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367B1 - 오디오 검출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오디오 검출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367B1
KR102598367B1 KR1020187021233A KR20187021233A KR102598367B1 KR 102598367 B1 KR102598367 B1 KR 102598367B1 KR 1020187021233 A KR1020187021233 A KR 1020187021233A KR 20187021233 A KR20187021233 A KR 20187021233A KR 102598367 B1 KR102598367 B1 KR 102598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video
image
video stream
audi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627A (ko
Inventor
티에리 케르
파스깔 보들로슈
르노 리갈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털 매디슨 페턴트 홀딩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털 매디슨 페턴트 홀딩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인터디지털 매디슨 페턴트 홀딩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80104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6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by muting the audi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04N21/4542Blocking scenes or portions of the received content, e.g. censoring sce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오디오 데이터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어레인지먼트 및 그 어레인지먼트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오디오 데이터의 존재가 결정되고 오디오가 음소거되고 및/또는 결정된 레벨보다 낮다면,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오디오 데이터를 존재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생성된다.

Description

오디오 검출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비디오와 연관된 오디오의 검출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셋 톱 박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와 같은 오디오/비디오 수신기의 성능을 테스트 벤치할 때 테스트할 것들 중 하나는, 변화하는 상황들 하의 그리고 상이한 채널 소스들 및 오디오/비디오 구성들에 대한 채널 변경의 정확한 실행이다. 많은 오디오/비디오 수신기들이 예를 들어, 테스트 베드 구성에 대한 비디오-월 유사 셋 업에서, 동시에 테스트되면, 단일 테스트 엔지니어는 예를 들어, 채널 변경 후, 모든 테스트된 오디오/비디오 수신기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오디오 렌더링 피처들을 검증하기가 어렵다. 다수의 동시 오디오 소스들에 직면할 때, 테스트된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중 어느 것이 어느 오디오를 생성하는지를 식별하는 어려움이 있다. 오디오 스위치는, 테스트 오퍼레이터가, 채널 변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식별된 오디오 소스들 간을 스위칭하는 것과, 예를 들어 채널 변경 후, 오디오가 비디오로 렌더링되는지와 렌더링되는 때를 검증하는 것을 가능하게 도울 수도 있다. 그러나, 많은 수신기들을 수동으로 테스트하는 것은 오래 걸리고 지루하다. 추가로, 테스트 엔지니어는, 새로운 채널 또는 변경된 오디오/비디오 소스에 대한 사일런스 (silence) 동안에 채널 변경 또는 오디오/비디오 소스의 변경이 동작되면 에러로 인듀싱 (inducing) 될 수도 있다. 이것은 채널 변경에서 또는 오디오/비디오 소스 변경 프로세스에서 오디오가 상대적으로 늦게 렌더링되게 하고, 테스트 엔지니어는 테스트된 오디오/비디오 수신기가 적절히 기능하지 않는다고 잘못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테스트 엔지니어는, 새로운 채널의 비디오를 수반하는 오디오 채널이 비디오에서의 움직임에 직접 그리고 시각적으로 관련될 수 없을 때 채널 변경 후 오디오와 비디오 간의 (립) 싱크로나이제이션을 검증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비디오-공유 웹사이트 YouTube 에 의해 제안되는 바와 같은 비디오들을 시청하는 뷰어들에게는, 상당한 수의 비디오들이 오디오 없이 제안되고 오디오 볼륨 레벨들이 표준화되지 않기 때문에, 비디오가 오디오를 포함하는지 포함하지 않는지 그리고 어떤 볼륨 레벨로 오디오가 설정되는지를 아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오디오/비디오 렌더링 디바이스에 의해 렌더링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뷰어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또는 오디오가 음소거되는 경우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 오디오의 존재를 검증하기가 어렵다. 헤드폰은, 오디오가 음소거 해제될 때 오디오가 높은 볼륨으로 렌더링될 것이라는 것을 사용자가 모르는 경우 그 헤드폰 착용자에게 심각한 청력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와 연관된 오디오의 검출의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본 개시는 배경기술 부분에서 논의된 결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것을 위하여, 본 원리들은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디바이스에 의해 구현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렌더링과 연관된 오디오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선택 시에,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이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이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이 주변 사운드 레벨보다 낮다면,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고 또한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이 주변 사운드 레벨보다 낮음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생성된다. 그 후, 이미지가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디바이스의 출력 상에 출력된다.
그 방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 방법은 오디오/비디오 소스의 선택 시의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수신과,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이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것 간의 지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지연 시간을 이미지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방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 방법은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 비디오 데이터와의 오디오 데이터의 싱크로나이제이션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싱크로나이제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미지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방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디오 디코딩이 시작되었다면, 그리고 현재 디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의 프리젠테이션 타임 스탬프가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디바이스의 시스템 타임 클록의 현재 값 주변의 허용오차 값 (tolerance value) 내에 있다면 싱크로나이제이션이 검출된다.
