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1537A -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1537A
KR20110051537A KR1020090108164A KR20090108164A KR20110051537A KR 20110051537 A KR20110051537 A KR 20110051537A KR 1020090108164 A KR1020090108164 A KR 1020090108164A KR 20090108164 A KR20090108164 A KR 20090108164A KR 20110051537 A KR20110051537 A KR 20110051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electrical safety
tester
relay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택모
김재성
Original Assignee
조택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택모 filed Critical 조택모
Priority to KR1020090108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1537A/ko
Publication of KR2011005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2Circuits for multi-testers, i.e. multimeters, e.g. for measuring voltage, current, or impedance at wil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0Measuring earth resistance; Measuring contact resistance, e.g. of earth connections, e.g.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안전 시험 시스템 및 전기 안전 시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기 안전 시험 시스템은 검사 단자들과, 시험기 인터페이스부와, 및 상기 시험기 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전기 안전 검사를 행하는 검사 동작부를 구비한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와, 시험 대상물의 검사 부위에 연결하기 위한 중계 입력 단자들과, 시험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의 상기 검사 단자들에 연결되는 중계 출력 단자들과, 상기 중계 입력 단자들과 상기 중계 출력 단자들을 연결 및 분리하는 복수의 릴레이와, 중계기 인터페이스부와, 및 상기 중계기 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릴레이를 구동하는 중계기 제어부를 구비한 검사 중계기와,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의 상기 시험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검사 중계기의 중계기 인터페이스부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검사항목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컴퓨터를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 장치들을 결합하여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ELECTRIC SAFETY TESTING EQUIPMENT AND ELECTRIC SAFETY TESTING METHOD}
본 발명은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 장치들을 결합하여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 등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지정기관 등에서 그 모델이 전기적으로 안전하다는 인증을 받아야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전자 제품 등을 제조하는 공장에서도 각 전자 제품마다 법으로 정한 복수의 전기 안전을 검사하여 만족하여 전자 제품을 출고할 수 있다.
법으로 정한 전기 안전 검사 항목들로는 내전압 검사, 절연저항 검사, 접지도통 검사 및 누설전류 검사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내전압, 절연저항, 접지도통 및 누설전류를 각각 검사하기 위한 시험기들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검사자는 전자 제품의 복수의 전기 안전을 검사하기 위하여, 즉, 전자 제품의 내전압 검사하기 위하여 내전압 시험기에 전자 제품을 연결하여 내전압을 검사하고, 그 후 전자 제품의 절연저항을 검사하기 위하여 절연저항 시험기에 전자 제품을 연결 하여 절연저항을 검사하고, 그리고 전자 제품의 누설전류를 검사하기 위하여 누설전류 시험기에 전자 제품을 연결하여 누설전류를 검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자 제품 등의 복수의 전기 안전을 시험하기 위해, 전자 제품 등을 복수의 시험기에 각각 연결하면 인건비 등의 많은 비용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전자 제품 각각에 대한 검사 결과를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 장치들을 결합하여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험 대상물의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기 안전 시험 시스템은 검사 단자들과, 시험기 인터페이스부와, 및 상기 시험기 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전기 안전 검사를 행하는 검사 동작부를 구비한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와, 시험 대상물의 검사 부위에 연결하기 위한 중계 입력 단자들과, 시험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의 상기 검사 단자들에 연결되는 중계 출력 단자들과, 상기 중계 입력 단자들과 상기 중계 출력 단자들을 연결 및 분리하는 복수의 릴레이와, 중계기 인터페이스부와, 및 상기 중계기 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릴레이를 구동하는 중계기 제어부를 구비한 검사 중계기와,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의 상기 시험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검사 중계기의 중계기 인터페이스부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검사항목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컴퓨터를 제 공한다.