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479A - 전자 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479A
KR20170084479A KR1020160003567A KR20160003567A KR20170084479A KR 20170084479 A KR20170084479 A KR 20170084479A KR 1020160003567 A KR1020160003567 A KR 1020160003567A KR 20160003567 A KR20160003567 A KR 20160003567A KR 20170084479 A KR20170084479 A KR 20170084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fragrance
emitting
fragrance emitting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4479A/ko
Priority to US15/403,728 priority patent/US20170197004A1/en
Publication of KR20170084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4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5Apparatu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01M2/1022
    • H04M1/72527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일측의 덮개부와 상기 전자장치가 부착되거나 위치하는 타측의 전자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보호 케이스; 상기 덮개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향기 발산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카트리지 부착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향기 발산 카트리지내의 향기 발산품의 종류와 발산 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 {APPARATUS FOR GENERATING AROMATIC SMELL IN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FOR}
다양한 실시예들로서 설명하는 기술은 전자장치 또는 부속품 등에서 전자장치의 전화 통화, 알람 발생 등의 이벤트에 해당하는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이동 통신 단말기(스마트 폰), 전자수첩, 개인 복합 단말기, TV(Television), 랩탑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는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전자장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통해 사용자의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웹 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멀티 미디어들을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전자장치들은 다양한 부가 기능이 점차 추가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고, 이에 부합하여 응용한 다양한 액세서리들이 출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의 케이스는 취급 부주의 등에 따른 낙하 파손 등의 위험으로부터 전자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전자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몰딩 성형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연질, 경질 등의 다양한 합성수지재, 또는 고급스러운 피혁재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또한 전자장치에는 케이스 또는 고리 등을 이용하여 향기를 발산하는 여러 가지 용품들이 부착되고 있는데, 특히 스티커 형태로 향수가 함유된 패드를 부착하여 항시 향기를 발산하거나 향수를 내장하는 향수 용기를 탈부착하여 선택적으로 향기를 발산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전자장치의 케이스 또는 고리에 부착된 종래의 향기 발산품은 단순히 액체향을 수용하여 지속적으로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 기능만을 구현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호기심을 충족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케이스 또는 고리마다 색상별로 다양한 향을 수용하여, 소망하는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시도가 있었지만, 이 역시 사용자의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할 때 향기를 분무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향기모듈을 탈착가능하게 전자장치의 케이스 등에 부착하여 사용자의 기대에 충족하고자 하였으나, 향기모듈을 분무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분무 구성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어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단말에 걸려오는 전화, 메시지, 그리고 알람 등의 이벤트에 따라, 다양한 향기를 발산하도록 프로그램하여 사용자들로부터 상쾌한 기분으로 전자장치의 단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상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일측의 덮개부와 상기 전자장치가 부착되거나 위치하는 타측의 전자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보호 케이스; 상기 덮개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향기 발산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카트리지 부착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향기 발산 카트리지내의 향기 발산품의 종류와 발산 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은 서로 다른 종류의 향기 발산품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향기 발산 카트리지로부터의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 장치가 부착된 보호 케이스에 상기 전자장치가 부착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보호 케이스에 부착되었음을 상기 전자장치가 인증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 이벤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자장치의 이벤트 실행 시, 상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향기 발산 카트리지의 향기 발산품의 향기를 발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단말에서 걸려오는 전화, 메시지, 그리고 알람 등의 이벤트에 따른 프로그램에 의해, 발산되는 향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발산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전자장치의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아날로그적인 터치 감성을 살리는 향기 발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향기를 발산할 수 있고, 발산된 향의 소모량과 잔량 및 교체 주기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전자장치에의 부착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전자장치의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휴대 단말기가 도 1 케이스에 부착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다른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기기와 제 2 사용자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플렉서블 전자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서, 블루투스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휴대 단말기가 도 1 케이스에 부착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휴대 단말기(10)일 수 있고, 이러한 휴대 단말기(10)에 핸드폰 고리, 케이스, 터치팬, 보조 배터리, 태양열 또는 무선 충전식 거치대, 방수 케이스 등의 다양한 액세서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 장치(100)는 대표적인 액세서리 중의 하나인 보호 케이스(20)에 부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의 보호 케이스(20)는 대표적으로 내면 일측이 휴대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덮개부(22)이고, 타측이 휴대 단말기(10)가 부착되거나 위치하는 휴대 단말기 장착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22)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향기 발산 카트리지(32)(34)(36)를 탈착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 케이스(40)가 부착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 부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장착부(24)에는 휴대 단말기(10)가 부착된 상태에서 덮개부(22)에 의해 덮여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NFC 리더(reader) 기능을 가지는 NFC IC(26)를 포함할 수 있고, 덮개부(22)에는 휴대 단말기(10)의 탈 부착을 확인할 수 있는 용도의 자석(28)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가 보호 케이스(20)의 휴대 단말기 장착부(24)에 장착되면, 덮개부(22)의 자석(28)에 의해 덮개부(22)가 부착되었음을 휴대 단말기(10)로부터의 NFC 인증을 NCF IC(26)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납 케이스(40)에는 수납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향기 발산 카트리지(32)(34)(36)의 각각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는 발열패드(50)와, 배터리셀(60)을 포함할 수 있고, 수납된 향기 발산 카트리지(32)(34)(36)의 리필을 위해 개폐되는 개폐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패드(50)와, 배터리셀(60)과, 콘트롤러(80)는 서로 전선(5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콘트롤러(80)에 의해 발열패드(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셀(60)은 발열패드의 전원이며, 박막형으로 수납 케이스(40)에 매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개폐부(70)에는 향기 발산 카트리지(32)(34)(36)에 수용된 향기 발산품의 향기들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마개(72)가 나사결합되어 부착될 수 있다.
