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947B1 -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947B1
KR102596947B1 KR1020210117663A KR20210117663A KR102596947B1 KR 102596947 B1 KR102596947 B1 KR 102596947B1 KR 1020210117663 A KR1020210117663 A KR 1020210117663A KR 20210117663 A KR20210117663 A KR 20210117663A KR 102596947 B1 KR102596947 B1 KR 10259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late
mold
side plate
box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4650A (ko
Inventor
허상우
허세도
Original Assignee
허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상우 filed Critical 허상우
Priority to KR1020210117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947B1/ko
Publication of KR2023003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5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involving a particular layout of the machinery or relative arrangement of its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를 접철하여 만드는 과정에서 측판과 보조판 및 커버판이 어긋나지 않도록 함으로서 완성된 포장용 상자가 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후방에 바닥판과 측판, 보조판 및 커버판을 전개하고 접철선 가지도록 한 상자부재를 하나씩 공급하는 상자부재공급파트와; 상기 상자부재공급파트의 전방에 설치하여 공급된 상자부재를 접철하여 상자로 완성하는 제함파트와; 상기 제함파트의 전방에 컨베이어로 연결하여 완성된 상자를 공급받아 일정수량씩 묶을 수 있도록 설치하는 적재파트로 구성되는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에 상자부재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측판 또는 보조판 및 커버판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밀착가압시켜 유동하는 것을 배제하여 완성된 포장용 상자가 제 형상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부몰드에 구비하여 측판의 내면을 잡아주는 상부유동방지자와; 하부몰드에 구비하여 상부유동방지자와 함께 측판 또는 보조판 및 커버판의 외면을 잡아주는 하부유동방지자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PACKAGING BOX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자부재를 접철선을 따라 접철하여 상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접혀진 박스부재가 정 위치를 벗어나 어긋난 상태에서 부착되어 발생하는 불량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제함파트를 개선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농산품 또는 공산품을 수용하기 위한 포자용 상자는 수작업에 의하여 제 형상으로 만들었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기술의 발전으로 목적하는 상자 형상을 전개하고 접철선을 가지는 상자부재를 공급하면 접철하여 상자를 기계적으로 만드는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예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메인프레임과, 포장박스의 하부판을 접는 박스조립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박스조립부(20)는,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1절첩구(21)와, 상기 제1절첩구(21)에 대해 교차 되는 방향으로 한 쌍이 상호 마주보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제2절첩구(22)와, 상기 제1절첩구(21)와 제2절첩구(22)에 각각 결합되어 제1절첩구(21)와 제2절첩구(2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절첩구(21)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211)와, 상기 지지대(211)의 상단에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되는 접음판(23)과, 일단은 상기 지지대(2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접음판(23)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어 접음판(23)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방으로 당기는 탄성스프링(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바닥편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측편들을 절첩선을 기준으로 절첩하여 상부가 개방된 포장박스를 제조하는 제함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함 장치부는, 절첩선의 내측에 형성된 박스부재의 바닥편을 수직으로 하향 가압하는 제함 몰드부재와; 상기 제함 몰드부재에 의해 하향 가압되는 박스부재의 가장자리부의 각 지점을 간섭 가이드를 통해 간섭하여, 박스부재의 바닥편 외측에 형성된 측면편들이 절첩선을 기준으로 절첩하여 기립되도록 하는 제함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함틀에서 제함되어 배출되는 포장박스들을 단위 개수로 결박하여 다발하는 묶음 포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묶음 포장부는, 제함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함틀에서 수평 배출되는 포장박스를 수거하는 수거 컨베이어와; 상기 수거 컨베이어에서 수평방향으로 수거되는 포장박스를 수직으로 기립하고 기립된 포장박스들을 일렬 정렬하는 직립 정렬기; 및 상기 직립 정렬기에 의해 정렬된 단위 개수의 포장박스들을 결박끈을 통해 일괄 밴딩하는 밴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직립 정렬기는, 수거 컨베이어를 통해 수거된 포장박스를 진공 흡착한 다음 등각으로 선회하여, 상부를 향한 개구부가 측방향을 향하도록 흡착된 포장박스를 등각 선회하여 기립되게 정렬하는 직립 정렬유닛과; 상기 직립 정렬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립된 포장박스들이 상호 밀착되게 일렬 정렬되도록 하는 이송유닛; 및 상기 직립 정렬유닛에 의해 개구부가 측방향을 향한 상태로 직립되게 일렬 정렬된 포장박스들 중, 맨전방 또는 맨후방에 정렬되는 포장박스를 180°의 각도로 수평 회전하여 해당 포장박스의 개구부가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수평 회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등록 제 10 - 1426690 - 0000 호 특허등록 제 10 - 2198905 - 0000 호
없음.
