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775B1 -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775B1
KR102593775B1 KR1020230064820A KR20230064820A KR102593775B1 KR 102593775 B1 KR102593775 B1 KR 102593775B1 KR 1020230064820 A KR1020230064820 A KR 1020230064820A KR 20230064820 A KR20230064820 A KR 20230064820A KR 102593775 B1 KR102593775 B1 KR 102593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rental car
request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타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타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타고
Priority to KR102023006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7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렌터카 사업자가 운용하는 차량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렌터카 사업자가 운용하는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터카 이용자는 개별 렌터카 업체의 홈페이지나 앱을 개별 검색하지 않고도, 전체 렌터카 업체에서의 대여 가능한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터카 업체의 허위 차량 등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 대차의 경우에도 렌터카 이용자의 폭넓은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Method for Providing Rent-a-car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 and Service Providing Serv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렌터카 이용자가 개별 렌터카 업체의 홈페이지나 앱을 개별 검색하지 않고도 전체 렌터카 업체에서의 대여 가능한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주고, 렌터카 업체의 허위 차량 등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해 주며, 사고 대차의 경우에도 렌터카 이용자의 폭넓은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현재 렌터카 이용자는 개별 렌터카 업체가 제공하는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차량을 검색하고, 이와 같은 여러 렌터카 업체에서의 검색 결과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차량을 선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렌터카 이용자는 개별 렌터카 업체의 홈페이지나 앱을 일일이 개별 검색하여 비교해야 할 뿐만 아니라, 현재 대다수 렌터카 플랫폼에서 발생하고 있는 허위 차량 등록으로 인한 피해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아울러, 교통 사고 발생으로 인한 보험 처리와 연계하여 렌터카를 대여하는 사고 대차의 경우 종래에는 현장 출동 요원, 보험사 담당자, 자동차 공업사 담당자 등이 차량과 렌터카 업체를 직접 추천해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사고 대차 이용자의 렌터카 업체 및 차량 선택의 권한이 침해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렌터카 이용자가 개별 렌터카 업체의 홈페이지나 앱을 개별 검색하지 않고도 전체 렌터카 업체에서의 대여 가능한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주고, 렌터카 업체의 허위 차량 등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해 주며, 사고 대차의 경우에도 렌터카 이용자의 폭넓은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렌터카 사업자가 운용하는 차량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렌터카 사업자가 운용하는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대여 가능 차량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렌터카 사업자가 운용하는 차량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렌터카 사업자가 운용하는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대여 가능 차량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차량 대차 배정 요청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터카 이용자는 개별 렌터카 업체의 홈페이지나 앱을 개별 검색하지 않고도, 전체 렌터카 업체에서의 대여 가능한 차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터카 업체의 허위 차량 등록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 대차의 경우에도 렌터카 이용자의 폭넓은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효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 및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에서의 사업자 단말기의 화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사업자 단말기(100), 서비스 제공 서버(2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사업자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렌터카 업체의 사업자 또는 소속 직원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단말기이며, 사업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렌터가 업체에서 운영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등록 요청 및 차량 상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이와 같은 사업자 단말기(1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렌터가 사업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설치 및 운영하는 서버로서, 이와 같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복수의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100)로부터 렌터카 사업자가 운용하는 차량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 및 저장하고,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100)로부터 렌터카 사업자가 운용하는 차량의 상태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며, 각 렌터카 업체로부터 수신된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실시간으로 생성하고, 이를 각 사업자 단말기(100)와 함께 공유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본 발명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를 통해 렌터카를 이용하는 고객인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단말기이며,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차량 검색 요청을 송신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수신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사용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관리자 단말기(400)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사고 처리를 지원하는 현장 출동 요원, 보험사 담당자, 자동차 공업사 담당자 등의 관리자가 이용하는 PC, 스마트 폰 등의 통신 단말기이며, 관리자 단말기(4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사고 대차 배정 요청을 송신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이와 같은 관리자 단말기(4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수신부(210), 저장부(230), 연산부(250), 및 송신부(27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의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 이에 포함된 각 모듈(module),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수신부(210)는 사업자 단말기(100)로부터 차량 등록 요청 및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차량 검색 요청을 수신하며,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는 사고 대차 배정 요청을 수신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연산부(25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차량 검색 요청 및 각 렌터카 업체의 차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하고,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한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 기초하여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송신부(27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송신하고, 사업자 단말기(100)로 사고 대차 배정 요청을 송신한다.
한편, 수신부(210)에서의 각종 수신 정보, 연산부(250)에서의 각종 생성 및 연산 정보, 송신부(270)에서의 각종 송신 정보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저장부(230)에 누적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렌터가 업체를 운영하는 사업자는 해당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차량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등록하기 위해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등록 요청을 사업자 단말기(10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송신한다(S510).
