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3251B1 - 배터리 동작형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터리 동작형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3251B1
KR102593251B1 KR1020177031594A KR20177031594A KR102593251B1 KR 102593251 B1 KR102593251 B1 KR 102593251B1 KR 1020177031594 A KR1020177031594 A KR 1020177031594A KR 20177031594 A KR20177031594 A KR 20177031594A KR 102593251 B1 KR102593251 B1 KR 102593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interval
reception
data protocol
mhz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559A (ko
Inventor
로버트 오베르그펠
사샤 바그너
마티아스 호핑거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마르퀴르트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마르퀴르트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6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04L63/049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by using a location-limited connec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or limited proximity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 G07C2009/0037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whereby the wake-up circuit is situated in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6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 G07C2009/003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in combination with a wake-up circuit whereby the wake-up circuit is situated in the keyless data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8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de verific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 G07C2009/003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code verific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starting with prompting the keyless data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의 제1 유닛, 및 전자 키, ID 트랜스폰더, 스마트카드 등과 같은 연관된 제2 유닛을 갖는, 제2 유닛의 큰 범위 및 긴 배터리 수명을 허용하는, 특히, 자동차들 등에 대한 제어되는 하우스 도어들을 위해, 특히 무선 원격 제어를 위한 액세스 및/또는 인증 및/또는 다른 서비스들을 위한 닫힘 및/또는 열림을 위한 시스템인, 전기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에너지 절감 수동 상태로부터 활성화시키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그의 의도된 동작에 대해, 2개의 유닛은 전자기 신호들을 위한 송신기들 및/또는 수신기들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제1 유닛이 제1 송신 시간 간격 내에서 제1 데이터 프로토콜에서 제1 순환 시간을 갖는, 제2 유닛의 활성화 및/또는 인증을 위한 순환 반복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달성된다.

Description

배터리 동작형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시스템
본 발명은 제1항의 제1 부분에 따라 전기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기기를 에너지 절감 수동 상태로부터 활성화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예를 들어, 특히 전방 도어들, 원격 제어들, 차량 잠금 디바이스들 등에 대한 잠금 및/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장치로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문헌 EP 1 867 535 B1에 이러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공지된 장치에서, 제1 디바이스는 기본 오브젝트, 즉 건물, 자동차 등에 배열되고, 전자 키, ID-트랜스폰더, 칩 카드 등의 타입으로 설계된 제2 디바이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의도된 장치에 대한 디바이스들 둘 모두는 전자기 신호들을 위한 송신기들 및/또는 수신기들을 갖는다.
공지된 장치에서, 제2 디바이스가 동작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제2 디바이스는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제2 디바이스가 제1 디바이스의 수신 범위로 들어가는 경우, 제1 디바이스는 추가적인 동작을 위해 제2 디바이스를 활성화시킨다. 대기 모드에서, 제2 디바이스들은 거의 전력 소비가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거의 없는 전력 소비는 제2 디바이스의 배터리 수명에 대한 제한이다. 이러한 이유로, 잠금 및/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공지된 장치는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LF-송신기들과 함께 작동하고 있다.
LF-송신기들과 함께 작동하는 이러한 장치의 단점은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의 짧은 동작 거리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제2 디바이스에 대한 배터리의 수명을 감소시키지 않고,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더 큰 동작 거리로, 전기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기기를 에너지 절감 수동 상태로부터 활성화시키기 위한 장치를 허용하는 것이다.
제1항의 제1 부분에 따른 전기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기기를 에너지 절감 수동 상태로부터 활성화시키기 위한 장치로부터 시작하면, 이러한 문제는 제1항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추가적인 청구항들에서, 본 발명의 편리한 수정들 및 실시예들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는 제1 송신 시간 간격 내에서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을 갖고 제1 순환 시간을 갖는, 제2 디바이스의 활성화 및/또는 인증을 위한 제1 순환 반복 신호를 송신한다.