그 방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 방법은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이 음소거 해제될 때 오디오 데이터가 렌더링될 볼륨 레벨을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뷰어에게 알리기 위해,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이 음소거될 때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미지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방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 방법은 오디오 디스크램블링이 액세스 제어에 의해 인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오디오 디크스램블링이 액세스 제어에 의해 인가되지 않을 때 오디오 디스크램블링이 액세스 제어에 의해 인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미지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 방법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 방법은 허용오차 값이 한계들 내에 있는지 여부를 획득하는 단계 및 그 허용오차가 한계들 내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미지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는 또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렌더링과 연관된 오디오의 상태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 (arrangement) 에 관한 것으로, 이는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선택 시에,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존재를 검출하고 오디오 데이터가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 존재하면,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이 주변 사운드 레벨보다 낮은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제어기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가 선택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 존재할 때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생성기를 더 포함하고, 그 이미지는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이 레벨보다 낮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어레인지먼트는 이미지와 선택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출력을 포함한다.
그 어레인지먼트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기는,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수신과,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오디오의 존재의 검출 간의 지연 시간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이미지 생성기는 지연 시간을 이미지에 추가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그 어레인지먼트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기는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비디오 데이터와의 오디오 데이터의 싱크로나이제이션을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이미지 생성기는 이미지에 검출된 싱크로나이제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그 어레인지먼트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기는 오디오 디코딩이 시작되었다면, 그리고 현재 디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의 프리젠테이션 타임 스탬프가 시스템 타임 클록의 현재 값 주변의 허용오차 값 내에 있다면 싱크로나이제이션을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그 어레인지먼트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미지 생성기는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이 음소거될 때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이미지에 추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는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이 음소거 해제될 때 오디오 데이터가 렌더링될 볼륨 레벨을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뷰어에게 알린다.
삭제
삭제
그 어레인지먼트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 어레인지먼트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모바일 폰들, 스마트폰들, 태블릿들, 휴대용 컴퓨터들, 및 오디오/비디오 수신이 가능한 임의의 휴대용 디바이스이다.
그 어레인지먼트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 어레인지먼트는 셋 톱 박스에 포함된다.
그 어레인지먼트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그 어레인지먼트는 디지털 텔레비전에 포함된다.
본 개시의 더 많은 이점들은 특정한, 비-한정적 실시형태들의 설명을 통하여 나타날 것이다. 본 개시의 이점들이 획득될 수 있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 원리들의 특정한 설명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되는 특정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렌더링된다. 도면들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묘사하고 따라서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설명된 실시형태들은 특정한 유리한 실시형태들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다음의 도면들에서, 이전의 도면에서 이미 설명된 아이템들과 동일한 참조 번호들을 가진 아이템들은 본 개시를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다음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오디오/비디오 수신기이다.
도 2 는 본 원리들에 따른 일 예의 시각적 표시이다.
도 3 은 본 원리들에 따른 추가 예의 시각적 표시이다.
도 4 는 본 원리들에 따른 추가 예의 시각적 표시이다.
도 5 는 본 원리들을 구현하는 PIP (Picture in Picture) 를 가진 오디오/비디오 수신기의 실시형태이다.
도 6 은 본 원리들을 구현하는 오디오/비디오 수신기의 실시형태이다.
도 7 은 본 원리들을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이다.
