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620B1 -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620B1
KR102592620B1 KR1020210099421A KR20210099421A KR102592620B1 KR 102592620 B1 KR102592620 B1 KR 102592620B1 KR 1020210099421 A KR1020210099421 A KR 1020210099421A KR 20210099421 A KR20210099421 A KR 20210099421A KR 102592620 B1 KR102592620 B1 KR 102592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creen
initial
character
f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7154A (ko
Inventor
김동현
김상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CN202111143222.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296558A/zh
Publication of KR2022004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7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을 지원하는 단말에서 간편하게 중국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기본 문자의 터치입력 또는 중심에 있는 기능키를 활용한 드래그 입력 조합을 적용하며, 한 번의 터치 또는 한 번의 드래그 움직임으로 중국어 발음인 한어병음의 Initial 또는 Final 입력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자동으로 Initial과 Final 화면을 전환하여 입력범위를 늘리고, 두번의 동작으로 한 글자를 입력하게 하여 빠르게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hinese 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모바일 기기에서 중국어 문자 입력을 효과적으로 빠르게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국어는 많은 수의 글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기기(특히 모바일 기기)로 입력하기에 불편하다. 모바일 기기에서 중국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현존한다.
먼저, 중국어 발음인 한어병음을 영어 알파벳으로 표기하고 있는 것을 이용해 한어병음에 차용된 알파벳을 입력하여 중국어 문자를 생성하는 방식이 있다. 이 방식에 사용되는 입력기로, 쿼티(QWERTY) 입력기와 9칸의 입력 그리드를 확장한 입력기가 있다. - 쿼티 입력기는 컴퓨터 영어 자판의 구성을 그대로 따른 방식이다. 그러나 이 입력기는 한어병음에 차용된 알파벳을 모두 지원해야 해서 컴퓨터 키보드에 필적하는 정도의 다양한 구분키가 모바일 기기에 필요하다. 또한 컴퓨터 키보드의 기본 입력 체계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에서는 입력 구분칸이 많고 좁아서 입력 오류가 나기 쉽다. 한편, 9칸의 입력 그리드에서 확장된 입력기는 기존 영어 입력 방식인 9칸의 그리드에 추가로 중국어 모음인 Final 기본 문자인 'a, e, i, o, u' 버튼을 별도로 마련해서 한어병음의 알파벳 입력을 편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입력기는 기존의 쿼티 입력기보다 입력자판의 수가 적은 장점이 있지만 한어병음 알파벳 입력을 위해 한 번에서 최대 네 번까지 터치 동작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실제로 중국어 한 글자를 위해 터치해야 하는 회수는 더 많아지게 된다.
다른 방식으로, 중국어 발음을 한글 표기로 대체하여 입력하는 방식도 제안된 적이 있다. 이것은 한글 표기가 중국어 발음들을 모두 대체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시도된 것이다. 이 방식에서는, 한글에서 보기 힘든 문자라도 이를 조합하면 특정 중국어 발음을 표기할 수 있다고 간주한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한글 키보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의 입력화면에서 중국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글을 아는 사람들만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고, 중국어 한어병음과 같이 자음과 모음으로 분리하여 입력하는 방식을 한글 자음과 모음으로 실행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횟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글에서는 보기 힘든 글자 구성에 대한 중국어 발음을 표기법을 따로 학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본필획을 정의하여 한자를 입력하는 방식도 제안되었다. 이에 따르면, 기본 필획을 이루는 요소를 26개 알파벳 입력기에 대응하여 분류하고, 이를 필획에 따라 입력하도록 하여 한자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한자의 필획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하고, 필획이 많은 한자의 경우에는 입력이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입력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과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첫째, 입력 키 개수를 최대한 줄여 작은 공간(예를 들어 3×3 구역)에 입력 키를 배치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공간 제약으로 입력 키 자체의 크기가 작아져서 생기는 입력 오류를 줄이기 위해 적은 입력 키 개수로 효율적인 입력을 행할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 입력 과정이 간편해야 한다. 즉,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동작의 횟수와 동작량이 적어 입력시 피로감을 줄여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한 번의 입력으로 자음에 해당하는 Initial 또는 모음에 해당하는 Final의 모든 문자가 처리되어야 한다.
