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407B1 -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 Google Patents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407B1
KR102598407B1 KR1020210123865A KR20210123865A KR102598407B1 KR 102598407 B1 KR102598407 B1 KR 102598407B1 KR 1020210123865 A KR1020210123865 A KR 1020210123865A KR 20210123865 A KR20210123865 A KR 20210123865A KR 102598407 B1 KR102598407 B1 KR 10259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nsole box
coupled
sliding
inn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567A (ko
Inventor
손동일
최동용
박창복
김선경
우정훈
장홍식
이관우
서정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3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07B1/ko
Priority to US17/945,580 priority patent/US20230084592A1/en
Priority to DE102022209730.0A priority patent/DE102022209730A1/de
Priority to CN202211131892.XA priority patent/CN115817352A/zh
Publication of KR20230040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슬라이딩형 콘솔박스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고정결합되는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이동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형 콘솔박스는, 레일부를 통하여 콘솔박스를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제어부를 통해 콘솔박스의 슬라이딩 이동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레일캐스터가 내측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측으로 교차배열되고, 내측레일의 양측면에 구비됨으로써 이동이 원활하다.

Description

슬라이딩형 콘솔박스{SLIDING TYPE CONSOLE BOX}
본 발명은 슬라이딩형 콘솔박스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서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차량 실내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인 슬라이딩형 콘솔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의 수납공간으로는 콘솔박스, 글로브박스, 오버레드 박스 등이 있다. 이러한 수납공간들은 각 위치에 따라 자동차의 실내에서 사용되는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수납 공간들 중 콘솔박스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어 기어변속레버와 함께 위치되는 박스형태의 수납공간으로, 센터콘솔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콘솔박스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손쉽게 수납된 물건을 사용할 수 있어 자주 이용하는 물품을 보관하기에 용이하다. 또한 콘솔박스의 상부(뚜껑)는 통상적으로 푹신한 재질로 구성되어 운전자 또는 조수석의 팔걸이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근래의 자동차의 경우 자율주행 시스템이 탑재되는 경우가 추세이며 상기한 자율주행 시스템은 운전자의 작동없이 차량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주행할 수 있는 기능이다. 현재 차량에 탑재되는 자율주행 기능은 부분 자율주행으로 운전자의 속도 및 조향, 주차 보조, 장애물 회피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자율주행 기능의 기술적 한계들을 극복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완전 자율주행 기능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으며, 그에 따라 차량 내의 공간을 활용하여 운전 중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차량에 구비되는 기존의 콘솔박스는 차체에 고정장착된 상태로 운전자와 조수석 사이에 배치되며, 전방 좌석 측의 공간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자율주행의 범위가 넓혀짐에 따라 콘솔박스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시킴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사용자가 차량 내부의 공간에서 콘솔박스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45430호의 '자동차용 콘솔박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콘솔박스 본체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사용자가 기설정된 이동 거리만큼 이동거리를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슬라이딩형 콘솔박스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콘솔박스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고정결합되는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이동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프레임은,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레일과, 상기 한 쌍의 외측레일 사이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위치고정홀이 형성되는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외측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내측레일과, 상기 내측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레일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한 쌍의 내측레일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프레임에 마련된 고정부재와 접촉되는 제 1멈춤부재와, 상기 내측레일의 길이방향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외측레일의 선단과 접촉되는 제 2멈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제어부는, 회동링크부와, 상기 회동링크부의 회동운동과 연동되어 상기 위치결정부재와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결합체와, 상기 회동링크부 및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링크부 및 상기 결합체를 탄성복원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는,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며,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링크부와 맞닿도록 배치되는 회동유도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링크부는, 상기 내측레일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체와,상기 한 쌍의 고정체 사이에 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여 일단이 상기 회동유도판과 맞닿아 상기 결합체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를 상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결합판이 