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736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736B1
KR102594736B1 KR1020230091425A KR20230091425A KR102594736B1 KR 102594736 B1 KR102594736 B1 KR 102594736B1 KR 1020230091425 A KR1020230091425 A KR 1020230091425A KR 20230091425 A KR20230091425 A KR 20230091425A KR 102594736 B1 KR102594736 B1 KR 10259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ment
curvature
height
product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1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주현
Original Assignee
손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주현 filed Critical 손주현
Priority to KR1020230091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 B65D3/30Local reinforcements, e.g. metallic r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제품의 위치를 조절하고 조절하는 구성의 내구성이 개선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를 개시한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는 수용된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로서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그 하부에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부재를 가지는 하부몸체부, 수납공간에 삽입되고 제1 돌출부재에 안착되는 받침부,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는 상부몸체부,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커버부 및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커버부의 하측에서 커버부를 지지하고 그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용부는 수용공간 내에서 수용된 제품을 지지한 상태로 제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에 결합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Height-adjustable paper package}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제품의 위치를 조절하고 조절하는 구성의 내구성이 개선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다양한 미용제품을 포장하기 위해, 다양한 고급스러운 느낌의 포장용기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종이 프레임에 플라스틱 트레이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화장품이나 다양한 미용제품을 포장한다.
한편, 최근에는 플라스틱 사용의 증가로 인한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친환경 소재에 대한 수요 및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포장용기로 사용되는 프라스틱 트레이는 내부에 포장되는 물품(화장품, 음료수병 등)을 고정시키기 위해, 내부에 PVC, PS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의 물질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PVC 등은 환경호르몬 배출 가능성이 있어 식품류 및 유아용품 등을 포장하는 포장재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제품의 수출입 시 환경유해 제품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일부 국가에서는 수출입 자체가 불가한 경우도 있다. 더불어, 제품의 포장용기를 배출할 시 종이와 플라스틱을 분리 배출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번거로움을 느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특허 10-2021-0062571(이하, 종이받침대 패키지라 함)에서는 플라스틱 트레이를 종이 트레이로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특허인 종이받침대 패키지는 종이 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되는 종이 트레이의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하고 습기에 취약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제품을 용이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특허인 종이받침대 패키지는 종이 프레임 내에서 종이 트레이의 위치를 조절하지 못하므로, 제품에 크기에 따라 제품을 받치는 위치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특허인 종이받침대 패키지는 제품을 받치는 위치가 조절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가시성이 개선되도록 종이 프레임 내부에서 제품의 위치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21-0062571
본 발명은 제품의 위치를 조절하고 조절하는 구성의 내구성이 개선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는 수용된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로서,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그 하부에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부재를 가지는 하부몸체부;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돌출부재에 안착되는 받침부;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는 상부몸체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커버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서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고, 그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수용된 상기 제품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높이조절관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관부재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고, 그 상부에 상기 제품이 안착되며, 상기 높이조절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높이조절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관부재와 상기 높이조절판부재의 전체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관부재의 외경은,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의 내경을 기준으로 한 직경보다 크도록 설계된 억지 끼워맞춤 공차로 설계되고, 상기 높이조절판부재의 각각의 외경은,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의 내경의 