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633B1 -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633B1
KR101269633B1 KR1020120062956A KR20120062956A KR101269633B1 KR 101269633 B1 KR101269633 B1 KR 101269633B1 KR 1020120062956 A KR1020120062956 A KR 1020120062956A KR 20120062956 A KR20120062956 A KR 20120062956A KR 101269633 B1 KR101269633 B1 KR 101269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mes
input
phoneme
input button
comb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김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진 filed Critical 김유진
Priority to KR1020120062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다수의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 동작과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자소를 조합하거나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INPUTTING HANGUL USING TOUCH INPUT TYP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판의 입력버튼 각각에 초성 자소, 중성 자소, 종성 자소를 할당해 둔 후 입력 버튼들 간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각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소를 조합하여 조합된 자소를 입력 버튼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입력 버튼에 대한 탭 동작 또는 터치 동작에 따라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도록 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끝이나 스타일러스와 같은 물체가 화면 표시부를 터치하면, 그 위치를 파악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예컨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이 개인이 휴대하는 전자기기에 적용되거나,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구비된 내비게이션(Navigation), POS(Point-Of-Sale) 기기, ATM(Automatic Teller Machi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그리고 휴대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현재는 PDA와 핸드폰 등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키에 다수의 한글 자소를 배치하고 한 키를 여러 번 눌러서 누른 횟수에 따라 원하는 자소를 선택하는 자판 전화기의 기존 입력 방식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컴퓨터 키보드처럼 문자키를 일대일로 대응한 자판을 화면에 보여주고 이를 터치하는 입력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의 방식은 동일한 키를 연속적으로 몇 번 터치하느냐에 따라 입력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하나의 문자 입력을 위해 터치스크린을 여러 번 터치해야 한다는 불편이 있다. 또한 동일한 키에 배치된 문자를 연속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는 앞 문자의 입력 종료를 알리기 위해 다른 키를 눌러야 하거나 잠시 입력을 멈추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이 있다.
후자의 방식은 한글 키보다 자판을 화면에 모두 보여주고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문자키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컴퓨터 키보드를 터치스크린 화면에 옮겨 놓은 것 같은 방식이다. 이 방식은 터치스크린을 한번만 터치하면 원하는 자소를 입력할 수 있으나 화면이 작으면 자판 키 영역이 작아서 손가락이나 팬으로 자판의 정확한 위치를 누르기가 어려워 의도한 입력이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고 화면이 큰 경우에도 자판을 크게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자판이 크면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손가락을 많이 움직여야 하므로 입력이 그다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판의 입력버튼 각각에 초성 자소, 중성 자소, 종성 자소를 할당해 둔 후 입력 버튼들 간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각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소를 조합하여 조합된 자소를 입력 버튼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입력 버튼에 대한 탭 동작 또는 터치 동작에 따라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도록 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다수의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 동작과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자소를 조합하거나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 각각에 할당된 자소는 초성 자소, 중성 자소, 및 종성 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결과에 따라 드래그한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소를 조합하여 조합된 자소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입력버튼에 출력하되, 드래그가 시작된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초성 자소와 드래그가 끝나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중성 자소를 각각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종성 자소와 기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결과에 따라 드래그한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소를 조합하여 조합된 자소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입력버튼에 출력하되, 드래그가 시작된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기 조합된 자소와 드래그가 끝나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종성 자소를 각각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결과에 따라 터치한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은 (a)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다수의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상기 입력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상기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자소를 조합하여 