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254B1 -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254B1
KR102596254B1 KR1020210002470A KR20210002470A KR102596254B1 KR 102596254 B1 KR102596254 B1 KR 102596254B1 KR 1020210002470 A KR1020210002470 A KR 1020210002470A KR 20210002470 A KR20210002470 A KR 20210002470A KR 102596254 B1 KR102596254 B1 KR 102596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lens assembly
paragraph
radius
le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0253A (ko
Inventor
양소미
윤학영
허재혁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254B1/ko
Priority to US17/314,319 priority patent/US20220221682A1/en
Priority to TW110117613A priority patent/TWI794814B/zh
Priority to TW112103475A priority patent/TW202323895A/zh
Priority to CN202121850981.0U priority patent/CN215494296U/zh
Priority to CN202110907693.2A priority patent/CN114755799A/zh
Publication of KR20220100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0253A/ko
Priority to KR1020230143086A priority patent/KR20230150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부에 수용된 렌즈들; 및 상기 렌즈들 중 이웃하는 2개의 렌즈들 사이에 구비되고 내측에 입사공을 구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에서 상기 입사공을 둘러싸는 내측면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 및 서로 대향하는 제3 내측면과 제4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면, 상기 제2 내측면, 상기 제3 내측면, 및 상기 제4 내측면은 각각 중심에서 바라볼 때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1): R1=R2 (단, R3≠R1, R4≠R1) (여기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제1 내측면, 제2 내측면, 제3 내측면, 및 제4 내측면의 곡률반경)

Description

렌즈 조립체{lens assembly}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에 관한 기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웃하는 렌즈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에 관한 기술이다.
촬영 장치는 사람, 사물, 풍경 등의 피사체를 사진이나 영상으로 찍기 위한 장치로, 촬상 소자에 입사한 광으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를 파일로서 저장매체에 저장하거나 표시부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촬영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렌즈들 사이에는 렌즈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 스페이서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에 따라 그 재질 또는 형성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들 사이의 간격이 클 경우, 금속이나 경질 재질을 가지며, 절삭 가공 등의 기계 가공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블록 타입의 렌즈 스페이서가 사용될 수 있다. 반면, 렌즈들 사이의 간격이 작을 경우, 얇은 필름이나 판재의 형태로서, 프레스 가공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필름 타입의 렌즈 스페이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는 주변환경(예: 온도, 습도 등)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스페이서가 비대칭적인 모양(예: 디컷(D-cut)모양)을 가지는 경우,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른 스페이서의 변형 정도는 더 커질 수 있다. 이경우 스페이서의 양측에 배치된 두개 렌즈들 사이의 정렬이 미세하게 어긋날 수 있고 이는 이미지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외관 상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부에 수용된 렌즈들; 및 상기 렌즈들 중 이웃하는 2개의 렌즈들 사이에 구비되고 내측에 입사공을 구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에서 상기 입사공을 둘러싸는 내측면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 및 서로 대향하는 제3 내측면과 제4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면, 상기 제2 내측면, 상기 제3 내측면, 및 상기 제4 내측면은 각각 중심에서 바라볼 때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1): R1=R2 (단, R3≠R1, R4≠R1) (여기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제1 내측면, 제2 내측면, 제3 내측면, 및 제4 내측면의 곡률반경)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 또는 이를 구비한 렌즈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7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제8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9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의 사시도이다.
