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467B1 - 차량용 에어필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필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92467B1 KR102592467B1 KR1020180120626A KR20180120626A KR102592467B1 KR 102592467 B1 KR102592467 B1 KR 102592467B1 KR 1020180120626 A KR1020180120626 A KR 1020180120626A KR 20180120626 A KR20180120626 A KR 20180120626A KR 102592467 B1 KR102592467 B1 KR 1025924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unit
- duct
- vehicle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91—Flat filter elements, e.g. rectangul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12—Multiple clean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02M35/0245—Pleated, folded, corrugated filter elements, e.g. made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덕트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부와, 필터부에 결합되고, 필터부가 덕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게 변형되며, 필터부에서 탈락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확장포집부와, 확장포집부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덕트의 공기유입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유입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차량용 에어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외 또는 실내 공기를 송풍기를 사용하여 유입, 재순환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공기 중에는 먼지, 분진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승차자의 불쾌감, 호흡기 질환, 실내 오염 등을 유발하므로, 차량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77373호(2018.07.05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에어필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덕트 내부에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는, 차량의 덕트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덕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게 변형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탈락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확장포집부; 및 상기 확장포집부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덕트의 공기유입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유입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덕트에 장착되고, 상기 확장포집부가 결합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개방부로 유입되고 상기 확장포집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포집부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덕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확장이동부; 및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확장이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펼쳐지면서 상기 필터부와의 사이에 중공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펼침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이동부는, 회동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의 일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힌지; 및 상기 회동바의 타단부와 상기 펼침포집부를 연결하는 바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펼침포집부는, 상기 필터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탈락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펼침포집부는, 먼지의 유출을 방지하게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상기 덕트의 내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출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펼침포집부는,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상기 덕트의 내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유입부; 및 상기 경사유입부와 상기 유출방지부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개방부는, 상기 공기유입부에 대응되는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개방홀부; 및 상기 개방홀부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입로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포집부와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를 상기 덕트로부터 이탈 시 상기 확장포집부를 상기 필터부측으로 복귀시키는 견인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견인회수부는, 일단부가 상기 확장포집부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필터부측으로 연장되는 견인끈; 상기 필터부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끈과 접하며, 상기 견인끈의 연장방향을 상기 필터부의 전방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 및 상기 필터부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끈의 타단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필터부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견인끈의 타단부가 걸리는 제1스토퍼부; 및 상기 제1스토퍼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스토퍼부로부터 해제된 상기 견인끈의 타단부가 상기 방향전환부측으로 이동되는 중에 걸리는 제2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는, 차량의 덕트에 장착되는 필터부에서 탈락된 이물질이 확장포집부에 안착, 포집되고, 필터부를 덕트의 외부로 제거 시 확장포집부에 수용된 상태로 함께 덕트의 외부로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 내부에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덕트 내부에 잔류된 이물질로 인한 공기조화 시스템의 오염도 증가와 운용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초기 형태 및 덕트 설치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가 덕트에 장착된 초기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초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확장포집부가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가 덕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가 덕트에 장착된 초기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초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확장포집부가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가 덕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초기 형태 및 덕트 설치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가 덕트에 장착된 초기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1)가 설치되는 차량의 덕트(2)는 공기유입부(2a), 필터설치부(2b), 공기배출부(2c), 하부공간부(2d), 상부공간부(2e)를 포함한다.
공기유입부(2a)를 통해 덕트(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설치부(2b)를 거쳐 공기배출부(2c)측으로 유동된다. 즉 덕트(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설치부(2b)를 기준으로 하여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유동되는 유동 형태를 가진다. 하부공간부(2d)는 공기유입부(2a)와 필터설치부(2b)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되고, 상부공간부(2e)는 필터설치부(2b)와 공기배출부(2c)의 사이에 중공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1)는 필터설치부(2b)에 장착된 후, 일부가 하부공간부(2d)측으로 전개되면서 먼지를 포집, 수납 가능한 구조로 변형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1)는 필터부(10), 확장포집부(20), 유입개방부(30), 견인회수부(40)를 포함한다.