상측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위치고정홀로부터 결합해제되어 상기 내측레일이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버가 하측방향으로 탄성복원되면 상기 결합판이 하측방향으로 탄성복원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위치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레일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회동링크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를 탄성복원시키는 제 1탄성체와,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체를 탄성복원시키는 제 2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내측레일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의 레일캐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레일의 양측면 중 어느 한면에 배치되는 레일캐스터는, 상기 외측레일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구름 접촉하며, 상기 내측레일의 양측면 중 다른 한면에 배치되는 레일캐스터는, 상기 외측레일의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구름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프레임과 구름 접촉되는 속도제어 캐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속도제어 캐스터의 회전중심이 되는 다수개의 회전중심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다수개의 회전중심구멍은 상기 레일부의 측부에서 서로 높이를 달리한 채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속도제어 캐스터와 상기 레일프레임과의 오버랩량은 0.5~2.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형 콘솔박스는, 레일부를 통하여 콘솔박스를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제어부를 통해 콘솔박스의 슬라이딩 이동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레일캐스터가 내측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측으로 교차배열되고, 내측레일의 양측면에 구비됨으로써 이동이 원활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콘솔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형 콘솔박스의 레일부가 이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슬라이딩형 콘솔박스의 레일프레임과 레일캐스터 및 속도제어 캐스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슬라이딩형 콘솔박스의 레일부 및 이동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슬라이딩형 콘솔박스의 레일부 및 이동제어부를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도 1의 슬라이딩형 콘솔박스의 내측레일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슬라이딩형 콘솔박스의 가이드레일, 내측레일 및 레일캐스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도제어 캐스터가 장착되는 회전중심 구멍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와 위치결정부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콘솔박스(10; 이하 콘솔박스)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구비되어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에 사용자가 개폐가능한 수납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상기 수납부는 내부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팔걸이 등으로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콘솔박스(10)는, 수납부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가능하여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거나, 수납부의 상면을 팔걸이의 용도로 사용하는 등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적절하게 사용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딩형 콘솔박스(10)는 레일프레임(100), 레일부(200), 이동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프레임(100)은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되며, 차량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레일프레임(100)은 한 쌍의 외측레일(110), 위치결정부재(120)와 고정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외측레일(110)은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외측레일은(110)은 차량의 내부에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된다. 상기 외측레일(110)은 상측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레일(110)은 양측면에 돌출형성된 가이드레일(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11)은 후술(後述)할 내측레일(21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레일캐스터(230)가 맞닿아 이동가능하며, 상기 외측레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가이드레일(111)은 상기 외측레일(110)의 'ㄷ'자 형상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며,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레일(111a)과,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레일(111b)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11a,111b)이 상측면 및 하측면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측레일(210)이 상기 외측레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을 최소화하고, 상기 내측레일(210)이 외측레일(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위치결정부재(120)는 콘솔박스의 슬라이딩 이동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외측레일(110) 사이에 구비된다. 