이러한 선행기술 중 특허문헌 2의 경에는 상자부재를 적층하여 순차적으로 하나씩 공급하는 적재공급부와, 적재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상자부재를 상자형상으로 만드는 제함장치부와, 상기 제함장치부에서 만들어진 상자를 수거하여 여 제함장치에 의하여 만들어진 상자를 일정 수량 단위로 포장하는 묶음포장부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자를 만들기 위한 핵심인 제함장치부의 경우에는 공급된 상자부재를 상,하 승강하면서 상자부재를 하강시켜 접철선 형태로 상자의 내측에 위치하여 만드는 제함몰드와, 상자의 외측에 위하여 제함몰드와 협조하여 만들어지는 상자의 외측을 잡아주면서 제형상을 만들도록 하는 제함틀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제함몰드는 하강하면서 상자부재를 접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제함틀은 상자부재의 외측은 단순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함몰드와 상자부재 및 제함틀과의 치수오차로 인하여 상자부재가 상자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타이트한 상태의 접철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즉, 제함몰드와 제함틀 사이에 위치한 상자부재가 견고한 상태로 제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여유공간에 의하여 움직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바닥편을 제외한 측면편과 보조편 및 커버편이 제 위치에서 고정되지 못하게 된다.
예를 들어 측면편이 비틀어진 상태에서 결합되거나 또는 측면편에 대하여 보조편이 상측이나 하측으로 돌출되거나 어긋난 상태로 결합되는 형태 및 커버편이 제 위치에 있지 못하고 어느 한 방향으로 편중되는 형태 등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자로 만들어졌을 때 목적한 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상자의 사방 측면과 상부면에 돌출되거나 삐뚤어진 부분이 발생한 상태에서는 정상적인 상자로 유통되지 못하고 불량으로 처리되어야 한다.
하지만 만들어진 상자는 불량여부의 검사나 배출없이 무작위로 묶음포장부로 이송되어 결박되어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상자를 이용자들이 사용하는 과정에서 블량이 발생이여 리콜되기 때문에 상자 제조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불편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이 상자가 만들어진 상태에서 후처리를 위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특히 상자를 이용하여 제품을 포장하는 이용자들의 경우에는 포장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불량 상자에 제품을 수용하여 출하할 경우에는 제품에까지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프레임(101)의 후방에 바닥판(102)과 측판(103),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을 전개하고 접철선(106) 가지도록 한 상자부재(110)를 하나씩 공급하는 상자부재공급파트(111)와;
상기 상자부재공급파트(111)의 전방에 설치하여 공급된 상자부재(110)를 접철하여 상자로 완성하는 제함파트(120)와;
상기 제함파트(120)의 전방에 컨베이어(112)로 연결하여 완성된 상자를 공급받아 일정수량씩 묶을 수 있도록 설치하는 적재파트(115)로 구성되고;
상기 제함파트(120)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공급된 상자부재(110)를 눌러서 하강시키는 상부몰드(121)와, 상부몰드(121)에 의하여 하강된 상자부재(110)의 측판(103)과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을 접철선(106)을 기준으로 절곡시켜 상자형상으로 만드는 하부몰드(122)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몰드(121)는, 승강수단과 연결되는 몰드베이스(123)의 하방에 가변수단에 의하여 몰드베이스(123)의 X,Y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하는 가변블록(124)과, 상기 가변블록(124)의 하방에 상자부재(110)의 바닥판(102)을 눌러주도록 연결하는 가압체(125)와, 상기 가압체(125)의 상자부재(110)의 바닥판(102) 길이방향 양측을 눌러주면서 하강시에는 펼쳐진 상태로 버텨주고 상승시에는 커버판(105)과 간섭없도록 회동되게 설치하는 보조가압핑거(126)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몰드(122)는,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몰드프레임(130) 내측에 복수개의 가이드(132)를 배치하여 상자부재(110)의 측판(103)이 접혀지도록 하고, 상자부재(110)의 보조판(104)과 커버판(105)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절첩하는 절곡유닛(133)을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드(121)와 하부몰드(122)에 상자부재(11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측판(103) 또는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밀착가압시켜 유동하는 것을 배제하여 완성된 포장용 상자가 제 형상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방지수단(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지수단(150)은, 상부몰드(121)에 구비하여 측판(103)의 내면을 잡아주는 상부유동방지자(151)와;
