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924B1 -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924B1
KR101725924B1 KR1020150124980A KR20150124980A KR101725924B1 KR 101725924 B1 KR101725924 B1 KR 101725924B1 KR 1020150124980 A KR1020150124980 A KR 1020150124980A KR 20150124980 A KR20150124980 A KR 20150124980A KR 101725924 B1 KR101725924 B1 KR 10172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portable card
wall
fram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109A (ko
Inventor
박영근
전미소
우아미
김창한
이상민
Original Assignee
박영근
전미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근, 전미소 filed Critical 박영근
Priority to KR102015012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9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28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카드부; 및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PORTABLE AND RECHARGEABLE CARD-TYPE DIFFUSERS AND DIFFUSER ASSEMBLIE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향기를 발산할 수 있고 향기가 약해지면 재충전할 수 있는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향기 제품에는 대표적인 예로서 향수, 디퓨저, 캔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향수는 액상 방향제를 디스펜서 장치에 담아 신체 등에 직접 뿌려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향기 지속시간이 짧기 때문에 향기를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서는 디스펜서 장치를 들고 다니면서 주기적으로 뿌려주어야 한다.
디퓨저는 액상 방향제를 담은 용기에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는 막대형 발향체를 꽂아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향기 지속시간이 향수와 비교하여 길지만, 용기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어렵다. 또한, 발향체를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캔들은 향료를 함침(impregnation)한 왁스에 심지를 꽂고 불을 붙여 사용하는 향초 등과 같은 제품으로서, 향기 지속시간이 향수와 비교하면 길지만 디퓨저와 비교하면 길다고 할 수 없고, 왁스를 담은 용기의 크기나 재질 선택이 자유롭기 때문에 휴대용으로 제조하기는 용이하나 사용자의 주의 정도에 따라 화재 사고 발생의 위험이 상존하게 된다.
향수, 디퓨저, 캔들과 같은 상술한 향기 제품들은 주로 대량 생산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디자인 커스터마이징(design customizing)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단점들을 보완하여, 휴대가 용이하면서 향기가 약해졌을 때 재충전이 가능하고, 향기 지속시간이 길며, 소비자의 취향에 맞도록 다양한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는 디퓨저 제품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7428호(2008. 11. 06, 방향제 케이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향기를 발산할 수 있고 향기가 약해지면 재충전할 수 있는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카드부; 및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카드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향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하단 측면에는 액상 방향제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제2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좌단 및 우단 측면에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 외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통풍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카드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를 구획하는 스토퍼 벽이 일면에서 돌출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 벽에 접하면서 상기 수용 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구획하는 돌출 벽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발향체를 상기 제1 프레임 측으로 가압하는 복수 개의 돌기가 일면에서 돌출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 홀 및 상기 통풍구는 상기 스토퍼 벽의 일부가 상기 제1 프레임 측으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벽과 상기 돌출 벽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면에는 외부에서 상기 통풍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발향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도록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통풍구 측에 배치되는 제2 차단 벽이 상기 발향체의 두께 이상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인테리어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향체는 다공성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액상 방향제를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벽을 관통하여 상하 돌출되고,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는 리드부; 상기 리드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카드부; 및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리드부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카드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향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하단 측면에는 상기 리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제2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좌단 및 우단 측면에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 외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통풍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카드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를 구획하는 스토퍼 벽이 일면에서 돌출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 벽에 접하면서 상기 수용 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구획하는 돌출 벽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발향체를 상기 제1 프레임 측으로 가압하는 복수 개의 돌기가 일면에서 돌출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 홀 및 상기 통풍구는 상기 스토퍼 벽의 일부가 상기 제1 프레임 측으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벽과 상기 돌출 벽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면에는 외부에서 상기 통풍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발향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도록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통풍구 측에 배치되는 제2 차단 벽이 상기 발향체의 두께 이상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의 상벽에는 상기 리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삽입 홀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상벽은 상기 리드부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여 향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인테리어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문양에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부; 및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LED 조명부의 빛이 상기 휴대용 카드부 측으로만 조사되도록 상기 LED 조명부를 감싸는 제1 차단 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향체는 다공성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체가 수용되는 휴대용 카드부를 용기부에서 분리하여 신용카드 등과 함께 지갑 등에 넣어 휴대할 수 있고, 향기 발산이 약해지면 리드부를 통해 용기부에 결합함으로써 액상 방향제를 보충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발향체를 다공성 세라믹 재질로 제조하여 향기 지속시간을 향상시킬 수도 있고, 휴대용 카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소비자 취향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의 문양을 넣고 용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LED 조명부를 통해 문양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디퓨저 어셈블리를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어셈블리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휴대용 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휴대용 카드부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휴대용 카드부의 제2 프레임을 도 4에서 뒤집은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휴대용 카드부를 도 3의 I - I ´에서 절단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휴대용 카드부를 도 3의 II - II ´에서 절단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어셈블리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어셈블리(10)는 용기부(100), 리드부(200), 휴대용 카드부(300) 및 발향체(400,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110), LED 조명부(120) 및 제1 차단 벽(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는 디퓨저 어셈블리(10)의 일부 구성, 즉 휴대용 카드부(300) 및 발향체(400)로 이루어지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 어셈블리(10)에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용기부(100)의 내부에는 액상 방향제가 수용될 수 있다.