구체적으로, 사업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차량 정보에는 차량번호, 차량명, 차량 종류(예를 들면, 대형 세단), 차량 분류(예를 들면, 수입차, 전기차, 경유차, 휘발유차, 가스차, 기타), 보험 가입증, 보험 보장 운전자 나이(예를 들면, 24세 이상), 차량 등록증, 총주행거리, 주차위치, GPS 단말기 장착 여부, 배기량이 포함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업자가 입력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의 ID를 차량 정보로서 추가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전국 각지의 렌터카 업체의 사업자 단말기(100)로부터 차량 등록 요청을 수신하게 되며, 차량 등록 요청에 포함된 차량 정보를 사업자 단말기(100)의 폰번호, UUID 등의 고유 정보와 함께 저장부(230)에 저장함으로써 차량 등록을 실행한다.
한편, 이후 전국 각지의 렌터카 업체의 사업자가 보유 차량의 운용에 따른 각 차량의 현재 상태 정보를 사업자 단말기(100)에 입력함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업자 단말기(100)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S520).
구체적으로, 사업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차량 상태 정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사고(사고 대차 예약), 일반예약, 대기, 사고(사고 대차), 일반(단기,월,장기 렌트), 영업소(이용중), 당사(이용중), 정비, 무상(이용중), 일상 점검 대기 등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차량 상태 정보는 해당 차량의 차량번호 또는 차량 ID와 함께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송신되며,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연산부(250)는 사업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번호 또는 차량 ID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차량 정보에 사업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차량 상태 정보를 연관 저장하되, 이후 동일한 차량에 대해 차량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기 저장된 차량 상태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연산부(250)는 저장부(230)에 차량 상태 정보가 '대기'로 저장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선별함으로써,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하고, 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한 각 사업자 단말기(100)를 통해 도 11에서와 같이 제공함으로써 각 렌터카 사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에서의 파트너 차량의 가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각 파트너사 간의 차량 수배가 용이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를 통해 차량을 대여하려고 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자신이 원하는 차량명, 차량 종류(예를 들면, 대형 세단), 차량 분류(예를 들면, 수입차, 전기차, 경유차, 휘발유차, 가스차, 기타) 등의 차량 검색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차량 검색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검색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S530).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연산부(250)는 저장부(230)에 차량 상태 정보가 '대기'로 연관 저장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1차 선별하고, 차량 검색 요청에 포함된 차량 검색 정보와 일치되는 차량 정보를 2차 선별함으로써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S540).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이와 같이 생성된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하며(S550), 이에 사용자가 대여 가능 차량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이용자명, 이용자 나이, 이용 기간, 사용자 단말기(300)의 폰번호와 같은 이용자 연락처 정보 등의 이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입력함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배차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을 전술한 S510 단계에서 등록 요청한 사업자 단말기(100)의 고유 번호를 검색하고, 해당 사업자 단말기(100)로 사용자의 배차 요청을 송신한다.
이에 사업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의 배차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에 대한 배차 및 반차 관리 절차를 실행하게 된다(S560).
구체적으로, 사업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의 배차 요청의 누적 수신 회수에서 배차 실행 완료 회수를 차감함으로써 도 5에서와 같이 배차 필요 건수를 산출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업자의 배차 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업자가 도 5에서의 '계약서 작성'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도 6에서와 같이 계약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함으로써 사업자와 사용자 간의 렌터카 이용 계약서 작성 업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입력창을 통해 대여일시, 반납일시, 차량번호, 렌트 차종, 유종, 유류량, 차량번호, 차종, 배기량, 연식, 접수번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업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배차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이용자 정보로부터 이용 기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이용 기간 정보를 기초로 대여일시, 반납일시 입력 항목을 자동 입력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업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이용자 검색창을 통해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이용자명을 입력하여 검색함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악성 고객으로 분류 저장되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업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배차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이용자 정보로부터 이용자명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용자명이 악성 고객으로 분류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계약 불가 안내 메시지를 생성 및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업자 단말기(100)는 자체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사업자가 촬영한 렌트 차량의 현재 상태 사진을 계약 정보로서 추가 입력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계약 정보의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사업자는 계약서의 전송에 필요한 정보로서 이용자명, 이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도 7에서와 같이 입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업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배차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이용자 정보로부터 이용자명과 이용자 연락처 정보명을 추출하고, 이를 계약서 전송에 필요한 정보로 자동 입력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생성된 계약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며, 이에 사용자가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의 화면 상에서 서명을 완료함에 따라 서명이 추가된 계약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통해 사업자 단말기(100)로 전송되며, 사용자 단말기(300)는 해당 계약서를 관련 배차 요청과 연관 저장함으로써 사업자와 사용자 간의 계약 체결이 완료되게 된다.
