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743B1 -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 Google Patents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743B1
KR102592743B1 KR1020220017941A KR20220017941A KR102592743B1 KR 102592743 B1 KR102592743 B1 KR 102592743B1 KR 1020220017941 A KR1020220017941 A KR 1020220017941A KR 20220017941 A KR20220017941 A KR 20220017941A KR 102592743 B1 KR102592743 B1 KR 102592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ball
block
bowling
pinballs
fix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1280A (ko
Inventor
이규상
Original Assignee
이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상 filed Critical 이규상
Priority to KR102022001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743B1/ko
Publication of KR2023012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1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5/00Accessories for bowling-alleys or table alleys
    • A63D5/08Arrangements for setting-up or taking away p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00Installations for bowling games, e.g. bowling-alleys or bocce courts
    • A63D1/02Installations for bowling games, e.g. bowling-alleys or bocce courts collapsible;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54Bowling, i.e. ten-pin bowling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굴림볼을 이동시켜 핀볼블럭의 상측 정착면에 배열된 핀볼을 타격하여 점수를 획득하는 볼링기구에 있어서, 박스형 몸체(100)에 핀볼(P)이 저장되도록 상향 개방된 라운드홈(420)을 갖는 핀볼 저장부(400)를 형성하고; 상기 핀볼 저장부(400)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핀볼블럭(300)의 양쪽 외측에 상기 몸체(100) 또는 상기 핀볼블럭(300)에 회전축(310)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시 상기 라운드홈(4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핀볼(P)을 밀어 올려 상기 핀볼블럭(300)의 상측 정착면(320)에 핀볼(P)이 올려지도록 하는 핀볼피더(800)를 구성한다.
본 발명은 굴림볼에 의해 타격되어 낙하된 핀볼을 간편하게 초기 배열상태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놀이가 필요한 장소에서 간편하게 볼링을 즐길 수 있도록 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PINBALL SETING DEVICE OF A MOVABLE TYPE BOW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운동자에 의해 굴려지는 굴림볼 및 굴림볼에 의해 핀볼이 타격되어 점수를 취득하는 볼링 게임을 협소한 장소에서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이동 설치 가능한 볼링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자에 의해 굴려진 굴림볼과 굴림볼에 의해 타격된 핀볼을 간편하고 빠르게 원위치로 셋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볼링(bowling) 경기는 규정된 길이와 너비를 가진 레인(lane) 플레이트의 한 쪽 끝에 오뚜기 형태의 볼링핀(핀볼)을 복수개 세워놓고, 상기 레인플레이트의 위로 무거운 원형의 볼링공(굴림볼)을 굴려서 상기 볼링핀을 쓰러뜨리는 실내 경기이며, 통상 10개의 볼링핀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볼링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볼링장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대략 18-20m 정도에 이르는 레인플레이트와 자동화 된 볼링핀 처리 장치 등 대규모 시설과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많이 설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볼링 게임을 즐기고자 하는 경우 비교적 무거운 굴림볼을 운동자가 들고 굴려야 함에따라 노약자 어린이 등은 게임을 즐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에 의해 노약자 어린이는 물론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유희용 볼링기구가 특허 제10-2274356호 및 특허 제10-2190829호로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유희용 볼링기구도 항상 전개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에 따라 신속하게 볼링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운반 및 설치 그리고 보관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동자의 굴림볼 굴림에 의해 타격된 핀볼을 초기 상태로 셋팅시키고자 하는 경우 운동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에서 핀볼을 일일이 들어올려 초기 정착면에 위치시켜야만 되는 것이어서 노약자의 경우 특히 힘든 문제점이 있어왔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 실용신안 제20-0407188호 공고일 2006. 01. 25 KR 특허 제10-1718860호 공고일 2017. 03. 22 KR 특허 제10-0114777호 공고일 1996. 11. 25 KR 실용신안 제20-0269908호 공고일 2002. 03. 27 KR 특허 제10-2274356호 공고일 2021. 07. 08 KR 특허 제10-2190829호 공고일 2020. 12. 