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938B1 -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938B1
KR102593938B1 KR1020230075790A KR20230075790A KR102593938B1 KR 102593938 B1 KR102593938 B1 KR 102593938B1 KR 1020230075790 A KR1020230075790 A KR 1020230075790A KR 20230075790 A KR20230075790 A KR 20230075790A KR 102593938 B1 KR102593938 B1 KR 102593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t
cartridge
seating groove
seat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신호철
Original Assignee
이상훈
신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신호철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2023007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05Dispensers provided with a replaceable cartridge, recharge or pouch located within the dispen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향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안착될 수 있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카트리지안착홈; 상기 발향카트리지로부터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카트리지안착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발향구; 및 상기 발향구를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개폐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개폐블록에 의해 상기 발향구가 개방되면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발향카트리지에서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개폐블록에 의해 상기 발향구가 차폐되면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발향카트리지에서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SCENT DIFFUSING DEVICE ATTACHED TO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후각은 정신 건강에 가장 중요한 감각으로써, 후각은 인간 감정의 컨트롤 타워인 대뇌의 편도체와 행복한 기억을 떠올리는 해마에 직접 영향을 준다. 또한, 불안과 스트레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우울증, 불면 증상의 해소와 치매 예방에 매우 중요한 감각이다.
향수는 액상 방향제를 디스펜서 장치에 담아 신체 등에 직접 뿌려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향기 지속시간이 짧기 때문에 향기를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디스펜서 장치를 들고 다니면서 주기적으로 뿌려주어야 한다.
디퓨저는 액상 방향제를 담은 용기에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는 막대형 발향체를 꽂아 사용하는 제품으로, 향기 지속시간이 향수와 비교하여 길지만, 용기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대하기 어렵다. 또한, 발향체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캔들은 향료를 함침(impregnation)한 왁스에 심지를 꽂고 불을 붙여 사용하는 향초 등과 같은 제품으로, 향기 지속시간이 향수와 비교하면 길지만 디퓨저와 비교하면 길다고 할 수 없고, 왁스를 담은 용기의 크기나 재질 선택이 자유롭기 때문에 휴대용으로 제조하기 용이하나 사용자의 주의 정도에 따라 화재 사고 발생의 위험이 상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단점들을 보완하여, 휴대가 용이하면서 향기가 약해졌을 때 재충전이 가능하고,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에 따라 발향시킬 수 있는 발향 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8600호(2019.02.20)
본 발명은, 모두가 소지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별도의 전원 장치 없이, 간단한 수동 조작 방식으로 필요에 따라 향을 발향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 가능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발향 가능한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발향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용도에 따라 향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배터리가 필요없는 자연 발향 방식으로 이루어져, 안전성도 높은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향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안착될 수 있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카트리지안착홈; 상기 발향카트리지로부터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카트리지안착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발향구; 및 상기 발향구를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개폐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개폐블록에 의해 상기 발향구가 개방되면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발향카트리지에서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개폐블록에 의해 상기 발향구가 차폐되면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발향카트리지에서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발향카트리지를 고정하는 카트리지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고정부는, 상기 카트리지안착홈 내에 위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안착될 수 있는 판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부; 및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의 둘레면에서 상기 카트리지안착홈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카트리지안착홈 둘레면 내측으로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면에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카트리지안착홈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발향카트리지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핀 사이에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향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되며, 상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뚜껑;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향을 발향하는 발향부재; 상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발향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차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후방부에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발향부재의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향배출구; 좌측 외측면에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스프링; 및 우측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가압바;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후방부에 상기 향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발향홀; 및 우측면에 상기 가압바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면, 상기 프레임의 좌측에 설치된 스프링은 상기 케이스의 좌측 내주면과 접촉되고, 상기 프레임의 우측에서 돌출 형성된 가압바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되기 전에는, 상기 향배출구와 상기 발향홀은 서로 좌우 방향을 따라 엇갈리도록 위치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되면,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의 우측 내주면에 의해 상기 가압바가 가압되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좌측으로 가압되어 이동되고, 상기 프레임이 좌측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의 우측 내주면에 의해 상기 가압바가 가압되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향배출구와 상기 발향홀은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향배출구, 상기 발향홀, 상기 발향구가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블록에 의해 상기 발향구가 개방되면, 상기 발향부재의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에는 수분량에 따라 색이 변하는 재질의 향료감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향료감지부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디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오링 형태로 형성되는 핑거링; 및 상기 핑거링이 안착될 수 있는 핑거링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두가 소지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별도의 전원 장치 없이, 간단한 수동 조작 방식으로 필요에 따라 향을 발향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 가능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발향 가능하다.
