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731B1 -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 Google Patents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731B1
KR102593731B1 KR1020220073606A KR20220073606A KR102593731B1 KR 102593731 B1 KR102593731 B1 KR 102593731B1 KR 1020220073606 A KR1020220073606 A KR 1020220073606A KR 20220073606 A KR20220073606 A KR 20220073606A KR 102593731 B1 KR102593731 B1 KR 10259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oak
smoking material
oak barre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6546A (ko
Inventor
차광호
이철희
김한진
이장미
강광원
정내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2007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7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2Steaming, curing, or flavouring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1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natural substances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5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haracterised by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6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 A24B15/4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only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s
    • A24B15/403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only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s having only oxygen as hetero atoms
    • A24B15/406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heterocyclic ring having only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s having only oxygen as hetero atoms in a five-membered 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04Humidifying or drying tobacco bunches or cut tobacco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3/00Preparing tobacco in the factory
    • A24B3/18Other treatment of leaves, e.g. puffing, crimpling,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5/00Stripping tobacco; Treatment of stems or ribs
    • A24B5/10Stripping tobacco; Treatment of stems or ribs by crushing the leaves with subsequent sepa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4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 A24D1/045Cigars; Cigarettes with mouthpieces or filter-tips with smoke filt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크통 및 흡연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흡연재료를 오크통의 내부공간으로 투입하는 단계 및 오크통을 밀봉한 후 흡연재료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의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AGING METHOD OF SMOKING MATERIAL USING OAK BARRELS AND A SMOKING ARTICL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흡연물품 대비 긍정적 관능품질과 차별화된 향 발현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오크통을 활용한 잎담배 등의 흡연재료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연 시 느껴지는 담배 맛은 흡연물질부, 필터부 및 궐련지의 구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나, 근본적으로는 흡연물질부(예를 들어, 연소부)를 구성하는 흡연재료로서의 잎담배, 판상엽 등의 구성 종류, 향기성분 등의 첨가물 및 이들의 숙성방식에 의하여 그 맛이 결정 또는 영향을 받게 된다.
한편, 궐련에 사용되는 잎담배는 그 종류가 다소 한정적이며, 궐련에 첨가될 수 있는 가향물질의 함량은 담배의 제한된 크기, 일부 법적규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첨가량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에, 흡연자들의 기호에 맞는 담배 맛의 구현 및 향기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흡연재료의 숙성 방식이 필요한 실정이다.
삭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534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331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담배 맛과 향미를 증진시킬 수 있는,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크통 및 상기 흡연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흡연재료를 상기 오크통의 내부공간으로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오크통을 밀봉한 후 상기 흡연재료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연재료 숙성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흡연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잎담배를 제맥하여 제맥엽을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제맥엽을 가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맥엽을 가습하는 단계는 상기 제맥엽의 수분함량이 10중량% 내지 30중량%이 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잎담배는 황색종, 버어리종, 오리엔트종, 시가종 및 라타키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잎담배는 상기 황색종의 본엽 또는 상기 오리엔트종의 Basma 엽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오크통을 준비하는 단계는 와인 또는 브랜디를 상기 오크통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와인 또는 상기 브랜디가 투입된 상기 오크통을 밀봉하여 일정기간동안 보관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기간이 지난 후 상기 오크통 내부에 남은 상기 와인 또는 상기 브랜디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인 또는 상기 브랜디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크통 내부에 남은 상기 와인 또는 상기 브랜디의 중량은, 상기 와인 또는 상기 브랜디를 투입하는 단계에서 투입된 상기 와인 또는 상기 브랜디의 중량 대비 93% 내지 97%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오크통에 상기 와인이 투입될 경우 상기 일정기간과 상기 오크통의 용량은 수학식 1의 관계를 가지며, 상기 오크통에 상기 브랜디가 투입될 경우 상기 일정기간과 상기 오크통의 용량은 수학식 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수학식 1 및 상기 수학식 2에서, P는 상기 일정기간을 시간(hour) 단위로 나타낸 값이며, L은 상기 오크통의 리터(ℓ) 단위 용량을 나타낸다.
