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990B1 - 차량용 스피커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피커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4990B1 KR102594990B1 KR1020180126966A KR20180126966A KR102594990B1 KR 102594990 B1 KR102594990 B1 KR 102594990B1 KR 1020180126966 A KR1020180126966 A KR 1020180126966A KR 20180126966 A KR20180126966 A KR 20180126966A KR 102594990 B1 KR102594990 B1 KR 1025949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aphragm
- speaker device
- vehicle
- center
- sensitiv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04R7/20—Securing diaphragm or cone resiliently to support by flexible material, springs, cords, or stran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저음 출력을 개선하기 위한 진동판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장치가 개시된다.
진동판의 진동으로 소리가 출력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진동판은, 중심부와, 중심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어 진동판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가변부를 포함한다.
진동판의 진동으로 소리가 출력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진동판은, 중심부와, 중심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어 진동판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가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음 출력을 개선하기 위한 진동판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차량 내에서 라디오, CD 플레이어, MP3뿐만 아니라 TV, 비디오 등의 영상/음향 편의시설을 즐기는 일이 일상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영상/음향 편의시설의 음파는 통상 도어 등의 차체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서 차량의 내부로 출력된다.
스피커는 증폭기에서 증폭된 전기신호에 따라 음을 재생하는 것으로, 전기신호를 음파로 변환시키는 원리와 방법에 따라 동전형(動電型), 전자기형, 정전형(靜電型), 유전체형(誘電體型), 자기왜형(磁氣歪形)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용 스피커로는 성능이 좋은 동전형(또는 다이내믹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동전형 스피커는 영구자석의 자기장 내에 있는 보이스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원의 세기에 따라 기계적인 힘이 보이스 코일에 작용하여 운동을 일으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저음 출력을 개선하기 위한 진동판 구조를 갖는 차량용 스피커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진동판의 형상을 개선하여 최저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스피커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스피커장치는 진동판의 진동으로 소리가 출력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판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가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변부는, 상기 중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름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름은 물결 또는 반원 또는 사각 또는 삼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심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심부는 음파의 감도를 제어하도록 격자 형상의 감도제어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동판은, 상기 감도제어부재 또는 상기 가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진동으로 소리가 출력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음파의 감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진동판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주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름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주름은 물결 또는 반원 또는 사각 또는 삼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심부는 음파의 감도를 제어하도록 격자 형상의 감도제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진동판의 형상을 개선하여 최저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획기적으로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어, 원가 및 중량을 확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도 4 의 A-A'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도 6 의 B-B'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도 8 의 C-C'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도 10 의 D-D'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도 4 의 A-A'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은 도 6 의 B-B'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9 는 도 8 의 C-C'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도 10 의 D-D'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설명에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가 장착된 자동차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차량(1)의 내부에 운전자에게 차량(1)의 전방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유리(11)와,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22)과, 차륜(21,22)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40)와,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30)와, 운전자에게 차량(1)의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2a,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유리(11)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차륜(21,22)은 차량(1)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과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40)는 본체(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21) 또는 후륜(22)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장치(4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미도시)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미도시)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30)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사이드 미러(12a,12b)는 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1)은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한 전방 카메라, 측면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좌측 카메라 또는 우측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방의 장애물 등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또는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과 같은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에는 차량(1)의 외부에 음향을 출력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100)가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장치(100)는 본체(10)의 외부에 마련되거나 또는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장치(100)는 외부로 음향을 송출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장치(100)는 본체(10)의 전방에 한 개가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들어, 스피커장치는 차량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음향을 송출하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스피커장치(100)는 마그네트 캡(140), 마그네트(130)와 보이스 코일(150), 그리고 진동판(110)이 내장된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130)는 플레이트(12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의 마그네트 캡(1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마그네트 캡(140)은 진동판(110)과 탄성부재(16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진동판(110)은 보이스 코일(150)에 일단이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장치(100)의 보이스 코일(150)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진동판(110)에 진동이 발생되고 음을 출력하는 구조로 마련된다. 보이스 코일(150)에 전류가 인가되면 마그네트(130)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해 보이스 코일(150)이 수직으로 승강되며 이 과정에서 진동판(110)이 진동된다.
스피커장치(100)의 최저 공진 주파수 f0= k/m(k: 스프링 계수, m: 질량)으로, k 를 조정함으로써 저음 출력을 확보 할 수 있다. K는 진동판(110)의 강성과 비례하며, 진동판(110)의 강성은 S(진동판의 강성) = T * d / L ( T : 두께, L :길이, d : 밀도)와 같다.
진동판(110)의 두께(T) 및 밀도(d)는 상대물의 고유 특성으로, 길이(L)를 조정함으로써 진동판(110)의 스프링 계수(k)를 확보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는 도 4 의 A-A'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번은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한다.
도 4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10)은 중심부(111)와 중심부(11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가변부(200)를 포함한다.