15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볼링장에 가지 않고서는 볼링 게임을 즐길수 없는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실내에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실내 볼링기구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실내 또는 실외 어디든지 일정크기의 공간이 확보된 경우 운반 및 이동을 통해 바로 설치하여 볼링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굴림볼 및 핀볼을 간편하고 빠르게 셋팅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다시말해, 타격에 의해 낙하된 핀볼을 회전하면서 들어올려 핀볼블럭의 상면에 형성된 정착면으로 빠르고 신속하게 공급하여 핀볼 셋팅이 간편하도록 는데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굴림볼을 이동시켜 핀볼블럭의 상측 정착면에 배열된 핀볼을 타격하여 점수를 획득하는 볼링기구에 있어서, 박스형 몸체에 핀볼이 저장되도록 상향 개방된 라운드홈을 갖는 핀볼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핀볼 저장부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핀볼블럭의 외측에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핀볼블럭에 회전축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시 상기 라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핀볼을 밀어 올려 상기 핀볼블럭의 상측 정착면에 핀볼이 올려지도록 하는 핀볼피더를 설치하는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핀볼피더는, 상기 핀볼블럭의 양쪽에 상기 정착면과 동일 수평을 이루며 위치되는 좌측 및 우측 푸쉬부와, 양단이 상기 좌측 및 우측 푸쉬부를 각각 고정하며 상기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푸쉬부는, 각각 핀볼 접촉면이 핀볼을 내측으로 유입시키도록 경사단이 형성되고, 내측에 핀볼블럭의 정착면과 수평 위치시 핀볼블럭으로 모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몸체에 구비된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볼블럭의 저면이 호형의 라운드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푸쉬부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라운드면과 상기 라운드홈 사이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 어디든지 일정크기의 공간이 확보된 경우 운반 및 이동을 통해 바로 설치하여 볼링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볼링기구를 이동 가능한 박스 형태로 제작하고 이동후 전개를 통해 볼링기구가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로 굴림볼에 의해 타격되어 낙하된 핀볼을 간편하게 초기 위치로 바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즉, 굴림볼 타격에 의해 낙하된 핀볼을 회전하면서 들어올려 박스형 몸체에 고정된 핀볼블럭의 상측 정착면에 신속하게 공급하도록 함에 따라 운동자가 핀볼을 간편하게 셋팅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 조립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3에서 핀볼을 핀볼블럭의 상면으로 공급하는 핀볼피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핀볼피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다른 예로서 핀볼블럭과 핀볼저장부 사이에 핀볼 안내구간을 형성시킨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핀볼블럭 및 핀볼피더에 핀볼이탈바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핀볼피더의 다른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시에 의하여 운반 가능한 크기로 제작되어 비교적 협소한 실내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운동자에 의해 굴림된 굴림볼(G)에 의해 타격된 핀볼(P)을 간편하게 재배열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형 볼링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운반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제작된 박스형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 조립 가능하게 위치되며 표면에 굴림볼(G)을 안내하는 굴림볼안내로(210)가 형성되는 굴림플레이트(200)와, 표면에 핀볼(P) 안착을 위한 정착면(320)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에 고정되는 핀볼블럭(300)과, 상기 핀볼블럭(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굴림볼(G)에 의해 타격되어 낙하되는 핀볼(P)을 저장하는 핀볼저장부(400) 및 상기 핀볼블럭(400)의 외측에 제공되어 회전시 낙하된 핀볼(P)을 들어올려 상기 핀볼블럭(300)의 정착면(320)으로 안내하는 핀볼피더(800)로 구성되어 있다.
핀볼(P)은, 구름이 가능하도록 원형이 바람직하며 외경 크기가 다양한 직경을 갖도록 제작되어 적용될 수 있다.
굴림볼(G)은, 상기 레인플레이트(200)의 표면을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소재가 가능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볼링공과 동일 내지 유사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핀볼(P)과 마찬가지로 외경 크기가 다양하게 즉 다양한 직경이 적용될 수 있다.
몸체(100)는, 내측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설치공간에 핀볼(P)을 배열시키도록 상면에 정착면(320)을 갖는 핀볼블럭(300)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측에 굴림볼(G)에 의해 타격된 핀볼(P)이 모아지도록 하는 핀볼저장부(40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 일측에는 굴림볼(G)을 안내하기 위한 굴림볼안내로(210)를 형성하는 굴림플레이트(200)가 그리고 타측에는 타격된 핀볼(P) 및 굴림볼(G)을 완충력 있게 제어하는 핀볼완충부(600)가 더 설치되어 있다.