[수학식 1]
P = 1.5 × L
[수학식 2]
P = 0.75 × L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흡연재료를 상기 오크통에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오크통의 내부공간에 상기 흡연재료를 적층하여 제1 흡연재료층을 형성하는 단계; 적층된 상기 제1 흡연재료층의 상면을 3kgf/cm2 내지 10kgf/cm2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가압된 상기 제1 흡연재료층의 상면에 오크스틱(oak stick), 오크칩(oak chip), 오크판(oak plate) 및 오크톱밥(oak sawdust)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오크조각들로 제1 오크조각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흡연재료층의 상면에서 상기 제1 오크조각층을 덮도록 상기 흡연재료를 적층하여 제2 흡연재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크통 내 투입된 상기 흡연재료 및 상기 오크조각들의 총 용량은 상기 오크통의 내부공간의 총 용량 대비 85% 내지 95%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크조각들은 원적외선으로 토스팅(toasting)된 것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오크통을 밀봉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크통은 상기 오크통의 외부를 포장재로 감싸며 상기 포장재의 내부 공기 및 수분이 상기 포장재의 외부와 연통하지 않도록 밀봉되고, 상기 흡연재료를 숙성시키는 단계는 50℃ 내지 90℃의 온도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연재료를 숙성시키는 단계는 7일 내지 24개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술한 숙성방법에 의해 숙성된 숙성 잎담배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숙성 잎담배에 함유된 3-푸르알데히드 및 5-메틸퍼퓨랄 중 적어도 하나의 중량은 상기 숙성 잎담배에 함유된 트랜스-게라닐아세톤의 중량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성 잎담배에 함유된 솔라논, 베타-다마스콘, 베타-다마세논, 네오피타디엔 및 메가스티그마트리에논 중 적어도 하나의 중량은 상기 숙성 잎담배에 함유된 6-메틸-5-헵텐-2-온의 중량보다 2배 내지 150배 클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술한 숙성방법에 의해 숙성된 숙성 잎담배를 포함하는 흡연물질부; 및 상기 흡연물질부보다 하류에 위치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흡연물질부에 포함된 상기 숙성 잎담배의 중량은 상기 흡연물질부의 총 중량 대비 0.5% 내지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 숙성방법에 의할 경우 흡연재료의 향미성분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질할 수 있으며, 담배 맛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흡연재료의 숙성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또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오크통 숙성의 전처리 공정으로서 제맥 및 수분함량 조정을 통해, 오크통 숙성과정에서 오크통 내부와 제맥엽간 직간접적 접촉을 통한 성분이동량이 감소되는 문제 또는 오크통 내부의 산소 흡수량 및 알코올과 유기산 결합 촉진량을 최적화하여 오크통 숙성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나아가, 오크통 투입 시 복수의 흡연재료층들 및 복수의 오크조각층들은 서로 교번하며 적층함으로써 흡연재료의 오크통 숙성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연재료가 투입된 오크통을 공기 및 수분 이동이 차단되는 포장재로 밀봉하여 숙성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숙성과정에서 오크통 내/외부에서 발현되는 고유의 향미성분들의 소실 방지 및 잎담배로의 전이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품의 흡연물질부에는 오크통을 활용하여 제조된 숙성엽이 함유됨으로써, 흡연시 이취미와 자극성 감소, 부드러움 증가 등의 관능적 장점을 가지게 되며 나아가 추가적 가향물질의 첨가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담배 고유의 깊은 풍미와 긍정적 특이향을 발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물질의 숙성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실시예 5 및 비교예 5에 따라 제조된 흡연물품들의 흡연 관능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 6 및 비교예 5에 따라 제조된 흡연물품들의 흡연 관능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7 및 비교예 5에 따라 제조된 흡연물품들의 흡연 관능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8 및 비교예 6에 따라 제조된 흡연물품들의 흡연 관능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숙성된 잎담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흡연물품'은 담배(궐련), 시가 등과 같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건을 의미할 수 있다. 흡연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품은 판상엽 담배, 각초, 재구성 담배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질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흡연재료의 숙성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연재료의 숙성방법은 숙성될 흡연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 흡연재료의 숙성에 사용될 오크통을 준비하는 단계(S20), 준비된 흡연재료를 준비된 오크통의 내부공간으로 투입하는 단계(S30) 및 오크통을 밀봉한 후 흡연재료를 숙성시키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숙성될 흡연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에서, 상기 흡연재료는 궐련 매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재료, 예를 들면 잎담배 또는 잎담배 가공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연재료를 준비하는 단계는 i)잎담배를 제맥(除脈)하여 제맥엽을 만드는 단계와, ii)제맥엽을 가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맥엽을 가습하는 단계에서 제맥엽의 수분함량은 대략 10중량%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게는 15중량% 내지 25중량%(예를 들어, 20중량%)일 수 있다. 제맥엽의 수분함량이 상기 범위 이하일 경우 오크통 숙성과정에서 오크통 내부와 제맥엽간 직간접적 접촉을 통한 성분이동량이 감소되며, 제맥엽의 수분함량이 상기 범위 이상일 경우 오크통이 통 내부의 산소를 흡수하는 양, 및 알코올과 유기산 결합 촉진량이 감소하여 오크통 숙성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사용되는 잎담배는 황색종(예를 들어, 본엽), 버어리종, 오리엔트종(예를 들어, Basma 엽), 시가종 및 라타키아(Latakia)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담배종일 수 있으나, 그 외의 일반엽 또는 특수엽 등 사용되는 잎담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흡연재료의 숙성에 사용될 오크통을 준비하는 단계(S20)에서 사용되는 오크통은 와인 숙성에 사용된 배럴(wine barrel), 브랜디 숙성에 사용된 배럴(brandy barrel) 또는 주류 숙성에 사용되지 않은 배럴(new barre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뉴오크통을 사용 시 흡연재료로의 오크통 고유의 향미 전이가 극대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와인 또는 브랜디 오크통을 사용 시 오크통 고유의 향미뿐 아니라 오크통에 침지된 와인 또는 브랜디 성분이 흡연재료 숙성과정에서 유기적으로 작용되는 장점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오크통은 참나무통, 바람직하게는 떡갈나무통일 수 있으며, 오크통의 내측 면은 원적외선으로 토스팅될 수 있다. 사용될 오크통의 내부용량에는 제한이 없으나, 오크통의 내부용량은 약 50ℓ 내지 500ℓ(예를 들어, 100ℓ 또는 225ℓ 등)일 수 있다.
