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462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462B1
KR102592462B1 KR1020180167214A KR20180167214A KR102592462B1 KR 102592462 B1 KR102592462 B1 KR 102592462B1 KR 1020180167214 A KR1020180167214 A KR 1020180167214A KR 20180167214 A KR20180167214 A KR 20180167214A KR 102592462 B1 KR102592462 B1 KR 102592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wiring
evaporator
senso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884A (ko
Inventor
이정재
김형주
김종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7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4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써미스터의 와이어링부를 타고 내려오는 응축수가 센싱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증발기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증발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써미스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는: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부에 인접한 와이어링부가 센서부보다 중력 방향 하측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써미스터 조립체를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닛에 의해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고,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를 구비한다.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송풍 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된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냉매 순환 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에서 송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교축하는 팽창밸브와, 팽창밸브에 의해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킴으로써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등이 냉매 배관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냉매의 순환과정에서 증발기의 표면에는 증발기를 통과하는 더운 공기와 증발기 내의 차가운 냉매의 온도차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증발기의 표면 온도가 더욱 하강할 경우에는 응축수가 결빙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그 결과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온도센서인 써미스터(Themistor)를 설치하여 증발기를 거쳐 나오는 냉기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온도가 0℃ 이하로 떨어지면 압축기의 가동을 중지시켜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온도가 4℃ 이상으로 다시 올라가면 압축기를 다시 가동하여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을 시작한다.
도 1은 종래의 증발기에 삽입된 써미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써미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미스터(10)는 홀더(13)를 구비하며, 홀더(13)는 증발기(1)의 튜브(19) 사이에 설치된 방열핀에 삽입된다. 홀더(13)는 증발기(1)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12)와, 온도 감지를 위한 센싱부(11) 및 센싱부(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링부(15)를 구비한다.
종래의 써미스터(10)는 에어컨 작동 시 증발기(1)에서 발생하여 와이어링부(15)에 맺힌 응축수가 와이어링부(15)를 따라 센싱부(11)로 이동한다. 도면 부호 "P"는 응축수의 이동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부로 이동한 응축수는 센싱부(11)로 유입되어 단자 쇼트에 의한 단자 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9988호(2014.09.03)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써미스터의 와이어링부를 타고 내려오는 응축수가 센싱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증발기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증발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써미스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는: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부에 인접한 와이어링부가 센서부보다 중력 방향 하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내부에 증발기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증발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써미스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는: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증발기에 고정시키는 홀더부; 및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링부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부에 응축수가 센서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응축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배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와이어링부를 타고 내려오는 응축수가 센서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에 의한 써미스터의 단자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증발기에 삽입된 써미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써미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에 삽입된 써미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부가 분리된 써미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와이어링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도 8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에 삽입된 써미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써미스터에서 와이어링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와이어링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에 삽입된 써미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링부가 분리된 써미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와이어링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도 8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와,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온도조절도어(115)와, 다수의 모드도어와, 송풍장치(120) 및 써미스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조케이스(110)는 입구측에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개의 공기토출구가 형성된다.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공기유입구(111)와 각 공기토출구들을 연통시키도록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온도조절도어(115)는 공조케이스(110) 내의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 구비되어,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와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의 개도를 조절한다. 공기토출구는 디프로스트 벤트(112), 페이스 벤트(113) 및 플로어 벤트(114)로 구성된다. 모드도어는 디프로스트 도어(116), 페이스 도어(117) 및 플로어 도어(118)로 구성된다. 송풍장치(120)는 공기유입구(111)에 연결되어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공조케이스(110) 내부로 송풍한다.
써미스터(200)는 공조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어, 증발기(101)의 온도를 검출한다. 써미스터(200)는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부(220)와, 센서부(220)를 증발기(101)에 고정시키는 홀더부(210) 및 센서부(220)에 연결되는 와이어링부(250)를 포함한다.