또한, 발향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용도에 따라 향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가 필요없는 자연 발향 방식으로 이루어져, 안전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바디와 커버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발향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고정부에 의해 발향카트리지가 고정되는 과정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고정부에서 발향카트리지가 분리되는 과정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카트리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카트리지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카트리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카트리지가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1)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의 바디(11)와 커버(12)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과 발향카트리지(2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고정부(118)에 의해 발향카트리지(20)가 고정되는 과정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고정부(118)에서 발향카트리지(20)가 분리되는 과정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카트리지(2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카트리지(2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카트리지(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안착홈(111)에 안착된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1)는 하우징(10) 및 발향카트리지(2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과 발향카트리지(20)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통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하면이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드폰 뒷면에 하우징(10)의 하면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이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는 수단은 다양한 부착 수단 중 하나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재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21)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바디(11) 및 커버(12)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11)에는 발향카트리지(20)가 안착될 수 있다. 바디(11)는 하우징(1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이다. 바디(11)의 상부에 커버(12)가 탈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11)는 소정 두께의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1)의 하면은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다.
바디(11)에는 카트리지안착홈(111), 장홈(112), 향배출부(113), 발향구(114), 개폐블록(115), 블록이동홈(116), 개폐조절부(117) 및 카트리지고정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안착홈(111)에는 발향카트리지(20)가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안착홈(111)은 바디(11)에서 발향카트리지(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일 예로, 카트리지안착홈(111)은 바디(11)의 중심부에서 발향카트리지(20)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며, 발향카트리지(20)의 높이보다 깊은 높이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장홈(112)은 카트리지안착홈(111)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장홈(112)은 카트리지안착홈(111)의 우측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장홈(112)에는 후술할 카트리지고정부(118)의 버튼부(1184)가 설치될 수 있다.
향배출부(113)는 바디(11)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향배출부(113)는 바디(11)의 후방부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향배출부(113)는 카트리지안착홈(111)의 후방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또한, 향배출부(113)의 좌우 길이는 카트리지안착홈(111)의 좌우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발향구(114)는 카트리지안착홈(111)에 안착된 발향카트리지(20)로부터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안착홈(111)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홀이다. 구체적으로, 발향구(114)는 향배출부(113)와 카트리지안착홈(111) 사이 부분의 바디(11)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카트리지안착홈(111)과 향배출부(113)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발향구(114)는 바디(11)에서 카트리지안착홈(111)의 내측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향구(114)를 통해 카트리지안착홈(111)에 안착된 발향카트리지(20)에서 배출되는 향이 외부로 발향될 수 있다.
개폐블록(115)은 발향구(114)를 차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개폐블록(115)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바디(11)에 형성된 블록이동홈(116)에서 인출되거나 블록이동홈(116)으로 인입될 수 있다. 또한, 개폐블록(115)은 개폐조절부(117)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즉, 개폐조절부(117)에 의해 개폐블록(115)이 바디(11)에 형성된 블록이동홈(116)에서 인출되거나 블록이동홈(116)으로 인입될 수 있다. 개폐블록(115)은 향배출부(113) 내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향배출부(113)에서 발향구(114)가 형성된 부분의 일 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되어, 발향구(114)를 개방하거나 차폐할 수 있다.