길이의 1.002 이상 내지 1.004 이하이고, 상기 상부몸체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측 이동에 의한 상기 커버부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도록, 그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돌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몸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체 중 그 하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판부재는, 상기 높이조절판부재의 측면 둘레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과, 상기 높이조절판부재의 하면 중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파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관부재는, 그 내부에 상기 제품이 수용되고, 상기 높이조절판부재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높이조절관체; 상기 높이조절관체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그 사이에 복수의 슬릿을 구획하고, 그 내부에 복수의 접이선이 마련된 벨로우즈 형상의 복수의 지지편; 및 복수의 상기 지지편의 상부에서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는 지지링;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편은, 상기 높이조절판부재가 자전하며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지지링을 지지하며 상기 커버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복수의 상기 지지편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2 돌출부재의 하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판부재가 더 자전하며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높이조절관체에 의해 가압되며 복수의 상기 접이선에 의해 접혀지며 그 상하방향 길이가 감소되고, 상기 제2 돌출부재는,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에서 그 폭이 감소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하향 절곡되고, 상기 제2 돌출부재의 절곡된 상부면은, 제1 곡률(K1)을 갖도록 연장되고 가상의 제1 곡률원(C1)을 기준으로 그 연장되는 각도(α1)가 85°초과 내지 95°미만이고, 상기 제2 돌출부재의 절곡된 하부면은, 상기 제1 곡률(K1)보다 작은 제2 곡률(K2)을 갖도록 연장되고, 가상의 제2 곡률원(C2)을 기준으로 그 연장되는 각도(α2)가 65°초과 내지 75°미만이며, 상기 제2 돌출부재의 절곡된 상부면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제1 곡률(K1)이 연산되고, 상기 제2 돌출부재의 절곡된 하부면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상기 제2 곡률(K2)이 연산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23077502303-pat00001
(여기서, K1은 제1 곡률값을 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의 1회 미분값을 0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의 2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에서 특정 x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23077502303-pat00002
(여기서, K2은 제2 곡률값을 의미하고, f'(x2)은 가상의 제2 곡률원(C2) 이루는 함수의 1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f''(x2)은 가상의 제2 곡률원(C2)이 이루는 함수의 2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x2은 가상의 제2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에서 특정 x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상기 하부몸체부는, 널빤지 형상으로 제작된 카드보드(Cardboard)로 제작되고, 상기 카드보드는, 상기 하부몸체부의 외면을 이루는 제1 종이재, 상기 하부몸체부의 내면을 이루는 제2 종이재 및 상기 제1 종이재와 상기 제2 종이재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종이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종이재, 상기 제2 종이재 및 상기 완충종이재 중 적어도 하나는, 페이퍼플로워; 상기 페이퍼플로워 상에 열가소성 수지조성물로 코팅되는 코팅플로워; 상기 코팅플로워 상에 무기물 또는 무기산화물로 증착되는 배리어플로워; 및 상기 배리어플로워 상에 알칼리불용성 수지조성물로 코팅되는 프로텍트플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플로워는, 건조상태에서 0.1~50㎛의 두께로 제작되며, 상기 프로텍트플로워는, 건조 상태에서 0.1~100㎛의 두께로 제작되고, 상기 완충종이재는, 엠보싱 가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는, 인장강도와 내구성이 유지되고 자연분해가 가능한 받침페이퍼시트를 선택하는 과정과, 수분을 머금은 상태의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회전하는 실린더의 인입부로 공급하는 과정과, 상기 회전하는 실린더에 열풍을 분사하여 상기 실린더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적정 수준으로 건조시키는 과정과, 상기 회전하는 실린더의 인출부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통해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상기 실린더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하면서 주름을 형성시켜 주름페이퍼를 가공하며, 상기 주름페이퍼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와 피치가 서로 다르게 상면층, 중간층 및 하면층을 가공하여 각층의 전용 릴(Reel)에 권취하는 과정과, 상기 각 층의 권취 릴(Reel)로부터 상기 상면층, 중간층 및 하면층의 주름페이퍼를 인출하여 합지롤러에 공급하고, 상기 합지롤러를 통해 합지시트를 제조하는 과정과, 상기 합지시트를 건조기에 의해 최종 건조시키는 과정과, 상기 최종 건조된 합지시트를 펀칭방식 또는 재단방식으로 가공하여 원판 형상의 상기 받침부로 완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표면에 부착된 상기 받침페이퍼시트를 건조시키는 과정은, 완전 건조를 기준으로 70~80% 수준의 건조상태가 유지되도록 열풍공급기의 구동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주름페이퍼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와 피치는 상기 블레이드의 접촉각을 20~30도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상기 주름페이퍼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는 상기 상면층, 하면층, 중간층의 순으로 상기 높이가 낮아지도록 가공하고, 상기 굴곡의 피치는 상기 중간층, 상면층, 하면층의 순으로 상기 피치가 좁아지도록 가공되고, 상기 중간층에 형성된 상기 굴곡은 상기 실린더의 인출부로부터 가이드롤러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회전속도를 통해 상기 