세 번째, 입력 방식이 직관적이어서 입력을 위해 학습하는 수고를 줄여야 한다. 좋은 입력 방식도 공부를 많이 해야 한다면 사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중국어 문자입력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문자 처리기에 의해 수행되는데 다음과 같은 절차 - (1)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한어병음의 Initial을 입력하는 화면('Initial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Initial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Initial을 처리하는 단계; (3)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한어병음의 Final을 입력하는 화면('Final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4) 상기 Final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Final을 처리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2) 및 (4)의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한어병음의 Initial 및 Final에 대응하는 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한어병음의 Initial을 입력하도록 터치스크린에 제공되는 Initial 입력 화면; 사용자가 한어병음의 Final을 입력하도록 터치스크린에 제공되는 Final 입력 화면; 및 상기 Initial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Initial을 처리하고, 상기 Final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Final을 처리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한어병음의 Initial 및 Final에 대응하는 문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중국어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Initial 입력 화면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Initial 문자키 및 드래그에 의해 입력되는 Initial 문자키를 포함하고, 상기 Final 입력 화면은 상기 터치스크린의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Final 문자키 및 드래그에 의해 입력되는 Final 문자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이후에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첫째, 중국어와 같이 6000자 이상의 많은 문자를 가지고 있는 언어에 대해 스마트폰과 같은 입력공간이 제한적인 모바일 기기에서 효과적으로 문자입력을 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중국어 한어병음 입력을 3×3 또는 3×5 입력 구역에서 효과적으로 입력하기 위해 자음과 모음에 해당하는 Initial과 Final 입력 화면을 자동 전환되게 하여 문자 입력에 필요한 구역의 활용성을 최대화한다.
셋째, 3×3 또는 3×5 입력 구역에서 한 번의 터치 및 한 번의 드래그를 사용하여 Initial 또는 Final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두 번의 동작으로 중국어 한글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문자 입력에 필요한 동작을 최소화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프로세스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이다.
도 3은 터치로 입력할 수 있는 Initial 문자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드래그 기능키 ''를 향해 드래그해서 입력할 수 있는 Initial 문자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또다른 드래그 입력 Initial 문자를 나타낸다.
도 6은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a'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은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e'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도 8과 도 9는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i'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과 도 11은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u'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도 12는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은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o'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완전하게 개시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 내용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 사용된 '포함한다(comprise, comprising 등)'라는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중국 문자는 실제 사용하는 글자가 6000자 이상이다. 이러한 중국어를 컴퓨터로 입력할 때는 문자들의 한어병음 발음을 타이핑한다. 그러면 한어병음에 해당하는 문자열들 중 빈도가 높은 후보들이 보여지고 이들 중에 원하는 문자를 선택한다. 한어병음은 중국 문자의 발음을 알파벳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방법으로, 자음에 해당하는 Initial 문자와, 모음에 해당하는 Final 문자, 그리고 성조를 의미하는 숫자로 이뤄져 있다. 컴퓨터에서의 문자 생성을 위해서는 Initial과 Final 문자만 입력하면 된다.
Initial은 'b, p, m, f, d, t, n, l, g, k, h, j, q, x, zh, ch, sh, r, z, c, s'로 총 21자이고, Final은 'a, ai, ao, an, ang, e, ei, er, en, eng, o, ou, ong, ia, iao, ian, iang, io, iou, iong, i, ie, in, ing, ua, uai, uan, uang, u, uei, uo, uen, ueng, , e, n, an'으로 총 37자이다. 그리고 Final은 Initial 없이 단독으로 사용하여 문자가 될 수 있다. 즉, 'b + an = ban'과 같이 Initial과 Final이 합쳐져 병음 문자가 될 수도 있고, 'an'과 같이 Final이 단독으로 병음 문자가 될 수도 있다.