이는 제2 디바이스의 시간 제어 활성화, 바람직하게는 제2 디바이스의 소위 폴링 동작을 허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2 디바이스는 매우 낮은 반복 레이트 및 비교적 짧은 활성 시간 간격들을 가질 수 있는 시간 제어 활성화 간격들을 제외하고는 완전히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는 상당한 양으로 감소될 수 있고, 이는 송신기들에 대해 LF 주파수들 대신에 더 높은 주파수들, 즉, VHF 및/또는 UHF를 사용하는 것 및 동작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의 결정된 제1 수신 시간 간격에 대한 순환 반복 수신 모드를 갖는다. 순환 반복 수신 모드는 제2 디바이스에 대한 폴링 동작 모드를 실현하고 제2 디바이스의 시간 제어를 단순화한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제2 디바이스의 제1 수신 시간 간격은 제1 디바이스의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제1 송신 시간 간격보다 길다.
제2 디바이스의 수신 시간 간격과 제1 디바이스의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송신 시간 간격 사이에서 이러한 관계를 갖는 것은, 제2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의 제1 수신 시간 간격에서 시간 제어 활성화 모드의 제1 디바이스의 완전한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을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디바이스의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제1 송신 시간 간격은 매우 짧을 수 있기 때문에, 제2 디바이스의 제1 수신 시간 간격에 대한 절대 시간은 또한, 제1 디바이스의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제1 송신 시간 간격보다 긴 경우에도 짧다. 제2 디바이스의 순환 반복 수신 모드에 대한 매우 큰 순환 시간과 함께, 최소 전력 소비가 실현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디바이스는 제2 송신 시간 간격 내에서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을 갖고 제2 순환 시간을 갖는, 제2 디바이스의 인증을 위한 제2 또는 그 이상의 순환 반복 신호들을 송신하고, 제1 송신 시간 간격은 제2 송신 시간 간격보다 짧고, 제1 순환 시간은 제2 순환 시간보다 짧다.
따라서, 제2 디바이스의 인증을 위해, 시간 제어 제2 디바이스를 활성화하는 기능만을 갖는 제1 데이터 프로토콜에서보다 높은 데이터 볼륨이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의 제1 수신 시간 간격은 본질적으로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제1 송신 시간 간격의 배수이다.
이러한 관계로, 제2 디바이스가 완전한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을 수신할 확률은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디바이스의 제1 수신 시간 간격은 본질적으로 제2 디바이스의 활성화를 위한 제1 디바이스의 제1 순환 시간에 대응한다. 이러한 경우, 제2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의 활성화를 위해 제1 디바이스의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을 제1 수신 시간 간격에서 수신할 수 있는 확률이 높다.
유리하게는, 제2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의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수신 이후에 하나 이상의 제2 수신 시간 간격들 동안 수신 모드로 유지되거나 또는 수신 모드에 진입하고, 그 안에,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을 갖는 제2 디바이스의 인증을 위한 제1 디바이스의 제2 또는 그 이상의 신호들이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완전히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디바이스가 시간 제어에 의해 활성화되는 경우 그리고 제1 디바이스의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을 수신한 경우, 제2 디바이스는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을 갖는 제2 디바이스의 인증을 위한 제1 디바이스의 제2 또는 그 이상의 신호들을 대기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은 제1 데이터 프로토콜보다 더 높은 데이터 볼륨을 갖는다. 제2 디바이스의 활성화로 인해, 제2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제2 수신 시간 간격들에서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을 완전히 수신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수신 이후에 수신 모드에서 제2 디바이스의 제2 수신 시간 간격은 본질적으로 제1 디바이스의 제2 또는 그 이상의 신호들의 제2 순환 시간에 대응한다.
