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585B1 -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585B1
KR102593585B1 KR1020230000225A KR20230000225A KR102593585B1 KR 102593585 B1 KR102593585 B1 KR 102593585B1 KR 1020230000225 A KR1020230000225 A KR 1020230000225A KR 20230000225 A KR20230000225 A KR 20230000225A KR 102593585 B1 KR102593585 B1 KR 102593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safety
electrical
management
electrical facil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태
정중기
차재경
Original Assignee
이미르소프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르소프트(주) filed Critical 이미르소프트(주)
Priority to KR1020230000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35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6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앱을 전기 시설물에 연동하는 앱 연동단계; 상기 앱 연동단계를 거친 후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시작하는 안전관리 시작단계; 상기 안전관리 시작단계를 거친 후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의 안전을 점검하는 안전점검단계; 및 상기 안전점검단계를 거친 후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에 대한 조치사항을 진행하는 안전관리 완료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Safet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Electrical Facilities}
본 발명은 전기 안전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대면으로 전기 시설물의 안전을 점검하는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고도화되어가고 복잡해짐에 따라 상하수도관, 전력 및 통신선로, 가로등과 같은 시설물의 설치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설비들은 관리자가 직접 일일이 고장 여부를 확인하거나, 시설물 주변을 지나가며 시설물의 고장 상태를 인식한 자에 의하여 접수되는 민원에만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종래 기술은 시설물에 QR코드를 부착하고, 관리자 또는 민원인은 고장이 의심되는 가로등의 QR 코드를 촬영하여 신고 및 관리하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고장을 신고하는 관리자 또는 민원인이 스마트폰으로 직접 해당 QR 코드를 스캔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관리자가 QR코드를 이용하여 시설물을 관리하는 경우, 관리자가 시설물 관리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지정된 위치에 접근해야 한다. 하지만 시설물의 크기가 크거나 복잡한 경우, 또는 관리자가 시설물의 주변 위치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경우에는 지정된 위치로의 접근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시설물의 유지관리는 주로 시설물 담당 기관에서 유지 관리 업체에 발주하여 수행하고 있고, 유지관리 업체에서는 시설물의 도면 및 관리 이력을 확인하기 위해 복잡한 절차와 시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시설물의 현장 점검을 위해서 과거의 유지 관리 및 보수 관련 자료를 입수하여 들고 다니며 과거 기록과 비교해야 하는 등의 비효율이 많은 문제가 있다.
또한, 안전관리 서비스의 연속성 부재로서, 안전관리자의 정기적 방문진단 사이의 관리 공백이 발생하고, 특히, 고객 이슈 시간대에 정확한 데이터가 없으며, 고객의 전기 시설 변경 시 확인과 이력 추적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반 전기 상식, 전문 전기 기술 지식, 전기 장비, 케이블 공사 등 진단 이외의 고객의 현안 해결 자료 등 현장에서 다양한 전기관련 고객의 질문에 대응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고, 역률 보상기 용량, 변압기 효율, 케이블 용량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바로 계산해주는 전문 도구가 부족하다.
또한, 현장에서 수기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바로 고객에게 승인 날인을받아야 해서, 고객 부재시 재방문 및 우편으로 발송하고, 형식적인 점검일지 및 보고서 보다는, 관리 및 점검 사항을 바로 현장에서 기록하고 고객과 현안을 논의할 수 있는 IT인프라가 부족하며, 인쇄 또는 수기로된 점검일지 및 보고서 관리로 이슈들을 검색, 확인할 수 있는 방식도 부재하다.