마개(72)에는 복수개의 개구부(74)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개구부(74)들을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개페부(70) 또는 기타 수납 케이스(40)에 설치될 수 있다. 마개(72)를 회전하여 개구부(74)들을 개방하면, 향기 발산 카트리지(32)(34)(36)의 향기가 개구부(74)를 통해 발산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개구부(74)들을 폐쇄하면, 향기 발산 카트리지(32)(34)(36)의 향기가 개구부(74)를 통해 발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향기 발산 카트리지(32)(34)(36)의 각각에는 젤형태의 반고체 또는 스티커 형태의 박막형의 고체 향기 발산품(Perfume Stick)(42)(44)(46), 예를 들어, 각각 장미향, 라일락향, 허브향의 향기 발산품(42)(44)(46)이 수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향기 발산품(42)(44)(46)이 향기 발산 카트리지(32)(34)(36)로부터 흘러나와서 보호 케이스(20) 또는 휴대 단말기(10)를 오염시킬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향기 발산 카트리지(32)(34)(36)의 각각은 수납 케이스(40)에 매립된 배터리셀(60)에 연결될 수 있고, 기타 다양한 종류의 향기 발산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젤형태의 반고체 또는 스티커 형태의 박막형의 고체 향기 발산품(Perfume Stick)(42)(44)(46)은 열에 의해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셀(60)에 발열패드(50)가 가열되며, 향기 발산 카트리지(32)(34)(36)의 각각의 측면과 하면이 발열패드(50)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므로, 발열패드(50)의 열이 향기 발산 카트리지(32)(34)(36)내에 수용된 젤형태의 반고체 또는 스티커 형태의 박막형 고체 향기 발산품(42)(44)(46)에 전달되어, 향기 발산품(42)(44)(46)이 녹으면서 각각 장미향, 라일락향, 허브향의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발열패드(50)는 열선 없는 탄소 섬유 카본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되어, 예컨대 1분 이내에 최대 52도까지 조절할 수 있다. 콘트롤러(80)는 자동으로 발열패드(50)의 온도를 감지하여, 최고 온도에서 전력 소모를 억제하여 과열 위험을 방지하는 기능이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반고체 또는 고체의 향기 발산품(42)(44)(46)은 상기 장미향, 라일락향, 허브향 등의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라벨, 패치, 페인트, 금속선재, 방향성 전사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콘트롤러(80)는 발열패드(50)에 의해 둘러싸인 반고체 또는 고체의 향기 발산품(42)(44)(46)이 발열패드(50)의 가열 작동에 의해 녹으면서 각각 장미향, 라일락향, 허브향 등의 향기를 발산할 수 있고, 발열패드(50)의 가열 작동의 차단에 의해 다시 반고체 또는 고체로 굳어져서 향기의 발산을 멈출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콘트롤러(80)는 마개(72) 개구부(74)의 개폐에 따라 발열패드(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개구부(74)가 개방되어 있으면, 발열패드(50)를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향기를 발산할 수 있고, 개구부(74)가 폐쇄되어 있으면 발열패드(50)의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향기를 발산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80)는 각 향기 발산 카트리지내의 향기 발산품의 잔량을 확인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에 따라 소모된 향기 발산품의 카트리지를 리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향기 발산 방법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향기를 발산하는 보호 케이스(20)에 휴대 단말기(10)가 부착되면, 보호 케이스(20)의 자석(28)을 통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향기를 발산하는 보호 케이스(20)에 휴대 단말기(10)가 부착되었음을 휴대 단말기(10)에 부착된 홀(hall) 센서(도시하지 않음)로 부터의 신호에 의거 휴대 단말기(10)가 인지하고, 이를 휴대 단말기(10)로부터 NFC IC(26)를 통해 NFC 인증할 수 있다.
