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295B1 -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 - Google Patents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295B1
KR102596295B1 KR1020230044906A KR20230044906A KR102596295B1 KR 102596295 B1 KR102596295 B1 KR 102596295B1 KR 1020230044906 A KR1020230044906 A KR 1020230044906A KR 20230044906 A KR20230044906 A KR 20230044906A KR 102596295 B1 KR102596295 B1 KR 102596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lastic
motion
elastic block
thi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Original Assignee
이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천 filed Critical 이재천
Priority to KR102023004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8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 A47C20/1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using rods
    • A47C20/1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djusting two or more rests simultaneously using rods using telescopic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means of screw-and-nu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5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의 평판형 쿠션 패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드부; 상기 배드부의 테두리 하면을 지지하도록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틀 안쪽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상체, 둔부, 허벅지 및 종아리를 지지하는 등판 프레임, 둔부 프레임, 허벅지 프레임, 다리 프레임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모션 프레임; 상기 모션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배드부의 테두리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모션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밀거나 당기는 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등판 프레임, 허벅지 프레임, 다리 프레임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배드부와 바닥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탄성 폼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며, 탄성 경도가 서로 다른 육면체의 제1 탄성 블록 및 제2 탄성 블록으로 분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동 실린더가 작동하는데 있어 많은 힘을 요구하지 않아 가변 기울기에 대한 작동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 및 조립공정을 한층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Metris with Motion Frames}
본 발명은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션 프레임을 금속과 탄성 폼의 이종소재를 서로 조합하는 구성의 결합으로 개선하여 모션 작동 효율성을 높이는 것과 아울러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낮출 수 있는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수면 또는 휴식을 취하기 위한 가구의 일종으로, 이는 별도의 운반 및 보관상태를 필요하지 않고 침실이라는 고정된 위치에 비치된 상태로써, 그에 합당한 사용관계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가 점진적으로 복잡해지고, 다양해 짐에 따라 사람들은 그 복잡해진 사회만큼 바쁜 일상과 업무에 쫓기게 되고, 따라서 취침 및 휴식공간 또한 단순히 고정된 위치의 침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잠시 시간을 할애하여 지친 몸과 마음을 회복시킬 수 있는 간편화된 휴식수단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입니다.
한편, 통상적인 침대는 그 형태 및 높이 등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형 침대라 하더라도 병원 등에 사용하는 침대는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주로 사용하였으나 머리, 다리 프레임, 허리 등 신체의 일부분을 상하로 경사지게 하는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고정형 침대는 신체의 일부에 경사각을 줄 수는 있지만, 사용자의 키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침대 높이를 전체적으로 조절하여 이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는 전동 침대가 시판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병원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침대 테이블이 각각 분할되어 상태에서 등판, 다리 프레임, 허리 등을 각각 지지하고 상하로 경사지게 작동한다.
한편, 전동침대는 매트리스를 설치하는 매트리스와 테이블에 상하 높이 조절은 물론 테이블은 등, 다리 프레임, 엉덩이, 허리를 지지하도록 등판, 둔부판, 허벅지판, 다리판으로 이루어져 각각 승강 작동되면서 각도조절된다.
상기 테이블 중 둔부판은 프레임에 용접 고정된 상태에서 등판 및 다리판을 상승시켜 각도 조절하게 되면 매트리스에 누워있던 사용자의 상체를 일으켜 세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동 침대의 구조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 내부에는 등판 프레임, 둔부 프레임, 허벅지 프레임, 다리 프레임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등판 프레임, 둔부 프레임, 허벅지 프레임, 다리 프레임의 상면에는 등판, 둔부판, 허벅지판, 다리판이 각각 조립된다.