필터부(10)는 공기를 여과하는 장치부로, 덕트(2)의 필터설치부(2b)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확장포집부(20)는 필터부(10)에서 여과, 탈락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장치부로, 필터부(10)에 결합된다. 필터부(10)가 필터설치부(2b)에 장착된 상태에서 확장포집부(20)는 필터부(10)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게 전개, 변형된다.
유입개방부(30)는 확장포집부(20) 내부로의 공기유입이 이루어지는 장치부로, 확장포집부(20)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덕트(2)의 공기유입부(2a)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견인회수부(40)는 교체, 점검 등을 위해 필터부(10)를 필터설치부(2b)로부터 이탈 시 이미 전개된 확장포집부(20)를 필터부(10)측으로 이동, 복귀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필터부(10)에 설치되고, 단부가 확장포집부(20)와 연결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0)는 프레임부(11)와 여과부(12)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는 필터설치부(2b)에 장착, 조립되는 장치부로, 필터설치부(2b)의 내면부에 대응되는 프레임 형상을 가진다. 프레임부(11)에는 확장포집부(20)가 결합되고, 견인회수부(40)가 설치된다. 프레임부(11) 중 확장포집부(20)가 결합되는 측부에는, 확장포집부(20)가 프레임부(11)에 접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확장포집부(20)를, 보다 구체적으로는 확장이동부(21)(이하 설명)를 수용, 수납할 수 있는 수용부(도면부호 미표기)가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과부(12)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는 매쉬(mesh) 구조를 가지고, 프레임부(11)의 내부에 결합된다. 여과부(12)는 프레임부(11)를 필터설치부(2b)에 장착한 상태에서 필터설치부(2b)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공기유입부(2a)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먼지, 분진 등의 이물질은 여과부(12)를 통과하지 못하고, 여과부(12)의 저면부에 부착되거나, 중력, 진동 등에 의해 여과부(12)로부터 탈락, 낙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초기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의 확장포집부가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가 덕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포집부(20)는 확장이동부(21)와 펼침포집부(25)를 포함한다.
확장이동부(21)는 필터부(10)가 필터설치부(2b)에 장착된 상태에서 필터부(10)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장치부이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장이동부(21)는 회동바(22), 회동힌지(23), 바연결부(24)를 포함한다.
회동바(22)는 펼침포집부(25)에 전개를 위한 하향력과 폴딩을 위한 상향력을 작용, 전달함과 동시에 펼침포집부(25)가 전개된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가능하게 펼침포집부(25)를 지지하는 장치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힌지(23)는 유입개방부(30) 내지 펼침포집부(25)의 전방부(공기유입부(2a)를 향하는 일측부), 덕트(2)의 하부공간부(2d)의 측부 및 하부에 대응되는 ㄷ자형 막대 형상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힌지(23)는 필터부(10)의 좌, 우측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좌우측 한 쌍의 수직막대부와, 수직막대부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막대부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회동바(2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회동된 상태에서 펼침포집부(25)의 전개가 일정한 형태로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동바(22)와 펼침포집부(25)의 하부를 덕트(2)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계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입개방부(30)의 형상 유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바(22)는 상기와 같이 ㄷ자형 막대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회동바(22)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좌우측 한 쌍의 직선형 막대를 포함하는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회동힌지(23)는 프레임부(11)의 측부에 설치되고, 회동바(22)의 일단부를, 도 4 상에서는 회동바(22)의 상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바연결부(24)는 회동바(22)의 타단부와 펼침포집부(25)를 연결한다. 바연결부(24)는 펼침포집부(25)와 접착, 접합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기구적인 구조에 의해 결속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펼침포집부(25)는 확장이동부(21)의 하향 이동에 연동하여 펼쳐지면서 필터부(10)와의 사이에 중공의 공간부를 형성하거나, 확장이동부(21)의 상향 이동에 연동하여 접히면서 필터부(10)측으로 접히거나 말려올라가는 장치부이다. 펼침포집부(25)는 섬유재, 종이재 등과 같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펼침포집부(25)의 상부는 프레임부(11)에 프레임부(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결되며, 하부가 확장이동부(21)의 하향 이동에 연동하여 펼쳐지면서 필터부(10)와의 사이에 중공의 공간부를 형성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펼침포집부(25)는 측벽부(26)와 바닥부(27)를 포함한다.
