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4688B1 -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4688B1
KR102594688B1 KR1020220146407A KR20220146407A KR102594688B1 KR 102594688 B1 KR102594688 B1 KR 102594688B1 KR 1020220146407 A KR1020220146407 A KR 1020220146407A KR 20220146407 A KR20220146407 A KR 20220146407A KR 102594688 B1 KR102594688 B1 KR 102594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head
bed
work object
current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숙
Original Assignee
(주)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테크 filed Critical (주)썬테크
Priority to KR1020220146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헤드부와 베드부의 현재위치점에서 재봉라인의 각도가 변경되는 시작인 변경전환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헤드부와 베드부의 회전을 미리 실행하여 재봉공정 전체에 대한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신호에 의해 작업대상물이 이동가능하게 안착하는 봉제틀, 상기 봉제틀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제어되는 헤드부, 상기 봉제틀 하부에 상기 헤드부와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베드부 및 상기 봉제틀, 상기 헤드부, 상기 베드부를 제어하여 작업대상물에 재봉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터닝 패턴 재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1)재봉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헤드부와 베드부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된 디자인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재봉 방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2)확인된 재봉 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헤드부와 베드부가 현재위치점에서 변경위치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업대상물에 퍼팩트 스티치로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sewing device to improve sewing speed}
본 기술은 헤드부와 베드부의 현재위치점에서 재봉라인의 각도가 변경되는 시작인 변경전환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헤드부와 베드부의 회전을 미리 실행하여 재봉공정 전체에 대한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가방, 신발 등은 재봉물이 두꺼울 뿐 아니라 원형이나 곡선, 사선 등 재봉이 까다로운 형상의 재봉선이 많이 들어가는데, 기존의 재봉기로는 재봉방향에 의한 히치 스티치(hitch stitch)가 발생하며, 이와 같이 스티치의 형상이 고르지 못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재봉기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테이블(10)의 상측에 헤드부를 포함한 암부(40)가 위치하고, 상기 테이블(10)의 하측에는 훅(Hook)을 포함한 베드부(미도시)가 위치하며, 상기 암부(40)와 베드부를 연결하는 결합부(60)로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와 베드부의 훅이 협동에 의해 봉제틀(50)에 고정된 재봉 대상물을 재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재봉기는 암, 베드 구조로 인해 봉제틀(50)를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한정된 영역의 재봉 대상물 가공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재봉기에서는 상기 봉제틀(50)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움직이므로, 사선의 스티치를 할 경우에 재봉하고자 하는 진행방향에 따라 구간별로 실의 꼬임이 발생하는 히치 스티치(hitch stitch)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곧 제품에 대한 품질을 저하시키는 이유가 된다.
일예로, 도 2는 종래의 재봉기에서 히치스티치가 발생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마름모형이나 직사각형의 경우, 4변 중 2개의 변이 퍼펙트 스티치인 P구간(Perfect Stitch)이고, 1개의 변은 정상과 불량 스티치가 혼합된 H/P구간(Hitch/Perfect Stitch)이고. 1개의 변은 H구간(Hitch Stitch)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또 다른 종래기술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내등록특허 제10-1887392호(공고일:2018.08.13.)인 헤드 터닝 방식의 제봉기가 개시되어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된 디자인 패턴에 맞추어 재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재봉라인이 원형 또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재봉라인(L)을 갖는 경우, 현재위치점(P1)에서 변경전환점(P2)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속도감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변경전환점(P2)에 도달 후, 변경된 재봉라인(L)의 각도와 부합되게 헤드부와 베드부가 회전 후, 점차 속도가 증가하도록 이동하면서 재봉을 실행하게 됨에 따라 재봉에 필요한 공정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887392호(공고일:2018.08.13.)