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7195A -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7195A
KR20210027195A KR1020200109662A KR20200109662A KR20210027195A KR 20210027195 A KR20210027195 A KR 20210027195A KR 1020200109662 A KR1020200109662 A KR 1020200109662A KR 20200109662 A KR20200109662 A KR 20200109662A KR 20210027195 A KR20210027195 A KR 20210027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pacer
edge
optical axis
len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260B1 (ko
Inventor
양소미
김진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27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195A/ko
Priority to KR102023006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4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광축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페이서는 개구를 구비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면은 상기 어느 하나의 렌즈와 이격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렌즈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조립체{Lens assembly}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에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구비되며, 복수의 렌즈들 사이에는 렌즈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가 배치된다.
최근 카메라 모듈과 렌즈 조립체의 크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복수의 렌즈 간의 간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게 되어 정밀한 간격 조정이 필요하다.
복수의 렌즈들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와 같은 기구물의 경우, 기구물을 제조하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조 오차 및/또는 조립 공차 등이 발생하게 되므로, 복수의 렌즈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맞추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의 렌즈 중 일부 렌즈가 기울어진 상태(즉, tilt 발생)로 조립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의 광축이 틀어지게 되며, 이는 촬영되는 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렌즈의 틸트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렌즈 조립체의 소형화를 위하여 스페이서도 크기를 줄일 필요성이 있으나, 스페이서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면 내구성 및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광축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페이서는 개구를 구비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면은 상기 어느 하나의 렌즈와 이격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렌즈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와 이격 배치된 제2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및 상기 스페이서는 각각, 광축과 교차하고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 중 어느 한 축의 길이가 다른 한 축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스페이서는 광이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서 상기 제1 렌즈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면은 상기 제1 렌즈와 이격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렌즈를 접촉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렌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렌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스페이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스페이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스페이서의 일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렌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렌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복수의 렌즈, 스페이서(300) 및 렌즈 배럴(40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복수의 렌즈로서 제1 렌즈(100)와 제2 렌즈(200)가 도시되어 있고, 제1 렌즈(100)와 제2 렌즈(200)가 광축 방향을 따라 적층 배치된 구조가 제시되어 있으나, 렌즈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복수의 렌즈는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200) 이외에 다른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서로 인접한 렌즈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일 예로, 제1 렌즈(100)와 제2 렌즈(200)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제1 렌즈(100)와 제2 렌즈(200) 사이에는 스페이서(300)가 배치된다.
스페이서(300)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스페이서(300)에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도록 광 흡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광 흡수층은 흑색 피막 또는 흑색 산화철일 수 있다.
스페이서(3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및 스페이서(300)는 렌즈 배럴(400)의 내부에 수용된다. 복수의 렌즈는 렌즈 배럴(400)의 내부에서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렌즈 사이에 스페이서(300)가 배치된다. 렌즈 배럴(400)은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 렌즈(100)와 제2 렌즈(200)는 비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복수의 렌즈가 다른 렌즈를 더 포함할 경우, 제1 렌즈(100) 및 제2 렌즈(200)는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렌즈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렌즈가 모두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비원형이라는 의미는, 플라스틱 사출 렌즈의 게이트 이외의 영역에서 렌즈가 원형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비원형인 렌즈는 4개의 측면을 갖고, 2개의 측면끼리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측면은 대응되는 형상이다.
예를 들어,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렌즈(100)의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은 원호(arc) 형상이고, 제3 측면(23)과 제4 측면(24)은 대체로 직선 형상이다(도 3 참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수지재의 이동통로인 게이트는 제1 측면(21) 및 제2 측면(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측면(23)과 제4 측면(24)은 각각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을 연결한다. 또한, 제3 측면(23)과 제4 측면(24)은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L1)는 광축과 교차하고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 중 어느 한 축의 길이가 다른 한 축의 길이보다 길다.