또한, 정확한 최신 데이터가 필요하나, 고객 담당자의 잦은 변경으로 재교육 필요하고, 이를 위한 체계화된 자료 부족하며, 변경되는 전기 관련 법규 및 고시 등에 관한 최신 자료 등이 부족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1537호(2011.05.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52012호(2019.02.1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대면으로 전기 시설물의 안전점검이 가능한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 점검 후 보고서를 작성하고 즉시 승인 요청 및 확인이 가능한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관리앱을 전기 시설물에 연동하는 앱 연동단계; 상기 앱 연동단계를 거친 후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시작하는 안전관리 시작단계; 상기 안전관리 시작단계를 거친 후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의 안전을 점검하는 안전점검단계; 및 상기 안전점검단계를 거친 후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에 대한 조치사항을 진행하는 안전관리 완료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점검단계는, 전기 시설물에 부착된 QR 코드를 활용한 전기 시설물의 관리 및 점검을 시작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후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열화상 카메라를 작동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후 설정된 안전 조치 요청사항을 추적 및 관리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를 거친 후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의 현황을 감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여 전기 시설물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시작하는 QR 코드 스캔단계; 상기 QR 코드 스캔단계를 거친 후 스캔된 상기 QR 코드에 대해 조회하고 검색하는 QR 코드 검색단계; 및 상기 QR 코드 검색단계를 거친 후 상기 QR 코드를 통해 전기 시설물의 점검 이력을 확인하는 점검이력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전기 시설물의 화상을 촬영하는 화상촬영단계; 및 상기 화상촬영단계를 거친 후 촬영된 전기 시설물의 이미지나 열화상 이미지에서 온도를 추출하는 온도추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점검 결과에 따라 각각의 전기 시설물들에 대한 필요한 조치사항을 표시하는 조치사항 표시단계; 및 상기 조치사항 표시단계를 거친 후 조치 요청사항을 확인하고 처리사항을 입력하여 진행사항을 확인하는 진행사항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단계는, 전기 시설물의 정보 등록시 영상 인식을 통해 전기 시설물의 현황을 파악하는 현황파악단계; 상기 현황파악단계를 거친 후 전기 시설물의 정보를 인식하여 등록하고 전기 시설물의 이전 점검과 차이를 비교하는 비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앱 연동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앱을 통해서 전기 시설물의 점검 상태를 알리고 조치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관리 시작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앱을 통해서 전기 시설물의 이전 점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관리 완료단계에서는 전기 시설물의 점검을 완료하고, 보고서의 점검 완료 후 승인 요청하며 조치 요청사항 확인 후 조치사항을 진행하고 보고서를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이 적용된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관리앱을 전기 시설물에 연동하는 앱 연동부; 상기 앱 연동부에서 연동된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시작하는 안전관리부; 상기 안전관리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의 안전을 점검하는 안전점검부; 및 상기 안전점검부에 연결되며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에 대한 조치사항을 진행하는 조치사항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점검부는, 전기 시설물에 부착된 QR 코드를 활용하여 전기 시설물을 관리 및 점검하는 관리 점검부; 상기 관리 점검부에 연계되어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열화상 카메라로 전기 시설물의 화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기 시설물의 이미지나 열화상 이미지에서 온도를 추출하는 카메라 작동부; 상기 카메라 작동부에 연계되며 각각의 전기 시설물들에 대한 필요한 조치사항을 표시하고, 조치 요청사항을 확인하며 처리사항을 입력하여 진행사항을 확인하면서 추적 및 관리하는 추적 관리부; 및 상기 추적 관리부에 연계되며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의 정보 등록시 영상 인식을 통해 전기 시설물의 현황을 파악하고, 전기 시설물의 정보를 인식하여 등록하며 전기 시설물의 이전 점검과 차이를 비교하는 현황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점검부는,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여 전기 시설물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시작하는 QR 코드 스캔부; 상기 QR 코드 스캔부에 연계되어 스캔된 상기 QR 코드에 대해 조회하고 검색하는 QR 코드 검색부; 및 상기 QR 코드 검색부에 연계되어 상기 QR 코드를 통해 전기 시설물의 점검 이력을 확인하는 점검이력 확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서 안전관리 업무의 실시간 완료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수기작성 없이 안전관리 점검 완료 시 보고서 자동 작성과 온라인 승인 요청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대면으로 고객을 관리하고 필요한 조치의 진행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고서의 점검 시간, 승인요청 시간, 승인 시간을 온라인으로 투명하게 관리하고, 보고서 승인시 서명입력 및 클라우드 보관으로 언제든지 점검 이력 및 승인 이력을 확인하며, 전기 시설물의 안전공사 점검시 보고서를 일괄적으로 출력이 가능하여 보고서의 통합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합운영센터 또는 지원시스템으로 콜센터 운영 및 안전관리자, 대행사, 고객의 원격 지원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의 전체 개념도이다.