주름페이퍼에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장력에 의해 상기 중간층의 굴곡 높이와 피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상기 받침부의 상면층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친환경의 기능성 물질이나 천연착색제 등을 스프레이 코팅하는 공정이 더 포함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날두께(C)는 1~2㎜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상기 커버부는, 그 내부에 상기 제품의 상측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며, 상기 커버부는, 복수의 종이가 적층된 커버부 제조용 원자재를 준비하는 원자재 준비 과정과, 상기 제품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형을 준비하는 성형 준비 과정과, 상기 원자재를 금형에 의해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 과정을 통해 제작되고, 상기 원자재는, 속지와, 적어도 한장 이상의 겉지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속지는, 크라프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절개되며, 상기 속지는, 상기 제품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양측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가며 지그재그 방식으로 절개되고, 상기 겉지는, 주름, E골,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제는, 전분을 함유하며, 상기 성형 준비 과정은, 적어도 둘 이상의 금형을 준비하고, 상기 금형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며, 상기 성형 과정은, 복수의 금형이 기 설정된 순서로 조작되어 시간차에 따라 원자재를 성형하고, 상기 높이조절관부재는, 상기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그 상부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인입홈을 형성하며, 상기 인입홈을 형성하는 내벽체에 테이퍼 형상의 제1 요철면이 형성되는 제1 높이조절관파트; 상기 인입홈에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제1 요철면이 맞물려 지지되도록 테이퍼 형상의 제2 요철면이 형성되는 제2 높이조절관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요철면과 상기 제2 요철면은, 테이퍼진 각도가 150°이상 내지 170°이하의 각도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 패키지 내부에 수납되는 제품의 위치를 변경(즉, 높낮이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종이 패키지 내부에 수납되는 제품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종이 패키지를 지지하는 받침부가 상대적으로 더 견고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에, 종이 패키지의 내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제품으로부터 수분이 흘러나오더라도 받침부가 제품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변형예에 따른 제2 돌출부재가 적용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제2 돌출부재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수용부가 적용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높이조절판부재가 자전하며 변형예에 다른 수용부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몸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제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제조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1 변형예에 따른 높이조절관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2 변형예에 따른 높이조절관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높이조절관부재의 상하방향 길이가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과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과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변형예에 따른 제2 돌출부재가 적용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제2 돌출부재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수용부가 적용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높이조절판부재가 자전하며 변형예에 다른 수용부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몸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제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제조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제1 변형예에 따른 높이조절관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제2 변형예에 따른 높이조절관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높이조절관부재의 상하방향 길이가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100)(이하, 종이 패키지라 함)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100)는 그 내부에 수용된 제품을 보관하고 보관되는 제품의 높낮이를 유기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종이 패키지일 수 있다. 여기서, 제품은 예컨대 화장용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이 패키지(100)는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수납공간(110a)을 형성하며 그 하부에 수납공간(110a)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부재(111)를 가지는 하부몸체부(110), 수납공간(110a)에 삽입되고 제1 돌출부재(111)에 안착되는 받침부(120),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수용공간(130a)을 형성하며 수납공간(110a)에 삽입되어 받침부(120)에 안착되는 상부몸체부(130), 수용공간(130a)에 삽입되는 커버부(140) 및 수용공간(130a)에 삽입되어 커버부(140)의 하측에서 커버부(140)를 지지하고 그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수용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용부(150)는 수용공간(130a) 내에서 수용된 제품을 지지한 상태로 기 제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도 1 참조)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부몸체부(130)의 내벽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하부몸체부(110)는 그 상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에 개방된 상부와 연통되는 수납공간(110a)을 가진다.