그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상기 조합된 자소가 디스플레이된 입력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 각각에 할당된 자소는 초성 자소, 중성 자소, 및 종성 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드래그한 입력버튼 각각에 할당된 자소를 조합하여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 하되, 드래그가 시작된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초성 자소와 드래그가 끝나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중성 자소를 각각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조합된 자소가 디스플레이된 입력버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터치한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관점에 따른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은 (a)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다수의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상기 입력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1차 드래그 동작에 따라 상기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자소를 1차 조합하여 그 1차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상기 1차 조합된 자소와 기 할당된 하나의 자소가 디스플레이된 입력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2차 드래그 동작에 따라 상기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자소를 2차 조합하여 그 2차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d)상기 2차 조합된 자소가 디스플레이된 입력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2차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 각각에 할당된 자소는 초성 자소, 중성 자소, 및 종성 자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버튼 각각에 할당된 자소는 초성 자소, 중성 자소, 및 종성 자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 단계는 상기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1차 드래그가 시작된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초성 자소와 1차 드래그가 끝나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중성 자소를 각각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종성 자소와 기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드래그가 시작된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기 조합된 자소와 드래그가 끝나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종성 자소를 각각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상기 조합된 자소가 디스플레이된 입력버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터치한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자판의 입력버튼 각각에 초성 자소, 중성 자소, 종성 자소를 할당해 둔 후 입력 버튼들 간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각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소를 조합하여 조합된 자소를 입력 버튼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입력 버튼에 대한 탭 동작 또는 터치 동작에 따라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조합된 자소를 보면서 입력하기 때문에 오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판의 입력버튼 각각에 초성 자소, 중성 자소, 종성 자소를 할당해 둔 후 입력 버튼들 간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각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소를 조합하여 조합된 자소를 입력 버튼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입력 버튼에 대한 탭 동작 또는 터치 동작에 따라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연속으로 입력되는 다음 글자로의 전환이 명확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키 입력부의 입력버튼에 자소를 할당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의 키 입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3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판의 입력버튼 각각에 초성 자소, 중성 자소, 종성 자소를 할당해 둔 후 입력 버튼들 간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각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소를 조합하고 그 조합한 결과로 생성된 글자를 입력 버튼에 대한 탭 동작 또는 터치 동작에 따라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100), 및 터치 인식부(210), 자소 조합부(220), 글자 결정부(230)로 이루어진 제어수단(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글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한글 입력이 가능한 전자 기기 예컨대,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은 한글을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기기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와 한글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부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의 입력버튼 각각에는 초성 자소, 중성 자소, 종성 자소가 할당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키 입력부의 입력버튼에 자소를 할당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부의 입력버튼 각각에 초성 자소, 중성 자소, 및 종성 자소가 할당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a)처럼 입력버튼 각각에는 초성 자소가 할당될 수 있는데, 예컨대, 'ㄱ, ㅋ, ㄲ', 'ㄴ', 'ㄷ, ㅌ, ㄸ', 'ㄹ', 'ㅁ, ㅍ', 'ㅂ, ㅃ', 'ㅅ, ㅆ', 'ㅇ, ㅎ', 'ㅈ, ㅊ, ㅉ'이 할당될 수 있다.
그림 (b)처럼 입력버튼 각각에는 중성 자소가 할당될 수 있는데, 예컨대, 'ㅐ, ㅒ', 'ㅏ, ㅑ', 'ㅓ, ㅕ', 'ㅔ, ㅖ', 'ㅗ, ㅛ, ㅚ', 'ㅜ, ㅠ, ㅟ', 'ㅘ, ㅝ', 'ㅡ, ㅢ', 'ㅣ, ㅙ, ㅞ'가 할당될 수 있다.
그림 (c)처럼 입력버튼 각각에는 종성 자소가 할당될 수 있는데, 예컨대, 'ㄱ, ㅋ, ㄲ, ㄱㅅ', 'ㄴ, ㄴㅈ, ㄴㅎ', 'ㄷ, ㅌ', 'ㄹ, ㄹㄱ, ㄹㅁ, ㄹㅂ, ㄹㅅ, ㄹㅌ, ㄹㅍ, ㄹㅎ', 'ㅁ, ㅍ', 'ㅂ, ㅂㅅ', 'ㅅ, ㅆ', 'ㅇ, ㅎ', 'ㅈ, ㅊ'이 할당될 수 있다.