도 2는 전기 시설물이 관리앱을 통해서 모바일 단말기에 연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열화상 카메라로 전기 시설물을 촬영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안전점검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6은 제1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7은 제2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8은 제3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9는 제4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시설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의 전체 개념도이고, 도 2는 전기 시설물이 관리앱을 통해서 모바일 단말기에 연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열화상 카메라로 전기 시설물을 촬영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5는 안전점검단계의 세부 순서도이고, 도 6은 제1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며, 도 7은 제2단계의 세부 순서도이고, 도 8은 제3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며, 도 9는 제4단계의 세부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앱 연동단계(S100), 안전점검단계(S200), 안전관리 시작단계(S100) 및 안전관리 완료단계(S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앱 연동단계(S100)는 관리앱(10)을 전기 시설물(20)에 연동하는 단계이다. 앱 연동단계(S100)에서는 관리앱(10)을 통해서 전기 시설물(20)의 점검 상태를 알리고 조치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앱(10)을 통해 전기 시설물(20)의 정밀점검을 시작할 수 있는데, 준비사항으로는 관리앱(10) 내 역할을 부여하고. 테스터기, 모바일 단말기(40) 용 열화상 카메라(50) 등을 연동하며, 전기 시설물(20)의 정전작업 후 점검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앱(10)을 통해 비대면으로 전기 시설물(20)의 안전점검에 대한 종합의견을 작성하고, 보고서를 승인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앱(10)을 통해 비대면으로 서명을 요청할 수 있는데, 승인요청은 온라인으로 정밀점검을 완료하고, 승인 요청을 알림하며, 고객의 온라인 승인 및 조치 요청사항을 확인하고, 필요시 결과를 보고할 수 있다.
전기 시설물(20)의 정밀점검완료 시 고려사항으로 관리앱(10)을 통해 조치사항을 확인하고, 고객에 대한 조치사항을 진행하며 실시간으로 확인 후 보고서를 온라인으로 관리할 수 있다.
안전관리 시작단계(S200)는 앱 연동단계(S100)를 거친 후 관리앱(10)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20)의 안전관리를 시작하는 단계이다. 안전관리 시작단계(S200)에서는 관리앱(10)을 통해서 전기 시설물(20)의 이전 점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관리 시작단계(S200)에서는 관리앱(10)을 통해서 전기 시설물(20)의 이전 점검 상태를 확인하여 전기 시설물(20)이 있는 현장에 대한 방문 일정을 관리앱(10) 등을 통해 안전관리자나 고객 또는 대행사에게 사전에 알려줄 수 있다.
안전점검단계(S300)는 안전관리 시작단계(S200)를 거친 후 관리앱(10)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20)의 안전을 점검하는 단계이다. 안전점검단계(S300)에서는 점검 보고서를 작성하고, 조치요청사항을 확인 및 기록하고, 전기 시설물(20)의 사진을 기록하며, 전기 시설물(20)의 변경을 자동 인식하고, 보고서를 승인요청할 수 있다. 또한, 테스터기와 열화상 카메라(50)에 연동된 관리앱(10)을 이용하여 정밀점검을 시작하고, 기록을 저장하며 필요한 조치사항을 확인하여 온라인으로 관리할 수 있다.
안전점검단계(S300)는 제1단계(S310), 제2단계(S320), 제3단계(S330) 및 제4단계(S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단계(S310)는 전기 시설물(20)에 부착된 QR 코드(30)를 활용한 전기 시설물(20)의 관리 및 점검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제1단계(S310)는 QR 코드 스캔단계(S312), QR 코드 검색단계(S314) 및 점검이력 확인단계(S3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QR 코드 스캔단계(S312)는 QR 코드(30)를 스캔하여 전기 시설물(20)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QR 코드 스캔단계(S312)는 모바일 단말기(40) 등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30)를 스캔할 수 있다.