하부몸체부(110)는 그 중심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몸체부(110)의 관통된 내부가 수납공간(110a)일 수 있다.
또한, 하부몸체부(110)의 관통된 내벽체의 하부에는 반경방향(즉,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원주방향(즉,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돌출부재(111)가 형성된다. 제1 돌출부재(111)의 상부에는 받침부(120)가 안착된다.
한편, 하부몸체부(110)는 널빤지 형상으로 제작된 카드보드(Cardboard)(즉, 면지)로 제작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드보드는 하부몸체부의 외면을 이루는 제1 종이재(미도시), 하부몸체부의 내면을 이루는 제2 종이재(미도시) 및 제1 종이재와 제2 종이재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종이재(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종이재와 제2 종이재와 완충종이재 중 적어도 하나는 페이퍼플로워(112), 페이퍼플로워(112) 상에 열가소성 수지조성물로 코팅되는 코팅플로워(113), 코팅플로워(113) 상에 무기물 또는 무기산화물로 증착되는 배리어플로워(114) 및 배리어플로워(114) 상에 알칼리불용성 수지조성물로 코팅되는 프로텍트플로워(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코팅플로워(113)는, 건조상태에서 0.1~50㎛의 두께로 제작된다.
여기서, 프로텍트플로워(115)는 건조 상태에서 0.1~100㎛의 두께로 제작된다.
여기서, 완충종이재는 엠보싱 가공되어 형성된다. 이에, 하부몸체부(110)가 외부로부터의 기체와 수분 투과의 차단 및 내부로부터의 기체와 수분 방출의 차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으로 보온 및 보냉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받침부(120)는 수납공간(110a)에 삽입되고, 제1 돌출부재(111)에 안착되며, 하부몸체부(110)의 하부를 폐쇄한다. 받침부(120)에는 후술되는 상부몸체부(130)가 안착되고, 상부몸체부(130)에 인입된 수용부(150)가 안착될 수도 있다.
한편, 받침부(120)는 인장강도와 내구성이 유지되고 자연분해가 가능한 받침페이퍼시트(121)를 선택하는 과정과, 수분을 머금은 상태의 받침페이퍼시트(121)를 회전하는 실린더(124)의 인입부로 공급하는 과정과, 회전하는 실린더(124)에 열풍을 분사하여 실린더(124)의 표면에 부착된 받침페이퍼시트(121)를 적정 수준으로 건조시키는 과정과, 회전하는 실린더(124)의 인출부에 설치된 블레이드(125)를 통해 받침페이퍼시트(121)를 실린더의 표면으로부터 분리하면서 주름을 형성시켜 주름페이퍼(126)를 가공하며, 주름페이퍼(126)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와 피치가 서로 다르게 상면층(126a), 중간층(126b) 및 하면층(126c)을 가공하여 각층의 전용 릴(Reel)에 권취하는 과정과, 각 층의 권취 릴(Reel)로부터 상면층(126a), 중간층(126b) 및 하면층(126c)의 주름페이퍼를 인출하여 합지롤러(126d)에 공급하고, 상기 합지롤러를 통해 합지시트(126e)를 제조하는 과정과, 합지시트(126e)를 건조기(128)에 의해 최종 건조시키는 과정과, 최종 건조된 합지시트(126e)를 펀칭방식 또는 재단방식으로 가공하여 원판 형상의 받침부(120)로 완성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125)는 블레이드몸체(125a), 받침페이퍼시트(121)에 저촉되는 블레이드접촉부(125b) 및 주름종이를 커팅하는 블레이드날면(125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린더(124)의 표면에 부착된 받침페이퍼시트(121)를 건조시키는 과정은 완전 건조를 기준으로 70~80% 수준의 건조상태가 유지되도록 열풍공급기(127)의 구동조건을 설정하여 건조될 수 있다.
한편, 합지시트(126e)는 건조기(128)에서 최종적으로 건조된 후 감김릴(129)에 권취된다.