한편, 사업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업자 단말기(100)에 저장된 계약서의 관리 기능으로서, 계약 관련 '메모하기', '통화' 등의 부가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에 사업자는 '메모하기'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계약 관련 업무 메모를 기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업자가 해당 계약서를 선택한 후 계약서의 관리 기능으로서 '통화'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해당 계약서의 전송 정보인 이용자의 연락처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연락처 정보로의 자동 통화 연결을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사업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계약서의 입력 사항으로 포함되어 있는 대여일시가 현재 도래되었는지 여부를 각 계약별로 판단하며, 대여일시가 도래됨으로써 사용자의 차량 이용이 시작되는 경우에 해당 배차 요청에 대한 배차 실행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함으로써, 배차 필요 건수를 도 9에서와 같이 수정 산출하여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업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배차 실행이 완료된 계약건들 중에서 계약서에 포함된 반납일시가 현재 도래된 건들을 추출함으로써 도 9에서와 같이 반차 필요 건수를 산출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업자의 반차(차량 반납) 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사업자가 도 9에서 '반차가 필요한 건'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사업자 단말기(100)는 반차 필요 건수의 상세 목록을 출력하며, 사업자가 목록 중 하나를 선택한 다음, '반차' 실행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도 10에서와 같이 반차 정보 입력 창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반납된 차량을 점검한 사업자는 주행 거리를 입력하고, 반납된 차량의 상태 사진을 촬영하여 입력함으로써 반차 업무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업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술한 계약서 작성 단계에서 입력된 차량 부위별 상태 사진과 반차 업무 진행 과정에서 입력된 차량 부위별 상태 사진을 상호 비교하고, 사고로 인한 파손, 도장 벗겨짐 등으로 인해 양자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이미지 분석 결과가 산출되는 경우에 차량 상태 이상 안내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업자의 반차 관리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교통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교통 사고의 처리를 지원하는 현장 출동 요원, 보험사 담당자, 자동차 공업사 담당자 등의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관리자가 입력한 사고 접수 번호, 과실 비율, 사고 차량의 차종, 사고 차량의 차량 번호, 사고 차량의 연식, 사고 차량의 배기량, 배차 요청지, 사고 차량 운전자의 이름, 나이, 연락처, 거주지 등의 차량 사고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대차 배정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S570).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연산부(250)는 저장부(230)에 차량 상태 정보가 '대기'로 연관 저장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1차 선별한 다음,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사고 차량의 배기량 정보와 동급의 배기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2차 선별하고,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사고 차량 운전자의 나이에 부합되는 보험 보장 운전자 나이(예를 들면, 24세 이상)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3차 선별하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배차 요청지 또는 거주지와 소정의 기준 거리(예를 들면, 5km) 이내에 있는 주차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4차 선별함으로써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S580).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570 단계에서의 사고 대차 배차 요청에는 사용자의 의사에 의해 관리자가 입력한 차량 선별시 우선 순위 정보(예를 들어, 배차 요청지와의 인접성_1순위, 동급의 배기량_2순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관리자가 입력한 차량 선별시 우선 순위 정보에 따라 상기 2차 내지 4차의 선별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연산부(250)는 4차 선별된 차량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3차 선별된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하고, 3차 선별된 차량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2차 선별된 차량 정보를 포함하는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이와 같이 생성된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관리자 단말기(400)로 송신하되, 전술한 S580 단계에서 최종 선별된 차량 정보가 없음으로 인해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의 생성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전술한 S570 단계에서의 사고 대차 배정 요청을 전술한 S510 단계에서 차량 등록을 요청한 사업자 단말기(100)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렌터카 업체를 운영하는 사업자의 단말기(100)로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을 것이다(S585).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업자 단말기(100)로 사고 대차 베정 요청을 송신함에 있어서, 전술한 S570 단계에서의 차량 사고 정보 중에서 사고 차량의 차종, 사고 차량의 연식, 사고 차량의 배기량, 배차 요청지 정보만을 포함하는 사고 대차 배정 요청을 송신함으로써 개인 정보의 유출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각 사업자 단말기(100)는 해당 렌터카 업체가 운용하고 있는 차량의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전술한 S580 단계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하고(S590), 이를 포함하는 사고 대차 배정 안내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400)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S595).