측벽부(26)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부가 프레임부(11)에 프레임부(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연결된다. 바닥부(27)는 측벽부(26)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필터부(10)에서 여과, 탈락된 이물질이 안착, 포집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부(27)는 경사유입부(27a), 유출방지부(27b), 절곡부(27c)를 포함한다.
경사유입부(27a)는 공기유입부(2a)에서 덕트(2)의 내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유입부(27a)가 덕트(2)의 내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을 가짐에 따라, 유입개방부(3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경사유입부(27a)의 경사면을 타고 보다 원활하게 필터부(10)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유출방지부(27b)는 필터부(10)에서 여과, 탈락된 이물질이 안착, 포집되는 장치부로, 공기유입부(2a)에서 덕트(2)의 내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출방지부(27b)에 안착, 포집된 먼지가 공기유입부(2a)측으로 유동되는 것이 저해되고, 덕트(2)의 내측을 향해 유도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1)를 덕트(2)의 외부로 이탈시키기 위해 회동바(22)를 상향 회동 시, 유출방지부(27b)에 포집된 먼지가 유출방지부(27b)에 의해 유입개방부(30)측으로 유동, 누설되지 않고, 유출방지부(27b)의 경사면을 타고 자연히 펼침포집부(25)의 내부로 유동, 집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1)를 덕트(2)의 외부로 이탈 시, 펼침포집부(25)에 포집된 먼지가 덕트(2)의 내부로 누출되는 일 없이 펼침포집부(25)에 안정되게 수용된 상태로 함께 덕트(2)의 외부로 이탈, 제거될 수 있다.
경사유입부(27a)가 공기유입부(2a)에서 덕트(2)의 내측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유출방지부(27b)가 공기유입부(2a)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짐에 따라, 경사유입부(27a)와 유출방지부(27b)의 경계부에는 상측으로 뾰족하게 절곡된 턱 형상의 절곡부(27c)가 형성된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입개방부(30)는 개방홀부(31)와, 유입로밀착부(32)를 포함한다.
개방홀부(31)는 펼침포집부(25)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로를 이루는 장치부로, 펼침포집부(25) 중 공기유입부(2a)와 마주하는 일측부 상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방홀부(31)는 펼침포집부(25) 중 공기유입부(2a)를 향하는 전방부 전체에 대응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나, 본 발명에 따른 개방홀부(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방홀부(31)는 덕트(2)의 공기유입부(2a)와 하부공간부(2d)의 형상, 배치 등에 따라 공기유입부(2a)에 대응되는 크기와 너비로 형성될 수 있고, 공기유입부(2a) 보다 확장된 크기와 너비를 가질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방홀부(31)는 공기유입부(2a)로 유입된 공기의 유동을 저해하지 않는다면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유입로밀착부(32)는 펼침포집부(25)가 덕트(2)의 공기유입부(2a) 또는 하부공간부(2d)로부터 들뜨지않게 밀착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개방홀부(31)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된다. 유입로밀착부(32)는 펼침포집부(25)가 덕트(2)의 내부에서 전개된 상태에서는 덕트(2)에 밀착될 수 있으면서, 덕트(2)의 외부로 이탈, 제거될 시에는 덕트(2)로부터 이격될 수 있게, 즉 덕트(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유입로밀착부(32)는 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확장포집부(20)는 유입로밀착부(32)의 자성을 이용해 용이하게 밀착되고 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견인회수부(40)의 상향 견인력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입로밀착부(32)는 자석을 포함하나, 본 발명에 따른 유입로밀착부(32)는 덕트(2)에 탈착가능하게 결속가능하다면, 부직포, 고리 등의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유입부(2a)를 통해 덕트(2)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개방부(30)를 통해 확장포집부(20)로 유입되고, 상향 유동되면서 필터부(10)를 거쳐 여과된 후 공기배출부(2c)를 통해 덕트(2)의 외부로 배출된다. 필터부(10)를 통과하지 못하고 여과된 먼지, 분진 등의 이물질은 필터부(10)의 부착되거나, 중력, 진동 등에 의해 탈락, 낙하되어 확장포집부(20)의 내부에 안착, 포집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견인회수부(40)는 견인끈(41), 방향전환부(43), 스토퍼부(44)를 포함한다.