또한, 주름페이퍼(126)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와 피치는 블레이드(125)의 접촉각을 20~30도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주름페이퍼(126)에 형성된 굴곡의 높이는 상면층(126a), 하면층(126c), 중간층(126b)의 순으로 상기 높이가 낮아지도록 가공하고, 굴곡의 피치는 중간층(126b), 상면층(126a), 하면층(126c)의 순으로 피치가 좁아지도록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중간층(126b)에 형성된 굴곡은 실린더(124)의 인출부로부터 가이드롤러(122) 사이의 구간에서 가이드롤러(122)의 회전속도를 통해 주름페이퍼(126)에 인장력이 가해지도록 제어하고, 인장력에 의해 중간층(126b)의 굴곡 높이와 피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받침페이퍼시트(121)는 실린더(124)의 표면에 접착되도록 반건조 상태를 유지하고, 실린더(124)의 표면에는 분사장치(123)를 통해 박리제가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받침부(120)의 상면층(126a)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친환경의 기능성 물질이나 천연착색제 등을 스프레이 코팅하는 공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드(125)의 날두께(C)는 1~2㎜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부몸체부(130)는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수용공간(130a)을 형성하며, 수납공간(110a)에 삽입되어 받침부(120)에 안착된다.
상부몸체부(130)는 수용공간(130a)을 형성하는 관통된 내벽체의 상부에는 반경방향(즉,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원주방향(즉,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돌출부재(13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재(131)는 수용공간(130a)을 향하여 돌출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돌출부재(131)는 수용부(150)의 상측 이동에 의한 커버부(140)의 상승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 돌출부재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변형예에 따른 제2 돌출부재(131)는 상부몸체부(130)의 내벽체에서 그 폭이 감소하도록 연장되고, 수용공간(130a)의 중심부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하향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형예에 따른 제2 돌출부재(131)는 그 단면 하향 라운드진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돌출부재(131)의 절곡된 상부면(131a)은, 제1 곡률(K1)을 갖도록 연장되고 가상의 제1 곡률원(C1)을 기준으로 그 연장되는 각도(α1)가 85°초과 내지 115°미만일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재(131)의 절곡된 하부면(131b)은, 제1 곡률(K1)보다 작은 제2 곡률(K2)을 갖도록 연장되고, 가상의 제2 곡률원(C2)을 기준으로 그 연장되는 각도(α2)가 75°초과 내지 95°미만일 수 있다.
즉, 제2 돌출부재의 절곡된 상부면(131a)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제1 곡률(K1)이 연산되고, 제2 돌출부재(131)의 절곡된 하부면(131b)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제2 곡률(K2)이 연산된다.
[수학식 1]
(여기서, K1은 제1 곡률값을 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의 1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의 2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에서 특정 x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수학식 2]
(여기서, K2은 제2 곡률값을 의미하고, f'(x2)은 가상의 제2 곡률원(C2) 이루는 함수의 1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f''(x2)은 가상의 제2 곡률원(C2)이 이루는 함수의 2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x2은 가상의 제2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에서 특정 x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이에, 제2 돌출부재(131)가 커버부(140)를 더 용이하게 커버할 수 있고, 커버부(140)가 수용부(150)에 의해 과도하게 상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제2 돌출부재(131)가 상승이동하는 커버부(140)에 의해 틸팅되면서 커버부(140)를 지지하므로, 커버부(140)와의 접촉되는 부분에 흠집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140)는 수용공간(130a)에 삽입되고, 제2 돌출부재(131)의 하부면에 접촉 가능하며 후술되는 수용부(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140)는 그 내부에 제품의 상측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관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40)는 복수의 종이가 적층된 커버부를 제조하기 위한 커버부 제조용 원자재(미도시)를 준비하는 원자재 준비 과정과, 제품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형을 준비하는 성형 준비 과정과, 원자재를 금형에 의해 가압하여 성형하는 성형 과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원자재는 속지(미도시)와, 적어도 한장 이상의 겉지가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부착되어 적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속지는 크라프트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품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절개된다. 또한, 속지는 제품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양측 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가며 지그재그 방식으로 절개된다. 또한, 겉지는 주름, E골, 엠보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접착제는,전분을 함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성형 준비 과정은, 적어도 둘 이상의 금형을 준비하고, 상기 금형에는 스프링이 장착된다.