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는 내전압 시험기, 절연저항 시험기, 접지도통 시험기 및 누설전류 시험기 중 2 이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검사 중계기의 상기 중계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릴레이부와, 상기 제어 릴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포토 커플러와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표시소자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와,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와 시험 대상물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릴레이를 갖는 검사 중계기와,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와 상기 검사 중계기와 통신하는 컴퓨터를 포함한 전기 안전 시험 시스템에서의 전기 안전 시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의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모니터에 선택 영역을 구비한 복수의 검사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복수의 검사 항목으로부터 검사하고자 하는 검사 항목들이 선택되고 시작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선택된 검사 항목들의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기 위해 상기 검사 중계기로 릴레이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 중 대응되는 전기 안전 시험기로 시험조건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중계기는 상기 릴레이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릴 레이를 구동하고, 상기 대응되는 전기 안전 시험기는 상기 시험조건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대응되는 전기 안전 시험기는 상기 컴퓨터로 검사 결과를 통보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검사 결과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된 검사 항목들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순서는 AC 내전압 시험, DC 내전압 검사, 절연저항, 접지도통 및 누설전류 순으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 장치들을 결합하여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 장치들의 검사 결과를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을 첨부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100)은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110, 120, 130), 검사 중계기(140), 컴퓨터(150), 키보드(160) 및 모니터(170)를 포함한다.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110, 120, 130)는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 접지도통 시험기(120) 및 누설전류 시험기(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는 시험 대상물(10)인 전자 제품의 내전압 및 절연저항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며, 도 1의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는 AC 내전압 및 DC 내전압을 시험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는 내전압/절연저항 검사 단자(112), 내전압/절연저항 인터페이스부(114) 및 내전압/절연저항 동작부(116)를 구비한다.
내전압/절연저항 검사 단자(112)는 케이블을 통해 검사 중계기(140)의 내전압/절연저항 출력 단자들(141)에 연결되어, 시험 대상물(10)에 AC 내전압 시험, DC 내전압 시험 및 절연저항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내전압/절연저항 인터페이스부(114)는 컴퓨터(15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52)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이다.
내전압/절연저항 동작부(116)는 입력부(미도시됨)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AC 내전압 시험, DC 내전압 시험 또는 절연저항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부이다. 이 내전압/절연저항 동작부(116)는, 또한 컴퓨터(15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52)와의 통신에 의해 내전압/절연저항 인터페이스부(114)로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AC 내전압 시험, DC 내전압 시험 및 절연저항 시험을 수행한다.
접지도통 시험기(120)는 시험 대상물(10)인 전자 제품의 접지의 연결이 안전 규격을 만족하는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접지도통 시험기(120)는 접지도통 검사 단자(122), 접지도통 인터페이스부(124) 및 접지도통 동작부(126)를 구비한다.
접지도통 검사 단자(122)는 케이블을 통해 검사 중계기(140)의 접지도통 출력 단자들(142)에 연결되어, 시험 대상물(10)의 접지 연결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접지도통 인터페이스부(124)는 컴퓨터(15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52)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이다.
접지도통 동작부(126)는 입력부(미도시됨)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조건에 따라 또는 컴퓨터(15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52)와의 통신에 의해 접지도통 인터페이스부(124)로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접지도통 검사 단자(122)에 검사 전류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누설전류 시험기(130)는 시험 대상물(10)인 전자 제품의 접지선 등의 보호 도체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누설전류 시험기(130)는 누설전류 검사 단자(132), 누설전류 인터페이스부(134) 및 누설전류 동작부(136)를 구비한다.
누설전류 검사 단자(132)는 케이블을 통해 검사 중계기(140)의 누설전류 출력 단자들(143)에 연결되어, 시험 대상물(10)의 누설 전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누설전류 인터페이스부(134)는 컴퓨터(15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52)와 통 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이다.
누설전류 동작부(136)는 입력부(미도시됨)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조건에 따라 또는 컴퓨터(15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52)와의 통신에 의해 누설전류 인터페이스부(134)로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누설전류 검사 단자(132)에 검사 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검사 중계기(140)는 시험 대상물(10)의 검사 부위와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 접지도통 시험기(120) 및 누설전류 시험기(130)의 검사 단자들을 프로그램의 검사 순서에 따라 연결하기 위한 중계기이다. 이를 위해, 검사 중계기(140)는 내전압/절연저항 출력 단자들(141), 접지도통 출력 단자들(142), 누설전류 출력 단자들(143), 중계 입력 단자들(144), 중계기 인터페이스부(145), 복수의 릴레이(146), 및 중계기 제어부(147)를 포함한다.
