방안을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100)는 또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즉시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인 가구의 안전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은 리모컨(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400)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00)와 셋톱박스(100)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입력 장치이며, 사용자는 리모컨(400)을 통해 시청 채널을 변경하거나, 볼륨을 조절하는 등의 기본적인 TV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400)은 기본적인 제어 기능 외에도 사용자의 피드백을 셋톱박스(100)와 서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상상황 알림의 송신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장치(300)에 표시하면, 사용자는 이에 대한 응답을 리모컨(400)을 통해 입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청 패턴의 변화 등이 정상적인 것인지, 아니면 사용자의 안전에 위협이 있는 것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400)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심박수, 체온 등의 생체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셋톱박스(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상상태를 빠르게 감지하고 대응하는데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센서부는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심박수, 체온, 혈중 산소 농도, 습도, 및 운동량과 같은 다양한 생체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은 사용자의 생리적 상태와 환경적 조건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셋톱박스(100)와 서버에 전달한다.
예컨대, 심박수 센서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 수를 측정하고, 체온 센서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며, 이들 센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하여 작동하며, 사용자의 생리적 상태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또한, 혈중 산소 농도 센서는 사용자의 혈중 산소 농도를 측정하여, 숨쉬기 어려움이나 기타 호흡 관련 건강 문제를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습도 센서는 주변 환경의 습도를 측정하여, 환경적 요인이 사용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운동량 센서, 예컨대 자이로센서는 사용자의 활동 수준을 측정하여, 장시간동안 활동 없음을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일상적인 활동 패턴에서 이탈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생체센서부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 및 예측하여 위기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셋톱박스(100) 또는 외부의 다른 전자장치 등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adio Control,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Wi-Fi Direct, 적외선 통신,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상기의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통신사별 IoT망을 갖는 IoT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IoT통신모듈은 별개의 통신부(210)를 가진 복수의 사물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다양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IoT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oT통신모듈을 이용하면 설정된 지역 내에서 보다 원활한 통신망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셋톱박스(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230)에 의해 수신된 시청패턴 및 이력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후술할 제어부(230)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엑세스되어,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서버(200)에 대한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기 위한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서버(2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 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서버(200) 외에도 다른 외부의 전자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200)의 제조 시에 서버(2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서버(200)로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23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셋톱박스(100)로부터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300)에 대한 시청시간, 시청이력을 포함한 시청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청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제1기간에서 시청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간구간 별 사용자의 시청패턴을 식별할 수 있는데, 예컨대, 기 설정된 제1기간은 사용자의 평소 TV 시청 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기간을 의미하며, 이 기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사용자의 일상적인 행동 패턴을 반영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포함한다. 일 예로, 제1기간은 사용자의 일주일 동안의 시청 패턴을 반영할 수 있도록 일주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따라 1년, 6개월, 1개월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기간 동안 사용자가 주로 어떤 시간대에 TV를 시청하는지, 어떤 종류의 프로그램을 선호하는지, 어떤 채널을 주로 시청하는지 등의 시청 정보가 수집되며,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의 평소 시청 패턴을 이해하는 데 사용된다.