렌즈 조립체(1)는 렌즈들(101, 102), 렌즈들(101, 102)을 수용하는 렌즈 배럴(200)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조립체(1)는 렌즈들(101, 102) 사이에 구비된 스페이서(300)를 포함한다. 스페이서(300)는 이웃하는 두개 렌즈들(101, 10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학계 설계에 있어서, 렌즈들(101, 102) 사이의 간격은 이미지 품질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자로 작용하며, 스페이서(300)를 통해 양측 렌즈들(101, 102)이 정해진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내측에 입사공을 포함하고, 입사공을 통해 제1 렌즈(101)와 제2 렌즈(102) 사이에 광이 통과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300)는 일측의 렌즈(101)를 통과한 광의 일부를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300)는 제1 렌즈(101)의 주변부를 통과한 광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다. 스페이서(300)는 광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플레어(flare) 현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대략 0.01mm 내지 0.1mm의 두께를 가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 혹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대략 0.1mm 내지 0.5mm의 두께를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내지 도 10를 참고하여 렌즈들(101, 102)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300)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스페이서(300)들은 이웃하는 2개의 렌즈들(101, 102)이 포함된 어떠한 광학계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렌즈 조립체(1)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5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렌즈(예를 들어, 도 1의 렌즈들(101, 102))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절개부(30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300)는 C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300)의 양단(302, 303)은 절개부(30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된다. 스페이서(300)의 양단(302, 303)사이 간격(즉, 절개부(301)의 폭(W))은 비교적 좁게 형성되어 스페이서(300)의 상면(304)과 하면(305)에 배치된 렌즈들(101, 10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300)의 절개부(301)의 폭(W)은 스페이서(300)의 폭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대략 0.01mm 내지 0.1mm의 두께를 가지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 혹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절개부(301)의 폭(W)은 대략 0.05mm 내지 0.5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대략 0.1mm 내지 0.5mm의 두께를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절개부(301)의 폭(W)은 대략 0.1mm 내지 0.5mm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상면(304), 하면(305) 및 상면(304)에서 하면(305)으로 연장하는 측면(306)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306)은 스페이서(300)의 중심부를 향하는 내측면(307)과 바깥쪽을 향하는 외측면(308)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00)의 내측면(307)은 스페이서(300) 내측의 입사공을 적어도 일부 둘러싼다.
도 2를 참고하면, 절개부(301)를 통해 내측면(307)과 외측면(308)은 절개부(301)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면(307)과 외측면(308)은 절개부(301)를 통해 연결되어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300)는 주변환경(예: 온도, 습도 등)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스페이서(300)가 비대칭적인 모양을 가지는 경우,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변형 정도는 더 커질 수 있다. 이경우 스페이서(300)의 양측에 배치된 두개 렌즈들(101, 102) 사이의 정렬이 미세하게 어긋날 수 있고 이는 이미지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절개부(301)를 포함하고, 이는 스페이서(300)의 변형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는 스페이서(300)의 양측의 렌즈들(101, 102) 사이의 정렬이 어긋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고, 해당 스페이서(300)를 포함하는 광학계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디컷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300)는 서로 나란하게 대향하는 두개의 직선부들(310), 및 대향하는 두개의 곡선부들(309)로 구성될 수 있다. 곡선부들(309)은 원호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부들(309)은 중괄호 쌍(즉, '()')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직선부들(310)은 직선 또는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연장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의 내측면(307)과 외측면(308)은 모두 디컷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제1내측면(307a)과 제1외측면(308a)이 디컷모양의 일측 곡선부(309a)를 정의하고, 제2 내측면(307b)과 제2 외측면(308b)이 타측 곡선부(309b)를 정의할 수 있다. 또, 제3 내측면(307c)과 제3 외측면(308c)이 디컷모양의 일측 직선부(310a)를 정의하고, 제4 내측면(307d)과 제4 외측면(308d)이 타측 직선부(310b)를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의 내측면(307)과 외측면(308) 중 적어도 하나는 디컷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내측면(307)과 외측면(308)은 모두 원형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는 원형의 내측면(307)과 디컷모양의 외측면(308)을 포함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는 디컷 모양의 내측면(307)과 원형의 외측면(308)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절개부(301)는 곡선부들(309) 중 일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절개부(301)는 디컷모양의 곡선부(309a 또는 309b)를 자르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고하면 제1 내측면(307a)과 제1 외측면(308)은 디컷모양 중 일측 곡선부(309a)를 정의하고, 절개부(301)는 제1 내측면(307)의 중앙부와 제1 외측면(308)의 중앙부를 이어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절개부(301)의 위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절개부(301)는 제3 내측면(307c)과 제3 외측면(308c)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자르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절개부(301)의 폭은 스페이서(300)가 열팽창되더라도 절개부(301)의 양단(302, 303)이 서로 닿지 않도록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개부(301)의 폭은 0.05mm 내지0.5mm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의 절개부(301)는 두께방향으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고하면, 스페이서(300)는 상면(304)과 하면(305)이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고, 절개부(301)의 폭은 상면(304)과 하면(305)에서 상이(W1≠W2)할 수 있다.