비원형인 렌즈는 광축과 교차하는 제1 축과 제2 축을 갖는다. 예컨대, 제1 축은 광축을 지나면서 제1 측면(21)과 제2 측면(22)을 연결하는 축일 수 있고, 제2 축은 광축을 지나면서 제3 측면(23)과 제4 측면(24)을 연결하는 축일 수 있다. 제1 축과 제2 축은 서로 수직하며, 제1 축의 길이는 제2 축의 길이보다 길다.
원형이라는 의미는, 플라스틱 사출 렌즈의 게이트가 제거된 형상(즉, 원의 일부가 잘린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제1 렌즈(100)와 제2 렌즈(200)는 비원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렌즈(100)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렌즈(100)는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제1 렌즈(100)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학부(10)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광학부(10)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비구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부(30)는 제1 렌즈(100)를 다른 구성, 일 예로, 렌즈 배럴(400) 또는 제2 렌즈(200)에 고정하는 부분일 수 있다.
플랜지부(30)는 광학부(10)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서 연장되며, 광학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는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10)와 플랜지부(30)는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비원형이다(도 3 및 4 참조). 이와는 달리 광학부(10)는 원형이고 플랜지부(30)가 비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학부(10)는 제1 가장자리(11), 제2 가장자리(12), 제3 가장자리(13) 및 제4 가장자리(14)를 포함하고,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며,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각각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한다.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는 원호(arc) 형상을 갖고,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대체로 직선 형상을 갖는다.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는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길다.
광학부(10)는 장축(a, Major axis)과 단축(b, Minor axis)을 갖는다. 일 예로,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광축을 지나면서 제3 가장자리(13)와 제4 가장자리(14)를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선분이 단축(b)이고, 광축을 지나면서 제1 가장자리(11)와 제2 가장자리(12)를 연결하며 단축(b)에 수직한 선분이 장축(a)이다.
광학부(10)의 장축(a)의 길이는 단축(b)의 길이보다 길다.
플랜지부(30)는 제1 플랜지부(31) 및 제2 플랜지부(32)를 포함하고, 제1 플랜지부(31)는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에서 연장되며, 제2 플랜지부(32)는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에서 연장된다.
광학부(10)의 제1 가장자리(11)는 제1 플랜지부(31)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2 가장자리(12)는 제2 플랜지부(32)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광학부(10)의 제3 가장자리(13)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일 측면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0)의 제4 가장자리(14)는 플랜지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0)의 타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렌즈(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되고,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100)의 제3 가장자리(13) 및 제4 가장자리(14)는 사출 성형 후에 렌즈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한 것이 아니라, 사출 성형 단계에서 위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제조된 것이다.
사출 성형 후에 렌즈의 일부를 제거하는 경우, 렌즈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렌즈가 변형될 우려가 있고, 이에 따라 렌즈의 광학 성능이 변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100)는, 사출 시에 제1 렌즈(100)가 비원형으로 성형되므로, 제1 렌즈(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제1 렌즈(100)의 성능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스페이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스페이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스페이서(300)는 제1 렌즈(100)와 제2 렌즈(200) 사이에 배치되며, 바디부를 포함한다.
예컨대, 스페이서(300)는 제1 바디부(310)와 제2 바디부(330)를 포함한다. 제1 바디부(310)는 제1 렌즈(100)를 향하는 측에 구비되고, 제2 바디부(330)는 제2 렌즈(200)를 향하는 측에 구비된다.
스페이서(300)는 빛을 통과시키는 개구(350)를 구비한다. 일 예로, 제1 바디부(310)의 내측 둘레면(311)과 제2 바디부(330)의 내측 둘레면(331)에 의해 개구(350)가 형성된다. 즉, 제1 바디부(310)의 내측 둘레면(311)과 제2 바디부(330)의 내측 둘레면(331)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개구(350)의 역할을 한다.