용기부(100)의 상벽(101)에는 리드부(200)의 하부가 삽입 가능한 제1 삽입 홀(103)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리드부(200)는 용기부(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벽(101)은 용기부(100)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상 방향제는 상벽(101)이 분리된 상태에서 용기부(100)에 보충될 수 있다. 또한, 상벽(101)은 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리드부(20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상벽(101)은 리드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여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즉, 향기는 발향체(400)뿐만 아니라 상벽(101)을 통해서도 발산됨으로써, 디퓨저 어셈블리(10) 전체로 보면 향기의 발산 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리드부(200)는 리드부(200)의 하부가 제1 삽입 홀(103)에 삽입됨으로써 상벽(101)을 관통하여 상벽(101)의 상하로 돌출될 수 있다.
리드부(200)의 하단은 용기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상 방향제에 잠겨 액상 방향제를 흡수할 수 있고, 리드부(200)의 상단은 휴대용 카드부(3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발향체(4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발향체(400)에 액상 방향제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리드부(200)의 상부는 리드부(200)의 하부와 비교하여 큰 폭을 가져 리드부(200)의 하부와 달리 제1 삽입 홀(103)에 삽입되지 않고 상벽(101)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휴대용 카드부(300)는 상벽(10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리드부(2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리드부(200)는 등나무, 갈대 또는 대나무 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용 카드부(300)는 신용카드 등과 함께 지갑 등에 넣어 휴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용 카드부(300)의 내부에는 발향체(40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휴대용 카드부(300)의 하단 측면에는 리드부(200)의 상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휴대용 카드부(300)의 수용 공간으로 연결되는 제2 삽입 홀(3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용 카드부(300)는 리드부(2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용기부(110)에는 리드부(200)에 결합되는 휴대용 카드부(300)가 안정적으로 직립할 수 있도록 휴대용 카드부(300)의 일면 또는 양면을 지지하는 지지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휴대용 카드부(300)의 좌단 및 우단 측면에는 수용 공간으로 연결되는 통풍구(3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외기는 통풍구(315)를 통해 휴대용 카드부(300)의 수용 공간에 출입함으로써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발향체(400)에서 발산되는 향기를 주변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기는 휴대용 카드부(300)의 좌단 측면에 형성되는 통풍구(315)를 통해 휴대용 카드부(300)의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어 발향체(400)에 접촉한 후에 휴대용 카드부(300)의 우단 측면에 형성되는 통풍구(315)를 통해 휴대용 카드부(300)의 수용 공간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휴대용 카드부(300)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인테리어 문양(M)이 형성될 수 있다. 문양(M)은 소비자 취향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 예를 들어 전통민화, 팝 아트, 명화 등의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고, 휴대용 카드부(30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새겨지거나 안료 또는 도료를 이용하여 그려질 수도 있다. 한편, 휴대용 카드부(300)가 리드부(200)를 통해 용기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LED 조명부(120)를 통해 문양(M)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디퓨저 어셈블리(10)를 인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LED 조명부(120)는 용기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0)에는 제1 차단 벽(130)이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차단 벽(130)은 LED 조명부(120)의 빛이 휴대용 카드부(300),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카드부(300)의 문양(M) 측으로만 조사되도록 LED 조명부(120)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도 3은 휴대용 카드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휴대용 카드부를 분해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휴대용 카드부의 제2 프레임을 도 4에서 뒤집은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휴대용 카드부를 도 3의 I - I ´에서 절단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휴대용 카드부를 도 3의 II - II ´에서 절단한 상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카드부(300)는 제1 프레임(310) 및 제2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10)은 제2 프레임(32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프레임(310)과 제2 프레임(320)은 서로 협력하여 발향체(40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프레임(310)의 일면에는 스토퍼 벽(311)이 돌출될 수 있고, 제2 프레임(320)의 일면에는 스토퍼 벽(311)에 접하는 돌출 벽(321)이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 벽(311)은 수용 공간의 일부를 구획할 수 있고, 돌출 벽(321)은 수용 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 스토퍼 벽(311)은 제1 프레임(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됨으로써 고리 형상을 이룰 수 있고, 돌출 벽(321)은 제2 프레임(3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됨으로써 스토퍼 벽(311)과 마찬가지로 고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2 삽입 홀(313) 및 통풍구(315)는 스토퍼 벽(311)의 일부가 제1 프레임(310) 측으로 함몰됨으로써 스토퍼 벽(311)과 돌출 벽(321)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삽입 홀(313) 및 통풍구(315)는 스토퍼 벽(311)이 함몰된 부분에서 스토퍼 벽(311)이 돌출 벽(321)에서 이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돌출 벽(321)에는 스토퍼 벽(311)이 함몰된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에서 복수 개의 연장 벽(321´)이 돌출될 수 있다. 