도 7은 제6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7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제8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9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의 평면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의 내측면(307)은 모두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내측면(307a), 제2 내측면(307b), 제3 내측면(307c), 및 제4 내측면(307d)이 각각 원호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면(307a), 제2 내측면(307b), 제3 내측면(307c), 및 제4 내측면(307d)은 각각 제1 반경(R1), 제2 반경(R2), 제3 반경(R3), 및 제4 반경(R4)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측면(307)은 스페이서(300)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오목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의 내측면(307)의 곡률중심(center of curvature)은 내측면(307)이 향하는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면(307a)의 곡률 중심은 제1 내측면(307a)을 기준으로 -Y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내측면(307b)의 곡률 중심은 제2 내측면(307b)을 기준으로 +Y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제3 내측면(307c)의 곡률 중심은 제3 내측면(307c)을 기준으로 +X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제4 내측면(307d)의 곡률 중심은 제4 내측면(307d)을 기준으로 -X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측면들(307a, 307b, 307c, 307d)의 곡률 반경(이하, '반경')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들(307a, 307b, 307c, 307d)은 동일한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경(R1)은 제2 반경(R2)과 동일하고, 제3 반경(R3)은 제4 반경(R4)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들은 상이한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경(R1)은 제2 반경(R2)과 동일하고, 제3 반경(R3)은 제4 반경(R4)과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디컷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의 외측면(308)은 서로 나란하게 대향하는 두개의 직선부들(310a, 310b)과 서로 마주보는 곡선부들(309a, 309b)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직선부들(310a, 310b)에 대응하는 내측면(예를 들어, 제3 내측면(307c) 또는 제4 내측면(307d))의 반경은 곡선부들(309a, 309b)에 대응하는 내측면(예를 들어, 제1 내측면(307a) 또는 제2 내측면(307b))의 반경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측면(307a)과 제2 내측면(307b)은 디컷모양의 곡선부들(309a, 309b)에 대응하고, 각각 제1 반경(R1)과 제2 반경(R2)을 가진다. 제3 내측면(307c)과 제4 내측면(307d)은 디컷모양의 직선부들(310a, 310b)에 대응하고, 각각 제3 반경(R3)과 제4 반경(R4)을 가진다. 이때, 제3 반경(R3) 및 제4 반경(R4)은 제1 반경(R1) 또는 제2 반경(R2)보다 클 수 있다. 즉, 제3 내측면(307c)과 제4 내측면(307d)은 제1 내측면(307a)이나 제2 내측면(307b)에 비해 평평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호 이웃하는 제1 내측면(307a)(또는 제2 내측면(307b))과 제3 내측면(307c)(또는 제4 내측면(307d)) 사이에는 하기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0.12 < R1(or R2)/R3(or R4) < 0.50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는 오목한 내측면(307)을 포함함으로써, 스페이서(300)의 내측면(307)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생기는 플레어 현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내측면(307)이 편평한 면이나, 볼록한 면을 가지는 경우에 비해, 스페이서(300) 개구부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해당 스페이서(300)을 포함하는 광학계의 f-number(fno)를 더 높게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는 내측면(307)의 적어도 일부분에 파형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측면들(307a, 307b, 307c, 307d)은 각각 파형부(311a, 311b, 311c, 311d)을 포함한다.
도 7의 실시 예에서 제1 내측면(307a)과 제1 내측면(307a)의 곡률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1 반경(R1)으로 일정하다. 반면에 도 8을 참고하면, 원주방향을 따라 제1 내측면(307a)과 그 곡률중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때, 제1 파형부(311a)로 인해 상기 거리는 제1 반경(R1)을 기준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증감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파형부(311)와 파형부(311)가 위치된 내측면(307)의 곡률중심 사이의 거리는 내측면(307)을 따라 국소적으로 증감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파형부(311)는 복수의 골들과 복수의 마루들이 교번 배치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내측면(307)과 그 곡률중심 사이의 거리는 골에서 가장 크고 마루에서 가장 작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의 내측면(307) 전체에 파형부(311)가 존재하나, 다른 실시 예에서 내측면(307)의 일부분에만 파형부(311)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내측면(307c)과 제4 내측면(307d)은 각각 제3파형부(311c)와 제4파형부(311d)를 포함하고, 제1 내측면(307a)과 제2 내측면(307b)에서 파형부(311a, 311b)는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파형부(311)는 원호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내측면(307a)과 제2 내측면(307b)을 구성하는 파형부(311a, 311b)의 골(또는 마루) 부분은 제5 반경(R5)과 제6 반경(R6)을 가질 수 있다. 