오크통으로 와인 배럴 또는 브랜디 배럴이 사용될 경우, 상기 오크통을 준비하는 단계(S20)는 i)와인 또는 브랜디를 오크통에 투입하고, ii)와인 또는 브랜디가 투입된 오크통을 밀봉하여 일정기간동안 보관한 후, iii)일정기간이 지난 후 오크통 내부에 남은 와인 또는 브랜디를 제거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기간동안의 보관단계 이후 오크통 내부에 남은 와인 또는 브랜디의 중량은 최초 투입된 와인 또는 브랜디의 중량 대비 대략 90%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약 93% 내지 97%일 수 있다. 보관기간동안 감소된 와인 또는 브랜디는 오크통의 내측 면을 통해 오크통 내부로 침지될 수 있다.
한편, 오크통 내에 보관될 주류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오크통의 내부용량에 따라 상기 보관기간은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오크통 용량에서, 와인은 브랜디보다 보관기간이 더 길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인의 경우 보관기간(P)은 아래 수학식 1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브랜디의 경우 보관기간(P)은 아래 수학식 2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P는 보관기간을 시간(hour) 단위로 나타낸 값이며, L은 오크통 내부공간의 리터(ℓ) 단위 용량을 나타낸다.
[수학식 1]
P = 1.5 × L
[수학식 2]
P = 0.75 × L
예를 들어, 225ℓ의 오크통에 와인이 보관될 경우 와인은 약 2주(337.5[h]=1.5[h/ℓ]×225[ℓ])동안 보관되며, 브랜디의 경우 약 1주(168.75[h]=0.75[h/ℓ]×225[ℓ])동안 보관될 수 있다.
사용될 흡연재료 및 오크통이 준비되면, 흡연재료를 오크통의 내부공간으로 투입(S30)한다.
투입단계(S30)에서, 흡연재료는 복수의 흡연재료층들을 이루도록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흡연재료층들 사이에는 오크조각들(예를 들어, 오크스틱(oak stick), 오크칩(oak chip), 오크판(oak plate) 및 오크톱밥(oak sawdust) 등)로 형성된 복수의 오크조각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흡연재료층들 및 복수의 오크조각층들은 서로 교번하며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흡연재료층들을 이루는 각각의 흡연재료층은 흡연재료가 투입된 후 일정압력으로 가압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연재료의 오크통 숙성 과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입단계(S30)에서는 i)비어있는 오크통의 내부공간에 흡연재료를 일정량 투입하고 상면을 일정압력(예를 들어, 약 3kgf/cm2 내지 10kgf/cm2)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1 흡연재료층을 형성하고, ii)제1 흡연재료층의 상면에 제1 오크조각층을 형성한 후, iii)제1 오크조각층을 덮도록 흡연재료를 투입 후 상기 압력으로 가압하여 제2 흡연재료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크조각층은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흡연재료층을 완전히 덮을 수도 있으나, 투입된 오크조각들 사이사이로 하측 흡연재료층의 상면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흡연재료의 숙성 효율 증대를 위해, 오크조각들은 원적외선으로 토스팅된 조각들일 수 있다.
오크통으로의 흡연재료 (및 오크조각들)의 투입이 완료된 이후, 상기 오크통의 개방된 상면은 오크통 덮개에 의해 물리적으로 밀봉될 수 있다. 여기서, 오크통 내 투입된 흡연재료 (및 오크조각들)의 총 용량은 오크통의 내부공간의 총 용량 대비 약 85% 내지 95%일 수 있다. 즉, 오크통 내부공간의 상측 일부 영역에는 숙성과정에서 필요한 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오크통을 밀봉한 후 흡연재료를 숙성시키는 단계(S40)는 i)오크통을 포장재로 밀봉한 후 ii) 일정온도(예를 들어, 대략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하에서 포장재로 밀봉된 오크통을 약 7일 내지 24개월(예를 들어, 약 2주 내지 4주)동안 보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예를 들면 오크통 전체를 수용하되, 보관기간동안 포장재의 내부 공기 및 수분이 포장재 외부와 연통하지 않도록 하는 대형비닐 등일 수 있다. 