컴퓨터에 비해, 모바일 기기(스마트폰 등)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더 좁은 입력 영역에서 문자를 입력하여야 한다. 이는 한어병음으로 입력 가능한 Initial 21자와 Final 37자에 비해 크게 모자라는 영역이다. 그래서 자음과 모음을 동일한 영역에서 입력할 수 있다면, 입력 가능한 경우의 수를 늘릴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Initial 입력과 Final 입력의 모드 전환을 수행하는 기능키를 매번 눌러야 할 것이다.
중국어 문자의 한어병음 원리에 따르면 'Initial + Final'과 'Final 단독'의 두 가지 형태로 1음절이 결정된다. 이들 중 'Initial + Final' 형태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빈도를 차지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도 1과 같은 문자 입력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도 1에 따르면, Initial 입력 화면과 Final 입력 화면이 자동으로 전환되도록 하되, Final 단독 입력으로 문자를 생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Initial 입력을 건너뛰고 Final 입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적은 수와 좁은 영역의 입력키들로 모든 중국어 한어병음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Initial 입력을 스킵하고 Final 단독 입력을 선택하는 수단으로서, 특정 기능키(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할 ''키)를 설정하였다. 이 키는 입력에 관련된 다른 기능도 수행한다(후술함).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이하의 프로세스는 모바일 기기 내에 구성된 문자 처리기(text processing unit)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101: 사용자가 한어병음 Initial 입력 단계를 스킵하기 위하여 터치한 기능키(예를 들어 '')의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Initial 입력 단계의 스킵을 처리하는 단계
102: Initial 입력 단계를 스킵하지 않은 사용자가 Initial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에 Initial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Initial을 처리하는 단계 - 사용자는 제공 받은 Initial 입력 화면에서 원하는 문자 키를 터치하거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103: 앞의 102 단계에서 Initial이 입력되거나 101 단계에서 사용자가 Initial 입력 단계를 스킵한 경우에, 사용자가 한어병음 Final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에 Final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Final을 처리하는 단계 - 이 때에도 사용자는 제공 받은 Final 입력 화면에서 원하는 문자 키를 터치하거나 드래그하여 입력할 수 있다.
104: 상기 102와 103 단계를 거쳐 입력된 한어병음으로 생성 가능한 중국어 문자 및 이 문자가 포함된 고빈도의 단어들을 제공(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문자나 단어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 - 사용자는 표시된 중국어 문자 및 이 문자가 포함된 고빈도 단어 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문자나 단어를 선택할 수 있다.
105: 상기 104 단계에서 단어 선택이 되지 않은 때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로 한어병음을 입력할 것인지 질의하는 단계 - 사용자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예를 들어 추가 한어병음을 입력하든지 아니면 아무런 행위를 하지 않을 수 있다.
106: 사용자가 105 단계에서 추가로 한어병음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104 단계에서 표시되었던 단어들 중에서 최고빈도를 보이는 단어를 자동으로 결정해서 출력하는 단계 - 이와 같이 최고빈도 단어를 자동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 횟수를 줄일 수 있다.
107: 한편, 상기 104 단계에서 사용자가 고빈도 단어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였다면, 상기 한 주기의 처리루틴을 종료하고 다음 문자의 입력 및 생성을 위해 초기 단계 101로 되돌아간다.