제3 내측면(307c)과 제4 내측면(307d)을 구성하는 파형부(311c, 311d)의 골(또는 마루) 부분은 각각 제7 반경(알세븐)과 제8 반경(R8)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들(307a, 307b, 307c, 307d)에 구비된 파형부들(311a, 311b, 311c, 311d)은 동일한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반경(R5)과 제6 반경(R6)은 서로 일치하고, 제7 반경(알세븐)과 제8 반경(R8)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파형부(311)는 파형부(311)가 위치된 내측면(307)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측면들(307a, 307b, 307c, 307d)은 조건식(2) 및/또는 조건식(3)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반경(R1)(또는 제2 반경(R2))과 제5 반경(R5)(또는 제6 반경(R6))은 하기 조건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반경(R3)(또는 제4 반경(R4))과 제7 반경(알세븐)(또는 제8 반경(R8))은 하기 조건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50 < R1(또는 R2)/R5(또는 R6) < 400 (단, R1<R3)
조건식 (3): 10 < R3(또는 R4)/R7(또는 R8) < 70 (단, R1<R3)
도 9와 도 10을 참고하면, 도 7 또는 도 8에서 설명된 스페이서(300)는 절개부(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의 절개부(301)는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절개부(301)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의 내측면(307)을 구성하는 제1 내측면(307a) 내지 제4 내측면(307d)은 모두 중심에서 바라볼 때 오목한 곡면을 가지고, 제1 내측면(307a)의 일부분이 절개부(301)를 통해 외측면(308)과 연결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서 스페이서(300)의 내측면(307)을 구성하는 제1 내측면(307a) 내지 제4 내측면(307d)은 모두 중심에서 바라볼 때 오목한 곡면을 가지고, 내측면(307)의 적어도 일부는 파형부(311)를 포함하며, 제1 내측면(307a)의 일부분이 절개부(301)를 통해 외측면(308)과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페이서(300)는 파형부(311)를 포함함으로써, 스페이서(300)의 내측면(307)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생기는 플레어 현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스페이서(300)의 특징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실시 예와 도 8의 실시 예는 각각 원형의 내측면(307)과 파형부(311)를 특징으로 포함하고, 이들을 조합하면 스페이서(300)는 원형의 내측면, 및 내측면에 구비된 파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렌즈 조립체
101: 제1 렌즈
102: 제2 렌즈
200: 렌즈 배럴
300: 스페이서
301: 절개부
302, 303: 스페이서의 양단
304: 스페이서 상면
305: 스페이서 하면
306: 스페이서 측면
307: 스페이서 내측면
308: 스페이서 외측면
309: 스페이서 곡선부
310: 스페이서 직선부
311: 스페이서 파형부

Claims (14)

  1.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부에 수용된 렌즈들; 및
    상기 렌즈들 중 이웃하는 2개의 렌즈들 사이에 구비되고 내측에 입사공을 구비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에서 상기 입사공을 둘러싸는 내측면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 및 서로 대향하는 제3 내측면과 제4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내측면과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면을 연결하며, 스페이서의 두께 방향을 따라 폭이 달라지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측면, 상기 제2 내측면, 상기 제3 내측면, 및 상기 제4 내측면은 각각 중심에서 바라볼 때 오목한 곡면을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1)을 만족하는 렌즈 조립체.
    조건식(1): R1=R2 (단, R3≠R1, R4≠R1)
    (여기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제1 내측면, 제2 내측면, 제3 내측면, 및 제4 내측면의 곡률반경)
  2. 제1항에 있어서,
    아래의 조건식(2)을 만족하는 렌즈 조립체.
    조건식(2): R1<R3 및 R1<R4
  3. 제1항에 있어서,
    아래의 조건식(3)을 만족하는, 렌즈 조립체.
    조건식(3): 0.12<R1/R3<0.50 (단, R3=R4)
  4. 제1항에 있어서,
    아래의 조건식(4)을 만족하는, 렌즈 조립체.
    조건식(4): 0.12<R1/R3<0.50 및 0.12<R1/R4<0.50 (단, R3≠R4)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내측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형성된 파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형부와 상기 내측면의 곡률중심 사이의 거리는 상기 내측면을 따라 국소적으로 증감을 반복하는 렌즈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부는 상기 제1 내측면에 형성된 제1 파형부를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5)을 만족하는, 렌즈 조립체.
    조건식(5): 50<R1/R5<400 (단, R1<R3)
    (여기서, R5는 상기 제1 파형부 중 골(또는 마루) 부분의 반경)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부는 상기 제3 내측면에 형성된 제3 파형부를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6)을 만족하는, 렌즈 조립체.