오크통을 이와 같이 포장재로 밀봉함으로써, 숙성과정에서 오크통 내/외부에서 발현되는 고유의 향미성분들의 소실 방지 및 잎담배로의 전이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숙성과정이 완료된 숙성엽은 도 6를 참조하여 후술할 흡연물질부(120)의 제조과정에서 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흡연물품의 이취미 감소, 자극성 감소, 부드러움 증가 등의 관능적 장점을 가지게 되며, 나아가 인위적 향미성분의 첨가 없이도 담배 고유의 깊은 풍미와 긍정적 특이향을 흡연 시 발현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황색종엽(본엽)을 제맥 후 약 2주간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한 황색종엽을 제맥 후 숙성용 HMT(Heat Moisture Treatment) 컨테이너에 투입하고 72℃의 온도 및 잎담배 수분 20% 조건하에서 약 2주간 보관하여 숙성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25ℓ의 뉴(new) 오크통에 비교예 1과 동일한 황색종엽을 제맥 및 투입하고 포장재로 오크통 외부를 밀봉한 후, 72℃의 온도 및 잎담배 수분 20% 조건하에서 약 2주간 보관하여 숙성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와인이 약 1주간 숙성되었던 225ℓ의 와인 오크통에 비교예 1과 동일한 황색종엽을 제맥 및 투입하고 포장재로 오크통 외부를 밀봉한 후, 72℃의 온도 및 잎담배 수분 20% 조건하에서 약 2주간 보관하여 숙성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브랜디가 약 1주간 숙성되었던 225ℓ의 브랜디 오크통에 비교예 1과 동일한 황색종엽을 제맥 및 투입하고 포장재로 오크통 외부를 밀봉한 후, 72℃의 온도 및 잎담배 수분 20% 조건하에서 약 2주간 보관하여 숙성엽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오리엔트종엽(basma엽)을 제맥 후 약 2주간 상온에서 보관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3과 동일한 오리엔트종엽을 제맥 후 숙성용 HMT 컨테이너에 투입하고 72℃의 온도 및 잎담배 수분 20% 조건하에서 약 2주간 보관하여 숙성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225ℓ의 뉴 오크통에 비교예 3과 동일한 오리엔트종엽을 제맥 및 투입하고 포장재로 오크통 외부를 밀봉한 후, 72℃의 온도 및 잎담배 수분 20% 조건하에서 약 2주간 보관하여 숙성엽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엽중 향미성분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숙성엽들의 엽중 향미성분을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측정 방법으로 분석하여, 황색종엽의 분석결과는 표 1에, 오리엔트종엽의 분석결과는 표 2에 나타냈다. 표 1 및 표 2의 각 성분별 수치는 GC-MS측정에 따라 분석된 peak area값(상대값)을 나타낸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n-Pentyl alcohol 25 - 9 82 119
3-Furaldehyde 37 51 514 596 574
4-Methyl-1-hepten-4-ol 13 21 165 149 144
5-Methyl furfural 21 74 304 311 312
Methyl-phenylacetate 10 47 91 84 76
trans-Geranylacetone 42 97 45 54 53
2,3-Dipyridyl 19 60 60 74 59
Methyl phenyl acetate 10 47 91 84 85
6-Methyl-5-heptene-2-one 37 15 11 13 12
Solanone 138 457 862 749 663
beta-Damascone 6 12 24 25 23
beta-Damascenone 15 109 174 171 150
Neophytadiene 584 932 1153 1220 960
Benzyl Alcohol 109 69 85 63 64
Phenylethyl-Alcohol 161 108 198 291 280
2-Acetylpyrrole 31 237 239 157 160
1-Methyl-3-pyrrolin-2-one 6 32 36 31 28
Megastigmatrienone 16 132 177 168 183
구분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4
6-Methyl-5-heptene-2-one 45 76 95
Solanone 661 815 1537
beta-Damascone 19 18 25
beta-Damascenone 39 51 164
Neophytadiene 269 630 819
Benzyl Alcohol 83 102 113
Phenylethyl Alcohol 312 210 419
2-Acetylpyrrole 35 135 146
1-Methyl-3-pyrrolin-2-one 31 38 31
Megastigmatrienone 90 114 267
Valeric acid 4 19 25
Isovaleric acid 35 152 850
3-methyl valeric acid 50 201 2432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오크통 숙성이 진행된 실시예 1 내지 4 모두에서, 기존 HMT 컨테이너에서 동일기간 숙성이 진행된 비교예 2 및 4와는 다른 숙성엽 성분변화가 관찰되었으며, 향미성분들 중 특히 3-푸르알데히드(3-Furaldehyde), 5-메틸퍼퓨랄(5-Methyl furfural), 솔라논(Solanone), 베타-다마스콘(beta-Damascone), 베타-다마세논(beta-Damascenone), 네오피타디엔(Neophytadiene) 및 메가스티그마트리에논(Megastigmatrienone)의 수치변화가 두드러졌다.