하부몰드(122)에 구비하여 상부유동방지자(151)와 함께 측판(103) 또는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의 외면을 잡아주는 하부유동방지자(152)를 포함하여;
포장용 상자를 접철하여 만드는 과정에서 측판과 보조판 및 커버판이 어긋나지 않도록 함으로서 완성된 포장용 상자가 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상자부재의 내측과 외측에는 만들어지는 상자가 유동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배제하여 제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만들어지는 상자의 불량이 없도록 함으로서 생산 효율성을 높이면서 우수한 품질의 상자를 균일하고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를 만드는 과정에서 불량이 없도록 함으로서 제조와 사후 관리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면서 우수한 품질관리를 통하여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용자들이 제품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지체되는 현상을 배제하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를 도시한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를 구성하는 상부몰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를 구성하는 상부몰드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를 구성하는 하부몰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를 구성하는 하부몰드를 발췌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 작동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인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를 도시한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를 구성하는 상부몰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를 구성하는 상부몰드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를 구성하는 하부몰드를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를 구성하는 하부몰드를 발췌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의 제함파트 작동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100)는, (특허문헌 2) 특허등록 제 10 - 2198905 - 0000 호와 기본적인 기술내용이 동일하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01)의 후방에 바닥판(102)과 측판(103),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을 전개하고 접철선(106) 가지도록 한 상자부재(110)를 다단으로 적층하여 하나씩 공급하는 상자부재공급파트(111)를 설치한다.
상기 상자부재공급파트(111)의 전방에는 공급된 상자부재(110)를 접철하여 상자로 완성하는 제함파트(120)를 설치하고, 상기 제함파트(120)의 전방에는 컨베이어(112)로 연결하여 완성된 상자를 공급받아 일정수량씩 묶을 수 있도록 적재하는 적재파트(115)로 구성된다.
상기 제함파트(120)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공급된 상자부재(110)를 눌러서 하강시키는 상부몰드(121)와, 상부몰드(121)에 의하여 하강된 상자부재(110)의 측판(103)과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을 접철선(106)을 기준으로 절곡시켜 상자형상으로 만드는 하부몰드(122)로 구성한다.
상기 상부몰드(121)는, 승강수단과 연결되는 몰드베이스(123)의 하방에 진퇴 가이드 구조나 볼 스크루 구조, 또는 공압 실린더 구조와 같은 가변수단에 의하여 몰드베이스(123)의 X,Y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가변블록(124)을 연결하고, 상기 가변블록(124)의 하방에는 상자부재(110)의 바닥판(102)을 눌러주기 위한 가압체(125)를 연결한다.
상기 가압체(125)의 상자부재(110)의 바닥판(102) 길이방향 양측을 눌러줄 수 있도록 하강시에는 펼쳐진 상태로 버텨주고 상승시에는 커버판(105)과 간섭없도록 회동되게 보조가압핑거(126)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부몰드(122)는,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몰드프레임(130) 내측에 복수개의 가이드(132)를 배치하여 상자부재(110)의 측판(103)이 접혀지도록 하고, 상자부재(110)의 보조판(104)과 커버판(105)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절첩하는 절곡유닛(133)을 배치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몰드(121)와 하부몰드(122)에 상자부재(110)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측판(103) 또는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밀착가압시켜 유동하는 것을 배제하여 완성된 포장용 상자가 제 형상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방지수단(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수단(150)은, 상부몰드(121)에 구비하여 측판(103)의 내면을 잡아주는 상부유동방지자(151)와, 하부몰드(122)에 구비하여 상부유동방지자(151)와 함께 측판(103) 또는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의 외면을 잡아주는 하부유동방지자(152)로 구성한다.