견인끈(41)은 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하단부가 확장포집부(20)와 연결되고, 상부가 필터부(10)측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견인끈(41)의 하단부는 회동바(22)의 하부와 연결되고, 상부는 방향전환부(43)와 스토퍼부(44)에 의해 프레임부(11)에 결속된다. 견인끈(41)의 상단부에는 스토퍼부(44)에 걸리는 걸림고리(42)가 결합된다.
방향전환부(43)는 견인끈(41)의 연장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부로, 견인끈(41)의 중간부가 접한다. 방향전환부(43)와의 접촉부를 기준으로 하여 견인끈(41)의 하부는 회동바(22)를 향해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고, 상부는 프레임부(11)를 따라 전방 및 측방향으로, 즉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부(43)는 프레임부(11)의 측면부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리 형상을 가지는 방향전환부(43)의 일측부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견인끈(41)과 접하지 않는 비접촉부 상에 슬릿 형상의 끈삽입용 개방부(43a)가 형성된다. 견인끈(41)은 끈삽입용 개방부(43a)를 통해 방향전환부(43)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다.
견인끈(41)은 방향전환부(43)에 걸려 그 방향이 전환됨과 동시에 임의의 방향으로의, 특히 프레임부(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유동, 이탈이 구속될 수 있다. 방향전환부(43)는 견인끈(41)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접촉부를 제공한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개시된 고리 형상 등의 구조를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퍼부(44)는 견인끈(41)의 상단부의 이동을 구속가능한 형상을 가지고, 프레임부(11)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견인끈(41)의 상단부에는 걸림고리(42)가 결합되며, 스토퍼부(44)는 견인끈(41)은 통과가능하면서 걸림고리(42)는 걸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44)는 제1스토퍼부(45)와 제2스토퍼부(46)를 포함한다.
제1스토퍼부(45)는 견인끈(41)의 상단부가, 보다 구체적으로는 걸림고리(42)가 걸릴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프레임부(11)의 전방부 중 중간부에 배치된다. 제2스토퍼부(46)는 프레임부(11)의 전방부 상에 제1스토퍼부(45)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제1스토퍼부(45)로부터 결속 해제된 견인끈(41)의 상단부와 걸림고리(42)가 하단부측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향전환부(43)측으로 이동되는 중에 걸린다.
걸림고리(4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토퍼부(45)에 걸린 상태에서 견인끈(41)의 하단부와 연결된 회동바(22)는 프레임부(11)측으로 상향 회동되며, 이러한 상태로 차량용 에어필터(1)를 필터설치부(2b)에 삽입, 장착한 후, 걸림고리(42)를 제1스토퍼부(45)로부터 해제하면, 회동바(22)를 구속하던 상향력이 이와 동시에 해제되면서 회동바(22)가 중력에 의해 하향 회동된다.