연장 벽(321´)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스토퍼 벽(311)이 함몰된 부분에서 스토퍼 벽(311)에 접하여 통풍구(315)의 변형, 나아가 제1 프레임(310)과 제2 프레임(320)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연장 벽(321´)은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돌출 벽(321)은 스토퍼 벽(311)이 함몰된 부분과 대응하는 부분 중 복수 개의 연장 벽(321´)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프레임(320)의 일면까지 함몰됨으로써 외기 출입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제1 프레임(310)의 일면에는 스토퍼 벽(311)에 추가하여 제2 차단 벽(317)이 돌출될 수 있다.
제2 차단 벽(317)은 수용 공간에서 통풍구(315)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프레임(310)의 일면에서 발향체(400)의 두께 이상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용 카드부(300)의 외부에서는 통풍구(315)를 통해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발향체(400)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다. 하지만, 외기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차단 벽(317)을 타고 수용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차단 벽(317)은 제2 프레임(32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320)의 일면에는 돌출 벽(321)에 추가하여 복수 개의 돌기(323)가 돌출될 수 있다.
돌기(323)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기(323)는 수용 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발향체(400)를 제1 프레임(3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돌기(323)는 수용 공간 내에서의 발향체(400)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소음 또는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기는 복수 개의 돌기(323) 사이로 유동함으로써 발향체(400)에 접촉할 수 있다.
발향체(400)는 휴대용 카드부(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발향체(400)는 리드부(2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리드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여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카드부(300)의 수용 공간에는 발향체(400) 외에 리드부재(330)가 수용될 수 있고, 발향체(400)는 리드부(20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리드부재(330)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도 있다. 리드부재(330)는 리드부(2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리드부재(330)는 발향체(400)와 액상 방향제 전달부재, 예를 들어 리드부(200) 또는 리드부재(33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발향체(400)로의 액상 방향제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발향체(400)는 다공성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져 향기 지속시간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M: 문양
S: 스위치
10: 디퓨저 어셈블리
100: 용기부
101: 상벽
103: 제1 삽입 홀
110: 지지부
120: LED 조명부
130: 제1 차단 벽
200: 리드부
300: 휴대용 카드부
310: 제1 프레임
311: 스토퍼 벽
313: 제2 삽입 홀
315: 통풍구
317: 제2 차단 벽
320: 제2 프레임
321: 돌출 벽
321´: 연장 벽
323: 돌기
330: 리드부재
400: 발향체

Claims (15)

  1. 휴대용 카드부; 및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체;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향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하단 측면에는 액상 방향제 공급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제2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좌단 및 우단 측면에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 외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통풍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를 구획하는 스토퍼 벽이 일면에서 돌출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 벽에 접하면서 상기 수용 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구획하는 돌출 벽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발향체를 상기 제1 프레임 측으로 가압하는 복수 개의 돌기가 일면에서 돌출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삽입 홀 및 상기 통풍구는 상기 스토퍼 벽의 일부가 상기 제1 프레임 측으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벽과 상기 돌출 벽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면에는 외부에서 상기 통풍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발향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도록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통풍구 측에 배치되는 제2 차단 벽이 상기 발향체의 두께 이상의 높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인테리어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체는 다공성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7. 내부에 액상 방향제를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상벽을 관통하여 상하 돌출되고,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는 리드부;