이러한 시간 적응은, 본질적으로, 제2 수신 시간 간격의 대응하는 길이로 인해, 제1 디바이스의 제2 또는 그 이상의 신호들의 완전한 제2 순환 시간이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것을 실현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1 디바이스의 제2 또는 그 이상의 신호들은 2개 이상의 블록들로 분할된다. 2개 이상의 데이터 블록들은 더 높은 데이터 송신 보안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의 제1 수신 시간 간격과 제1 디바이스의 제2 송신 시간 간격의 적어도 부분적 중첩의 경우에 제3 수신 시간 간격 동안 수신 모드로 유지되거나 또는 수신 모드에 진입하고, 그 안에,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을 갖는 제1 디바이스의 제2 또는 그 이상의 신호들은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완전히 수신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의 제1 수신 시간 간격과 제1 디바이스의 제2 송신 시간 간격의 적어도 부분적 중첩의 경우에, 제2 디바이스와 제1 디바이스 사이에 불완전한 데이터 송신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디바이스는 반복된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을 완전히 수신하기 위해, 제3 수신 시간 간격 동안 수신 모드로 유지되거나 또는 수신 모드에 진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디바이스는 매우 낮은 전력 소비를 갖기 때문에, 송신기들의 반송파에 대해 더 높은 주파수들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신호에 대한 반송파의 주파수는 VHF 범위(30MHz 내지 300MHz) 및/또는 UHF 범위(300MHz 내지 3GHz)이다. 예를 들어, 반송파에 대해 고주파수를 사용할 가능성은 100MHz보다 높은, 바람직하게는 ISM 대역에서 433.05MHz 내지 434.79MHz 및/또는 ISM 대역에서 902MHz 내지 928MHz의 제1 및/또는 제2 신호에 대한 반송파에 대한 주파수를 느슨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파수 범위들은 허용된 주파수 대역들이며, 이는 종래 기술에 비해 제1 디바이스와 제2 디바이스 사이에서 상당히 더 긴 동작 거리를 실현한다. 이러한 큰 동작 거리는, 예를 들어 건물, 자동차 등과 같은 기본적 오브젝트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 기본적 오브젝트의 제1 디바이스로의 제2 디바이스의 더 큰 접근 거리에서조차도 조명을 스위칭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추가적인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기본적인 오브젝트에 접근하는 경우 다른 서비스들이 동등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서비스들은 차량에 대한 비교적 큰 거리들에서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들에 개시되고 도면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하기 위한 건물 및 건물의 조작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송신 및 수신 신호들의 타이밍의 예로서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3은 대량의 데이터를 갖는 타이밍의 예로서의 다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에서, 건물(1)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송신기를 갖는 제1 디바이스(2)가 배열된다.
조작자(3)는 내부에 제2 디바이스(4), 특히 키(5)를 갖는 핸드백을 가지고 있다. 조작자가 건물에 접근하는 경우, 조작자 및 차량 키(5)는 제1 디바이스(2)와 제2 디바이스(4) 사이의 동작 거리(6) 내로 진입하고 있다.
도 2에서, 제1 디바이스(TX)의 제1 순환 반복 신호(TX short)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의 제1 순환 반복 신호(TX short)에 대한 시간 간격은 0.1 ms이다.
제1 순환 반복 신호(TX)의 제1 순환 시간은 1 ms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제1 디바이스의 제1 신호가 대응하는 높은 반복 레이트로 짧은 순환 시간을 유지하기 위한 특정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함을 의미한다. 이는 문제가 안 되는데, 이는, 대응하는 송신기를 갖는 제1 디바이스가 건물에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키(또는 제2 디바이스)는, 제2 디바이스(차량 키)가 수신 모드(RX)에 있는 시간 제어 활성화 간격들을 갖는다. 신호들(TX) 및 수신 모드(RX)에 대한 시간 스케일들이 매우 상이함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도 2에서, 제2 디바이스 또는 키(5)는 각각 제1 디바이스(TX)의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1ms의 순환 시간에 대응하는 1.1ms의 결정된 제1 수신 시간 간격에 대한 순환 반복 수신 모드(RX)를 가져서, 적어도 하나의 완전한 TX short 신호가 수신되도록 보장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2 디바이스의 제1 순환 반복 수신 모드의 순환 시간은 훨씬 더 큰 시간 스케일,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00 ms이다. 제1 디바이스의 송신 신호(TX)와 제2 장치의 수신 모드(RX) 사이의 시간 관계들을 가지면, 제2 디바이스의 각각의 수신 모드(RX)에서, 제1 디바이스의 제1 데이터 프로토콜(TX short)이 완전히 수신될 수 있는 것이 확실하다.