제1 바디부(310)의 내측 둘레면(311)과 제2 바디부(330)의 내측 둘레면(331)은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형이다. 다만, 제1 바디부(310)의 외측 둘레면(312)과 제2 바디부(330)의 외측 둘레면(332)은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비원형이다. 즉, 제1 바디부(310)와 제2 바디부(330)는 각각 내측 둘레면(311, 331)과 외측 둘레면(312, 332)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다.
스페이서(300)는 광축과 교차하고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 중 어느 한 축의 길이가 다른 한 축의 길이보다 길다.
예컨대, 제1 바디부(310)의 외측 둘레면(312)의 형상은 제1 렌즈(100)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바디부(310)의 외측 둘레면(312)은 제1 외측면(312a), 제2 외측면(312b), 제3 외측면(312c) 및 제4 외측면(312d)을 포함한다.
제1 외측면(312a)과 제2 외측면(312b)은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제3 외측면(312c)과 제4 외측면(312d)은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제1 외측면(312a)과 제2 외측면(312b)은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제3 외측면(312c)과 제4 외측면(312d)은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다.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외측면(312a)과 제2 외측면(312b)은 원호(arc) 형상이고, 제3 외측면(312c)과 제4 외측면(312d)은 대체로 직선 형상이다.
제3 외측면(312c)과 제4 외측면(312d)은 각각 제1 외측면(312a)과 제2 외측면(312b)을 연결한다.
또한, 제3 외측면(312c)과 제4 외측면(312d)은 광축을 중심으로 대칭이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측면(312a)과 제2 외측면(312b) 사이의 최단거리는 제3 외측면(312c)과 제4 외측면(312d)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길다.
제1 외측면(312a) 및 제2 외측면(312b)과 내측 둘레면(311)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3 외측면(312c) 및 제4 외측면(312d)과 내측 둘레면(311) 사이의 간격보다 크다.
제2 바디부(330)는 외경이 제1 바디부(310)의 외경보다 작은 것을 제외하면 대체로 제1 바디부(3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 바디부(330)의 외측 둘레면(332)의 형상은 제1 바디부(310)의 외측 둘레면(312)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스페이서(300)는 제1 렌즈(100)와 마주보는 면 전체가 제1 렌즈(100)와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일 부분만 제1 렌즈(100)와 접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1 바디부(310)에는 연장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장부(313)는 제1 바디부(310)의 일면에서 제1 렌즈(100)를 향해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13)는 제1 외측면(312a)과 내측 둘레면(311) 사이 및 제2 외측면(312b)과 내측 둘레면(3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313)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일 예로, 연장부(313)는 적어도 3개의 돌기를 포함한다.
제1 바디부(310)는 제1 렌즈(100)와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연장부(313)는 제1 렌즈(100)를 접촉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연장부(313)는 제1 렌즈(100)의 플랜지부(30)를 접촉 지지한다. 연장부(313)가 3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경우, 1개의 돌기가 제1 플랜지부(31)를 접촉 지지하고, 나머지 2개의 돌기가 제2 플랜지부(32)를 접촉 지지한다.
연장부(313)가 4개의 돌기를 포함하는 경우, 2개의 돌기가 제1 플랜지부(31)를 접촉 지지하고, 나머지 2개의 돌기가 제2 플랜지부(32)를 접촉 지지한다.
한편, 연장부(313)는 제1 바디부(310)의 내측 둘레면(311) 및 외측 둘레면(312)과 이격되도록 제1 바디부(310)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300)를 제조하고 조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조 오차 및/또는 조립 공차 등에 의하여 복수의 렌즈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맞추기 어려울 수 있다.