또한, 등판 프레임, 둔부 프레임, 허벅지 프레임, 다리 프레임 중에서 둔부프레임은 고정된 상태에서 등판 프레임과 허벅지 프레임을 상하부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2개의 전동 실린더가 둔부 프레임의 하부에 대향지게 각각 부착 설치되고, 등판 프레임과 허벅지 프레임에는 전동 실린더의 피스톤이 결합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침대는 등판 프레임, 둔부 프레임, 허벅지 프레임, 다리 프레임은 금속 소재로 제작되는 것과 아울러 그 넓이는 메트리스의 폭과 동일한 넓이로 제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전동 실린더가 작동하는데 있어 많은 힘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등판 프레임, 허벅지 프레임 및 다리 프레임이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경사지게 상승한 후 다시 하강할 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각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사람의 신체 중 일부가 또는 반려동물이 위치하게 되면 끼임에 의한 안전사고가 심각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9932호(2003.07.1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967738호(2019.04.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션 프레임을 금속과 탄성 폼의 이종소재를 서로 조합하는 구성의 결합으로 개선하여 모션 작동 효율성을 높이는 것과 아울러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낮출 수 있는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평판형 쿠션 패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드부; 상기 배드부의 테두리 하면을 지지하도록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틀 안쪽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상체, 둔부, 허벅지 및 종아리를 지지하는 등판 프레임, 둔부 프레임, 허벅지 프레임, 다리 프레임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모션 프레임; 상기 모션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배드부의 테두리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모션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밀거나 당기는 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등판 프레임, 허벅지 프레임, 다리 프레임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배드부와 바닥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탄성 폼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며, 탄성 경도가 서로 다른 육면체의 제1 탄성 블록 및 제2 탄성 블록으로 분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탄성 블록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면에 접합 고정되며, 상기 제2 탄성 블록은 일측면이 상기 제1 탄성 블록 및 지지플레이트에 면 접촉하는 상태로 접합되고 다른 일측면이 상기 배드부의 하면에 대해 면 접촉하는 상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탄성 블록의 탄성 경도가 상기 제2 탄성 블록의 탄성 경도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탄성 블록의 폭 넓이는 상기 제1 탄성 블록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탄성 블록과 제2 탄성 블록의 바닥면에는 상호 접합면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배드부와 바닥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탄성 폼으로 제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전동 실린더가 작동하는데 있어 많은 힘을 요구하지 않아 가변 기울기에 대한 작동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 및 조립공정을 한층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상승한 상태에서 하강할 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사람의 신체 중 일부가 또는 반려동물이 위치하게 되더라도 끼임에 의한 안전사고가 심각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의 작용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에 적용된 고정 지지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에 마감 커버가 씌워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평판형 쿠션 패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드부(100), 상기 배드부(100)의 테두리 하면을 지지하도록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200),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틀 안쪽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상체, 둔부, 허벅지 및 종아리를 지지하는 등판 프레임(310), 둔부 프레임(320), 허벅지 프레임(330), 다리 프레임(340)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모션 프레임(300), 상기 모션 프레임(30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배드부(100)의 테두리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400) 및 상기 모션 프레임(300)의 하부에 설치되며 밀거나 당기는 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등판 프레임(310), 허벅지 프레임(330), 다리 프레임(340)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전동 실린더(5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배드부(100)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평판형 쿠션 패드를 상하방향으로 적층시켜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편안하고 안락감 있게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배드부(100)는 후술할 지지플레이트(4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 쿠션층(110), 제2 쿠션층(120)으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배드부(100)는 층수를 더 높이는 구조로 쌓을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매트리스의 전체 크기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넓이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배드부(100)의 테두리 하면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직선부재를 사각의 틀 형상으로 연결한 구조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상기 배드부(100)와 바닥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탄성 폼으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이 종래와 같이 금속의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아닌 완충력을 제공하는 탄성 소재의 폼으로 제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후술할 전동 실린더(500)가 작동하는데 있어 많은 힘을 요구하지 않아 가변 기울기에 대한 작동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 및 조립공정을 한층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이 상승한 상태에서 하강할 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사람의 신체 중 일부가 또는 반려동물이 위치하게 되더라도 끼임에 의한 안전사고가 심각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은 탄성 경도가 서로 다른 육면체의 제1 탄성 블록(210) 및 제2 탄성 블록(220)으로 분할 구성된다. 그리고 "탄성 경도"라 함은, 탄성소재의 푹신함 또는 딱딱함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탄성 블록(210)은 후술할 모션 프레임(300)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400)의 하면에 접합 고정되며, 상기 제2 탄성 블록(220)은 일측면이 상기 제1 탄성 블록(210) 및 지지플레이트(400)에 면 접촉하는 상태로 접합되고 다른 일측면이 상기 배드부(100)의 하면에 대해 면 접촉하는 상태로 접합하여 상기 배드부(100)의 일부 하중을 직접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 탄성 블록(210)과 상기 제2 탄성 블록(220)은 탄성 경도(17kgf/314㎠, 14kgf/314㎠)를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 예컨대, 상기 제1 탄성 블록(210)의 탄성 경도를 상기 제2 탄성 블록(220)의 탄성 경도 보다 높은 것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 탄성 블록(220) 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탄성 블록(210)은 상기 배드부(100)의 하중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탄성 경도를 높은 것으로 채택하며, 상기 제2 탄성 블록(220)은 끼임 사고에 대비하여 완충효과를 높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제2 탄성 블록(220)의 폭 넓이는 상기 제1 탄성 블록(210)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탄성 블록(210)과 제2 탄성 블록(220)의 바닥면에는 상호 접합면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면 커버(230)를 추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도 3 참조).