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원형이나 소정각도로 절곡된 재봉라인을 따라 재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변경전환점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헤드부와 베드부의 속도감속 후, 회전하는 과정이 없이 변경된 재봉라인 방향으로의 지속적인 재봉이 가능하도록 헤드부와 배드부를 제어하여 재봉에 필요한 공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은 제어신호에 의해 작업대상물(O)이 이동가능하게 안착하는 봉제틀(50), 상기 봉제틀(5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제어되는 헤드부(100), 상기 봉제틀(50) 하부에 상기 헤드부(100)와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베드부(300) 및 상기 봉제틀(50), 상기 헤드부(100), 상기 베드부(300)를 제어하여 작업대상물(O)에 재봉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터닝 패턴 재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1)재봉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헤드부(100)와 베드부(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된 디자인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재봉 방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2)확인된 재봉 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헤드부(100)와 베드부(300)가 현재위치점에서 변경위치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업대상물(O)에 퍼팩트 스티치로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단계에서 헤드부(100)와 베드부(300)의 회전은 히치 스티치 재봉 방향인 경우에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설정된 디자인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작업대상물에 재봉라인을 따라 재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헤드부와 베드부가 현재위치점에서 변경전환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속도의 감속이 없이 변경된 재봉라인에 맞추어 퍼팩트 스티치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미리 회전함에 따라 재봉에 대한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패턴 재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히치 스티치가 발생한 작업대상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헤드터닝 패턴 재봉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베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대한 헤드부와 베드부의 이동과 회전에 대한 작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헤드부와 베드부의 작용관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이하, 간략하게 '제어방법'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하기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이해시키기 위해 디자인 패턴의 형상이 직선 및 사선의 형태를 갖는 패턴을 기반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음에 유의하며, 도시된 도면에는 헤드부(100)의 도시를 통해 본 발명인 제어방법(1)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며 실질적으로는 종래기술로 언급한 헤드 터닝 방식의 제봉기기에 포함된 베드부(300)와 함께 상기 헤드부(100)와 이동 및 회전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유의한다.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재봉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헤드부(100)와 베드부(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된 디자인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재봉 방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10) 및 2)확인된 재봉 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헤드부(100)와 베드부(3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작업대상물(O:도 2 참조)에 퍼팩트 스티치로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시키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1)단계의 실행을 위해 제어부는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 등을 통해 작업대상물(O)에 재봉하고자 하는 형상의 디자인 패턴정보가 미리 입력된 상태에서 현재 헤드부(100)와 베드부(300)에 대한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재봉 방향 정보를 획득하여 1)단계를 마감하게 된다.
즉,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재봉 방향 정보는 헤드부(100)와 베드부(300)의 현재위치점(P1)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부(100)와 베드부(300)의 방향이 바뀌는 방향전환점(P2)은 물론, 이러한 현재위치점(P1)과 방향전환점(P2)까지의 길이와 해당 길이까지 이동할 수 있는 시간 및 상기 방향전환점(P2)과 이어지는 변경된 재봉 방향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된 재봉 방향에 대한 정보는 퍼팩트 스티치인지, 아니면 히치 스티치 인지의 여부로 포함된다.