도 8 은 본 원리들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오디오/비디오 수신기이다.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1) 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IP) 셋-톱 박스 (STB) 에 포함되거나, 디지털 텔레비전에 또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된다.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100) 에 접속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1) 를 통해,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1) 는 소스 (미도시) 로부터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102) 을 수신한다.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102) 은,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된 패킷들을 추출하고 오디오 관련 패킷들 (104) 및 비디오 관련 패킷들 (105) 을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 (103) ("디먹스 (demux)") 에서 디멀티플렉싱된다. 오디오 패킷들은 오디오 버퍼 (106) 로 공급되고 비디오 패킷들은 비디오 버퍼 (108) 로 공급된다. 비디오 버퍼의 출력에서, 비디오 프리젠테이션 타임 스탬프들 (PTS) 패킷들은 내부 시스템 타임 클록 (STC) (110) 에 제공된다. STC 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인코딩하기 위해 이용되는 인코더 클록의 것에 가까운 주파수로 통상 증분되는 카운터이다. AV 스트림들에 포함된 프로그램 클록 레퍼런스 (PCR) 패킷들은 프론트-엔드, 예를 들어, 위성- 또는 디지털 지상 텔레비전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DTT) 수신을 위한 튜너 프론트-엔드와의 AV 수신기들에서의 연속적인 디코더-인코더 싱크로나이제이션을 위해 이용된다. 오디오 및 비디오 PTS 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에서 PTS 를 뒤따르는 PCR 오디오 또는 비디오 패킷들의 어느 값이 제시될 (또는 "렌더링될") 지를 표시하고, PCR 에 관련되는 타임 스탬프들 값들을 포함하는 타이밍 패킷들이다. IP 수신기들에서, 그러나, PCR 패킷들은 IP 전달 네트워크의 어싱크로너스 캐릭터 (asynchronous character) 에 의해 도입된 전송 지터로 인한 기술적 실행불가능성으로 인해 초기 디코더-인코더 싱크로나이제이션을 위해 이용되지만 연속적인 디코더-인코더 싱크로나이제이션을 위해 이용되지 않는다. IP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1) 에 대해, 인코더 클록과 디코더 클록을 싱크로나이징하기 위하여, STC 는 수신된 PCR (107) 의 값으로 한번 (예를 들어, 채널 변경 동안에) 초기화된다. STC (110) 는 STC 카운터 값들 (117) 을 출력한다. 오디오 버퍼 (106) 로부터, 오디오 패킷들 (112) 이 오디오 디코더 (119) 에 입력된다. 비디오 버퍼 (108) 로부터, 비디오 패킷들이 비디오 디코더 (121) 에 입력된다. 게다가, 오디오 버퍼 (106) 로부터, 오디오 PTS (109) 가 오디오 싱크 비교기 (113) 에 입력된다. 게다가 비디오 버퍼 (108) 로부터, 비디오 PTS (111) 가 비디오 싱크 비교기 (114) 에 입력된다. STC (110) 로부터의 값들은 오디오 싱크 비교기 (113) 에 그리고 비디오 싱크 비교기 (114) 에 입력된다. 오디오 싱크 비교기 (113) 는 수신된 오디오 PTS (109) 와 STC 값들 (117) 을 비교한다. 수신된 오디오 PTS (109) 가 STC 값 (117) 과 동일하면, 그 오디오 싱크 비교기는 제어 신호 (116) 를 오디오 디코더 (119) 로 출력하고, 오디오 디코더 (119) 는 디코딩된 오디오 (122) 를 출력한다. 비디오에 대해, 이것은 동일하다; 비디오 싱크 비교기 (114) 는 수신된 비디오 PTS (111) 와 STC 값들 (117) 을 비교한다. 수신된 비디오 PTS (111) 가 STC 값 (117) 과 동일하면, 그 비디오 싱크 비교기는 제어 신호 (118) 를 비디오 디코더 (121) 로 출력하고, 비디오 디코더 (121) 는 디코딩된 비디오 (123) 를 출력한다. 최종으로, 오디오/비디오 드라이버 (124) 는 오디오/비디오 출력 (124) 상의 출력을 위해 오디오/비디오를 컨버팅, 증폭 및 적응시킨다. 제어기 (127) 는 디바이스 (1) 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기 (127) 는 채널 변경 커맨드들 또는 오디오 음소거 (mute)/음소거 해제 (unmute)/볼륨 제어 커맨드들과 같은 입력 제어 커맨드들 (128) 을 수신한다. 제어 커맨드 (128) 가 채널 변경 커맨드이면, 제어기는 채널의 멀티캐스트 IP 어드레스에 가입할 것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1) 에 명령하고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들에 대응하는 PID들을 필터링할 것을 디먹스 (103) 에 명령한다 (126). 제어 커맨드 (128) 가 음소거, 음소거 해제 또는 볼륨 조정 커맨드이면, 제어기는 오디오 출력 볼륨을 음소거, 음소거 해제 또는 제어할 것을 AV 드라이버 (120) 에 명령한다 (129). 옵션으로, 수신기 (1) 는 예를 들어, 촉각 스크린 (tactile screen), 마우스, 키보드, 및/또는 원격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 (미도시) 를 포함한다.
배경기술 부분에서 간략하게 논의한 바와 같이,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이를 테면 수신기 (1) 의 성능을 테스트 벤치할 때 테스트할 것들 중 하나는, 변화하는 상황들 하의 그리고 상이한 채널 소스들 및 오디오/비디오 구성들에 대한 채널 변경 또는 오디오/비디오 소스의 변경의 정확한 실행이다. 비디오를 수반하는 오디오의 존재 및 비디오의 렌더링에 대한 오디오의 렌더링의 지연 및 채널 변경 또는 오디오/비디오 소스의 변경 후 비디오 렌더링과의 오디오 립 싱크로나이제이션 간의 지연을 검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많은 오디오/비디오 수신기들이 예를 들어, 테스트 베드 구성에 대한 비디오-월 유사 셋 업에서, 동시에 테스트되면, 단일 테스트 엔지니어는 개별적으로 모든 테스트된 오디오/비디오 수신기들에 대해 채널 변경 또는 오디오/비디오 소스의 변경 동안 오디오 렌더링 피처들을 검증하기가 어렵다. 추가로, 테스트 엔지니어는, 새로운 채널 또는 새로운 소스에 대한 사일런스 동안에 변경이 동작되면 에러로 인듀싱될 수도 있다. 이것은 변경 프로세스에서 오디오가 상대적으로 늦게 렌더링되게 한다. 그러면, 테스트 엔지니어는 오디오가 너무 늦게 렌더링되었고 테스트 하의 오디오/비디오 수신기가 오작동한다고 잘못 판단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새로운 채널/소스의 비디오를 수반하는 오디오가 디스플레이된 비디오에 직접 그리고 시각적으로 관련될 수 없을 때 채널/소스 변경 후 오디오와 비디오 간의 싱크로나이제이션을 검증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YouTube 유사 애플리케이션들로 비디오 소스를 변경 또는 선택할 때, 사용자는 상당한 수의 비디오 소스들이 연관된 오디오를 포함하지 않고 오디오 레벨들이 표준화되지 않기 때문에 연관된 오디오의 존재 및 정확한 볼륨 레벨 조정을 결정하기가 어렵다. 오디오/비디오 렌더링 디바이스에 의해 렌더링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뷰어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또는 오디오가 음소거되는 경우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 오디오의 존재를 검증하기 어렵다. 헤드폰은, 오디오가 음소거 해제될 때 오디오가 높은 볼륨으로 렌더링될 것이라는 것을 사용자가 모르는 경우 그 헤드폰 착용자에게 심각한 청력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높은 볼륨 오디오를 음소거 해제하는 것은 또한, 오디오가 스피커 세트 상에서 렌더링되는 경우 공공 환경에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을 시청할 때 뷰어를 당황스럽게 만들 수 있다.