구체적으로, 3-푸르알데히드 및 5-메틸퍼퓨랄의 경우 오크통 숙성 진행 시 미숙성의 비교예 1 대비 약 15배, 그리고 HMT 숙성이 진행된 비교예 2 대비 약 10배 이상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외 솔라논, 베타-다마스콘, 베타-다마세논, 네오피타디엔 및 메가스티그마트리에논 성분 또한 기존 HMT 숙성 대비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푸르알데히드 및 5-메틸퍼퓨랄 성분은 오크통 자체의 성분분석에서도 검출된 향미성분으로서, 숙성엽에서 검출된 이러한 성분들의 적어도 일부는 숙성과정에서 오크통으로부터 전이된 것으로 보이며, 나아가 상기 성분들의 큰 증가율에 비추어 볼 때 증가량의 상당부분은 오크통과 오크통 내 숙성엽에 함유된 성분들 각각의 분해 또는 성분들간의 합성작용에 따른 상승효과에 의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담배엽에서 일반적으로 검출되는 향미성분인 6-메틸-5-헵텐-2-온(6-Methyl-5-heptene-2-one) 및 벤질알코올(Benzyl Alcohol) 등은 숙성과정 자체에서의 큰 성분량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이와 달리 3-푸르알데히드, 5-메틸퍼퓨랄, 솔라논, 베타-다마스콘, 베타-다마세논, 네오피타디엔 및 메가스티그마트리에논의 성분량은 유의미한 수치적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HMT 숙성이 진행된 비교예 2와 달리 오크통 숙성이 진행된 실시예 1 내지 3 모두에서 숙성엽에 함유된 3-푸르알데히드 및 5-메틸퍼퓨랄 중 적어도 하나의 함량(예를 들어, 중량)은 상기 숙성 잎담배에 함유된 트랜스-게라닐아세톤(trans-Geranylacetone)의 함량(예를 들어, 중량)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숙성 잎담배에 함유된 솔라논, 베타-다마스콘, 베타-다마세논, 네오피타디엔 및 메가스티그마트리에논 중 적어도 하나의 중량은 상기 숙성 잎담배에 함유된 6-메틸-5-헵텐-2-온의 중량보다 2배 내지 150배 큰 것을 알 수 있다.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HMT 숙성이 진행된 비교예 4와 달리 오크통 숙성이 진행된 실시예 4에서 숙성엽에 함유된 솔라논의 함량은 6-메틸-5-헵텐-2-온의 함량보다 약 15배 이상 크고, 숙성엽에 함유된 이소발레르산의 함량은 페닐에틸알코올의 함량보다 크며, 숙성엽에 함유된 3-메틸발레르산의 함량은 페닐에틸알코올의 함량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에 나타난 결과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던 6-메틸-5-헵텐-2-온 및 벤질알코올 또한 잎담배 숙성에 의한 유의미한 정도의 성분량 증대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숙성엽 향미성분 개질을 통해, 오크 숙성엽을 함유하는 흡연물품은 흡연시의 관능특성 개선 효과 및 긍정적 특이향 발현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실험예 1에서는 숙성공정이 약 2주간 진행된 상기 실시예들 외에 각 케이스별 약 4주간 숙성을 별도로 진행한 실시예들도 존재하였으나, 숙성기간이 2주인지 4주인지 여부에 따른 관능특성 및 향미성분의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생략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약 5일 내지 20일의 숙성기간이 가장 효율적임 또한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예 1에서는 내부용량이 225ℓ인 오크통이 사용된 상기 실시예들 외에 각 케이스별 내부용량이 약 100ℓ인 오크통을 사용한 실시예들도 존재하였으나, 오크통 내부용량 차이에 따른 관능특성 및 향미성분의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생략되었다. 즉,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한 내부용량들을 가지는 오크통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5
실시예를 위하여 시험용으로 제조된 레귤러 궐련의 흡연물질부를 제거하고, 비교예 2의 숙성엽(황색종)으로 각초를 제조 후 흡연물질부를 충전하여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비교예 2의 숙성엽 대신 실시예 1의 뉴오크 숙성엽(황색종)으로 각초를 제조 후 흡연물질부를 충전한 점을 제외하고, 비교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비교예 2의 숙성엽 대신 실시예 2의 와인 오크 숙성엽(황색종)으로 각초를 제조 후 흡연물질부를 충전한 점을 제외하고, 비교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비교예 5의 숙성엽 대신 실시예 3의 브랜디 오크 숙성엽(황색종)으로 각초를 제조 후 흡연물질부를 충전한 점을 제외하고, 비교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를 위하여 시험용으로 제조된 레귤러 궐련의 흡연물질부를 제거하고, 비교예 4의 숙성엽(오리엔트종)으로 각초를 제조 후 흡연물질부를 충전하여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비교예 4의 숙성엽 대신 실시예 4의 뉴오크 숙성엽(오리엔트종)으로 각초를 제조 후 흡연물질부를 충전한 점을 제외하고, 비교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5 내지 8, 비교예 5 및 6의 흡연 관능평가
흡연물품들의 끽미강도, 자극성 향 강도, 향 만족도, 이취미, 뒷맛 깨끗함 및 전체적인 담배맛에 대한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 특성 평가는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흡연물품들 각각을 이용하여 27명의 평가 패널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7점 만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실시예 5 내지 7의 관능평가는 함께 진행되었으나,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그 결과는 도 2 내지 도 4 각각에 도시되었다. 도 2는 실시예 5 및 비교예 5, 도 3은 실시예 6 및 비교예 5, 도 4는 실시예 7 및 비교예 5에 따라 제조된 흡연물품들의 흡연 관능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상호 참조하면, 실시예 5 내지 7 모두에서 비교예 5 대비 자극성 및 이취미가 감소하였고, 향 강도, 향 만족도, 뒷맛 깨끗함 및 전체적인 담배맛 특성 모두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자극성 및 이취미 감소 효과 측면에서는 황색종의 와인 오크 또는 뉴오크 숙성엽이 사용된 실시예 5 및 6의 흡연물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 강도 및 향 만족도 증대 효과 측면에서는 황색종의 브랜디 오크 숙성엽이 사용된 실시예 7의 흡연물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5는 실시예 8 및 비교예 6에 따라 제조된 흡연물품들의 흡연 관능평가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리엔트종의 뉴오크 숙성엽이 사용된 실시예 8에서 비교예 6 대비 자극성 및 이취미가 감소하였고, 향 강도, 향 만족도, 뒷맛 깨끗함 및 전체적인 담배맛 특성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잎담배 종에 따른 관능특성을 비교해 보면, 오리엔트종 숙성엽이 사용된 실시예 8에서의 흡연물품은 황색종 숙성엽이 사용된 실시예 5 내지 7에서의 흡연물품들 대비 자극성 및 이취미 측면에서 더 나은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향 강도 및 향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짐과 동시에 뒷맛 깨끗함 또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오크통 숙성에 의해 발레르산(Valeric acid) 및 이소발레르산(Isovaleric acid) 등의 고유 