즉, 스페이서(300)와 제1 렌즈(100)의 접촉면이 넓을수록 제조 오차 및/또는 조립 공차 등의 영향이 커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스페이서(300)가 연장부(313)를 통해 제1 렌즈(100)와 접촉하므로, 제1 렌즈(100)와의 접촉면이 형성되는 연장부(313)의 평행도만 관리하면 되기 때문에, 복수의 렌즈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 중 일부 렌즈가 기울어진 상태(즉, tilt 발생)로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스페이서(300)가 일 부분에서만 제1 렌즈(100)를 접촉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스페이서(300)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스페이서(300)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높이는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스페이서(300)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복수의 렌즈 사이의 간격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디부(330)의 일면에도 연장부(33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페이서(300)는 제2 렌즈(200)와 마주보는 면 전체가 제2 렌즈(200)와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일 부분만 제2 렌즈(20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바디부(330)에는 연장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연장부(333)는 제2 바디부(330)의 일면에서 제2 렌즈(200)를 향해 돌출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33)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한다. 일 예로, 연장부(333)는 적어도 3개의 돌기를 포함한다.
제2 바디부(330)는 제2 렌즈(200)와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연장부(333)는 제2 렌즈(200)를 접촉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스페이서의 일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300)는 외측 둘레면(312) 및 내측 둘레면(311)의 적어도 일부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측 둘레면(312)과 내측 둘레면(311)은 적어도 일부가 제1 바디부(310)의 일면을 향할수록 서로 가까워지게 경사질 수 있다.
광축에 대한 외측 둘레면(312)의 경사각과, 광축에 대한 내측 둘레면(311)의 경사각을 각각 a라 하면, a는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조건식 1] 0.5° ≤ a ≤ 60°
한편, 연장부(313)의 각 돌기도 돌출된 방향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13)의 각 돌기가 광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도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스페이서(300)는 높이(h1)를 갖고, 연장부(313)는 높이(h2)를 갖는다. 여기서, 높이는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의미한다.
스페이서(300)의 높이(h1)는 제1 바디부(310)에서 돌출된 연장부(313)의 높이를 포함한 높이이다.
여기서, 연장부(313)의 높이(h2)와 스페이서(300)의 높이(h1)의 비(h2/h1)는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조건식 2] 0.00333 < h2/h1 < 0.667
한편, 스페이서(300)의 높이(h1)와 연장부(313)의 높이(h2)는 조건식 2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각각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예컨대, 조건식 2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h1의 값은 조건식 3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h2의 값은 조건식 4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조건식 3] 0.1 mm ≤ h1 ≤ 3 mm
[조건식 4] 0.01 mm ≤ h2 ≤ 2 mm
스페이서(300)는 외측 둘레면(312)과 내측 둘레면(311) 사이의 간격(이하, 스페이서(300)의 폭이라 한다)이 내측 둘레면(3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페이서(300)는 최대 폭 및 최소 폭을 갖는다. 여기서, 최대 폭 및 최소 폭은 제1 바디부(310)의 일면에서의 폭을 의미한다.
최대 폭은 제1 외측면(312a, 또는 제2 외측면(312b))과 내측 둘레면(311) 사이를 의미하고, 최소 폭은 제3 외측면(312c, 또는 제4 외측면(312d))과 내측 둘레면(311) 사이를 의미한다.
여기서, 스페이서(300)의 최소 폭은 다음의 조건식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 0.05 mm ≤ w ≤ 3 mm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제1 렌즈와 스페이서 사이에 별도의 스페이서가 더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와 동일하다.
앞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스페이서는 제1 스페이서라 하고, 추가로 배치되는 스페이서는 제2 스페이서라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렌즈(100)와 제1 스페이서(300) 사이에 제2 스페이서(500)가 배치된다.
즉, 제1 스페이서(300)는 제2 스페이서(500)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1 렌즈(100)를 지지한다.
제2 스페이서(500)의 높이는 제1 스페이서(300)의 높이보다 작다. 여기서 높이는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의미한다.