즉 상기 위치결정부재(12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중심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결정부재(120)에는 복수개의 위치고정홀(2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고정홀(212)은 상기 위치결정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위치고정홀(212)은 후술(後述) 할 삽입돌기(3211)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치결정부재(120)는 사출성형으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결정부재(120)가 플라스틱소재로 구성됨으로써 금속부재로 형성된 삽입돌기(3211)와 이종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3211)가 상기 위치고정홀(212)에 삽입될 때 부딪힘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흠집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슬라이딩 이동하는 콘솔박스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130)는 후술(後述)할 제 1멈춤부재(221)와 맞닿아 상기 콘솔박스의 전진이동거리를 제한가능하며, 제 1멈춤부재(221)가 맞닿을 수 있도록 제 1멈춤부재(221)와 대응되는 위치 및 개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부(200)는 콘솔박스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일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레일부(200)의 상면에는 수납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레일부(200)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수납부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레일부(200)는 한 쌍의 내측레일(210)과, 스톱퍼(220), 복수개의 레일캐스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내측레일(210)은 상기 외측레일(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외측레일(110)에 각각 결합된다. 즉 상기 내측레일(210)은 상기 외측레일(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부연하면 상기 내측레일(210)은 하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톱퍼(220)는 상기 내측레일(21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측레일(210)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00)과 맞닿아 상기 내측레일(210)의 슬라이딩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220)는, 제 1멈춤부재(221)와 제 2멈춤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멈춤부재(221)는 상기 내측레일(210)의 전진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내측레일(210)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제 1멈춤부재(221)는 상기 한 쌍의 내측레일(210)을 연결하는 중심바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프레임(100)에 마련된 고정부재(130)와 접촉된다. 부연하면 상기 제 1멈춤부재(221)는 중심바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측레일(210)이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고정부재(130)와 접촉되어 상기 내측레일(210)의 전진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 2멈춤부재(222)는 상기 내측레일(210)의 후진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단부에 결합된다. 즉 상기 제 2멈춤부재(222)는 상기 내측레일(210)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외측레일(110)의 선단과 접촉된다. 부연하면 상기 제 2멈춤부재(222)는 상기 내측레일(210)의 외측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내측레일(210)이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외측레일(110)과 접촉되어 상기 내측레일(210)의 후진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레일캐스터(230)는 상기 내측레일(21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외측레일(110)과 구름 접촉된다. 상기 레일캐스터(230)는 상기 내측레일(210)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외측레일(110)의 'ㄷ'자 형상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레일캐스터(230)는 상기 외측레일(110)과 구름 접촉되어 콘솔박스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복수개의 레일캐스터(230)는 상기 내측레일(210)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레일캐스터(230)는 상기 가이드레일(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111)의 가이드를 받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참고로, 도 3에는 레일프레임(100)의 외측레일(110)에 복수개의 레일캐스터(230)와 후술할 속도제어 캐스터(240)가 마련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외측레일(110)과 내측레일(210)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레일캐스터(230) 및 속도제어 캐스터(240)가 외측레일(110) 상에서 배치되는 모습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내측레일(210)의 도시를 도 3에서는 생략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개의 레일캐스터(230)는 상기 외측레일(110)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레일(111a)에 구름 접촉되는 레일캐스터(230a) 및 상기 외측레일(110)의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레일(111b)에 구름 접촉되는 레일캐스터(230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레일(210)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단면에서 슬라이딩형 콘솔박스(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외측에 구비되는 레일캐스터(230a)는 상기 가이드레일(111a)에 구름 접촉되고, 상기 내측레일(210)의 'ㄷ'자 형상으로 단면에서 슬라이딩형 콘솔박스(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구비되는 레일캐스터(230b)는 상기 가이드레일(111b)에 구름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측레일(110)의 'ㄷ'자 형상 중 슬라이딩형 콘솔박스(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외측에 있는 측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111a)은 상기 레일캐스터(230a)와 맞닿도록 내측에 있는 측면에 돌출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111a)보다 더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레일(110)의 'ㄷ'자 형상 중 슬라이딩형 콘솔박스(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내측에 있는 측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111b)은 상기 레일캐스터(230b)와 맞닿도록 외측에 있는 측면에 돌출 형성된 상기 가이드레일(111b)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내측레일(2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레일캐스터(230a,230b)들은 상기 내측레일(210)의 양측면 중 어느 한면에는 상기 레일캐스터(230a)가 구비되고 다른 한면에는 레일캐스터(230b)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레일캐스터(230a,230b)는 회전 중심을 달리 한 채 각 면에 교차배치되어 마련된다. 상기 레일캐스터(230a,230b)는 상기 가이드레일(111a,111b)에 교차하여 맞닿도록 배치됨으로써 마찰면적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내측레일(210)의 양측면에 복수개가 배치됨으로써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다.