즉, 상기 바닥면 커버(230)는 상기 제1 탄성 블록(210)과 제2 탄성 블록(220)의 바닥면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수용부를 형성하여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써,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션 프레임(3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 안쪽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상체, 둔부, 허벅지 및 종아리를 지지하는 등판 프레임(310), 둔부 프레임(320), 허벅지 프레임(330), 다리 프레임(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등판 프레임(310), 둔부 프레임(320), 허벅지 프레임(330), 다리 프레임(340)은 독립적으로 분할 구성되어 상호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둔부 프레임(320)의 하부에는 상기 모션 프레임(300)을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상기 모션 프레임(300)의 하중을 지지하고 안정된 자세 유지를 위한 바닥 지지 프레임(350)이 설치된다.
즉, 상기 둔부 프레임(320)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등판 프레임(310), 허벅지 프레임(330) 및 다리 프레임(340)이 상하방향으로 힌지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모션 프레임(300)은 외부의 충격 및 하중에 대해 높은 내구성을 가지는 금속재로 제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결합 구조는 당 업계에서 공지된 것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00)는 상기 모션 프레임(30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배드부(100)의 테두리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하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플레이트(400)는 상기 등판 프레임(310), 둔부 프레임(320), 허벅지 프레임(330), 다리 프레임(340)의 상면에 각각 얹혀지는 평판형 판재로써, 각 프레임의 폭방향 넓이보다 넓게 외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합성목 또는 천연목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타공철판, 와이어 메쉬, 철재 가공품 또는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동 실린더(500)는 상기 모션 프레임(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밀거나 당기는 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등판 프레임(310), 허벅지 프레임(330), 다리 프레임(340)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전동 실린더(500)는 상기 등판 프레임(310)과 둔부 프레임(32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실린더(310) 및 제2 실린더(32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실린더(310)는 일단이 상기 등판 프레임(3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지지브라켓(311)에 고정되고, 제1 실린더(510)의 로드부재 끝단은 상기 둔부 프레임(3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실린더 지지브라켓(321)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실린더(520) 역시 로드부재가 상기 둔부 프레임(320)에 고정되어 상기 허벅지 프레임(330) 및 다리 프레임(340)의 경사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실린더(520)의 로드부재가 신축되는 작용에 의해 상기 허벅지 프레임(330) 및 다리 프레임(340)의 경사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션 프레임(200)에는 상기 전동 실린더(500)의 상기 제2 실린더(520) 작용에 의해 상기 허벅지 프레임(330)의 상승시, 상기 다리 프레임(340)의 끝단이 미끄러지는 끌림 현상 없이 상기 허벅지 프레임(330)과 함께 상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승강 지지하는 고정 지지프레임(360)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 지지프레임(360)의 구성에 의해 상기 다리 프레임(340)이 끌림에 의한 마찰 및 진동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다리 프레임(340)에 대하여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하중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굽혀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버틸 수 있는 안전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지지프레임(360)은 상기 둔부 프레임(320)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는 제1 고정 브라켓(361), 상기 다리 프레임(340)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는 제2 고정 브라켓(362), 상기 제1 고정 브라켓(361)과 제2 고정 브라켓(362)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 받침프레임(36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 지지프레임(360)은 상기 힌지 받침프레임(363)이 상기 허벅지 프레임(330)을 가로질러 상기 다리 프레임(340)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 받침프레임(363)은 상기 허벅지 프레임(330)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힌지 받침프레임(363)은 상기 허벅지 프레임(330)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된다.