이어서, 휴대 단말기(10)에서의 UI및 해당 소프트웨어(펌웨어)의 적용을 통해 전화 통화의 이벤트, 알람 발생의 이벤트, 이벤트 없음 등을 이벤트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이벤트에 따라 휴대 단말기 등의 전자장치의 이벤트 실행 시 장미향 발산, 라일락향 발산, 허브향 발산 등의 다양한 향기를 선택적으로 발산할 수 있도록 발산향기의 종류가 프로그램될 수 있다.
또한, 장미향 등의 향기 발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향기 발산 장치(100)는 휴대 단말기(10)의 수신 시, 기존의 수신 방식인 벨소리 모드, 진동 모드와, 램프 점멸 등의 알람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향기를 발산하여 주위에 퍼지도록 설정된 이벤트와, 선택된 발산 향기의 종류와, 발산 시간의 신호를 콘트롤러(80)에 전달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향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벤트에 따라 발산할 향기를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가 사용자의 사용위치에 따른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동작을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동차에 승차하는 경우, 자동차에 부착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추적기(90)로부터의 신호를 휴대 단말기(10)가 수신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0)로부터의 NFC 인증을 NCF IC(26)를 통해 인지할 수 있고, 이어서 자동차에 승차하였음을 인지함에 따라 기설정된 향기 발산 카트리지의 향기를 발산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위치 추적기(90)가 부착된 특정 자동차에 승차할 때마다, 쾌적한 향기가 향기 발산 카트리지로부터 쾌적한 향기가 발산되도록 설정함으로서, 전자장치의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침실, 도서관, 사무실 등 사용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향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차에 부착된 별도의 휴대 단말기의 위치 추적기(90)로부터의 신호 대신, 휴대 단말기 자체에 내장된 GPS 수신기로 부터의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할 향기를 발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의 단말에서 걸려오는 전화, 메시지, 그리고 알람 등의 이벤트에 따른 프로그램에 의해, 발산되는 향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발산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전자장치의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아날로그적인 터치 감성을 살리는 향기 발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향기를 발산할 수 있고, 발산된 향의 소모량과 잔량 및 교체 주기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전자장치에의 부착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전자장치의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휴대 단말기 20 : 보호 케이스
22 :덮개부 24 : 휴대 단말기 장착부
26 : NFC IC 28 : 자석
30 : 카트리지 부착부 32, 34, 36 : 향기 발산 카트리지
40 : 수납 케이스 42, 44, 46 : 향기 발산품
50 : 발열 패드 52 : 전선
60 : 배터리셀 70 : 개폐부
72 : 마개 74 : 개구부
80 : 콘트롤러 90 : 위치 추적기

Claims (18)

  1.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로서,
    상기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일측의 덮개부와 상기 전자장치가 부착되거나 위치하는 타측의 전자장치 장착부를 포함하는 보호 케이스;
    상기 덮개부에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향기 발산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부착되는 카트리지 부착부; 및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향기 발산 카트리지내의 향기 발산품의 종류와 발산 시간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전자장치의 탈부착을 확인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장치 장착부에는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덮개부에 의해 덮였는지를 확인하는 NFC IC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부착부에는 상기 향기 발산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향기 발산 카트리지 각각의 측면과 하면을 둘러싸는 발열패드와, 상기 발열패드의 전원이며, 박막형으로 수납 케이스에 매립되도록 구현되는 배터리셀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에는 수납된 향기 발산 카트리지 각각의 탈부착하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는 상기 향기 발산 카트리지의 각각에 수용된 향기 발산품의 향기들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도록 개구부를 개폐가능하게 부착되는 마개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면 상기 향기 발산 카트리지의 향기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발산되고, 상기 개구부가 폐쇄되면, 상기 향기 발산 카트리지의 향기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발산되지 않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 카트리지의 각각에는 젤형태의 반고체 또는 스티커 형태의 박막형 고체 향기 발산품이 수용되고, 열이 가해지면 향기를 발산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발열패드의 온도를 감지하여, 최고 온도에서 전력 소모를 억제하여 과열 위험을 방지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개구부의 개폐에 따라 상기 발열패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는 상기 향기 발산 카트리지내의 향기 발산품의 잔량을 확인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11.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에 있어서,
    서로 다른 종류의 향기 발산품을 각각 수용하는 복수의 향기 발산 카트리지로부터의 향기를 발산하는 향기 발산 장치가 부착된 보호 케이스에 상기 전자장치가 부착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보호 케이스에 부착되었음을 상기 전자장치가 인증하는 단계;
    상기 전자장치에 이벤트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전자장치의 이벤트 실행 시, 상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적어도 하나의 향기 발산 카트리지의 향기 발산품의 향기를 발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설정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의 UI및 해당 소프트웨어(펌웨어)의 적용을 통해 전화 통화의 이벤트, 알람 발생의 이벤트, 이벤트 없음 등을 이벤트로서 설정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설정 단계는 발산 향기의 종류 및 발산 시간을 설정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향기 발산품은 젤형태의 반고체 또는 스티커 형태의 박막형 고체로서, 열이 가해지면 향기를 발산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는 상기 전자장치로 NFC 인증에 의해 구현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NFC 인증을 위해 상기 보호 케이스에 NFC IC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설정 단계는 상기 향기 발산 보호 장치가 부착된 보호 케이스에 상기 전자장치가 부착된 상태에서 특정 사용자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위치에 따라 발산 향기의 종류와 발산 시간을 설정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사용자 위치에는 상기 사용자 위치 신호를 발신하는 위치 추적기가 부착되는 전자장치의 향기 발산 방법.