중계 입력 단자들(144)은 시험 대상물(10)의 검사 부위에 연결되기 위한 단자들이다. 그리고 중계 입력 단자들(144)은 프로그램의 검사 순서에 따라 복수의 릴레이(146)을 통하여 내전압/절연저항 출력 단자들(141), 접지도통 출력 단자들(142) 및 누설전류 출력 단자들(143)에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중계기 인터페이스부(145)는 컴퓨터(15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52)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이다.
복수의 릴레이(146)는 중계기 제어부(147)의 릴레이 제어신호에 따라 내전압/절연저항 출력 단자들(141), 접지도통 출력 단자들(142) 및 누설전류 출력 단자들(143)을 중계 입력 단자들(144)에 연결 또는 분리한다.
중계기 제어부(147)는 중계기 인터페이스부(145)로 입력된 릴레이 제어명령에 따라 복수의 릴레이(146)를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릴레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검사 중계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의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릴레이의 결선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중계기(140)의 복수의 릴레이(146)는 모두 11개로 이루어지며, 중계 입력 단자들(144)은 시험 대상물(10)의 전원 코드에 연결될 교류 전원 단자(ⓛ, ⓝ)와, 시험 대상물(10)의 접지에 연결될 접지 단자(ⓖ) 및 시험 대상물(10) 등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사 영역에 연결된 보조 단자(ⓐ, ⓑ)로 이루어지며, 내전압/절연저항 출력 단자들(141)은 교류 전원 단자(ⓛ, ⓝ)로 된 출력 단자(ⓗ)와 접지 단자(ⓖ)가 연결될 출력 단자(ⓖ)로 이루어지며, 접지도통 출력 단자들(142)은 접지 단자(ⓖ)가 연결될 출력 단자(ⓖ)와 보조 단자(ⓑ)가 연결될 출력단자(ⓑ)로 이루어지며, 누설전류 출력 단자들(143)은 중계 입력 단자들(144)이 모두 연결될 출력 단자(ⓛ, ⓝ, ⓖ, ⓐ, ⓑ)로 이루어진다.
검사 중계기(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기 인터페이스부(145), 복수의 릴레이(146) 및 중계기 제어부(147) 및 전원부(2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중계기 제어부(147)는 릴레이 제어부(220), 릴레이 구동부(230) 및 제어 릴레이부(240)를 구비한다.
전원부(210)는 전원 코드로부터 상용 전원, 예를 들면 220V를 입력으로 하여 릴레이 제어부(220), 릴레이 구동부(230) 및 제어 릴레이부(240)에서 필요한 정격 전압들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이 경우 복수의 릴레이(146)의 코일에는 상용 전원이 그대로 이용될 수 있다.
릴레이 제어부(220)는 컴퓨터(15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52)와의 통신에 의해 중계기 인터페이스부(145)로 입력된 릴레이 제어명령에 따라 릴레이 구동부(230)로 순차적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릴레이 구동부(230)는 제어 릴레이부(240)의 하나의 제어 릴레이(241)를 구동하기 위하여, 저항 R11(231), 포토 커플러 PC1(232), 저항 R12(233), 다이오드 D1(234) 및 트랜지스터 TR1(235)를 구비한다. 릴레이 제어부(220)의 출력 단자 OUT1에 제어신호가 출력되면, 저항 R11(231) 및 포토 커플러 PC1(232)의 포토 다이오드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고, 포토 다이오드에서 발광된 광은 수광 소자를 도통시키므로 수광 소자가 온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TR1(235)의 베이스에 공급된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 TR1(235)가 턴온되므로, 제어 릴레이 RL1(241)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므로 스위치가 온된다. 그리고 제어 릴레이 RL1(241)의 스위치가 온되면 상용 전원에 의해 중계 릴레이 RL11(251)의 코일에 전류가 흐르므로 스위치가 온되어 내전압/절연저항 출력 단자들(141), 접지도통 출력 단자들(142) 및 누설전류 출력 단자들(143)을 중계 입력 단자들(144)에 연결한다.