즉, 상기 힌지 받침프레임(363)과 허벅지 프레임(33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허벅지 프레임(330)의 각도 변화에 대응하는 상기 힌지 받침프레임(363)의 각도 변화 및 받쳐주는 힘의 작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 지지프레임(360)은 상기 전동 실린더(500)를 사이에 두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다리 프레임(340)에 대한 지지강도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 지지 프레임(350)을 제외한 상기 배드부(100), 베이스 프레임(200), 모션 프레임(300), 지지플레이트(400) 및 전동 실린더(5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는 상태로 밴딩하여 외관 이미지를 돋보이게 하는 마감 커버(600)를 구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배드부
200 : 베이스 프레임
210 : 제1 탄성 블록
220 : 제2 탄성 블록
300 : 모션 프레임
310 : 등판 프레임
320 : 둔부 프레임
330 : 허벅지 프레임
340 : 다리 프레임
350 : 바닥 지지 프레임
360 : 고정 지지프레임
400 : 지지플레이트
500 : 전동 실린더
600 : 마감 커버

Claims (5)

  1. 적어도 두개 이상의 평판형 쿠션 패드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배드부;
    상기 배드부의 테두리 하면을 지지하도록 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틀 안쪽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상체, 둔부, 허벅지 및 종아리를 지지하는 등판 프레임, 둔부 프레임, 허벅지 프레임, 다리 프레임이 상호 힌지 연결되는 모션 프레임;
    상기 모션 프레임의 폭방향 넓이보다 넓게 외측으로 연장이 이루어지고 그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배드부의 테두리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모션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밀거나 당기는 압력을 부여하여 상기 등판 프레임, 허벅지 프레임, 다리 프레임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전동 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배드부와 바닥면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탄성 폼으로 제작이 이루어지며, 탄성 경도가 서로 다른 육면체의 제1 탄성 블록 및 제2 탄성 블록으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1 탄성 블록은 상기 모션 프레임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면에 접합 고정되며, 상기 제2 탄성 블록은 일측면이 상기 제1 탄성 블록 및 지지플레이트에 면 접촉하는 상태로 접합되고 다른 일측면이 상기 배드부의 하면에 대해 면 접촉하는 상태로 접합하여 상기 배드부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블록의 탄성 경도가 상기 제2 탄성 블록의 탄성 경도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블록의 폭 넓이는 상기 제1 탄성 블록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
  5.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블록과 제2 탄성 블록의 바닥면에는 상호 접합면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바닥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
KR1020230044906A 2023-04-05 2023-04-05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 KR102596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906A KR102596295B1 (ko) 2023-04-05 2023-04-05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906A KR102596295B1 (ko) 2023-04-05 2023-04-05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295B1 true KR102596295B1 (ko) 2023-10-30

Family

ID=8855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906A KR102596295B1 (ko) 2023-04-05 2023-04-05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2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932B1 (ko) 1998-10-07 2002-04-22 장병우 전동기의과전압방지장치
KR101967738B1 (ko) 2017-06-01 2019-04-10 이경환 보강구조를 갖는 전동침대
KR102103187B1 (ko) * 2018-12-18 2020-04-22 (주)대우가구 전동침대의 프레임 안착 바닥판 및 그 안착바닥판 제조방법
KR102123566B1 (ko) * 2018-04-05 2020-06-16 (주)에몬스가구 매트리스 일체형 전동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932B1 (ko) 1998-10-07 2002-04-22 장병우 전동기의과전압방지장치
KR101967738B1 (ko) 2017-06-01 2019-04-10 이경환 보강구조를 갖는 전동침대
KR102123566B1 (ko) * 2018-04-05 2020-06-16 (주)에몬스가구 매트리스 일체형 전동 침대
KR102103187B1 (ko) * 2018-12-18 2020-04-22 (주)대우가구 전동침대의 프레임 안착 바닥판 및 그 안착바닥판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58791A (en) Mattress pad
KR101948643B1 (ko) 기능성 침대
US10918550B2 (en) Adjustable bed systems with rotating articulating bed frame
JP5192287B2 (ja) ベッド用マットレス
CA1094235A (en) Sleep unit
KR102596295B1 (ko) 모션 프레임을 구비한 매트리스
US4858258A (en) Mattress and supporting structure therefor
EP1912536B1 (en) Bed assembly
US20200229609A1 (en) Coil spring mattress construction
RU95234U1 (ru) Диван-кровать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KR101223769B1 (ko) 다수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의료용 침대
US3855652A (en) Couch
CN209171791U (zh) 一种双调节背靠垫的床架
KR200433808Y1 (ko) 경사진 침대
JP5871377B2 (ja) マットレス用クッション体
RU214079U1 (ru) Диван-еврокнижка
US3857121A (en) Sofa beds
CN109965586A (zh) 一种升降床系统及结构
CN217365168U (zh) 一种升降调节床垫内芯
BE1006900A3 (nl) De individuele ergonomische ligzool als ondervlak voor alle ligdoeleinden.
RU219332U1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кровать
CN220089013U (zh) 靠背分体床
CN110652404B (zh) 一种居家照料运动家具
CN209285979U (zh) 一种医用电动升降病床
KR102574855B1 (ko) 좌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