KR1020160003567A 2016-01-12 2016-01-12 전자 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 KR201700844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67A KR20170084479A (ko) 2016-01-12 2016-01-12 전자 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
US15/403,728 US20170197004A1 (en) 2016-01-12 2017-01-11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romatic smell i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567A KR20170084479A (ko) 2016-01-12 2016-01-12 전자 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479A true KR20170084479A (ko) 2017-07-20

Family

ID=59276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567A KR20170084479A (ko) 2016-01-12 2016-01-12 전자 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197004A1 (ko)
KR (1) KR2017008447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358A1 (ko) * 2018-03-13 2019-09-19 하인크코리아(주)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서리
KR20200004517A (ko) * 2018-07-04 2020-01-14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KR20210106637A (ko) * 2020-02-21 2021-08-31 박상권 위치추적 가능한 무선충전 패드 및 이를 장착한 다이어리
KR102593938B1 (ko) * 2023-06-13 2023-10-24 이상훈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3033B2 (en) * 2017-09-19 2021-12-21 Bio Creative Enterprises Essential oil diffuser
US10742789B2 (en) * 2018-08-30 2020-08-11 Lifeworks Technology Group LLC Mobile device cases, mobile device assemblies, and related accessories
CN110602202B (zh) * 2019-09-10 2022-02-01 吴道钰 一种智能简易diy调香仪以及用于其的物联网控制系统
JP6934998B1 (ja) * 2020-11-18 2021-09-15 株式会社アロマジョイン 香りディスプレイ、香りディスプレイ制御装置、香りスケジューリング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358A1 (ko) * 2018-03-13 2019-09-19 하인크코리아(주)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서리
KR20200004517A (ko) * 2018-07-04 2020-01-14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KR20210106637A (ko) * 2020-02-21 2021-08-31 박상권 위치추적 가능한 무선충전 패드 및 이를 장착한 다이어리
KR102593938B1 (ko) * 2023-06-13 2023-10-24 이상훈 휴대단말기 부착형 발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97004A1 (en)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4479A (ko) 전자 장치의 향기 발산 장치 및 방법
KR102534554B1 (ko) 밴드 체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RU2735659C2 (ru) Персональный кейс для переноски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вейпинга
KR102355149B1 (ko)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U201430957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n basis of information of accessory device and accessory device related thereto
KR20170027624A (ko) 무선 충전용 크래들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장치
KR20180085506A (ko) 발수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6030601B (zh) 用于利用轻量级容器对运行时的安卓应用创建沙盒的方法和设备
CN106329614B (zh) 用于控制多个电池的方法和用于实现该方法的电子装置
KR102401718B1 (ko)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24570A (ko) 개선된 체결 구조를 갖는 스트랩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2017002211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CN106993262A (zh) 电子设备和用于在电子设备中短程无线通信的方法
KR20170112566A (ko) 방수 구조를 갖는 전자 펜 및 그것으로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90379216A1 (en) Power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20170046296A (ko) 외부장치 연결에 따른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23065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06066759B (zh) 电子装置及其显示方法
US20170149474A1 (en)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y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KR20180026861A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05853A (ko) 무선 충전 모드를 변경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90356176A1 (en) Electronic device and foreign object detec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20190021074A (ko) 서비스 업데이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111096A (ko)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81434B1 (ko) 무선 충전용 스탠드 및 그것과 연동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