이렇게 입력버튼 각각에는 초성 자소, 중성 자소, 및 중성 자소가 할당되게 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00)의 사용자의 터치(touch) 동작 또는 드래그(drag) 동작에 따라 입력버튼 각각에 디스플레이된 자소를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고 그 입력된 자소를 조합하여 그 조합한 결과로 적어도 하나의 글자를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터치스크린(100)은 1)먼저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디스플레이하고, 2)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이 인식되면 드래그한 입력버튼에 따라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조합한 후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종성 자소와 상기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며, 3)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인식되면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다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제어수단(200)은 터치스크린(100)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결과에 따라 자소를 조합하여 조합된 자소를 터치스크린(100)에 출력하고, 터치스크린(100)에서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결과에 따라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사용자의 입력으로서 터치스크린(10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터치 인식부(210)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 동작과 드래그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즉, 터치 인식부(210)는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 또는 좌표, 드래그가 시작된 지점 또는 좌표, 그리고 드래그가 끝나는 지점 또는 좌표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인식부(210)는 터치스크린에서 터치 동작이 이루어지면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 또는 좌표를 글자 결정부에 제공하고, 드래그 동작이 이루어지면 드래그가 시작된 지점 또는 좌표, 그리고 드래그가 끝나는 지점 또는 좌표를 자소 조합부에 제공하게 된다.
자소 조합부(220)는 그 인식한 결과로 드래그가 이루어진 지점 또는 좌표에 따라 자소를 결정하고 결정된 자소를 조합하여 그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자소 조합부(220)는 1)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조합할 수 있고, 2)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조합한 후에 그 조합된 자소에 종성 자소를 더 조합할 수 있다.
글자 결정부(230)는 그 인식한 결과로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 또는 좌표에 따라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고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글자 결정부(230)는 1)조합된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할 수 있고, 2)조합된 초성 자소, 중성 자소, 종성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스크린의 키 입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100)의 키 입력부는 입력버튼 각각에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또는 드래그 동작에 따라 다수의 자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는 최초의 입력버튼을 보여주고 있는데, 입력버튼 각각에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의 일부 또는 전체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입력버튼 각각에는 다수의 자소가 디스플레이 되되, 예컨대, 입력버튼 각각의 상단부에는 초성 자소가 디스플레이 되고 입력버튼 각각의 하단부에는 중성 자소가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의 일부라 함은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소를 모두 디스플레이할 필요는 없다는 의미이다. 