개폐블록(115)이 블록이동홈(116)으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되면, 발향구(114)가 개방되면서 카트리지안착홈(111)에 안착된 발향카트리지(20)에서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대로, 개폐블록(115)이 블록이동홈(116)에서 인출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되면, 발향구(114)가 차폐되면서 카트리지안착홈(111)에 안착된 발향카트리지(20)에서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블록이동홈(116)은 향배출부(113)의 일 측에 형성되어, 개폐블록(115)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로, 블록이동홈(116)은 향배출부(113)의 우측에서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개폐블록(115)이 블록이동홈(116) 내부로 인입되거나 블록이동홈(116)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개폐조절부(117)는 개폐블록(115)과 연결되어, 개폐블록(115)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개폐조절부(117)는 바디(11)의 후방부에서 후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조절부(117)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개폐조절부(11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폐블록(115)이 블록이동홈(116) 내부로 인입되도록 이동되어 발향구(114)가 개방될 수 있고, 개폐조절부(11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개폐블록(115)이 블록이동홈(116) 외부로 인출되도록 이동되어 발향구(114)가 차폐될 수 있다.
개폐조절부(117)와 개폐블록(115)이 연결되는 구조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개폐조절부(117)가 회전됨에 따라 개폐블록(115)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개폐조절부(117)와 개폐블록(115)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조절부(117)가 버튼형식으로 형성되어, 개폐조절부(117)의 눌림에 따라 개폐블록(115)이 이동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고정부(118)는 카트리지안착홈(111)에 안착되는 발향카트리지(20)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카트리지안착홈(111)에 발향카트리지(20)가 안착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카트리지고정부(118)는 안착플레이트(1181), 탄성부(1182), 고정핀(1183) 및 버튼부(1184)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플레이트(1181)는 카트리지안착홈(111) 내에 위치되며, 상면에는 발향카트리지(20)가 안착될 수 있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플레이트(1181)는 카트리지안착홈(111)의 좌우, 상하 길이와 동일한 길이 또는 카트리지안착홈(111)의 좌우, 상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카트리지안착홈(11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탄성부(1182)는 안착플레이트(118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1182)는 카트리지안착홈(111)의 바닥면과 안착플레이트(1181)의 하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탄성부(1182)는 스프링(23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핀(1183)은 카트리지안착홈(111)의 둘레면에서 카트리지안착홈(111)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카트리지안착홈(111) 둘레면 내측으로 인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소정 길이의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핀(1183)은 소정 길이의 직육면체 또는 원형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1184)는 장홈(112) 내에 설치되며, 고정핀(1183)과 연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버튼부(1184)가 눌림에 따라 고정핀(1183)이 카트리지안착홈(111) 둘레면 내측으로 인입되고, 버튼부(1184)의 눌림이 해지됨에 따라 고정핀(1183)이 카트리지안착홈(111) 둘레면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버튼부(1184)와 고정핀(1183)은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버튼부(1184)의 눌림에 따라 고정핀(1183)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일반적인 구조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도 6a와 같이 안착플레이트(1181) 상면에 발향카트리지(2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버튼부(1184)가 눌리면 도 6b와 같이 고정핀(1183)이 카트리지안착홈(111)의 둘레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c와 같이 발향카트리지(20)를 안착플레이트(1181) 상면에 안착시키고 하측으로 소정 힘으로 가압한 후에, 버튼부(1184)의 누름을 해지하면, 도 6d와 같이 고정핀(1183)이 카트리지안착홈(111) 둘레면에서 돌출되며, 발향카트리지(20) 상면을 고정할 수 있다. 즉, 안착플레이트(1181) 상면에 발향카트리지(20)가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핀(1183)이 카트리지안착홈(111) 내측으로 돌출되며, 발향카트리지(20) 상면과 접촉되어, 안착플레이트(1181)와 고정핀(1183) 사이에 발향카트리지(2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발향카트리지(20)를 카트리지안착홈(111)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즉, 발향카트리지(20)를 교체할 때, 도 7과 같이 발향카트리지(20)를 카트리지안착홈(111)에서 분리할 수 있다. 발향카트리지(20)를 카트리지안착홈(111)에서 분리하는 과정은 도 6의 과정을 반대로 진행하면 된다.