핀볼블럭(300)은,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 고정되며 상면에 핀볼(P) 배열을 위한 정착면(3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착면(320)은 배열된 핀볼(P)이 중심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중심을 향하여 경사각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착면(320)의 표면에는 상기 핀볼(P)이 각각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어 배열될 수 있도록 핀볼안착홈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핀볼(P)에도 일측에 컷팅면이 형성되어 상기 컷팅면을 통해 정착면(320)에 안정되게 정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핀볼저장부(40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설치공간을 말하는 것이며, 상기 핀볼블럭(300)의 저면에 위치된다.
핀볼피더(800)는, 상기 핀볼저장부(400)에 저장되는 핀볼(P)을 상기 정착면(320)까지 들어올리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핀볼블럭(300)의 일측에서 회전하면서 핀볼(P)을 들어올려 상기 정착면(320)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핀볼블럭(300)의 양쪽에 상기 정착면(320)과 동일 수평을 이루며 위치되는 좌측 및 우측 푸쉬부(810)(820)와, 양단이 상기 좌측 및 우측 푸쉬부(810)(820)를 각각 고정하며 상기 핀볼블럭(300) 또는 상기 몸체(100)에 회전축(310)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830)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따라 회전부재(830)를 회전시키면 좌측 및 우측 푸쉬부(810)(820)가 회전축(310)을 통해 회전하면서 핀볼(P)을 들어 올리게 된다.
상기 좌측 및 우측 푸쉬부(810)(8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핀볼(P)과 접촉되는 표면이 상기 핀볼(P)이 굴러서 들어오도록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단(840)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핀볼블럭(300)의 정착면(320)으로 모아지도록 경사면(85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푸쉬부(810)(820)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경사단(840)이 핀볼(P) 접촉시 안쪽으로 유입되도록 들어올리게 되고 경사면(850)이 상기 정착면(320)과 수평을 이루는 경우 경사각을 통해 핀볼(P)을 정착면(320)으로 안내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310)은, 상기 몸체(100)에 구비된 구동모터(330)의 구동축(340)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구동모터(330)의 구동축(340)이 체인 벨트(350)를 통해 회전축(310)과 연결되어 구동축(340)의 회전시 체인 벨트(350)가 회전축(310)을 회전시켜 핀볼피더(800)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핀볼저장부(400)의 일측에 핀볼(P)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핀볼유입구(410)가 형성되고, 내측 바닥면은 상향 개방된 형태를 취하되 반구 형태의 라운드홈(4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좌측 및 우측 푸쉬부(810)(820)의 끝단부가 라운드홈(420)에 근접하여 회전 이동하게 된다.
상기 라운드홈(420)은, 낙하된 핀볼(P)이 한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 쪽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상기 핀볼블럭(300)의 외측 단부도 상기 경사면과 평행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핀볼블럭(300)의 저면도 상기 핀볼저장부(400)의 라운드홈(420)과 대응하도록 호형의 라운드면(380)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따라 상기 좌측 및 우측 푸쉬부(810)(820)가 상기 회전부재(830)의 회전시 상기 라운드홈(420)과 라운드면(380) 사이의 경로(U)을 따라 동일 이격거리를 가지며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경로(U)로 핀볼(P)가 유입되게 되면 핀볼(P)이 서로 얽히지 않고 안정되게 슬라이드 구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내측 설치공간에는 상기 핀볼블럭(300)의 정착면(320)으로부터 이동되는 핀볼(P)이 낙하되면서 핀볼유입구(410)로 유도되도록 핀볼안내로(700)가 형성되어 있다.