    상기 리드부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휴대용 카드부; 및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리드부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발향체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내부에는 상기 발향체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하단 측면에는 상기 리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제2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좌단 및 우단 측면에는 상기 수용 공간으로 외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연결되는 통풍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카드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일부를 구획하는 스토퍼 벽이 일면에서 돌출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 벽에 접하면서 상기 수용 공간의 나머지 일부를 구획하는 돌출 벽 및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발향체를 상기 제1 프레임 측으로 가압하는 복수 개의 돌기가 일면에서 돌출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삽입 홀 및 상기 통풍구는 상기 스토퍼 벽의 일부가 상기 제1 프레임 측으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스토퍼 벽과 상기 돌출 벽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일면에는 외부에서 상기 통풍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발향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도록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통풍구 측에 배치되는 제2 차단 벽이 상기 발향체의 두께 이상의 높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의 상벽에는 상기 리드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삽입 홀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상벽은 상기 리드부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방향제를 흡수하여 향기를 발산할 수 있도록 나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카드부의 일면 또는 양면에는 인테리어 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문양에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부; 및
    상기 용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LED 조명부의 빛이 상기 휴대용 카드부 측으로만 조사되도록 상기 LED 조명부를 감싸는 제1 차단 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체는 다공성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KR1020150124980A 2015-09-03 2015-09-03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KR101725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980A KR101725924B1 (ko) 2015-09-03 2015-09-03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980A KR101725924B1 (ko) 2015-09-03 2015-09-03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109A KR20170028109A (ko) 2017-03-13
KR101725924B1 true KR101725924B1 (ko) 2017-04-11

Family

ID=5841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980A KR101725924B1 (ko) 2015-09-03 2015-09-03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635A1 (en) * 2020-06-17 2021-12-23 Elc Management Llc Packaging for sprayable perfume produc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742B1 (ko) * 2018-04-23 2020-06-25 주식회사 젬백스지오 스마트 디퓨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9889A (ja) * 2011-02-09 2014-04-24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揮発性液体用の発散器エレメント及び揮発性液体用の発散器エレメントを有する装置
KR101439063B1 (ko) * 2013-11-20 2014-09-05 이찬권 패드형 향수 방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801B1 (ko) * 2011-02-28 2012-12-13 (주)바이오스마트 향수 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83300A (ko) * 2012-01-12 2013-07-22 이용우 발향 스틱 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방향용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9889A (ja) * 2011-02-09 2014-04-24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揮発性液体用の発散器エレメント及び揮発性液体用の発散器エレメントを有する装置
KR101439063B1 (ko) * 2013-11-20 2014-09-05 이찬권 패드형 향수 방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7635A1 (en) * 2020-06-17 2021-12-23 Elc Management Llc Packaging for sprayable perfume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109A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31880A (en) Electrical deodorizing device
JP4965669B2 (ja) 活性物質拡散装置およびその提供、使用方法
JP4633797B2 (ja) 揮発物質拡散装置
US6619559B2 (en) Scent delivery system
US8746505B2 (en) Multi-sensory product combining reeds, volatile actives diffusion, form-within-a-form construction, and light show capabilities
JP5553845B2 (ja) 芳香剤供給器
JP5411707B2 (ja) 拡散装置
KR20080077353A (ko) 광 및 활성물질 방사기구
HK1107287A1 (en) Diffuser for volatile substances with multiple fragrances
KR102162487B1 (ko) 방향물질 배출장치
KR101725924B1 (ko)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JP2009268882A (ja) 多機能のエアー循環改善システム
KR101838571B1 (ko) 화장품 용기
KR200451527Y1 (ko) 향발산장치
CN108298636B (zh) 可携式净化装置
KR200484530Y1 (ko) 방향 디퓨져기능을 가지는 스노우글로브
KR20200007514A (ko) 다기능 향초 워머
US10603399B2 (en) Fragrance delivery apparatus
ES2876179T3 (es) Dispositivo de aromatización de aire
US20100177597A1 (en) Aroma alarm clock
CN110486862B (zh) 可替换外壳的香氛空气净化器
KR20130083300A (ko) 발향 스틱 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방향용구
KR200453589Y1 (ko) 장식용 발향기
EP3572098A1 (en) Scent air purifier capable of replacing case thereof
KR200448588Y1 (ko) 방향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