한편 상기 레일캐스터(230)가 상기 가이드레일(111a,111b)에 동시에 구름 접촉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 차량이 흔들리는 경우에 발생되는 하중이 수납부와 내측레일(210) 및 레일캐스터(230)를 통하여 가이드레일(111a,111b)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가이드레일(111a,111b)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나 흔들림으로부터 가이드레일(111a,111b)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위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개의 레일캐스터(230a,230b)와 가이드레일(111a,111b)을 서로 교차하여 구름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레일(210)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레일캐스터(230a, 230b)는, 내측레일(210)이 외측레일(110) 상에서 직선 왕복 이동될 시에, 내측레일(21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하여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일단측(전방)과 길이방향 타단측(후방)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8개의 레일캐스터(230a, 230b)가 구비되고,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타단측에도 8개의 레일캐스터(230a, 230b)가 구비되어 총 16개의 레일캐스터(230a, 230b)가 내측레일(210)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레일캐스터(230a, 230b)는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4개 구비되고,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타단측에도 4개씩 구비되어 내측레일(210)에 총 8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2개의 레일캐스터(230a, 230b)가 구비되고,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타단측에 2개의 레일캐스터(230a, 230b)가 구비되어 내측레일(210)에 총 4개의 레일캐스터(230a, 230b)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일단측에 3개의 레일캐스터(230a, 230b)가 구비되고,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타단측에 3개의 레일캐스터(230a, 230b)가 구비되어 내측레일(210)에 총 4개의 레일캐스터(230a, 230b)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내측레일(210)의 이동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른 소음도 줄이기 위해서는, 레일캐스터(230a, 230b)가 12개에서 16개의 범위로 내측레일(210)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레일캐스터(230a, 230b)가 12개보다 적은 개수로 내측레일(210)에 마련되면, 내측레일(210)을 이동시키는 측면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내측레일(21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되고 그에 따른 소음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레일캐스터(230a, 230b)가 16개보다 많은 개수로 내측레일(210)에 마련되면, 내측레일(210)을 이동시키는 측면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콘솔박스(10)의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레일캐스터(230a 230b)는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일단측, 중단측, 타단측에 선택적으로 마련되되 그 개수는 12개에서 16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콘솔박스(10)는, 도 3과 도 6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상태에서 레일프레임(100)과 구름 접촉되는 속도제어 캐스터(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속도제어 캐스터(240)는 레일프레임(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레일부(200)의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속도제어 캐스터(240)는 외측레일(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내측레일(210)의 속도를 설정 가능하도록 하여 내측레일(210)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보조하기 위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속도제어 캐스터(240)는, 상기 내측레일(210)의 내부에 복수개로 마련된다. 즉, 상기 속도제어 캐스터(240)는 상기 내측레일(210)의 'ㄷ'자 형상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외측레일(110)과 구름 접촉된다. 상기 속도제어 캐스터(240)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고무소재로 형성되어 외측면이 상기 외측레일(110)과 맞닿아 회전하며, 고무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측레일(110)과 마찰접촉되어 상기 내측레일(21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속도제어 캐스터(240)는 상기 외측레일(110)의 'ㄷ'자 형상의 하면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한 쌍의 내측레일(240)에 각각 복수개가 구비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상기 외측레일의 마찰력에 의하여 사용자는 콘솔박스(10)의 수납부를 슬라이딩 이동 시, 작동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원하는 속도로 이동이 가능하여 내측레일(210)의 위치제어가 용이하다.
속도제어 캐스터(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레일(210)의 'ㄷ'자 형상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일부 부위는 내측레일(210)의 하부로 노출되어 외측레일(110)의 바닥면과 구름 접촉된다.
이때, 내측레일(210)의 하부에서 노출된 속도제어 캐스터(240)의 부위와 외측레일(110)이 서로 오버랩(overlap)되는 정도에 따라서 내측레일(210)의 이동속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속도제어 캐스터(240)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외측레일(110)과 접촉되었을 때 서로 겹쳐지는 영역(overlap)이 발생되며, 상기 오버랩량에 따라서 내측레일(210)의 이동속도가 제어된다고 할 수 있다.