진동판(110)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판(110)의 중심부(111)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판(110)은 보이스 코일(150)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도록 마련된다.
진동판(110)의 중심부(11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동판(110)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진동판은 장방형 또는 타원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부(111)는 음파의 감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감도제어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도제어부재(113)는 중심부(111)에 마련될 수 있다. 감도제어부재(113)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도제어부재는 격자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감도제어부재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심부는 격자 형상의 감도제어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중심부는 격자형상 또는 원형상, 그리고 삼각형상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부(200)는 중심부(111)의 가장자리(111a) 둘레에 배치되어 진동판(110)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가변부(200)는 중심부(111)의 가장자리(111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은 진동판(110)의 길이(L)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가변 가능하게 마련된다.
진동판(110)의 길이(L)은 중심부(111)의 길이(l1)과 양측 가변부(200)의 길이(l2)를 더한 값이다. 이때, 양측 가변부(200)의 길이(l2)는 가변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은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가변부(200)의 길이(l2)를 가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주름(201)은 세 개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은 제1면(201a)과 제2면(201b)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은 중심부(111)의 가장자리(111a)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면(201a)과 제1면(201a)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면(20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201a)과 제2면(201b)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은 중심부(111) 보다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면(201a)과 제2면(201b)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가변부(200)의 길이(l2)를 가변 시킬 수 있다.
진동판(110)의 중심부(111)로부터 가변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변부(200)는 길이(l2)를 가변 시킴으로써 저음 출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은 도 6 의 B-B'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번은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한다.
진동판(110A)은 중심부(111A)와 중심부(111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가변부(200A)를 포함한다.
진동판(200A)의 중심부(111A)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판(110A)은 보이스 코일(150)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도록 마련된다.
중심부(111A)는 음파의 감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감도제어부재(113A)를 포함할 수 있다. 감도제어부재(113A)는 중심부(111A)에 마련될 수 있다. 감도제어부재(111A)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도제어부재는 격자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감도제어부재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부(200A)는 중심부(111A)의 가장자리(111Aa) 둘레에 배치되어 진동판(110A)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가변부(200A)는 중심부(111A)의 가장자리(111A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A)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A)은 진동판(110A)의 길이(L)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가변 가능하게 마련된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A)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A)은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가변부(200A)의 길이(l2)를 가변 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A)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주름(201A)은 다섯 개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A)은 중심부(111A)의 가장자리(111Aa)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면(201Aa)과 제1면(201Aa)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3면(201Ac)과 제3면(201Ac)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면(201A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면(201Aa)과 제2면(201Ab)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면(201Aa)과 제2면(201Ab)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가변부(200A)의 길이(l2)를 가변 시킬 수 있다.
이때, 제1면(201Aa)과 제2면(201Ab)은 중심부(111A)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진동판(110A)의 중심부(111A)로부터 가변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변부(200A)는 길이(l2)를 가변 시킴으로써 저음 출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는 도 8 의 C-C'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번은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한다.
도 8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10B)은 중심부(111B)와 중심부(111B)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가변부(200B)를 포함한다.
진동판(200B)의 중심부(111B)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판(110B)은 보이스 코일(150)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도록 마련된다.
중심부(111B)는 음파의 감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감도제어부재(113B)를 포함할 수 있다. 감도제어부재(113B)는 중심부(111B)에 마련될 수 있다. 감도제어부재(111B)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도제어부재는 격자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감도제어부재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부(200B)는 중심부(111B)의 가장자리(111Ba) 둘레에 배치되어 진동판(110B)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가변부(200B)는 중심부(111B)의 가장자리(111B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B)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B)은 진동판(110B)의 길이(L)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가변 가능하게 마련된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B)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A)은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가변부(200B)의 길이(l2)를 가변 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B)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주름(201B)은 다섯 개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B)은 중심부(111B)의 가장자리(111Ba)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면(201Ba)과 제1면(201Ba)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면(201B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201Ba)과 제2면(201Bb)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면(201Ba)과 제2면(201Bb)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가변부(200B)의 길이(l2)를 가변 시킬 수 있다. 제1면(201Ba)과 제2면(201Bb)은 중심부(111B)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진동판(110B)의 중심부(111B)로부터 가변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변부(200B)는 길이(l2)를 가변 시킴으로써 저음 출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장치의 진동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 은 도 10 의 D-D'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판의 모서리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번은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한다.
도 10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110C)은 중심부(111C)와 중심부(111C)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가변부(200C)를 포함한다.
진동판(200C)의 중심부(111C)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판(110C)은 보이스 코일(150)에 의해 상하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도록 마련된다.