이제,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Initial 입력 화면과 Final 입력 화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a)는 자음에 해당하는 Initial 입력 화면이고, (b)는 모음에 해당하는 Final 입력 화면이다. 중국어 한어병음을 3×3 터치스크린에 입력하기 위해 이와 같이 Initial 입력 화면(a)과 Final 입력 화면(b)에서 별도로 입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각 화면은 9(=3×3)개의 터치 영역(칸)으로 구성되고 각 영역에 하나 또는 다수의 한어병음이 할당되어 있다. 입력 화면 (a)와 (b)는 순차적으로 전환되어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없이 한어병음 Initial과 Final을 차례대로 입력할 수 있다. 만일 Initial 입력이 필요없다면 사용자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드래그 기능키)를 눌러서 Initial 입력을 스킵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01: Initial 입력 터치스크린에서 터치 입력할 수 있는 칸의 한어병음 Initial 문자
202: Initial 입력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그 기능키 '' 쪽으로 드래그 입력할 수 있는 칸의 Initial 문자 - 이 때의 드래그 기능키 '' 는 드래그 종료점이다.
203: Initial 입력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그 기능키 역할 및 스킵 기능키 역할을 하는 ''
204: Initial 입력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그 기능키 ''에서부터 드래그로 입력될 수 있는 칸의 Initial 문자 - 이 때의 드래그 기능키 '' 는 드래그 시작점이다.
205: Final 입력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그로 지나가거나 마무리(종료)될 때 입력되는 Final 문자
206: Final 입력 터치스크린에서 터치로 입력되고, 드래그 시작점으로 작용하는 Final 문자
207: Final 입력 터치스크린에서 드래그로 지나가거나 마무리(종료)될 때 입력되는 Final 문자
이와 같은 3×3 터치스크린 화면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터치 입력에 많이 사용된다. 구획할 수 있는 구역이 9개이기 때문에 직관적이고 한 눈에 식별 가능하지만, 입력해야 할 문자가 많은 경우에는 부족한 구역수를 해소할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 입력 문자는 터치로 입력하고 나머지 문자는 드래그를 사용하도록 한다.
입력 화면 (a)를 참조하면, 3×3 구획된 영역들의 중심 영역에는 드래그 기능키 '' 가 할당되어 있다. 이 드래그 기능키 ''는 도 1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Initial 입력을 스킵하고자 할 때에도 사용되는 스킵 기능키이기도 하다.
각 입력 화면 (a), (b)에서 사용자의 터치(touch)에 의해서 입력되는 기본 문자는 빨간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Initial 입력 화면 (a)에서, 드래그(drag)로 입력되는 문자는 파란색 오각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오각형의 삼각 꼭지점이 드래그 방향을 나타낸다. 드래그 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하나는 터치 입력 문자가 시작점이 되어 드래그 기능키 '' 방향으로 가서 종료되는 드래그이고 다른 하나는 드래그 기능키 ''에서 시작되어 그 주변의 문자로 가서 종료되는 드래그이다.
Final 입력 화면 (b)에서, '[ ]'로 묶인 문자는 터치 입력이 안 되며 드래그로 시작할 수도 없고, 다만, 드래그로 이 칸을 지나갈 때에 입력되는 문자이다. 특히 중심 칸에는 기본 문자 'u'와 함께 '[n]'이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터치로 'u'를 입력할 수도 있고 'u'로 시작하는 다른 Final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드래그를 시작할 수도 있으며, 다른 문자에서 드래그를 시작해서 이 칸을 지나가면 'n'이 입력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a'→'u'로 드래그 하면 'an'이 입력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 번의 터치 및 한 번의 드래그를 사용하여 Initial 또는 Final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두 번의 동작으로 중국어 한글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어 문자 입력에 필요한 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각 문자의 입력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드래그 기능과 스킵 기능을 갖는 드래그 기능키 ''를 이용한 한어병음 Initial 문자를 입력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a)의 Initial 입력화면을 통해 Initial 문자 21개와 반자음 w, y 를 포함하여 총 23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터치 입력 방식과 드래그 입력 방식을 함께 사용하여 입력 경우의 수를 확대시켰다. 드래그 입력 시에는 드래그 기능키 ''를 활용한다.