그리고 릴레이 구동부(230)는 릴레이 구동부(230)에 구동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다이오드 D4(236), D5(237) D6(238)로 이루어진 표시소자를 구비한다.
한편, 도 2에서는 릴레이 구동부(230)에 3개의 트랜지스터 TR1(232), TR2(232-2) 및 TR3(232-3)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 3의 11개의 중계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모두 11개의 트랜지스터가 구비되어야 한다.
컴퓨터(150)는 전기 안전 검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장치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52), 저장 매체(154) 및 제어부(156)를 구비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52)는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의 내전압/절연저항 인터페이스부(114), 접지도통 시험기(120)의 접지도통 인터페이스부(124), 누설전류 시험기(130)의 누설전류 인터페이스부(134) 및 검사 중계기(140)의 중계기 인터페이스부(144)와 통신을 행한다. 이들 통신 인터페이스로는 많은 유무선 프로토콜이 있으며, RS-232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 매체(154)는 전기 안전 검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매체로서, 하드 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56)는 저장 매체(154)에 저장된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제어부(156)는 키보드(160) 등을 통해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의 실행이 요청되면, 저장 매체(154)에 저장된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56)는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모니터(170)에 검사 설정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검사 항목에 따라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 접지도통 시험기(120), 누설전류 시험기(130), 및 검사 중계기(140)에 제어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152)를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안전 검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흐름도에 따라 모니터에 표시되는 검사 관련 화면이다.
사용자가 키보드(160) 등을 통해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의 실행을 요청되면, 제어부(156)는 저장 매체(154)에 저장된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402). 만약 저장 매체(154)에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이 저장된 CD을 이용하여 제어부(156)는 저장 매체(154)에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어부(156)는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모니터(170)에 도 5에 도시된 검사 관련 화면을 표시한다(S40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관련 화면(500)에는 검사 항목 화면(510), 검사 상태 화면(520), 검사 표시 화면(530) 및 검사 실행 화면(540)으로 이루어진다.
검사 항목 화면(510)은 AC 내전압, DC 내전압, 절연 저항, 접지도통 및 누설전류의 검사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며, 사용자가 위의 표시된 검사항목들로 부터 검사하고자하는 검사항목을 선택하면 검사 상태 화면(520)에 일반적으로 디폴트값으로 저장된 각각의 검사 조건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검사 조건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키보드(160)을 이용하여 검사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된 검사항목들과 설정된 검사 조건들은 하나의 파일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검사 상태 화면(520)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검사항목의 검사 조건이 표시되며, 또한 전기 안전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각각의 검사항목의 검사 결과가 표시된 다.
검사 표시 화면(530)은 전기 안전 검사가 수행되는 복수의 전기 안전 검사 장치(110, 120, 130) 및 검사 중계기(140)의 중계 입력 단자들(144)의 연결 상태를 보여준다.
검사 실행 화면(540)에는 전기 안전 검사를 실행하기 위한 시작 버튼(541) 및 정지버튼(542)이 표시되며, ALL 자동 측정 및 FAIL STOP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사 항목 화면(510)에서 검사하고자하는 검사항목들을 선택한다(S406). 검사하고자하는 검사항목들이 설정되면, 검사 상태 화면(520)에는 검사항목들의 각각의 검사 조건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는 검사 실행 화면(540)에서 ALL 자동 측정 및 FAIL STOP 여부를 설정한다. ALL 자동 측정이 설정되면, 제어부(156)는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전기 안전 검사를 실행한다. 그리고 FAIL STOP이 설정되면, 각 검사항목의 검사 중에 안전 규격을 만족하지 못하다면 검사 과정을 중지한다.