또한, 성형 과정은 복수의 금형이 기 설정된 순서로 조작되어 시간차에 따라 원자재를 성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예에 따른 수용부(150)는 수용공간(130a)에 삽입되어 커버부(140)의 하측에서 커버부(140)를 지지하고, 그 내부에 제품이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150)는 높이조절관부재(151) 및 높이조절판부재(152)를 포함한다.
높이조절관부재(151)는 제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그 외주면이 상부몸체부(130)의 내벽체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높이조절판부재(152)는 높이조절관부재(151)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고, 그 상부에 상기 제품이 안착되며, 높이조절관부재(151)의 하부에 연결되고, 그 외주면이 상부몸체부(130)의 내벽체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된다.
여기서, 높이조절판부재(152)와 높이조절관부재(151)는 상부몸체부(130)의 내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몸체부(130)의 내벽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높이조절관부재(151)와 높이조절판부재(152)의 전체 상하방향 길이는, 수용공간(130a)을 형성하는 상부몸체부(130)의 내벽체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관부재(151)의 외경은 상부몸체부(130)의 내벽체의 내경을 기준으로 한 직경보다 크도록 설계된 억지 끼워맞춤 공차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하, 높이조절판부재(152)의 각각의 외경은 상부몸체부(130)의 내벽체의 내경의 길이의 1.002 이상 내지 1.004 이하일 있다. 이에, 높이조절판부재(152)와 높이조절관부재(151)는 상부몸체부(130)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몸체부(130)의 내벽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이 수용부(15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높이조절판부재(152)와 높이조절관부재(151)가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부몸체부(130) 내에서 제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변형예에 따른 수용부(15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변형예에 따른 수용부(150)와 결합되기 위해 상부몸체부(130)에는 수용공간(130a)을 형성하는 내벽체 중 그 하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제1 나사산(132)이 형성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른 수용부(150)의 높이조절판부재(152)는 높이조절판부재(152)의 측면 둘레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제1 나사산(132)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152a)과, 높이조절판부재(152)의 하면 중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파지편(152b)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제1 변형예에 따른 높이조절관부재(151')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높이조절관부재(151')는 그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고, 상기 높이조절판부재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높이조절관체(151a'), 높이조절관체(151a')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그 사이에 복수의 슬릿(151ba')을 구획하고 그 내부에 복수의 접이선(151bb')이 마련된 벨로우즈 형상의 복수의 지지편(151b') 및 복수의 지지편(151b')의 상부에서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커버부를 지지하는 지지링(151c')을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편(151b')은 높이조절판부재(152)가 자전하며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지지링(151c')을 지지하며 커버부(14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복수의 지지편(151b')은 커버부(140)가 제2 돌출부재(131)의 하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높이조절판부재(152)가 더 자전하며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높이조절관체(151a')에 의해 가압되며 복수의 접이선에 의해 접혀지며 그 상하방향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높이조절판부재(152)가 상부몸체부(130)에 나사결합되며 더 견고하게 지지되고, 높이조절관부재(151')의 위치가 과도하게 상승되더라도 접이선(151bb)이 접히며 높이조절관부재(151')가 구겨지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제2 변형예에 따른 높이조절관부재(151'')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변형예에 따른 높이조절관부재(151'')는 높이조절관부재가 서로 다른 별체의 복수의 구성으로 마련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될 수 있다.