도 3은 터치로 입력할 수 있는 Initial 문자들을 나타낸다. 3×3 터치스크린의 각 구역에 표시된 Initial 글자인 'b', 'p', 'm', 'j', 'q', 'z', 'c', 's'를 터치로 입력할 수 있다. 가운데 구역의 '' 키(스킵 기능키)를 터치하면 도 1에서 설명한 'skip' 기능이 수행되어 Initial 입력을 건너뛰고 Final 입력을 할 수 있게 도 2 (b)의 Final 입력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4는 드래그 기능키 ''를 향해 드래그해서 입력할 수 있는 Initial 문자들, 즉, 'g', 'k', 'h', 'y', 'x', 'zh', 'ch', 'sh'를 오각형 안에 표시하고 있다. 이들 문자들이 할당된 구역의 터치 문자를 드래그 시작점으로 하여, 오각형의 삼각 꼭지점 방향으로, 즉, 드래그 기능키 '' 방향으로 드래그 종료하여 이들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g' 입력은 'b'→''로 드래그, 'k' 입력은 'p'→''로 드래그, 'h' 입력은 'm'→''로 드래그, 'y' 입력은 'j'→''로 드래그, 'x' 입력은 'q'→''로 드래그, 'zh' 입력은 'z'→''로 드래그, 'ch' 입력은 'c'→''로 드래그, 'sh' 입력은 's'→''로 드래그하면 된다.
도 5는 또 다른 Initial 문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 키를 드래그 시작점으로 하여 그 주변 구역에 있는 터치 문자 쪽으로 드래그 종료하여 입력되는 Initial 문자인 'd', 't', 'n', 'w', 'f', 'l', 'r'을 나타낸다. 이들 문자들은 드래그 기능키 ''를 오각형의 삼각 꼭지점 방향으로, 즉, 주변의 터치 문자 방향으로 드래그해서 입력할 수 있다. 즉, 'd' 입력은 ''→'b'로 드래그, 't' 입력은 ''→'p'로 드래그, 'n' 입력은 ''→'m'으로 드래그, 'w' 입력은 ''→'j'로 드래그, 'f' 입력은 ''→'z'로 드래그, 'l' 입력은 ''→'c'로 드래그, 'r' 입력은 ''→'s'로 드래그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총 23자의 Initial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이어서, 한어병음 Final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Final 문자의 입력은 도 2 (b) 화면에서 할 수 있는데, Initial 입력이 이루어진 후에 자동으로 터치스크린에 Final 입력 화면으로 전환된다. (만일 사용자가 Initial 입력 화면에서 '' 키를 터치하면 곧바로 Final 입력 화면이 나타난다.)
도 6은 3×3 터치스크린에서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a'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a'는 터치로 입력가능하고, 'an', 'ang', 'ai', 'ao'는 드래그로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i' 입력은 'a'→'i'로 드래그, 'an' 입력은 'a'→'[n]'으로 드래그, 'ao' 입력은 'a'→'o'로 드래그, 'ang' 입력은 'a'→'[n]'→'[g]'로 드래그하면 된다. 여기서, 'ang'의 경우에는 'n'을 드래그로 지나가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u' 구역에 표기된 '[n]'을 보고 드래그를 할 수 있다.
도 7은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e'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e'는 터치로 입력가능하고, 'en', 'eng', 'ei', 'er'은 드래그로 입력가능하다. 구체적으로, 'ei' 입력은 'e'→'i'로 드래그, 'er' 입력은 'e'→'[r]'로 드래그, 'en' 입력은 'e'→'[n]'으로 드래그, 'eng' 입력은 'e'→'[n]'→'[g]'로 드래그하면 된다.
도 8과 도 9는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i'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도 8에서 'i'는 터치로 입력가능하고, 'ia', 'ian', 'iang', 'iao', 'ie', 'iu'는 드래그로 입력가능하다. 구체적으로, 'ia' 입력은 'i'→'a'로 드래그, 'iao' 입력은 'i'→'a'→'o'로 드래그, 'ian' 입력은 'i'→'a'→'[n]'으로 드래그, 'iang' 입력은 'i'→'a'→'[n]'→'[g]'로 드래그, 'ie' 입력은 'i'→'e'로 드래그, 'iu' 입력은 'i'→'[u]'로 드래그하면 된다.