검사 항목 화면(510)의 검사항목들 및 각각의 검사 조건이 설정되고, 사용자로부터 시작 버튼(541)이 클릭되면, 제어부(156)는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에 따라 시험 대상물(10)에 대한 전기 안전 검사를 시작한다(S408).
전기 안전 검사가 시작되면, 검사 중계기(140)의 전원부(210)가 동작하여 릴레이 제어부(220), 릴레이 구동부(230) 및 제어 릴레이부(240)에 동작 전압을 공급하며, 릴레이 구동부(230)에 공급된 동작 전압으로 인하여 표시소자인 다이오드 D4(236), D5(237) 및 D6(238)이 발광한다.
그리고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시험 대상물(10)의 AC 내전압을 검사한다(S410). 이 경우 제어부(156)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52)를 통하여 검사 중계기(140)로 복수의 릴레이(146)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로 AC 내전압 시험 조건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56)는 검사 표시 화면(530)에 검사 중계기(140)의 중계 입력 단자들(144)과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의 연결 상태를 표시한다.
검사 중계기(140)의 릴레이 제어부(220)는 중계기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하여 입력된 릴레이 제어명령에 따라 AC 내전압 검사를 위하여 복수의 릴레이(146)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릴레이 구동부(230)로 출력한다. 그리고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의 내전압/절연저항 동작부(116)는 내전압/절연저항 인터페이스부(114)를 통하여 입력된 시험 조건 제어명령에 따라 AC 내전압 검사를 실행한다. 그리고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의 내전압/절연저항 동작부(116)는 컴퓨터(150)로 AC 내전압 검사 결과를 송신하도록 내전압/절연저항 인터페이스부(114)를 제어한다. 컴퓨터(150)의 제어부(156)는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로부터 수신된 검사 결과를 검사 상태 화면(5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시험 대상물(10)의 DC 내전압을 검사한다(S412). 이 경우 제어부(156)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52)를 통하여 검사 중계기(140)로 복수의 릴레이(146)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20)로 DC 내전압 시험 조건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56)는 검사 표시 화면(530)에 검사 중계기(140)의 중계 입력 단자 들(144)과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의 연결 상태를 표시한다.
검사 중계기(140)의 릴레이 제어부(220)는 중계기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하여 입력된 릴레이 제어명령에 따라 DC 내전압 검사를 위하여 복수의 릴레이(146)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릴레이 구동부(230)로 출력한다. 그리고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의 내전압/절연저항 동작부(116)는 내전압/절연저항 인터페이스부(114)를 통하여 입력된 시험 조건 제어명령에 따라 DC 내전압 검사를 실행한다. 그리고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의 내전압/절연저항 동작부(116)는 컴퓨터(150)로 DC 내전압 검사 결과를 송신하도록 내전압/절연저항 인터페이스부(114)를 제어한다. 컴퓨터(150)의 제어부(156)는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로부터 수신된 검사 결과를 검사 상태 화면(520)에 표시한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시험 대상물(10)의 절연저항을 검사한다(S414). 이 경우 제어부(156)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52)를 통하여 검사 중계기(140)로 복수의 릴레이(146)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20)로 절연저항 시험 조건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56)는 검사 표시 화면(530)에 검사 중계기(140)의 중계 입력 단자들(144)과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의 연결 상태를 표시한다.
검사 중계기(140)의 릴레이 제어부(220)는 중계기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하여 입력된 릴레이 제어명령에 따라 접지 전압 검사를 위하여 복수의 릴레이(146)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릴레이 구동부(230)로 출력한다. 그리고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의 내전압/절연저항 동작부(116)는 내전압/절연저항 인터페이 스부(114)를 통하여 입력된 시험 조건 제어명령에 따라 절연저항 검사를 실행한다. 그리고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의 내전압/절연저항 동작부(116)는 컴퓨터(150)로 절연저항 검사 결과를 송신하도록 내전압/절연저항 인터페이스부(114)를 제어한다. 컴퓨터(150)의 제어부(156)는 내전압/절연저항 시험기(110)로부터 수신된 검사 결과를 검사 상태 화면(5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시험 대상물(10)의 접지도통을 검사한다(S416). 이 경우 제어부(156)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52)를 통하여 검사 중계기(140)로 복수의 릴레이(146)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접지도통 시험기(120)로 접지도통 시험 조건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56)는 검사 표시 화면(530)에 검사 중계기(140)의 중계 입력 단자들(144)과 접지도통 시험기(120)의 연결 상태를 표시한다.