제1 스페이서(300)와 제2 스페이서(500)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일 예로, 제1 스페이서(3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제2 스페이서(500)는 필름 재질(일 예로, PET 필름)로 형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렌즈 조립체
10: 광학부
30: 플랜지부
100: 제1 렌즈
200: 제2 렌즈
300: 스페이서
400: 렌즈 배럴

Claims (19)

  1. 광축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및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페이서는 개구를 구비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면은 상기 어느 하나의 렌즈와 이격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렌즈를 접촉 지지하는 렌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적어도 3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돌기가 각각 상기 어느 하나의 렌즈를 접촉 지지하는 렌즈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각각 돌출된 방향을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며,
    상기 복수의 돌기 각각의 측면과 상기 광축 사이의 각도 a는, 0.5° ≤ a ≤ 60°을 만족하는 렌즈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는 내측 둘레면과 외측 둘레면을 갖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내측 둘레면 및 상기 외측 둘레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렌즈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적어도 일부의 둘레에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부는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를 각각 연결하는 제3 가장자리와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가장자리와 상기 제4 가장자리는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3 가장자리와 상기 제4 가장자리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긴 렌즈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제2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를 접촉 지지하는 렌즈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는 내측 둘레면과 외측 둘레면을 갖고,
    상기 내측 둘레면과 상기 외측 둘레면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렌즈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둘레면은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 제1 외측면과 제2 외측면,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제2 외측면을 각각 연결하는 제3 외측면과 제4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외측면과 상기 제4 외측면은 상기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제2 외측면 사이의 최단거리는 상기 제3 외측면과 상기 제4 외측면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긴 렌즈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면 및 상기 제2 외측면과 상기 내측 둘레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3 외측면 및 상기 제4 외측면과 상기 내측 둘레면 사이의 간격보다 큰 렌즈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제1 외측면과 상기 내측 둘레면 사이 및 상기 제2 외측면과 상기 내측 둘레면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외측면 및 상기 제4 외측면과 상기 내측 둘레면 사이의 간격을 w라 할 때, 0.05 mm ≤ w ≤ 3 mm 을 만족하는 렌즈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스페이서의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h1, 상기 연장부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h2라 할 때,
    0.00333 < h2/h1 < 0.667을 만족하는 렌즈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0.1 mm ≤ h1 ≤ 3 mm; 및
    0.01 mm ≤ h2 ≤ 2 mm;을 만족하는 렌즈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렌즈와 상기 제1 스페이서 사이에 배치된 제2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페이서의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는 상기 제1 스페이서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보다 작은 렌즈 조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페이서와 상기 제2 스페이서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렌즈 조립체.
  17.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와 이격 배치된 제2 렌즈; 및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 및 상기 스페이서는 각각, 광축과 교차하고 서로 수직한 두 개의 축 중 어느 한 축의 길이가 다른 한 축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스페이서는 광이 통과하는 개구를 구비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서 상기 제1 렌즈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상기 일면은 상기 제1 렌즈와 이격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렌즈를 접촉 지지하는 렌즈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를 포함하는 상기 스페이서의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h1,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h2라 할 때,
    0.00333 < h2/h1 < 0.667을 만족하는 렌즈 조립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바디부의 타면에서 상기 제2 렌즈를 향해 돌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의 상기 타면은 상기 제2 렌즈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렌즈를 접촉 지지하는 렌즈 조립체.