한편, 제1기간은 사용자의 시청이력에서 주된 장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예컨대, 드라마와 같은 시리즈물을 자주 보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시리즈물이 반영되는 평균 기간인 2 내지 3개월의 단위로 제1기간이 설정될 수 있으며, 영화와 같은 단편물을 자주보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각각의 특정 요일, 예컨대 매주 수요일에서 목요일 마다 시청 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예능프로와 같이 매주 방영하는 컨텐츠를 자주 보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제1기간이 1주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시간구간은 제1기간을 더 작은 단위의 시간 구간으로 나눈 것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복수의 시간구간은 사용자의 일일 시청 패턴을 더욱 세부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기간이 하루라면, 이를 아침, 낮, 저녁, 심야의 네 가지 시간구간으로 나눌 수 있고, 각 시간구간은 사용자의 특정 시간대에 대한 시청 습관과 선호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되며, 이는 사용자의 평소 시청 패턴에서의 이탈을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제1기간이 일주일이라면, 이를 요일별로 나누어 7개의 시간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복수의 시간구간은 각 요일에 따른 사용자의 시청 패턴을 분석하고, 주중과 주말, 혹은 특정 요일에 대한 선호도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시간구간은 사용자의 세부적인 시청 패턴을 이해하고, 특정 시간대나 요일에 대한 선호도 및 습관을 분석하여, 시청 패턴에서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데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청패턴은 사용자의 TV 시청 습관과 선호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며, 시청패턴은 시청하는 컨텐츠의 장르, 채널변동 횟수, 특정 컨텐츠 반복적 시청 횟수, 누적시청 시간, 상기 복수의 시간구간 각각에 대한 평균 시청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시청하는 컨텐츠의 장르는 예컨대, 사용자가 매일 저녁 8시에 특정 드라마를 시청한다면, 이는 그 사용자의 시청패턴 중 하나로 볼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주로 뉴스 채널을 시청한다면, 그것 역시 시청패턴으로 해석될 수 있고, 또한 대부분의 시간을 드라마나 영화를 시청하는데 사용한다면, 시청패턴은 이러한 장르에 치우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시청패턴은 사용자가 얼마나 자주 채널을 변경하는 지를 수치화한 채널변경 횟수를 의미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채널변경 횟수가 클 수록 사용자가 특정 프로그램에 만족하지 않거나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하루에 평균 10회 이상 채널을 변경한다면, 이는 그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찾아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시청패턴은 특정 프로그램이나 쇼를 반복해서 시청하는 반복적 시청 횟수를 의미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를 선호하거나 그 컨텐츠에 특별히 관심이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드라마를 일주일에 세 번 시청한다면, 이는 그들의 시청 패턴 중 하나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시청패턴은 사용자가 TV를 시청하는데 총 얼마나 많은 시간을 소비하 지인 누적시청 시간을 의미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가 일주일에 총 30시간 동안 TV를 시청한다면, 이를 일반적 시청패턴의 일부로 해설될 수 있다.
또한, 시청패턴은 사용자가 일정 시간대에 특정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향을 판단하는 복수의 시간구간 각각에 대한 평균 시청시간을 의미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가 주로 오후 8시에서 10시 사이에 TV를 자주 시청한다면, 이 시간대를 주요 시간대로 해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제1기간에서 복수의 시간구간 중 제1시간구간에서의 식별된 제1시청패턴과 제1기간 이후인 제2기간에서 제1시간구간과 대응하는 제2시간구간에서 식별된 제2시청패턴이 상이하면 저장부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주변인 및 응급기관을 포함한 대응인력에 이상상황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제1기간 동안에는 주로 저녁 7시부터 9시까지 드라마를 시청하는 패턴을 보였다면, 이는 제1시청패턴으로 식별될 수 있으며, 그 후 제2기간에 해당 사용자가 같은 시간에 뉴스를 시청하거나 TV를 전혀 보지 않는 패턴을 보이면, 이는 제2시청패턴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제1기간 동안 식별된 제1시청패턴과 그 이후의 제2기간에서의 제2시청패턴이 상이한 경우 이를 이상상황으로 판단하고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알림은 기 저장된 사용자의 주변인과 응급기관을 포함한 대응인력에 송신될 수 있는데, 이때 각각의 스마트단말기, 컴퓨터 등에 송신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주변인이 될 수 있는 보호자, 자녀, 친구 등의 스마트폰에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호자의 건강상태를 알릴 수 있으며, 시청패턴이 변한 경우에 보호자가 사용자의 안전여부를 직접 체크할 수 있도록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의 시청 패턴이 갑자기 변경되었을 때, 이는 사용자가 일상적인 생활 패턴에서 벗어났을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주변인이나 응급기관에 알림을 보내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 가구의 안전을 보장하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제1시청패턴과 제2시청패턴이 상이하면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사용자에게 이상상황 알림의 송신 여부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표시하며, 리모컨(400)을 통해 이상 없음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제1시청패턴을 상기 제2시청패턴으로 업데이트하며, 리모컨(400)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범위를 초과하여 제1사용자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이상 있음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대응인력에 응급상황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230)는 제1시청패턴과 제2시청패턴이 상이하면 디스플레이장치(300)에 사용자에게 이상상황 알림의 송신 여부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저녁 시간대에 시청하던 드라마를 갑자기 시청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장치(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혹시 위급한 상황이 있나요?' 등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알림을 표시하며, 제어부(230)는 리모컨(4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기다리고, 만약 사용자가 리모컨(400)을 통해 건강과 관련된 이슈에 대한 이상 없음에 대한 메시지가 포함된 제1사용자입력을 송신하면 이를 정상적인 대응으로 판단하여 시청패턴이 단순 변경된 것으로 간주하여, 제1시청패턴을 제2시청패턴으로 업데이트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저녁 시간대에 드라마가 아닌 뉴스를 보기 시작했다면, 이는 새로운 시청 패턴으로 간주되어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반면, 제어부(230)는 기 설정된 시간 범위를 초과하여 제1사용자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이상 있음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즉시 대응인력에 응급상황 알림을 송신한다. 