아래의 실험 결과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외측레일(110)의 바닥면과의 겹쳐지는 정도가 클수록 외측레일(110) 상에서 내측레일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외측레일(110) 간의 오버랩량이 0.5mm 일 경우에는 내측레일(21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힘이 0.9kgf가 들어가므로, 내측레일(210)의 이동속도는,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외측레일(110) 간의 오버랩량이 0.5mm 이상일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빠르다고 할 수 있다.
반대로,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외측레일(110) 간의 오버랩량이 2.5mm 일 경우에는 내측레일(210)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요구되는 힘이 2.4kgf가 들어가므로, 내측레일(210)의 이동속도는,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외측레일(110) 간의 오버랩량이 0.5mm 일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느리다고 할 수 있다.
작업자는, 내측레일(210)에 장착되는 속도제어 캐스터(240)의 회전 중심을 외측레일(110)의 바닥면을 향해 가깝게 설정하거나,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하여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외측레일(110) 바닥면과의 오버랩량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차량의 종류나, 차량의 사용 용도, 사용자의 기호에 대응하여 외측레일(110) 상에서 직선 왕복 이동되는 내측레일(210)의 속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외측레일(110) 간의 오버랩량에 따라서 내측레일(210)을 이동시키기 위한 힘을 측정하는 실험은, 공지의 푸쉬 풀 게이지(Push Pull Gaug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푸쉬 풀 게이지를 이용하여 내측 레일(210)의 길이방향 일단 또는 타단을 가압하고, 그에 따른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속도제어 캐스터와 외측레일의 오버랩량 내측레일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힘
0.5mm 0.9kgf
1mm 1.2kgf
1.5mm 1.5kgf
2mm 1.9kgf
2.5mm 2.4kgf
한편, 도 4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200)에는 속도제어 캐스터(240)의 회전중심이 되는 다수개의 회전중심구멍(241)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회전중심구멍(241)은 내측레일(210)의 측부에서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개의 회전중심구멍(241)이 내측레일(210)의 측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되어 있으며, 5개의 회전중심구멍(241)은 내측레일(21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외측레일(110)의 바닥면에서 점진적으로 멀어지게끔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다수개의 회전중심구멍(241) 중에서 어느 하나의 회전중싱구멍(241)을 이용하여 속도제어 캐스터(240)를 내측레일(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외측레일(110) 간의 오버랩량을 선택하여 내측레일(210)의 직선 왕복 이동속도를 차량의 종류, 차량의 용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외측레일(110) 간의 오버랩량은 0.5~2.5m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외측레일(110) 간의 오버랩량이 0.5mm 미만이 되면 내측레일(210)의 이동속도가 증가되어 사용자가 의도한 거리보다 내측레일(210)이 더 이동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반대로, 속도제어 캐스터(240)와 외측레일(110) 간의 오버랩량이 2.5mm를 초과하게되면 사용자가 의도한 거리보다 내측레일(210)이 짧게 이동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이동제어부(300)는 상기 레일부(200)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200)의 위치를 제어한다. 즉 상기 이동제어부(300)는 상기 레일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회동링크부(310), 결합체(320) 및 탄성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링크부(310)는 사용자에 의하여 힘을 전달받아 회동되는 것으로, 한 쌍의 고정체(311), 중심축(312), 레버(31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체(311)는 상기 내측레일(210)에 고정결합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고정체(311)는 상기 한 쌍의 내측레일(210)에 각각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312)은 상기 한 쌍의 고정체(311) 사이에 결합된다.