도 3에서,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갖는 타이밍에 대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데이터 프로토콜(TX short)을 갖는 제1 디바이스의 제1 순환 반복 신호는 도 2에 따른 (TX short)에 대응한다.
제2 디바이스의 제1 수신 모드(RX)는 도 2의 제1 수신 모드(RX)에 대응한다.
이제, 제1 수신 모드(RX)에 추가로, "TX short" 데이터 프로토콜의 인식 이후 긴 수신 모드 RX가 점선들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 송신 시간 간격 내에서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을 갖는 제2 디바이스의 인증을 위한 제1 디바이스의 제2 순환 반복 신호(TX long)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디바이스의 이러한 제2 순환 반복 신호는, 송신 타이밍을 변경하고 상이한 신호들의 반복된 송신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랜덤 지터 알고리즘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제2 디바이스의 긴 제2 수신 모드(긴 RX)는 약 500 ms의 시간 간격을 갖기 때문에, 이러한 시간 간격 동안, 제1 디바이스의 마지막 제1 순환 반복 신호(TX short)로부터 약 수 ms 이후 시작하는, 약 수 ms를 소요하는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을 갖는 제1 디바이스의 제2 순환 반복 신호는 제2 디바이스의 제2 수신 모드 동안 완전히 수신될 수 있음이 명확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는 최소로 감소되는데, 이는 제2 디바이스의 수신기가 시스템 설계로부터 허용가능한 가장 느린 순환 시간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력 소비 또는 전류 소비는 제2 디바이스의 수신 순환 시간에 대략 비례한다.
전력 소비 또는 전류 소비는, 배터리 수명의 현저한 감소 없이 작은 배터리들(예를 들어, 코인 전지 배터리들)에 대해 허용가능한 값들까지 감소될 수 있다.
각각의 국가들의 상이한 규칙들에 대한 RF 승인은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들에 의해 상당히 촉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위한 장치에서의 동작 거리 또는 수신 범위는 더 높은 주파수들, 특히 VHF 및/또는 UHF 주파수들의 사용에 의해 확대될 수 있다.
참조 번호들:
1 건물
2 제1 디바이스
3 조작자
4 제2 디바이스
5 키
6 동작 거리

Claims (11)

  1. 전기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기기를 에너지 절감 수동 상태로부터 활성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기기 내의 제1 디바이스, 및
    전자 키, ID-트랜스폰더(ID-transponder), 칩 카드 등의 타입으로 설계되는 연관된 제2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각각은 전자기 신호들을 위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고,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제1 송신 시간 간격 내에서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을 갖고 제1 순환 시간을 갖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활성화 또는 인증을 위한 제1 순환 반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결정된 제1 수신 시간 간격에 대한 순환 반복 수신 모드를 갖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수신 시간 간격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상기 제1 송신 시간 간격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제2 송신 시간 간격 내에서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을 갖고 제2 순환 시간을 갖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인증을 위한 제2 또는 그 이상의 순환 반복 신호들을 송신하고,
    상기 제1 송신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송신 시간 간격보다 짧고, 상기 제1 순환 시간은 상기 제2 순환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수신 시간 간격은 본질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상기 제1 송신 시간 간격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수신 시간 간격은 본질적으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활성화를 위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 순환 시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수신 이후,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제2 수신 시간 간격들 동안 수신 모드로 유지되거나 또는 수신 모드에 진입하고,