예컨대,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사용자로부터 '이상 없음'에 대한 입력이 없거나, 사용자가 '응급상황' 메시지를 전송하면, 제어부(230)는 이를 응급 상황으로 판단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응급 연락처로 알림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시청 패턴 변화에 대응하여 안전 상황을 감지하고, 위급 상황 발생 시 즉시 대응인력에게 알림을 전송하여 1인 가구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리모컨(40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직접 응급상황 발생에 대한 제3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집 안에서 사고를 겪었거나, 기타 다른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사용자는 리모컨(400)의 특정 버튼을 눌러 '응급상황 알림'을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리모컨(400)에 할당된 특정 버튼, 예컨대, '응급 호출' 버튼 누르는 행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사용자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230)는 저장부에 저장된 대응인력의 연락처 정보를 참조하여 즉시 대응인력에 응급상황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특정 상황에 따른 추가 정보(예컨대, 사용자가 선택한 '응급상황' 유형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100)는 생체센서부를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생체정보에 대한 생체측정정보를 리모컨(400)에 송신하며, 제어부(230)는 생체측정정보가 사용자에 대응하여 설정된 이상범위에 해당하면 대응인력에 응급상황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100)는 생체센서부를 통해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데, 식별정보는 사용자가 시스템에 등록할 때 입력한 정보를 포함하며, 예컨대 사용자의 이름, 연령, 성별, 건강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일반적인 생체 정보 범위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의 정상적인 심박수 범위, 체온, 혈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100)는 이러한 식별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생체정보에 대한 생체측정정보를 제어부(23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의 심박수가 식별정보에서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셋톱박스(100)는 이 정보를 제어부(2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생체측정정보가 사용자에 대응하여 설정된 이상범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의 심박수가 너무 빠르거나 느린 경우, 이를 이상 범위로 판단하여 알림정보를 송신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300)에 확인메시지를 표시하는 등의 이상상황 발생을 예상한 대응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이상 범위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연령, 성별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생체측정정보가 이상 범위에 해당할 경우, 대응인력에게 사용자의 식별정보, 현재의 생체측정정보, 이상 범위 등을 포함한 응급상황 알림을 송신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응급 상황 알림을 받는 대응인력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때 대응인력은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응급 연락처를 포함하며, 이는 가족, 친구, 이웃, 의료진, 경찰 등이 될 수 있다. 대응인력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에 미리 저장되며, 필요한 경우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셋톱박스(100)와 사용자 외 다른 1인가구의 셋톱박스(100) 간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중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와 다른 제1사용자 간의 연락망을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1인가구 중 독거노인 등 보호자와 연락이 끊겼거나, 별다른 보호자가 없는 경우에 응급인력 외에 다른 1인가구의 제1사용자에게 알림정보가 송신되도록 함으로써 이상상황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며, 1인가구의 구성원에 속하는 사용자와 제1사용자 간의 관계를 정립시킴으로써 상호 외로움이나 기타 부정적 감정에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1인가구 셋톱박스(100)의 사용자와 다른 1인가구 제1셋톱박스의 제1사용자를 각각의 시청패턴 유사도에 기초하여 매칭할 수 있다. 이는 상호 활동시간이 유사한 1인가구 구성원 간 매칭함으로써 어느 1인에 이상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또한 매칭된 사용자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채팅 기능, 음성 호출, 비디오 호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이런 기능을 통해 서로의 상황을 체크하거나,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는 등의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1인 가구 사용자들이 외로움을 덜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서로에게 이상 상황을 신속히 알릴 수 있는 추가적인 경로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셋톱박스(100)는 스스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이 기능을 통해, 셋톱박스(100)는 사용자의 패턴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고, 더 향상된 방법으로 사용자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새로운 기능을 받아들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향후 기술 발전을 쉽게 수용하고, 사용자의 안전과 복지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저장부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연락처 중 친밀도점수를 초과하는 사용자의 지인 또는 친구에 대하여 이상상황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30)는 사용자와 그의 지인 또는 친구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사용자와 그의 지인 또는 친구와의 통화 빈도, 통화 시간, 서로의 셋톱박스(100)에서 접속한 시간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친밀도 점수를 계산한다. 예컨대, 통화 빈도가 높고, 통화 시간이 길고, 서로의 셋톱박스(100) 접속 시간이 많이 겹치는 지인 또는 친구는 친밀도 점수가 높게 산정된다. 