도 7a와 같이 발향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안착홈(111)에 설치된 상태에서, 버튼부(1184)를 가압하여 도 7b와 같이 고정핀(1183)이 카트리지안착홈(111) 둘레면으로 인입되도록 한 후, 도 7c와 같이 발향카트리지(20)를 카트리지안착홈(111)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버튼부(1184)의 가압을 해지하면 고정핀(1183)은 카트리지안착홈(111) 둘레면에서 인출된 상태가 된다.
커버(12)는 바디(11)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12)는 바디(11)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버(12)와 바디(11)가 체결되는 일반적인 체결 구조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2)가 바디(11)의 상부에 체결됨으로써, 바디(11)의 카트리지안착홈(111)과 바디(11) 내부의 구성들이 외부와 차단되어 보호될 수 있다.
커버(12)에는 핑거링(121), 핑거링안착홈(122) 및 개방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핑거링(121)은 커버(12)의 상면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오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핑거링(121)은 커버(12)의 상면에서 일 지점이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핑거링안착홈(122)은 핑거링(121)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핑거링(12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홈이다.
개방부(123)는 후술할 뚜껑(22)의 투명창(221)과 덮개(233)의 향료감지부재(2331)와 상하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개방 부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부(123)는 바디(11) 내부에 배치되는 발향카트리지(20)의 투명창(221)과 향료감지부재(2331)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다. 일 예로, 개방부(123)는 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홀이 투명한 부재로 차폐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발향카트리지(20)는 케이스(21), 뚜껑(22) 및 본체(2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는 카트리지안착홈(111)에 안착되며, 상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내부공간(211)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1)의 내부공간(211)에는 본체(23)가 안착될 수 있으며, 케이스(21)의 개방된 상면은 상부에 탈부착되는 뚜껑(22)에 의해 개방 또는 차폐될 수 있다.
케이스(21)는 발향카트리지(20)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21)일 수 있다. 일 예로, 케이스(21)는 내부공간(211)에 본체(23)가 안착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1)에는 발향홀(212) 및 관통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발향홀(212)은 케이스(21)의 후방부 둘레에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발향홀(212)은 케이스(21)의 내부공간(211)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홀이다. 발향홀(212)을 통해 내부공간(211)에 안착된 본체(23)에서 배출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관통홀(213)은 케이스(21)의 우측면에 형성되는 홀이다. 관통홀(213)을 통해 본체(23)의 가압바(2314)가 관통될 수 있다.
뚜껑(22)은 케이스(21)의 개방된 상면을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다. 뚜껑(22)은 케이스(21)의 상부에 탈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반적인 뚜껑(22)과 케이스(21)의 체결 구조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뚜껑(22)에는 투명창(221)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창(221)은 본체(23)의 덮개(233)에 형성된 향료감지부재(2331)와 상하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뚜껑(22)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향료감지부재(2331)가 보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향료감지부재(2331)의 상측에 투명창(221)이 위치되고, 투명창(221) 상측에 개방부(123)가 위치되어, 하우징(10) 외측에서 향료감지부재(233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23)는 케이스(21)의 내부공간(211)에 안착되며, 발향부재(232)를 포함하여 향을 발향하는 구성이다. 본체(23)는 프레임(231), 발향부재(232) 및 덮개(2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31)의 내부에 발향부재(232)가 안착될 수 있다. 프레임(231)은 상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발향부재(232)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공간(231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231)은 상면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31)의 개방된 상부는 덮개(233)의 탈부착에 의해 차폐 또는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31)은 케이스(21)의 내부공간(21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케이스(21)의 내부공간(211)에 안착될 수 있다. 프레임(231)이 케이스(21)의 내부공간(211)에 안착된 상태일 때, 케이스(21) 내부에서 프레임(231)의 양 측에는 소정의 여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31)은 향배출구(2312), 스프링(2313) 및 가압바(2314)를 포함할 수 있다.