상기 상부유동방지자(151)는, 상부몰드(121)를 구성하는 각각의 가압체(125) 내부에 보조가압핑거(126)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상부작동실린더(155)를 장착하고, 상기 상부작동실린더(155)의 로드(156)는 가압체(125)의 일측벽면에 형성되는 로드홀(157)을 통하여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로드(156)의 선단에는 나사를 형성한 장착공(158)을 형성하여 가압체(125)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상부가압판(160)을 고정볼트(161)로 단속하여 상부작동실린더(155)에 의하여 상부가압판(160)이 접혀지는 상자부재(110)의 측판(103) 내측면을 밀어서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유동방지자(152)는, 하부몰드(122)를 구성하는 가이드(132)를 유지하는 상부가이드블록(165)과 하부가이드블록(166) 사이에 하부작동실린더(167)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작동실린더(167)의 로드(168)는 상,하부가이드블록(165,166)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로드(168)의 선단에는 나사를 형성한 장착공(169)에는 하부가압판(170)을 장착하여 상부가압판(160)과 협조하여 상자부재(110)를 구성하는 측판(103) 또는 보조판(104)의 외면을 잡아주어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하부가압판(170)은 상,하부가이드블록(165,166) 전방에 고정되어 접혀지는 상자부재(110)를 가이드(132)와 함께 유도하는 유도브라켓(171)에 형성되는 하부가압판홀(172)을 통하여 출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가압판(170)을 본 발명에서는 원판형태로 도면에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상부가압판(160)과 같이 사각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므로 예시한 것으로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자부재(110)를 상자부재공급파트(111)를 통하여 하나씩 제함파트(120)로 공급되면, 제함파트(120)에 의하여 상자가 만들어져 배출되고, 상자는 컨베이어(112)를 통하여 적재파트(115)로 이송되어 설정된 수량만큼 상자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밴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자부재(110)를 공급받은 제함파트(120)에 의하여 상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자부재(110)가 공급되면 승강수단에 의하여 제함파트(120)의 상부몰드(121)가 하강하면서 가압체(125)가 상자부재(110)의 바탁판(102) 중앙부를 누르게 되고, 동시에 가압체(125)에 장착된 보조가압핑거(126)는 바닥판(102)의 가장자리를 눌러서 하강과정에서 혹여 발생할 수 있는 접혀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압체(125)와 보조가압핑거(126)에 의하여 눌러지면서 접철선(106)과 하부몰드(122)를 구성하는 가이드(132)에 의하여 바닥판(102)에 대하여 측판(103)과 보조판(104)이 접혀지게 되고, 동시에 절곡유닛(133)이 작동하여 커버판(105)을 절곡하여 상자 형태로 만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측판(103)과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으로는 고정과 접착을 위한 접착제가 공급되어 접혀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포장용 상자를 완성하게 되며, 완성된 포장용 상자는 하방으로 낙하하여 컨베이어(112)를 통하여 적재파트(115)로 이송되어지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함파트(120)에 의하여 상자부재(110)가 접혀져 포장용 상자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상부몰드(121)와 하부몰드(122)에 더 구비되는 유동방지수단(150)에 의하여 측판(103)에 대하여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이 유동하여 비 정상적인 접착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몰드(121)가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자부재(110)를 하강시키면서 상자형태로 접는 과정에서 상부몰드(121)와 하부몰드(122)에 구비되는 상부유동방지자(151)와 하부유동방지자(152)가 협조하여 상부유동방지자(151)는 측판(103)의 내측면을 가압하고, 하부유동방지자(152)는 보조판(104) 또는 커버판(105)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서로 밀착되도록 하면서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서 제 형상으로 포장용 상자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부몰드(121)의 하강과 동시에 상,하부유동방지자(151,152)를 구성하는 상부 및 하부작동실린더(155,167)가 작동하여 로드(156,168)를 전진시켜 로드(156,168)에 장착된 상부가압판(160)과 하부가압판(170)이 동일한 위치에서 서로 상자부재(110)의 내,외측면을 밀어주는 형태가 되므로 접혀져서 상자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오차 등의 이유로 인하여 상재부재(11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제형상으로 포장용 상자를 만들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몰드(121)와 하부몰드(122)의 작동에 간섭이 없는 위치에 유동방지수단(150)을 더 설치하고, 포장용 상자를 만들기 위하여 상자부재(110)를 하강시켜 접철하는 과정에서 치수오차 또는 상부몰드(121)와 하부몰드(122) 사이의 공극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상자부재(110)의 움직임을 차단하여 정상적인 위치에 상자부재(110)를 구성하는 측판(103),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이 있도록 하면서 접착되는 과정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서 만들어진 상자의 불량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수단(150)을 구성하는 상부 및 하부유동방지자(151,152)의 상부 및 하부작동실린더(155,167)의 스트로크는 만들고자 하는 포장용 상자의 종류나 규격 등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를 접철하여 만드는 과정에서 측판과 보조판 및 커버판이 어긋나지 않도록 함으로서 완성된 포장용 상자가 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는 발명이다.