이에 각 사업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대여 가능 차량 목록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관리자가 선택하고, 이용자명, 이용자 나이, 이용 기간, 이용자 연락처 정보 등의 이용자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 해당 사업자 단말기(100)는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배차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의 배차 요청을 수신한 사업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에 대한 배차 및 반차 관리 절차를 전술한 S560 단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설치되거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어 실행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술한 단계들(S510~S595)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S595)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사업자 단말기, 200: 서비스 제공 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4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6)

  1. (a)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렌터카 사업자가 운용하는 차량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렌터카 사업자의 차량 운용에 따른 각 차량의 현재 상태 정보가 상기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에 입력됨에 따라, 예약, 대기, 이용, 정비를 포함하는 차량 현재 상태 정보를 차량 ID와 함께 상기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차량 ID에 기초하여 기 등록된 차량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차량 정보에 상기 차량 현재 상태 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단계;
    (d)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차량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배차 요청을 수신한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가 계약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렌터카 사업자가 촬영한 차량의 현재 상태 사진을 계약 정보로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을 등록 요청한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 상기 배차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d)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을 수신하고, 기 등록된 차량 정보 중에서 상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사고 차량의 배기량 정보와 동급의 배기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사고 차량 운전자의 나이에 부합되는 보험 보장 운전자 나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선별하며, 상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배차 요청지와 소정의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주차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선별함으로써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 상기 (d) 단계 이전에,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대여 가능 차량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는 관리자가 입력한 차량 선별시 우선 순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정보의 선별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는 것인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적어도 하나의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렌터카 사업자가 운용하는 차량 등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렌터카 사업자의 차량 운용에 따른 각 차량의 현재 상태 정보가 상기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에 입력됨에 따라, 예약, 대기, 이용, 정비를 포함하는 차량 현재 상태 정보를 차량 ID와 함께 상기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차량 ID에 기초하여 기 등록된 차량 정보를 검색하는 연산부; 및
    검색된 차량 정보에 상기 차량 현재 상태 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저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차량 현재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하고,
    배차 요청을 수신한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가 계약 정보 입력 화면을 출력하고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시킴으로써 렌터카 사업자가 촬영한 차량의 현재 상태 사진을 계약 정보로 입력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선택한 차량을 등록 요청한 렌터카 사업자 단말기로 상기 배차 요청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부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연산부는, 기 등록된 차량 정보 중에서 상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사고 차량의 배기량 정보와 동급의 배기량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선별하고, 상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사고 차량 운전자의 나이에 부합되는 보험 보장 운전자 나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선별하며, 상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배차 요청지와 소정의 기준 거리 이내에 있는 주차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차량 정보를 선별함으로써 대여 가능 차량 목록을 생성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대여 가능 차량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대차 배정 요청에는 관리자가 입력한 차량 선별시 우선 순위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우선 순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정보의 선별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230064820A 2023-05-19 2023-05-19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593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820A KR102593775B1 (ko) 2023-05-19 2023-05-19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4820A KR102593775B1 (ko) 2023-05-19 2023-05-19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775B1 true KR102593775B1 (ko) 2023-10-25

Family

ID=88515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4820A KR102593775B1 (ko) 2023-05-19 2023-05-19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7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773B1 (ko) * 2015-02-09 2015-08-11 주식회사 렌터카소프트 렌터카 기반 카쉐어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21011B1 (ko) * 2016-06-02 2017-03-29 렌카 주식회사 보험사 연계형 렌터카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773B1 (ko) * 2015-02-09 2015-08-11 주식회사 렌터카소프트 렌터카 기반 카쉐어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21011B1 (ko) * 2016-06-02 2017-03-29 렌카 주식회사 보험사 연계형 렌터카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0054B2 (en) User location driven identification of service vehicles
US11783430B1 (en) Automatic claim generation
US20170220998A1 (en) Automated service management system with rule-based, cascading action requests
US10021243B2 (en) Telephone call placement
EP2034447A2 (en) System for process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thereof
US20050131750A1 (en) Method for tracking the status of a workflow using weblogs
US20070162537A1 (en) Common application services framework
US92288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ynamic telematics dashboard
CN101398972B (zh) 一种使用gps技术进行汽车班次管理的方法
US20040267592A1 (en) Method and program for assisting a worker in charge of operations
US20190286843A1 (en) Data delivery contro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data delivery control
US20110039582A1 (en) Fle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9636307A (zh) 河长app的系统结构
KR20210046554A (ko) 하이 케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플랫폼
US20140324714A1 (en) Towing management
US10522044B2 (en) Dispatch platform for road, travel, or home assistance
KR102294476B1 (ko) 위치 기반 일감 대행 중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303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questing service providers in real time
KR102593775B1 (ko) 렌터카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CN104160675A (zh) 过滤应用的方法
US20090089073A1 (en) Contact management system through internet
KR20010016414A (ko) 통신망을 이용한 승객/화물 운송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4398A (ko) 모바일을 이용한 공차 또는 화물 등록 시스템 및 그 등록방법
JP2003256981A (ja) 回送レンタカー運用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19096171A (ja) 配車管理システム及び配車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