와이어링부(250)는 센서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공조장치의 제어부와 공조케이스(110)의 외부에서 연결된다. 와이어링부(250)는 일측이 센서부(220)에 연결되고 타측은 공조케이스(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공조케이스(110)에는 와이어링부(250)를 고정하기 위한 홀 형상의 형합부(150)가 형성된다. 써미스터(200)는 비교적 온도가 낮은 증발기(101)의 하부쪽에 설치된다. 공조케이스의 레이아웃상 와이어링부(250)와 공조케이스(110) 간의 형합부(150)는 센서부(2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 경우, 센서부(220)에 인접한 와이어링부(250)는 센서부(220)보다 중력 방향 하측에 위치한다. 와이어링부(250)와 공조케이스(110) 간의 형합부(150)가 센서부(2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물 또는 증발기(101)에서 발생한 응축수 등의 수분(이하 응축수라고 한다)이 와이어링부(250)를 타고 하부로 내려온다. 센서부(220)에 인접한 와이어링부(250)는 센서부(220)보다 중력 방향 하측에 위치함에 따라, 와이어링부(250)를 타고 내려오는 응축수는 센서부(220)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한다. 결국, 응축수에 의한 써미스터의 단자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부(210)는 센서부(220)를 증발기(101)에 고정하고 와이어링부(250)를 지지 및 고정하는 써미스터의 몸체이다. 홀더부(210)는 증발기(101)에 삽입되는 삽입부(230)를 구비한다. 삽입부(230)는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증발기(101)의 튜브(105) 사이에 개재된 핀 사이로 삽입된다.
홀더부(210)에는 센서홀(201)이 삽입부(230)의 삽입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 경우, 삽입부(230)의 삽입 방향은 차량 전후 방향이다. 센서홀(201)에는 센서부(220)가 삽입 고정된다. 또한, 홀더부(210)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고정부는 와이어링부(250)를 경사지게 고정한다. 고정부는 와이어링부(250)를 하부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연장부재(240)를 구비한다.
홀더부(210) 몸체의 전방면에는 삽입부(230)가 돌출 형성되며, 그 반대쪽인 후방면에 고정부가 형성된다. 센서부(220)가 센서홀(201)에 삽입 고정되면, 센서부(220)와 삽입부(230)는 나란하게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다. 와이어링부(250)는 일측 단부가 센서부(220)에 연결되고 고정부에의해 고정되어 공조케이스(110)의 형합부(15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연장부재(240)는 홀더부(210)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연장부재(240)는 홀더부(210) 몸체 측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와이어링부(250)를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시킨다. 와이어링부(250)의 일단부가 센서부(220)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연장부재(240)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되어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이 굴곡부는 반드시 센서부(22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링부(250)가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와이어링부의 굴곡부가 센서부(220)보다 낮게 형성된 구성을 통해, 와이어링부(250)를 타고 내려오는 응축수는 센서부(220)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반드시 그 전에 자유 낙하하여 센서부(220)로의 응축수 진입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는 제1 고정홈(202)과 제2 고정홈(203)을 구비한다. 제1 고정홈(202)은 와이어링부(250)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센서홀(20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고정홈(203)은 제1 고정홈(20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와이어링부(250)를 경사지게 고정시킨다. 제2 고정홈(203)은 연장부재(240)에 형성된다.
제1 고정홈(202)과 제2 고정홈(203) 간의 경사 각도는 0°보다 크고 90°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고정홈(202)과 제2 고정홈(203) 간의 경사는 수직(90°)를 이룬다. 제1 고정홈(202) 및 제2 고정홈(203)에는 와이어링부(250)가 고정된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링부(250)는 일단이 센서부(2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고정홈(202) 및 제2 고정홈(203)에 고정되어 "ㄱ"자 형상으로 꺽이며, 다시 공조케이스(110)의 형합부(150)가 위치한 상부를 향해 굴곡되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굴곡부를 형성한다. 도면부호 "P"는 응축수의 경로를 도시한 것으로 응축수는 와이어링부(250)를 타고 내려오다 굴곡부에서 자유 낙하한다.
아울러, 홀더부(210)는 배수부를 구비한다. 배수부는 홀더부(210)에 형성되어, 응축수가 센서부(220)에 도달하지 않도록 응축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배수부는 배수홈(204)과 경사면(207)을 구비한다.
배수홈(204)은 홀더부(2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응축수의 배출 통로를 형성한다. 응축수는 증발기(101)의 표면에서 발생하며, 일부의 수분은 외부에서 유입되어 공조케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된 드레인홀로 집결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일부의 수분은 공조 바람에 의해 튀어 써미스터(200) 쪽으로 도달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배수홈(204)은 유입된 수분을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통로로 작용한다.
배수홈(204)은 격벽(213)에 의해 고정부와 구획된다. 즉, 배수홈(204)은 제1 고정홈(202) 및 제2 고정홈(203)과 격벽(213)에 의해 구획된다. 따라서, 응축수의 배수는 배수홈(204)을 통해 원활히 이루어지고, 와이어링부(250) 쪽으로 응축수의 흐름이 최소화되어 센서부(220)로의 응축수 도달 확률을 낮춘다.