핀볼안내로(700)는, 낙하되는 핀볼(P)이 모아지는 형태 즉, 상측에서 하측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낙하되도록 양쪽 경사면(720)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 바닥면에는 상기 핀볼유입구(410) 방향으로 핀볼(P)을 유도하도록 경사진 유도경사면(710)이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상기 핀볼블럭(300)의 정착면(320)은, 정착면(320)에 올려진 핀볼(P)들이 중심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정착면(320)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각를 형성하여 정착면(320)이 오목한 홈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몸체(100)의 라운드홈(420)에 상기 핀볼피더(800)이 180도 회전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로드를 전후진 시켜 상기 핀볼피더(800)가 항상 핀볼블럭(300)의 정착면(320)과 수평을 이루며 위치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승시 상기 핀볼블럭(300)의 핀볼(P)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핀볼이탈방지부재(900)(900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핀볼이탈방지부재(900)(900a)는 상기 핀볼블럭(300)의 전방 또는 후방 단부 그리고 핀볼유입구(410)에 세워져 설치되며 몸체(100)에 구비된 모터 구동부(920)의 구동력을 통해 승강 또는 하강시켜 승강시 핀볼(P)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핀볼완충부(600)는, 상기 몸체(100)의 후방에 밀착된 것으로, 전개시 상기 몸체(100)의 설치공간으로부터 연장된 확장공간(610)을 형성하여, 핀볼(P)을 타격하여 굴림되는 굴림볼(G)을 완충력 있게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공간(610)의 벽면에는 완충을 위한 완충재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중 부호 B는, 몸체(100)의 이동설치를 위한 바퀴이며, 상기 바퀴(B)는 필요에 따라 설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의 볼 셋팅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동자가 굴림볼(G)을 굴리면 굴림볼(G)은 레인플레이트(200)에 수평 또는 경사진 상태로 제공되는 굴림볼안내로(210)를 통해 이동되면서 핀볼블럭(300)의 정착면(320)에 배열된 핀볼(P)을 타격하게 된다. 그러면 핀볼(P)은 타격에 의해 슬라이드 또는 밀림 이동되어 후방의 핀볼안내로(700)를 통해 낙하하게 되고 낙하되는 핀볼(P)은 핀볼저장부(400)로 저장되게 된다.
이때, 낙하되는 핀볼(P)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핀볼안내로(700)에 형성된 경사면(720)을 통해 모아지는 형태로 낙하되어 핀볼유입구(410)를 통해 핀볼저장부(400)에 저장되게 된다.
이와같이 핀볼(P)이 저장된 상태에서 구동모터(330)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축(340)이 회전을 통해 체인 벨트(350)와 연결된 회전축(31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핀볼피더(800)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핀볼피더(800)의 좌측 및 우측 푸쉬부(810)(820)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각각 단부가 구간(U)을 따라 이동하면선 핀볼(P)을 구름 이동시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830)의 양쪽 좌측 및 우측 푸쉬부(810)(820)가 핀볼블럭(300)의 양쪽에서 정착면(320)과 수평을 이루게 되면 핀볼(P)이 경사면(850)에 의해 구르면서 상기 정착면(320)으로 모이게 되고 이후, 운동자가 핀볼(P)을 배열시키면 된다.
이후, 운동자가 굴림볼(G)을 굴려서 핀볼블럭(300)의 정착면(320)에 배열된 핀볼(P)을 쓰러트려 점수를 획득하고 이를 표시하여 게임을 즐기면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핀볼피더의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핀볼피더(800a)는 몸체(100) 또는 핀볼블럭(300)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한 회전체(820a)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회전체(820a)의 내측에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핀볼푸쉬부(810a)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핀볼푸쉬부(810a)는 상기 핀볼블럭(300)의 상측 정착면(320)과 수평을 이루는 경우 대칭되게 위치되도록 배열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체(820a)는 몸체(100)에 구비되는 구동 기어의 치합을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G: 굴림볼
P: 핀볼
100: 몸체
200: 레인플레이트 210: 굴림볼안내로
300: 핀볼블럭 310: 회전축
320: 정착면 330: 구동모터
340: 구동축 350: 체인벨트
360,370: 연장플레이트
400: 핀볼저장부 410: 핀볼유입구
420: 라운드홈
600: 핀볼완충부
700: 핀볼안내로
800: 핀볼피더
810: 좌측 푸쉬부 820: 우측 푸쉬부
830: 연결부재
840: 경사단 850: 경사면
900,900a: 핀볼이탈방지부재

Claims (6)

  1. 굴림볼을 이동시켜 핀볼블럭의 상측 정착면에 배열된 핀볼을 타격하여 점수를 획득하는 볼링기구에 있어서,