이때 걸림고리(42)는 제2스토퍼부(46)에 걸리게 되고, 차량용 에어필터(1)의 교체를 위해 덮개 개방 시 필터설치부(2b)의 외부로 노출된다. 걸림고리(42)를 잡아당기면, 견인끈(41)에 연결된 회동바(22)가 견인끈(41)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측으로 회동되고, 펼침포집부(25)가 접히면서 필터부(10)의 하부에 밀착되고, 걸림고리(42)를 제1스토퍼부(45)에 걸면 이와 같이 슬림화된 상태가 유지된다. 차량용 에어필터(1)는 상기와 같이 슬림화된 상태로 그 형상이 변형된 상태에서 필터설치부(2b)의 외부로 용이하게 이탈,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부(45)와 제2스토퍼부(46)는 방향전환부(43)와 동일한 고리 형상을 가지나,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부(45)와 제2스토퍼부(46)는 상기와 같이 견인끈(41)의 이동을 다단으로 구속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다양한 구조와 형상을 가질 수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필터(1)에 의하면, 차량의 덕트(2)에 장착되는 필터부(10)에서 탈락된 이물질이 확장포집부(20)에 안착, 포집되고, 필터부(10)를 덕트(2)의 외부로 제거 시 확장포집부(20)에 수용된 상태로 함께 덕트(2)의 외부로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2) 내부에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덕트(2) 내부에 잔류된 이물질로 인한 공기조화 시스템의 오염도 증가와 운용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에어필터 2 : 덕트
2a : 공기유입부 2b : 필터설치부
2c : 공기배출부 2d : 하부공간부
2e : 상부공간부 10 : 필터부
11 : 프레임부 12 : 여과부
20 : 확장포집부 21 : 확장이동부
22 : 회동바 23 : 회동힌지
24 : 바연결부 25 : 펼침포집부
26 : 측벽부 27 : 바닥부
27a : 경사유입부 27b : 유출방지부
27c : 절곡부 30 : 유입개방부
31 : 개방홀부 32 : 유입로밀착부
40 : 견인회수부 41 : 견인끈
42 : 걸림고리 43 : 방향전환부
43a : 끈삽입용 개방부 44 : 스토퍼부
45 : 제1스토퍼부 46 : 제2스토퍼부
2a : 공기유입부 2b : 필터설치부
2c : 공기배출부 2d : 하부공간부
2e : 상부공간부 10 : 필터부
11 : 프레임부 12 : 여과부
20 : 확장포집부 21 : 확장이동부
22 : 회동바 23 : 회동힌지
24 : 바연결부 25 : 펼침포집부
26 : 측벽부 27 : 바닥부
27a : 경사유입부 27b : 유출방지부
27c : 절곡부 30 : 유입개방부
31 : 개방홀부 32 : 유입로밀착부
40 : 견인회수부 41 : 견인끈
42 : 걸림고리 43 : 방향전환부
43a : 끈삽입용 개방부 44 : 스토퍼부
45 : 제1스토퍼부 46 : 제2스토퍼부
Claims (11)
- 차량의 덕트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부가 상기 덕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와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게 변형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탈락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확장포집부; 및
상기 확장포집부 상에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덕트의 공기유입부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유입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덕트에 장착되고, 상기 확장포집부가 결합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개방부로 유입되고 상기 확장포집부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포집부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덕트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확장이동부; 및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부가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며, 하부가 상기 확장이동부의 이동에 연동하여 펼쳐지면서 상기 필터부와의 사이에 중공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펼침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이동부는,
회동바;
상기 필터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의 일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힌지; 및
상기 회동바의 타단부와 상기 펼침포집부를 연결하는 바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포집부는,
상기 필터부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에서 탈락된 이물질이 포집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포집부는,
먼지의 유출을 방지하게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상기 덕트의 내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유출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포집부는,
상기 공기유입부에서 상기 덕트의 내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유입부; 및
상기 경사유입부와 상기 유출방지부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개방부는,
상기 공기유입부에 대응되는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개방홀부; 및
상기 개방홀부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덕트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입로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포집부와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를 상기 덕트로부터 이탈 시 상기 확장포집부를 상기 필터부측으로 복귀시키는 견인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회수부는,
