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643B1 - 기능성 침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643B1
KR101948643B1 KR1020180070747A KR20180070747A KR101948643B1 KR 101948643 B1 KR101948643 B1 KR 101948643B1 KR 1020180070747 A KR1020180070747 A KR 1020180070747A KR 20180070747 A KR20180070747 A KR 20180070747A KR 101948643 B1 KR101948643 B1 KR 101948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backrest
seat
bed
so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병문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에이치 filed Critical (주)디자인에이치
Priority to KR1020180070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20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thereby uncovering one or more auxiliary parts previously hidden
    • A47C17/207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thereby uncovering one or more auxiliary parts previously hidden with seat cushion consisting of multiple superposed parts, at least one lower hidden part being used to form part of the bed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거치하는 매트리스의 두께를 크게 증대시켜도 안정적으로 소파 또는 침대로 전환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공간적 사용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사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좌석매트리스(2)와 등받이매트리스(3)가 평행하게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가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며 절첩되도록 된 기능성 침대(1)에 있어서;
상기 좌석매트리스(2)와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는, 각각 독립적으로 연접되면서 배치되며;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는,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1차적으로 승강된 상태에서 2차적으로 선택된 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된 기능성 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침대{A bed}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파로 겸용할 수 있도록 된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거치하는 매트리스의 두께를 크게 증대시켜도 안정적으로 소파 또는 침대로 전환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공간적 사용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사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기능성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 및 소파는 서구식 주거환경에서 생활하는 대부분의 현대인들이 즐겨 사용하는 가구의 하나로, 사용자가 안거나 누워 안락한 취침 및 휴식을 취하는 것에 적용된다.
한편, 근자에는 원룸이나 고시원과 같이 좁은 주거환경이 늘어나면서, 좁은 공간에 소파와 침대같이 부피가 큰 가구를 모두 갖추고 생활하는 것에 공간적 사용성이 떨어져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침대와 소파를 겸용할 수 있는 다기능 가구, 이를 테면 절첩식 침대가들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30867호(명칭: 침대 소파 겸용 다기능 가구/2010.04.05.)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접고 펼 수 있도록 상면이 연결된 두 개의 쿠션블록과, 상기 두 개의 쿠션블록 하면에 각각 결합된 보강판과, 상기 보강판 중 어느 하나에 접철 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매트리스;와, 상기 제1 매트리스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 매트리스;와, 두 개의 가로대와 상기 두 개의 가로대사이에 수직하게 연결된 두 개의 세로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제2 매트리스가 각각 상기 지지대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올려지는 내부프레임; 및 상기 내부프레임 및 상기 제1/제2 매트리스를 감싸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지지대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를 그 양측면에 구비한 외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가구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17628호(명칭: 침대겸용 소파/2005.06.2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저면 사방에서 고정된 다리와, 양측면에서 역전방지쇠를 갖고 설치된 한 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양측면의 일단에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후방 영역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이에 고정볼트가 체결된 한 쌍의 고정부를 갖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양측면에서 각각 마련된 연결부재와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역전방지쇠에 의해 회동방향이 단속되는 래칫휠이 설치된 한 쌍의 팔걸이프레임과; 상기 고정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는 등받이프레임과, 쿠션을 갖고 상기 프레임본체의 표면에 위치하며 양측부가 다단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첩부가 형성된 시트부재와; 쿠션을 갖고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등받이프레임에서 착탈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시트의 후방 영역에 위치하는 등받이부재를 포함하는 소파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24444호(명칭: 침대 및 소파 겸용 가구/2005.08.24.)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등받이 평판이 일 측으로 설치된 제1 침상 부재 및; 제1 침상 부재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침대를 형성하는 제2 침상 부재를 포함하고, 제1 침상 부재는 제2 침상 부재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소파로서 기능하는 가구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16911호(명칭: 소파 겸용 침대/2003.05.3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좌판부와 등받이부를 각도조절 장치로 연결 형성하여된 절첩식 매트리스를 프레임에 안착 시켜된 공지의 소파 겸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중앙 양측으로 레일을 형성하되 일측끝으로 레일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첩식 매트리스의 좌판부 하부의 중앙 양측으로 로울러를 형성하여 상기 레일 일측끝으로 형성된 레일홈부로 상기 좌판부 하부의 중앙 양측으로 형성된 로울러를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 전방으로 이동 시키며, 상기 프레임 일측면에 리턴스프링에 의해 복원되는 스토퍼를 형성하되 좌판부 일측면으로 두개의 고정홈부를 형성하여 된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30867호(명칭: 침대 소파 겸용 다기능 가구/2010.04.05.)