이후, 제어부는 2)단계의 실행을 위해 제어부에서 획득한 재봉 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헤드부(100)와 베드부(300)의 회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부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획득한 진행 방향 정보에 의거 방향전환점(P2) 이후의 재봉을 위한 진행 방향이 히치 스티치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는 헤드부(100)와 베드부(300)가 현재위치점(P1)에서 방향전환점(P2)까지 이동하는 동안 회전을 변경된 재봉라인에 맞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헤드부(100)와 베드부(300)의 회전은 재봉라인에 맞추어 퍼팩트 스티치로만 작업대상물(O) 전체 제봉라인에 대하여 재봉이 진행될 수 있도록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재봉 방향 정보에 의해 변경전환점(P2) 이후의 재봉라인이 히치 스티치 재봉으로 실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면 작업대상물(O)에 대한 품질의 향상을 위해 현재위치점(P1)에서 변경전환점(P2)으로 이동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미리 헤드부(100)와 베드부(300)를 회전시켜 퍼팩트 스티치로 재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변경전환점(P2) 이후의 재봉라인이 퍼팩트 스티치 재봉에 속하면 필요에 따라 제어부는 헤드부(100)와 베드부(300)가 미회전한 상태에서 재봉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13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방법(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설정된 디자인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작업대상물(O)에 재봉라인을 따라 재봉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헤드부(100)와 베드부(300)가 현재위치점(P1)에서 변경전환점(P2)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속도의 감속이 없이 변경된 재봉라인에 맞추어 퍼팩트 스티치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회전함에 따라 재봉에 대한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
100; 헤드부
300: 베드부
50: 봉제툴
P1: 현재위치점
P2: 변경전환점

Claims (2)

  1. 제어신호에 의해 작업대상물(O)이 이동가능하게 안착하는 봉제틀(50), 상기 봉제틀(5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제어되는 헤드부(100), 상기 봉제틀(50) 하부에 상기 헤드부(100)와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베드부(300) 및 상기 봉제틀(50), 상기 헤드부(100), 상기 베드부(300)를 제어하여 작업대상물(O)에 재봉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헤드터닝 패턴 재봉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1)재봉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제어부는 헤드부(100)와 베드부(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입력된 디자인 패턴정보를 기반으로 재봉 방향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2)확인된 재봉 방향 정보를 기반으로 헤드부(100)와 베드부(300)가 현재위치점에서 변경위치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속도의 감속이 없이 작업대상물(O)에 퍼팩트 스티치로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2)단계에서 헤드부(100)와 베드부(300)의 회전은 히치 스티치 재봉 방향인 경우에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
  2. 삭제
KR1020220146407A 2022-11-04 2022-11-04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 KR102594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407A KR102594688B1 (ko) 2022-11-04 2022-11-04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407A KR102594688B1 (ko) 2022-11-04 2022-11-04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688B1 true KR102594688B1 (ko) 2023-10-27

Family

ID=8851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407A KR102594688B1 (ko) 2022-11-04 2022-11-04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6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009A (ko)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 및 그의 구동 제어방법
KR20220105400A (ko) * 2021-01-20 2022-07-27 김만현 재봉헤드의 회전이 가능한 스티칭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009A (ko)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 및 그의 구동 제어방법
KR101887392B1 (ko) 2010-12-08 2018-08-13 썬스타 주식회사 재봉기 및 그의 구동 제어방법
KR20220105400A (ko) * 2021-01-20 2022-07-27 김만현 재봉헤드의 회전이 가능한 스티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2880B2 (en) Embroidery data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2179229A (ja) ミシン、縫目データ作成装置、及び縫目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KR102594688B1 (ko) 재봉 속도 향상을 위한 재봉장치의 제어방법
JP4578992B2 (ja) ミシン
US8176861B2 (en) Embroidery data processor, sewing machin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embroidery data processing
KR102569507B1 (ko) 헤드터닝 패턴 재봉장치를 이용한 재봉제어방법
JP4530867B2 (ja) ボタン付けミシン
JP4275800B2 (ja) ボタン孔かがり縫いミシン
JP2006263185A (ja) 玉縁縫いミシン
JP2020162764A (ja) ミシン及び模様の位置合わせ方法
US6289831B1 (en) Sewing machine capable of tracing an embroidery area
JP2008279116A (ja) ミシン
JP3354429B2 (ja) パターン縫いミシン
US20090025621A1 (en) Sewing machine
JP2836133B2 (ja) 刺繍データ処理装置
JP5142777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H0679075A (ja) 模様縫いミシンの布搬送装置
JP4845465B2 (ja) 曲線自動縫製方法及びその装置
JP2650250B2 (ja) 自動ミシン
JP3528663B2 (ja) 刺繍データ作成装置、刺繍作成方法及び記録媒体
JPH0426445A (ja) 衿地縫自動ミシン
JP3521814B2 (ja) 刺繍データ作成装置及び刺繍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2085870A (ja) 刺繍ミシン用刺繍範囲トレース方法
JP2002360959A (ja) ミシンの制御方法
JPH03139388A (ja) 刺繍ミシンのデー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