향미성분 함량이 더욱 증가됨에 따른 것으로 예측되며,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오리엔트종(예를 들어, basma엽) 오크 숙성엽의 경우 흡연물질부에 상대적으로 소량만이 배합되더라도 충분한 향미 발현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숙성된 잎담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1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흡연물품(100)이 연소형 궐련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연물품(100)은 전자담배기기 등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미도시)와 함께 사용되는 가열식 궐련 등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류' 또는 '상류 방향'은 흡연물품(100)을 흡연하는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류' 또는 '하류 방향'은 흡연물품(100)을 흡연하는 사용자의 구부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흡연물품(100)에 있어서, 흡연물질부(120)는 필터부(110)의 상류 또는 상류 방향에 위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흡연물품(100)은 필터 래퍼(110a)가 감싸진 필터부(110), 흡연물질 래퍼(120a)가 감싸진 흡연물질부(120), 및 상기 필터부(110) 및 흡연물질부(120)를 결합시키는 팁페이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10)는 흡연물질부(120)의 하류에 배치되어, 흡연물질부(120)에서 발생한 에어로졸 물질을 사용자가 흡입하기 직전 통과하는 영역일 수 있다.
필터부(11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필터부(11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부(110)는 향료 물질이 가향처리되지 않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터부(110)는 향료 물질이 가향처리된 TJNS(transfer jet nozzle system) 필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터부(110)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의 구조물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110)는 내부(예를 들어, 중공)에 동일 혹은 이형의 재질의 필름, 튜브 등의 구조물을 삽입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필터부(110)의 제조 시에 가소제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필터부(110)의 경도가 조정될 수 있다. 가소제로는 트리아세틴이 적용될 수 있으나, 가소제의 종류 및 함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필터부(110)는 단일 필터로 이루어진 모노 필터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필터부(110)는 필터 효율을 높이기 위해 2개의 아세테이트 필터를 구비한 듀얼 필터 또는 삼중 필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나아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터부(110)의 내부에는 캡슐(미도시)이 포함될 수 있다. 캡슐은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캡슐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캡슐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는 천연소재, 전분 및/또는 겔화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소재의 피막의 경우 한천, 펙틴, 소디움 알지네이트 및 글리세린 등으로 조성될 수 있다. 겔화제로서는 젤란 검이나 젤라틴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겔화 조제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겔화 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칼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가소제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가소제로서는 글리세린 및/또는 소르비톨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캡슐의 피막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착색료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캡슐의 내용액에 포함되는 향료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 chain fatty acid triglyceride; MCTG)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내용액은 색소, 유화제(乳化劑), 증점제(增粘劑) 등의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캡슐의 내용액에는 멘톨, 식물의 정유(精油) 등의 향료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필터부(110)는 흡연물질부(120)의 하류에 배치되어, 흡연물질부(120)에서 발생한 에어로졸 물질을 사용자가 흡입하기 직전 통과하는 필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필터부(110)는 필터 래퍼(110a)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터 래퍼(110a)는 내유성(耐油性)을 갖는 권지로 제작될 수 있다. 필터 래퍼(110a)는 흡연자에 의해 필터부(110)에 포함될 수 있는 캡슐이 파쇄됨으로써 캡슐 외부로 방출되는 캡슐 내용액이 필터 래퍼(110a)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내유권지로 제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래퍼(110a)의 안쪽 면에는 알루미늄 호일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흡연물질부(120)는 흡연물질 래퍼(120a)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연물질 래퍼(120a)에는 글리세린과, 촉매 작용 등에 의해 흡연 물질의 완전 연소를 촉진시키기 위한 K-citrate 및/또는 NA-citrate 등의 조연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나아가 탄산칼슘, 이산화티탄, 산화마그네슘 등의 충진제(filler)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연물질 래퍼(120a)는 이중 권지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흡연물질 래퍼(120a)는 흡연물질부(120)에 접하며 흡연물질부(120)를 감싸는 이너 래퍼(inner wrapper) 및 상기 이너 래퍼와 접하며 상기 이너 래퍼의 외부를 감싸는 아우터 래퍼(outer wrapper)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흡연물질 래퍼(120a)는 하나 이상의 저발화성(Low Ignition Propensity, LIP) 밴드(미도시)가 형성된 저발화성 궐련지일 수 있다.
LIP 밴드는 흡연물질 래퍼(120a)의 기공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담배의 연소가 LIP 밴드에 도달하면 흡연물질부(120)로 유입되는 산소량이 감소하여, 연소 중이던 흡연물품(100)은 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IP 밴드는 흡연물질 래퍼(120a)의 내측 및/또는 외측 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일 수 있다.