중심부(111C)는 음파의 감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감도제어부재(113C)를 포함할 수 있다. 감도제어부재(113C)는 중심부(111C)에 마련될 수 있다. 감도제어부재(111C)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도제어부재는 격자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감도제어부재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부(200C)는 중심부(111C)의 가장자리(111Ca) 둘레에 배치되어 진동판(110C)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가변부(200C)는 중심부(111C)의 가장자리(111C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C)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C)은 진동판(110C)의 길이(L)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가변 가능하게 마련된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C)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C)은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가변부(200C)의 길이(l2)를 가변 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C)은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주름(201C)은 여섯 개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주름(201C)은 중심부(111C)의 가장자리(111Ca)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면(201Ca)과 제2면(201C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201Ca)과 제2면(201Cb)은 곡면(R)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면(201Ca)과 제2면(201Cb)은 서로 마주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면(201Ca)과 제2면(201Cb)은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면(201Ca)과 제2면(201Cb)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여 가변부(200C)의 길이(l2)를 가변 시킬 수 있다. 이때, 제1면(201Ca)과 제2면(201Cb)은 중심부(111C) 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진동판(110C)의 중심부(111C)로부터 가변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변부(200C)는 길이(l2)를 가변 시킴으로써 저음 출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차량 10 : 본체
30 : 도어 40 : 구동장치
100 : 스피커장치 110 : 진동판
111 : 중심부 113 : 감도제어부재
120 : 플레이트 130 : 마그네트
140 : 마그네트 캡 150 : 보이스 코일
160 :탄성부재 200 : 가변부
201 : 주름
30 : 도어 40 : 구동장치
100 : 스피커장치 110 : 진동판
111 : 중심부 113 : 감도제어부재
120 : 플레이트 130 : 마그네트
140 : 마그네트 캡 150 : 보이스 코일
160 :탄성부재 200 : 가변부
201 : 주름
Claims (11)
- 진동판의 진동으로 소리가 출력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진동판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는 음파의 감도제어를 위한 감도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도제어부재는 격자 형상과 원형상과 삼각형상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마련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중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름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름은 물결 또는 반원 또는 사각 또는 삼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 - 삭제
- 삭제
- 진동판의 진동으로 소리가 출력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음파의 감도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진동판의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는 음파의 감도제어를 위한 감도제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감도제어부재는 격자 형상과 원형상과 삼각형상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어 마련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름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름은 물결 또는 반원 또는 사각 또는 삼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포함하는 차량용 스피커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6966A KR102594990B1 (ko) | 2018-10-23 | 2018-10-23 | 차량용 스피커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6966A KR102594990B1 (ko) | 2018-10-23 | 2018-10-23 | 차량용 스피커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5891A KR20200045891A (ko) | 2020-05-06 |
KR102594990B1 true KR102594990B1 (ko) | 2023-10-27 |
Family
ID=7073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6966A KR102594990B1 (ko) | 2018-10-23 | 2018-10-23 | 차량용 스피커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4990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11005A1 (ja) | 2015-01-09 | 2016-07-14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スピーカ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2100B1 (ko) * | 2004-04-16 | 2006-06-21 |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 마이크로 스피커의 진동판 |
-
2018
- 2018-10-23 KR KR1020180126966A patent/KR1025949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111005A1 (ja) | 2015-01-09 | 2016-07-14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スピーカ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5891A (ko) | 2020-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230041B (zh) | 汽车用外部声音输出装置 | |
US9862313B2 (en) | Aero part for vehicle having virtual engine sound output function | |
CN101565017A (zh) | 带行车提醒装置的电动车及其工作方法 | |
CN113488017A (zh) | 针对路噪的主动降噪系统、车辆 | |
KR102594990B1 (ko) | 차량용 스피커장치 | |
WO2014050295A1 (ja) | 能動型消音装置 | |
US10513230B2 (en) | Speaker for vehicle | |
CN219811336U (zh) | 车辆的主动降噪系统和车辆 | |
US10484790B1 (en) | Speaker device for vehicle | |
JPH04113946A (ja) | 自動車の騒音制御装置 | |
US10785573B2 (en) | Speaker device for vehicle | |
US10611315B1 (en) | Vehicle | |
JP4955839B2 (ja) | 擬似音発生装置及び擬似音発生方法 | |
JPH0315391Y2 (ko) | ||
KR101650792B1 (ko) | 차량용 스피커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
WO2024176827A1 (ja) | 情報処理装置 | |
KR102316523B1 (ko) | 차량용 쿼드런트 디스플레이장치를 활용한 음향 액추에이터 시스템 | |
JP2018111328A (ja) | 車両用スピーカシステム | |
CN113276764B (zh) | 一种多层结构的汽车电喇叭 | |
WO2024070656A1 (ja) | 振動子付きガラス振動板、振動子付きガラス振動板制御システム、及び振動子付きガラス振動板制御プログラム | |
JPS62198541A (ja) | 車両用スピ−カ装置 | |
JPH0355465Y2 (ko) | ||
CN206317741U (zh) | 一种车用定向喇叭 | |
KATO et al. | Internal sound control for ultra-compact EV by using cowl: fundamental consideration on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plate shaped part | |
JPH0345874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