도 9는 도 8에서 설명하지 않은, 'i'로 시작하는 여타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in', 'ing', 'iong'을 드래그로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in' 입력은 'i'→'[n]'으로 드래그, 'ing' 입력은 'i'→'[n]'→'[g]'로 드래그, 'iong' 입력은 'i'→'o'→'[n]'→'[g]'로 드래그하면 된다.
도 10과 도 11은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u'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도 10에서 'u'는 터치로 입력가능하고, 'ua', 'uai', 'ue', 'ui'는 드래그로 입력가능하다. 구체적으로, 'ua' 입력은 'u'→'a'로 드래그, 'uai' 입력은 'u'→'a'→'i'로 드래그, 'ue' 입력은 'u'→'e'로 드래그, 'ui' 입력은 'u'→'i'로 드래그하면 된다.
도 11은 도 10에서 설명하지 않은, 'u'로 시작하는 여타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uan', 'uang', 'uo', 'un'를 드래그로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an' 입력은 'u'→'a'→ '[n]'으로 드래그, 'uang' 입력은 'u'→'a'→'[n]'→'[g]'로 드래그, 'uo' 입력은 'u'→'o'로 드래그하면 된다. 'un' 입력의 경우에는 'u'와 '[n]'이 동일한 구역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u'→'[u]'→'[n]'으로 드래그해서 입력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다른 방안으로, '[u]'→'[n]'으로 드래그해서 입력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도 있고, 전자와 후자가 모두 허용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도 있다.
도 12는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는 터치로 입력가능하고, 'e'는 드래그로 입력가능하다. 'e'를 입력하기 위해서 ''→'e'로 드래그를 하면 된다.
도 13은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Final 문자 중에 'o'로 시작하는 문자들의 위치 및 드래그 방법을 나타낸다. 'o'는 터치로 입력가능하고, 'ou', 'ong'는 드래그로 입력이 가능하다. 'ou'를 입력하기 위해 'o'→'[n]'으로 드래그 한다. 이때 'on' 이라는 병음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n]'과 같은 구역에 위치한 'u'로 대체하도록 프로그래밍할 수 있고, 이 경우에, 'ong'를 입력하기 위해 'o'→'[n]'→'[g]'로 드래그 하면 된다.
한편, 드래그 입력 가능한 Final 문자들의 구성을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Final 시작문자인 'a', 'e', 'i', 'u', '', 'o'를 드래그 시작 전에 각각 홀드하고 있으면 도 6에서부터 도 13까지 보여졌던 화면들이 각각 Final 드래그 입력의 안내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중국어 한어병음 표기의 Final 문자 중 'iou', 'uei', 'uen', 'ueng', 'n', 'an'은 실제 표기를 할 때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입력에서 고려하지 않았다. 즉, 'iou'는 'iu'로 축약되어 표기하고, Final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you'로 변형하여 표기한다. 'uei'는 'ui'로 축약되어 표기하고, Final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wei'로 변형하여 표기한다. 'uen'은 'un'으로 축약되어 표기하고, Final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wen'으로 변형하여 표기한다. 'ueng'는 Final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weng'로 변형하여 표기한다. 'n'은 'un'으로 변형하여 표기하고, Final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yun'으로 바꿔서 표기한다. 'an'은 'uan'으로 변형하여 표기하고, Final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yuan'으로 바꿔서 표기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기존 방법들이 두 번 이상의 터치로 모든 Final 입력을 표현하는 반면에 터치 또는 드래그를 이용하는 한 번의 동작으로 모든 Final 문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Initial 및 Final 입력 방법에서 '' 키의 기능, 터치로 입력되는 문자의 결정, 드래그로 입력되는 문자의 결정, 및 각 문자의 구역 할당 위치 등은 상기 도시한 것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여기서의 입력 화면은 도 2의 입력 화면을 3×5로 확장한 것이다. 3×3 구성인 도 2의 두 개의 입력 화면을 하나로 통합한 3×5 화면에서, Initial 입력 화면과 Final 입력 화면 전환 없이 모든 문자들을 터치와 드래그로 입력할 수 있다. 문자들의 위치도 일부 재배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화면의 경우에는 Initial-Final 화면 전환이 필요없기 때문에 중심 기능키 ''를 'x' 문자로 대체하여 처리하도록 하였다.