KR1020200109662A 2019-08-30 2020-08-28 렌즈 조립체 KR102534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569A KR20230074084A (ko) 2019-08-30 2023-05-15 렌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760 2019-08-30
KR20190107760 2019-08-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569A Division KR20230074084A (ko) 2019-08-30 2023-05-15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195A true KR20210027195A (ko) 2021-03-10
KR102534260B1 KR102534260B1 (ko) 2023-05-19

Family

ID=746796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662A KR102534260B1 (ko) 2019-08-30 2020-08-28 렌즈 조립체
KR1020230062569A KR20230074084A (ko) 2019-08-30 2023-05-15 렌즈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569A KR20230074084A (ko) 2019-08-30 2023-05-15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34029B2 (ko)
KR (2) KR102534260B1 (ko)
CN (2) CN112526694B (ko)
TW (1) TWI7364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260B1 (ko) * 2019-08-30 2023-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3756A1 (en) * 2014-05-09 2015-11-12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Optical len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80372984A1 (en) * 2017-06-27 2018-12-27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unit
US20190154995A1 (en) * 2014-11-19 2019-05-23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lens module and mobile terminal
KR20190070230A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5660A (en) * 1996-04-30 2000-06-13 Minolta Co., Ltd. Noncircular lens positioning structure and its method
JP3954332B2 (ja) 2000-07-17 2007-08-08 株式会社東芝 光学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4771031B2 (ja) * 2001-02-20 2011-09-1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成形レンズ、成形レンズ金型、成形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
CN101196601B (zh) * 2006-12-08 2010-07-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US20090159200A1 (en) 2007-12-19 2009-06-25 Heptagon Oy Spacer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pacer element
KR100973005B1 (ko) * 2008-08-04 2010-07-3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US9465187B2 (en) * 2010-11-15 2016-10-11 DigitalOptics Corporation MEMS Thermal despace compensation systems and methods
TWI491948B (zh) 2011-06-07 2015-07-11 Hon Hai Prec Ind Co Ltd 鏡頭模組
JP2013228610A (ja) * 2012-04-26 2013-11-07 Panasonic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
CN103852851A (zh) 2012-12-06 2014-06-11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可消除杂散光线的成像镜头
KR20140136726A (ko) 2013-05-21 2014-12-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용 렌즈유닛
TWM479421U (zh) 2013-12-04 2014-06-01 E Pin Optical Industry Co Ltd 鏡頭
KR20150092458A (ko) 2014-02-05 2015-08-1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US9798114B2 (en) * 2014-06-17 2017-10-24 Omnivision Technologies, Inc. Concave spacer-wafer apertures and wafer-level optical elements formed therein
KR20160068508A (ko) 2014-12-05 2016-06-15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JP6564936B2 (ja) * 2016-03-23 2019-08-21 ナンチャン オー−フィルム オプティカル−エレクトロニック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レンズユニット
KR102108199B1 (ko) 2017-12-12 2020-05-0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996421B2 (en) 2017-12-12 2021-05-04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US10473880B2 (en) 2017-12-12 2019-11-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mera module, and lens assembly
CN207965293U (zh) 2018-02-01 2018-10-1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镜头模组
KR102534260B1 (ko) * 2019-08-30 2023-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3756A1 (en) * 2014-05-09 2015-11-12 Genius Electronic Optical Co., Ltd. Optical len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90154995A1 (en) * 2014-11-19 2019-05-23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lens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10634880B2 (en) * 2014-11-19 2020-04-28 Largan Precision Co., Ltd. Imaging lens module and mobile terminal
US20180372984A1 (en) * 2017-06-27 2018-12-27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 unit
KR20190070230A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2905654U (zh) 2021-04-06
CN112526694A (zh) 2021-03-19
KR20230074084A (ko) 2023-05-26
US20210063675A1 (en) 2021-03-04
TWI736407B (zh) 2021-08-11
TW202109117A (zh) 2021-03-01
CN112526694B (zh) 2023-12-29
US11934029B2 (en) 2024-03-19
KR102534260B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534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733486B2 (en) Optical imaging system including first to fourth lenses
KR101444585B1 (ko) 렌즈 모듈
KR102363537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415776B2 (en) Optical imaging system
KR102434016B1 (ko) 촬상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426205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35997B1 (ko) 촬상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450923B1 (ko) 렌즈 조립체
KR20230074084A (ko) 렌즈 조립체
KR20190129463A (ko) 렌즈 조립체
CN112835246B (zh) 隔圈及相机模块
KR20200036496A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KR20190005571A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KR20230088315A (ko) 카메라 모듈
JP2017223829A (ja) レンズユニット
US11425291B2 (en) Camera module
US20240184079A1 (en) Lens assembly
KR102584962B1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KR102211434B1 (ko) 렌즈 모듈
KR20230006862A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10014184A (ko) 렌즈 모듈
KR20220122383A (ko)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