    그 안에, 상기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을 갖는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인증을 위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2 또는 그 이상의 순환 반복 신호들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완전히 수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프로토콜의 수신 이후에 수신 모드에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2 수신 시간 간격은 본질적으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2 또는 그 이상의 순환 반복 신호들의 제2 순환 시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2 또는 그 이상의 순환 반복 신호들은 2개 이상의 블록들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제1 수신 시간 간격과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2 송신 시간 간격의 적어도 부분적 중첩의 경우에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제3 수신 시간 간격 동안 수신 모드로 유지되거나 또는 수신 모드에 진입하고, 그 안에, 상기 제2 데이터 프로토콜을 갖는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제2 또는 그 이상의 순환 반복 신호들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완전히 수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 반복 신호 및 상기 제2 또는 그 이상의 순환 반복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반송파의 주파수는 VHF 범위(30MHz 내지 300MHz) 또는 UHF 범위(300MHz 내지 3GHz)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순환 반복 신호 및 상기 제2 또는 그 이상의 순환 반복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반송파의 주파수는 100MHz보다 높고, ISM 대역에서 433.05MHz 내지 434.79MHz 또는 ISM 대역에서 902MHz 내지 928MHz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77031594A 2015-03-31 2016-03-11 배터리 동작형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시스템 KR102593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05008.0 2015-03-31
DE102015105008.0A DE102015105008A1 (de) 2015-03-31 2015-03-31 Vorrichtung zum Aktivieren einer elektrisch oder elektronisch gesteuerten Vorrichtung aus einem energiesparenden passiven Zustand
PCT/EP2016/055220 WO2016156008A1 (de) 2015-03-31 2016-03-11 System zum aufwachen einer batteriebetriebenen 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559A KR20170136559A (ko) 2017-12-11
KR102593251B1 true KR102593251B1 (ko) 2023-10-25

Family

ID=5554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594A KR102593251B1 (ko) 2015-03-31 2016-03-11 배터리 동작형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52125B2 (ko)
EP (1) EP3278311A1 (ko)
JP (1) JP6787993B2 (ko)
KR (1) KR102593251B1 (ko)
CN (1) CN107995984B (ko)
DE (1) DE102015105008A1 (ko)
WO (1) WO20161560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5008A1 (de) * 2015-03-31 2016-10-06 Atmel Corporation Vorrichtung zum Aktivieren einer elektrisch oder elektronisch gesteuerten Vorrichtung aus einem energiesparenden passiven Zustand
JP6643634B2 (ja) * 2016-10-17 2020-02-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錠装置及び電気錠システム
JP7012248B2 (ja) * 2017-08-22 2022-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錠制御システム、鍵装置、電気錠制御装置、及び電気錠システム
CN111026446B (zh) * 2018-10-09 2024-05-2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锁屏方法、锁屏系统、数据处理方法及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321A (ja) * 2000-05-31 2001-12-07 Omron Corp 制御装置
DE102009043054A1 (de) * 2009-09-28 2011-03-31 Marquardt Gmbh Schließ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36787A1 (de) * 2010-08-02 2012-02-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m energiesparenden Betreiben einer Schlüsselfernbedienung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6803C1 (de) * 1998-10-10 2000-09-07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Zugangsberechtigung zu einem motorangetriebenen Fahrzeug
WO2002020923A1 (fr) * 2000-09-08 2002-03-1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verrouillage automatique d'un vehicule automobile
JP2007039989A (ja) * 2005-08-03 2007-02-15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DE202005014136U1 (de) * 2005-09-07 2006-01-12 Interflex Datensysteme Gmbh & Co. Kg Mobilteil und/oder Stationärteil eines Informationsübertragungssystems
EP1867535B1 (de) 2006-06-16 2017-07-19 Marquardt GmbH Schliess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4075957B2 (ja) * 2006-12-20 2008-04-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機、無線機の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S2378267T3 (es) * 2007-09-14 2012-04-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Sistema y método para el tiempo de inicio de control de recepción discontinua