예컨대, 터치스크린의 키 입력부는 초성 자소 'ㅂ, ㅃ'이 할당된 입력버튼에 'ㅂ'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중성 자소 'ㅜ, ㅠ, ㅟ'가 할당된 입력버튼에 'ㅜ, ㅠ' 일부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자 '교'를 입력하는 원리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a)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제1 입력버튼(10)에서 제5 입력버튼(50)까지 드래그를 하게 되면, 드래그가 시작된 제1 입력버튼(10)에 할당된 초성 자소 'ㄱ, ㅋ, ㄲ'와 드래그가 끝나는 제5 입력버튼(50)에 할당된 중성 자소 'ㅗ, ㅛ, ㅚ'를 조합하여 그 조합된 자소를 제5 입력버튼(50)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초성 자소와 상기 중성 자소를 조합하게 되면, 조합된 자소 '쿄, 코, 쾨, 교, 고, 괴, 꾜, 꼬, 꾀'가 중성 자소가 디스플레이 되었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그림 (b)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제4 입력버튼(40)에 디스플레이된 조합된 자소 '교'를 터치하게 되면 터치된 '교'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결정된 하나의 글자 '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자 '돛'을 입력하는 원리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a)에서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제3 입력버튼(30)에서 제5 입력버튼(50)까지 1차 드래그를 하게 되면, 드래그가 시작된 제3 입력버튼(30)에 할당된 초성 자소 'ㄷ, ㅌ, ㄸ'와 드래그가 끝나는 제5 입력버튼(50)에 할당된 중성 자소 'ㅗ, ㅛ, ㅚ'를 조합하여 그 조합된 자소를 제5 입력버튼(50)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초성 자소와 상기 중성 자소를 조합하게 되면, 조합된 자소 '툐, 토, 퇴, 됴, 도, 되,
Figure 112012046795749-pat00001
, 또, 뙤'가 중성 자소가 디스플레이 되었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그림 (b)에서 사용자의 2차 드래그 동작에 따라 제5 입력버튼(50)에서 제9 입력버튼(90)까지 드래그를 하게 되면, 드래그가 시작된 제5 입력버튼(50)의 조합된 자소 '도'와 드래그가 끝나는 제9 입력버튼(90)에 할당된 종성 자소 'ㅈ, ㅊ'를 조합하여 그 조합된 자소를 제9 입력버튼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조합된 자소'도'에 상기 종성 자소를 조합하게 되면, 조합된 자소 '
Figure 112012046795749-pat00002
, 돛'이 앞서 조합된 자소가 디스플레이 되었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그림 (c)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제8 입력버튼(80)에 디스플레이된 조합된 자소 '돛'을 터치하게 되면 터치된 '돛'을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결정된 하나의 글자 '돛'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3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자 '닮'을 입력하는 원리를 보여주고 있다. 그림 (a)에서 사용자의 1차 드래그 동작에 따라 제3 입력버튼(30)에서 제2 입력버튼(20)까지 드래그를 하게 되면, 드래그가 시작된 제3 입력버튼(30)에 할당된 초성 자소 'ㄷ, ㅌ, ㄸ'와 드래그가 끝나는 제2 입력버튼(20)에 할당된 중성 자소 'ㅏ, ㅑ'를 조합하여 그 조합된 자소를 제2 입력버튼(20)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초성 자소와 상기 중성 자소를 조합하게 되면, 조합된 자소 '타, 다, 따, 탸, 댜,
Figure 112012046795749-pat00003
'가 중성 자소가 디스플레이 되었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그림 (b)에서 사용자의 2차 드래그 동작에 따라 제2 입력버튼(20)에서 제4 입력버튼(40)까지 드래그를 하게 되면, 드래그가 시작된 제2 입력버튼(20)의 조합된 자소 '다'와 드래그가 끝나는 제4 입력버튼(40)에 할당된 종성 자소 'ㄹ, ㄹㄱ, ㄹㅁ, ㄹㅂ, ㄹㅅ, ㄹㅌ, ㄹㅍ, ㄹㅎ'를 조합하여 그 조합된 자소를 제4 입력버튼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조합된 자소 '다'에 상기 종성 자소를 조합하게 되면, 조합된 자소 '닭,
Figure 112012046795749-pat00004
,
Figure 112012046795749-pat00005
, 달, 닮, 닯,
Figure 112012046795749-pat00006
, 닳'이 앞서 조합된 자소가 디스플레이 되었던 영역에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그림 (c)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제5 입력버튼(50)에 디스플레이된 조합된 자소 '닮'을 터치하게 되면 터치된 '닮'을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결정된 하나의 글자 '닮'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의 1차 드래그 동작이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710). 즉, 한글 입력 장치는 1차 드래그 동작이 확인되면 1차 드래그가 시작된 지점 또는 좌표, 그리고 드래그가 끝나는 지점 또는 좌표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글 입력 장치는 그 인식한 결과로 1차 드래그가 이루어진 지점 또는 좌표에 따라 자소를 조합할 수 있다(S720). 예컨대, 한글 입력 장치는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1차 조합하게 된다.
다음으로, 한글 입력 장치는 1차 조합된 자소를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730).
다음으로, 한글 입력 장치는 그 인식한 결과로 2차 드래그가 이루어진 지점 또는 좌표에 따라 자소를 조합할 수 있다(S750). 예컨대, 한글 입력 장치는 1차 조합된 자소에 종성 자소를 2차 조합하게 된다.
다음으로, 한글 입력 장치는 2차 조합된 자소를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760).