도 14의 화면은 기본적인 원리는 도 2의 (a)와 (b)의 화면과 유사하다. 즉, 빨간 원의 문자는 터치 입력 문자이고, 오각형은 드래그 입력 문자를 의미한다. 예외적으로 'g'가 드래그 입력에서 터치 입력으로 변경되었고, 'er' 입력은 'e' 에서 오각형 'r' 위치로 드래그 할 때 입력 처리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도 15는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화면을 나타낸다. 이 입력 화면도 3×5로 확장된 화면으로 도 14의 화면과 달리, 터치 및 드래그와 더불처 더블더치로 입력되는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 기본 동작은 도 2의 (a), (b) 화면 및 도 14의 화면과 같고, 다른 점은 녹색 이중 원으로 나타낸 문자들은 더블터치로 입력된다는 것이다. 도 14에 있던 드래그 입력 문자의 일부를 더블터치 입력 문자로 변형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치 측면 또는 방법적 측면으로 실시가능한데, 특히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function) 또는 처리(process)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application-specific IC), 프로그래머블 로직소자(FPGA 등), 기타 전자소자 중의 적어도 하나 그리고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는 하드웨어 요소로써 구현 가능하다. 또한 하드웨어 요소와 결합되어 또는 독립적으로 소프트웨어로써도 구현 가능한데, 이 소프트웨어는 기록매체에 저장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문자 입력장치는 드래그가 가능한 터치스크린 장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버튼식 입력 장치의 경우에도, 느린 시간의 버튼입력 동작을 터치행위로 처리하고 빠른 시간의 연속된 버튼입력 동작을 드래그행위로 설정하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 입력장치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모바일 기기에 포함된 문자 처리기에 의해 수행되는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1)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한어병음의 Initial을 입력하는 화면(이하, 'Initial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Initial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Initial을 처리하는 단계;
    (3) 모바일 기기의 터치스크린에 사용자가 한어병음의 Final을 입력하는 화면(이하, 'Final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4) 상기 Final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Final을 처리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2) 및 (4)의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한어병음의 Initial 및 Final에 대응하는 문자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Initial 입력 화면은, 한 번의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 및 한 번의 드래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와, 상기 드래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를 사용자가 드래그할 때에 이 문자키의 드래그 시작 및 드래그 종료 중 하나를 수행하는 드래그 기능키를 포함하고,
    상기 Final 입력 화면은 한 번의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 및 한 번의 드래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제공되는 Initial 입력 화면은 상기 단계 (2)에서 사용자가 Initial을 입력하지 않고 상기 단계 (3)을 수행하도록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스킵 기능키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킵 기능키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단계 (2)에서 사용자가 Initial을 입력하지 않아도 상기 단계 (3) 및 그 이후의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6) 상기 단계 (5)에서 생성된 문자 및 이 문자가 포함된 고빈도의 단어들을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문자 또는 단어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7) 상기 단계 (6)에서 사용자가 문자 또는 단어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로 한어병음을 입력할 것인지 질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8) 상기 단계 (7)에서 사용자가 추가로 한어병음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단계 (6)에서 제공되었던 고빈도 단어들 중에서 최고빈도의 단어를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기능키는
    상기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의 드래그 종료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기능키는
    상기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에서 종료되는 드래그 시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inal 입력 화면은
    드래그로 지나가거나 드래그 종료시에 입력되는 문자키; 및
    터치로 입력되고, 드래그 시작점으로 작용하는 문자키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nitial 입력 화면은 3×3 화면이고, 상기 Final 입력 화면은 상기 Initial 입력 화면과 별도의 3×3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nitial 입력 화면과 상기 Final 입력 화면은 통합된 3×5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nitial 입력 화면 및 상기 Final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한 번의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는 더블터치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13. 사용자가 한어병음의 Initial을 입력하도록 터치스크린에 제공되는 Initial 입력 화면;
    사용자가 한어병음의 Final을 입력하도록 터치스크린에 제공되는 Final 입력 화면; 및