    조건식(6): 10<R3/R7<70 (단, R1<R3)
    (여기서, R7는 상기 제3 파형부 중 골(또는 마루) 부분의 반경)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서로 대향하는 직선부들 및 서로 대향하는 곡선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곡선부들 중 일부분에 형성되는 렌즈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은 모두 디컷모양인 렌즈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은 원형이고, 상기 외측면은 디컷모양인 렌즈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은 모두 원형인 렌즈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폭은 0.05mm 이상 0.5mm 이하인 작은 렌즈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0.01mm 이상 0.5mm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렌즈 조립체.

KR1020210002470A 2021-01-08 2021-01-08 렌즈 조립체 KR10259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470A KR102596254B1 (ko) 2021-01-08 2021-01-08 렌즈 조립체
US17/314,319 US20220221682A1 (en) 2021-01-08 2021-05-07 Lens assembly
TW110117613A TWI794814B (zh) 2021-01-08 2021-05-17 透鏡組合
TW112103475A TW202323895A (zh) 2021-01-08 2021-05-17 透鏡組合
CN202121850981.0U CN215494296U (zh) 2021-01-08 2021-08-09 透镜组件
CN202110907693.2A CN114755799A (zh) 2021-01-08 2021-08-09 透镜组件
KR1020230143086A KR20230150933A (ko) 2021-01-08 2023-10-24 렌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2470A KR102596254B1 (ko) 2021-01-08 2021-01-08 렌즈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3086A Division KR20230150933A (ko) 2021-01-08 2023-10-24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0253A KR20220100253A (ko) 2022-07-15
KR102596254B1 true KR102596254B1 (ko) 2023-11-01

Family

ID=797574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2470A KR102596254B1 (ko) 2021-01-08 2021-01-08 렌즈 조립체
KR1020230143086A KR20230150933A (ko) 2021-01-08 2023-10-24 렌즈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3086A KR20230150933A (ko) 2021-01-08 2023-10-24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21682A1 (ko)
KR (2) KR102596254B1 (ko)
CN (2) CN114755799A (ko)
TW (2) TWI794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254B1 (ko) * 2021-01-08 2023-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795A (ja) * 2003-01-31 2004-08-19 Tamron Co Ltd レンズスペーサ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及びレンズユニット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833B2 (ja) * 1991-07-02 2000-05-2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防滴防水カメラ用レンズ鏡筒
JP2012002979A (ja) * 2010-06-16 2012-01-05 Panasonic Corp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02108200B1 (ko) * 2017-12-12 2020-05-0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473880B2 (en) * 2017-12-12 2019-11-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mera module, and lens assembly
KR20200031512A (ko) * 2018-09-14 2020-03-24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212111945U (zh) * 2020-06-24 2020-12-08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成像镜头
KR102596254B1 (ko) * 2021-01-08 2023-11-0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3795A (ja) * 2003-01-31 2004-08-19 Tamron Co Ltd レンズスペーサ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及びレンズユニット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21682A1 (en) 2022-07-14
KR20230150933A (ko) 2023-10-31
KR20220100253A (ko) 2022-07-15
TW202229954A (zh) 2022-08-01
TW202323895A (zh) 2023-06-16
TWI794814B (zh) 2023-03-01
CN114755799A (zh) 2022-07-15
CN215494296U (zh)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50933A (ko) 렌즈 조립체
US8941913B2 (en) Infrared optical lens system
TWI545339B (zh) 可攜式裝置之小型窄視場光學成像鏡頭
KR102435997B1 (ko) 촬상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20230004415A (ko) 촬상 광학계
US20130242411A1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US20190285849A1 (en) Optical imaging lens
US11982795B2 (en) Optical imaging lens including eight lenses of +−+−++−− or +−+−−+−−; or nine lens of +−+−−+−−−, or +−+−++−−−refractive powers
EP1653267A3 (en) Compact imaging lens having three single lenses
CN111929814A (zh) 光学成像镜头
US8902514B2 (en) Diffractive lens
JP2022119781A5 (ko)
KR20230084109A (ko) 반사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반사모듈
JP2003140048A5 (ko)
JP2003043355A (ja) 弱い前側の素子を有する二群ズームレンズ
US20110216419A1 (en) Erecting and unity-magnifying lens array and contact image sensor
US11513317B2 (en) Lens device under cover glass and lens assembly
KR102445654B1 (ko) 스페이서 또는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230173878A (ko) 렌즈 조립체
KR102392164B1 (ko)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58508A (ko)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950009290A (ko) 소형 줌 렌즈
KR20210027195A (ko) 렌즈 조립체
US9645347B2 (en) Spacer for lense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40006199A (ko) 렌즈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