검사 중계기(140)의 릴레이 제어부(220)는 중계기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하여 입력된 릴레이 제어명령에 따라 접지도통 검사를 위하여 복수의 릴레이(146)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릴레이 구동부(23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접지도통 시험기(120)의 접지도통 동작부(126)는 접지도통 인터페이스부(124)를 통하여 입력된 시험 조건 제어명령에 따라 접지도통 검사를 실행한다. 그리고 접지도통 시험기(120)의 접지도통 동작부(126)는 컴퓨터(150)로 접지도통 검사 결과를 송신하도록 접지도통 인터페이스부(124)를 제어한다. 컴퓨터(150)의 제어부(156)는 접지도통 시험기(120)로부터 수신된 검사 결과를 검사 상태 화면(52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시험 대상물(10)의 누설전 류를 검사한다(S418). 이 경우 제어부(156)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52)를 통하여 검사 중계기(140)로 복수의 릴레이(146)를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누설전류 시험기(130)로 누설전류 시험 조건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156)는 검사 표시 화면(530)에 검사 중계기(140)의 중계 입력 단자들(144)과 누설전류 시험기(130)의 연결 상태를 표시한다.
검사 중계기(140)의 릴레이 제어부(220)는 중계기 인터페이스부(145)를 통하여 입력된 릴레이 제어명령에 따라 누설전류 검사를 위하여 복수의 릴레이(146)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릴레이 구동부(230)로 출력한다. 그리고 누설전류 시험기(130)의 누설전류 동작부(136)는 누설전류 인터페이스부(134)를 통하여 입력된 시험 조건 제어명령에 따라 누설전류 검사를 실행한다. 그리고 누설전류 시험기(130)의 누설전류 동작부(136)는 컴퓨터(150)로 누설전류 검사 결과를 송신하도록 누설전류 인터페이스부(134)를 제어한다. 컴퓨터(150)의 제어부(156)는 누설전류 시험기(130)로부터 수신된 검사 결과를 검사 상태 화면(520)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검사 중계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릴레이의 결선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안전 검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흐름도에 따라 모니터에 표시되는 검사 관련 화면이다.

Claims (8)

  1. 검사 단자들과, 시험기 인터페이스부와, 및 상기 시험기 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전기 안전 검사를 행하는 검사 동작부를 구비한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와,
    시험 대상물의 검사 부위에 연결하기 위한 중계 입력 단자들과, 시험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의 상기 검사 단자들에 연결되는 중계 출력 단자들과, 상기 중계 입력 단자들과 상기 중계 출력 단자들을 연결 및 분리하는 복수의 릴레이와, 중계기 인터페이스부와, 및 상기 중계기 인터페이스부로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릴레이를 구동하는 중계기 제어부를 구비한 검사 중계기와,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의 상기 시험기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검사 중계기의 중계기 인터페이스부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와, 검사항목에 따른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안전 시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는 내전압 시험기, 절연저항 시험기, 접지도통 시험기 및 누설전류 시험기 중 2 이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안전 시험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중계기의 상기 중계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릴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릴레이부와, 상기 제어 릴레이부를 구동하기 위한 릴레이 구동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안전 시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전기적인 절연을 위한 포토 커플러와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안전 시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구동부는 동작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표시소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안전 시험 시스템.