QR 코드 검색단계(S314)는 QR 코드 스캔단계(S312)를 거친 후 스캔된 QR 코드(30)에 대해 조회하고 검색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QR 코드 검색단계(S314)는 QR 코드 스캔단계(S312)를 거친 후 스캔된 QR 코드(30)에 대해서 외부의 관리서버나 클라우드 등에 저장된 관련 데이터나 정보를 통해서 필요한 정보 등을 조회하고 검색할 수 있다.
점검이력 확인단계(S316)는 QR 코드 검색단계(S314)를 거친 후 QR 코드(30)를 통해 전기 시설물(20)의 점검 이력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S320)는 제1단계(S310)를 거친 후 모바일 단말기(40)에 구비된 열화상 카메라(50)를 작동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S320)는 화상촬영단계(S322) 및 온도추출단계(S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화상촬영단계(S322)는 열화상 카메라(50)로 전기 시설물(20)의 화상을 촬영하는 단계이다. 온도추출단계(S324)는 화상촬영단계(S322)를 거친 후 촬영된 전기 시설물(20)의 이미지나 열화상 이미지에서 온도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제3단계(S330)는 제2단계(S320)를 거친 후 설정된 안전 조치 요청사항을 추적 및 관리하는 단계이다.
제3단계(S330)는 조치사항 표시단계(S332) 및 진행사항 확인단계(S3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조치사항 표시단계(S332)는 제1단계(S310)의 점검 결과에 따라 각각의 전기 시설물(20)들에 대한 필요한 조치사항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진행사항 확인단계(S334)는 조치사항 표시단계(S332)를 거친 후 조치 요청사항을 확인하고 처리사항을 입력하여 진행사항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제4단계(S340)는 제3단계(S330)를 거친 후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20)의 현황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4단계(S340)는 제3단계(S330)를 거친 후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20)인 차단기 및 분전반의 현황을 감지하는 단계이다.
제4단계(S340)는 현황파악단계(S342) 및 비교단계(S3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현황파악단계(S342)는 전기 시설물의(20) 정보 등록시 영상 인식을 통해 전기 시설물(20)의 현황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현황파악단계(S342)는 전기 시설물의(20)인 분전반이나 차단기에 대한 정보 등록시 영상 인식을 통해 분전반의 형태 및 차단기의 수량을 파악할 수 있다.
비교단계(S344)는 현황파악단계(S342)를 거친 후 전기 시설물(20)의 정보를 인식하여 등록하고 전기 시설물(20)의 이전 점검과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비교단계(S344)는 현황파악단계(S342)를 거친 후 전기 시설물(20)인 차단기의 정보를 인식하여 차단기의 정보를 등록하고 이전 점검과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안전관리 완료단계(S400)는 안전점검단계(S300)를 거친 후 관리앱(10)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20)에 대한 조치사항을 진행하는 단계이다. 안전관리 완료단계(S400)에서는 전기 시설물(20)의 점검을 완료하고, 보고서의 점검 완료 후 승인 요청하며 조치 요청사항 확인 후 조치사항을 진행하고 보고서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시설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이 적용된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안전 관리 시스템(60)은 앱 연동부(100), 안전관리부(200), 안전점검부(300) 및 조치사항 처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앱 연동부(100)는 관리앱(10)을 전기 시설물(20)에 연동할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40)에 설치된 관리앱(10)을 전기 시설물(20)에 붙여진 QR 코드(30) 등으로 인식하여 연동시킬 수 있다.
안전관리부(200)는 앱 연동부(100)에서 연동된 관리앱(10)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20)의 안전관리를 시작할 수 있다.
안전점검부(300)는 안전관리부(200)에 연결되며 관리앱(10)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20)의 안전을 점검할 수 있다.
안전점검부(300)는 관리 점검부(310), 카메라 작동부(320), 추적 관리부(330) 및 현황 감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점검부(310)는 전기 시설물(20)에 부착된 QR 코드(30)를 활용하여 전기 시설물(20)을 관리 및 점검할 수 있다.