제2 변형예에 따른 높이조절관부재(151'')는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그 상부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인입된 인입홈(151da'')을 형성하며 인입홈(151da'')을 형성하는 내벽체에 테이퍼 형상의 제1 요철면(151db'')이 형성되는 제1 높이조절관파트(151d'')와, 인입홈(151da'')에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외주면에 제1 요철면(151db'')이 맞물려 지지되도록 테이퍼 형상의 제2 요철면(151ea'')이 형성되는 제2 높이조절관파트(151e'')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요철면(151db'')과 제2 요철면(151ea'')은 테이퍼진 각도가 150°이상 내지 170°이하의 각도로 형성된다. 이에, 제2 높이조절관파트(151e'')가 제1 높이조절관파트(151d'')를 기준으로 상승이동하며 높이조절관부재(151'')의 상하방향 길이가 변경되고, 제2 높이조절관파트(151e'')가 상승 이동한 상태에서 제2 요철면(151ea'')이 제1 요철면(151db'')에 맞물려 지지되며 제2 높이조절관파트(151e'')의 상승이동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종이 패키지 내부에 수납되는 제품의 위치를 변경(즉, 높낮이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종이 패키지 내부에 수납되는 제품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종이 패키지를 지지하는 받침부가 상대적으로 더 견고하게 제작될 수 있다. 이에, 종이 패키지의 내수성 및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제품으로부터 수분이 흘러나오더라도 받침부가 제품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 110: 하부몸체부
120: 받침부 130: 상부몸체부
140: 커버부 150: 수용부

Claims (3)

  1. 수용된 제품을 보관하기 위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로서,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그 하부에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된 제1 돌출부재를 가지는 하부몸체부;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돌출부재에 안착되는 받침부;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부에 안착되는 상부몸체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커버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측에서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고, 그 내부에 제품이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수용된 상기 제품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품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높이조절관부재; 및
    상기 높이조절관부재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고, 그 상부에 상기 제품이 안착되며, 상기 높이조절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고, 그 외주면이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높이조절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관부재와 상기 높이조절판부재의 전체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관부재의 외경은,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의 내경을 기준으로 한 직경보다 크도록 설계된 억지 끼워맞춤 공차로 설계되고,
    상기 높이조절판부재의 각각의 외경은,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의 내경의 길이의 1.002배 이상 내지 1.004배 이하이고,
    상기 상부몸체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측 이동에 의한 상기 커버부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도록, 그 상부에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제2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체 중 그 하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판부재는, 상기 높이조절판부재의 측면 둘레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 나사산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과, 상기 높이조절판부재의 하면 중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는 파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관부재는,
    그 내부에 상기 제품이 수용되고, 상기 높이조절판부재의 상부면에 접촉되는 높이조절관체;
    상기 높이조절관체의 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그 사이에 복수의 슬릿을 구획하고, 그 내부에 복수의 접이선이 마련된 벨로우즈 형상의 복수의 지지편; 및
    복수의 상기 지지편의 상부에서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커버부를 지지하는 지지링;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지지편은, 상기 높이조절판부재가 자전하며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지지링을 지지하며 상기 커버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복수의 상기 지지편은, 상기 커버부가 상기 제2 돌출부재의 하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절판부재가 더 자전하며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높이조절관체에 의해 가압되며 복수의 상기 접이선에 의해 접혀지며 그 상하방향 길이가 감소되고,
    상기 제2 돌출부재는, 상기 상부몸체부의 내벽체에서 그 폭이 감소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중심부를 향하여 라운드지게 하향 절곡되고,
    상기 제2 돌출부재의 절곡된 상부면은, 제1 곡률(K1)을 갖도록 연장되고 가상의 제1 곡률원(C1)을 기준으로 그 연장되는 각도(α1)가 85°초과 내지 115°미만이고,
    상기 제2 돌출부재의 절곡된 하부면은, 상기 제1 곡률(K1)보다 작은 제2 곡률(K2)을 갖도록 연장되고, 가상의 제2 곡률원(C2)을 기준으로 그 연장되는 각도(α2)가 75°초과 내지 95°미만이며,
    상기 제2 돌출부재의 절곡된 상부면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상기 제1 곡률(K1)이 연산되고,
    상기 제2 돌출부재의 절곡된 하부면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상기 제2 곡률(K2)이 연산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
    [수학식 1]
    Figure 112023502187967-pat00005

    (여기서, K1은 제1 곡률값을 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의 1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f''(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의 2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x1은 가상의 제1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에서 특정 x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23502187967-pat00006

    (여기서, K2은 제2 곡률값을 의미하고, f'(x2)은 가상의 제2 곡률원(C2) 이루는 함수의 1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f''(x2)은 가상의 제2 곡률원(C2)이 이루는 함수의 2회 미분값을 의미하고, x2은 가상의 제2 곡률원(C1)이 이루는 함수에서 특정 x축 좌표값을 의미한다.)