이를 위해 셋톱박스(10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와 그의 지인 또는 친구 간의 친밀도 점수를 계산한 후, 이 점수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이상상황 알림을 그 지인 또는 친구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 기준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평소에 자주 통화하는 지인 A의 친밀도 점수가 80이고, 가끔 통화하는 지인 B의 친밀도 점수가 50이라면, 제어부(230)는 친밀도 점수 기준을 70으로 설정한 경우, 이상상황 알림은 지인 A에게만 송신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상상황 알림이 신속하게 전달되며, 사용자의 상황에 더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친밀도 점수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사용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변화에 신속하게 반응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및 셋톱박스(100)로부터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이력 및 셋톱박스(100) 시청이력에 기초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연락처의 친밀도점수를 하기의 [수학식1]을 통해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친밀도점수가 가장 높은 연락처에 응급상황 또는 이상상황에 대한 알림을 송신하거나, 이를 알리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수학식1]
[수학식1]에서 Ck는 전체 연락처 개수인 n개에서 문자열로 정렬하였을 때 k번째로 표시되는 연락처의 친밀도점수를 의미하며, ak는 k번째 연락처의 기 설정된 기간에서의 누적 통화횟수를 의미하며, bk는 k번째 연락처의 기 설정된 기간에서의 누적 통화시간을 의미하며, n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저장된 연락처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누적 통화횟수와 누적 통화시간이 높을수록 친밀도점수가 높게 설정될 수 있고, n개의 연락처에 대한 친밀도점수를 높은 순으로 정렬하여 이중 가장 친밀도점수가 높은 연락처에 응급상황 또는 이상상황에 대한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주로 독거노인인 경우가 많은데, 이때 친인척 관계여도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아 연락하는 것만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마음의 상처를 받을 수 있고, 제때 대응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기 저장된 사용자의 연락처에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가입된 연락처 중 시청패턴과 통화이력에 기초하여 친밀도점수를 산정하여 활동시간이 유사한 사람으로 하여금 이상상황에 대응하도록 하여, 이상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이 반영된 친밀도점수는 하기의 [수학식2]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2]
상기 [수학식2]에서 Ck'은 시청패턴 및 통화이력이 반영된 친밀도점수를 의미하며, m1은 사용자의 일 평균 누적시청시간을 의미하며, m2는 k번째 연락처의 셋톱박스(100)와 사용자의 셋톱박스(100)가 동시에 작동하고 있는 일 평균 중복시간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기존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가 커질수록 친밀도점수가 상승하되, 셋톱박스(100)가 동시에 작동하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친밀도점수가 상승하도록 하여 주된 활동시간이 유사하며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가 큰 연락처에 최우선으로 이상상황에 대응하도록 하여, 이상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셋톱박스
200: 서버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300: 디스플레이장치
400: 리모컨

Claims (3)

  1.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셋톱박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컨;을 포함하며,
    상기 셋톱박스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통신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시청시간, 시청이력을 포함한 시청정보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제1기간에서 상기 시청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시간구간 별 사용자의 시청패턴을 식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기간에서 상기 복수의 시간구간 중 제1시간구간에서의 식별된 제1시청패턴과 상기 제1기간 이후인 제2기간에서 상기 제1시간구간과 대응하는 제2시간구간에서 식별된 제2시청패턴이 상이하면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주변인 및 응급기관을 포함한 대응인력에 이상상황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시청패턴과 상기 제2시청패턴이 상이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사용자에게 이상상황 알림의 송신 여부에 대한 확인메시지를 표시하며, 상기 리모컨을 통해 이상 없음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1시청패턴을 상기 제2시청패턴으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리모컨을 통해 기 설정된 시간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제1사용자입력이 수신되지 않거나, 이상 있음에 대한 메시지를 포함하는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대응인력에 응급상황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컨을 통해 응급상황 발생에 대한 제3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대응인력에 응급상황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리모컨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생체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생체센서부를 통해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생체정보에 대한 생체측정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측정정보가 사용자에 대응하여 설정된 이상범위에 해당하면 상기 대응인력에 응급상황 알림을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셋톱박스의 사용자와 상기 서버와 연결된 다른 제1셋톱박스의 제1사용자 각각의 시청패턴을 식별하여, 이들이 유사하면 서로를 대응인력으로 매칭하며, 상기 셋톱박스와 상기 제1셋톱박스 간 채팅, 음성, 비디오 호출의 형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연락처 중 친밀도점수를 초과하는 사용자의 지인 또는 친구에 대하여 이상상황 알림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친밀도점수는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의 지인 또는 친구와의 통화 빈도, 통화 시간 및 상기 셋톱박스에 각각 접속한 시간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도출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및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 사용이력 및 상기 시청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에 기 저장된 연락처에 대한 친밀도점수를 하기의 [수학식1]을 통해 산출하며,

    [수학식1]