    박스형 몸체에 핀볼이 저장되도록 상향 개방된 라운드홈을 갖는 핀볼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핀볼 저장부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핀볼블럭의 외측에 상기 몸체 또는 상기 핀볼블럭에 회전축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시 상기 라운드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핀볼을 밀어 올려 상기 핀볼블럭의 상측 정착면에 핀볼이 올려지도록 하는 핀볼피더를 설치하며;
    상기 핀볼피더는, 상기 핀볼블럭의 양쪽에 상기 정착면과 동일 수평을 이루며 위치되는 좌측 및 우측 푸쉬부와, 양단이 상기 좌측 및 우측 푸쉬부를 각각 고정하며 상기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푸쉬부는,
    각각 핀볼 접촉면이 핀볼을 내측으로 유입시키도록 경사단이 형성되고, 내측에 핀볼블럭의 정착면과 수평 위치시 핀볼블럭으로 모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몸체에 구비된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볼블럭의 저면이 호형의 라운드면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푸쉬부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기 라운드면과 상기 라운드홈 사이의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상하 이동되며, 상기 핀볼블럭의 핀볼 및 상기 라운드홈으로 유입되는 핀볼이 이동되지 못하도록 핀볼을 차단하는 핀볼이탈방지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KR1020220017941A 2022-02-11 2022-02-11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KR102592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41A KR102592743B1 (ko) 2022-02-11 2022-02-11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941A KR102592743B1 (ko) 2022-02-11 2022-02-11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280A KR20230121280A (ko) 2023-08-18
KR102592743B1 true KR102592743B1 (ko) 2023-10-24

Family

ID=8780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941A KR102592743B1 (ko) 2022-02-11 2022-02-11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7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56B1 (ko) * 2020-01-02 2021-07-08 이규상 유희용 볼링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9591A (en) * 1948-01-15 1955-05-31 Oscar L Parry Bowling pin setting device
KR200269908Y1 (ko) 2001-10-13 2002-03-27 (주)이도전자 당구공을 이용한 볼링게임기
KR200407188Y1 (ko) 2005-11-07 2006-01-25 김정호 당구식 볼링게임기의 점수연산장치
KR101718860B1 (ko) 2015-06-30 2017-03-22 서창환 스크린 볼링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2190829B1 (ko) 2019-07-12 2020-12-15 이규상 유희용 볼링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56B1 (ko) * 2020-01-02 2021-07-08 이규상 유희용 볼링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1280A (ko) 2023-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7797B1 (en) Game table with using modes convertible by way of rotation
KR102190829B1 (ko) 유희용 볼링 기구
JP3801813B2 (ja) 弾球遊技機のセンター役物
KR102274356B1 (ko) 유희용 볼링기구
KR102592743B1 (ko)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CN101365517A (zh) 球捕捉器
JP7073601B2 (ja) ボール揚送装置(ball lifting device)
KR102592742B1 (ko) 볼링기구의 볼 셋팅장치
KR102632853B1 (ko) 볼링기구
EP1767254B1 (en) Bowling game apparatus
KR102592744B1 (ko) 이동형 볼링기구
DE102013000605B4 (de) Tischkegel- oder -bowlingspiel mit einer Kugel aus magnetischem oder magnetisierbarem Material
CN110787458B (zh) 一种铰接式水滑梯
KR20090012392U (ko) 배구공 투척장치
ES2343853T3 (es) Separador de bolas.
KR20220124919A (ko) 굴림볼 및 핀볼의 크기 선택이 가능한 유희용 볼링기구
JPH1133217A (ja) ゲーム装置
KR102284534B1 (ko) 볼 공급장치
CN214130241U (zh) 一种新型进球计分游艺机
JP2002119634A (ja) ビリヤード球を使用するボーリング遊技機
JP3762775B2 (ja) 弾球遊技機
JPH0235322Y2 (ko)
US859149A (en) Game apparatus.
JP2006223530A (ja) 遊技機の役物機構
KR20120004427U (ko) 볼 게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