KR1020230091425A 2023-07-14 2023-07-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 KR10259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425A KR102594736B1 (ko) 2023-07-14 2023-07-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425A KR102594736B1 (ko) 2023-07-14 2023-07-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736B1 true KR102594736B1 (ko) 2023-10-25

Family

ID=8851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425A KR102594736B1 (ko) 2023-07-14 2023-07-14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7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237A (ja) * 2003-03-31 2004-10-28 Kokuyo Co Ltd ボックスファイル
KR20110003289U (ko) * 2009-09-25 2011-03-31 주식회사 신우 상품 진열용 상자
KR20130005536U (ko) * 2012-03-13 2013-09-25 주식회사 신우 카메라 렌즈 보관용 케이스
CN111661490A (zh) * 2020-06-11 2020-09-15 常成龙 一种光伏设备的移动收纳装置
KR20210062571A (ko) 2019-11-21 2021-05-31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 제어 밸브
CN213974960U (zh) * 2020-08-31 2021-08-17 常州赛得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的锂离子电池周转盒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9237A (ja) * 2003-03-31 2004-10-28 Kokuyo Co Ltd ボックスファイル
KR20110003289U (ko) * 2009-09-25 2011-03-31 주식회사 신우 상품 진열용 상자
KR20130005536U (ko) * 2012-03-13 2013-09-25 주식회사 신우 카메라 렌즈 보관용 케이스
KR20210062571A (ko) 2019-11-21 2021-05-31 씨케이디 가부시키 가이샤 유체 제어 밸브
CN111661490A (zh) * 2020-06-11 2020-09-15 常成龙 一种光伏设备的移动收纳装置
CN213974960U (zh) * 2020-08-31 2021-08-17 常州赛得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的锂离子电池周转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6183C (en) Pressed paperboard servingware with arched bottom panel and sharp brim transition
US20200223624A1 (en) Capsule for preparing a beverage such as coffee and the like
US6540080B2 (en) Protective wrap for protecting and packaging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21531216A (ja) 堆肥化または再利用が可能な包装ラップ
US20020189969A1 (en) Single-piece fold-to-shape protective device
MXPA06011562A (es) Taza de espuma envulta en papel y metodo de ensamble.
KR102594736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종이 패키지
WO2015143175A1 (en) Heat sealed packag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using the same
US9655461B2 (en) Pressware paperboard plate with wide brim and greater strength
US10457090B2 (en) Expandable package filler or ornament
US7571566B1 (en) Container and method of use
GB2502147A (en) Cup holder with collar and handle
KR20120004921U (ko) 일회용 식품용기 및 식품용기세트
KR102040109B1 (ko) 걸림턱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용기뚜껑 제조방법
US10000302B2 (en) Method of forming a stack of cosmetic pads
ITMI20100584A1 (it) Capsula monouso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aromatica, procedimento e macchina di processo per la sua realizzazione
CN101955016B (zh) 封装件
US20020040859A1 (en) Packaging material
JP4430590B2 (ja) 容器端面処理装置、容器製造装置および容器製造方法
JP2002347736A (ja) 紙容器、および紙容器用原紙、ならびに紙容器のプレス加工機、および製造方法
KR102396370B1 (ko) 종이받침대 패키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225060A (en) Sanitary display package construction
WO2024000552A1 (en) Reconfigurable inner support structure
WO2010111735A1 (en) Flexible material
CA2971165A1 (en) Tail sea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