  6.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와,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와 시험 대상물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릴레이를 갖는 검사 중계기와,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와 상기 검사 중계기와 통신하는 컴퓨터를 포함한 전기 안전 시험 시스템에서의 전기 안전 시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서의 전기 안전 검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모니터에 선택 영역을 구비한 복수의 검사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복수의 검사 항목으로부터 검사하고자 하는 검사 항목들이 선택되고 시작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는 상기 선택된 검사 항목들의 어느 하나를 실행시키기 위해 상기 검사 중계기로 릴레이 제어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안전 시험기 중 대응되는 전기 안전 시험기로 시험조건 제어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 중계기는 상기 릴레이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복수의 릴레이를 구동하고, 상기 대응되는 전기 안전 시험기는 상기 시험조건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안전 시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전기 안전 시험기는 상기 컴퓨터로 검사 결과를 통보하고, 상기 컴퓨터는 상기 검사 결과를 상기 모니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안전 시험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검사 항목들의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순서는 AC 내전압 시험, DC 내전압 검사, 절연저항, 접지도통 및 누설전류 순으로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안전 시험 방법.
KR1020090108164A 2009-11-10 2009-11-10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 KR201100515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64A KR20110051537A (ko) 2009-11-10 2009-11-10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164A KR20110051537A (ko) 2009-11-10 2009-11-10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537A true KR20110051537A (ko) 2011-05-18

Family

ID=4436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164A KR20110051537A (ko) 2009-11-10 2009-11-10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15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156A (ko) * 2016-09-06 2018-03-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내전압 검사용 인터페이스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내전압 검사 장치
KR20190001855A (ko) * 2017-06-28 2019-01-07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전자탑재장비 및 케이블 저항시험이 가능한 다용도 절연저항 측정장치
KR102593585B1 (ko) 2023-01-02 2023-10-25 이미르소프트(주)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156A (ko) * 2016-09-06 2018-03-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내전압 검사용 인터페이스 부품 및 이를 포함하는 내전압 검사 장치
KR20190001855A (ko) * 2017-06-28 2019-01-07 주식회사 바로텍시너지 전자탑재장비 및 케이블 저항시험이 가능한 다용도 절연저항 측정장치
KR102593585B1 (ko) 2023-01-02 2023-10-25 이미르소프트(주) 전기 시설물의 안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16600A1 (en) Portable multi-function cable tester
US20180003760A1 (en) Transformer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a transformer
KR101773433B1 (ko) 기중 차단기 듀얼형 자동 시험장치
KR20120032925A (ko) 전기기기, 전기기기 시스템 및 그 아크 결함 검출 방법
US11360138B2 (en) Portable multi-function cable tester
CN110320463B (zh) 一种实现待测设备智能老化控制的装置和方法
KR20110051537A (ko) 전기 안전 검사 시스템 및 전기 안전 검사 방법
KR20190037396A (ko) 차단기용 제어기 검증용 시뮬레이션 장치
KR101443245B1 (ko) 저압차단기 시험장치
CN112034298A (zh) 一种道岔试验装置
CN101650400A (zh) 发电机组控制屏测试设备
KR20220128960A (ko) 테스트 대상 디바이스의 정적 및 동적 특성화를 위한 통합형 측정 시스템
CN208506590U (zh) 群控系统控制柜的测试设备
KR101239804B1 (ko) 제어봉제어계통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2171386B1 (ko) 계전기 시험 배선 자동 테스트 장치
CN204405779U (zh) Aps仪器组件多功能线路检测仪
US101976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iagnostics and monitoring a DC subsystem
CN113009332A (zh) 中间继电器校验仪
KR101681592B1 (ko) 전자식 모터 보호 계전기용 계전 요소의 선택 표시 및 설정장치
CN113985782B (zh) 一种电动头远程控制调试装置
KR101150503B1 (ko) 회전자 권선 단락 진단 장치 및 회전자 권선 단락 진단 방법
CN110907696A (zh) 升降型幕布线序的检测方法及检测装置
CN212301731U (zh) 一种道岔试验装置
CN214895731U (zh) 检测装置
CN108803583A (zh) 群控系统控制柜的测试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