    상기 Initial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Initial을 처리하고, 상기 Final 입력 화면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Final을 처리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한어병음의 Initial 및 Final에 대응하는 문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Initial 입력 화면은, 한 번의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 및 한 번의 드래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와, 상기 드래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를 사용자가 드래그할 때에 이 문자키의 드래그 시작 및 드래그 종료 중 하나를 수행하는 드래그 기능키를 포함하고,
    상기 Final 입력 화면은 한 번의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 및 한 번의 드래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기능키는
    상기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의 드래그 종료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기능키는
    상기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에서 종료되는 드래그 시작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Final 입력 화면은
    드래그로 지나가거나 드래그 종료시에 입력되는 문자키; 및
    터치로 입력되고, 드래그 시작점으로 작용하는 문자키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nitial 입력 화면은 3×3 화면이고, 상기 Final 입력 화면은 상기 Initial 입력 화면과 별도의 3×3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nitial 입력 화면과 상기 Final 입력 화면은 통합된 3×5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Initial 입력 화면 및 상기 Final 입력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한 번의 터치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키는 더블터치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장치.
KR1020210099421A 2020-10-08 2021-07-28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592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143222.5A CN114296558A (zh) 2020-10-08 2021-09-28 移动设备中的中文文字输入方法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315 2020-10-08
KR20200130315 2020-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154A KR20220047154A (ko) 2022-04-15
KR102592620B1 true KR102592620B1 (ko) 2023-10-23

Family

ID=81212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421A KR102592620B1 (ko) 2020-10-08 2021-07-28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6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881B1 (ko) 2012-02-23 2013-01-09 허우영 휴대용 단말기의 중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434A (ko) * 2009-07-07 2009-11-24 김명수 중국어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231206B1 (ko) * 2010-12-15 2013-02-07 박치원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중국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08387A (ko) * 2011-07-12 2013-01-22 이재준 휴대 단말기의 중국어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881B1 (ko) 2012-02-23 2013-01-09 허우영 휴대용 단말기의 중국어 입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7154A (ko)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1561B2 (en) Space optimizing micro keyboard method and apparatus
Fuccella et al. Gestures and widgets: performance in text editing on multi-touch capable mobile devices
KR101085655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2014026629A (ja) 入力装置及び入力支援方法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20097836A (ko)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JP6330348B2 (ja) 情報処理装置
CN106168880B (zh) 一种输入控制的方法及终端
JP5977764B2 (ja) 拡張キーを利用した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方法
KR102592620B1 (ko) 모바일 기기에서의 중국어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6201003B (zh) 一种基于触摸屏设备的虚拟键盘及其输入方法
WO2013157157A1 (ja) 入力文字列変換装置、電子機器、入力文字列変換方法、文字列変換プログラム
CN114296558A (zh) 移动设备中的中文文字输入方法及装置
JP4133523B2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
KR101157084B1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KR100967321B1 (ko) 속기 키보드의 키 및 문자 매핑 방법 및 장치
KR102584417B1 (ko) 모바일 기기에서의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2530995B1 (ko)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문자 입력 장치
US20230044217A1 (en) Text input apparatus for improving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20170112838A (ko) 한글 복모음이 완성형으로 배정된 키보드
JP7299283B2 (ja) モバイル機器での日本語文字の入力方法及び装置
JP2013033553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101269633B1 (ko)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09047B1 (ko) 단축키 안내 장치 및 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