배수홈(204)은 센서부(220)의 삽입 방향으로 센서부(220)와 와이어링부(250)의 사이에 형성된다. 와이어링부(250)는 제1 고정홈(202)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센서부(220)와 연결되기 위해 증발기(101)를 향해 다시 전방으로 굴곡되어 있다. 즉, 대부분의 응축수는 와이어링부의 굴곡부에서 자유 낙하하지만, 전술한 것처럼 공조 바람에 의해 튀어 오른 수분 등에 의해 와이어링부(250)를 타고 센서부(220)로 향하는 수분이 존재할 수 있다.
배수홈(204)은 센서부(220)의 삽입 방향으로 센서부(220)와 와이어링부(250)의 사이에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링부(250)를 타고 흐르는 수분이 센서부(220)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차량 전후 방향(삽입부의 삽입 방향)으로 와이어링부(250)와 센서부(220) 사이에 있는 배수홈(204)으로 빠져 하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경사면(207)은 제1 고정홈(202)의 바닥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면(207)은 와이어링부(250)를 고정하는 제1 고정홈(202)의 바닥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써미스터(200)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를 하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증발기에 삽입된 써미스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써미스터에서 와이어링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와이어링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써미스터(200)는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부(220)와, 센서부(220)를 증발기(101)에 고정시키는 홀더부(210) 및 센서부(220)에 연결되는 와이어링부(250)를 포함한다. 홀더부(210)는 증발기(101)에 삽입되는 삽입부(230)를 구비한다.
홀더부(210)는 와이어링부(250)를 경사지게 고정하는 경사부(205)를 구비한다. 경사부(205)는 삽입부(23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와이어링부(250)를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홈으로 구성된다. 홀더부(210)에는 센서부(220)를 삽입 고정시키는 센서홀(201)이 형성된다. 센서홀(201)의 중심과 삽입부(230)의 중심을 잇는 선은 수평하게 형성된다. 경사부(205)는 센서홀(201)의 중심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경사부(205)는 와이어링부(250)를 끼워 고정하며, 고정된 상태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링부(250)가 경사부(205)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링부(250)를 타고 내려오는 응축수는 센서부(220)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자유 낙하한다. 도면부호 "P"는 응축수의 이동 경로이다.
경사부(205)와 삽입부(230)의 경사 각도(a)는 0°보다 크고 90°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경사부(205)와 삽입부(230)의 경사 각도(a)는 대략 20°정도로 도시하였으나, 경사 각도를 이보다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경사부(205)는 별도의 연장부재를 형성하지 않고도 센서부에 인접한 와이어링부를 센서부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홀더부(210)는 전술한 실시 예와 같이 배수홈(204)을 구비할 수 있다. 배수홈(204)은 센서부(220)의 삽입 방향으로 센서부(220)와 와이어링부(250)의 사이에 형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차량용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5: 온도조절도어 120: 송풍장치
150: 형합부
200: 써미스터 210: 홀더부
220: 센서부 230: 삽입부
201: 센서홀 202: 제1 고정홈
203: 제2 고정홈 204: 배수홈
205: 경사부 207: 경사면
250: 와이어링부

Claims (19)

  1. 내부에 증발기(101)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증발기(101)의 온도를 검출하는 써미스터(2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200)는: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부(220);
    상기 센서부(220)를 증발기(101)에 고정시키는 홀더부(210); 및
    상기 센서부(220)에 연결되는 와이어링부(250)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부(210)에 응축수가 센서부(220)에 도달하지 않도록 응축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배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부(210)는 와이어링부(250)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제1 고정홈(202)과, 상기 제1 고정홈(20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와이어링부(250)를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제2 고정홈(203)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 고정홈(202)의 바닥면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07)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20)를 증발기(101)에 고정시키는 홀더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부(210)는 와이어링부(250)를 경사지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와이어링부(250)를 하부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연장부재(240)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240)는 홀더부(210)의 측면에서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와이어링부(250)는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와이어링부의 굴곡부가 센서부(220)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와이어링부(250)를 수평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제1 고정홈(202)과, 상기 제1 고정홈(202)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와이어링부(250)를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제2 고정홈(203)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홈(203)은 연장부재(24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홈(202)과 제2 고정홈(203) 간의 경사 각도는 0°보다 크고 9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20)를 증발기(101)에 고정시키는 홀더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부(210)는 와이어링부(250)를 경사지게 고정하는 경사부(205)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210)는 증발기(101)에 삽입되는 삽입부(230)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205)는 삽입부(23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와이어링부(250)를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205)와 삽입부(230)의 경사 각도는 0°보다 크고 90°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20)를 증발기(101)에 고정시키는 홀더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부(210)에 응축수가 센서부(220)에 도달하지 않도록 응축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배수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20)는 와이어링부(250)와 공조케이스(110) 간의 형합부(150)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내부에 증발기(101)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증발기(101)의 온도를 검출하는 써미스터(2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200)는: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부(220);