상기 레버(313)는 상기 중심축(312)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레버(131)는 사용자에 의하여 힘을 전달받아 회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끝단에는 연결되는 손잡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부연하면 사용자가 레버(131)의 끝단을 회동시키면, 상기 레버(313)의 일단이 회동하여 후술(後述)할 회동유도판(323)과 맞닿아 결합체(32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313)의 끝단에는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제작되는 연결수단(400)이 마련될 수 있다. 연결수단(400)은, 사용자가 손잡이(500)를 작동시키면, 레버(313)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연결수단(400)의 길이방향 일단은 레버(310)의 길이방향 끝단과 연결되고 연결수단(400)의 길이방향 타단은 손잡이(500)의 작동 로드와 연결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잡이(500)를 작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연결수단(400)과 레버(313)가 순차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연결수단(400)은,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의 성형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로부터 손잡이(500)로 전달되는 힘을 즉각적으로 레버(313)의 끝단에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나 견인줄로 구성된 연결수단(미도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변형률이 적고 내구성이 높기 때문에 파손이나 변형에 의한 부품 교체의 횟수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참고로, 와이어나 견인줄로 연결수단은, 외란에 의해 인장되거나 수축되어 손잡이(500)로 전달되는 사용자의 힘을 즉각적으로 레버(313)에 전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손잡이(500)와 레버(313)의 끝단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수단(400)은,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의 강성 사출품 또는 성형제품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5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체(320)는 상기 위치결정부재(120)와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어 상기 레일부(200)의 슬라이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동링크부(310)에 의하여 회동한다. 즉 상기 결합체(320)는 상기 회동링크부(310)의 회동운동과 연동되어 상기 위치결정부재(120)와 결합 또는 결합해제될 수 있다. 상기 결합체(320)는, 결합판(321), 곡면부(322), 회동유도판(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판(321)은 상기 위치고정부재(1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결합판(321)에는 복수개의 삽입돌기(3211)가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결합판(321)이 회동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삽입돌기(3211)가 상기 위치고정홀(1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삽입돌기(3211)가 상기 위치고정홀(12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레일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위치고정홀(121)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콘솔박스의 위치를 제어가능하다. 한편 상기 결합판(321)은 상기 레버(313)의 회동에 의하여 회동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복수개의 삽입돌기(32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삽입돌기(3211)는 결합판(12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부터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삽입돌기(3211)는, 위치결정부재(120)에 형성된 위치고정홀(121)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하여 결합판(120) 상에서 사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체(320)는 소정의 각도로 선회 운동되면서 위치결정부재(120)와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되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복수개의 삽입돌기(3211)도 결합체(320)의 선회 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었을 때 위치고정홀(121)에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위치고정홀(121)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곡면부(322)는 상기 결합판(321)에 결합되며,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곡면부(322)는 일측이 상기 결합판(321)에 결합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향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유도판(323)은 상기 곡면부(322)의 타측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유동판(323)은 상기 회동링크부(310)와 하측면이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동링크부(310)에 의하여 상기 결합체(32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결합체(320)는 회동유동판(323)이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동중심축(324)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동중심축(324)은 상기 고정체(311)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330)는 상기 회동링크부(310) 및 상기 결합체(320)를 탄성복원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동링크부(310) 및 상기 결합체(320)와 연결되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회동링크부(310) 및 상기 결합체(32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330)는, 제 1탄성체(331)와 상기 제 2탄성체(3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탄성체(331)는 상기 회동링크부(310)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313)를 탄성복원시킨다. 즉 상기 제 1탄성체(331)의 일부는 상기 레버(313)와 맞닿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탄성변형 된 후,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레버(313)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제 1탄성체(331)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고정체(311)에 결합되고, 상기 중심축(312)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중심부가 상기 레버(313)의 상면과 맞닿을 수 있다.