관리 점검부(310)는 QR 코드 스캔부(312), QR 코드 검색부(314) 및 점검이력 확인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QR 코드 스캔부(312)는 QR 코드(30)를 스캔하여 전기 시설물(20)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시작할 수 있다. QR 코드 검색부(314)는 QR 코드 스캔부(312)에 연계되어 스캔된 QR 코드(30)에 대해 조회하고 검색할 수 있다. 점검이력 확인부(316)는 QR 코드 검색부(314)에 연계되어 QR 코드(30)를 통해 전기 시설물(20)의 점검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 작동부(320)는 관리 점검부(310)에 연계되어 모바일 단말기(40)에 구비된 열화상 카메라(50)로 전기 시설물(20)의 화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전기 시설물(20)의 이미지나 열화상 이미지에서 온도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촬영된 전기 시설물(20)의 이미지나 열화상 이미지 상의 명암이나 색상 등을 통하여 전기 시설물(20)의 온도 추출이 가능하다.
추적 관리부(330)는 카메라 작동부(320)에 연계되며 각각의 전기 시설물(20)들에 대한 필요한 조치사항을 표시하고, 조치 요청사항을 확인하며 처리사항을 입력하여 진행사항을 확인하면서 추적 및 관리할 수 있다.
현황 감지부(340)는 추적 관리부(330)에 연계되며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20)의 정보 등록시 영상 인식을 통해 전기 시설물(20)의 현황을 파악하고, 전기 시설물(20)의 정보를 인식하여 등록하며 전기 시설물(20)의 이전 점검과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조치사항 처리부(400)는 안전점검부(300)에 연결되며 관리앱(10)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20)에 대한 조치사항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발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장에서 안전관리 업무의 실시간 완료가 가능하도록 별도의 수기작성 없이 안전관리 점검 완료 시 보고서의 자동 작성과 온라인 승인 요청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대면으로 고객을 관리하고 필요한 조치의 진행사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40) 즉, 관리앱(10)과 연동된 스마트폰 알람으로 안전관리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고, 온라인 보고서를 승인하며 조치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자의 조치요청 사항을 자동으로 알리고, 완료시 안전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전기 시설물(20)의 안전관리 효과 및 조치사항을 추적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고서의 점검 시간, 승인요청 시간, 승인 시간을 온라인으로 투명하게 관리하고, 보고서 승인시 서명입력 및 클라우드 보관으로 언제든지 점검 이력 및 승인 이력을 확인하며, 전기 시설물(20)의 안전공사 점검시 보고서를 일괄적으로 출력이 가능하여 보고서의 통합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합운영센터 또는 지원시스템으로 콜센터 운영 및 안전관리자, 대행사, 고객의 원격 지원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연령대를 감안하여, 원격으로 사용자 ID 원격 로그인 기능 및 다수의 부가 기능을 지원할 수 있고, 오프라인 및 온라인 사용자의 매뉴얼 및 교육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관리앱
20 : 전기 시설물
30 : QR 코드
40 : 모바일 단말기
50 : 열화상 카메라
60 : 안전 관리 시스템
100 : 앱 연동부
200 : 안전관리부
300 : 안전점검부
310 : 관리 점검부
312 : QR 코드 스캔부
314 : QR 코드 검색부
316 : 점검이력 확인부
320 : 카메라 작동부
330 : 추적 관리부
340 : 현황 감지부
400 : 조치사항 처리부

Claims (11)

  1. 관리앱을 전기 시설물에 연동하는 앱 연동단계;
    상기 앱 연동단계를 거친 후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의 안전관리를 시작하는 안전관리 시작단계;
    상기 안전관리 시작단계를 거친 후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의 안전을 점검하는 안전점검단계; 및
    상기 안전점검단계를 거친 후 상기 관리앱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에 대한 조치사항을 진행하는 안전관리 완료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안전점검단계는,
    전기 시설물에 부착된 QR 코드를 활용한 전기 시설물의 관리 및 점검을 시작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를 거친 후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열화상 카메라를 작동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를 거친 후 설정된 안전 조치 요청사항을 추적 및 관리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3단계를 거친 후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의 현황을 감지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리앱은 테스터기,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연동하며, 전기 시설물의 정전작업 후 점검작업을 진행하고, 비대면으로 전기 시설물의 안전점검에 대한 종합의견을 작성하며, 보고서를 승인요청할 수 있고, 비대면으로 서명을 요청할 수 있으며, 승인요청은 온라인으로 점검을 완료하고, 승인요청을 알림하며, 고객의 온라인 승인 및 조치 요청사항을 확인하고, 필요시 결과를 보고하며,