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17628호(명칭: 침대겸용 소파/2005.06.20.)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5-0024444호(명칭: 침대 및 소파 겸용 가구/2005.08.24.)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16911호(명칭: 소파 겸용 침대/2003.05.30.)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능성 침대들은, 사용자가 거치하는 매트리스를 절첩하여 좌석부와 등받이를 형성함으로서 소파로 전환하거나 펼쳐 침대로 전환하여 소파 및 침대로 각각 사용하도록 됨으로서 공간사용효율을 향상시킬수는 있으나, 매트리스의 절첩에 대한 동작구성에 의해 매트리스의 두께를 크게 형성할 수 없어 사용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에게 안락한 탄성을 부여하는 매트리스를 고품질로 형성할 수 없어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소파 또는 침대로의 전환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작동이 힘듬은 물론, 소파로의 전환할 경우에 좌석매트리스에 대한 등받이매트리스의 각도조절이 미세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거치하는 매트리스의 두께를 크게 증대시켜도 안정적으로 소파 또는 침대로 전환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공간적 사용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사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기능성 침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침대는, 좌석매트리스와 등받이매트리스가 평행하게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등받이매트리스가 상기 좌석매트리스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며 절첩되도록 된 기능성 침대에 있어서; 상기 좌석매트리스와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연접되면서 배치되며;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는, 상기 좌석매트리스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1차적으로 승강된 상태에서 2차적으로 선택된 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좌석매트리스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석매트리스에는, 수직상으로 승강하도록 된 받침매트리스가 수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매트리스와 상기 받침매트리스를 승강시키도록 된 승강실린더들과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를 회동시키도록 된 회동실린더들을 포함하는 유압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침대는, 사용자가 거치하는 각각의 좌석매트리스 및 등받이매트리스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절첩동작을 수행하도록 됨으로서, 두께를 크게 증대시켜도 안정적으로 구동됨에 따라, 공간적 사용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등받이매트리스 및 받침매트리스의 구동이 유압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전자적 콘트롤을 통해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어, 수작업에 의해 직접적콘트롤 및 무선통신망(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통신망)에 의한 간접적콘트롤의 적용에 각각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가능성 침대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침대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침대를 구성하는 받침매트리스의 구동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침대를 구성하는 등받이매트리스의 구동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침대를 구성하는 진동저감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는, 사용자가 눕거나 앉아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하도록 된 좌석매트리스(2)와 등받이매트리스(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좌석매트리스(2) 및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의 표면에 사용자가 거치하는 것에 적용된다.
상기에서 좌석매트리스(2)와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는, 자체탄성을 가지는 "라텍스"를 재질로 하여 형성되어 사용자에서 탄성을 부여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등받이매트리스(3)는, 상기 죄석매트리스(2)의 일측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갯수"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에서, 상기 좌석매트리스(2)와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는 각각 평행하게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가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며 절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좌석매트리스(2)와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를 펼치거나, 절첩하여 침대 또는 소파로 각각 전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간사용효율을 증대시키면서 소파 및 침대의 기능을 구현하게 되어, 사용효율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에서, 상기 좌석매트리스(2)와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는, 각각 독립적으로 연접되면서 배치되며;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는,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1차적으로 승강된 상태에서, 2차적으로 선택된 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거치하는 각각의 상기 좌석매트리스(2) 및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절첩동작을 수행하도록 된다.
따라서, 각각의 상기 좌석매트리스(2) 및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들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두께를 크게 증대시켜도 안정적으로 구동됨에 따라, 공간적 사용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사용품질을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에서,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는, 수직상으로 승강하도록 된 받침매트리스(4)가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받침매트리스(4)가 상기 좌석매트리스(2)상에서 상승하여 돌출되거나 하강하여 수납됨으로서, 머리받침 및 팔걸이로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좌석매트리스(2)에는, 상기 받침매트리스(4)가 수납되는 수납공간부(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는,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좌석매트리스(2) 및 등받이매트리스(3)를 각각 지지하도록 된 지지프레임(5)을 더 가지며; 상기 지지프레임(5)에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 및 상기 받침매트리스(4)가 구비된다.