DE102011117978A1 (de) * 2010-11-11 2012-05-16 Marquardt Gmbh Schließ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EP2712263A1 (en) * 2011-05-18 2014-03-26 Fujitsu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3048567A1 (en) * 2011-09-30 2013-04-04 Intel Corporation Methods to transport internet traffic over multiple wireless networks simultaneously
JP5556784B2 (ja) * 2011-10-06 2014-07-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システムおよび携帯機
FR2981026A1 (fr) * 2011-10-11 2013-04-12 Johnson Contr Automotive Elect Systeme de controle a distance, et procede pour verrouiller et/ou pour deverrouiller automatiquement au moins un ouvrant d'un vehicule automobile et/ou pour demarrer un moteur d'un vehicule automobile a l'aide d'un systeme de controle a distance
EP2621242A1 (en) * 2012-01-26 2013-07-31 Panasonic Corporation Improved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with additional wake up opportunities
GB2515007A (en) * 2013-05-31 2014-12-17 Jaguar Land Rover Ltd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WO2015183949A1 (en) * 2014-05-27 2015-12-03 Bluesmart Inc. Active container
DE102015105008A1 (de) * 2015-03-31 2016-10-06 Atmel Corporation Vorrichtung zum Aktivieren einer elektrisch oder elektronisch gesteuerten Vorrichtung aus einem energiesparenden passiven Zusta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6321A (ja) * 2000-05-31 2001-12-07 Omron Corp 制御装置
DE102009043054A1 (de) * 2009-09-28 2011-03-31 Marquardt Gmbh Schließ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36787A1 (de) * 2010-08-02 2012-02-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fahren zum energiesparenden Betreiben einer Schlüsselfernbedienung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95984A (zh) 2018-05-04
DE102015105008A1 (de) 2016-10-06
EP3278311A1 (de) 2018-02-07
JP6787993B2 (ja) 2020-11-18
WO2016156008A1 (de) 2016-10-06
CN107995984B (zh) 2021-02-26
US10452125B2 (en) 2019-10-22
JP2018512528A (ja) 2018-05-17
US20180067540A1 (en) 2018-03-08
KR20170136559A (ko)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9494B2 (en) Secure vehicle access system, key, vehicle and method therefor
CN108698561B (zh) 用于激活车辆安全系统的至少一项安全功能的方法
KR102593251B1 (ko) 배터리 동작형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키기 위한 시스템
KR102588990B1 (ko) 폐쇄 및/또는 개방을 위한 디바이스
EP3089894B1 (en) Multi-range vehicle access systems
CN103200657B (zh) 无线通信电路
US20190066422A1 (en) Module unit comprising an interface for a communication device
CN100587218C (zh) 无源通信设备、无源访问控制系统以及轮胎压力监控系统
CN101840625B (zh) 汽车智能遥控钥匙进入方法及装置
CN203902481U (zh) 汽车无钥匙门禁系统
CN105338486A (zh) 多波段识别和测距
CN102704761B (zh) 支持多种认证方式的智能锁系统
CN202970174U (zh) 一种低功耗远程唤醒的智能锁系统
CN110858967A (zh) 用于确保无钥匙进入系统安全的系统
CN104063928A (zh) 一种基于高频天线特征判别的智能锁系统
US20180093642A1 (en) Process and system for secure access to a determined space by means of a wearable object
GB2540004A (en) Method for extending communication range of remote control system during walkaway locking control function
JPH0567995A (ja) 車両と通信するための装置
WO2017205207A1 (en) Smartphone with integrated multi-transponder mode key device
US9472035B2 (en) Remote convenience method and apparatus with reduced signal nulls
CN103985177A (zh) 基于受限交互的被动式智能锁系统
CN202012237U (zh) 智能遥控汽车钥匙
CN108216119A (zh) 汽车解锁装置和方法、汽车无钥匙系统及智能汽车系统
WO2016063717A1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CN201696038U (zh) 一种智能无匙电子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