다음으로, 한글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에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이 있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S770). 즉, 한글 입력 장치는 터치 동작이 확인되면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 또는 좌표 등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한글 입력 장치는 그 인식한 결과로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 또는 좌표에 따라 글자를 결정할 수 있다(S780). 예컨대, 한글 입력 장치는 초성 자소, 중성 자소, 종성 자소가 조합된 하나의 글자를 결정하거나 초성 자소, 중성 자소가 조합된 하나의 글자를 결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한글 입력 장치는 결정된 글자를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790).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USB 메모리, CD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과 같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터치스크린
200: 제어수단
210: 터치 인식부
220: 자소 조합부
230: 글자 결정부

Claims (16)

  1.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다수의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 동작과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자소를 조합하거나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 각각에 할당된 자소는 초성 자소, 중성 자소, 및 종성 자소이고,
    상기 터치스크린은상 기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결과에 따라 드래그한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소를 조합하여 조합된 자소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입력버튼에 출력하되, 드래그가 시작된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초성 자소와 드래그가 끝나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중성 자소를 각각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종성 자소와 기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드래그 동작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결과에 따라 드래그한 입력버튼에 할당된 자소를 조합하여 조합된 자소를 상기 터치스크린의 입력버튼에 출력하되,
    드래그가 시작된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기 조합된 자소와 드래그가 끝나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종성 자소를 각각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 동작을 인식하고 그 인식한 결과에 따라 터치한 입력버튼의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7. (a)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다수의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상기 입력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상기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자소를 조합하여 그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c)상기 조합된 자소가 디스플레이된 입력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 각각에 할당된 자소는 초성 자소, 중성 자소, 및 종성 자소이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드래그한 입력버튼 각각에 할당된 자소를 조합하여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 하되, 드래그가 시작된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초성 자소와 드래그가 끝나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중성 자소를 각각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조합된 자소가 디스플레이된 입력버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터치한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
  11. (a)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다수의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b)상기 입력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1차 드래그 동작에 따라 상기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자소를 1차 조합하여 그 1차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상기 1차 조합된 자소와 기 할당된 하나의 자소가 디스플레이된 입력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2차 드래그 동작에 따라 상기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자소를 2차 조합하여 그 2차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d)상기 2차 조합된 자소가 디스플레이된 입력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2차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 각각에 할당된 자소는 초성 자소, 중성 자소, 및 종성 자소이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초성 자소와 중성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b) 단계는 1차 드래그가 시작된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초성 자소와 1차 드래그가 끝나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중성 자소를 각각 조합한 후
    상기 다수의 입력버튼 각각에 기 할당된 종성 자소와 기 조합된 자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드래그가 시작된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기 조합된 자소와 드래그가 끝나는 입력버튼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종성 자소를 각각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조합된 자소가 디스플레이된 입력버튼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따라 터치한 입력버튼에 디스플레이된 기 조합된 자소를 하나의 글자로 결정하여 그 결정된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방법.
KR1020120062956A 2012-06-13 2012-06-13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1269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956A KR101269633B1 (ko) 2012-06-13 2012-06-13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956A KR101269633B1 (ko) 2012-06-13 2012-06-13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633B1 true KR101269633B1 (ko) 2013-06-04

Family

ID=4886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956A KR101269633B1 (ko) 2012-06-13 2012-06-13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062A (ko) * 2020-12-08 2022-06-15 이대원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문자 입력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508A (ko) *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030177B1 (ko) * 2010-06-16 2011-04-18 김진수 데이터 입력장치 및 데이터 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508A (ko) *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팬택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기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030177B1 (ko) * 2010-06-16 2011-04-18 김진수 데이터 입력장치 및 데이터 입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062A (ko) * 2020-12-08 2022-06-15 이대원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문자 입력 장치
KR102530995B1 (ko) * 2020-12-08 2023-05-15 이대원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문자 입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ccella et al. Gestures and widgets: performance in text editing on multi-touch capable mobile devices
US7719521B2 (en) Navigational interface providing auxiliary character support for mobile and wearable computers
US20120123781A1 (en) Touch screen device for allowing blind people to operate objects displayed thereon and object operating method in the touch screen device
US20120242579A1 (en) Text input using key and gesture information
JP2014026629A (ja) 入力装置及び入力支援方法
CN106104450B (zh) 选择图形用户界面某一部分的方法
US20150100911A1 (en) Gesture responsive keyboard and interface
KR20100086451A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30050098A1 (en) User input of diacritical characters
KR20140073245A (ko) 후면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15021272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control method
CN104808807A (zh) 用于汉字拼音输入的方法和装置
KR10116629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기록매체, 한글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20120097836A (ko)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KR101307345B1 (ko) 멀티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7838A (ko) 멀티 터치를 이용한 핸드 라이팅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제어 방법
JP5977764B2 (ja) 拡張キーを利用した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方法
KR20100121218A (ko)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
KR101269633B1 (ko) 터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97300A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1434419B1 (ko)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50347004A1 (en) Indic language keyboard interface
KR20100080043A (ko) 한글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JP2012108810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装置の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