상기에서 지지프레임(5)은, '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는,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와 상기 받침매트리스(4)를 승강시키도록 된 승강실린더(6)들과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를 회동시키도록 된 회동실린더(7)들을 포함하는 유압시스템을 가진다.
즉, 상기 수납공간부(21)에 상기 받침매트리스(4)를 승강시키도록 된 한 쌍의 승강실린더(6)들이 배치되어 상기 받침매트리스(4)를 필요에 따라 승강하도록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5)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기 승강실린더(6)들을 통해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를 승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지프레임(5)에 구비되는 한 쌍의 상기 회동실린더(7)들을 통해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를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 및 상기 받침매트리스(4)의 구동이, 전자적 조작에 의한 제어를 통해 구동되는 유압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전자적 콘트롤을 통해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어, 수작업에 의해 직접적콘트롤 및 무선통신망(스마트폰을 통한 인터넷통신망)에 의한 간접적콘트롤의 적용에 각각 적합하게 설계하여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된다.
상기에서 회동실린더(7)들은, '다단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와 상기 승강실린더(6)들 및 상기 회동실린더(7)들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하고, 상기 회동실린더(7)들과 상기 지지프레임(5)은,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가 승강된 후 회동될 때,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와 상기 승강실린더(6) 및 상기 회동실린더(7) 및 상기 지지프레임(5)이 각각 회동동작을 구현하도록 되어, 상기 등받이매트리스의 상승과 회동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석매트리스(2)와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가 펼쳐진 상태를 형성되어 침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매트리스(4)를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상기 승강실린더(6)들의 제어를 통해 상승시켜 머리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소파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를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상기 승강실린더(6)들의 제어를 통해 1차적으로 상승시킨 후, 상기 회동실린더(7)들의 제어를 통해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켜 등받이로 적용하여 소파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매트리스(4)를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상기 승강실린더(6)들의 제어를 통해 상승시켜 팔걸이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침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한 동작을 역순으로 적용하면 상기 좌석매트리스(2)와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가 펼쳐진 상태를 형성하여 침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침대(1)에는,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6)들 및 회동실린더(7)들의 구동에 따른 진동에너지는 탄성에너지를 통해 상쇄하도록 된 진동저감수단(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진동저감수단(8)을 통해, 침대 또는 소파로의 전환시에 발생하는 각종 진동압을 상쇄하여 정숙성을 향상시키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진동저감수단(8)은, 상기 지지프레임(5)의 하부에 바닥면측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다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단 및 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5)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다리(91)와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다리(92)들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탄성스프링(81)과; 내부에 상기 탄성스프링(81)을 수용하면서 상기 상부다리(91)의 하부와 상기 하부다리(92)의 상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튜브(8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탄성스프링(8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진동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상쇄시키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기능성 침대 2 : 좌석매트리스
21 : 수남공간부 3 : 등받이매트리스
4 : 받침매트리스 5 : 지지프레임
6 : 승강실린더 7 : 회동실린더
8 : 진동저감수단 81 : 탄성스프링
82 : 탄성튜브 91 : 상부다리
92 : 하부다리

Claims (3)

  1. 좌석매트리스(2)와 등받이매트리스(3)가 평행하게 배치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가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며 절첩되도록;
    상기 좌석매트리스(2)와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는, 각각 독립적으로 연접되면서 배치되며;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는,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1차적으로 승강된 상태에서 2차적으로 선택된 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 대하여 펼쳐진 상태 및 접혀진 상태를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되고;
    상기 좌석매트리스(2)에는, 수직상으로 승강하도록 된 받침매트리스(4)가 수납되도록 되며;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와 상기 받침매트리스(4)를 승강시키도록 된 승강실린더(6)와 상기 등받이매트리스(3)를 회동시키도록 된 회동실린더(7)를 가지는 유압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능성 침대(1)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6) 및 회동실린더(7)들의 구동에 따른 진동에너지를 탄성에너지를 통해 상쇄하도록 된 진동저감수단(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진동저감수단(8)은,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좌석매트리스(2) 및 등받이매트리스(3)를 각각 지지하도록 된 지지프레임(5)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다리(91)에 상단이 감싸면서 고정되며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다리(92)에 하단이 감싸면서 고정되는 탄성스프링(81)과, 내부에 상기 탄성스프링(81)을 수용하면서 상기 상부다리(91)의 하부와 상기 하부다리(92)의 상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튜브(8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침대.