100; 포장용 상자 재조장치
101; 프레임 110; 상자부재
111; 상자부재공급파트 115; 적재파트
120; 제함파트 121; 상부몰드
122; 하부몰드 123; 몰드베이스
124; 가변블록 125; 가압체
126; 보조가압핑거 130; 몰드프레임
132; 가이드 133; 절곡유닛
150; 유동방지수단 151; 상부유동방지자
152; 하부유동방지자 155; 상부작동실린더
160; 상부가압판 165; 상부가이드블록
166; 하부가이드블록 167; 상부작동실린더
170; 하부가압판 171; 유도브라켓
172; 하부가압판홀

Claims (3)

  1. 프레임(101)의 후방에 바닥판(102)과 측판(103),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을 전개하고 접철선(106) 가지도록 한 상자부재(110)를 하나씩 공급하는 상자부재공급파트(111)와;
    상기 상자부재공급파트(111)의 전방에 설치하여 공급된 상자부재(110)를 접철하여 상자로 완성하는 제함파트(120)와;
    상기 제함파트(120)의 전방에 컨베이어(112)로 연결하여 완성된 상자를 공급받아 일정수량씩 묶을 수 있도록 설치하는 적재파트(115)로 구성되고;
    상기 제함파트(120)는,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공급된 상자부재(110)를 눌러서 하강시키는 상부몰드(121)와, 상부몰드(121)에 의하여 하강된 상자부재(110)의 측판(103)과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을 접철선(106)을 기준으로 절곡시켜 상자형상으로 만드는 하부몰드(122)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몰드(121)는, 승강수단과 연결되는 몰드베이스(123)의 하방에 가변수단에 의하여 몰드베이스(123)의 X,Y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연결하는 가변블록(124)과, 상기 가변블록(124)의 하방에 상자부재(110)의 바닥판(102)을 눌러주도록 연결하는 가압체(125)와, 상기 가압체(125)의 상자부재(110)의 바닥판(102) 길이방향 양측을 눌러주면서 하강시에는 펼쳐진 상태로 버텨주고 상승시에는 커버판(105)과 간섭없도록 회동되게 설치하는 보조가압핑거(126)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몰드(122)는, 상,하부가 개방된 사각형상의 몰드프레임(130) 내측에 복수개의 가이드(132)를 배치하여 상자부재(110)의 측판(103)이 접혀지도록 하고, 상자부재(110)의 보조판(104)과 커버판(105)을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절첩하는 절곡유닛(133)을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드(121)에 구비하여 측판(103)의 내면을 잡아주는 상부유동방지자(151)와; 하부몰드(122)에 구비하여 상부유동방지자(151)와 함께 측판(103) 또는 보조판(104) 및 커버판(105)의 외면을 잡아주는 하부유동방지자(152)로 구성되는 유동방지수단(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유동방지자(151)는, 상부몰드(121)를 구성하는 각각의 가압체(125) 내부에 보조가압핑거(126)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장착하는 상부작동실린더(155)와;
    상기 가압체(125)의 일측벽면에 형성되는 로드홀(157)을 통하여 노출시키는 상부작동실린더(155)의 로드(156)와;
    상기 로드(156)의 선단에 나사를 형성한 장착공(158)과;
    상기 장착공(158)에 고정볼트(161)로 결합되어 상부작동실린더(155)에 의하여 접혀지는 상자부재(110)의 측판(103) 내측면을 밀어서 가압하는 상부가압판(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유동방지자(152)는, 하부몰드(122)를 구성하는 가이드(132)를 유지하는 상부가이드블록(165)과 하부가이드블록(166) 사이에 설치하는 하부작동실린더(167)와;
    상기 상,하부가이드블록(165,166)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하부작동실린더(167)의 로드(168)과;
    상기 로드(168)의 선단에 나사를 형성한 장착공(169)과;