상기 제 2탄성체(332)는 상기 결합체(320)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체(320)를 탄성복원시킨다. 즉 상기 제 2탄성체(332)의 일부는 상기 결합체(320)와 맞닿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면 상기 레버(313)에 의하여 상기 결합체(320)가 회동하게 되어 탄성변형 된 후, 사용자가 힘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결합체(32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제 2탄성체(332)는 양단이 상기 한 쌍의 고정체(311)에 결합되고, 상기 회동중심축(324)를 기준으로 회동하며, 중심부가 상기 결합판(321)의 하면과 맞닿을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레버(313)를 타단을 상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레버(313)의 일단이 하측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레버(313)의 일단과 상기 회동유도판(323)이 맞닿아 상기 회동유도판(323)이 하측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유동판(323)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결합판(321)이 상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 1탄성체(331)는 사용자의 힘에 의하여 상기 레버(313)의 상면과 맞닿아 탄성변형되고, 상기 제 2탄성체(332)는 상기 결합판(321)의 하면과 맞닿아 탄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레버(313)를 상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결합판(321)이 상측방향으로 회동하게되면, 상기 삽입돌기(3211)가 상기 위치고정홀(121)로부터 결합해제되어 상기 내측레일(2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내측레일(210)을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힘을 인가하지 않을 경우, 상기 레버(313)가 하측방향으로 탄성복원되며, 상기 결합판(321)도 하측방향으로 탄성복원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돌기(3211)가 상기 위치고정홀(121)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레일(21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프레임(100)은 압출공정에 의하여 제작된 것으로 성형 정밀성을 향상시켜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레일프레임(100)을 롤포밍 방식의 제작하였을 경우, 제품의 정밀성이 떨어지고 레일캐스터(230)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레일프레임(100)을 압출공정으로 제작하는 경우 제품의 성형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레일프레임(100)을 따라서 레일캐스터(23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형 콘솔박스(10)는, 레일부(200)를 통하여 콘솔박스를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어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제어부(300)를 통해 콘솔박스의 슬라이딩 이동의 거리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레일캐스터(230)가 내측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측으로 교차배열되고, 내측레일의 양측면에 구비됨으로써 이동이 원활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100 : 레일프레임 110 : 외측레일
111a,b : 가이드레일 120 : 위치결정부재
121 : 위치고정홀 130 : 고정부재
200 : 레일부 210 : 내측레일
220 : 스톱퍼 221 : 제 1멈춤부재
222 : 제 2멈춤부재 230a,b : 레일캐스터
240 : 속도제어 캐스터 300 : 이동제어부
310 : 회동링크부 311 : 고정체
312 : 중심축 313 : 레버
320 : 결합체 321 : 결합판
3211 : 삽입돌기 322 : 곡면부
323 : 회동유도판 324 : 회동중심축
330 : 탄성부 331 : 제 1탄성체
332 : 제 2탄성체 400 : 연결수단
500 : 손잡이

Claims (14)

  1.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고정결합되는 레일프레임;
    상기 레일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이동제어부; 및
    상기 레일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프레임과 구름 접촉되며, 상기 레일프레임과의 오버랩량에 따라서 상기 레일부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제어 캐스터;
    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프레임은,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레일과,
    상기 한 쌍의 외측레일 사이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위치고정홀이 형성되는 위치결정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외측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내측레일과,
    상기 내측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레일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상기 한 쌍의 내측레일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레일프레임에 마련된 고정부재와 접촉되는 제 1멈춤부재와,
    상기 내측레일의 길이방향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외측레일의 선단과 접촉되는 제 2멈춤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부는,
    회동링크부와,
    상기 회동링크부의 회동운동과 연동되어 상기 위치결정부재와 결합 또는 결합해제되는 결합체와,
    상기 회동링크부 및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어 상기 회동링크부 및 상기 결합체를 탄성복원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하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에 결합되며,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회동링크부와 맞닿도록 배치되는 회동유도판을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동링크부는,
    상기 내측레일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체와,