이후에 설명된 본 원리들의 실시형태들은 상기 언급된 단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 는 본 원리들에 따른 예의 시각적 표시들이다. 아이콘 (20) 은 줄을 그어 지운 (strike-through) 라우드스피커 (201) 를 도시하는 것에 의해 오디오가 음소거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아이콘 (21) 은 오디오가 음소거된다는 것을 도시하고 추가적으로 줄을 그어 지운 라우드스피커 옆에 사운드 웨이브들 (202) 을 도시하는 것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것을 도시한다. 아이콘 (22) 은 오디오가 음소거되지 않고 볼륨이 소정의 (결정된) 레벨보다 낮게, 예를 들어, 너무 낮아 들을 수 없게 (볼륨 게이지를 낮은 볼륨 표시로 디스플레이함) 설정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아이콘 (23) 은 오디오가 음소거되지 않고, 볼륨이 결정된 레벨보다 낮게 설정되고, 그리고 오디오의 존재가 검출된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볼륨 표시는 또한, 볼륨 게이지 없이 그리고 사운드웨이브들만으로 실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최대 3 개 중에서 단 하나의 사운드웨이브의 디스플레이는 낮은 레벨 오디오를 의미하는 한편, 2 개의 사운드웨이브들의 디스플레이는 평균 레벨 오디오를 표시하고, 그리고 3 개의 사운드웨이브들의 디스플레이는 높은 레벨 오디오를 표시한다. 오디오가 음소거될 때의 경우에서, 사운드웨이브들의 수의 디스플레이는 뷰어가 오디오를 음소거 해제할 때 오디오가 렌더링될 오디오의 볼륨 레벨의 뷰어에게의 표시이다. 이것은 뷰어가 예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예를 들어, 뷰어는 오디오 볼륨이 높을 때 음소거 해제 전에 오디오 볼륨을 낮추고 이로써 청력 손상, 듣기 불편함 또는 대중의 당황 (public embarrassment) 을 회피할 수 있거나, 또는 그와는 반대로, 뷰어는 음소거 해제될 때 오디오를 들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음소거 해제 전에 낮은 오디오 볼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피처는 하나의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다른 것으로 변경될 때, 또는 하나의 입력 소스로부터 다른 것으로 변경될 때 특히 유리하다. 예를 들어,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사용자는 그의 스마트폰을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USB 또는 HDMI 인터페이스에 접속시키고 이 스마트폰에 저장된 오디오를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에 접속된 홈 시네마를 통해 플레이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의 오디오 출력 볼륨 레벨은 낮을 수도 있고, 사용자는 홈 시네마의 오디오 볼륨을 원하는 레벨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는 그가 착신 호출을 수신할 때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 상에서 오디오를 음소거한다. 그 호출에 응답했다면, 그는 그의 디지털 텔레비전 상에서 브로드캐스트 채널로 바꾼다. 본 원리들의 실시형태에 따른 시각적 표시는 오디오가 음소거되고 높은 레벨로 설정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것이다. 사용자는 이제 오디오를 음소거 해제하기 전에 볼륨 레벨을 낮출 수 있다. 설명된 컨디션들 (예를 들어, 오디오 존재 및 오디오 음소거, 오디오 존재 및 오디오 볼륨 레벨이 결정된 레벨보다 낮음) 하의 시각적 표시의 생성은, 유리하게는, 설명된 컨디션들이 적용되지 않을 때 시각적 표시들로 비디오 렌더링을 지장을 주는 것을 회피하고, 이로써 시각적 표시들을 통하여 뷰어에 경고하는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도 3 은 본 원리들에 따른 시각적 표시들의 추가 예이다. 아이콘 (30) 은 오디오가 음소거되고 오디오의 존재가 검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한다: 단지 줄을 그어 지운 라우드스피커만이 도시된다. 아이콘 (31) 은 오디오가 음소거되고 (줄로 그어 지운 라우드스피커), 오디오의 존재가 검출 (오디오 웨이브들 (311)) 된다는 것을 표시하고, 그리고 비디오 데이터와의 오디오 데이터의 싱크로나이제이션의 검출 및 채널/소스 변경 후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수신 간의 지연 시간 (312) 을 표시한다. 아이콘 (32) 은 오디오가 음소거되지 않고, 오디오의 존재가 검출되지 않으며 (라우드스피커는 줄로 그어 지워지지 않음) 그리고 볼륨이 결정된 레벨보다 낮은 레벨 (볼륨 게이지 (321)) 로, 예를 들어, 들리지 않는 레벨로 설정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아이콘 (33) 은 오디오가 음소거되지 않지만 (라우드스피커는 줄로 그어 지워지지 않음) 이전에 언급된 결정된 레벨 아래에 있는 낮은 레벨 (볼륨 게이지 (332)) 로 설정되고, 오디오의 존재가 검출 (사운드 웨이브들 (331)) 된다는 것을 표시하고, 추가로 비디오 데이터와의 오디오 데이터의 싱크로나이제이션의 검출 및 채널 또는 소스 변경 후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수신 간의 지연 시간 (333) 을 표시한다.