    전기 시설물의 점검완료 시 상기 관리앱을 통해 조치사항을 확인하고, 고객에 대한 조치사항을 진행하며 실시간으로 확인 후 보고서를 온라인으로 관리하며,
    상기 안전관리 시작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앱을 통해서 전기 시설물의 이전 점검 상태를 확인하여 전기 시설물이 있는 현장에 대한 방문 일정을 고객에게 사전에 알려주고,
    상기 안전점검단계에서는 점검 보고서를 작성하고, 조치요청사항을 확인 및 기록하고, 전기 시설물의 사진을 기록하며, 전기 시설물의 변경을 인식하고, 보고서를 승인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단계는,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여 전기 시설물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시작하는 QR 코드 스캔단계;
    상기 QR 코드 스캔단계를 거친 후 스캔된 상기 QR 코드에 대해 조회하고 검색하는 QR 코드 검색단계; 및
    상기 QR 코드 검색단계를 거친 후 상기 QR 코드를 통해 전기 시설물의 점검 이력을 확인하는 점검이력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4단계는,
    전기 시설물의 정보 등록시 영상 인식을 통해 전기 시설물의 현황을 파악하는 현황파악단계;
    상기 현황파악단계를 거친 후 전기 시설물의 정보를 인식하여 등록하고 전기 시설물의 이전 점검과 차이를 비교하는 비교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QR 코드 스캔단계는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할 수 있고,
    상기 QR 코드 검색단계는 상기 QR 코드 스캔단계를 거친 후 스캔된 상기 QR 코드에 대해서 외부의 관리서버나 클라우드에 저장된 관련 데이터나 정보를 통해서 필요한 정보를 조회하고 검색할 수 있으며,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를 거친 후 인공지능에 기반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전기 시설물인 차단기 및 분전반의 현황을 감지하고,
    상기 현황파악단계는 상기 분전반이나 상기 차단기에 대한 정보 등록시 영상 인식을 통해 상기 분전반의 형태 및 상기 차단기의 수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비교단계는 상기 현황파악단계를 거친 후 상기 차단기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차단기의 정보를 등록하고 이전 점검과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고,
    상기 관리앱과 연동된 모바일 단말기의 알람으로 안전관리의 시작과 종료를 알려주며, 온라인 보고서를 승인하며 조치사항을 확인할 수 있고, 안전관리자의 조치요청 사항을 알리고, 완료시 안전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전기 시설물의 안전관리 효과 및 조치사항을 추적 관리할 수 있으며,
    보고서의 점검 시간, 승인요청 시간, 승인 시간을 온라인으로 관리하고, 보고서 승인시 서명입력 및 클라우드 보관으로 점검 이력 및 승인 이력을 확인하며, 전기 시설물의 안전공사 점검시 보고서를 출력이 가능하고,
    원격으로 사용자 ID 원격 로그인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오프라인 및 온라인 사용자의 매뉴얼 및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전기 시설물의 화상을 촬영하는 화상촬영단계; 및
    상기 화상촬영단계를 거친 후 촬영된 전기 시설물의 이미지나 열화상 이미지에서 온도를 추출하는 온도추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1단계의 점검 결과에 따라 각각의 전기 시설물들에 대한 필요한 조치사항을 표시하는 조치사항 표시단계; 및
    상기 조치사항 표시단계를 거친 후 조치 요청사항을 확인하고 처리사항을 입력하여 진행사항을 확인하는 진행사항 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앱 연동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앱을 통해서 전기 시설물의 점검 상태를 알리고 조치사항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 시작단계에서는 상기 관리앱을 통해서 전기 시설물의 이전 점검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 완료단계에서는 전기 시설물의 점검을 완료하고, 보고서의 점검 완료 후 승인 요청하며 조치 요청사항 확인 후 조치사항을 진행하고 보고서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230000225A 2023-01-02 2023-01-02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9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225A KR102593585B1 (ko) 2023-01-02 2023-01-02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0225A KR102593585B1 (ko) 2023-01-02 2023-01-02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585B1 true KR102593585B1 (ko) 2023-10-25

Family