  2. 삭제
  3. 삭제
KR1020180070747A 2018-06-20 2018-06-20 기능성 침대 KR101948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47A KR101948643B1 (ko) 2018-06-20 2018-06-20 기능성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747A KR101948643B1 (ko) 2018-06-20 2018-06-20 기능성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643B1 true KR101948643B1 (ko) 2019-02-15

Family

ID=6536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747A KR101948643B1 (ko) 2018-06-20 2018-06-20 기능성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64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4346A (zh) * 2020-11-23 2021-01-29 苏州垚鑫康复器材有限公司 一种带有可升降折叠板的医用床
KR20210001280U (ko) * 2019-07-12 2021-06-09 조기환 등받이가 이동되는 소파
KR102306181B1 (ko) * 2021-06-15 2021-09-28 원태희 치과용 체어 시스템
KR102423345B1 (ko) * 2021-12-24 2022-07-21 (주)다온가구 미사용시 자동으로 리프팅되어 천정에 수용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소파
KR102494907B1 (ko) * 2022-09-26 2023-02-06 (주)성우메디텍 전동식 폴더블 안마 매트리스
KR102510379B1 (ko) * 2022-09-29 2023-03-22 주식회사 보네르홈 가변형 소파
KR102583528B1 (ko) * 2023-03-21 2023-09-27 주식회사 서광퍼니처 기능성 소파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280U (ko) * 2019-07-12 2021-06-09 조기환 등받이가 이동되는 소파
KR200494753Y1 (ko) * 2019-07-12 2021-12-15 조기환 등받이가 이동되는 소파
CN112274346A (zh) * 2020-11-23 2021-01-29 苏州垚鑫康复器材有限公司 一种带有可升降折叠板的医用床
KR102306181B1 (ko) * 2021-06-15 2021-09-28 원태희 치과용 체어 시스템
KR102423345B1 (ko) * 2021-12-24 2022-07-21 (주)다온가구 미사용시 자동으로 리프팅되어 천정에 수용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소파
KR102494907B1 (ko) * 2022-09-26 2023-02-06 (주)성우메디텍 전동식 폴더블 안마 매트리스
KR102510379B1 (ko) * 2022-09-29 2023-03-22 주식회사 보네르홈 가변형 소파
KR102583528B1 (ko) * 2023-03-21 2023-09-27 주식회사 서광퍼니처 기능성 소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643B1 (ko) 기능성 침대
US9420894B2 (en) Convertible seat/bed having noncoplanar bed base sections
RU2003130742A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в кровать сидячая мебель
US5893182A (en) Combination item of furniture and foldable sleeper bed
KR101403414B1 (ko) 침대 겸 책상 유니트
KR102143833B1 (ko) 침대 겸용 전동소파
CN202604218U (zh) 一种折叠沙发床
RU95234U1 (ru) Диван-кровать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CN101262798A (zh) 家具
US20050262641A1 (en) Face-saver sun cot
KR101953996B1 (ko) 소파 겸용 침대
CN212345965U (zh) 一种多功能沙发床装置
KR101459661B1 (ko)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구조
CN212280658U (zh) 一种带有茶几的多功能沙发床
CN209171791U (zh) 一种双调节背靠垫的床架
KR101423870B1 (ko) 침대 및 테이블을 겸용하는 다용도 가구
CN207400557U (zh) 一种理疗躺椅
KR200470234Y1 (ko) 다용도 침대
KR200429165Y1 (ko) 소파 겸용 침대
KR200395547Y1 (ko) 침대겸용 소파
CN213605441U (zh) 一种方便轻巧型折叠沙发床架
KR102640633B1 (ko) 좌판 확장형 소파
KR101459662B1 (ko) 접이식 침대의 프레임 구조
KR102453235B1 (ko) 접철구동체를 갖는 매트리스
CN220157928U (zh) 一种多功能折叠沙发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