향배출구(2312)는 프레임(231)의 후방부 둘레에 형성되는 홀이다. 향배출구(2312)는 프레임(231) 내부의 안착공간(2311)과 외부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홀이다. 향배출구(2312)를 통해 프레임(231) 내부의 안착공간(2311)에 안착된 발향부재(232)에서 발향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스프링(2313)은 프레임(231)의 좌측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가압바(2314)는 프레임(231)의 우측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31)이 케이스(21)의 내부공간(211)에 배치되면, 프레임(231)의 좌측에 설치된 스프링(2313)은 케이스(21)의 좌측 내주면과 접촉되고, 프레임(231)의 우측에서 돌출 형성된 가압바(2314)는 케이스(21)의 관통홀(213)을 관통하여 케이스(21)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처럼, 발향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안착홈(111)에 안착되기 전인 상태에서는, 향배출구(2312)와 발향홀(212)은 서로 좌우 방향을 따라 엇갈리도록 위치된 상태이다.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향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안착홈(111)에 안착되면, 카트리지안착홈(111)의 우측 내주면에 의해 가압바(2314)가 가압되면서, 프레임(231)이 케이스(21) 내측에서 좌측으로 가압되어 이동되고, 프레임(231)이 좌측으로 가압되면서 프레임(231)의 외측면과 케이스(21)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2313)이 압축될 수 있다. 카트리지안착홈(111)의 우측 내주면에 의해 가압바(2314)가 가압되면서, 프레임(231)이 케이스(21) 내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면, 향배출구(2312)와 발향홀(212)은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연통될 수 있다.
이처럼, 발향카트리지(20)가 카트리지안착홈(111)에 안착되어, 향배출구(2312), 발향홀(212), 발향구(114)가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개폐블록(115)에 의해 발향구(114)가 개방되면, 발향부재(232)의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발향부재(232)는 향을 발향할 수 있다. 일 예로, 발향부재(232)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에센셜 오일과 같은 향료가 흡수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233)는 프레임(231)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덮개(233)에는 향료감지부재(2331)가 설치될 수 있다.
향료감지부재(2331)는 수분량에 따라 색이 변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향료감지부재(2331)는 주변의 수분을 흡수하되, 흡수되는 수분량에 따라 색이 변하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향료감지부재(2331)는 뚜껑(22)에 설치된 투명창(221)에 의해, 사용자가 하우징(10) 외측에서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향료감지부재(2331)의 색 변화를 통해 발향부재(232)의 향료 부족 여부를 확인하고, 발향카트리지(20)의 교체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10: 하우징 11: 바디
111: 카트리지안착홈 112: 장홈
113: 향배출부 114: 발향구
115: 개폐블록 116: 블록이동홈
117: 개폐조절부 118: 카트리지고정부
1181: 안착플레이트 1182: 탄성부
1183: 고정핀 184: 버튼부
12: 커버 121: 핑거링
122: 핑거링안착홈 123: 개방부
20: 발향카트리지 21: 케이스
211: 내부공간 212: 발향홀
213: 관통홀 22: 뚜껑
221: 투명창 23: 본체
231: 프레임 2311: 안착공간
2312: 향배출구 2313: 스프링
2314: 가압바 232: 발향부재
233: 덮개 2331: 향료감지부재

Claims (9)

  1.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발향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안착될 수 있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카트리지안착홈;
    상기 발향카트리지로부터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카트리지안착홈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발향구; 및
    상기 발향구를 차폐하거나 개방하는 개폐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개폐블록에 의해 상기 발향구가 개방되면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발향카트리지에서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개폐블록에 의해 상기 발향구가 차폐되면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발향카트리지에서 발향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발향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되며, 상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차폐할 수 있는 뚜껑;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안착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향을 발향하는 발향부재;
    상면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발향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을 차폐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후방부에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발향부재의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향배출구;
    좌측 외측면에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스프링; 및
    우측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가압바;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후방부에 상기 향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발향홀; 및
    우측면에 상기 가압바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인,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되는 상기 발향카트리지를 고정하는 카트리지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고정부는,