일단부가 상기 확장포집부와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필터부측으로 연장되는 견인끈;
상기 필터부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끈과 접하며, 상기 견인끈의 연장방향을 상기 필터부의 전방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부; 및
상기 필터부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견인끈의 타단부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필터부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견인끈의 타단부가 걸리는 제1스토퍼부; 및
상기 제1스토퍼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스토퍼부로부터 해제된 상기 견인끈의 타단부가 상기 방향전환부측으로 이동되는 중에 걸리는 제2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필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626A KR102592467B1 (ko) | 2018-10-10 | 2018-10-10 | 차량용 에어필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0626A KR102592467B1 (ko) | 2018-10-10 | 2018-10-10 | 차량용 에어필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0557A KR20200040557A (ko) | 2020-04-20 |
KR102592467B1 true KR102592467B1 (ko) | 2023-10-23 |
Family
ID=70467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0626A KR102592467B1 (ko) | 2018-10-10 | 2018-10-10 | 차량용 에어필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246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19703A (ja) | 2011-04-07 | 2012-11-12 | Toyota Boshoku Corp | 車両用エアクリーナ |
CN204002491U (zh) | 2014-08-13 | 2014-12-10 | 汪涛 | 一种空气过滤纱窗 |
JP2015121128A (ja) | 2013-12-24 | 2015-07-02 |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 エアクリーナ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6469B1 (ko) * | 1998-11-30 | 2001-05-02 | 소진관 | 자동차용 공기정화장치의 에어필터 |
-
2018
- 2018-10-10 KR KR1020180120626A patent/KR1025924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219703A (ja) | 2011-04-07 | 2012-11-12 | Toyota Boshoku Corp | 車両用エアクリーナ |
JP2015121128A (ja) | 2013-12-24 | 2015-07-02 |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 エアクリーナ |
CN204002491U (zh) | 2014-08-13 | 2014-12-10 | 汪涛 | 一种空气过滤纱窗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0557A (ko) | 2020-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0252B1 (ko) | 의류 건조기 | |
US7959799B2 (en) | Street curb filter basket system | |
US7524414B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out and collecting debris at a storm drain | |
CN100376194C (zh) | 可拆式污物分离系统的把手和卡锁 | |
US6805804B2 (en) | Continuous roll basin insert | |
US20180023280A1 (en) | Storm water filter and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use | |
US5658362A (en) | Vacuum cleaner and filter bag with air management | |
JP2007100501A (ja) | 道路などの清掃ユニット | |
US20020164209A1 (en) | High capacity catch basin filtration system with adjustable deflector ring | |
US5771532A (en) | Suction sweeping machine | |
KR102366458B1 (ko) | 의류 건조기 | |
EP1114895A2 (en) | Filter system for mobile debris collection machine | |
KR102592467B1 (ko) | 차량용 에어필터 | |
RU2409304C2 (ru) | Мешочный фильтр для пылесоса | |
US5383973A (en) | Method for cleaning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ducts | |
US7247182B2 (en) | Filt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 |
KR101719795B1 (ko) | 대용량의 효율성과 안정적 구조를 갖는 가변 원심력과 백 필터를 이용한 집진장치 | |
US20120204524A1 (en) | Vacuum cleaner bag | |
CN103282096B (zh) | 集尘器 | |
JP4620628B2 (ja) | エアクリーナ | |
US20090089966A1 (en) | Vacuum Cleaner Bag Mounting Structure | |
JP6234265B2 (ja) | 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集塵機 | |
KR101590362B1 (ko) | 차량 공조장치용 에어필터 | |
KR20110131997A (ko) | 차량용 송풍장치 | |
JP3087757U (ja) | オイルミスト除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