    상기 [수학식1]에서 Ck는 전체 연락처 개수인 n개에서 문자열로 정렬하였을 때 k번째로 표시되는 연락처의 친밀도점수를 의미하며, ak는 k번째 연락처의 기 설정된 기간에서의 누적 통화횟수를 의미하며, bk는 k번째 연락처의 기 설정된 기간에서의 누적 통화시간을 의미하며, n은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저장된 연락처의 총 개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 및 통합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082642A 2023-06-27 2023-06-27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및 통합관리 시스템 KR102599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642A KR102599274B1 (ko) 2023-06-27 2023-06-27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및 통합관리 시스템
JP2023118533A JP7464935B1 (ja) 2023-06-27 2023-07-20 Tv視聴情報分析に基づく単身世帯の危機状況対応および統合管理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2642A KR102599274B1 (ko) 2023-06-27 2023-06-27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및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9274B1 true KR102599274B1 (ko) 2023-11-07

Family

ID=8874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642A KR102599274B1 (ko) 2023-06-27 2023-06-27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및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464935B1 (ko)
KR (1) KR1025992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78A (ko) * 2005-04-08 2006-10-1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시스템
KR20120042702A (ko) * 2010-10-25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tv 방송 컨텐트 공유 방법 및 tv 방송 컨텐트 공유 서버,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tv 방송 컨텐트 공유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 및 tv 디바이스
KR20120050655A (ko) * 2010-11-11 2012-05-21 (주)인성정보 생체정보 모니터링을 통한 응급상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9253A (ko) * 2015-02-12 2016-08-22 크레노바멀티미디어 주식회사 셋탑 박스를 이용한 응급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230036904A (ko) *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방송 시청기록 분석을 통한 치매 조기진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296A (ja) 2003-03-07 2004-09-30 Masaya Ota 情報処理システム、リモコン信号送信装置および情報出力方法
US9419735B2 (en) 2012-09-07 2016-08-16 Comcast Cable Communcations, LLC Data usage monitor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78A (ko) * 2005-04-08 2006-10-1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양방향 디지털 방송용 셋톱박스를 이용한 행동 모니터링시스템
KR20120042702A (ko) * 2010-10-25 2012-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tv 방송 컨텐트 공유 방법 및 tv 방송 컨텐트 공유 서버,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tv 방송 컨텐트 공유 서비스를 수신하는 방법 및 tv 디바이스
KR20120050655A (ko) * 2010-11-11 2012-05-21 (주)인성정보 생체정보 모니터링을 통한 응급상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9253A (ko) * 2015-02-12 2016-08-22 크레노바멀티미디어 주식회사 셋탑 박스를 이용한 응급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20230036904A (ko) * 2021-09-08 2023-03-15 주식회사 에이티에이엠 방송 시청기록 분석을 통한 치매 조기진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64935B1 (ja) 202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181252B2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with predictive emergency dispatch risk assessment
US97438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amily mode for monitoring devices
US11382511B2 (en) Method and system to reduce infrastructure costs with simplified indoor location and reliable communications
KR100813166B1 (ko)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US200801413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livering personalized health related messages and advertisements
US11022422B2 (en) Home security response using biometric and environmental observations
US20190046080A1 (en) Monitoring target person monitoring device, method, and system
KR10201002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을 연동한 독거노인 응급구조 시스템
JP6077037B2 (ja) 見守りシステム
KR20150075612A (ko) Ict 기반 서비스의 이용정보를 활용한 고독사 방지 방법 및 시스템
WO2013023067A2 (en)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method, article and device
KR102599274B1 (ko) Tv시청 정보 분석에 기초한 1인 가구 위기 상황 대응및 통합관리 시스템
KR102074275B1 (ko) 고령자의 건강한 생활 관리를 위한 ai 스피커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지능형 매트 플랫폼
WO2006115341A1 (en) Behavior monitoring system using set top box used for interactive digital broadcasting
KR101868593B1 (ko) 스마트 토이를 이용한 노인 모니터링 및 관제시스템
KR20170121617A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102079924B1 (ko) 지역시니어 안심 모니터링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
KR20120129401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JP4206051B2 (ja) 安否確認システム、安否確認方法、安否確認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02384528B1 (ko) 애완동물건강 멀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애완동물 건강 멀티 모니터링 방법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KR2012012939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건강정보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KR20170077708A (ko) 고령 인구의 사회 안전망 구축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