    상기 카트리지안착홈 내에 위치되며, 상면에는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안착될 수 있는 판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는 탄성부; 및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의 둘레면에서 상기 카트리지안착홈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카트리지안착홈 둘레면 내측으로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면에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이 상기 카트리지안착홈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발향카트리지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핀 사이에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면, 상기 프레임의 좌측에 설치된 스프링은 상기 케이스의 좌측 내주면과 접촉되고, 상기 프레임의 우측에서 돌출 형성된 가압바는 상기 케이스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되기 전에는, 상기 향배출구와 상기 발향홀은 서로 좌우 방향을 따라 엇갈리도록 위치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되면,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의 우측 내주면에 의해 상기 가압바가 가압되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좌측으로 가압되어 이동되고, 상기 프레임이 좌측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의 우측 내주면에 의해 상기 가압바가 가압되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향배출구와 상기 발향홀은 서로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향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향배출구, 상기 발향홀, 상기 발향구가 동일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블록에 의해 상기 발향구가 개방되면, 상기 발향부재의 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수분량에 따라 색이 변하는 재질의 향료감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향료감지부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바디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오링 형태로 형성되는 핑거링; 및
    상기 핑거링이 안착될 수 있는 핑거링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KR1020230075790A 2023-06-13 2023-06-13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KR102593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790A KR102593938B1 (ko) 2023-06-13 2023-06-13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790A KR102593938B1 (ko) 2023-06-13 2023-06-13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938B1 true KR102593938B1 (ko) 2023-10-24

Family

ID=88515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790A KR102593938B1 (ko) 2023-06-13 2023-06-13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938B1 (ko)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7656A (ja) * 1985-05-13 1986-11-15 株式会社エンクラービジネス 揮発性組成物
JP2004243035A (ja) * 2003-02-17 2004-09-02 Alta Corporation 芳香器
JP2005040207A (ja) * 2003-07-24 2005-02-17 Advance:Kk 携帯用芳香剤
KR200380222Y1 (ko) * 2004-12-31 2005-03-29 이흥우 정보단말기용 향기 발생장치
KR200397957Y1 (ko) * 2005-07-29 2005-10-10 주식회사 헤드라인정보통신 아로마테라피 기능이 부가된 차량용 지피에스 단말기.
KR20080036026A (ko) * 2008-03-12 2008-04-24 조덕현 가전기기 부착형 방향제 및 소취제 케이스
KR20110083330A (ko) *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휴대용 전기 가열식 훈증기
JP3188526U (ja) * 2013-10-15 2014-01-30 國忠 楊 芳香発散装置を備えるポータブルデバイスの保護カバー
KR20170040650A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미용 팩
KR20170049827A (ko) * 2015-10-29 2017-05-11 김용현 향기 발산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170084479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
CN107454233A (zh) * 2017-09-12 2017-12-08 深圳初上科技有限公司 自带实木香味的手机内置扬声器
JP2018103537A (ja) * 2016-12-27 2018-07-05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変色性芳香材
KR200488600Y1 (ko) 2016-11-04 2019-02-26 주식회사 불스원 발향장치
KR20190123175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에너전트 스마트 디퓨져
JP2021518805A (ja) * 2018-05-15 2021-08-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マイクロ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マイクロ流体カートリッジを備えるマイクロ流体送達装置
CN217470049U (zh) * 2022-04-07 2022-09-20 北京讯通安添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带香薰功能的手机壳
CN218162546U (zh) * 2022-10-18 2022-12-27 广州大学附属中学 一种香熏型手机保护壳
CN218679139U (zh) * 2022-09-30 2023-03-21 深圳市鑫鹤展阳科技有限公司 带气味片的手机壳

Patent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7656A (ja) * 1985-05-13 1986-11-15 株式会社エンクラービジネス 揮発性組成物
JP2004243035A (ja) * 2003-02-17 2004-09-02 Alta Corporation 芳香器
JP2005040207A (ja) * 2003-07-24 2005-02-17 Advance:Kk 携帯用芳香剤
KR200380222Y1 (ko) * 2004-12-31 2005-03-29 이흥우 정보단말기용 향기 발생장치
KR200397957Y1 (ko) * 2005-07-29 2005-10-10 주식회사 헤드라인정보통신 아로마테라피 기능이 부가된 차량용 지피에스 단말기.