    상기 한 쌍의 고정체 사이에 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여 일단이 상기 회동유도판과 맞닿아 상기 결합체를 회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상측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결합판이 상측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위치고정홀로부터 결합해제되어 상기 내측레일이 이동가능하고,
    상기 레버가 하측방향으로 탄성복원되면 상기 결합판이 하측방향으로 탄성복원되어, 상기 삽입돌기가 상기 위치고정홀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레일의 위치가 고정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회동링크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를 탄성복원시키는 제 1탄성체와,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체를 탄성복원시키는 제 2탄성체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내측레일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따라 서로 이격배치되는 복수개의 레일캐스터를 포함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내측레일의 양측면 중 어느 한면에 배치되는 레일캐스터는, 상기 외측레일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구름 접촉하며,
    상기 내측레일의 양측면 중 다른 한면에 배치되는 레일캐스터는, 상기 외측레일의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구름 접촉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에는 상기 속도제어 캐스터의 회전중심이 되는 다수개의 회전중심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다수개의 회전중심구멍은 상기 레일부의 측부에서 서로 높이를 달리한 채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 캐스터와 상기 레일프레임과의 오버랩량은 0.5~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KR1020210123865A 2021-09-16 2021-09-16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KR102598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865A KR102598407B1 (ko) 2021-09-16 2021-09-16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US17/945,580 US20230084592A1 (en) 2021-09-16 2022-09-15 Slidable console box
DE102022209730.0A DE102022209730A1 (de) 2021-09-16 2022-09-16 Verschiebbare konsolenbox
CN202211131892.XA CN115817352A (zh) 2021-09-16 2022-09-16 滑动式座间储物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865A KR102598407B1 (ko) 2021-09-16 2021-09-16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567A KR20230040567A (ko) 2023-03-23
KR102598407B1 true KR102598407B1 (ko) 2023-11-03

Family

ID=8528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865A KR102598407B1 (ko) 2021-09-16 2021-09-16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84592A1 (ko)
KR (1) KR102598407B1 (ko)
CN (1) CN115817352A (ko)
DE (1) DE10202220973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2875A (ja) 1998-08-11 2000-02-22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179B1 (ko) * 2004-10-25 2006-07-06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용 이동형 콘솔조립체
KR101987003B1 (ko) * 2017-11-10 2019-06-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전동식 슬라이딩 콘솔
KR102575354B1 (ko) * 2018-04-12 2023-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콘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2875A (ja) 1998-08-11 2000-02-22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17352A (zh) 2023-03-21
US20230084592A1 (en) 2023-03-16
KR20230040567A (ko) 2023-03-23
DE102022209730A1 (de)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8178A (en) Double articulation for the folding backrest of a rear seat for motor vehicles and motor-vehicle seat including the articulation
KR102322363B1 (ko)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US7517019B2 (en) Vehicle driving posture adjusting device
US7874621B2 (en) Seat-depth adjustable vehicle seat with a first seat part and a second seat part
KR101865763B1 (ko) 자동차용 무빙콘솔
JP2010506632A (ja) 引出しのための引出し可能なガイド組立部品
US9216694B2 (en) Vehicle center console
EP2527197B1 (en)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US11225178B2 (en) Slim headrest device
KR102598407B1 (ko) 슬라이딩형 콘솔박스
JP7374406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80093600A1 (en) Adjustable footrest
CN111332171A (zh) 具有调节功能的车辆座椅
CN201484223U (zh) 一种汽车座椅滑轨
US11266239B1 (en) Slide rail assembly
KR102530050B1 (ko)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US11125320B2 (en) Gear level for a motor-vehicle gearbox
CN106880197A (zh) 滑轨总成
JP5322613B2 (ja) 蓋可動装置
JP4651484B2 (ja) アームレストのスライド機構
EP2147821A1 (en) Headrest for motor vehicle seats
CN112996332B (zh) 滑轨总成及其托架驱动机构
KR102042426B1 (ko) 시트용 쿠션 익스텐션 장치
JP2004314950A (ja) 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装置
KR10209202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