    상기 센서부(220)를 증발기(101)에 고정시키는 홀더부(210); 및
    상기 센서부(220)에 연결되는 와이어링부(250)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부(210)에 응축수가 센서부(220)에 도달하지 않도록 응축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배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부는 홀더부(2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응축수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수홈(204)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부(210)는 와이어링부(250)를 경사지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홈(204)은 격벽(213)에 의해 고정부와 구획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내부에 증발기(101)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증발기(101)의 온도를 검출하는 써미스터(2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200)는: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부(220);
    상기 센서부(220)를 증발기(101)에 고정시키는 홀더부(210); 및
    상기 센서부(220)에 연결되는 와이어링부(250)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부(210)에 응축수가 센서부(220)에 도달하지 않도록 응축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배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부는 홀더부(2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응축수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수홈(204)을 구비하며,
    상기 배수홈(204)은 센서부(220)의 삽입 방향으로 센서부(220)와 와이어링부(25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8. 내부에 증발기(101)를 구비하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증발기(101)의 온도를 검출하는 써미스터(200)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200)는:
    온도 감지를 위한 센서부(220);
    상기 센서부(220)를 증발기(101)에 고정시키는 홀더부(210); 및
    상기 센서부(220)에 연결되는 와이어링부(250)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부(210)에 응축수가 센서부(220)에 도달하지 않도록 응축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배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부는 홀더부(21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응축수의 배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수홈(204)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부(210)는 와이어링부(250)를 경사지게 하는 경사부(205)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홈(204)은 센서부(220)의 삽입 방향으로 센서부(220)와 와이어링부(25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19. 삭제
KR1020180167214A 2018-12-21 2018-12-21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92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214A KR102592462B1 (ko) 2018-12-21 2018-12-21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214A KR102592462B1 (ko) 2018-12-21 2018-12-21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884A KR20200077884A (ko) 2020-07-01
KR102592462B1 true KR102592462B1 (ko) 2023-10-23

Family

ID=7160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214A KR102592462B1 (ko) 2018-12-21 2018-12-21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4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088B1 (ko) * 2021-06-16 2021-09-28 (주)지브이티 소방차용 공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6367A (ja) * 2004-05-17 2005-11-24 Denso Corp フィン温度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20U (ja) * 1993-07-08 1995-02-03 株式会社ゼクセル センサの取付具
KR101439988B1 (ko) 2012-02-29 2014-09-1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서미스터 고정부재
KR101693406B1 (ko) * 2014-12-02 201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의 온도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6367A (ja) * 2004-05-17 2005-11-24 Denso Corp フィン温度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884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5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176459B1 (ko) 냉장고
US20080035317A1 (en) Air conditioner
KR101730171B1 (ko) 버스용 공조장치의 응축수 넘침 방지 드레인 팬 구조
US10001286B2 (en) Dehumidifier
CN102345954B (zh) 一种风冷冰箱
KR1025924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EP3252401B1 (en) Air-conditioning device
JP2009216291A (ja) 輸送用冷凍装置
US20180202704A1 (en) Condensate drain pan port
KR10262600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20697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762247B2 (ja) 冷凍冷蔵装置
KR10213338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487778B1 (ko)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KR100379007B1 (ko) 자동차용 이베퍼레이터 구조
KR100961014B1 (ko) 증발기 케이스
KR100229188B1 (ko) 냉장고
CN102272540A (zh) 包括蒸发器的冷却装置
KR2010002339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90000521U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567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H11129736A (ja) 受液器一体型冷媒凝縮器の搭載構造
KR100817939B1 (ko) 냉장고 증발기의 제상히터 고정을 위한 히터홀더
KR200431715Y1 (ko) 자동차 공조기 케이스의 드레인 호스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