필터 래퍼(110a)에 의해 포장된 필터부(110) 및 흡연물질 래퍼(120a)에 의해 포장된 흡연물질부(120)는 팁페이퍼(130)에 의해 결합 포장될 수 있다. 즉, 팁페이퍼(130)는 흡연물질 래퍼(120a)의 적어도 일부분(예를 들어, 하류 일부 영역) 및 필터 래퍼(110a)의 외곽에 둘러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팁페이퍼(130)는 불연성 물질을 포함하여 흡연물질부(120)의 연소에 따라 필터부(110) 또한 연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흡연물질부(120)는 원료 잎담배, 판상엽 또는 잎담배와 판상엽이 배합된 혼합물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시트 형태 또는 각초 형태로 흡연물질부(120)에 충전될 수 있다. 흡연물질부(120)는 길게 연장된 로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그 길이, 둘레 및 직경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질부(120)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질부(12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아세테이트 화합물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풍미제는 감초, 자당, 과당 시럽, 이소감미제(isosweet), 코코아, 라벤더, 시나몬, 카르다몸, 셀러리, 호로파, 카스카릴라, 백단, 베르가못, 제라늄, 벌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민트 오일, 계피, 케러웨이, 코냑, 자스민, 카모마일, 멘톨, 계피, 일랑일랑, 샐비어, 스피어민트, 생강, 고수 또는 커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윤제는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흡연물질부(120)는 원료 잎담배 및 판상엽을 분쇄한 후 용매 및 다양한 첨가물을 혼합하여 슬러리 형태로 제조하고 건조시켜 시트를 형성한 후, 이러한 시트를 가공하여 막대 등과 같은 조각 형태로 형성된 재구성 담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연물질부(120)는 복수 개의 재구성 담배 물질 가닥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가닥 1개는 길이가 대략 10mm 내지 14mm (예를 들면, 12mm), 폭이 대략 0.8mm 내지 1.2mm (예를 들면, 1mm) 및 두께가 대략 0.08mm 내지 0.12mm (예를 들면, 0.1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흡연 시 느껴지는 담배 맛은 상기한 흡연물질부(120)를 구성하는 흡연재료의 종류, 향기성분 등의 첨가여부 및 이들의 숙성방식에 따라 주로 결정되거나 또는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최근 담배 맛 다양화를 위한 기술 또는 궐련으로부터 제공되는 에어로졸에 향미를 부가하는 기술 등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궐련에 사용되는 잎담배는 그 종류가 다소 한정적이며 궐련에 첨가될 수 있는 향기성분들의 함량 또한 담배의 제한된 크기, 일부 법적규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첨가량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의 흡연물질부(120)는 상술한 오크 숙성 방식에 의해 숙성된 잎담배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흡연자들의 기호에 맞는 담배 맛을 구현함과 동시에 긍정적 특이향을 발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오크 숙성엽은 다양한 배합비로 흡연물질부(120)에 충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물질부(120)는 다른 흡연재료와의 배합 없이 각초형태로 절각된 상기 오크 숙성엽만으로 충진될 수 있다. 또는, 흡연물질부(120)는 상기 오크 숙성엽과, 비-오크 숙성엽, 미숙성 잎담배, 판상엽, 토스트엽, 팽화각초 및 팽화주맥 등의 다른 흡연재료와 배합되어 충진될 수 있다. 이 경우 흡연물질부(120)에 포함된 상기 오크 숙성엽의 중량은 흡연물질부의 총 중량 대비 대략 0.5% 내지 1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흡연물품
110: 필터부
110a: 필터 래퍼
120: 흡연물질부
120a: 흡연물질 래퍼
130: 팁페이퍼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흡연물품의 흡연물질부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으로서,
    오크통 및 상기 흡연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흡연재료를 상기 오크통의 내부공간으로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오크통을 밀봉한 후 상기 흡연재료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흡연재료를 상기 오크통에 투입하는 단계는,
    상기 오크통의 내부공간에 상기 흡연재료를 적층하여 제1 흡연재료층을 형성하는 단계;
    적층된 상기 제1 흡연재료층의 상면을 가압하는 단계;
    가압된 상기 제1 흡연재료층의 상면에 오크스틱(oak stick), 오크칩(oak chip), 오크판(oak plate) 및 오크톱밥(oak sawdust)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오크조각들을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흡연재료층 및 상기 오크조각들을 덮도록 상기 흡연재료를 적층하여 제2 흡연재료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 숙성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오크통 내 투입된 상기 흡연재료 및 상기 오크조각들의 총 용량은 상기 오크통의 내부공간의 총 용량 대비 85%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 숙성방법.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오크조각들은 원적외선으로 토스팅(toast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재료 숙성방법.