    상부가압판(160)과 협조하여 상자부재(110)를 구성하는 측판(103) 또는 보조판(104)의 외면을 잡아주어 유동하지 않도록 장착공(169)에 장착하는 하부가압판(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KR1020210117663A 2021-09-03 2021-09-03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KR102596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663A KR102596947B1 (ko) 2021-09-03 2021-09-03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663A KR102596947B1 (ko) 2021-09-03 2021-09-03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650A KR20230034650A (ko) 2023-03-10
KR102596947B1 true KR102596947B1 (ko) 2023-10-31

Family

ID=8557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663A KR102596947B1 (ko) 2021-09-03 2021-09-03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9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243A2 (en) 2008-01-10 2009-07-16 Mi Yeon Lee The mould-set for a quad stayer machine of rigid box
WO2012104755A1 (en) 2011-01-31 2012-08-09 Europrogetti S.R.L. Device for covering windowed cardboard boxes
KR101621281B1 (ko) 2014-12-20 2016-05-16 주식회사 옥천 종이용기 성형 장치용 가변 성형 몰드
KR102198905B1 (ko) * 2020-06-30 2021-01-05 신풍기계 주식회사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690B1 (ko) 2013-10-30 2014-08-07 김현태 포장박스용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8243A2 (en) 2008-01-10 2009-07-16 Mi Yeon Lee The mould-set for a quad stayer machine of rigid box
WO2012104755A1 (en) 2011-01-31 2012-08-09 Europrogetti S.R.L. Device for covering windowed cardboard boxes
KR101621281B1 (ko) 2014-12-20 2016-05-16 주식회사 옥천 종이용기 성형 장치용 가변 성형 몰드
KR102198905B1 (ko) * 2020-06-30 2021-01-05 신풍기계 주식회사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650A (ko)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4149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packaging products
KR102198905B1 (ko) 포장박스 제조용 제함장치
CN112644790B (zh) 一种开箱机封底系统
KR100844696B1 (ko) 포장상자의 테두리 절곡용 형틀체
KR20100076561A (ko)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KR102596947B1 (ko) 포장용 상자 제조장치
KR101347779B1 (ko) 박스 다중 밴딩장치
JP2007084309A (ja) ダンボールケースの積み重ね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820454B1 (ko) 패널 자동 포장 장치
KR102212178B1 (ko) 포장상자용 골판지의 접착제 도포 장치
KR100679161B1 (ko) 상자제조장치
US201902325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ping a blank around a mandrel
TW201925072A (zh) 自動排片機
CN110883160B (zh) 一种气缸套筒的自动冲压设备
CN114407429A (zh) 一种纸质包装盒的折叠成型装置
US11203484B2 (en) Flat-packing machine for innerspring units
KR102438879B1 (ko) 보드 밴딩장치
KR102498583B1 (ko) 오픈박스 자동 제함장치
ITBO20010009A1 (it) Linea di confezionamento multifunzionale
KR20230094606A (ko) 포장용 상자 제조기용 적재장치
KR102597474B1 (ko) 박스 봉함 장치
CN216581353U (zh) 鞋子包装纸折叠装置
CN219339804U (zh) 一种瓦楞纸板的捆绑装置
CN214189004U (zh) 一种胶订机的上封装置
CN110758856A (zh) 一种多型号纸板折叠打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