도 4 는 본 원리들에 따른 추가 예의 시각적 표시이다. 아이콘 (40) 은 오디오가 음소거되는 동안에, 증폭기 볼륨이 매우 높은 레벨로 설정된다는 것을 볼륨 게이지 (400) 하이 레벨로 표시한다. 이 아이콘으로, 본 원리들을 통합하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오디오가 음소거 해제되면, 사운드가 매우 높은 볼륨으로 렌더링될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예를 들어, 청력 손상을 회피하기 위해 이것이 요망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오디오를 음소거 해제하기 전에 오디오 증폭기 볼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 는 본 원리들을 구현하는 PIP (Picture in Picture) 를 가진 오디오/비디오 수신기의 실시형태이다. 엘리먼트 (52) 는 제 1 소스로부터, 예를 들어, 오디오/비디오 수신기에 포함된 디지털 지상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비디오의 이미지이다. 엘리먼트 (50) 는 제 2 소스로부터, 예를 들어, 오디오/비디오 수신기의 외부 입력에 접속된 위성 수신기로부터 수신된 비디오의 이미지이다. 오디오/비디오 수신기는 소스들 중 어느 하나의 소스 간에 오디오 포커스를 토글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포커스가 제 1 소스로 설정되면, 제 1 소스와 연관되는 오디오가 렌더링된다. 포커스가 제 2 소스로 설정되면, 제 2 소스와 연관되는 오디오가 렌더링된다. 도 5 의 예에서, 포커스는 제 2 소스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 1 소스의 오디오의 시각적 표시 (53) 는 그레이-아웃 (gray-out) 되는 한편, 제 2 오디오 소스와 연관된 오디오의 시각적 표시 (51) 는 그레이 아웃되지 않는다. 제 1 오디오 소스에 대해, 시각적 표시 (53) 는, 포커스가 다른 소스로 설정된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시각적 표시가 예를 들어 그레이 아웃된다 하더라도, 오디오가 존재하지만 음소거된다는 것을 도시한다. 제 2 오디오 소스에 대해, 아이콘 (51) 은 오디오가 존재하지만 음소거된다는 것을 도시한다. 동일한 원리들이 PAP (Picture Aside Picture) 와 같은 다른 다중 스크린 구성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 은 본 원리들을 구현하는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디바이스의 실시형태이다. 도 1 의 종래 기술의 오디오/비디오 수신기에 대해 이미 논의한 엘리먼트들에 더하여,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디바이스 (6) 는 오디오 존재 슈퍼바이저 (600) 를 포함한다. 오디오 존재 슈퍼바이저 (600) 는 제어기 (127) 로부터 제 1 입력 신호 (601) 를 수신한다. 이 입력 신호는 오디오가 음소거되는지, 음소거 해제되는지, 및 볼륨이 어느 레벨로 설정되는지를 오디오 존재 슈퍼바이저 (600) 가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여, 오디오 레벨이 미리결정된 레벨보다 낮게, 예를 들어, 들을 수 있는 레벨보다 낮게 설정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오디오 존재 슈퍼바이저 (600) 는 오디오 싱크 비교기 (113) 로부터 제 2 입력 신호 (602) 를 수신한다. 이것은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고 싱크로나이징되는지를 오디오 존재 슈퍼바이저가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오디오 존재 슈퍼바이저 (600) 의 출력은 본 원리들에 따른 시각적 표시의 생성을 위해, 오디오/비디오 드라이버 (120) 에 접속된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디오 존재 슈퍼바이저 (600) 는 채널 변경을 알리기 위해, 제어기 (127) 로부터 추가의 입력을 수신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디오 존재 슈퍼바이저 (600) 는 클록 유닛 (미도시) 으로부터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01) 로부터 추가의 입력을 수신하며, 이는 연관된 오디오의 존재 및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의 수신 간의 지연 시간을 오디오 존재 슈퍼바이저 (600) 가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디오 존재 슈퍼바이저는 STC (110) 로부터 입력을 추가로 수신하여, 그것으로 하여금, 현재 디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의 프리젠테이션 타임 스탬프가 STC 의 현재 값 주변의 허용오차 값 내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써 그것으로 하여금, 비디오와 연관된 오디오 간의 싱크로나이제이션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허용오차 값은 요건들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Dolby 인증에 대해, 허용오차 값은 -10 내지 15ms 의 최대 범위로 설정되는 한편, 기본 립 싱크로나이제이션에 대해, 허용오차 값은 최대 -50 내지 +50ms 의 범위로 설정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디오 지연이 소정의 한계들 내에 있는지를 도시하기 위해 추가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 에 예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에서, 예를 들어, Dolby 인증에 대해 논의된 허용오차 내에 있는 오디오/비디오 지연 (STC 값과 비교한 오디오 PTS) 을 위해, 고품질 오디오/비디오 싱크로나이제이션을 표시하는 추가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전에 논의된 실시형태들 중 임의의 것과 결합하는 추가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오디오 존재 슈퍼바이저 (600) 는 액세스 제어 메커니즘을 통하여 보호되는 디지털 스트림들의 디스크램블링/복호화를 위해 제어 액세스 (CA) 모듈로부터 추가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것은 오디오 디스크램블링이 인가되는지 안되는지를 검출하고, 오디오가 디스크램블링될 수 있을 때 비디오와 연관된 오디오의 존재를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으로, 오디오의 존재가 표시될 수 있는 한편, 디스크램블링이 액세스 제어 모듈에 의해 인가되지 않으면, 디스크램블링이 인가되지 않는다는 것을 추가적인 표시가 도시한다. 추가적인 표시는 패드록 또는 록킹된 액세스를 제안하는 임의의 다른 심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원리들에 따른 어레인지먼트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셋 톱 박스, 또는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 은 본 원리들을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 (6) 의 실시형태이다. 디바이스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 (70) 또는 CPU,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4), 입력 인터페이스 (75), 클록 유닛 (76), 비휘발성 메모리 (71), 휘발성 메모리 (72), 및 오디오/비디오 드라이버 유닛 (73) 을 포함한다. 이들 엘리먼트들 모두는 내부 데이터 통신 버스 (77) 에 접속된다. 입력 인터페이스 (75) 는 채널 변경 커맨드들과 같은 입력 커맨드들을 수신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74) 는 디지터 오디오/비디오 스트림들을 수신한다. 중앙 프로세서 (70) 는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오디오가 음소거되고 및/또는 레벨보다 낮은지를 결정하고, 오디오/비디오 드라이버 (73) 를 이용하여 적절한 시각적 표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 적절한 시각적 표시는 전용 프로세서를 가진 그래픽 카드와 같은 특정 그래픽 렌더링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다. 본 원리들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71) 에 저장되는 한편, 현재의 볼륨 레벨 또는 음소거/음소거 해제 설정과 같은 일시적 변수들의 값들은 휘발성 메모리 (72) 에 저장된다.