KR1020220073606A 2020-02-21 2022-06-16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KR102593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606A KR102593731B1 (ko) 2020-02-21 2022-06-16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382A KR102413848B1 (ko) 2020-02-21 2020-02-21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KR1020220073606A KR102593731B1 (ko) 2020-02-21 2022-06-16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382A Division KR102413848B1 (ko) 2020-02-21 2020-02-21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546A KR20220086546A (ko) 2022-06-23
KR102593731B1 true KR102593731B1 (ko) 2023-10-24

Family

ID=771679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382A KR102413848B1 (ko) 2020-02-21 2020-02-21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KR1020220073606A KR102593731B1 (ko) 2020-02-21 2022-06-16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382A KR102413848B1 (ko) 2020-02-21 2020-02-21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25096A1 (ko)
EP (1) EP3895550A4 (ko)
JP (1) JP7200461B2 (ko)
KR (2) KR102413848B1 (ko)
CN (1) CN113556946B (ko)
WO (1) WO20211672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394B1 (ko) * 2020-10-14 2023-08-2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CN114271529B (zh) * 2022-01-06 2023-01-20 四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改善国产雪茄烟叶吃味的微生物固体循环发酵方法
WO2023137561A1 (en) * 2022-01-21 2023-07-27 The Green Organic Dutchman Holdings Ltd. Aged hash and related compositions and methods
WO2023157878A1 (ja) * 2022-02-18 2023-08-2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葉たばこ中のソラノン量を増加させる方法、たばこ原料の製造方法、及びソラノンの抽出方法
CN114855511A (zh) * 2022-05-31 2022-08-05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雪茄烟养护的功能性薄片的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42216A1 (en) * 2012-08-28 2017-02-16 Philip Morris Products S.A. Tobacco composition comprising tobacco flower
JP6371928B1 (ja) * 2018-02-23 2018-08-08 株式会社 東亜産業 電子タバコ用充填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タバコ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3832A (en) * 1974-03-13 1976-03-16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handling of tow in the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particulate material
US20050039767A1 (en) * 2002-11-19 2005-02-24 John-Paul Mua Reconstituted tobacco sheet and smoking article therefrom
KR20030063312A (ko) 2003-07-09 2003-07-28 김명호 도토리를 함유한 담배 및 그 제조방법
CN100526173C (zh) * 2007-04-19 2009-08-12 红云红河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烟草物料的储存包装材料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01416773B (zh) * 2007-10-22 2011-08-24 武汉烟草(集团)有限公司 用橡木提高烟用香精品质的方法
CN101496633B (zh) * 2008-02-02 2011-11-16 红塔辽宁烟草有限责任公司 一种促使烟草散发天然原香的烟草处理方法
CN101554247B (zh) * 2008-04-09 2012-08-29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提高高档烟丝吸味品质的方法
CN101554248B (zh) * 2008-04-09 2012-06-13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用橡木桶贮存烟丝提高烟丝质量的方法
KR20140077534A (ko) 2012-12-14 2014-06-24 최준식 커피의 제조 방법
CN103110181A (zh) * 2013-02-22 2013-05-22 川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雪茄烟叶桶式发酵方法
US9364012B2 (en) * 2013-09-27 2016-06-14 James Jude Pellegrini Method for aging coffee
CN203667231U (zh) * 2013-12-27 2014-06-25 贵州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内置于烟丝贮存橡木桶的料液介质发生器
WO2017115234A1 (en) * 2015-12-28 2017-07-06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Package for a tobacco-containing material and related packaging method
CN108464524B (zh) * 2018-03-29 2020-10-23 四川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深色雪茄茄衣的制作方法
CN109875108A (zh) * 2019-01-22 2019-06-14 红云红河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改善烟丝储存发酵环境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42216A1 (en) * 2012-08-28 2017-02-16 Philip Morris Products S.A. Tobacco composition comprising tobacco flower
JP6371928B1 (ja) * 2018-02-23 2018-08-08 株式会社 東亜産業 電子タバコ用充填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タバコ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848B1 (ko) 2022-06-27
EP3895550A4 (en) 2022-03-23
EP3895550A1 (en) 2021-10-20
KR20210106655A (ko) 2021-08-31
JP7200461B2 (ja) 2023-01-10
KR20220086546A (ko) 2022-06-23
CN113556946A (zh) 2021-10-26
WO2021167225A1 (ko) 2021-08-26
CN113556946B (zh) 2023-04-11
JP2022524250A (ja) 2022-05-02
US20220125096A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3731B1 (ko) 오크통을 활용한 흡연재료의 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US10111457B2 (en) Tobacco material and treatment thereof
CA2926375A1 (en) Tobacco treatment
KR102386078B1 (ko) 클로브 부산물이 함유된 판상엽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JP2023504832A (ja) タバコ組成物
US20200178591A1 (en) Sheet of smokeable material
CN105899091A (zh) 烟草材料及其处理
CA1332335C (en) Citrus-flavored tobacco articles
RU2792425C1 (ru) Способ выдержки кур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убовой бочки и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изготовленное этим способом
KR102571394B1 (ko) 흡연재료의 가향숙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연물품
KR102450720B1 (ko) 생분해성이 증진된 흡연물품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US20230157350A1 (e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RU2772841C2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KR102513607B1 (ko) 건강 증진성 물질이 함유된 흡연 물품
WO2022138263A1 (ja) 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物品用たばこロッド部の製造方法
KR20240046606A (ko) 에어로졸 생성 재료
WO2020089066A1 (en) Packaging for smoking substitute consum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