KR20080036026A (ko) * 2008-03-12 2008-04-24 조덕현 가전기기 부착형 방향제 및 소취제 케이스
KR20110083330A (ko) * 2010-01-14 2011-07-20 주식회사 이노케어시스템즈 휴대용 전기 가열식 훈증기
JP3188526U (ja) * 2013-10-15 2014-01-30 國忠 楊 芳香発散装置を備えるポータブルデバイスの保護カバー
KR20170040650A (ko) * 2015-10-05 2017-04-13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미용 팩
KR20170049827A (ko) * 2015-10-29 2017-05-11 김용현 향기 발산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20170084479A (ko) * 2016-01-12 2017-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
KR200488600Y1 (ko) 2016-11-04 2019-02-26 주식회사 불스원 발향장치
JP2018103537A (ja) * 2016-12-27 2018-07-05 パイロットインキ株式会社 変色性芳香材
CN107454233A (zh) * 2017-09-12 2017-12-08 深圳初上科技有限公司 自带实木香味的手机内置扬声器
KR20190123175A (ko) * 2018-04-23 2019-10-31 주식회사 에너전트 스마트 디퓨져
JP2021518805A (ja) * 2018-05-15 2021-08-05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マイクロ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マイクロ流体カートリッジを備えるマイクロ流体送達装置
CN217470049U (zh) * 2022-04-07 2022-09-20 北京讯通安添通讯科技有限公司 一种带香薰功能的手机壳
CN218679139U (zh) * 2022-09-30 2023-03-21 深圳市鑫鹤展阳科技有限公司 带气味片的手机壳
CN218162546U (zh) * 2022-10-18 2022-12-27 广州大学附属中学 一种香熏型手机保护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7840A (en) Dispersant container and dispenser
US4339079A (en) Fragrance emitter
KR102162487B1 (ko) 방향물질 배출장치
WO2020063039A1 (zh) 一种用于扩香器的储液瓶及扩香器
KR102126742B1 (ko) 스마트 디퓨져
KR102593938B1 (ko)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CA2812474C (en) Liquid sprayer for dispensing a spray liquid
KR101725924B1 (ko)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CN210299470U (zh) 烟嘴香珠添加器
CN110486862B (zh) 可替换外壳的香氛空气净化器
CN203885888U (zh) 香氛喷雾装置
CA2997174A1 (en) Spray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6589487B1 (en) Scent dispensing apparatus
KR20200103588A (ko) 지속형 방향부를 갖는 온디맨드 스프레이형 방향 디퓨져
CN107981516B (zh) 一种补水仪及开关装置
CN220374242U (zh) 车载香薰
CN217109647U (zh) 一种带有喷雾功能的点烟器
KR200380265Y1 (ko) 방향제필통
KR102332586B1 (ko) 차량용 연무장치
CN219271705U (zh) 一种香薰机
JPS6334567Y2 (ko)
CN216063932U (zh) 一种新型液体直喷器
WO2020063055A1 (zh) 一种用于扩香器的储液瓶及扩香器
JP2004033609A (ja) エアゾール容器とその放散持続器
KR200414524Y1 (ko) 향수가 내재된 휴대폰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