도 8 은 본 원리들에 따른 방법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따른 플로우 차트이다. 제 1 단계 (800) 는 방법을 위해 이용되는 변수들 및 파라미터들이 초기화되는 초기화 단계이다. 단계 (801) 에서는,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 존재하는지가 결정된다.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면, 단계 (802) 에서는 오디오가 음소거되고 및/또는 레벨보다 낮은지가 검증된다. 레벨은 예를 들어, 결정된 레벨, 예를 들어, 낮은 오디오 레벨이다. 대안으로, 레벨은 주변 잡음, 예를 들어, 주변 잡음의 존재에 관해 낮은 것으로 간주되는 오디오 레벨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오디로 레벨은 주변 잡음의 레벨을 고려해 볼 때 너무 낮아서 명확히 들을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오디오가 음소거되고 및/또는 결정된 레벨보다 낮다면,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존재의 시각적 표시는 단계 (803) 에서 생성되고 그 방법은 단계 (801) 로 리턴한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도면들에서의 일부 엘리먼트들은 모든 실시형태에서 사용되거나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동작들이 병렬로 실행될 수도 있다. 그 예시된 및/또는 설명된 것 이외의 실시형태들이 가능하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바와 같이, 본 원리들의 양태들은 시스템, 방법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원리들의 양태들은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형태, 완전히 소프트웨어 실시형태 (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함), 또는 모두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 으로서 정의될 수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양태들을 결합하는 실시형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원리들의 양태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의 임의의 조합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다이어그램들은 본 개시의 원리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시스템 컴포넌트들 및/또는 회로부의 개념적 뷰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플로우 차트들, 플로우 다이어그램들, 상태 천이 다이어그램들,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들에서 대체로 나타내져,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든 안되든 간에,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나타낸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에 수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수록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바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그 안에 정보를 저장하는 내재하는 능력 뿐만 아니라 그로부터의 정보의 취출을 제공하는 내재하는 능력이 주어지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인 것으로 간주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의 것들이, 본 원리들이 적용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들을 제공하지만,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식될 바와 같이, 단지 예시적일 뿐이고 포괄적 리스팅은 아님이 인식될 것이다: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휴대용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 (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

Claims (15)

  1.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디바이스 (7) 에 의해 구현된,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렌더링과 연관된 오디오의 상태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선택 시에,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이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이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801)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이 음소거되지 않고 주변 사운드 레벨보다 낮다면 (802);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이 상기 주변 사운드 레벨보다 낮음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803); 및
    상기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디바이스의 출력 (124) 상에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의 상태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선택 시의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상기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디바이스에 의한 수신과,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이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검출하는 것 간의 지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연 시간을 상기 이미지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의 상태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 비디오 데이터와의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싱크로나이제이션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상기 싱크로나이제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이미지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의 상태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로나이제이션은, 오디오 디코딩이 시작되었다면, 그리고 현재 디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의 프리젠테이션 타임 스탬프가 상기 오디오/비디오 수신기 디바이스의 시스템 타임 클록의 현재 값 주변의 허용오차 값 내에 있다면 검출되는, 오디오의 상태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이 음소거 해제될 때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렌더링될 볼륨 레벨을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뷰어에게 알리기 위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이 음소거될 때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이미지에 추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오디오의 상태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오디오 디스크램블링이 액세스 제어에 의해 인가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오디오 디스크램블링이 액세스 제어에 의해 인가되지 않을 때 오디오 디스크램블링이 액세스 제어에 의해 인가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이미지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의 상태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오차 값이 한계들 내에 있는지 여부를 획득하는 단계 및 그 허용오차가 상기 한계들 내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이미지에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오디오의 상태의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8.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렌더링과 연관된 오디오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로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선택 시에,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존재를 검출하고 오디오 데이터가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 존재하면,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이 음소거되지 않고 주변 사운드 레벨보다 낮은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어기 (70);