ID=8851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0225A KR102593585B1 (ko) 2023-01-02 2023-01-02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358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504A (ko) * 1993-06-29 1995-01-03 윌리엄 티. 엘리스 데이타 프로세싱 시스템의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상의 슬라이더를 느슨하게 일군으로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51537A (ko) 2009-11-10 2011-05-18 조택모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
KR20140108444A (ko) * 2013-02-27 2014-09-1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Qr코드를 활용한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그 점검 방법
KR20180092371A (ko)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하나에스엠씨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KR101952012B1 (ko) 2017-04-25 2019-02-25 조선남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3960A (ko) * 2020-06-30 2020-07-09 박준영 식별 코드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 인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9462A (ko) * 2019-07-16 2021-01-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열화상 인식 및 마커 기반 객체 정보 인식 방법
KR20210112579A (ko) *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504A (ko) * 1993-06-29 1995-01-03 윌리엄 티. 엘리스 데이타 프로세싱 시스템의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상의 슬라이더를 느슨하게 일군으로 만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10051537A (ko) 2009-11-10 2011-05-18 조택모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
KR20140108444A (ko) * 2013-02-27 2014-09-11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Qr코드를 활용한 시설물 점검 시스템 및 그 점검 방법
KR20180092371A (ko) * 2017-02-09 2018-08-20 주식회사 하나에스엠씨 시설물 유지관리 방법
KR101952012B1 (ko) 2017-04-25 2019-02-25 조선남 비콘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9462A (ko) * 2019-07-16 2021-01-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열화상 인식 및 마커 기반 객체 정보 인식 방법
KR20210112579A (ko) *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디지털 안전 작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3960A (ko) * 2020-06-30 2020-07-09 박준영 식별 코드를 이용한 시설물 점검 인증 장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8401B2 (en) Remote sharing of measurement data
WO2019174009A1 (zh) 一种机房管理方法及动环系统
CN105825337A (zh) 一种用于500kv变电站通信设备的智能巡检系统
CN111260325A (zh) 基于bim的桥梁施工进度管理系统
CN106327605A (zh) 一种巡检方法
JP6827379B2 (ja) 電力機器の保守支援装置、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38195A (ja) 電力遠隔計測装置、電力遠隔計測システム、電力遠隔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48584A (ja) 設備点検支援システム
US11778424B2 (en) Evacuation tracking
KR102354444B1 (ko) 전자태그 연계형 자동 잠금 장치
CN107693997B (zh) 一种消防设备检测与维护保养管理系统及管理方法
JPH11134369A (ja) 設備点検装置
CN103020773B (zh) 基于rfid的电梯智能检验信息管理系统
CN111797946A (zh) 水质样品采集管理方法及其相关设备和存储装置
KR102593585B1 (ko)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98263B1 (ko) 웹기반 풍력발전 블레이드 관리 시스템
CN109902209B (zh) 一种基于空间智能的特种承压设备用户三维可视化方法
KR20230056006A (ko) 3차원 모델을 통한 인공지능 기반 안전진단 장치 및 그 방법
CN110531718A (zh) 一种石化工业生产线中设备的巡检方法及巡检系统
JP2021056574A (ja) インフラ管理システム
CN108572578A (zh) 基于互联网与物联网应用的供水管网智能管控系统
TWM608914U (zh) 社區會議報到系統
CN106372549A (zh) 一种用于医疗器械的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6343255B (zh) 一种图内光字牌自动校核系统
CN111722544A (zh) 一种人工智能计量无感设计作业系统及其运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