    상기 제어기에 의해 검출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가 선택된 상기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 존재할 때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존재를 나타내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이 상기 레벨보다 낮음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이미지 생성기 (73); 및
    상기 이미지와 선택된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출력 (124) 을 포함하는, 오디오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수신과,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오디오의 존재의 검출 간의 지연 시간을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 생성기는 상기 지연 시간을 상기 이미지에 추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오디오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에서의 비디오 데이터와의 상기 오디오 데이터의 싱크로나이제이션을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 생성기는 검출된 싱크로나이제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이미지에 추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오디오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오디오 디코딩이 시작되었다면, 그리고 현재 디코딩된 오디오 프레임의 프리젠테이션 타임 스탬프가 시스템 타임 클록의 현재 값 주변의 허용오차 값 내에 있다면 상기 싱크로나이제이션을 검출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오디오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기는,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이 음소거될 때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이미지에 추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 볼륨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 렌더링이 음소거 해제될 때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렌더링될 볼륨 레벨을 선택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뷰어에게 알리는, 오디오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인지먼트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오디오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인지먼트는 셋 톱 박스에 포함되는, 오디오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인지먼트는 디지털 텔레비전에 포함되는, 오디오의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어레인지먼트.
KR1020187021233A 2016-01-25 2017-01-18 오디오 검출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KR102598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305061.0A EP3197169A1 (en) 2016-01-25 2016-01-25 Method for audio detection and corresponding device
EP16305061.0 2016-01-25
PCT/EP2017/050937 WO2017129456A1 (en) 2016-01-25 2017-01-18 Method for audio detection and correspond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627A KR20180104627A (ko) 2018-09-21
KR102598367B1 true KR102598367B1 (ko) 2023-11-03

Family

ID=5535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233A KR102598367B1 (ko) 2016-01-25 2017-01-18 오디오 검출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36745B2 (ko)
EP (2) EP3197169A1 (ko)
JP (1) JP7166922B2 (ko)
KR (1) KR102598367B1 (ko)
CN (1) CN108605156B (ko)
TW (1) TWI735504B (ko)
WO (1) WO20171294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5590B1 (en) * 2015-03-06 2019-01-02 Pillar Biosciences Inc. Selective amplification of overlapping amplicons
AU2021357055A1 (en) 2020-10-06 2023-05-25 Arris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udio control of concurrently displayed video program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558A (en) * 1991-10-09 1994-05-31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Electronic volume varying apparatus restricted by muting mode
JPH11316644A (ja) * 1992-06-02 1999-11-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
WO2000005901A1 (en) 1998-07-24 2000-02-03 Leeds Technologies Limited Video and audio synchronisation
CA2313979C (en) * 1999-07-21 2012-06-12 Thomson Licensing Sa Synchronizing apparatus for a compressed audio/video signal receiver
JP4170808B2 (ja) 2003-03-31 2008-10-22 株式会社東芝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200601300A (en) * 2003-06-30 2006-01-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generating volume image
CN1567985A (zh) * 2003-06-30 2005-01-19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视听装置的音量调低方法
CN1860544A (zh) * 2003-09-25 2006-11-08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音频和视频数据的设备和方法以及在其上记录有用于执行该显示方法的程序的存储介质
KR101041810B1 (ko) * 2004-08-27 201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 및 그의 자동 캡션 수행 방법
CN101112082A (zh) * 2005-01-31 2008-01-23 汤姆森许可贸易公司 用于在音频静音时显示文字服务的方法和设备
CN100472636C (zh) * 2005-12-06 2009-03-25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音频静音软解除设备及其方法
JP2008053770A (ja) 2006-08-22 200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キー認識表示システム
CN101431638A (zh) * 2007-11-07 2009-05-13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媒体播放的音量调节方法和装置
JP4259602B1 (ja) * 2008-02-05 2009-04-30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ミュート制御装置、ミュート制御方法及びミュート制御プログラム
KR20100027714A (ko) * 2008-09-03 201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텔레텍스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100074450A1 (en) * 2008-09-23 2010-03-25 Shiun-Chih Liao System for adjusting playing volume automatically and method for the same
US8542749B2 (en) 2008-12-17 2013-09-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udiovisual synchronisation
JP2011101097A (ja) * 2009-11-04 2011-05-19 Fujitsu Ltd 無線通信装置、イベント発生通知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イベント発生通知方法
TWI441527B (zh) * 2010-06-07 2014-06-11 Hannstar Display Corp 音訊調整系統及方法
CN102404131B (zh) * 2010-07-29 2015-03-25 株式会社理光 通讯终端、通讯管理系统、通讯系统、声音输入部登录方法
KR20120019030A (ko) * 2010-08-24 2012-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볼륨 레벨 조절 방법
US8736700B2 (en) * 2010-09-30 2014-05-27 Apple Inc. Techniques for synchronizing audio and video data in an image signal processing system
US20120087516A1 (en) * 2010-10-08 2012-04-12 Umesh Amin System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tleast a media content with changes in ambient noise
JP5735269B2 (ja) 2010-12-24 2015-06-17 京セラ株式会社 受信装置、携帯通信端末、字幕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字幕表示制御方法
US9179118B2 (en) 2011-05-12 2015-11-03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synchronization of audio and video
JP5076014B1 (ja) 2011-06-10 2012-11-21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装置、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1883178B1 (ko) * 2011-10-12 2018-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491505B2 (en) * 2012-02-28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Frame capture and buffering at source device in wireless display system
US8468563B1 (en) * 2012-04-30 2013-06-18 This Technology, Inc. Method for ingesting multiple signals of the same meaning
US9535653B2 (en) * 2012-08-31 2017-01-03 Google Inc. Adjusting audio volume of multimedia when switching between multiple multimedia content
KR20140114238A (ko) * 2013-03-18 2014-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와 결합된 이미지 표시 방법
KR20140140829A (ko) * 2013-05-30 2014-12-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소음 측정을 통한 차량 오디오의 자동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TWI561070B (en) 2014-01-03 2016-12-01 Mstar Semiconductor Inc Decoder and decoding method for audio video stream synchronization
US10073671B2 (en) * 2014-01-20 2018-09-11 Lenovo (Singapore) Pte. Ltd. Detecting noise or object interruption in audio video viewing and altering presentation based thereon
CN104105031A (zh) * 2014-06-27 2014-10-15 中科创达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音量调节方法及装置
JP6038848B2 (ja) * 2014-09-01 2016-12-07 ヤフー株式会社 再生プログラム、配信装置、再生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10055887B1 (en) * 2015-02-19 2018-08-21 Google Llc Virtual/augmented reality transition system and method
US11070864B2 (en) * 2015-10-14 2021-07-20 Sony Group Corporation Auto pause when disturbed
WO2017174150A1 (en) * 2016-04-08 2017-10-12 Arcelik Anonim Sirketi Image display device with adaptive volume level adjustment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37717A (zh) 2017-10-16
US20190020918A1 (en) 2019-01-17
US10536745B2 (en) 2020-01-14
JP2019507978A (ja) 2019-03-22
TWI735504B (zh) 2021-08-11
EP3409021A1 (en) 2018-12-05
EP3197169A1 (en) 2017-07-26
WO2017129456A1 (en) 2017-08-03
JP7166922B2 (ja) 2022-11-08
KR20180104627A (ko) 2018-09-21
CN108605156B (zh) 2022-11-15
CN108605156A (zh) 201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345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multiple headsets
US7975285B2 (en) Broadcast receiver and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US9210360B2 (en) Volume level-based closed-captioning control
US20090089675A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6716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losed captioning
US20110216242A1 (en) Linkage method of video apparatus, video apparatus and video system
US20120154679A1 (en) User-controlled synchronization of audio and video
KR102598367B1 (ko) 오디오 검출을 위한 방법 및 대응하는 디바이스
US9502041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outputting audio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3689810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方法
JP5506239B2 (ja) 映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61546A (ja) 音響制御装置、及び、音響制御方法
KR2010003075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143724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014204338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JP4599472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出力制御方法
KR20100043581A (ko) 텔레비전의 주화면 및 부화면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7069682A (ja) 受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57818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出力制御方法
KR20140128152A (ko) 텔레비젼 멀티미디어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20160104456A (ko) 이동단말을 이용한 멀티 스크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227806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
KR20100048088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정보 디스플레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